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82B1 - 포켓 미서기 출입문 - Google Patents

포켓 미서기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82B1
KR100740782B1 KR1020060126013A KR20060126013A KR100740782B1 KR 100740782 B1 KR100740782 B1 KR 100740782B1 KR 1020060126013 A KR1020060126013 A KR 1020060126013A KR 20060126013 A KR20060126013 A KR 20060126013A KR 100740782 B1 KR100740782 B1 KR 10074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ocket
groove
ca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희
박형수
Original Assignee
양광희
박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광희, 박형수 filed Critical 양광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 문짝(10)이 닫히는 상태의 거리에, 열리는 상태의 거리를 더한 길이를 가진 상하부 문틀(20,30); 및
문짝이 열린 상태로 이동한 위치의 상하부 문틀(20,30) 및 수직문틀(41) 내외측을 포켓벽(50,51)으로 덮어 상기 열리는 상태의 문짝(10)이 수용되는 포켓부(P)를 가지며;
적어도 일측의 포켓벽(50)에는 문짝(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포켓벽(50) 단부에 연이어지게 일정 폭의 개폐목(52)을 힌지(53)로 결합시키고;
문짝(10)의 상부에는 단면상 중앙의 유자홈(14)과 그 양측의 돌출부(17)를 이루고, 상부 문틀(20)의 단면상 저면에 형성한 상부문틀레일(25)과 그 양측의 상부문틀레일홈(21)은, 상기 문짝(10) 상면의 유자홈(14)및 돌출부(17)와 접촉하여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실링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미서기 출입문이다.
포켓,미서기,출입문

Description

포켓 미서기 출입문{Pocket typed door}
도 1 은 종래의 문짝의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A 선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B-B 선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문짝 하단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문짝 상단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호차 결합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벽면 10;문짝 11;상부문틀 삽입부 12;하부문틀 삽입부 13;호차 14;유자홈 15;충격 흡수띠 16;흡수띠 삽입홈 17;돌출부 18;수용홈 20;상부문틀 21;상부문틀 레일홈 25;상부문틀 레일 30;하부문틀 31;하부문틀 레일홈 32;호차 레일홈 40;수직문틀 41;수직문틀 50,51;포켓벽 52;개폐목 53;힌지 54;포켓홈 55;걸고리 56;호차 56-1;호차하우징 56-2;호차바퀴 56-3;호차축 57;호차안전판 57-1;호차홈 57-2;고정홈 57-3;호차 고정축 58;고정핀 P;포켓부
본 발명은 미서기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미서기문의 열린 상태시 이를 문틀에 수용하는 포켓 공간을 형성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하고 문틀을 보호토록 하는 포켓 미서기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짝은 문틀에 설치되어 미다지(미서기) 또는 여다지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문짝(10)은 상부 문틀(20)과 하부 문틀(30) 사이에 안치되며, 상부 문틀(20)에는 상부문틀 레일홈(21)을 두고, 문짝(10)의 상단에는 문짝의 전 후 한쪽이 돌출한 상부문틀 삽입부(11)를 이룬다.
하부문틀(30)의 상면에는 문짝이 안치되는 일조의 하부문틀 레일홈(31)을 나란하게 이루고, 각 레일홈(31) 사이에는 문짝(10)의 하단 중앙에 설치된 호차(13)를 결합시킨다. 물론 하부문틀 삽입부(12)도 나란하게 일조를 이루어 대응 하부문틀 레일홈(31)과 결합 가능토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적인 문짝은 문짝의 상단과 상부 문틀이 문짝 상부에서 하나의 삽입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구조이기에, 외기의 침투가 용이하여 열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미서기 문의 특징상 일조를 설치하여야 닫을 수 있어 공간 활용을 용하는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하나의 문짝만으로 미서기 문을 제공 가능토록한 포켓 미서기 출입문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켓을 두어 하나의 문짝으로 미서기 기능을 하되 필요시 문짝을 쉽게 뜯을 수 있게 개폐목을 결합시켜 문틀의 손상 없이 교체 및 수리를 가능토록 하는 포켓 미서기 출입문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문틀을 문짝이 여닫히도록 하는 거리를 이루도록 하고, 열린 위치에 오는 문짝은 문틀의 전후를 막아 포켓 형태로 안치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미서기 문짝이 닫히는 상태의 거리에, 열리는 상태의 거리를 더한 길이를 가진 문틀; 및
문짝이 열린 상태로 이동한 것의 문틀 내 외측을 포켓벽으로 덮어 상기 열리는 상태의 문짝이 수용되는 포켓부를 가지는 포켓 미서기 출입문을 제공하고;
적어도 일측의 포켓벽에는 문짝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포켓벽 단부에 연이어지게 일정 폭의 개폐목을 힌지로 결합시킨 포켓 미서기 출입문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A 선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B-B 선 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문짝 하단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문짝 상단부 확대 단면도로,
미서기 문짝(10)이 닫히는 상태의 거리(L1)에, 열리는 상태의 거리(L2)를 더 한 길이를 가진 상하부 문틀(20,30); 및
문짝(10)이 열린 상태로 이동한 부위의 문틀 내외측을 포켓벽(50,51)으로 덮어 상기 열리는 상태의 문짝(10)이 수용되는 포켓부(P)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적어도 일측의 포켓벽(50)에는 문짝(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포켓벽(50) 단부에 연이어지게 일정 폭의 개폐목(52)을 힌지(53)로 결합시킨다. 개폐목(52)은 문짝(10)이 열려 수용되는 포켓부(P)의 수평 거리(L2)(문짝(10)의 수평 거리와 같음)에 부가적으로 부가 설치되며, 문짝이 닫히는 거리(L1) 내에 오도록 설치되어 닫힌 문짝(10)이 열리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도록 포켓벽(50)에 연이어지도록 힌지(53)를 사용하여 상호 힌지 결합시킨다. 물론 개페목(52)에는 걸고리((55)를 설치하여 필요시 걸림고정을 해제하고 개폐목(53)을 힌지(53)를 중심으로 열어 거리(L1)를 확보 가능토록 구성한다. (15)는 충격흡수띠이고, (16)은 충격흡수띠(15)를 수용하는 흡수띠 삽입공이다.
상기 문짝(10)의 상부에는 유자홈(14)을 이루고, 유자홈(14)은 상부 문틀레일(25)과 문짝(10) 상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도 6 과 같이 상부문틀(20)의 저면 중앙에 상부문틀레일(25)을 두고, 상부문틀레일(25)좌우(도 2 상태에서는 전후)가 상부문틀레일홈(21)을 자연스럽게 이루도록 한다. 상부문틀레일(25)에 대응하는 문짝(10) 부위에는 유자홈(14)을 이루고, 유자홈(14) 좌우측(도 2 의 경우 전후부분) 부분이 자연스럽게 돌출부(17)를 이루도록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호차 결합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C- C 선 단면도로, 문짝(10)의 하부에는 호차의 바퀴부분을 수용하는 수용홈(18)과, 수용홈(18)의 테두리를 막으며 문짝(10) 하부에 결합시키도록 중앙에 호차홈(57-1)을 가진 호차 안전판(57)과,
호차 안전판(57)의 호차홈(57-1)에 결합하며 호차바퀴(56-2)가 일부만 노출되는 호차(56)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문짝(10)을 하나만 사용하는 방식의 미서기 문을 이루고, 열 때의 공간을 확보 가능토록 포켓부(P)를 이루므로, 연 상태에서 문짝(10)의 노출 없이 닫힌 상태의 문짝 대응 포켓벽을 활용할 수 있고, 문짝을 보호토록 한다.
도 2 와 같이 문짝이 왼편으로 열려지는 상태(실내에서 밖을 보고 그린 도면이라 함)에서 문짝(10)이 포켓부(P)의 포켓홈(54)으로 자연스럽게 들어가 안치된다.
한편 문짝(10)을 연 상태에서 닫은 상태로 이동하면, 거리(L1)에 해당하는 수평거리 위치에 있다가(문짝이 닫혀 있다가), 도 2 에서 우측으로 거리(L2)에 문짝이 오도록 이동하면, 문짝이 닫힌다. 이 경우 문짝의 수평 거리는 문틀 상의 거리(L1)를 이루고, 따라서 개폐목(52)의 수평 거리 만큼의 길이가 닫힌 문짝(10)을 지탱하여 줌으로써 문짝(10)의 충격에 의하여 강제 분리되는 것을 막아준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문짝(10)의 상단이 수직 단면상의 도 6 과 같이 중앙의 유자홈(14)을 중심으로 좌우로 돌출부(17)가 있고, 대응하는 상부문틀(20)의 중앙하부에 상부문틀레일(25)을 두어 유자홈(14)에 안치시키고, 문짝(10)의 돌출부(17) 는 상부문틀레일홈(21)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결합하므로, 문짝(100과 상부문틀(20)은 상호 접촉면(a,b,c,d,e)이 5면에서 접촉하여 기존의 도 1 과 같이 3곳에서 접촉하여 결합하던 것보다 실링성을 접촉 면적만큼 증대하는 효과를 증대시킨다. 물론 접촉은 직접 접촉 외에도 결합시의 공간을 가능토록 하여야 하지만 상호 결합시에는 이들 역시 결합상태를 유지하므로 상호 대응하는 것도 접촉으로 표기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문틀(10)의 하단에 호차(56)가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호차(56)는 하부문틀(30)의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한 호치레일홈(32)에 결합하므로, 호차(56)가 단순히 미끄럼 작용만을 하는 것 외에 호차레일홈(32)에 의하여 좌우이동(도 2 의 기준으로는 전후 이동)을 막아주어 안정적으로 문짝의 사용을 가능토록 작용한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도 5 , 도 7 및 도 8 과 같이, 문짝(10)의 하부에 호차(56)의 바퀴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8)을 형성하고, 수용홈(18)에는 호차(56)의 바퀴부가 수용하는 공간인 호차홈(57-1)을 가진 호차안전판(57)을 나사나 못으로 구현 가능한 고정핀(58)으로 고정시킨다. 다음에 호차(56)의 양단으로 길게 노출된 고정대(57)에서 고정핀(58)으로 호차 안전판(57)에 결합 고정시킨다.
따라서 호차(56)를 문짝(10)의 하부에 결합시킬 때 단순히 호차 안전판(57)에만 결합시키면 되어 결합이 용이하고, 사용 후 호차를 보수할 때도 문짝을 손대지 않고 호차 안전판에서 분리하면 되므로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호차(56)의 호차바퀴(56-2)가 일부 노출되므로, 도 5 와 같이 하부문틀(30)의 호차레일홈(32)을 통하여 문짝이 정위치에서 안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호차바퀴(56- 2)가 노출되어 호차레일홈(32)을 따라 문짝이 이ㄷ오하므로 별도의 돌출 레일이 필요 없어, 문짝을 지날때 사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문짝을 하나만 사용하는 미서기 문의 열린 상태의 공간을 벽처럼 사용 가능토록 하는 방안으로 포켓 기능을 도입하여, 포켓벽을 이루도록 문짝이 닫히는 위치의 문틀에 포켓벽을 설치하여 공간을 만들어 활용토록 하므로 일반 벽처럼 사용 가능하며,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는 문짝이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개폐목을 설치하여, 문짝의 설치와 사용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하고,
문짝의 상부의 중앙에 유자홈을 두고 그 양측이(전방을 기준으로는 전후면이) 돌출부를 이루고, 대응하는 상부문틀에는 중앙의 상부문틀레일을 중심으로 양측이(문틀의 전방 기준으로 전후방이) 상부문틀 레일홈을 이루므로, 문짝 상부와 과 문틀이 상호 5곳에서 접촉하여 실링하므로 실링성을 극대화하여 에너지 손실을 막아준다.
또한 문짝의 하단에는 호차가 노출되고, 대응하는 하부문틀에는 레일홈을 이루어 호차가 결합되는 방식이므로, 호차가 미끄럼 이동 기능 외에 문짝의 이탈을 막아주는 기능을 겸하여 안정적인 문짝의 사용을 가능토록 기능 한다.
아울러 호차를 문짝에 직접 삽입 결합하는 방식이 아니라 바퀴만 들어가는 홈을 파고, 우선 호차 안전판으로 결합한 다음 호차를 결합하므로 호차의 결합이 용이하고, 호차를 새로이 교체할 때도 문짝이 아닌 호차안전판과의 결합 및 분리로 가능하므로 교체 사용이 용이하고, 안전판에 호차가 지지되므로 내구성도 향상시킨다.

Claims (2)

  1. 삭제
  2. 미서기 문짝(10)이 닫히는 상태의 거리에, 열리는 상태의 거리를 더한 길이를 가진 상하부 문틀(20,30); 및
    문짝이 열린 상태로 이동한 위치의 상하부 문틀(20,30) 및 수직문틀(41) 내외측을 포켓벽(50,51)으로 덮어 상기 열리는 상태의 문짝(10)이 수용되는 포켓부(P)를 가지며;
    적어도 일측의 포켓벽(50)에는 문짝(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포켓벽(50) 단부에 연이어지게 일정 폭의 개폐목(52)을 힌지(53)로 결합시키고;
    문짝(10)의 상부에는 단면상 중앙의 유자홈(14)과 그 양측의 돌출부(17)를 이루고, 상부 문틀(20)의 단면상 저면에 형성한 상부문틀레일(25)과 그 양측의 상부문틀레일홈(21)은, 상기 문짝(10) 상면의 유자홈(14)및 돌출부(17)와 접촉하여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실링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문짝(10)의 하부에는 호차의 바퀴를 수용하는 수용홈(18)과, 수용홈(18)의 테두리를 막으며 문짝(10) 하부에 결합시키도록 중앙에 호차홈(57-1)을 가진 호차 안전판(57)과,
    호차 안전판(57)의 호차홈(57-1)에 결합하며 호차바퀴(56-2)가 일부만 노출되는 호차(56)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 미서기 출입문.
KR1020060126013A 2006-07-03 2006-12-12 포켓 미서기 출입문 KR100740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2115 2006-07-03
KR1020060062115 2006-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782B1 true KR100740782B1 (ko) 2007-07-18

Family

ID=3849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013A KR100740782B1 (ko) 2006-07-03 2006-12-12 포켓 미서기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0456A (zh) * 2019-07-07 2019-09-13 泰州市毕加锁科技有限公司 门页隐藏式移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537Y1 (ko) 2000-05-31 2000-11-01 이동형 미닫이 창문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537Y1 (ko) 2000-05-31 2000-11-01 이동형 미닫이 창문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0456A (zh) * 2019-07-07 2019-09-13 泰州市毕加锁科技有限公司 门页隐藏式移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866B2 (en) Safe construction for swing and slide door
US8061082B2 (en) Window latch
KR101144650B1 (ko) 단열성이 향상된 강화유리 안전도어
US7543409B2 (en) Door pull and sash window having the door pull
KR100740782B1 (ko) 포켓 미서기 출입문
KR100907602B1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KR100989505B1 (ko) 도어 프레임
KR20110052625A (ko) 도어 어셈블리
KR102344812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을 향상한 미서기 창호
KR200381599Y1 (ko) 미닫이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크리센트
KR20070041842A (ko) 냉장고
JP4076908B2 (ja) トイレブースの扉装置
KR200486677Y1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KR20220037106A (ko) 폴딩도어용 열교방지 창호프레임
KR20200002257U (ko) 메탈도어 측면바
KR100354525B1 (ko) 도어프레임의 댐핑구조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KR200228920Y1 (ko) 도어 및 문틀구조
KR200242329Y1 (ko) 충격흡수용 문틀
KR200323602Y1 (ko) 일체형 이중창틀
KR200263712Y1 (ko) 방화문 결합구조물
KR102142072B1 (ko) 전체 탈부착이 가능하고 흡음성능이 향상된 버드세이프 흡음 투명 방음판 및 그 설치 공법
CN215803974U (zh) 淋浴房的滑轮限位结构及具有该滑轮限位结构的淋浴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