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378B1 -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378B1
KR100743378B1 KR1020027005143A KR20027005143A KR100743378B1 KR 100743378 B1 KR100743378 B1 KR 100743378B1 KR 1020027005143 A KR1020027005143 A KR 1020027005143A KR 20027005143 A KR20027005143 A KR 20027005143A KR 100743378 B1 KR100743378 B1 KR 10074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radio station
layer
protocol instance
in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425A (ko
Inventor
마르틴 한스
마르크 베크만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26357&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4337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7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30)의 두 무선국간에 데이터 단위들을 전송할 때 프로토콜 인스턴스가 오류 없이 동작하도록 보장하는 이동통신망(30)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소망의 데이터가 제 2 무선국(16)의 제 2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2)으로 전송되기 전에, 제 1 무선국(15)의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을 통해, 특히 동일한 프로토콜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로, 특히 하나의 패킷 데이터 단위로 결합되고, 네트워크 층(5)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21, 22)의 소망의 데이터들이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으로 전송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21, 2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들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를 형성하여 캐리어(45)를 통해 접속 제어 층(10)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상기 제 2 무선국(16)에 의해 수신된 구성 요구(40, 41, 42)에 따라 구성된다.
이동통신망, 제 1,2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 제 1, 2 무선국, 캐리어, 접속 제어 층.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공개 독일 특허 출원 제 1 99 44 334.3 호에, 데이터들을 제 2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으로 전송하기 전에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을 통해, 특히 동일한 프로토콜 레벨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단위로, 특히 하나의 패킷 데이터 단위로 결합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층에 있는 사용자의 데이터들이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으로 전송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독립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가 제 2 무선국에 의해 수신된 구성 요구(configuration request)에 따라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가 형성되고, 캐리어에 의해 접속 제어 층에 전송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무선국에서 그 조정 및 기능이 제 2 무선국의 대응하는 프로토콜 인스턴스의 조정 및 기능과 일치하는 프로토콜 인스턴스가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양 무선국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단위들의 전송시 프로토콜 인스턴스들의 완벽한 기능이 보장된다.
종속항들에 기재된 조치에 의해 독립항에 제시된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해진다.
구성 요구에 의해, 제 2 무선국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위한 대체 세팅들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이 미리 정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무선국은 그 자체의 성능 또는 그 자체의 서비스 범위에 따라 및/또는 이용자의 디폴트에 따라 대체 세팅들 중에서 제 1 무선 기구에 가장 바람직한 조정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무선국으로부터 동작 신호가 제 2 무선국에 전송되고, 상기 신호로 제 1 무선국에 의해 선정되고 수행되는 조정이 제 2 무선국에 통지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무선국들 사이에서 데이터 단위들의 전송시 프로토콜 인스턴스들의 완벽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제 2 무선국은 제 1 무선국에 대해 행해지는 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가 구성시 확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중의 변경 구성 또는 재구성을 위해 또한 프로토콜 인스턴스의 제거를 위해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가 할당된 캐리어의 아이덴티티에 상응하도록 정해진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토콜 인스턴스의 식별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 소자의 전송 및 전송 대역폭이 절약될 수 있다.
구성 요구를 받아들이기 전에, 제 1 무선국으로부터 제 2 무선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의 어느 세팅이 제 1 무선국에 의해 지원되는가를 나타내는 통지가 전송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무선국은 제 1 무선국에 구성 요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의 구성에 대한 세팅들만을 고정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프리세팅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상기 세팅은 제 1 무선국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제 1 무선국의 성능 및 서비스 범위에 관한 메시지와 더불어 정보가 제 2 무선국에 전송된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의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 소자 및 그것에 따른 전송 대역폭이 절약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캐리어가 캐리어 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구성 요구가 재구성되거나 또는 제거되어 캐리어 구성 메시지에 삽입된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 요구의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 소자 및 전송 대역폭이 절약될 수 있다.
그 외에, 동작 신호가, 제 1 무선국이 캐리어의 구성 또는 재구성을 액크(ACK)하는 메시지에 삽입된다는 것이 이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작 신호의 전송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 소자 및 그것에 따른 전송 대역폭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은 두 무선국을 가진 이동통신망,
도 2는 양 무선국에 대한 프로토콜 층 시퀀스,
도 3은 양 무선국 중 제 1 국의 프로토콜 층 시퀀스의 일부,
도 4는 양 무선국 사이 신호 교환의 제 1 시간적 경과,
도 5는 양 무선국 사이 신호 교환의 제 2 시간적 경과,
도 6은 제 1 무선국의 용량 또는 성능의 통지를 위한 메시지 소자,
도 7은 캐리어 구성 메시지,
도 8은 액크 메시지.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30은 제 1 무선국(15) 및 제 2 무선국(16)이 배치되어 있는 이동통신망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 2 무선국(16)은 이동통신망(30)에의 가입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망(30)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80)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무선국(15)은 이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이동 무선통신 단말장치 또는 이동국 형태의, 특히 이동 전화기 형태의 이동통신망(30)의 가입자를 말한다. 이하에서 제 1 무선국(15)은 이동국으로 구성될 것이다. 제 2 무선국(16)은 이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망(30)의 기지국을 말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무선국(15) 또는 제 2 무선국(16)이 가입자인지 또는 이동 무선망의 기지국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동 무선망(30)은 보통,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기지국들 및 가입자들을 포함한다.
이동 무선망(30)은 예컨대 GSM 표준(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전역 이동 통신 시스템) 또는 UMTS 표준(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tem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무선망용 패킷 데이터-컨버전스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컨대 UMTS 표준(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 또는 GSM 표준에 따른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도 이용될 수 있는, 도 2에 따른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 내의 기능을 제안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예로서 이동 무선망(30)이 UMTS 표준에 따라 구동된다고 가정된다. UMTS 표준에 따라 사용되는 컨버전스 프로토콜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로 표시된다.
UMTS 이동 무선 시스템의 기능은 도 2에 따라 GSM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와 같이 층들로 분할되어 있고, 층들 내에서 상이한 프로토콜이 특정되는데, 상기 프로토콜은 더 높은 층들에서 각 서비스를 이용하고 하위 층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경우 각 프로토콜은 이동 무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2 회 존재하고, 즉 적어도 2 개의 단위로 존재하며, 단위들은 각각 동일한 층에 놓인다. 두 단위 중 첫째 것은 이동국(15)을 나타낸다. 두 단위 중 둘째 것은 이동국(16)을 나타낸다. 표시된 계층은 이용자 레벨 및 제어 레벨로 분할된다. 이용자 레벨은 또한 사용자 레벨(User-Plane)로도 표시되고 제어 레벨은 또한 콘트롤 레벨(Control-Plane)로도 표시된다. 소망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프로토콜들은 이용자 레벨에 할당된다. 제어 데이터가 전달 및 부분적으로 생성되는 프로토콜들은 제어 레벨에 할당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 레벨의 층- 또는 프로토콜 계층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이 이용자 레벨에 있고 소망의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패킷으로 형성되고 패킷 지향적으로 전송될 소망의 데이터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먼저 전달층에 있는 전달층 프로토콜에 전달된다. 여기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 소망의 데이터그램 프로토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달층 프로토콜의 이용없이 전송될 소망의 데이터를 도달시키는 다른 전달층 프로토콜 또는 투과 전달층도 고려될 수 있다. 전달층 프로토콜은, 이 경우 패킷 데이터 망 역할을 하는 이동 무선망(30)을 통한 전달을 위한 패킷 데이터를 백-업(back-up)하고 필요한 경로 정보를 이 패킷 데이터에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달층은 전달층 아래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층에 있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네트워크 층은 도 2에 표시되어 있는데 이동국(15)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5로 또한 기지국(16)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6으로 표시되어 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상기와 같이 PDP(Packet Data Protocol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로 표시된다. 전달층은 소망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PDP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네트워크 층(5, 6)의 알려진 PDP는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및 X.25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및 전달 프로토콜은 모두 예컨대 TCP-/IP-헤드 정보 또는 TCP-/IP-헤더 형태로 소망의 데이터에 제어 데이터를 첨부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층(5, 6) 아래에는 이제 UMTS 규격 프로토콜이 놓인다. 각 PDP에 의해 데이터는 PDP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연결을 통해 이동 무선망(30) 및 이동 무선망과 통신하는 이동 무선망의 단말 장치, 예컨대 이동국(15) 내에 저장된다. 이들 데이터는 예컨대 서비스 품질 QOS에 관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PDP 콘텍스트(context)로 표시된다. PDP를 동시에 상이한 콘텍스트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데, 콘텍스트들은 단지 서비스 품질 QOS에 관한 파라미터에서만 구분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에서 IP 어드레스를 가진 IP 프로토콜은 한번은 서비스 품질 QOS에 관한 제 1 파라미터에 의해 또한 한번은 서비스 품질 QOS에 관한 제 2 파라미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PDP 콘텍스트는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래서 예컨대 한 단말기에 3 개의 상이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 상이한 IP 어드레스를 가진 2 개의 IP 프로토콜과 1 개의 x.25 프로토콜이 동작한다.
이들 각 PDP 콘텍스트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 위에 네트워크 층(5, 6)에 있는 독립 블록으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서는 이동국(15)에 대해 도면부호 21 및 22로 표시되어 있다. PDP 콘텍스트(21, 22)는 도 3에 따라 네트워크 층(5, 6) 아래에 있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의 이용자를 표시한다. 도 2에는 이동국(15)에 대한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은 도면부호 1로 또한 기지국(16)에 대한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은 도면부호 2로 표시되어 있다.
이동국(15)과 기지국(16) 사이에서 전송될 소망하는 UMTS 전송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PDCP는, PDP 콘텍스트에서 나오는 소망의 데이터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송에 매칭시키고, 이 경우 소망의 데이터 및/또는 소망의 데이터에 삽입된 제어 데이터 또는 프로토콜 제어 정보가 선택적으로 압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패킷 데이터 흐름이, 동일한 전송 품질을 필요로 하는 상이한 PDP 콘텍스트들(21, 22)에 의해 패킷 데이터 스트림에 결합되거나 또는 멀티플렉싱된다.
PDCP의 형성을 위해 제공되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 아래에는, UMTS 이동 무선 시스템의 층 모델 내에 RLC 접속 제어 층(Radio Link Control 무선 접속 제어)이 있고, 상기 RLC 접속 제어 층이 이동국(15)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10으로 또한 기지국(16)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11로 도 2에 표시되는데 이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선택적 전송 오류를 교정하고, 이 경우 RLC 접속 제어 층은 수신기 측에 오류가 있는 패킷을 다시 요구하여 송신기 측에 다시 보낸다. 또한 RLC 접속 제어 층(10, 11)은 선택적으로, 전송시 일련의 데이터 패킷이 얻어진 채 있어, 상기 제어 층이 데이터 패킷을 소위 RLC-PDU(RLC Packet Data Unit 패킷 데이터 단위)로 세그먼트화하며, 상기 RLC-PDU의 길이는 사용된 전송 채널 길이에 매칭된다.
상이한 PDP 콘텍스트(21, 22)로부터 멀티플렉싱된 각 패킷 데이터 흐름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또는 RB로도 표시되는 데이터 캐리어가 이용되는데,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 아래에 있는 RLC 접속 제어 층(10, 11)이 상기 데이터 캐리어를 제공한다.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은 도 3에 따른 소위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들로 구성되고, 이들 인스턴스 각각은 다수의 압축 알고리즘(50, 5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PDP 콘텍스트(21, 22)가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와 연결될 수 있으나, PDP 콘텍스트(21, 22)는 단 하나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와 연결될 수도 있다. 각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는, 무선 베어러로도 표시하는 정확히 하나의 소위 캐리어(45)를 이용한다. 무선 베어러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와 그 아래에 놓인 RLC 접속 제어 층(10, 11)(Radio Link control 무선 접속 제어)의 인스턴스 사이의 연결부이고, 이 연결부를 통해 데이터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으로부터 RLC-접속 제어 층(10, 11)에 전달된다. 알려진 압축 알고리즘은, 예컨대 TCP/IP 프로토콜(TCP = 전송 프로토콜; IP = 인터넷 프로토콜)의 경우에 대한 간행물 RFC 114 "Compressing TCP/IP-Headers for Low Speed serial links(저속 직렬 링크를 위한 TCP/IP 헤더의 압축)"에 또한 UDP/IP 프로토콜(UDP = 소망의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간행물 RFC 2507 "IP 헤더 압축(IP Header Compression)"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위 코드 북의 구성과 이용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여기에는 표 모양의 코드들이 저장되어 있고, 이 코드에 의해 전송될 소망의 데이터 및/또는 프로토콜 제어 정보는 송신 무선국의 대응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 내에서 부호화되거나 압축되고, 이렇게 압축된 소망의 데이터 및/또는 프로토콜 제어 정보가 코드북에 참조된다. 사용되는 코드북은 부호 해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신 무선국의 압축 해제기에서도 알려져야 한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완벽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압축 알고리즘(50, 51), 예컨대 압축기 및 압축 해제기에서 해당 코드 북 내에 저장하려는 코드의 수와 같은 상기 압축 알고리즘의 압축 파라미터, 및 양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의 멀티플렉싱 정보가 이동국(15) 및 기지국(16)에서 일치해야 한다. 그리고 멀티플렉싱 정보는 어느 PDP 콘텍스트(21, 22)가 멀티플렉싱을 위해 패킷 데이터 흐름을 해당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공급하는가를 표시한다. 압축 알고리즘(50, 51), 압축 파라미터 및 멀티플렉싱 정보는 소위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들을 나타내고, 이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해당하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이용될 캐리어(45)에 관한 정보와 같은 추가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새로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셋업 이전에, 구성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에 관한 양 무선국(15, 16)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 이 커뮤니케이션은 소위 무선 리소스 제어 RRC(Radio Ressource Control)에 의해 제어기 레벨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무선 리소스 제어 RRC는 도 2에 따라 이동국(15)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95로 또한 기지국(16)에 대해서는 도면부호 96으로 표시되어 있다.
RLC 접속 제어 층(10, 11)은 RLC-PDU를 전송하기 위해 그 아래에 있는 MAC 층(Medium Access Control 중간 액세스 제어)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MAC 층은 도 2에서 이동국(15)에서는 부호 85로, 또한 기지국(16)에서는 부호 86로 표시되어 있고, 실제 전송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적당한 전송 양식을 선정하고, 상이한 RLC-PDU들을 적당한 전송 채널들로 멀티플렉싱하는데, 상기 전송 채널은 그 아래에 있는 물리층 내에 할당된 물리 채널들로 묘사되고, 상기 전송 채널은 도 2에 따라 이동국(15)에서 부호 90에 의해 또한 기지국(16)에서는 부호 91로 표시된다. 설명된 층- 또는 프로토콜 계층 조직은 간행물 "Radio Interface Protocol Architecture", 3 GPP TS 25.301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한 층들 중 몇, 즉 물리층(90, 91), MAC 층(85, 86), RLC 접속 제어 층(10, 11) 및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도 무선 리소스 제어부(RRC)에 대한 직접 연결부를 갖고 있다. 이 연결부는, 제어 정보를 무선 리소스 제어부 RRC(95, 96)에 전송하고 무선 리소스 제어부 RRC(95, 96)가 다른 프로토콜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용된다.
무선국(15)과 기지국(16) 사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기재된 층 시퀀스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진행한다. 수신된 데이터는 표시된 층 시퀀스를 따라 아래에서 위로 진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 RRC(95, 96)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간행물 "RRC Protocol Specification", 3GPP TSG RAN WG2, TS 25.331 vl.4.2에 기재되어 있고 이하에서는 RRC 프로토콜로 표시될 것이다. 이 RRC 프로토콜의 목적은, 특히 개별 층들의 구성, 소위 동등(Peer) RRC 층으로 층들의 구성을 위한 파라미터의 처리 및 이동층(15)과 이동 무선망(30) 사이의 연결, 또는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으로 기지국(16)을 가진 무선망(30)을 형성하고 분리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동등 RRC 층은 이동국(15) 또는 기지국(16)의 구성하려는 층과 동일한 프로토콜 레벨에 있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 RRC(95, 96)의 층을 나타낸다. 각 층들의 구성을 위한 파라미터는, 각 구성될 층에 관한 이동국(15)과 기지국(16)의 동등 RRC 층 사이의 메시지로 교환된다.
그러나 상기 간행물 "RRC Protocol Specification"에 기재된 신호는, 여태까지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의 처리, 즉 압축 알고리즘(51, 52) 및 그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위한 압축 파라미터의 처리뿐 아니라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 내에 있는 다수의 PDP 콘텍스트(21, 22)의 패킷 데이터 흐름의 멀티플렉싱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3에는 예컨대 이동국(15)용 층 시퀀스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네트워크 층(5),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및 이동국(15)의 접속 제어 층(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따라 각 PDP 콘텍스트(21, 22)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 할당된 각 액세스점(101, 102)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상기 액세스점은 네트워크 층 서비스 액세스점 NSAP(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로도 표시될 수 있다. 이들 각 액세스점(101, 102)에는 표지, 예컨대 NSAPI(Network Layer Service Access Point Identifier)가 할당되는데, 이것은 할당된 PDP 콘텍스트(21, 22)를 명백히 특성화한다. GSM의 경우 현재는 최대 16 개의 NSAP가 동시에 이동국(15)에 제공된다. UMTS의 경우에는 동시에 이동국에 존재할 수 있는 PDP 콘텍스트의 수는 현재까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접속 제어 층(10)의 연결부들은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 의해 SAP(Service Access Point)로도 표시되는 서비스 액세스점을 통해 이용된다. SAP에 대한 각 연결부에는 표지 RB 아이덴티티(Radio Bearer Identity(무선 베어러 아이덴티티))가 할당된다.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5)과 접속 제어 층(10) 사이의 각 연결부들은 특징을 갖는다. 각 서비스 액세스점은 특정 서비스- 또는 송신 품질 QOS를 제공하고, GSM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는 최대 4 개의 상이한 서비스 액세스점, 및 접속 제어 층(10)에 있는 4 개의 상이한 연결부에는 상이한 송신 품질들 QOS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대한 예시로서 한정하지 않는, UMTS 이동 무선 시스템의 경우에는 접속 제어 층(10)에 있어 각각 상이한 연결부를 가진, 3 개의 상이한 서비스 액세스점에, 상이한 송신 품질들 QOS가 제공될 수 있다.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 의해, 서비스 액세스점에 도달하는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들 중의 하나를, 소망의 데이터 및/또는 이 데이터 패킷의 프로토콜 제어 정보의 압축 해제 후, 올바른 수신기 또는 올바른 PDP 콘텍스트에 전달할 수 있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는, 송신기에 의해, 수신하는 PDP 콘텍스트, 즉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의 수신하는 이용자의 표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지로서는, 송신기 측에서 각 데이터 패킷에 4-비트-값으로서 삽입되는 NSAPI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서비스 액세스점에 대한 연결은,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로도 표시되는 캐리어에 의해 실현된다. 무선 베어러는 상기와 같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와 그 아래의 RLC 접속 제어 층(10, 11)의 인스턴스 사이의 연결부이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데이터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2)으로부터 RLC 접속 제어 층(10, 11)에 전달된다. 도 3에는, 서비스 액세스점에 대한 대표로 캐리어(45)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캐리어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 배치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에 대한 대표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RLC 접속 제어 층(10)의 인스턴스와 연결시키고 있다.
예로서 설명된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는 도 3에 따라, 네트워크 층(5)으로부터 수신된 소망의 데이터를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51)을 포함한다.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51)에는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이 할당된다.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은 접속 제어 층(10), 결국 기지국(16)으로부터 수신된 소망의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다. 그리고 이 소망의 데이터는 할당된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51)에 따른 데이터 압축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는 추가로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알고리즘(50)을 포함하는데, 이 알고리즘은 이하에서는 제 1 압축 알고리즘(50)으로서 표시될 것이고, 소망의 데이터와 함께 네트워크 층(5)으로부터 수신된 및/또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서 수신된 소망의 데이터에 대해 형성된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압축한다.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알고리즘(50)에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은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해제 알고리즘이 할당되고, 이 압축 해제 알고리즘은 접속 제어 층(10)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압축 해제하고 그래서 할당된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알고리즘(50)에 따른 압축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제 1 PDP 콘텍스트(21)는 이 콘텍스트에 배치된 액세스점(101)을 통해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알고리즘(50) 및 할당된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해제 알고리즘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호 할당된 압축 알고리즘과 압축 해제 알고리즘이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한 단위로 고려되며, 대표로 압축 알고리즘으로 언급될 것이다. 그래서 프로토콜 제어 정보-압축 알고리즘(50)은 이하에서는 제 2 압축 알고리즘(51)으로도 표시될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51)을 통해 캐리어(45)와 연결된다.
제 2 PDP 콘텍스트(22)는 여기에 할당된 제 2 액세스점(102)을 통해 직접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51)에 연결되고 이 알고리즘은 상기와 같이 캐리어(45)에 연결된다. 네트워크 층(5)의 나머지 PDP 콘텍스트는 명료성을 위해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고, 마찬가지로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의 추가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및 추가 캐리어도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핵심은,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이동 무선망(30)의 두 장치 사이의, 이 실시예에서는 이동국(15)과 기지국(16) 사이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들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절차들이고, 상기 기지국은 네트워크 유닛(80),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와 협동하고 그래서 네트워크 인스턴스의 대표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에 따라, 처리 조작의 처음에는 기지국(16)이 이동국(15)으로부터 이동국(15)에 의해 지원되는, 이동국(15)의 구성하려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세팅을 통해, 정보(60)를 받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예컨대 도 3에 표시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구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응하는 방식으로 물론 이동국(15)의 다수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들도 동시에 구성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첫 번째 셋업 직전에, 도 4에 따른 기지국(16)은 제 1 구성 요구를 이동국(15)에 보내고, 상기 제 1 구성 요구에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제 1 셋업이 시작된다. 상기 제 1 구성 요구에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들이 포함되는데, 이들 파라미터는, 이동국(15)에 의해 지원되는, 이동국(15)의 구성하려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세팅에 대응하여, 그 전에 받은 정보(60)를 고려하여, 기지국(16)을 선택한다. 제 1 구성 요구는 PDCP 설정 요구(Establishment Request)로도 표시된다.
이제 이동국(15)에서는, 제 1 구성 요구에서 기지국(16)으로부터 수신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들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구성 후 이동국(15)은 구성을 액크하고, 기지국(16)에게 제 1 동작 신호(55)에 의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을 위해 이미 준비되었다는 것을 신호로 보낸다. 이 제 1 동작 신호(55)는 PDCP 설정 확인(Establishment Confirm)으로도 표시된다.
제 1 구성 요구(40)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형성을 위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 또는 세팅에 관한 기지국(16)에 의해 지원되는 선택을 포함하고, 그래서 이동국(15)에게는, 제 1 구성 요구의 수신 후,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가급적 최적으로 용량과 성능 범위에, 경우에 따라서는 이용자의 디폴트에도 매칭하도록, 그 측에서 프리세팅된 선택으로부터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를 선정할 가능성이 주어지게 하는 것도 대체적 또는 추가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런 뒤 이동국(15)이 기지국(16)에 보내는 제 1 동작 신호(55)에 의해, 기지국(16)에는 이동국(15)에 의해 선정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들이 통지된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구성이 실패하면, 해당하는 구성 실패에 대한 메시지가 제 1 동작 신호(55) 대신에 이동국(15)으로부터 기지국(16)에 송출되는데, 이 메시지는 "PDCP 설정 실패(Establishment Failure)"-메시지로도 표시될 수 있다.
정보(60)는 예를 들어 이동국(15)에서 지원하는 압축 알고리즘(50, 51) 및 사용된 압축 파라미터, 이동국(15)에서 가능한 멀티플렉싱 과정, 즉 PDP 콘텍스트(21, 22)의 최대 수량과 이동국(15)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 의해 사용하는 캐리어의 가능한 수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 1 구성 요구(40)는 PDP 콘텍스트(21, 22) 중 어느 것이 셋업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액세스하고, 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어떤 캐리어를 사용할 것인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구성 요구(40)는 사용할 사용될 압축 알고리즘(50, 51) 및 여기에 사용할 압축 파라미터에 관한 확정된 디폴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 1 구성 요구(40)는 가능한 압축 알고리즘(50, 51)의 선택 및/또는 압축 파라미터의 선택을 포함하는데, 상기 이동국(15)은 이 가운데에서 하나 또는 다수의 적당한 압축 알고리즘(50, 51)과 그의 압축 파라미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확인 신호(Acknowledge signal)(55)는 해당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셋업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만을 포함하게 되거나, 또는 선택된 압축 알고리즘(50, 51)과 그의 압축 파라미터에 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셋업에 실패하면, 이동국(15)으로부터 기지국(16)에 제 1 확인 신호(55) 대신 "PDCP 설정 장애(Establishment Failure)" 메시지가 전송되는데, 이 메시지는 셋업 실패의 원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구성 요구(40)와 제 1 확인 신호(55)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에 의해 차후에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다시 제거 또는 재구성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정확히 캐리어에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의 기능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출판물인 "RRC 프로토콜 명세"에서 이미 정의된, 캐리어(45)에 사용하는 아이덴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 아이덴티티는 "RB 아이덴티티(RB Identity)"이라고도 한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셋업된 다음에는 이를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기지국(16)은 어떻게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재구성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도 5에 따른 제 2 구성 요구(41)를 이동국(15)으로 보낸다. 제 2 구성 요구(41)는 "PDCP 재구성 요구(PDCP reconfigure request)" 메시지라고도 칭할 수 있다. 이 제 2 구성 요구는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응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재구성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의 아이덴티티는 항상 제 2 재구성 요구(41) 안에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셋업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다중 함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새로운 PDP 콘텍스트에 관한 정보를 제 2 구성 요구(41)에 추가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동국(15)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내의 패킷 데이터 흐름이 기존의 PDP 콘텍스트(21, 22)의 패킷 데이터 흐름에 추가해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45)로 멀티플렉싱되어야 한다.
기존의 하나 또는 다수의 PDP 콘텍스트(21, 22)가 다른 특성, 예컨대 다른 전송 품질(QOS)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PDP 콘텍스트에 관한 정보를 제 2 구성 요구(41)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동국(15)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 내의 패킷 데이터 흐름이 기존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통해 필요한 특성을 가진 캐리어로 멀티플렉싱되어야 한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소망의 데이터 또는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압축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또는 추가의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새로운 압축 알고리즘에 관한 정보를 제 2 구성 요구(41)에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기지국(16)에 구성의 성공적인 변경을 알리기 위해, 제 2 구성 요구(41) 는 이동국(15)으로부터, "PDCP 재구성 확인(PDCP Reconfigure Confirm)" 메시지라고도 할 수 있는, 도 5에 따른 제 2 확인 신호(56)에 의해 액크될 수 있다.
제 1 구성 요구(40)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 2 구성 요구(41)를 수신한 후 이동국(15)에서, 기지국(16)의 의해 이용되는 선택 가운데 PDCP 인스턴스 파라미터가 선택되는 가능성이 제공되면, 이동국(15)에 의해 상응하게 선택하고 세팅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가 제 1 확인 신호(55)에 대해 기술한 방식에 상응하게 제 2 확인 신호(56) 안에 포함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재구성에 실패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국(15)으로부터 기지국(16)으로, 제 2 확인 신호(56) 대신 "PDCP 재구성 실패(PDCP Reconfiguration Failure)" 메시지라고도 할 수 있는 실패 메시지가 반송될 수 있다. 이 메시지에는 실패의 원인이 포함할 수 있다.
셋업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는 다시 제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과정 역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셋업 및 재구성과 같이 구성으로 이해된다. 이를 위해 기지국(16)은 도 5에 따라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제 3 구성 요구(42)를 이동국(15)에 보내고, 제 3 구성 요구(42)를 받은 후 이동국(15)은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제거한다. 제 3 구성 요구(42)는 PDCP 해제 요구(PDCP Release Request)라고 칭할 수도 있다.
기지국(16)에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성공적인 제거를 알리기 위해, 제 3 구성 요구(42)에 이동국(15)으로부터 "PDCP 해제 확인(PDCP Release Confirm)" 메시지라고도 칭할 수 있는 제 3 확인 신호(57)에 의해 액크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제거가 실패하면, 제 3 확인 신호(57) 대신 제거 실패에 관한 메시지가 이동국(15)으로부터 기지국(16)으로 반송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PDCP 해제 실패(PDCP Release Failure)" 메시지라고도 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실패의 원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술되는 절차는 모두 앞서 예시적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실행할 수 있다. 이 프로토콜은 RRC 프로토콜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던 출판물인 "RRC 프로토콜 명세"에 따라 UMTS 표준에서 이미 일부 명시된 RRC 프로토콜은 이미 캐리어나 RB를 셋업 및 제거, 그리고 재구성하기 위한 절차들을 포함한다. 이 절차들에서는 기지국(16)에서 이동국(15)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메시지가 전송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기술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할당된 캐리어(45)와 동일한 시점에서 셋업- 제거, 또는 재구성되는 경우에는, 앞서 기술한 정보(60)와 구성 요구(40, 41, 42), 확인 신호(55, 56, 57), 그리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각 구성의 실패에 관한 메시지를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따라 이미 정의된 RRC 메시지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셋업하기 위한 제 1 구성 요구(40)가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개시된 "무선 베어러 셋업(Radio Bearer Setup)" 메시지에 삽입된다. 이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로 새로운 캐리어가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따른 캐리어(45)가 구성된다. 각 캐리어에 정확히 하나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를 할당할 수 있고, 하나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 역시 하나의 캐리어와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셋업할 캐리어(45)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도 셋업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 안에 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용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새로운 캐리어(45)의 셋업은 이동국(15)에 의해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따른 "무선 베어러 셋업 완료("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로 확인된다. 이 "무선 베어러 셋업 완료" 메시지는 앞서 기술한 제 1 확인 신호(55)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구성 요구(40)를 수신한 후에 이동국(15)에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이에 맞게 세팅 또는 구성할 수 있게 되면, 이렇게 선택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가 "무선 베어러 셋업 완료"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다.
새로운 캐리어(45)의 셋업에 실패하면,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따라 이동국(15)이 "무선 베어러 셋업 실패" 메시지를 기지국(16)에 전송한다. 세팅될 수 없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 예컨대 기지국(16) 또는 이동국(15)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 때문에, 셋업에 실패했다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셋업의 실패 원인에 관한 해당 정보가 "무선 베어러 셋업 실패"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 캐리어(45)를 재구성하기 위해,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의거해서 "무선 베어러 재구성 Radio bearer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기지국(16)으로부터 이동국(15)에 전송된다. 이 메시지에는 앞서 언급한 제 2 구성 요구(41)에 상응하게 정보들이 추가됨으로써 해당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재구성시 이행된 캐리어(45)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해, 답변으로서 이동국(15)은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따라 알려진 "무선 베어러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16)으로 반송한다. 제 2 구성 요구(41)를 받은 후 이동국(15)에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를 상기 방식으로 선택, 세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됨으로써,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변경 또는 재구성되고, 따라서 선택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가 "무선 베어러 재구성 완료"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다.
캐리어(45)의 변경 또는 재구성에 실패하면 이동국(15)은 상기 출판물 "RRC 프로토콜 명세"에 따라 "무선 베어러 재구성 실패" 메시지를 기지국(16)에 반송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6)이나 이동국(15)으로부터 지원되지 않는 실행할 없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 변경이 원인이 되어 실패한 경우 그 원인 역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실패" 메시지에 추가될 수 있다.
위에 언급한 경우들에서는 앞서 언급한 대로 기존의 "RB 아이덴티티"을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위한 아이덴티티로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정보를 절감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셋업, 재구성, 제거함으로써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구성하기 위한 상기 경우들은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기지국(16)으로부터 시작하지만, 이동국(15)으로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앞서 기술한 이동국(15)과 기지국(16) 간의 메시지 교환에 관해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동국(15)은 디지털 컴퓨터와 이동 무선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기기를 통해 디지털 컴퓨터가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 또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은 가령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망(30)에 접속되어 있는 인터넷으로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동국(15)은 접속 후 이동통신망(30)에 알려지고, 적당한 시점에 UMTS 표준에 의거해서 제공된, 도 6의 "UE 성능 정보(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65)(UE =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를 이동통신망(30)에 전송하고, 이 메시지로 상기 이동국은 이동통신망(30)에 자신의 성능과 서비스 범위를 알린다. 이 "UE 성능 정보" 메시지(65)가 본 발명에 따라 "PDCP 성능" 정보만큼 확장되는데, 이는 상기 정보(60)에 상응한다. "PDCP 성능" 정보(60)가 포함된 "UE 성능 정보" 메시지(65)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밖에도 도 6에는 "UE 성능 정보" 메시지(65)의 각 하나의 정보가 61과 62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 정보들은 이동국(15)의 성능을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와 무관한 기능들과 연관해서 보여준다.
"PDCP 성능" 정보(60)는 이동국(15)의 멀티플렉싱 성능과 압축 성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6에서 111은 "PDCP 성능" 정보(60)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부정보(subinformation element)로서, 이는 예를 들어 이동국(15)이 멀티플렉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1비트를 차지하거나, 상이한 PDP 콘텍스트 중 몇 개의 패킷 데이터 흐름이 최대한 캐리어로 멀티플렉싱되어도 되는지에 관해 알려주는 다수의 비트를 차지하기도 한다. 도 6에서 112는 "PDCP 성능" 정보(60)에 포함되어 있는 제 2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이동국(15)이 제 1 압축 알고리즘(50)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상응하게 나타낸다. 도 6에서 113은 "PDCP 성능" 정보(60)에 포함되어 있는 제 3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이동국(15)이 제 2 압축 알고리즘(51)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상응하게 나타낸다. 도 6에서 114는 "PDCP 성능" 정보(60)에 포함되어 있는 제 4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제 1 압축 알고리즘(50)을 위해 이동국(15)이 지원하는 압축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도 6에서 115는 "PDCP 성능" 정보(60)에 포함되어 있는 제 5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이동국(15)이 지원하는 제 2 압축 알고리즘(51)용 압축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 4 정보(114)와 제 5 정보(115)는 예를 들어 각각의 압축 알고리즘(50, 51)에 할당된 코드북의 최대 길이 즉, 이 코드북의 항목(entry)의 최대 수량을 나타낸다.
이동국(15)으로부터 기지국(16)으로 "UE 성능 정보" 메시지(65)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망(30)의 네트워크 장비(80)는 어떤 압축 알고리즘이 이동국(15)에 의해 지원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16)을 거쳐 입수하게 된다. 네트워크 장비(80)는 "성능 정보 확인" 메시지로 기지국(16)을 통해 "UE 성능 정보" 메시지(65)를 수신했음을 액크하는데, 상기 "성능 정보 확인" 메시지는 기지국(16)으로부터 이동국(15)에 전송된다.
이제 도 3에 따라 기술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서 출발해서, 이동국(15)이 제 1 압축 알고리즘(50) 뿐만 아니라 제 2 압축 알고리즘(51)도 지원한다고 가정된다. 이때 제 2 압축 알고리즘(51)은 상기한 대로 트랜스포트 층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작성된 소망의 데이터를 압축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도 3에서 기술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와 일치하도록, 이동국(15)이 상이한 PDP 콘텍스트들(21, 22)의 패킷 데이터 흐름의 멀티플렉싱도 지원한다고 가정된다.
이제 패킷 데이터를 이동통신망(30)의 기지국(16)으로부터 이동국(15)으로 전송해야 한다면, 이를 위해 UMTS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속, 즉, 캐리어(45) 또는 무선 베어러(RB)가 셋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16)이 "무선 베어러 셋업" 메시지를 도 7에 따른 캐리어 구성 메시지(70)로서 상기한 것과 같이 이동국(15)에 전송하는데, 캐리어 구성 메시지(70) 안에 캐리어(45)의 셋업용 다수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 캐리어 구성 메시지(70)가 이제 도 7에 따라 "PDCP 인포(PDCP-Info)" 정보만큼 확장되는데, 이 "PDCP 인포" 정보는 제 1 구성 요구(40)에 상응하는 것으로, 새로 셋업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도 7에서 43과 44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구성과 무관한 다른 정보들을 표시한 것이다. 도 7에서 116은 "PDCP 인포" 정보(40)에 포함되어 있는 제 6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가령 몇 개의 상이한 PDP 콘텍스트로부터 패킷 데이터 흐름을 새로 셋업한 캐리어(45)에 멀티플렉싱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4비트를 차지한다. 이 수가 1이면, 어떠한 멀티플렉싱도 이용되지 않는다. 도 7에서 117은 "PDCP 인포" 정보(40)에 포함되어 있는 제 7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제 6 부정보(116)에서 제공된 수에 상응하게 PDP 콘텍스트를 어드레싱용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포함한다. 도 7에서 118은 "PDCP 인포" 정보(40)에 포함되어 있는 제 8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구성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압축 알고리즘의 수를 포함한다. 도 7에서 119는 "PDCP 인포" 정보(40)에 포함되어 있는 제 9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 압축 알고리즘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도 7에서 120은 "PDCP 인포" 정보(40)에 포함되어 있는 제 10 부정보를 표시한 것으로, 이는 그때그때 하나의 압축 파라미터, 또는 제 9 부정보(119)에서 제공된 압축 알고리즘에 쓰이는 압축 파라미터들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PDCP 인포" 정보(40)를 위한 한 실시예에서 소속된 부정보 안에 포함되는 값은 다음과 같이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제 6 부정보 116 => 1
제 7 부정보 117 => 22
제 8 부정보 118 => 1
제 9 부정보 119 => 51
제 10 부정보 120 => 16
이는 식별기(22)를 가진 PDP 콘텍스트가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이용해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패킷 데이터 흐름을 캐리어(45)로 멀티플렉싱하는데, 이때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서 숫자(51)와 코드북 길이(16)가 있는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 3에 따른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구성에 상응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제 2 PDP 콘텍스트(22)만이 제 2 액세스점(102)과 제 2 압축 알고리즘(51), 캐리어(45)를 거쳐 이동국(15)의 RLC 접속 제어 층(10)과 접속되어 있다. 제 2 PDP 콘텍스트(22)의 패킷 데이터 흐름만 캐리어(45)를 거쳐 이동국(15)의 RLC 접속 제어 층(10)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멀티플렉싱 자체는 필요하지 않다. 이 구성에서 제 1 PDP 콘텍스트(21)는 도 3에 따라 기술된 예와 달리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로 액세스하지 않을 것이다.
이동국(15)에서 RRC 프로토콜이 캐리어 구성 메시지(70)를 수신하고, 여기에 포함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가 이동국(15)의 성능에 상응할 경우, 이동국(15)의 무선 리소스 제어(95)가 캐리어(45) 외에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도 형성해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 파라미터에 맞게 구성한다. 이어 RRC 프로토콜이, 액크 메시지(75) 도 8에 따른 제 1 확인 신호(55)를 포함하는 "무선 베어러 셋업 완료" 메시지로 캐리어(45)와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셋업을 확인한다. 따라서 새로운 캐리어(45)와 새로운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캐리어(45) 및/또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셋업이 어떤 이유에서든 불가능할 경우, "무선 베어러 셋업 실패" 메시지가 이동국(15)으로부터 기지국(16)으로 전송된다. 이 메시지는 셋업 실패의 원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새로 설치된 캐리어(45)를 사용하는 이렇게 설치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는 바람직하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조를 변경 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 즉,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45)의 구조도 변경해야 할 경우, 두 개의 재구성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지국(16)으로부터 이동국(15)으로 전송할 기존의 "무선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에 "PDCP 재구성 인포" 정보가 결합되는데, "PDCP 재구성 인포" 정보는 상기 "PDCP 인포" 정보(40)와 유사하거나 똑같고, 제 2 구성 요구(41)에 상응한다. 따라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사용되는 압축 알고리즘과, 이 압축 알고리즘의 압축 파라미터, 그리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액세스하는 PDP 콘텍스트의 리스트를 변경 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RRC 프로토콜로 이동국(15)으로부터 이어 기지국(16)으로 전송되는 "무선 베어러 재구성 완료" 메시지가 캐리어(45)의 재구성으로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재구성도 확인한다.
두 번째 경우, 즉,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사용되는 캐리어(45)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을 경우 특별히 이동국(15)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에만 사용되는 "PDCP 재구성" 메시지를 기지국(16)으로부터 이동국(15)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PDCP 재구성 요구"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하는데, 여기에는 재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구성 요구(41) 외에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PDCP 프로토콜 아이덴티티 또는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할당된 캐리어(45)의 아이덴티티도 포함한다.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는 여기에 할당된 캐리어(45)의 제거와 함께 "무선 베어러 해제" 메시지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사용할 압축 알고리즘과 압축 파라미터, 멀티플렉싱 특성을 갖춘 이동국(15)의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구성은, 기지국(16)에 있는 각각 하나의 압축 해제 알고리즘이 셋업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사용하는 압축 알고리즘들에 상응함으로써 셋업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압축한 프로토콜 제어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압축 해제할 수 있도록 해당 구성 요구(40, 41, 42)를 통해 기지국에 의해 프리세팅된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기지국(16)에서의 해제를 위해, 구성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사용되는 압축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이밖에 셋업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통해 멀티플렉싱되는 패킷 데이터 흐름을 소망의 데이터 흐름으로서 기지국(16)으로 전송하고, 거기서 구성할 PDCP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멀티플렉싱 특성에 따라 디멀티플렉싱함으로써 수신된 소망의 데이터 흐름을 기지국(16)의 네트워크 층(6)에서 해당 PDP 콘텍스트로 분할할 수 있다.

Claims (17)

  1. 소망의 데이터가 제 2 무선국(16)의 제 2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2)으로 전송되기 전에, 제 1 무선국(15)의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로 결합되고, 네트워크 층(5)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21, 22)의 소망의 데이터들이 상기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으로 전송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21, 22)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를 형성하여 캐리어(45)를 통해 접속 제어 층(10)으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 1 컨버전스 프로토콜 층(1)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상기 제 2 무선국(16)에 의해 수신된 구성 요구(40, 41, 42)에 따라 구성되는 이동통신망(30)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성시 상기 프로토콜 인스턴스(35)를 참조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시 적어도 하나의 압축 알고리즘(50, 51)이 결정되고, 상기 압축 알고리즘(50, 51)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제어 데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데이터 단위에 의해 전송될 소망의 데이터 자체가 압축되며, 상기 프로토콜 제어 데이터 또는 상기 소망의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기 위한 상기 제 2 무선국(16)의 압축 해제 알고리즘은 상기 압축 알고리즘(50, 51)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알고리즘(50, 51)의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압축 파라미터가 결정되고, 상기 압축 파라미터가 상기 제 2 무선국(16)에서도 압축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시 멀티플렉싱 특성이 결정되고, 상기 멀티플렉싱 특성에 의해 사용자(21, 22)가 미리 정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의해 상기 수신된 그때 그때의 소망의 데이터들에 의해 결합된, 상기 사용자(21, 22)의 데이터 단위들이 멀티플렉싱되어 상기 캐리어(45)를 통해 상기 접속 제어 층(10)으로 전송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소망의 데이터 스트림이 수신 후 상기 제 2 무선국(16)에서 이 멀티플렉싱 특성에 따라 디멀티플렉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시, 상기 소망의 데이터를 상기 프로토콜 인스턴스(35)로부터 상기 접속 제어 층(10)으로 전송하는 상기 캐리어(45)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구(40, 41, 42)에 의해, 상기 제 2 무선국(16)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프로토콜 인스턴스(35)용 대체 세팅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이 미리 정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국(15)에 의해 선택되고 실행된 세팅이 제 2 무선국(16)에 통지되는 확인 신호(55, 56, 57)가 상기 제 1 무선국(15)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국(16)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구(40, 41, 42)에 의해 상기 프로토콜 인스턴스(3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세팅이 고정적으로 미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인스턴스 아이덴티티가 여기에 할당된 상기 캐리어(45)의 아이덴티티에 대응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35) 중 어떤 세팅이 상기 제 1 무선국(15)에 의해 지원되는지를 나타내는 통지(60)가 상기 구성 요구(40, 41, 42)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 1 무선국(15)으로부터 상기 제 2 무선국(16)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60)는 상기 제 1 무선국(15)의 용량 및 성능에 관한 정보(65)와 함께 상기 제 2 무선국(16)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구(40)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셋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구(41)에 의해 상기 셋업된 프로토콜 인스턴스(35)의 상기 세팅이 변경 또는 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구(42)에 의해 셋업된 프로토콜 인스턴스(35)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45)가 캐리어 구성 메시지(70)에 의해 셋업, 재구성 또는 제거되는 경우, 상기 구성 요구(40, 41, 42)가 상기 캐리어 구성 메시지(70)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국(15)이 상기 캐리어(45)의 셋업 또는 재구성의 수신을 확인하는 메시지(75)에 상기 확인 신호(55, 56, 57)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KR1020027005143A 1999-10-21 2000-09-19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KR100743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0653.1 1999-10-21
DE19950653.1A DE19950653B4 (de) 1999-10-21 1999-10-21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425A KR20020070425A (ko) 2002-09-09
KR100743378B1 true KR100743378B1 (ko) 2007-07-30

Family

ID=792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143A KR100743378B1 (ko) 1999-10-21 2000-09-19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9) US7245636B1 (ko)
EP (5) EP2890082B1 (ko)
JP (1) JP4571767B2 (ko)
KR (1) KR100743378B1 (ko)
CN (2) CN1382337A (ko)
DE (2) DE19950653B4 (ko)
ES (3) ES2272327T5 (ko)
HK (1) HK1210332A1 (ko)
WO (1) WO20010300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4761B2 (en) 1998-12-11 2003-09-23 Realtime Data, Llc Content independent data 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US6601104B1 (en) 1999-03-11 2003-07-29 Realtime Data Llc System and methods for accelerated data storage and retrieval
DE19950653B4 (de) 1999-10-21 2020-01-16 Ipcom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US20010047473A1 (en) 2000-02-03 2001-11-29 Realtime Dat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initialization
US9143546B2 (en) 2000-10-03 2015-09-22 Realtime Data Llc System and method for data feed acceleration and encryption
US8692695B2 (en) 2000-10-03 2014-04-08 Realtime Data, Llc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US7386046B2 (en) 2001-02-13 2008-06-10 Realtime Data Llc Bandwidth sensitive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WO2002073927A2 (en) * 2001-03-13 2002-09-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outing of peer-to-peer messag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295522B2 (en) * 2001-06-29 2007-11-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visioning a mobile device
US7920590B2 (en) * 2002-07-12 2011-04-05 Spyder Navigations L.L.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built-in packet data compression and support for enabling non-standard features between network elements
US7599665B2 (en) * 2003-12-19 2009-10-06 Nokia Corporation Selection of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899004B2 (en) 2005-08-22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protocol over a wireless connection
EP1898567B1 (en) * 2006-08-24 2008-11-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at a maximum number of IP sessions has been established
JP4629075B2 (ja) * 2006-08-24 2011-02-09 リサーチ イン モーション リミテッド Ipセッションの最大数が確立されていることを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579445B (zh) 2007-01-12 2019-06-21 Lm爱立信电话有限公司 无线通信***中的方法和结构
EP2141938A4 (en) * 2007-05-01 2015-01-14 Ntt Docomo Inc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889670B2 (en) * 2008-09-22 2011-02-1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Dynamic modem bandwidth checking
CN101741605B (zh) * 2008-11-11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报文的方法、设备和***
WO2010074441A2 (en) * 2008-12-26 2010-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CN101790232B (zh) * 2009-01-22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多载波***的扫描报告发送方法、终端
CN101827341B (zh) * 2009-03-04 2013-06-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单元格式的指示方法、***和装置
KR101582696B1 (ko) * 2009-04-21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통신의 수행장치 및 방법
KR101617048B1 (ko) * 2009-06-01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697630B (zh) * 2009-10-23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扩充缓冲区状态报告的方法及装置
CN102131234B (zh) * 2010-01-18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Ip数据包的压缩及解压缩方法和装置
CN102333345A (zh) * 2011-09-21 2012-01-25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wlan网络的数据压缩传输方法、sta及ap
US9125087B2 (en) * 2011-10-22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header compression
GB2510358A (en) * 2013-01-31 2014-08-06 Eip Configuring layer 2 data compression between a UE and base station in LTE.
KR102200802B1 (ko) * 2014-10-16 2021-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tc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341466B2 (en) * 2014-11-14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Evolved data compression scheme signaling
US10470090B2 (en) * 2014-11-14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Data compression techniques for handover and radio link failure recovery
US20160142937A1 (en) * 2014-11-14 2016-05-1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mpressing session initiation messages using templates for evolved data compression scheme (edcs)
US10750501B2 (en) 2018-05-04 2020-08-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arrier aggregation and dual connectivity capability exchange
US10701700B2 (en) 2018-10-29 2020-06-30 Apple Inc. Signaling messaging and UE capability with tag and compression
US10797968B2 (en) 2018-11-15 2020-10-06 Cisco Technology, Inc. Automated provisioning of radios in a virtual radio access network
CN112911641A (zh) * 2019-12-03 2021-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处理方法和通信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029A (en) * 1993-11-12 1996-07-02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Cellular digital packet data mobile data base station
US5936966A (en) * 1995-10-23 1999-08-10 Kawasaki Steel Corporation Data receiving device which enables simultaneous execution of processes of a plurality of protocol hierarchies and generates header end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9302A (en) 1987-10-09 1993-09-28 Motorola, Inc. Mixed-mode transceiver system
US5553314A (en) * 1994-04-12 1996-09-03 Motorola, Inc. Method of configuring a communication unit using a wireless portable configuration device
US5638412A (en) * 1994-06-15 1997-06-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nd rate negoti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535199A (en) * 1994-09-06 1996-07-09 Sun Microsystems, Inc. TCP/IP header compression X.25 networks
FI98027C (fi) * 1995-01-10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järjestelmä ja päätelaitteisto pakettiradiojärjestelmää varten
FI962381A (fi) * 1996-06-07 1997-12-0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n pakkaaminen tietoliikenneyhteydellä
US5987022A (en) * 1996-12-27 1999-11-16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protocol packetized data
SE517600C2 (sv) * 1997-03-13 2002-06-25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system och förfarande för uppsättande av en förbindelse mellan en telekommunikationsstation och ett datanät
KR100260516B1 (ko) 1997-04-01 2000-07-01 정선종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CA2411996C (en) 1997-04-24 2009-09-08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FI105874B (fi) 1997-08-12 2000-10-13 Nokia Mobile Phones Ltd Monipistematkaviestinlähetys
US6400722B1 (en) * 1997-10-14 2002-06-04 Lucent Technologies Inc. Optimum routing system
DE19747398C2 (de) * 1997-10-27 2002-10-24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ystem
FI105760B (fi) 1997-10-30 2000-09-29 Nokia Mobile Phones Ltd Matkaviestinverkon aliverkkoriippuvainen konvergenssiprotokolla
FI104674B (fi) * 1997-11-24 2000-04-14 Nokia Networks Oy Datakompression neuvottelu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6205140B1 (en) * 1997-12-01 2001-03-20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dynamic dependencies along media streams
FI111433B (fi) * 1998-01-29 2003-07-15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ron salaamiseksi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FI108829B (fi) * 1998-04-02 2002-03-28 Nokia Corp Menetelmä pakettiverkossa
US6278706B1 (en) 1998-04-03 2001-08-21 Opuswave Networks, Inc.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396643B1 (ko) * 1998-09-07 200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패킷데이터단말
US6072388A (en) * 1998-12-22 2000-06-06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Driveline sound monitor
US6611533B1 (en) * 1999-01-13 2003-08-26 Nortel Networks Limited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lligent network, and internet protocol network services interworking
FI990877A0 (fi) * 1999-04-19 1999-04-19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ultimediaviestien välittämiseksi
US6614776B1 (en) * 1999-04-28 2003-09-02 Tantivy Communication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scheme for high rate data exchange in a wireless system
FI111505B (fi) * 1999-05-31 2003-07-31 Nokia Corp Menetelmä ohjaustiedon välit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tiedonsiirtojärjestelmä, langaton päätelaite ja tukiasemajärjestelmä
US6483822B1 (en) * 1999-06-07 2002-11-19 Marcello Lioy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DE19944334C1 (de) 1999-09-15 2000-12-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DE19950653B4 (de) * 1999-10-21 2020-01-16 Ipcom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FR2809273B1 (fr) * 2000-05-19 2002-08-30 Cit Alcatel Procede de signalisation de parametres de mode compresse a une station mobile
FI112014B (fi) * 2000-06-28 2003-10-15 Nokia Corp Tiedonsiirtoresurssien varaus pakettivälitteisessä tiedonsiirrossa
KR100483007B1 (ko) 2002-12-24 2005-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JP2005013519A (ja) 2003-06-26 2005-01-20 Sankyo Kk 遊技球を用いたスロットマ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3029A (en) * 1993-11-12 1996-07-02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Cellular digital packet data mobile data base station
US5936966A (en) * 1995-10-23 1999-08-10 Kawasaki Steel Corporation Data receiving device which enables simultaneous execution of processes of a plurality of protocol hierarchies and generates header end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46918B2 (en) 2013-05-21
ES2624733T3 (es) 2017-07-17
US20110286388A1 (en) 2011-11-24
US20110292872A1 (en) 2011-12-01
EP1226692B2 (de) 2013-04-24
EP2378735A3 (de) 2014-05-14
US8208428B2 (en) 2012-06-26
US7609726B2 (en) 2009-10-27
US20100039995A1 (en) 2010-02-18
EP2378735B1 (de) 2017-02-08
ES2272327T5 (es) 2013-07-10
CN101527930A (zh) 2009-09-09
HK1210332A1 (en) 2016-04-15
EP2378736A2 (de) 2011-10-19
WO2001030042A2 (de) 2001-04-26
ES2272327T3 (es) 2007-05-01
US8787254B2 (en) 2014-07-22
DE19950653A1 (de) 2001-04-26
US20150365505A1 (en) 2015-12-17
EP1686760A1 (de) 2006-08-02
CN1382337A (zh) 2002-11-27
EP2890082B1 (de) 2017-01-25
JP4571767B2 (ja) 2010-10-27
CN101527930B (zh) 2013-07-17
DE50013529D1 (de) 2006-11-09
JP2003512774A (ja) 2003-04-02
US20140341075A1 (en) 2014-11-20
DE19950653B4 (de) 2020-01-16
US8295230B2 (en) 2012-10-23
US7245636B1 (en) 2007-07-17
US8457154B2 (en) 2013-06-04
US9674314B2 (en) 2017-06-06
EP2378735A2 (de) 2011-10-19
US9509808B2 (en) 2016-11-29
EP1226692B1 (de) 2006-09-27
US20080020757A1 (en) 2008-01-24
EP1226692A2 (de) 2002-07-31
US20130035106A1 (en) 2013-02-07
US20120057528A1 (en) 2012-03-08
ES2623819T3 (es) 2017-07-12
EP2378736A3 (de) 2015-11-25
EP2890082A1 (de) 2015-07-01
KR20020070425A (ko) 2002-09-09
WO2001030042A3 (de)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378B1 (ko) 이동통신망의 동작 방법
US6950420B2 (en) Transmission of the fixed size PDUs through the transparent RLC
EP3525514B1 (en) Communication of non-ip data over packet data networks
JP200622998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複数の物理トラフィック・チャネルの結合
JP2002502206A (ja) セルラー無線ネットワークの接続再構成方法
WO1999014963A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gprs
US7853259B2 (en) Methods for air interface message transfer in fast call setup processes
JP3813511B2 (ja) 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の作動方法
EP1806016B1 (en) A method and a network architecture for configuring a radio terminal, radio terminal, network nod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CN114363420B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0721339B1 (ko) 적응적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CN117135681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功能网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