KR100746795B1 - Cooling appartus - Google Patents

Cooling appar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795B1
KR100746795B1 KR1020067004114A KR20067004114A KR100746795B1 KR 100746795 B1 KR100746795 B1 KR 100746795B1 KR 1020067004114 A KR1020067004114 A KR 1020067004114A KR 20067004114 A KR20067004114 A KR 20067004114A KR 100746795 B1 KR100746795 B1 KR 100746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denser
high temperature
tub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1365A (en
Inventor
웨이 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97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77018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0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9761B2/en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0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a single mode of operation not covered by groups F25B1/00 - F25B21/00, e.g. using selective radiation effect
    • F25B23/006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a single mode of operation not covered by groups F25B1/00 - F25B21/00, e.g. using selective radiation effect boiling coo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2015/021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e.g. slanted, or being orientation-indepen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은 증발기(110)와, 응축기(130A)와, 이송관(120)과, 복귀관(140)에 의해 구성된 폐쇄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증발기(130A)는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과, 복수의 병행관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병행관의 각각은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는 부위이고, 복수단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적층된 직진부와, 이들 직진부를 접속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사행관으로 이루어진다. 사행관의 직진부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가 복귀관측 모관(131)측을 향함에 따라서 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이 탑재되는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A)의 전체가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이 저감된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has a closed circuit composed of an evaporator 110, a condenser 130A, a transfer pipe 120, and a return pipe 140, and the evaporator 130A has a transfer pipe side. It consists of an assembly including a mother tube 131, a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tube 132, and a plurality of parallel tubes. Each parallel pipe | tube is a site | part which condenses the evaporated working fluid, Comprising: It consists of a meandering tube which consists of the straight part laminated | stacked in parallel in the up-down direction over multiple stages, and the curved part which connects these straight parts.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n which the loop-type thermo siphon 100A is mounted is reduced as the straight portion locat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meander tube faces the return observation tube 131 side. The entire condenser 130A made of the assembly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so as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hereby, the malfunc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resulting from the installation state is reduced.

루프형 서모 사이폰, 증발기, 응축기, 이송관, 복귀관 Loop Thermo-Siphon, Evaporator, Condenser, Transfer Tube, Return Tube

Description

냉각 장치{COOLING APPARTUS}Cooling Unit {COOLING APPARTUS}

본 발명은 루프형 서모 사이폰 및 그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탑재한 스터링 냉각고 및 스터링 냉동기를 구비한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loop thermo siphon and a stir refrigerator and a stir freezer equipped with the loop thermo siphon.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방열 시스템으로서, 히트 싱크나 히트 파이프, 서모 사이폰 등을 이용한 방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히트 싱크를 이용한 방열 시스템에 있어서는 열원에 부착한 히트 싱크에 현저한 온도 분포가 생기기 때문에, 열원으로부터 이격되면 이격될 수록 방열에 기여하지 않게 되어 방열 성능의 향상에는 자연히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해 히트 파이프나 서모 사이폰을 이용한 방열 시스템에서는 열원에서 생긴 열을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전달하므로, 열반송 능력이 히트 싱크에 비해 매우 높고, 방열 성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진다.As a heat dissipation system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a heat dissipation system using a heat sink, a heat pipe, a thermo siphon, or the like is known. In a heat dissipation system using a heat sink, a remarkable temperature distribution occurs in the heat sink attached to the heat source. Therefore, as the distance from the heat source increases, the heat sink does not contribute to the heat dissipation.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improvement of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a heat dissipation system using a heat pipe or a thermo siphon,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is transferred using a working fluid, so that the heat transfer capacit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heat sink,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high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히트 파이프는 폐쇄 회로 내에 배치된 위크 모세관력을 이용하여 작동 유체를 순환시키는 모세관력 구동형 열수송 디바이스이다. 이에 대해 서모 사이폰은 작동 유체가 증발 및 응축함으로써 생기는 작동 유체의 밀도차를 이용한 중력 구동형 열수송 디바이스이다. 또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이라 함은, 루프형으로 구성된 폐쇄 회로 내를 작동 유체가 순환하도록 구성된 서모 사이폰이다. Heat pipes are capillary force driven heat transfer devices that circulate a working fluid using weak capillary forces disposed within a closed circuit. In this regard, the thermosiphon is a gravity driven heat transfer device that uses the difference in density of the working fluid resulting from the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working fluid. In addition, a loop type thermo siphon is a thermo siphon configured to circulate a working fluid in a closed circuit configured in a loop type.

우선, 제1 종래예로서, 일반적인 루프형 서모 사이폰에 대해 설명한다. 도17a 및 도17b는 제1 종래예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이 중, 도17a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17b는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First, a general loop type thermo siphon will be described as a first conventional example. 17A and 17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in a first conventional example, of which Fig. 17A is a front view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and Fig. 17B is viewed from the side; Drawing.

도17a 및 도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I)은 열원으로부터 열을 빼앗는 증발기(110)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응축기(130I)를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110)와 응축기(130I)는 이송관(120) 및 복귀관(140)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들 증발기(110), 이송관(120), 응축기(130I) 및 복귀관(140)에 의해 폐쇄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응축기(130I)는 증발기(110)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7A and 17B,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I includes an evaporator 110 that takes heat from a heat source and a condenser 130I that discharges heat to the outside.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30I are connected by the transfer pipe 120 and the return pipe 140, and are connected to the evaporator 110, the transfer pipe 120, the condenser 130I and the return pipe 140. The closed circuit is comprised by this. In addition, the condenser 130I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evaporator 110.

증발기(110) 내에 있어서 열원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한 작동 유체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30I)의 증기 압력차에 의해 중력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이송관(120)을 통해 응축기(130I)로 도입된다. 응축기(130I) 내에서 냉각되어 응축한 작동 유체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복귀관(140)을 통해 증발기(110)로 도입된다. 이상과 같은 상변화를 수반하는 작동 유체의 대류 작용에 의해 열원에서 생긴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working fluid evaporated by taking heat from the heat source in the evaporator 110 rises against gravity due to the vapo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30I, and passes through the transfer pipe 120 to the condenser 130I. Is introduced. The working fluid cooled and condensed in the condenser 130I drops by gravity and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110 through the return pipe 140. It is possible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to the outside by the convection action of the working fluid accompanying the above-mentioned phase change.

이와 같은 구성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구비한 스터링 냉각고를 개시한 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3-50073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 특허 공개 2001-33139호 공보(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3-302117호 공보(특허문헌 3) 등이 있다. As a document which discloses a sterling refrigerator with a loop type thermo siph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50073 (Patent Document 1)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3139 (Patent Document 2) And JP 2003-302117 A (Patent Document 3).

다음에, 제2 종래예로서,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종래의 스터링 냉동기를 구비한 냉각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0은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냉각 장치(50)는 스터링 냉동기(1)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취출하는 저온측 냉열 반송 사이클(5) 및 온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을 구비한 것이다. 스터링 냉동기(1)는 내부에 봉입된 작동 매체(예를 들어 헬륨)의 팽창 과정에서 흡열하여 냉열을 발생하는 저온부(3)와, 작동 매체의 팽창 과정에서 온열을 발생하는 고온부(2)를 갖는다.Next, as a 2nd prior art example, the cool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sterling refrigerator of the said patent document 3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2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oling device in a second conventional example. This cooling apparatus 50 is equipped with the low temperature side cold-heat conveyance cycle 5 which takes out the cold heat which arises from the stirling refrigerator 1,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conveyance cycle 4 which discharge | releases warm heat to the outside. The Stirling refrigerator 1 has a low temperature portion 3 for absorbing heat during the expansion of the working medium (for example, helium) enclosed therein to generate cold heat, and a high temperature portion 2 for generating heat during the expansion of the working medium. .

저온측 냉열 반송 사이클(5)은, 개략적으로는 저온부(3)의 주위에 접촉하여 부착된 저온측 응축기(12)와, 응축액측 냉매 배관(13) 및 증기측 냉매 배관(14)에 의해 저온측 응축기(12)와 연결된 저온측 증발기(15)로 구성된 순환 회로이다. 이 회로 내에는 이산화탄소나 탄화수소 등이 냉매로서 봉입되어 순환 회로 내에서 서모 사이폰을 형성한다. 저온측 증발기(15)에는 열교환 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복수의 평판 핀(1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냉매의 증발과 응축에 의한 자연 순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저온측 증발기(15)를 저온측 응축기(12)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저온측 증발기(15)의 하방에는 드레인 접시(17)가 설치되어 있고, 저온측 증발기(15)의 표면에서 결로하여 낙하하는 드레인수를 받아 저류하도록 하고 있다. The low temperature side cold-heat conveyance cycle 5 is roughly low temperature by the low temperature side condenser 12 and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3 and the vapor side refrigerant pipe 14 which contact and adhere to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low temperature part 3. It is a circulation circuit composed of the low temperature side evaporator 15 connected to the side condenser 12. In this circuit, carbon dioxide, hydrocarbons, and the like are encapsulated as a refrigerant to form a thermosiphon in the circulation circuit. The low temperature side evaporator 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at plate fins 16 for enlarging the heat exchange area. In addition, the low temperature side evaporator 15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 temperature side condenser 12 so that natural circulation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used. And the drain pan 17 is provided below the low temperature side evaporator 15, and it is made to receive the drain water which condenses on the surface of the low temperature side evaporator 15, and falls.

한편,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은 물이나 탄화수소 등의 자연 냉매를 이용한 서모 사이폰으로 이루어지고, 개략적으로는 스터링 냉동기(1)의 고온부(2)에 부착된 고온측 증발기(6)와, 고온측 증발기(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자연 냉매를 응축하는 고온측 응축기(8)와, 고온측 증발기(6)와 고온측 응축기(8)를 연결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증기측 냉매 배관(7)과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으로 구성된 순환 회로이다. 이 회로 내에는 물(수용액을 포함함)이나 탄화수소 등의 자연 냉매가 냉매로서 봉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수용액을 포함함)이나 탄화수소를 냉매로서 사용함으로써 환경이나 인체로의 악영향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증발과 응축에 의한 자연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을 고온측 증발기(6)의 최상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고온측 응축기(8)에는 열교환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복수의 평판 핀(18)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온측 응축기(8)의 후방에는 한 쌍의 방열 팬(19)이 설치되어 있고, 방열 팬(19)에 의해 열을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4) is composed of a thermosiphon using natural refrigerant such as water or hydrocarbon,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ttached to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2)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 schematically. , A high-temperature side condenser 8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to condense a natural refrigerant, and a steam-side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high-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nd the high-temperature side condenser 8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It is a circulation circuit comprised of 7 and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In this circuit, natural refrigerants such as water (including aqueous solutions) and hydrocarbons are enclosed as refrigerants. In this way, the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can be eliminated by using water (including an aqueous solution) or a hydrocarbon as a refrigerant.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natural circulation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the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11 is connect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high-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is attached with a plurality of flat fins 18 to enlarge the heat exchange area. And a pair of heat radiating fans 19 are provided in the back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and the heat is exhausted by the heat radiating fan 19 to the outside.

도21은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온측 증발기(6)는 전체적으로 환형체를 이루지만, 스터링 냉동기(1)의 고온부(2)로의 부착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2개의 반환형체(6A, 6B)를 직경 방향으로 합체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각 반환형체(6A, 6B)의 원호의 양단부에 상당하는 면은 폐색되어 있다. 반환형체(6A, 6B)는 고온부(2)의 주위에 대해 수직 방향의 상하에서 합체되어 양쪽의 하단부에서 U자형의 연통관(6C)에 의해 연통 접속된다. 반환형체(6A, 6B) 내부의 냉매 응축액은 연통관(6C)을 거쳐서 서로 오고 가며 혼합된다.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 the cooling device in the second conventional example. With reference to this figure, the structure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4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forms an annular body as a whole, but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attachment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 to the high temperature unit 2, a structure in which two return bodies 6A and 6B are merged in the radial direction is employed. It is. Surface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arc of the returning bodies 6A and 6B are blocked. The return bodies 6A and 6B are merged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eriphery of the high temperature part 2, and are connected by U-shaped communication pipe 6C at both lower ends. The refrigerant condensates in the return bodies 6A and 6B are mixed with each other via the communication tube 6C.

증기측 냉매 배관(7)은 고온측 증발기(6)의 각 반환형체(6A, 6B)에 접속되는 2개의 종관(7A, 7B)과, 양쪽의 종관(7A, 7B)에 접속되는 횡관(7C)(「헤더관」이라고도 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관(7A, 7B)은 각 반환형체(6A, 6B)의 외주면 상단부와, 횡관(7C)의 최하부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횡관(7C)은 길이 방향의 양단부면이 폐색되어 스터링 냉동기(1)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 또한 수평 방향에 배치된다.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7 includes two longitudinal pipes 7A and 7B connected to the return bodies 6A and 6B of the high-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nd a horizontal pipe 7C connected to both longitudinal pipes 7A and 7B. ) (Also called a "header tube"). The longitudinal pipes 7A and 7B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return body 6A and 6B and the lowermost part of the horizontal pipe 7C in the vertical direction. 7C of horizontal pipes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 shaft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 and also a horizontal direction by the both end surface of a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blocked.

응축액측 냉매 배관(11)도 증기측 냉매 배관(7)과 같은 구성이지만, 서모 사이폰을 구성하기 위해 증기측 냉매 배관(7)의 횡관(7C)은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의 횡관(7C)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그 서모 사이폰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키기 위해, 종관, 횡관 모두 응축액측 냉매 배관(11)보다도 증기측 냉매 배관(7)측이 상대적으로 대구경의 관이 사용되고 있다.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apor side refrigerant pipe 7, but in order to form a thermosiphon, the cross pipe 7C of the steam side refrigerant pipe 7 is a cross tube of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7C)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7C), and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thermosiphon, a large diameter pipe is used on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7 side rather than the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11 on both the vertical pipe and the horizontal pipe. .

고온측 응축기(8)는 횡관(7C, 11C)의 길이 방향, 즉 수평 방향에 평행 배치된 6개의 사행관(corrugated tube)(8A 내지 8F)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사행관(8A 내지 8F)의 일단부는 횡관(7C)에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부는 횡관(11C)에 접속되어 있고, 사행관 전체적으로 양쪽의 횡관(7C, 11C) 사이를 그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평판 핀(18)은 사행관(8A 내지 8F)의 직선 부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직선 부분과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is composed of six corrugated tubes 8A to 8F arrang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tubes 7C and 11C, that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ne end of each meandering tube 8A to 8F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7C,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1C, and the meandering tube as a whole is equaliz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both transverse pipes 7C and 11C. Are connected. The plurality of flat plate fins 18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straight portions of the meandering tubes 8A to 8F, and are thermally coupled to the straight portions.

다음에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고온부(2)에 발생한 열은 고온부(2)의 주위로부터 고온측 증발기(6)로 전달되어, 그 반환형체(6A, 6B) 내에 고여 있는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한 냉매 증기는 각각 증기측 냉매 배관(7)의 종관(7A, 7B) 내를 상승하여 횡관(7C) 내에서 합류한 후, 6개의 사행관(8A 내지 8F)으로 분기되어 흐른다. 이에 의해, 냉매 증기는 고온측 증발기(6)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고온측 응축기(8) 내를 유통하고, 평판 핀(18)을 거쳐서 환경 분위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어 냉매 응축액이 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4 will be described. Heat generated in the hot portion 2 is transferre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hot portion 2 to the hot side evaporator 6 to evaporate the refrigerant accumulated in the return bodies 6A and 6B. The vaporized refrigerant vapor rises in the longitudinal pipes 7A and 7B of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7 and joins in the transverse pipe 7C, and then branches and flows into six meandering pipes 8A to 8F. As a result, the refrigerant vapor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nd condenses by heat exchange with the environmental atmosphere via the plate fin 18 to form a refrigerant condensate.

그 냉매 응축액(또는, 기체를 혼합한 냉매 응축액)은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의 횡관(11C) 내에서 합류하고, 또한 종관(11A, 11B)으로 분기되어 아래로 흐르고, 고온측 증발기(6)로 복귀되어 다시 고온부(2)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이와 같이, 냉매의 증발 및 응축에 있어서의 잠열을 이용함으로써, 현열에 의한 열교환보다 훨씬 큰 열전달량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율이 대폭으로 높아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온측 응축기(8)와 고온측 증발기(6)의 상하 배치에 의한 고도차와,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펌프 등의 외부 동력없이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해진다.The refrigerant condensate (or the refrigerant condensate mixed with gas) joins in the transverse pipe 11C of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branches to the longitudinal pipes 11A and 11B, and flows downward,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 Is evaporated by the heat of the high temperature section 2 again. Thus, by using latent heat i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a much larger heat transfer amount can be obtained than heat exchange by sensible heat, so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significantly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force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an be obtained by the altitude difference by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nd the pressure difference due to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gas and liquid. have. Therefore, the refrigerant can be circulated without external power such as a pump, thereby enabling energy saving.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5007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50073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1-3313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3139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3-302117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302117

상술한 제1 종래예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I)에 있어서는, 응축기(130I)는 각종 배관과 방열 핀을 조합한 조립체로서 유닛화되어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이송관(120)에 의해 도입된 작동 유체를 분류하는 이송관측 모관(main tube)(이송관측 헤더 파이프)(131)과, 분류된 작동 유체를 다시 합류시키는 복귀관측 모관(복귀관측 헤더 파이프)(132)과, 이들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을 접속하여 서로 병행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병행관(133)(도18 참조)과, 이들 복수의 병행관(133)에 접촉하도록 조립 부착된 방열 핀(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제작된다.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I according to the first conventional example described above, the condenser 130I is often manufactured by being unitized as an assembly combining various piping and heat dissipation fins. Specifically, the main tube (transfer-side header pipe) 131 for classifying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by the transfer tube 120 and the return-side capillary (return-side header) for re-merging the classified working fluid. Pipe) 132, a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see Fig. 18) arranged so as to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transfer-side capillary 131 and the return-side capillary 132, and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It is produced as an assembly consisting of heat dissipation fins (not shown) attached to contact with each other.

통상,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일방향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진부(134a 내지 134d)를 상하 방향에 복수단(도18에 도시하는 병행관에 있어서는 4단)에 걸쳐서 평행하게 적층하고, 적층된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d)끼리를 만곡부(135a 내지 135c)에 의해 접속한 형상으로서 제작된다. 즉,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행관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직진부(134a 내지 134d)가 서로 평행하게 적층되는 이유는, 주로 조립 작업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이고, 또한 공간 절약으로 최대한의 전열 면적을 확보할 수도 있게 된다. Normally, as shown in Fig. 18,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includes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extending linearly in one direction in multiple stages (in the parallel pipe shown in Fig. 18). It is laminated | stacked in parallel over four steps, and it manufactures as a shape which these laminated straight parts 134a-134d connected by the curved parts 135a-135c. In other words,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133 is configured as a meandering tube as shown in FIG. Thus, 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are lamina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s mainly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assembly work, and the maximum heat transfer area can be ensured with space saving.

이상의 구성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I)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I)을 탑재한 기기(예를 들어 스터링 냉각고)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 상에 설치된다. 이때,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I)는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 평행해지도록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7, the condenser 130I which consists of the assembly of the above structure is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 casing 300 of the apparatus (for example, a sterling cooler) in which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I was mounted. It is installed on. At this time, the condenser 130I formed of the assembly i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I)을 탑재한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이 설치면인 바닥면(401)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응축기(130I)의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d)도 설치면인 바닥면(40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응축기(130I)의 병행관(133) 내에서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는 병행관(133) 내를 원활하게 유동하여 복귀관측 모관(132) 및 복귀관(140)을 거쳐서 증발기(110)로 송출된다. 또한, 도18에 있어서는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500)로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18, when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apparatus equipped with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I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401 which is an installation surface, the condenser 130I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parallel pipe 133 of the s) are also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401 which is the installation surface. In this case, the working fluid condensed in the parallel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I smoothly flows in the parallel conduit 133 and passes through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and the return conduit 140 to the evaporator ( 110). 18, the flow direction of a working fluid is shown by the arrow 500. In FIG.

이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의 바닥면이 평행해지도록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수평인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의 바닥면이 경사져 설치된 경우나, 바닥면 자체가 경사져 있고, 이 경사진 바닥면과 평행하게 하우징이 설치된 경우 등에 있어서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도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설치되게 되어 작동 유체의 유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In this way,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when the apparatus is provid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way,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or when the bottom surface itself is inclined and the housing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inclined bottom surface, the roof type thermo siphon is also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In some cases,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greatly affected.

예를 들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인 바닥면(401)에 대해 기기의 하우징(300)이 각도(α0)만큼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응축기(130I)의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d)도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면으로부터 각도(α0)만큼 경사져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시하는 상태는 최하단에 있어서의 직진부(134d)의 만곡부(135c) 근방의 단부가 복귀관측 모관(132) 근방의 단부보다도 낮은 위치가 되도록 기기의 하우징(300)이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For example, consider a case in which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s inclined by an angle α 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401 as shown in FIG. 19. In this case, since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parallel pipe 133 of the condenser 130I are also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the angle α 0 from the horizontal plane. It will be placed at an angle. In addition, the state shown shows the case where the housing | casing 300 of the apparatus is inclined so that the edge part of the curved part 135c of the straight part 134d at the lowermost end may be lower than the edge part near the return-viewing capillary 132. hav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응축기(130I)가 설치된 경우에는 응축기(130I)의 최하단의 직진부(134d) 내에서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중력에 의해 역류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의 만곡부(135c)측에 체류하게 된다. 이 응축한 작동 유체(502)는 복귀관측 모관(132)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기기의 동작에 수반하여 서서히 증가하여 결국은 병행관(133)을 폐색하는 상태까지 응축된 작동 유체(502)의 액면(503)이 상승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condenser 130I is installed, the working fluid liquefied by condensing in the straightest portion 134d at the bottom of the condenser 130I flows back by gravity,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straight portion 134d positioned at the bottom is condensed. It stays at (135c) side. Since the condensed working fluid 502 does not flow into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the liquid level of the working fluid 502 condensed to the state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eventually closing the parallel pipe 133. 503 is raised.

이와 같은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는 병행관(133)의 이송 관측 모관(131)측의 압력이 상당 정도 상승하지 않는 한 작동 유체의 유동이 저해되게 된다. 이로 인해, 작동 유체의 순환 동작이 예기하지 않은 것이 되어 열원에서 생긴 열을 충분히 방열할 수 없게 된다. 이 결과,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에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탑재한 기기 본체의 고장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When such a state is reached,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inhibited unless the pressure on the side of the transport observation capillary 131 of the parallel pipe 133 rises considerably. As a result, the circulating operation of the working fluid is unexpected,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cannot be sufficiently dissipated.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op type thermosiphon can be operated in a bad state and, in the worst case, can lead to the failure of the main body of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loop type thermosiphon.

이와 같이, 제1 종래예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에 있어서는 설치 상태에 따라서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이 점이 중대한 문제로 되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the first conventional example, a malfunct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ate, and this is a serious problem.

또한, 상술한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스터링 냉동기(1)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50)는 그 자체 독립하여 조립된 후, 도시하지 않은 냉장고에 탑재되어 제품으로서 출시된다. 이때, 냉장고를 수평인 장소에 설치하였을 때, 횡관(7C, 11C)이 수평이 되도록 냉각 장치(50)는 조립된다.In addition, the cooling device 50 including the Stirling refrigerator 1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ventional example is assembled by itself and then mounted in a refrigerator (not shown) and released as a product. At this time, when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place, the cooling device 50 is assembled so that the horizontal pipes 7C and 11C are horizontal.

그러나, 상술한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조립되었다고 해도 사용자 하에서는 냉장고의 설치 장소의 수평성은 확보하기 어렵고, 실제로 경사진 장소에 냉장고가 놓여지는 일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가 수평면보다 경사진 상태가 되고,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의 횡관(11C) 내부에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 낮아지는 쪽의 종관(도22에서는 11B)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있는 부분에 냉매 응축액(20)이 고이고, 냉매 순환량이 감소되어 방열 효율이 저하된다. However, in the cooling apparatus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conventional example, even when assembled in this way, the horizontality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refrigerator is difficult to be secured under the user, and the refrigerator may be actually placed on the inclined plac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2, the whole system is inclined from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longitudinal pipe (11B in Fig. 22)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side the transverse pipe 11C of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The refrigerant condensate 20 accumulates in the portion below the upper end of the c), and the amount of refrigerant circulating decreases, and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decreases.

그래서, 본 발명은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동작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루프형 서모 사이폰 및 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구비한 스터링 냉각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op type thermo siphon and a stirling cooler provided with the loop type thermo siphon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in any of the installation states.

또한, 본 발명은 냉각 장치가 경사져도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 내에서 냉매를 안정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ling device capable of stably circulating a refrigerant in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of a sterling refrigerator even when the cooling device is inclined.

본 발명의 제1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은 열원을 갖는 기기의 하우징에 탑재되는(여기서,「탑재된다」라 함은,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전체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와,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탑재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함) 것이고, 폐쇄 회로 내에 봉입된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열원으로부터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다. 상기 폐쇄 회로는 증발기와, 응축기와, 이송관과, 복귀관에 의해 구성된다. 증발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부위이고, 응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는 부위이다. 이송관은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기로 도입하는 부위이고, 복귀관은 응축기에서 응축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도입하는 부위이다. 응축기는 일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직진부가 상하 방향에 복수단에 걸쳐서 적층되고 또한 복수단에 걸쳐서 적층된 직진부끼리가 만곡부에 의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사행관을 갖고 있다. 이 사행관의 직진부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가 복귀관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housing of a device having a heat source (where “mounted” means that the entire loop type thermo siph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a part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dissipates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using a working fluid enclosed in a closed circuit. The said closed circuit is comprised by an evaporator, a condenser, a conveying pipe, and a return pipe. The evaporator is a portion that takes heat from the heat source and evaporates the working fluid, and the condenser is a portion that condenses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The transfer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from the evaporator into the condenser, and the return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has a meandering tube in which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stacked over a plurality of stage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straight portions stacked over a plurality of stages are connected by a curved portion. As the straight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meandering tube faces the return observation, the slanted tube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decreases.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사행관 내에 체류할 우려가 낮아지므로,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Such a configuration reduces the risk of condensation and liquefaction of the working fluid in the meandering tube,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본 발명의 제2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은 열원을 갖는 기기의 하우징에 탑재되는 것이고, 폐쇄 회로 내에 봉입된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열원으로부터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다. 상기 폐쇄 회로는 증발기와, 응축기와, 이송관과, 복귀관에 의해 구성된다. 증발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부위이고, 응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는 부위이다. 이송관은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기로 도입하는 부위이고, 복귀관은 응축기에서 응축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도입하는 부위이다. 응축기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과, 복수의 병행관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이송관측 모관은 상기 이송관에 접속되어 있고, 도입된 작동 유체를 분류하는 부위이다. 복귀관측 모관은 상기 복귀관에 접속되어 있고, 분류된 작동 유체를 합류시키는 부위이다. 복수의 병행관은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여 서로 병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병행관의 각각은 제1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직진부가 상하 방향에 복수단에 걸쳐서 평행하게 적층되고 또한 복수단에 걸쳐서 적층된 직진부끼리가 만곡부에 의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사행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행관의 직진부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가 복귀관측 모관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의 전체가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housing of a device having a heat source, and radiates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using a working fluid enclosed in a closed circuit. The said closed circuit is comprised by an evaporator, a condenser, a conveying pipe, and a return pipe. The evaporator is a portion that takes heat from the heat source and evaporates the working fluid, and the condenser is a portion that condenses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The transfer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from the evaporator into the condenser, and the return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consists of an assembly comprising a conveying side capillary, a returning side capillary, and a plurality of parallel tubes. The transfer observation mother pipe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is a portion for classifying the introduced working flui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is a sit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turning pipe and joins the sorted working fluid.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are arranged so as to connect the transfer pipes and the return pipes an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said parallel tubes is comprised by the meandering tube which the straight part extended toward a 1st direction is laminated | stacked in parallel in the up-down direction over multiple stages, and the straight parts laminated | stacked over the multiple stage are connected by the curved part. . The entire condense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disposed so that the straightest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raight portion of the meandering tube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reduced as the straight portion toward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tube side is disposed. It is.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행관의 직진부가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적층되도록 응축기를 유닛화하여 제작한 경우에도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사행관 내에 체류할 우려가 낮아지므로,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the condenser is unitized so that the straight portion of the meander tube is stacked parallel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risk of condensation and liquefaction of the working fluid in the meander tub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lfunction of the type thermosiphon.

상기 본 발명의 제2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에 있어서는 경사져 배치된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한 경사각이 0°보다 크고 6°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ondenser composed of the inclined assembly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6 °.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응축기를 미리 경사지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대폭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arranging the condenser in advance so as to satisfy such conditions, it becomes possible to significantly suppress the malfunc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상기 본 발명의 제2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에 있어서는 상기 복귀관측 모관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복귀관이 제2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귀관측 모관의 한쪽 단부 근방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귀관측 모관이 상기 한쪽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turn tube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decreases as it is connected near one end of the observation mother tube and toward the one end side from the other end sid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ne en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inclined by.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복귀관측 모관 내에 체류할 우려가 낮아지므로,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Such a configuration reduces the risk of condensation and liquefaction of the working fluid in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본 발명의 제3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은 열원을 갖는 기기의 하우징에 탑재되는 것이고, 폐쇄 회로 내에 봉입된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열원으로부터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다. 상기 폐쇄 회로는 증발기와, 응축기와, 이송관과, 복귀관에 의해 구성된다. 증발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부위이고, 응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는 부위이다. 이송관은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기로 도입하는 부위이고, 복귀관은 응축기에서 응축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도입하는 부위이다. 응축기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과, 복수의 병행관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이송관측 모관은 상기 이송관에 접속되어 있고, 도입된 작동 유체를 분류하는 부위이다. 복귀관측 모관은 상기 복귀관에 접속되어 있고, 분류된 작동 유체를 합류시키는 부위이다. 복수의 병행관은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여 서로 병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귀관측 모관은 일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복귀관은 상기 일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귀관측 모관의 한쪽 단부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복귀관측 모관은 상기 한쪽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housing of a device having a heat source, and heats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using a working fluid enclosed in a closed circuit. The said closed circuit is comprised by an evaporator, a condenser, a conveying pipe, and a return pipe. The evaporator is a portion that takes heat from the heat source and evaporates the working fluid, and the condenser is a portion that condenses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The transfer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from the evaporator into the condenser, and the return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consists of an assembly comprising a conveying side capillary, a returning side capillary, and a plurality of parallel tubes. The transfer observation mother pipe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is a portion for classifying the introduced working flui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is a sit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turning pipe and joins the sorted working fluid.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are arranged so as to connect the transfer pipes and the return pipes an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the return pipe is connected near one end of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extending in the one direction.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pipe is disposed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decreases from the other end sid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ne end side toward the one end sid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복귀관측 모관 내에 체류할 우려가 낮아지므로,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Such a configuration reduces the risk of condensation and liquefaction of the working fluid in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본 발명의 제4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은 열원을 갖는 기기의 하우징에 탑재되는 것이고, 폐쇄 회로 내에 봉입된 작동 유체를 이용하여 열원으로부터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다. 상기 폐쇄 회로는 증발기와, 응축기와, 이송관과, 복귀관에 의해 구성된다. 증발기는 열원으로부터 열을 빼앗아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부위이고, 응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는 부위이다. 이송관은 증발기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기로 도입하는 부위이고, 복귀관은 응축기에서 응축한 작동 유체를 증발기로 도입하는 부위이다. 응축기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과, 복수의 직행관을 포함하는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이송관측 모관은 상기 이송관에 접속되어 있고, 도입된 작동 유체를 분류하는 부위이다. 복귀관측 모관은 상기 복귀관에 접속되어 있고, 분류된 작동 유체를 합류시키는 부위이다. 복수의 직행관은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여 서로 병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직행관의 각각은 상기 복귀관측 모관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A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housing of a device having a heat source, and radiates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using a working fluid enclosed in a closed circuit. The said closed circuit is comprised by an evaporator, a condenser, a conveying pipe, and a return pipe. The evaporator is a portion that takes heat from the heat source and evaporates the working fluid, and the condenser is a portion that condenses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The transfer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from the evaporator into the condenser, and the return tube is a portion for introducing the working fluid condensed in the condenser to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consists of an assembly comprising a feed side capillary, a return side capillary, and a plurality of through tubes. The transfer observation mother pipe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d is a portion for classifying the introduced working flui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is a site which is connected to the returning pipe and joins the sorted working fluid. The plurality of non-stop pipes are arranged so as to connect the transfer pipes and the return pipe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straight pipes is disposed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decreases as it faces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pipe sid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행관이 아닌 직행관으로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이 접속된 응축기를 채용한 경우에도 작동 유체가 관 내에 대류하지 않게 되므로,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a condenser is connected to a non- meandering tube and a conveying tube and a return tube, the working fluid does not condense in the tub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Defects can be reduced.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스터링 냉각고는 스터링 냉동기를 탑재한 스터링 냉각고이다. 스터링 냉동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고, 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증발기가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부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tirling refrigerator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irling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stirling refrigerator. Stirling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ny on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1st-4th aspect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The evaporator of this loop type thermo siphon is comprised so that it may heat-exchange with the high temperature part of a stirling refrigerator. .

이와 같은 구성의 스터링 냉각고로 함으로써, 하우징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성능이 좌우되지 않는 고성능의 스터링 냉각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setting it as the Stirling refrigerator of such a structure,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he high performance Stirling refrigerator which does not depend on the installation state of a housing.

본 발명의 제1 국면을 기초로 하는 냉각 장치는 스터링 냉동기의 저온부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취출하는 저온측 냉열 반송 사이클과,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부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은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부에 부착된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고온측 증발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고온측 응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고온측 응축기 사이를 증기측 냉매 배관 및 응축액측 냉매 배관으로 접속하여 냉매 순환 회로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응축액측 냉매 배관은 상기 고온측 응축기가 접속되는 양단부 폐색의 횡관과, 상기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횡관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종관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종관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상단부를 각각 상기 횡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냉각 장치가 경사져도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횡관 내에 냉매 응축액이 고이는 일이 없다. Cooling apparatus based o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 temperature side cold transfer cycle for taking out the cold heat generated in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and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to the outside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cludes: a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ttached to a high temperature portion of a stir freezer, and a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nd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Is connected to a vapor-side refrigerant pipe and a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to form a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The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includes a cross-section tube of both end portions to which the high-temperature side condenser is connected, and the hot-side evaporator and the cross-pipe in a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longitudinal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end of one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longitudinal pipes; Respectively, it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said hoenggwa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cooling device is inclined, the refrigerant condensate does not accumulate in the transverse pipe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상기 본 발명의 제1 국면을 기초로 하는 냉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종관의 상단부에는 횡관이, 하단부에는 고온측 증발기가 각각 접속되지만, 그 접속구의 수평 방향의 위치는 횡관과 고온측 증발기에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상기 종관은 하향 구배를 갖는 경사부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냉장고의 설치 장소의 경사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안전 기준이 5°이내로 되어 있으므로, 냉각 장치 수평시(水平視)를 기준으로 한 상기 종관 경사부의 하향 구배를 5°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냉각 장치가 경사져도 하향 구배를 유지하여 냉매 응축액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ooling device based o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pipe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ipe and a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respectively, bu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onnector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horizontal pipe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Do not. As a result, the longitudinal tube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portion having a downward gradient.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standard is generally 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inclina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refrigerator, the cooling apparatus is set by setting the downward gradient of the vertical inclination portion on the basis of the cooling apparatus horizontal time to 5 degrees or more. Even when inclined, a downward gradient can be maintained to prevent clogging of the refrigerant condensate.

본 발명의 제2 국면을 기초로 하는 냉각 장치는 스터링 냉동기의 저온부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취출하는 저온측 냉열 반송 사이클과,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부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은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부에 부착된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고온측 증발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고온측 응축기를 구비하여, 상기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고온측 응축기 사이를 증기측 냉매 배관 및 응축액측 냉매 배관으로 접속하여 냉매 순환 회로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응축액측 냉매 배관은 상기 고온측 응축기가 접속되는 양단부 폐색의 횡관과, 상기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횡관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종관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측 냉매 배관은 상기 고온측 응축기가 접속되는 양단부 폐색의 횡관과, 상기 고온측 증발기와 상기 횡관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종관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측 냉매 배관의 횡관을 상기 응축액측 냉매 배관의 횡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증기측 냉매 배관의 횡관에 탈기용 차지 파이프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높은 위치에 차지 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탈기 시의 물의 흡입 방지와 진공화의 효율 향상이 도모된다. The cooling device based on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 low temperature side cold conveyance cycle which takes out the cold hea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low temperature part of a stirling refrigerator,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which discharge | releases the heat generated at the high temperature part of a stirling refrigerator to the outside.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cludes a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ttached to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and a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nd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Is connected to a vapor-side refrigerant pipe and a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to form a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The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includes a cross-section tube of both end portions to which the high-temperature side condenser is connected, and the hot-side evaporator and the cross-pip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longitudinal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is connected to the high-temperature side condenser. And a pair of vertical pipes connecting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and the horizontal pip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pipe of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is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orizontal pipe of the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A degassing charge pipe is attached to a transverse pipe of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By attaching the charge pipe at such a high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ake of water during degassing and to improve the vacuum efficiency.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상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국면을 기초로 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으로 함으로써,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스터링 냉각고로 함으로써, 하우징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성능이 좌우되지 않는 고성능의 스터링 냉각고로 할 수 있다. By setting it as the loop type thermo siphon based on the said 1st-4th aspect of this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regardless of an installation state. Moreover, by using the Stirling refrigerator based on the said invention, it can be set as the high performance Stirling refrigerator which does not depend on the installation state of a housing.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및 제2 국면을 기초로 하는 냉각 장치에 따르면, 스터링 냉동기의 구동에 의해 고온부에 발생하는 열을 반송하여,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한 서모 사이폰을 이용한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 중에서 냉매 응축액을 고온측 증발기에 자연 아래로 흐르게 하는 경로가 되는 응축액측 냉매 배관을 고온측 응축기의 출구에 설치되는 양단부 폐색의 횡관과, 상기 횡관 및 상기 고온측 증발기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종관으로 구성하고, 각 종관의 상단부를 횡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 장치가 경사져도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횡관 내에 냉매 응축액이 고이는 일이 없고, 상기 사이클 내에서 냉매를 안정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cooling apparatus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using a thermo siphon for conveying heat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by driving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to radiate heat to the outside As long as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which is a path for allowing the refrigerant condensate to flow down naturally to the high-temperature side evaporator, is connected to the closed end pipes at both ends provided at the outlet of the high-temperature side condenser, and the cross-section and the high-temperature side evaporator are vertically connected. It consists of a pair of longitudinal pipes, and connects the upper end of each longitudinal pipe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a horizontal pipe, respectively. Therefore, even if the cooling device is inclined, the refrigerant condensate does not accumulat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and the refrigerant can be circulated stably in the cycle.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hown in FIG.

도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Fig. 3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front.

도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Fig. 3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side.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응축기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배치된 경우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working fluid when the condenser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응축기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배치된 경우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working fluid when the condenser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6a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Fig. 6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front.

도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Fig. 6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side.

도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Fig. 7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front.

도7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Fig. 7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side.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응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측방에서 본 경우의 도면이다.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diagram whe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s seen from the side.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in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in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in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터링 냉각고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Fig. 14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erling refrigerator in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정면도이다. Fig. 16A is a front view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측면도이다. Fig. 16B is a side view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a는 제1 종래예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Fig. 17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loop type thermo siphon in a first conventional example, and a view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seen from the front.

도17b는 제1 종래예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측방에서 본 도면이다. Fig. 17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n the first conventional example, and is a view seen from the sid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도18은 도17a 및 도17b에 나타내는 제1 종래예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 폰의 응축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응축기가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itution of the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siphon in the first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s. 17A and 17B, and illustrating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when the condenser is installed horizontally.

도19는 도18에 도시하는 응축기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배치된 경우의 작동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when the condenser shown in FIG. 18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도20은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2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oling device in a second conventional example.

도21은 도20에 도시하는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ecific structure of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of the cooling device in the second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

도22는 도20에 나타내는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가 경사진 상태에서의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FIG. 22 is a front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n a state where the cooling device in the second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 20 is inclined. FIG.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ign>

1 : 스터링 냉동기1: Stirring freezer

2 : 고온부2: high temperature part

3 : 저온부3: low temperature part

4 :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5 : 저온측 냉열 반송 사이클5: Low temperature side cold heat conveyance cycle

6 : 고온측 증발기6: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A, 6B : 반환형체6A, 6B: Return Form

7, 14 : 증기측 냉매 배관7, 14: steam refrigerant pipe

7A, 7B : 종관7A, 7B: Synopsis

7C : 횡관7C: Cross Pipe

8 : 고온측 응축기8: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A 내지 8F : 사행관8A to 8F: Meander

11, 13 : 응축액측 냉매 배관11, 13: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A, 11B : 종관11A, 11B: Synopsis

11Aa, 11Ba : 경사부11Aa, 11Ba: Inclined part

11C : 횡관11C: Cross Pipe

12 : 저온측 응축기12: low temperature side condenser

15 : 저온측 증발기15: low temperature side evaporator

16, 18 : 평판 팬16, 18: flat fan

17 : 드레인 접시17: drain plate

19 : 방열팬19: heat dissipation fan

20 : 냉매 응축액20: refrigerant condensate

21 : 차지 파이프21: charge pipe

50 : 냉각 장치50: cooling unit

100, 100A 내지 100I :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 100A to 100I: loop type thermo siphon

110 : 증발기110: evaporator

112 : 내주면112: inner circumference

120 : 이송관120: transfer pipe

130, 130A 내지 130I : 응축기130, 130A to 130I: condenser

131 : 이송관측 모관131: transfer observation mother pipe

132 : 복귀관측 모관132: return observation mother tube

133 : 병행관133: Parallel

134a 내지 134e : 직진부134a to 134e: straight part

135a 내지 135d : 만곡부135a to 135d: bend

136 : 방열 핀136: heat dissipation fin

140 : 복귀관140: return tube

200 : 스터링 냉동기200: Stirring Refrigerator

202 : 압력 용기202: pressure vessel

204 : 고온부204: high temperature part

206 : 저온부206: low temperature part

250 : 지지대250 support

252 : 바닥판252: bottom plate

254a 내지 254c : 지지부254a to 254c: support

300 : 하우징300: housing

301 : 바닥면301: bottom surface

401 : 바닥면401: bottom surface

500 :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500: flow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502 : 액화된 작동 유체502: liquefied working fluid

503 : 액면503 face value

1000 : 스터링 냉각고1000: Stirring Cooler

1020 : 저온측 열반송 시스템1020: low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1023 : 냉기 덕트1023: cold air duct

1024 : 덕트1024: Duct

1025 : 송풍 팬1025 blower fan

1026 : 냉동 공간측 팬1026 refrigeration space side fan

1027 : 냉장 공간측 팬1027: refrigeration space side fan

1028 : 냉동 공간1028: freezing space

1029 : 냉장 공간 1029: refrigerated spa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1 실시 형태)(1st embodiment)

우선, 도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 및 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이 부착된 스터링 냉동기의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n this embodiment and the Stirling refrigerator with this loop type thermo siphon is demonstrated.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링 냉동기(200)는 지지대(250) 상에 적재되어, 지지대(250)의 바닥판(252)에 설치된 지지부(254a, 25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도 지지대(250) 상에 적재되어, 지지대(250)의 바닥판(252)에 설치된 지지부(254a, 254c)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대(250)에서 지지된 스터링 냉동기(200) 및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은 소정의 기기(예를 들어, 냉각고 등)의 하우징에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대(250)의 바닥판(252)은 기기 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해지도록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is mounted on the support 25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s 254a and 254b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252 of the support 250. In additio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also mounted on the support 25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s 254a and 254c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252 of the support 250.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and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supported by the support 250 are installed in a housing of a predetermined device (for example, a refrigerator). Here, the bottom plate 252 of the support 250 is install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device.

다음에, 스터링 냉동기(2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will be described.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링 냉동기(200)는 압력 용기(202)를 구비하고 있다. 압력 용기(202) 내에는 피스톤 및 디스프레서가 끼움 장착된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내에는 헬륨 등의 작동 매체에 의해 충전되어 있다. 실린더 내의 공간은 피스톤 및 디스프레서에 의해 압축실과 팽창실로 구획되어 있다. 압축실의 주위에는 고온부(204)가 설치되어 있고, 팽창실의 주위에는 저온부(206)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is provided with the pressure vessel 202. As shown in FIG. In the pressure vessel 202, a cylinder is fitted with a piston and a dispenser. The cylinder is filled with a working medium such as helium. The space in the cylinder is partitioned into a compression chamber and an expansion chamber by a piston and a dispenser. The high temperature part 204 is provided around the compression chamber, and the low temperature part 206 is provided around the expansion chamber.

실린더 내에 끼움 장착된 피스톤은 리니어 작동기에 의해 구동되어 실린더 내를 왕복 운동한다. 디스프레서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함으로써 생기는 압력 변화에 의해 실린더 내를 피스톤의 왕복 운동과 일정한 위상차를 갖고 왕복 운동한다. 이 피스톤 및 디스프레서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내에 역스터링 사이클이 실현된다. 이에 의해, 압축실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고온부(204)는 승온하고, 팽창실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저온부(206)는 극저온까지 냉각된다. The piston fitted in the cylinder is driven by a linear actuator to reciprocate in the cylinder. The dispenser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with a constant phase difference from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by the pressure change cause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and the dispenser realizes a reverse stiring cycle in the cylinder. As a result,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204 provided to surround the compression chamber is heated up, and the low temperature portion 206 provided to surround the expansion chamber is cooled to cryogenic temperatures.

다음에,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will be described.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은 증발기(110)와 응축기(130A)를 구비한다. 증발기(110)는 스터링 냉동기(200)의 고온부(204)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온부(204)에 생기는 열을 빼앗아 증발기(110) 내에 충전된 작동 유체를 증발시키는 부위이다. 응축기(130A)는 증발기(110)보다도 높은 곳에 배치되어 증발기(110)에서 증발한 작동 유체를 응축시키는 부위이다. 증발기(110)와 응축기 (130A)는 이송관(120) 및 복귀관(140)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폐쇄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에 있어서는 열원인 고온부(204)의 외형이 원통형이므로, 증발기(110)는 원호형으로 분할된 2개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ncludes an evaporator 110 and a condenser 130A. The evaporator 110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t portion 204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and is a portion to take the heat generated in the hot portion 204 to evaporate the working fluid filled in the evaporator 110. The condenser 130A is disposed above the evaporator 110 to condense the working fluid evaporated from the evaporator 110.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30A are connected by the transfer pipe 120 and the return pipe 140, and the closed circuit is comprised by these. In addition,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shown in figure, since the external shape of the high temperature part 204 which is a heat source is cylindrical, the evaporator 110 is comprised from two site | parts divided | segmented into arc shape.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응축기(130A)는 이송관측 모관(이송관측 헤더 파이프)(131)과, 복귀관측 모관(복귀관측 헤더 파이프)(132)과, 이들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을 접속하는 복수의 병행관(133)과, 병행관(133)에 접촉하여 설치된 방열 핀(136)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유닛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ndenser 130A returns the conveying observation capillary (feeding side header pipe) 131, the returning measuring capillary (returning side header pipe) 132, and these conveying viewing capillary 131. It is unitized and comprised as an assembly which consists of several parallel pipe | tube 133 which connects the observation mother pipe 132, and the heat radiation fin 136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parallel pipe | tube 133.

이송관측 모관(131)은 이송관(120)에 접속되어 도입된 작동 유체를 분류하는 분배기이다. 이에 대해 복귀관측 모관(132)은 복귀관(140)에 접속되어 분류된 작동 유체를 합류시키는 헤더이다. The conveying side capillary 131 is a distributor which connects to the conveying tube 120 and classifies the introduced working fluid. On the other hand,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a header connected to the return tube 140 to join the sorted working fluid.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병행관(133)은 제1 방향(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진부(134a 내지 134d)[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응축기(130A)에 있어서는 4단]와,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d)를 접속하는 만곡부(135a 내지 1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진부(134a 내지 134d) 각각은 평행하게 상하 방향에 적층하여 배치되어 있고, 만곡부(135a 내지 135c)는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d)의 단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즉, 응축기(130A)는 사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을 횡방향으로 병렬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복수의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d)에는 방열 핀(136)이 복수매 조립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individual parallel pipes 133 ar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condenser 130A 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ing linearly toward the first direction (arrow A direction in the drawing). 4 steps] and the curved parts 135a-135c which connect these straight parts 134a-134d.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i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urved portions 135a to 135c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That is, 130 A of condensers have the structure which parallelly arranged parallel pipe | tube 133 which consists of meandering pipe | tub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6 are assembled to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증발기(110) 내에 있어서 스터링 냉동기(200)의 고온부(204)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한 작동 유체는 증발기(110)와 응축기(130A)의 증기 압력차에 의해 중력에 저항하여 상승하고, 이송관(120)을 통해 응축기(130A)로 도입된다. 응축기(130A) 내에서 냉각되어 응축한 작동 유체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복귀관(140)을 통해 증발기(110)로 도입된다. 이상과 같은 상 변화를 수반하는 작동 유체의 대류 작용에 의해, 스터링 냉동기(200)의 고온부(204)에서 생기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evaporator 110, the working fluid that has evaporated by taking heat from the hot portion 204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and rises in response to gravity due to the vapo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ndenser 130A,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ipe ( 120 is introduced into condenser 130A. The working fluid cooled and condensed in the condenser 130A drops by gravity and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110 through the return pipe 140. By the convection action of the working fluid accompanying a phase change a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204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to the outside.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응축기(130A)의 설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denser 130A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응축기(130A)는 냉각고 등의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복귀관측 모관(132)이 위치하는 쪽의 응축기(130A)의 단부가 복귀관측 모관(132)이 위치하지 않는 쪽의 단부보다도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A)의 전체가 각도(θ1)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ondenser 130A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an apparatus such as a refrigerator. It is arranged. Specifically, the end of the condenser 130A on the side where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s closer than the end on the side where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not located. The entire condenser 130A made of an assembly is disposed to be inclined by an angle θ 1 so as to be disposed at the angle.

즉,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A)의 사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d)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가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 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130A)의 전체가 각도(θ1)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한 응축기(130A)의 경사각(θ1)은,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6°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정도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응축기(130A)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지지대(250)의 지지부(254c)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도1 참조).That is, the straight portion 134d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parallel tube 133 made of the meandering tube of the condenser 130A made of the assembly is directed towar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The entire condenser 130A is inclined by an angle θ 1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300 is reduced. Here, the inclination angle θ 1 of the condenser 130A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 and 6 ° or less, more preferably about 3 °. 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condenser 130A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n this way, for example, it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54c of the support 250 (FIG. 1). Reference).

이와 같이, 응축기(130A)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각도(θ1)만큼 경사지게 하여 배치한 경우에는 하우징(300)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이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As such, when the condenser 130A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by an angle θ 1 , the condenser 130A is stably interposed between the loop type thermostats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300. The phone 100A is operated. The reason is explained below.

우선, 수평인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이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응축기(130A)는 미리 각도(θ1)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면에 대해서도 각도(θ1)만큼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First, consider a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In this case, since the condenser 130A is inclined by the angle θ 1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the condenser 130A is inclined by the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응축기(130A)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이로 인해, 직진부(134d) 내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져 배치된 직진부(134d)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여 병행관(133)으로부터 유출한다. 이 결과, 병행관(133) 내에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일은 없다. 이로 인해, 작동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실 현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동작이 실현된다.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parallel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A is liquefied by condensation at the straight portion 134d located mainly at the bottom. For this reason, the working fluid liquefied in the straight part 134d flows towar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in the straight part 134d disposed inclined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flows out from the parallel pipe 133. As a result, the working fluid does not stay in the parallel pipe 133.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and stabl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realized.

다음에, 수평인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이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4개의 경우로 나누어 고려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is divided into four cases.

제1 경우로서, 도3b 중의 화살표 B방향으로 기기의 하우징(300)이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설치 후의 응축기(130A)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θ1)보다도 더 큰 각도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As a first case, consider the case where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s inclined and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3B. In this case, the condenser 130A after installation is disposed in an inclined state larger than the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30A)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되므로, 직진부(134d) 내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져 배치된 직진부(134d)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고, 병행관(133)으로부터 유출한다. 이로 인해, 병행관(133) 내에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작동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실현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parallel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A is mainly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positioned at the bottom, so that the working flui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is The inside of the straight part 134d inclined by the action of gravity flows toward the returning-viewing capillary 132 side and flows out from the parallel pipe 133. For this reason, the working fluid does not stay in the parallel conduit 133.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and stabl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realized.

그러나, 임의의 소정 각도 이상으로 경사져 응축기(130A)가 설치되게 되었던 경우에는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따라서 병행관(133)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뿐만아니라, 이 최하단의 직진부(134d) 상에 위치하는 직진부(134c)에 있어서도 작동 유체가 응축하여 액화되는 현상이 드물게 발생한다. 이 경우, 직진부(134c)의 만곡부(135b) 근방에 있어서 응축한 작동 유체가 체류하여 병행관(133)을 폐색시키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임계각은 응축기(130A)의 설계 치수 등에 따라서 다소 다르지만, 대강 6°정도인 것이 발명자에 의해 확 인되고 있다. However, when the condenser 130A is installed at an angl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bottom straight portion 134d as well as the straight portion 134d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arallel pipe 133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or the like. Even in the straight portion 134c located on the top face), a phenomenon in which the working fluid condenses and liquefies rarely occurs. In this case, the case where the working fluid which condensed in the vicinity of the curved part 135b of the straight part 134c stays and closes the parallel pipe 133 is also considered. The critical angle at which such a phenomenon occurs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condenser 130A and the like, but it is confirmed by the inventors to be approximately 6 °.

그러나, 통상, 기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3°이상 경사져 있는 것은 고려하기 어렵고, 또한 수평인 바닥면에 대해 기기의 하우징이 3°이상 경사져 설치되는 것도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축기(130A)의 바닥면(301)에 대한 경사각(θ1)을 3°정도로 설정해 두면 이와 같은 사태에 빠지는 것은 거의 전무라고 판단해도 좋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However,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device is installed is inclined by 3 ° or more, and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housing of the device is installed inclined by 3 ° or mo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loor surface. If the inclination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is set to about 3 °, it may be judged that almost no situation falls in such a situation. Therefore, in most cases, the operation of the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realized.

제2 경우로서, 도3b 중 화살표 C방향으로 기기의 하우징(300)이 각도(α1)(단, α1 < θ1)만큼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기의 하우징(300)이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 후의 응축기(130A)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θ1 - α1)만큼 경사져 배치되게 된다. As a second case, consider a case in which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s inclined by an angle α 1 (where α 11 ) in the arrow C direction in FIG. 3B. When the housing 300 of the apparatus is installed in such a state, the condenser 130A after the installa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by an angle θ 11 .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30A)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그러나,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축기(130A)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θ1 - α1)만큼 경사져 있으므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는 직진부(134d)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고, 평행관(133)으로부터 유출한다. 이로 인해, 작동 유체가 병행관(133) 내에 체류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작동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실현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 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parallel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A is liquefied by condensation at the straight portion 134d mainly located at the lowest end. However, as shown in Fig. 4, since the condenser 130A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θ 11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working flui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is the straight portion 134d. The inside flows toward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pipe 132 side and flows out from the parallel pipe 133. For this reason, the working fluid does not stay in the parallel tube 133.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and stabl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realized.

제3 경우로서, 도3b 중 화살표 C방향에 기기의 하우징(300)이 각도(α2)(단, α2 = θ1)만큼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기의 하우징(300)이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 후의 응축기(130A)는 수평으로 배치되게 된다.As a third case, consider the case where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s inclined by an angle α 2 (where α 2 = θ 1 ) in the arrow C direction in FIG. 3B. When the housing 300 of the apparatus is installed in such a state, the condenser 130A after installation is arranged horizontally.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30A)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이 경우,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병행관(133) 내에 생기는 작동 유체의 대류 작용에 의해 액화된 작동 유체는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고, 병행관(133)으로부터 유출한다. 이로 인해, 병행관(133) 내에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작동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실현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동작이 실현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parallel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A is liquefied by condensation at the straight portion 134d mainly located at the lowest end. In this case, since the straight portion 134d located at the bottom end is disposed horizontally, the working fluid liquefied by the convection action of the working fluid generated in the parallel pipe 133 flows towar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It flows out from the parallel tube 133. For this reason, the working fluid does not stay in the parallel conduit 133.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and stabl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realized.

제4 경우로서, 도3b 중 화살표 C방향에 기기의 하우징(300)이 각도(α3)(단, α3 > θ1)만큼 경사져 설치된 경우를 고려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기의 하우징(300)이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 후의 응축기(130A)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α3 - θ1)만큼 경사져 배치되게 된다. As a fourth case, consider a case in which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s inclined by an angle α 3 (where α 3 > θ 1 ) in the arrow C direction in FIG. 3B. In the case where the housing 300 of the apparatus is installed in such a state, the condenser 130A after the installation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by an angle α 3 θ 1 .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130A)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이로 인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진부(134d) 내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져 배치된 직진부(134d)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과는 반대측을 향해 유동한다. 이 결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의 만곡부(135c)측에 액화된 작동 유체(502)가 체류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parallel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A is liquefied by condensation at the straight portion 134d mainly located at the lowest end.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5, the working flui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faces the side opposite to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disposed inclined by the action of gravity. Flow. As a result, the liquefied working fluid 502 stays on the curved portion 135c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134d located at the lowest end.

그러나, 미리 응축기(130A)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져 배치하고 있으므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응축기(130A)를 평행하게 배치한 경우보다도 병행관(133) 내에서 체류한 작동 유체(502)의 액면(503)이 병행관(133)을 폐색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즉,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와 만곡부(135c)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병행관(133)의 상부(도5 중 D점)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와 복귀관측 모관(132)과의 접속부의 하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한, 역류하여 체류한 작동 유체(502)에 의해 병행관(133)이 폐색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작동 유체의 유동이 저해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작동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실현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condenser 130A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n advance, the condenser 130A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than in the case where the condenser 130A is arranged in parallel. The possibility that the liquid level 503 of the working fluid 502 staying in 133 closes the parallel tube 133 becomes low.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upper part (D point in FIG. 5) of the parallel pipe 133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raight part 134d located in the lowest end, and the curved part 135c is located in the lowest end. As long as it is located above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of 134d and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pipe 132, the parallel pipe 133 is not occluded by the working fluid 502 which flowed back and stayed. As a result,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not inhibited, and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단, 응축기(130A)가 더 경사져 배치되게 된 경우[즉,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와 만곡부(135c)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병행관(133)의 상부(도5 중 D점)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와 복귀관측 모관(132)과의 접속부의 하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게 되었던 경우]에는 병행관(133)이 액화된 작동 유체에 의해 폐색되므로, 작동 유체의 유동이 저해되게 된다. 그러나, 통상 수평인 바닥면에 대해 기기의 하우징이 3°이상 경사져 설치되는 것도 고려하기 어렵고, 응축기(130A)의 바닥면(301)에 대한 경사각(θ1)을 3°정도로 설정해 두면 이와 같은 사태에 빠 지는 것은 거의 전무라고 간주해도 좋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However, when the condenser 130A is arranged to be inclined further (that is, the upper portion (the point D in Fig. 5) of the parallel pipe 133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raight portion 134d and the curved portion 135c positioned at the bottom end) When the parallel tube 133 is closed by the liquefied working fluid whe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raight portion 134d and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located at the lower end is closed],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Will be inhibi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at the housing of the device is inclined more than 3 ° with respect to the generally horizontal bottom surface, and this situation is set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condenser 130A is set to about 3 °. Falling in can be considered almost nothing. Therefore, in most cases, the operation of the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s realized.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수평인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이 경사져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본래 경사져 있는 바닥면에 대해 하우징이 평행하게 설치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although the case where the housing wa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was demonstrated and demonstrated, it is the same also when the housing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inclined bottom surface.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미리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를 소정 방향에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배치시켜 둠으로써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이 생기지 않게 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이 결과, 예기하지 않은 동작 불량에 의한 스터링 냉동기의 파손이 회피되게 되는 동시에,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부를 안정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효율 운전이 실현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condenser composed of the granules in a predetermined ang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op type thermo siphon caused by the installation state does not occur, and thus the stable loop type thermostat is generated. The operation of the siphon is realiz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Stirling freezer due to unexpected operation failure can be avoided, and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Stirling freezer can be cooled stably, thereby achieving high efficiency operation of the Stirling freezer.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B)은,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B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a stirling refrigerato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B)의 응축기(130B)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의 응축기(130A)와 마찬가지로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과, 이들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을 접속하는 복수의 병행관 (133)과, 병행관(133)에 접촉하여 설치된 방열 핀(136)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유닛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6A and 6B, the condenser 130B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B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ndenser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Similarly to 130A, a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and a parallel pipe (13) for connecting the transfer pipe 131, the return pipe 132, the transfer pipe 131 and the return pipe 132 are connected. It is unitized and comprised as an assembly which consists of the heat radiation fins 136 provided in contact with 133.

복귀관측 모관(132)은 병행관(133)의 직진부의 연장 방향인 제1 방향(도면 중 화살표 A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 중 화살표 E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복귀관(140)은 이 일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복귀관측 모관(132)의 한쪽 단부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tube 132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arrow E direction in the figure) that intersects with the first direction (arrow A direction in the figure), which i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rallel tube 133. The return pipe 140 is connected in the vicinity of one end of the return pipe cap 132 extending toward this one direction.

응축기(130B)는 냉각고 등의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복귀관(140)이 접속된 한쪽 단부가 이 한쪽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인 다른 쪽 단부보다도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B)의 전체가 각도(θ2)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The condenser 130B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apparatus, such as a refrigerator. Specifically, the condenser 130B which consists of an assembly so that the one end which the return pipe 140 is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s located in a position closer than the other end which is an end on the opposite side to this one end. The whole of) is arrange | positioned inclined by the angle (theta) 2 .

즉,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130A)의 복귀관측 모관(132)이, 복귀관(140)이 접속된 한쪽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130B)의 전체가 각도(θ2)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한 응축기(130B)의 경사각(θ2)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도 내지 수십도 정도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응축기(130B)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지지대(250)의 지지부(254c)의 상단부의 형상을 조 절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도1 참조). That is, as the return-side capillary tube 132 of the condenser 130A made of the assembly faces the one end side from the other end side position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end to which the return tube 140 is connected, the housing ( The entire condenser 130B is inclined by an angle θ 2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300 is reduced. Here,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condenser 130B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several degrees to several tens of degrees. 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condenser 130B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n this way, it can implement | achieve by adjusting the shape of the upper end part of the support part 254c of the support stand 250, for example. (See Figure 1).

이와 같이, 응축기(130B)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각도(θ2)만큼 경사지게 하여 배치하고,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작은 쪽의 복귀관측 모관(132)의 단부에 복귀관(140)을 접속함으로써, 하우징(300)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B)이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In this way, the condenser 130B is disposed to be inclined by an angle θ 2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and the return observation of the side with the smaller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By connecting the return pipe 140 to the end of the mother pipe 132,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B operates stably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300. The reason is explained below.

복수의 병행관(133) 내에서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는 각각의 병행관(133)으로부터 복귀관측 모관(132)으로 유입하여 합류한다. 복귀관측 모관(132)에서 합류한 작동 유체는 복귀관(140)을 거쳐서 증발기(110)로 도입된다.The working fluid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133 flows into and returns from each of the parallel tubes 133 to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The working fluid joined from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110 via the return tube 140.

여기서, 복귀관측 모관(132)이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하우징(300)의 바닥면에 대한 설치 상태나 바닥면의 경사 등에 의해 복귀관측 모관(132)이 수평에 배치된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종래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에 있어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관(140)을 각 병행관(133)과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는 복귀관측 모관(132)의 중앙부에 접속하는 구성을 취하여 작동 유체의 유동이 저해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Here, when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may be caused by the installation state or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00. ) Is not limited to being arranged horizontally.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loop type thermo siphon, as shown in FIG. 17, the return pipe 140 is connect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each parallel pipe 133. It was designed so that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was not inhibited.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실제로 복귀관측 모관(132)이 경사져 배치된 경우에 복귀관측 모관(132)과 복귀관(140)의 접속 개소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는 복귀관측 모관(132) 내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의 유동이 복귀관측 모관(132)과 복귀관(140)과의 접속 개소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복귀관측 모관(132) 내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의 유동에 비해 현저히 저해되므로, 결과적으로 복수의 병행관(133) 내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의 유동 저항에 각각 차가 생겨 효율이 좋은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지 않았다.However, in the case of adopting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actually inclined and disposed,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located in a lower position tha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and the return pipe 140. As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in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and the return pipe 140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in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return pipe 140 is connected, the plurality The difference in the flow resistance of the working fluid in the parallel conduit 133 causes th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with good efficiency.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B)에 있어서는 미리 복귀관측 모관(132)을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배치하고, 보다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작은 쪽의 복귀관측 모관(132)의 단부에 복귀관(140)을 접속함으로써 작동 유체의 원활한 유동이 실현되고 있다. 이 결과,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이 생기지 않아,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n advance, and the bottom surface 301 and The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by connecting the return pipe 140 to the end of the return pipe cap 132 having the smaller distance. As a result, an operation failur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does not occur, and stable opera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s realized.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C)은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C in this embodiment is used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a stirling refrigerator similarly to the 1st or 2nd embodiment mention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 or 2nd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7a 및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C)의 응축기(130C)는 상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 100B)의 응축기(130A, 130B)와 마찬가지로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과, 이들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을 접속하는 복수의 병행관(133)과, 병행관(133)에 접촉하여 설치된 방열 핀(136)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체로서 유닛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condenser 130C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C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in the above-described first or second embodiment. Similarly to the condenser 130A, 130B of 100B, a plurality of parallel pipes connecting the conveying-side capillary 131, the return-side capillary 132, and the transfer-side capillary 131 and the return-side capillary 132 ( 133 and a heat dissipation fin 136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parallel tube 133 are unitized and configur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C)의 응축기(130C)는 사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d)가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130A)의 전체가 각도(θ1)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C)에 있어서는 복귀관측 모관(132)이 복귀관(140)이 접속된 한쪽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한쪽 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130B)의 전체가 각도(θ2)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In the condenser 130C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parallel tube 133 made of meandering tubes face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The entire condenser 130A is inclined by an angle θ 1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300 is reduced. In addition,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s located at the one end side from the other end side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ne end to which the return pipe 140 is connected. The entire condenser 130B is inclined by an angle θ 2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decreases.

이상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의 양립이 실현되게 된다. 이 결과, 설치 상태에 기인하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 불량의 발생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게 되고, 스터링 냉동기의 고효율 운전이 실현되게 된다. By setting it as the above structure, both the effects of the above-mentioned 1st and 2nd embodiment are realiz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due to the installation state. As a result,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operation is realized, and high efficiency operation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is realized.

(제4 실시 형태)(4th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D)은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 thru | or 3rd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 (100D)의 응축기(130D)에서는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제1 방향(도면 중 화살표 A방향)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진부(134a 내지 134e)와,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e)를 접속하는 만곡부(135a 내지 135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진부(134a 내지 134e)의 각각은 평행하게 상하 방향에 적층하여 배치되어 있고[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응축기(130D)에서는 5단], 만곡부(135a 내지 135d)는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e)의 단부끼리 연결되어 있다. 즉, 응축기(130D)는 사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을 횡방향에 병렬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이 복수의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e)에는 방열 핀(136)이 복수매 조립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condenser 130D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133 faces toward the first direction (arrow A direction in the figure). It consists of the straight parts 134a-134e extended linearly, and the curved parts 135a-135d which connect these straight parts 134a-134e.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e i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five stages in the condenser 130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urved portions 135a to 135d are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e. ) Ends are connected. That is, the condenser 130D has the structure which the parallel pipe | tube 133 which consists of meandering pipe | tube wa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parallel.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6 are assembled to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e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이와 같이, 사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을 홀수단 갖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응축기를 채용한 경우에는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이 응축기의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또는 제3 실시 형태의 경우와는 달리, 응축기(130D)의 후방부측이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응축기(130D)를 경사지게 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사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e)가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응축기(130D)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설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지지대(250)의 지지부(254c)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도1 참조).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employing a condenser composed of an assembly having a parallel conduit 133 formed of a meandering tube, the conveying side capillary 131 and the returning side capillary 132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opposite ends of the condenser. For this reason, unlike the case of 1st or 3rd embodiment mentioned above, condenser 130D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condenser 130D may be arrange | positioned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an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arrange at an angle. By arranging in this way,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decreases as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e of the parallel pipe 133 made of the meandering pipe face toward the returning observation mother pipe 132 side. It is arranged to be inclined to. 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condenser 130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n this way, for example, it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254c of the support 250 (FIG. 1). Reference).

이와 같이, 병행관(133)이 홀수단 적층된 응축기에 있어서도 응축기 전체를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각도(θ1)만큼 경사지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하우징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In this way, even in the condenser in which the parallel tube 133 is stacked, the entire condenser is inclined by an angle θ 1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roof thermostat is stable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The operation of the phone is realized.

(제5 실시 형태).(5th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E)은,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4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E)의 응축기(130E)에 있어서는,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 평행한 방향인 제1 방향(도면 중 화살표 A방향)을 향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진부(134a 내지 134c)와, 최하단에 위치하여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된 직진부(134d)와,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d)를 접속하는 만곡부(135a 내지 1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진부(134a 내지 134d)의 각각은 만곡부(135a 내지 135c)에 의해 그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이 복수의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d)에는 방열 핀(136)이 복수매 조립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condenser 130E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E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133 is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apparatus.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c extending linearly toward the first direction (the arrow A direction in the drawing) which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face, an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t consists of the straight part 134d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built, and the curved part 135a-135c which connects these straight part 134a-134d. The ends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urved portions 135a to 135c.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6 are assembled to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여기서, 응축기(130E)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는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우징(300)의 바닥면(301)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 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즉,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는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각도(θ3)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Here, the straight portion 134d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ondenser 130E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decreases as it faces toward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 That is, the straight part 134d located in the lowest end is disposed inclined by the angle θ 3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응축기(130E)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이로 인해, 직진부(134d) 내에서 액화된 작동 유체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져 배치된 직진부(134d)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고, 병행관(133)으로부터 유출한다. 이로 인해, 병행관(133) 내에 액화된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미리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만을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여 배치해 둠으로써 하우징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원활한 작동 유체의 유동이 실현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E)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E is mainly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located at the lowest end. For this reason, the working fluid liquefied in the straight part 134d flows toward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in the straight part 134d disposed inclined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flows out of the parallel pipe 133. . For this reason, the liquefied working fluid does not remain in the parallel tube 133. As a result, only the straight portion 134d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in advan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so that a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Thus, the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100E can be realized.

(제6 실시 형태)(6th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F)은 상술한 제1 내지 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F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to the first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 thru | or 5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F)의 응축기(130F)에 있어서는,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진부(134a 내지 134d)와, 이들 직진부(134a 내지 134d)를 접속하는 만곡부(135a 내지 135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진부(134a 내지 134e)의 각각은 만곡 부(135a 내지 135c)에 의해 그 단부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이 복수의 병행관(133)의 직진부(134a 내지 134e)에는 방열 핀(136)이 복수매 조립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in the condenser 130F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F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is a straight portion 134a to 134d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 And curved portions 135a to 135c connecting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e is connected to its ends by curved portions 135a to 135c.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6 are assembled to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e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여기서, 응축기(130E)의 각각의 직진부(134a 내지 134d)는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즉, 이송관측 모관(131)측으로부터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특히,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는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각도(θ4)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Here, each of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of the condenser 130E fac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e., the return tube cap 132 side from the feed tube cap 131 sid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In accordance with this, the device is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is reduced. In particular, the straightest part 134d located at the lowest end is disposed inclined by an angle θ 4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응축기(130E)의 병행관(133) 내를 유동하는 작동 유체는 주로 최하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d)에서 응축하여 액화된다. 그러나, 환경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최하단의 직진부(134d)보다 상단에 위치하는 직진부(134a 내지 134c)에 있어서도 작동 유체가 응축하여 액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직진부(134a 내지 134d) 내에서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경사져 배치된 직진부(134a 내지 134c)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도록 미리 각각의 직진부(134a 내지 134d)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여 배치해 둠으로써, 병행관(133) 내에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것이 회피되게 된다.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conduit 133 of the condenser 130E is mainly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 134d located at the lowest end. However, the working fluid may be condensed and liquefied also in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c positioned above the straight portion 134d at the lowermost level due to a change in environmental temperature. For this reason, each of the working fluids condensed and liquefied in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flows in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c disposed inclined by the action of gravity toward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in advance. By arranging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working fluid is prevented from remaining in the parallel pipe 133.

이와 같이, 미리 직진부(134a 내지 134d)를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여 배치해 둠으로써, 하우징(300)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원활한 작동 유체의 유동이 실현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F)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Thus, by arranging the straight portions 134a to 134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in advance, a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300 This is realized, and as a result, the operation of the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100F is realized.

(제7 실시 형태)(Seventh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G)은 상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G in this embodiment is used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a stirling refrigerator similarly to the 1st-6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 thru | or 6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G)의 응축기(130G)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측 모관(131)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귀관측 모관(132)과, 이들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을 접속하는 복수의 병행관(133)을 갖는다.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행관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복수의 직행관이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적층되어 응축기(130G)가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병행관(133)에는 방열 핀(136)이 복수매 조립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응축기(130G)에 있어서는 이송관측 모관(131)의 연장 방향과 각각의 병행관(133)의 연장 방향이 직교하고 또한 복귀관측 모관(132)의 연장 방향과 각각의 병행관(133)의 연장 방향이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2, in the condenser 130G of the loop-type thermo siphon 100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urn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imilar to the conveying tube capillary 1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ther pipe 132 and a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which connect these transfer pipes 131 and the return pipes 132 are provided.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133 consists of a straight tub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are stack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condenser 130G.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6 are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In addition, in the condenser 130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side capillary 131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each parallel tube 13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turning-side capillary 132 and the parallel direction of each of the parallel tubes 133. It is comprised so that extension direction may orthogonally cross.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G)에 있어서는 응축기(130G)의 각각의 병행관(133)이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즉, 이송관측 모관(131)측으로부터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130G)의 전체가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각도(θ5)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Here, in the loop-type thermo siphon 100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allel pipes 133 of the condenser 130G are each downstream from the upstream side (i.e., the transfer tube mother pip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The entire condenser 130G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appliance decreases from the side of the (131) to the returning observation capillary 132 sid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clined by the angle (theta) 5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30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병행관(133) 내에서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병행관(133)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도록 미리 응축기(130G) 전체를 경사지게 하여 배치해 둠으로써, 병행관(133) 내에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것이 회피되게 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300)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원활한 작동 유체의 유동이 실현되게 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G)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In this way, the entire condenser 130G is inclined in advance so that the working fluid condensed and condensed in the parallel tube 133 flows in the parallel tube 133 toward the returning-side capillary 132 side by the action of gravity. By doing so, the retention of the working fluid in the parallel conduit 133 is avoided.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300, so that the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100G can be realiz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응축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한 경우에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는 병행관인 직행관은 수평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응축기의 각각의 병행관이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즉, 이송관측 모관측으로부터 복귀관측 모관측)을 향함에 따라서 기기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의 전체를 기기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고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illustration of the condenser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conveyance side capillary and a return side capillary may extend in an up-down direction was demonstrated,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a conveyance side capillary and a return side capillary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arrangement, the straight pipe, which is a parallel pipe connecting the transfer pipe and the return pip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Even in this case,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device is increased as each parallel tube of the condenser is direct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e., from the transfer side mother tube side to the return side mother tube sid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By arranging the entire condenser inclined by a fix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device so as to be inclined in the decreasing direction, a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can be realized.

또한,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는 병행관은 반드시 일열로 배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병행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병행관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parallel pipe | tube which connects a conveyance observation mother pipe and a return observation mother pip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rrange | positioned in a row. For example, the parallel tubes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rallel tubes.

(제8 실시 형태)(8th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H)은 상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중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H in this embodiment is used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a stirling refrigerator similarly to the 1st-7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in drawing about the same part as 1st thru | or 7t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H)의 응축기(130H)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송관측 모관(131)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귀관측 모관(132)과, 이들 이송관측 모관(131)과 복귀관측 모관(132)을 접속하는 복수의 병행관(133)을 갖는다. 복수의 병행관(133)의 각각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행관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복수의 직행관이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적층되어 응축기(130H)가 구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병행관(133)에는 방열 핀(136)이 복수매 조립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H)에 있어서는 이송관측 모관(131) 및 복귀관측 모관(132)의 연장 방향이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의 법선 방향과 중첩되도록 이송관측 모관(131) 및 복귀관측 모관(132)이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3, in the condenser 130H of the loop-type thermo siphon 100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urn tub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imilar to the conveying tube capillary 1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ther pipe 132 and a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which connect these transfer pipes 131 and the return pipes 132 are provided. Each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133 consists of a straight tub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The plurality of parallel tubes are stacked in parallel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condenser 130H.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36 are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parallel pipes 133. In addition,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ransfer tube 131 and the return tube 132 is the normal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The transport observation capillary 131 and the return observation capillary 132 ar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G)에 있어서는 응축기(130G)의 직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의 각각이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즉, 이송관측 모관(131)측으로부터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함에 따라서,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한 거리가 줄 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직행관으로 이루어지는 병행관(133)이 기기의 하우징(300)의 바닥면(301)에 대해 각도(θ6)만큼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Here, in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arallel pipes 133 made up of the straight pipes of the condenser 130G is downstream from the upstream side (that i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And a straight pipe so as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decreases as it is directed from the feed tube side tube 131 side to the return tube side tube 132 side. The parallel tube 133 is disposed inclined by an angle θ 6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01 of the housing 300 of the device.

이와 같이, 병행관(133) 내에서 응축하여 액화된 작동 유체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병행관(133) 내를 복귀관측 모관(132)측을 향해 유동하도록 미리 병행관(133)을 경사지게 하여 배치해 둠으로써, 병행관(133) 내에 작동 유체가 체류되는 것이 회피되게 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300)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원활한 작동 유체의 유동이 실현되게 되어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G)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As such, the condensed working fluid condensed in the parallel pipe 133 is inclined in parallel to the parallel pipe 133 so that the inside of the parallel pipe 133 flows toward the return-side capillary 132 side by the action of gravity. By doing so, the retention of the working fluid in the parallel conduit 133 is avoided. As a result, smooth flow of the working fluid is realiz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300, so that the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100G can be realiz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응축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한 경우에는,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는 병행관인 직행관은 수평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응축기 각각의 병행관이 작동 유체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즉, 이송관측 모관측으로부터 복귀관측 모관측)을 향함에 따라서, 기기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져 배치되도록 응축기의 전체를 기기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배치함으로써 안정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의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is embodiment demonstrated and demonstrated the condenser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conveying-side capillary and returning-side capillary may extend to an up-down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 position so that a conveying-side capillary and a returning-side capillary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arrange | positioned in this way, the straight pipe | tube which is a parallel pipe | tube which connects a feed pipe | tube with a return pipe | tube and a return pipe | tube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to a horizontal direction. Even in this case, the distan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device is increased as the conduit of each condenser is direct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e., from the transport side mother tube side to the return side mother tube sid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working fluid. By arranging the entire condenser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device so as to be inclined in the decreasing direction, a stable loop type thermo siphon can be realized.

또한, 이송관측 모관과 복귀관측 모관을 접속하는 병행관은 반드시 일렬로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병행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병행관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parallel pipe | tube which connects a conveyance observation mother pipe and a return observation mother pipe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rrange | positioned in a line. For example, the parallel tubes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rallel tubes.

(제9 실시 형태)(Ninth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터링 냉각고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제1 내지 제8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탑재하고 있다. The sterling refrigerator in this embodiment i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a sterling refrigerator installed inside a housing, and is equipped with the loop type thermo siph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터링 냉각고(1000)는 냉각 공간으로서 냉동 공간(1028)과 냉장 공간(1029)을 구비한다. 스터링 냉각고(1000)는 스터링 냉동기(200)의 고온부(204)의 냉각을 행하는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으로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터링 냉동기(200)의 저온부(206)에 발생하는 극저온은 저온측 열반송 시스템(1020)(도14 중 파선 부분 참조)에 의해 고내의 냉각에 이용된다. 이 저온측의 열반송 시스템으로서는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루프형 서모 사이폰에 의해 구성해도 좋고, 강제 대류형의 열반송 시스템으로 해도 좋다. As shown in Fig. 14, the stirling refrigerator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eezing space 1028 and a refrigerating space 1029 as a cooling space. The Stirling Refrigerator 1000 is provided with a loop type thermo siphon 100 a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for cooling the high temperature section 204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In addition, the cryogenic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low temperature portion 206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is used for cooling in the refrigerator by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1020 (see the broken line in FIG. 14).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may be constituted by a loop type thermo siphon similarly to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r may be a forced convection type heat transfer system.

여기서,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인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은 스터링 냉동기(200)의 고온부(204)의 주위에 접촉하여 부착된 증발기(110)와, 이송관 및 복귀관에 의해 상기 증발기(110)와 접속된 응축기(130)로 구성된다. 이 증발기(110), 응축기(130), 이송관(120) 및 복귀관(140)으로 이루어지는 순환 회로 내에는, 예를 들어 에탄올이 첨가된 물 등이 냉매로서 봉입된다. 그리고, 냉매의 증발과 응축에 의한 자연 대류를 이용하여 고온부(204)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응축기 (130)가 증발기(110)보다 상방(높은 곳)에 배치되어 있다. Here,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 which i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hot part 204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and is attached to the evaporator 110 by the transfer pipe and the return pipe. And a condenser 130 connected with the 110. In the circulation circuit which consists of this evaporator 110, the condenser 130, the conveyance pipe 120, and the return pipe | tube 140, the water etc. which ethanol was added to, for example, is enclosed as a refrigerant | coolant. In addition, the condenser 130 is disposed above (higher) than the evaporator 110 so that heat generated in the hot portion 204 can be transferred using natural convection caused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링 냉동기(200)는 스터링 냉각고(1000)의 배면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저온측 열반송 시스템(1020)은 스터링 냉각고(1000)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이에 대해,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인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은 스터링 냉각고(10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의 응축기(130)는 스터링 냉각고(1000)의 상부에 설치된 덕트(1024)에 내설된다. As shown in FIG. 14, the Stirling Refrigerator 200 is disposed above the rear surface of the Stirring Refrigerator 1000. Further, the low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1020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stir refrigerator 1000. In contrast,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 which is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is disposed above the stir refrigerator 1000. In addition, the condenser 130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 is installed in the duct 1024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ir refrigerator 1000.

스터링 냉동기(200)를 동작시키면, 고온부(204)에서 발생한 열이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의 응축기(130)를 거쳐서 덕트(1024) 내의 공기와 열교환된다. 이때, 송풍 팬(1025)에 의해 덕트(1024) 내의 따뜻한 공기가 스터링 냉각고(1000)의 고밖으로 배출되는 동시에, 스터링 냉각고(1000)의 고밖의 공기가 취입되어 열교환이 촉진된다.When the sterling refrigerator 200 is operated, heat generated in the hot portion 204 is heat-exchanged with air in the duct 1024 via the condenser 130 of the loop type thermo siphon 100. At this time, the warm air in the duct 102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000 by the blower fan 1025, and the outside air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000 is blown in to promote heat exchange.

한편, 저온부(206)에서 발생한 극저온은 냉기 덕트(1023) 내의 기류(도14 중 화살표)와 열교환된다. 이때, 냉동 공간측 팬(1026) 및 냉장 공간측 팬(1027)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각각 냉동 공간(1028) 및 냉장 공간(1029)으로 송풍된다. 각 냉각 공간(1028, 1029)으로부터의 따뜻해진 기류는 다시 냉기 덕트(1023)로 도입되고, 반복해서 냉각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ryogenic temperature generated in the low temperature portion 206 is heat-exchanged with the air flow (arrow in Fig. 14) in the cold air duct 1023. At this time, the cold air cooled by the freezing space side fan 1026 and the refrigerating space side fan 1027 is blown into the freezing space 1028 and the refrigerating space 1029, respectively. The warmed air flow from each of the cooling spaces 1028 and 1029 is again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duct 1023 and is repeatedly cooled.

상기한 스터링 냉각고(100O)에 탑재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F), 상술한 제1 내지 제8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루프형 서모 사이폰(100A 내지 100H) 이므로, 스터링 냉각고(1000)의 하우징의 설치 상태의 여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이로 인해, 스터링 냉동기(200)를 고효율로 운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 므로, 스터링 냉각고(1000)의 성능도 향상되게 된다.Stirring cooler (100F) mounted in the stirling refrigerator 100O described above, and loop type thermo siphon (100A to 100H)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operates stably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using of 10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terling refrigerator 200 with high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terling refrigerator 1000.

(제10 실시 형태)(10th embodiment)

본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는 상술한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와 대부분에 있어서 공통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제2 종래예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The cooling apparatus in this ten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common to most of the cooling apparatus in the second conventional example described above. For this reas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s the cooling apparatus in 2nd prior art example,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here.

도15, 도16a 및 도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는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의 종관(11A, 11B)의 상단부를 횡관(11C)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종관(11A, 11B)의 하단부는 제2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반환형체(6A, 6B)의 외주면 상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종관(11A, 11B)이 접속되는 상하의 접속구가 수평 방향에서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종관(11A, 11B)에는 하향 구배를 갖는 경사부(11Aa, 11Ba)(도16a 참조)를 구비한 굴곡관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냉각 장치(50)(도20 참조)가 다소 경사져도 횡관(11C)의 단부 중 어느 하나가 횡관(11C) 전체에서 가장 낮아지므로, 입구가 낮은 쪽의 종관을 타고 흘러 내려 횡관(11C) 내에 냉매 응축액이 고이는 일이 없다. As shown in Fig. 15, Fig. 16A and Fig. 16B, in the coo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of the transverse pipe 11C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pipes 11A and 11B of the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connected to the edge part, respectively. Lower ends of the longitudinal pipes 11A and 11B are connected to upper end por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turn bodies 6A and 6B, respectively, as in the second conventional example.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s to which the vertical pipes 11A and 11B are connected do not coinc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bent pipe provided with the inclination part 11Aa, 11Ba (refer FIG. 16A) which has a downward gradient for longitudinal pipe | tube 11A, 11B is used. Thereby, even if the cooling device 50 (refer FIG. 20) is inclined a little, any one of the edge parts of the horizontal pipe 11C will become lowest in the whole horizontal pipe 11C, and it flows down through the longitudinal pipe of the lower inlet, and the horizontal pipe 11C ), The refrigerant condensate does not accumulate.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설치 장소의 경사는 수평을 포함하여 5°이내로 되어 있으므로, 냉각 장치(50)의 수평시를 기준으로 한 상기 종관 경사부(11Aa, 11Ba)의 하향 구배(α)(도16a 참조)를 5°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냉각 장치(50)가 최악인 5°경사져도 종관 경사부(11Aa, 11Ba)의 하향 구배는 유지되어, 서모 사이폰이 기능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정적으로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다. In general,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refrigerator is within 5 ° including the horizontal, the downward gradient α of the longitudinal inclination portions 11Aa and 11Ba based on the horizontal time of the cooling device 50 (Fig. 16A). By setting 5 ° or more), even when the cooling device 50 is inclined at the worst 5 °, the downward gradient of the longitudinal inclination portions 11Aa and 11Ba can be maintained, and the thermosiphon can be prevented from functioning. For this reason, the refrigerant can be circulated stably.

또한, 증기측 냉매 배관(11)의 횡관(11C)에는 탈기용 차지 파이프(21)를 부착하고 있다.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에 물냉매를 사용하는 경우, 물에 용존하는 불응축 가스(공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므로, 물냉매를 봉입한 후에 차지 파이프(21)를 사용하여 사이클 내부의 밀폐계를 진공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위치에 차지 파이프(21)를 부착함으로써 진공화 시의 물의 흡입 방지와 진공화의 효율 향상이 도모된다.In addition, a degassing charge pipe 21 is attached to the cross pipe 11C of the vapor-side refrigerant pipe 11. When water refrigerant is used in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non-condensable gas (air) dissolved in the water. Therefore, after the water refrigerant is filled, the charge pipe 21 is used to close the sealed system inside the cycle. It is vacuuming. By attaching the charge pipe 21 at such a high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ake of water during the vacuum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vacuum.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루프형 서모 사이폰을 스터링 냉동기의 고온측 열반송 시스템에 채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열원을 갖는 다른 디바이스에도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In the first to t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ase where the loop type thermo siphon is employed in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system of the sterling refrigerato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pplicable

또한, 상술한 제1 내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구성은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structures in above-mentioned 1st-10th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금회 개시한 상기 각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획정되고, 또한 청구의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Thus, each said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an illustration in all the points, Comprising: It is not restrictiv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equivalent to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터링 냉동기(1)와,Sterling freezer (1), 상기 스터링 냉동기(1)의 고온부(2)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을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a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4)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2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 to the outside, 상기 고온측 열반송 사이클(4)은 상기 스터링 냉동기(1)의 고온부(2)에 부착된 고온측 증발기(6)와, 상기 고온측 증발기(6)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된 고온측 응축기(8)를 구비하고, 상기 고온측 증발기(6)와 상기 고온측 응축기(8) 사이를 증기측 냉매 배관(7) 및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으로 접속하여 냉매 순환 회로가 형성되고, The high temperature side heat transfer cycle 4 includes a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ttached to the high temperature unit 2 of the Stirling refrigerator 1 and a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 refrigerant circulation circuit is formed between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nd 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by a vapor side refrigerant pipe 7 and a condensate side refrigerant pipe 11, 상기 고온측 응축기(8)는 복수의 응축관(8A 내지 8F)과 핀(18)에 의해 구성되고,The high temperature side condenser 8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ondensation tubes 8A to 8F and fins 18, 상기 응축액측 냉매 배관(11)은 상기 복수의 응축관(8A 내지 8F)의 단부가 접속되는 양단부 폐색의 횡관(11C)과, 상기 고온측 증발기(6)와 상기 횡관(11C)을 연결하는 한 쌍의 종관(11A, 11B)으로 이루어지고,As long as the condensate-side refrigerant pipe 11 connects the end pipes 11C at both ends to whic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condensation pipes 8A to 8F are connected, the high temperature side evaporator 6 and the side pipe 11C are connected. Consisting of a pair of longitudinal tubes 11A, 11B, 한쪽 상기 종관(11A)의 상단부는 상기 횡관(11C)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다른 쪽 상기 종관(11B)의 상단부는 상기 횡관(11C)의 타단부에 접속된 냉각 장치에 있어서,In the cooling device in which the upper end part of one said longitudinal pipe 11A is connected to the one end part of the said horizontal pipe 11C, and the other end part of the said longitudinal pipe 11B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part of the said horizontal pipe 11C, 한쪽 상기 종관(11A)의 상단부와 상기 횡관(11C)의 접속부는 상기 횡관(11C)에 있어서의 상기 응축관(8A 내지 8F)과의 접속부보다도 일단부측에 있어서 접속되고,The connecting part of the upper end part of one said longitudinal pipe 11A, and the said horizontal pipe 11C is connected in the one end side rather than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said condensation pipe 8A-8F in the said horizontal pipe 11C, 다른 쪽 상기 종관(11B)의 상단부와 상기 횡관(11C)의 접속부는 상기 횡관(11C)에 있어서의 상기 응축관(8A 내지 8F)의 접속부보다도 타단부측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pipe 11B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pipe 11C are connected at the other end side tha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densation pipes 8A to 8F in the horizontal pipe 11C.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종관(11A, 11B)이 하향 구배를 갖는 경사부(11Aa, 11B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longitudinal pipes (11A, 11B) are provided with inclined portions (11Aa, 11Ba) having a downward gradi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구배를 냉각 장치 수평시를 기준으로 하여 5°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장치. Th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downward gradient is set to 5 degrees or more on the basis of the cooling device horizontal time. 삭제delete
KR1020067004114A 2003-09-02 2004-08-12 Cooling appartus KR1007467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9708 2003-09-02
JP2003309708A JP2005077018A (en) 2003-09-02 2003-09-02 Loop type thermo siphon, stirling refrigerator, and assembling structure of loop type thermo siphon
JPJP-P-2004-00020679 2004-01-29
JP2004020679A JP3689761B2 (en) 2004-01-29 2004-01-29 Coo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365A KR20060061365A (en) 2006-06-07
KR100746795B1 true KR100746795B1 (en) 2007-08-06

Family

ID=3427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114A KR100746795B1 (en) 2003-09-02 2004-08-12 Cooling appartu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028626A1 (en)
EP (1) EP1669710A1 (en)
KR (1) KR100746795B1 (en)
WO (1) WO200502433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6580B2 (en) 2000-06-30 2012-03-20 Alliant Techsystems Inc. Evaporator for a heat transfer system
US8109325B2 (en) * 2000-06-30 2012-02-07 Alliant Techsystems Inc. Heat transfer system
WO2008034185A1 (en) * 2006-09-21 2008-03-27 Rheem Australia Pty Limited An inclined heat exchanger
BR112012018271B1 (en) 2010-01-21 2020-11-24 The Abell Foundation, Inc. method for connecting vertical cold water piping submerged to a floating structure and power generation structure on the high seas
US9086057B2 (en) * 2010-01-21 2015-07-21 The Abell Foundation, Inc.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cold water pipe
US8899043B2 (en) * 2010-01-21 2014-12-02 The Abell Foundation, Inc.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lant
US9618254B2 (en) * 2011-07-21 2017-04-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9151279B2 (en) 2011-08-15 2015-10-06 The Abell Foundation, Inc.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ower plant cold water pipe connection
KR101868624B1 (en) * 2011-12-21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US9117991B1 (en) 2012-02-10 2015-08-25 Flextronics Ap, Llc Use of flexible circuits incorporating a heat spreading layer and the rigidizing specific areas within such a construction by creating stiffening structures within said circuits by either folding, bending, forming or combinations thereof
US9618185B2 (en) 2012-03-08 2017-04-11 Flextronics Ap, Llc LED array for replacing flourescent tubes
KR101936224B1 (en) * 2012-04-26 201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eat exchanger
US8893513B2 (en) 2012-05-07 2014-11-25 Phononic Device, Inc.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component including protective heat spreading lid and optimal thermal interface resistance
US20130291555A1 (en) 2012-05-07 2013-11-07 Phononic Devices, Inc. Thermoelectric refrigeration system control scheme for high efficiency performance
DE102012207650A1 (en) * 2012-05-08 2013-11-14 Inficon Gmbh Removal device for a fluid
US20140003053A1 (en) * 2012-06-27 2014-01-02 Flextronics Ap, Llc Multi-facet light engine
US9366394B2 (en) * 2012-06-27 2016-06-14 Flextronics Ap, Llc Automotive LED headlight cooling system
CN104937363B (en) 2012-10-16 2017-10-20 阿贝尔基金会 Heat exchanger including manifold
TWM450187U (en) * 2012-10-25 2013-04-01 Cooling House Co Ltd Circulation type thermosyphon heat dissipation device
US9748460B2 (en) 2013-02-28 2017-08-29 Flextronics Ap, Llc LED back end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095739B1 (en) * 2013-04-24 2020-04-01 지멘스 헬스케어 리미티드 An assembly comprising a two-stage cryogenic refrigerator and associated mounting arrangement
KR101499641B1 (en) * 2014-02-27 2015-03-06 한국원자력연구원 Air-Water Combined Cooling Passive Feedwater Device and System
US10458683B2 (en) 2014-07-21 2019-10-29 Phonon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heat rejection limitations of a thermoelectric module
US9593871B2 (en) 2014-07-21 2017-03-14 Phononic De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thermoelectric module to increase efficiency
US9552025B2 (en) 2014-09-23 2017-01-24 Google Inc. Cool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448543B2 (en) 2015-05-04 2019-10-15 Google Llc Cool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462935B2 (en) 2015-06-23 2019-10-29 Google Llc Cool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349561B2 (en) 2016-04-15 2019-07-09 Google Llc Cool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US10156385B1 (en) 2017-08-15 2018-12-18 Christopher Kapsha Multistage refrigeration system
US10274221B1 (en) 2017-12-22 2019-04-30 Mitek Holdings, Inc. Heat exchanger
US11802738B2 (en) 2018-02-04 2023-10-31 Ratnesh Tiwari Water cooling system
GB201815626D0 (en) * 2018-09-25 2018-11-07 Hughes Safety Showers Ltd Water cooler
KR102406789B1 (en) * 2019-07-22 2022-06-10 가부시끼가이샤 마에가와 세이사꾸쇼 defrost system
CN112066581A (en) * 2020-09-21 2020-1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Refrigerating system and method and refrigerating equipment
CN112985132B (en) * 2021-03-05 2022-10-25 太原理工大学 Gravity heat pipe device for Stirling power generation and forced convection heat dissip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8176U (en) 1985-11-19 1987-06-05
JP2001091173A (en) * 1999-09-24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Heat conveying apparatus
JP2002168547A (en) * 2000-11-20 2002-06-14 Global Cooling Bv Cpu cooling device using siphon
JP2003050073A (en) * 2001-08-03 2003-02-21 Sharp Corp Stirling refrigeration system and stirling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3725A (en) * 1934-12-24 1937-09-21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226941A (en) * 1963-10-31 1966-01-04 Charles D Snelling Klystron cooling system assembly
JPS597363U (en) * 1982-07-07 1984-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heat exchange equipment
JPS61204177U (en) * 1985-06-10 1986-12-23
JPH0678873B2 (en) * 1985-10-14 1994-10-05 株式会社フジクラ Heat pipe manufacturing method
US5142872A (en) * 1990-04-26 1992-09-01 Forma Scientific, Inc. Laboratory freezer appliance
US5642622A (en) * 1995-08-17 1997-07-01 Sunpower, Inc. Refrigerator with interior mounted heat pump
RU2253075C2 (en) * 2000-08-25 2005-05-27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Stirling cooling plant
JP2003214750A (en) * 2002-01-23 2003-07-30 Twinbird Corp Thermosiphon
JP4033699B2 (en) * 2002-04-08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Loop thermosyphon and Stirling refrigerator
BR0202997A (en) * 2002-07-16 2004-05-25 Brasil Compressores Sa Refrige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8176U (en) 1985-11-19 1987-06-05
JP2001091173A (en) * 1999-09-24 2001-04-06 Sanyo Electric Co Ltd Heat conveying apparatus
JP2002168547A (en) * 2000-11-20 2002-06-14 Global Cooling Bv Cpu cooling device using siphon
JP2003050073A (en) * 2001-08-03 2003-02-21 Sharp Corp Stirling refrigeration system and stirling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9710A1 (en) 2006-06-14
WO2005024331A1 (en) 2005-03-17
KR20060061365A (en) 2006-06-07
US20070028626A1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795B1 (en) Cooling appartus
US6549408B2 (en) CPU cooling device using thermo-siphon
JP4524289B2 (en) Cooling system with bubble pump
US7926553B2 (en)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in particular, computers
US8773855B2 (en) Heat-dissipating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40165638A1 (en) Cool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made therewith
US20040069457A1 (en) Multi-channeled loop heat transfer device with high efficiency fins
WO2005008160A1 (en) Loop type thermo syphone, heat radiation system, heat exchange system, and stirling cooling chamber
JP5621225B2 (en) Boiling cooler
US11754344B2 (en) Boiling cooler
JP3906830B2 (en) Natural circulation cooling device and heat exchange method using natural circulation cooling device
CN219889932U (en) Heat radiating device and refrigerator
KR10111119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rmoelectric-module
JP2005077018A (en) Loop type thermo siphon, stirling refrigerator, and assembling structure of loop type thermo siphon
JP3751613B2 (en) Heat exchange system and Stirling refrigerator
CN113347856B (en) Heat radiator for electronic equipment
CN214627775U (en) Air conditioner and electric control box
CN114245665A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JP2012229897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heat exchanger
KR100605484B1 (en) Loop-type heat pipe having td-pcm cold storage module containing condenser and cooling apparatus using the heat pipe
WO2005098336A1 (en) Evaporator, themosiphon, and stirling cooling chamber
CN219415279U (en) Novel refrigerating device
JP2005156026A (en) Cooling device
US20230288078A1 (en) Cooling system with intermediate chamber
CN214581477U (en) Radiator and air condensin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