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419B1 -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419B1
KR100735419B1 KR1020050116902A KR20050116902A KR100735419B1 KR 100735419 B1 KR100735419 B1 KR 100735419B1 KR 1020050116902 A KR1020050116902 A KR 1020050116902A KR 20050116902 A KR20050116902 A KR 20050116902A KR 100735419 B1 KR100735419 B1 KR 10073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motion
foot
sensor data
mobile devic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438A (ko
Inventor
정은석
이기태
김옥현
신종필
윤성표
안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19B1/ko
Priority to US11/633,239 priority patent/US8021269B2/en
Publication of KR2007005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63B21/0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the produced electric power used as a source for other equipment, e.g. for TV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63B2071/0644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with display speed of moving landscape controlled by the user's perform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6Angular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발동작 감지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발동작을 인식하고, 발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나 휴대기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발동작에 따라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하여 휴대기기의 각 기능들의 조작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각 기능들을 재미있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발동작 인식, 엔터테인먼트 기능

Description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MOTION OF THE FO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이 구비된 운동화 일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발동작 일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발동작 일예도
도 7은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의 발동작에 따라 휴대기기 조작이 가능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과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사용되던 전자기기들이 무선화되고 소형화됨에 따라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TV, 뮤직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기기(이하 '휴대기기'라 함)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가 널리 이용되면서 그 휴대기기의 기능들을 쉽고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조작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기기의 조작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는 휴대기기의 조작방법으로 대부분 버튼을 누르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버튼이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하거나 더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나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기기에 지자계 센서나 가속도 센서 등을 장착하여 휴대기기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할 수 없거나 휴대기기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 휴대기기 조작이 불가능하며 여러 번 버튼을 눌러야하므로 번거롭다.
또한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방법은 주위의 소음이 크면 음성 인식이 어려워 휴대기기 조작이 불편하며 음성을 이용하므로 편리하고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더라도 정확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방법은 휴대기기 자체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이는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면서 그 휴대기기를 조작하기는 불편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기기 조작 방법들은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지만 그 조작의 과정 자체를 사용자에게 새롭거나 흥미로운 오락 기능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나 휴대기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 발동작에 따라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흥미로움과 재미를 느끼면서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발동작에 따라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기기에서 음악 연주 기능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이용 시 음악이 다양하게 표현되도록 발동작에 따라 휴대기기를 조작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발동작 감지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발동작을 인식하고, 발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동작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발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은 발동작 감지 모듈(100)과 휴대기기(200)를 포함한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사용자 발의 동작을 감지하며, 사용자 발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으면 떤 형태로든 제작 가능하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사용자가 발을 움직이면 사용자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휴대기기(200)는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용 기기로서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발동작을 인식하고, 발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조작을 수행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동작을 인식한 후 휴대기기(200)에 발동작 인식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인식 결과를 제공받아 휴대기기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의 발동작 인식 모듈(100)과 휴대기기(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발동작 인식 모듈(100)을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인식 모듈(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동작 인식 모듈(100)은 구동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메모리(140),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감지 요구에 따라 발동작 감지 모듈(100)을 구동시킨다. 발동작 감지 요구는 사용자가 발동작을 이용하여 휴대기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발동작 인식 모듈(100)에 발동작을 감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요구는 휴대기기(2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발동작 인식 모듈(100) 자체에서 인식될 수도 있다.
예컨대 휴대기기(200)에서 발동작 감지 요구가 발생한 경우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인식 모듈(100)에 발동작 감지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 구동부(110)는 그 발동작 감지 요구 신호에 따라 발동작 감지 모듈(100)을 구동시킨다. 또한 발동작 인식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접촉식 및/또는 자석식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되는 구동부(110)를 가지고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접촉이 있으면 발동작 인식 모듈(100)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접촉식 및/또는 자석식 센서는 도 1의 참조번호 10과 같이 좌우 신발 안쪽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좌우 양 발을 부딪치는 동작이 감지되면 이를 구동부(110)로 전달하여 발동작 인식 모듈(100)이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센서부(120)는 압력센서(121), 충격센서(122), 자이로 센서(123), 가속도 센서(124)를 포함하며, 각 센서들은 발동작 인식 모듈(100)이 구동됨에 따라 발동작에 의한 센서값을 출력한다.
압력센서(121)는 발동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고 발동작에 의한 압력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센서값을 출력한다. 충격센서(122)는 발동작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고 발동작에 의한 충격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센서값을 출력한다. 자이로 센서(123)는 발동작의 방향을 감지하고 발동작 방향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센서값을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124)는 발동작의 속도를 감지하고 발동작 속도 감지 결과에 해당하는 센서값을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발동작 인식 모듈(100)이 구동됨에 따라 센서부(120)의 각 센 서값들을 수신하여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의 각 센서값들로부터 발동작을 인식한 후, 발동작 인식 결과를 휴대기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거나,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들을 휴대기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제어부(130)가 발동작 인식을 수행할 경우 각 센서 데이터들로부터 발동작 인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는 적외선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기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들을 휴대기기(200)로 전송하거나, 발동작 센서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발동작 인식 결과를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특수한 신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신발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신발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구비된 운동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구비된 운동화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구비된 운동화에 대한 측 단면도이다. 도 3의 (c)는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구비된 운동화의 바닥면을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감지 모듈(100)의 센서들(121~124), 제어부(130), 메모리(14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0)은 운동화의 바닥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c)를 참조하면, 압력 센서(121) 및 충격 센서(122)는 발의 압력 및 충격이 정확히 감지될 수 있도록 운동화 바닥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이로 센서(123) 및 가속도 센서(124)는 발의 움직임 속도 및 방향이 정확히 감지될 수 있도록 발바닥의 중앙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 메모리(140),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50)은 발에 의한 압력 및 충격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발바닥의 뒤꿈치와 중앙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휴대기기(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2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4), 발동작 인식부(206), 제어부(208), 메모리(210), 표시부(212), 무선부(214),오디오부(216)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04)는 적외선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동작 감지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204)는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들을 수신하거나, 발동작 인식 결과를 수신한다.
발동작 인식부(20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4)를 통해 수신된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발동작을 인식하고, 발동작 인식 결과를 제어부(208)로 출력한다. 이러한 발동작 인식부(206)는 단일 발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고, 복수 발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단일 발동작은 한 번의 발동작이고, 복수 발동작은 두 번 이상의 발동작이다.
먼저 단일 발동작을 예를 들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일 발동작 일예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양 발을 서로 부딪히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의 (b)는 발을 직선으로 전진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의 (c)는 발을 직선으로 후진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의 (d)는 발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의 (e)는 발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의(f)는 발 구르기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한편, 복수 발동작을 예를 들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발동작 일예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양발을 서로 부딪히고 나서(1) 발을 직선으로 전진(2)시킨 후, 전진시킨 발을 다시 오른쪽 방향으로 꺽는(3)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b)는 발을 바닥에서 떼어 상 방향으로 들어올렸다가(1) 하방향으로 내리는(2)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c)는 발을 직선으로 전진했다가(1) 후진하는(2)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d)는 발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1)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2)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e)는 발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1)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2)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f)는 발을 구르고(1) 나서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2)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g)는 발 을 구르고(1) 나서 왼쪽으로 회전시키는(2) 동작을 나타낸다.
발동작 인식부(206)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단일 발동작 및 복수 발동작 각각에 의한 센서 임계값을 미리 저장하고, 센서 데이터 값이 미리 저장된 단일 발동작 또는 복수 발동작 중 어느 하나의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이 수행된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208)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04) 또는 발동작 인식부(206)를 통해 발동작 인식 결과를 수신하고, 발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08)는 미리 저장된 각 발동작에 대응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발동작에 대응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08)는 도 5의 (a) 내지 (f)와 같은 단일 발동작들 및 도 6의 (a) 내지 (g)와 같은 복수 발동작들 중 어느 하나의 발동작이 인식되면 그 발동작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정보에 따라 해당 조작 명령 또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8)는 발동작에 따라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거나, 각 센서 데이터들로부터 발동작 인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10)는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 등과 같은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각 발동작에 대응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 수행 명령을 저장한다. 이때 각 발동작에 대응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제조시 제조자에 의해 지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표시부(212)는 액정 표시 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 인식을 이용한 기능 수행 시 발생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무선부(214)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며, 수신된 무선신호를 제어부(208)로 제공하고, 제어부(208)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이동통신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오디오부(216)는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제어부(208)의 제어 하에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디지털 변환하여 제어부(208)로 출력하고 제어부(208)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부(216)는 탭댄스 기능에 따라 생성된 음악 데이터 또는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따른 멜로디 악기 연주 데이터 또는 뮤직 플레이 기능에 따른 뮤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7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발동 작 감지 요구를 수신한다. 발동작 감지 요구는 사용자가 발동작을 이용하여 휴대기기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발동작 인식 모듈(100)에 발동작을 감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요구는 휴대기기(2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발동작 인식 모듈(100) 자체의 구동부(110)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휴대기기(200)에서 발동작 감지 요구가 발생한 경우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인식 모듈(100)에 발동작 감지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발동작 인식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접촉식 및/또는 자석식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되는 구동부(110)를 가지고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접촉이 있으면 이를 발동작 감지 요구로 인식한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감지 요구가 수신되면 704단계에서 구동부(10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의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가 구동되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706단계에서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컨대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압력 센서 데이터, 충격 센서 데이터, 지자기 센서 데이터, 가속도 센서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708단계에서 각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710단계에서 센서 데이터에 해당하는 발동작을 인식한다. 예컨대 휴대기기(200)는 미리 지정된 발동작에 대한 센서 임계값을 저장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이 미리 저장된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을 인식한다. 이때 미리 지정된 발동작은 단일 발동작일 수도 있고 복수 발동작일 수도 있다.
이때 센서 데이터에 해당하는 발동작 인식 과정은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센서 데이터에 해당하는 발동작을 인식하는 경우,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 데이터를 휴대기기(100)로 전송하지 않고, 센서 데이터로부터 발동작을 인식한 후, 발동작 인식 결과를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휴대기기(200)는 발동작이 인식되면, 712단계에서 발동작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한다. 즉, 휴대기기(200)는 인식된 각 발동작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기기(200)는 각 발동작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또는 기능 정보에 따라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탭댄스 기능은 사용자의 발동작을 이용하여 탭댄스 음악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은 사용자의 발동작을 이용하여 멜로디 음악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뮤직 플레이어 기능은 사용자의 발동작을 이용하여 뮤직 플레이어를 동작시키는 기능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이 발 동작을 이용하여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동작을 이용하여 탭댄스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에서 탭댄스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기기(200)는 8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탭댄스 기능 요구를 입력받는다. 만약 사용자에 의한 탭댄스 기능 요구가 입력되면 휴대기기(200)는 804단계에서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 탭댄스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인식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접촉식 및/또는 자석식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되는 구동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접촉이 있으면 이를 탭댄스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로 인식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탭댄스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가 있으면 806단계에서 구동부(11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을 구동시킨다. 즉,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구동부(11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의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가 구동되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808단계에서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컨대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압력 센서 데이터, 충격 센서 데이터, 지자기 센서 데이터, 가속도 센서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810단계에서 각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센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812단계에서 센서 데이터로부터 탭댄스에 해당하는 발구르기 동작을 인식한다. 예컨대 휴대기기(200)는 탭댄스에 해당하는 발구르기 동작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 임계값을 미리 저장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이 미리 저장된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이 탭댄스에 해당하는 발구르기 동작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탭댄스에 해당하는 발구르기 동작 인식 과정은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탭댄스에 해당하는 발구르기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 데이터를 휴대기기(100)로 전송하지 않고, 센서 데이터로부터 탭댄스에 해당하는 발구르기 동작을 인식한 후, 그 인식 결과를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기기(200)는 814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각 발구르기 동작의 강약 및 장단을 판단한다. 즉, 휴대기기(200)는 얼마나 강하게 발구르기 동작이 이루어졌는지와 얼마나 오래 발구르기 동작이 지속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나서 휴대기기(200)는 816단계에서 각 발구르기 동작의 강약 및 장단에 따라 탭댄스 음악을 생성한다. 이때 휴대기기(200)는 발구르기 동작의 강약 및 장단마다 그에 대응되는 탭댄스 음원을 미리 저장하고, 각 발구르기 동작의 강약 및 장단에 해당하는 탭댄스 음원을 조합하여 탭댄스 음악을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기기(200)는 818단계에서 탭댄스 음악을 오디오부(216)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때 휴대기기(200)는 탭댄스 음악을 메모리(210)에 저장했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동작을 이용하여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에서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기기(200)는 9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요구를 입력받는다. 만약 사용자에 의한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요구가 입력되면 휴대기기(200)는 904단계에서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인식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접촉식 및/또는 자석식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되는 구동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접촉이 있으면 이를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로 인식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가 있으면 906단계에서 구동부(11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을 구동시킨다. 즉,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구동부(11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의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가 구동되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908단계에서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 집한다. 예컨대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압력 센서 데이터, 충격 센서 데이터, 지자기 센서 데이터, 가속도 센서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910단계에서 각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센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912단계에서 센서 데이터로부터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을 인식한다. 예컨대 휴대기기(200)는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대응된 발동작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 임계값을 미리 저장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이 미리 저장된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이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 인식 과정은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는 경우,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 데이터를 휴대기기(100)로 전송하지 않고, 센서 데이터로부터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을 인식한 후, 그 인식 결과를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기기(200)는 914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각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음계를 판단한다. 이때 휴대기기(200)는 미리 저장된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음계를 이용하여 각 발동작의 방향에 해당하는 음계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휴대기기(200)는 앞, 뒤, 좌, 우에 해당하는 4방향과 각 방향 사이의 대각선 4방향 각각에 대응하여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와 같은 8음계를 저장하고, 각 발동작의 방향에 해당하는 음계를 판단한다.
각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음계 판단 후, 휴대기기(200)는 916단계에서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음계에 따라 멜로디를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기기(200)는 918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멜로디를 오디오부(216)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때 휴대기기(200)는 생성된 멜로디를 메모리(210)에 저장했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동작을 이용하여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에서 뮤직 플레이어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기기(200)는 1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뮤직 플레이어 기능 요구를 입력받는다. 만약 사용자에 의한 뮤직 플레이어 기능 요구가 입력되면 휴대기기(200)는 14단계에서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인식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접촉식 및/또는 자석식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되는 구동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접촉이 있으면 이를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로 인식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위한 발동작 감지 요구가 있 으면 16단계에서 구동부(11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을 구동시킨다. 즉,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구동부(110)를 통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의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가 구동되면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18단계에서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예컨대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부(120)를 통해 발동작에 의한 압력 센서 데이터, 충격 센서 데이터, 지자기 센서 데이터, 가속도 센서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20단계에서 각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적외선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기기(200)는 발동작 감지 모듈(100)로부터 센서 데이터가 수신되면 22단계에서 센서 데이터로부터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 및 압력을 인식한다. 예컨대 휴대기기(200)는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대응된 발동작 방향 및 압력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 임계값을 미리 저장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들이 미리 저장된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이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 및 압력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 및 압력 인식 과정은 발동작 감지 모듈(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발동작 감지 모듈(100)이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 및 압력을 인식하는 경우, 발동작 감지 모듈(100)은 센서 데이터를 휴대기기(100)로 전송하지 않고, 센서 데이터로부터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해당하는 발동작 방향 및 압력을 인식한 후, 그 인식 결과를 휴대기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기기(200)는 24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각 발동작 방향 및 압력에 대응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을 판단한다. 이때 휴대기기(200)는 미리 저장된 발동작 방향 및 압력에 대응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각 발동작의 방향 및 압력에 대응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휴대기기(200)는 앞, 뒤, 좌, 우에 해당하는 4방향과 그 방향 움직임 후의 압력에 대응하여 앞으로 감기(FF), 뒤로 감기(REW), 재생(PLAY), 정지(STOP)와 같은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을 저장하고, 각 발동작의 방향 및 압력에 해당하는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을 판단한다.
그리고 각 발동작 방향 및 압력에 대응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 판단 후, 휴대기기(200)는 26단계에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에 따라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명에서는 몇 가지 단일 발동작 및 복수 발동작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언급된 발동작 외에 여러 가지 다른 단일 발동작 및 복수 발동작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명에서는 발동작을 이용하여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은 상기 기능들 외에 전화통화 기능, 일정관리 기능, TV보기 기능, 알람기능 등 휴대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나 휴대기기를 휴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발동작에 따라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동작을 인식하여 휴대기기를 조작함으로써 휴대기기의 각 기능들의 조작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각 기능들을 재미있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동작으로 휴대기기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더 흥미롭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동작에 따라 탭댄스 음악을 생성하거나 멜로디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악 창작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동작으로 음의 강약, 단장, 멜로디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박자/리듬/템포/악센트를 발로 조절하면서 음악을 생성 및 연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4)

  1.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발동작 감지 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고,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감지 모듈은 상기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고, 발동작 방향 인식결과를 상기 휴대기기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감지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휴대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기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고,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를 상기 휴대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방향 감지 요구에 따라 상기 발동작 감지 모듈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방향 감지 요구는 상기 휴대기기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방향 감지 요구는 상기 발동작 인식 모듈에서 인식되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발동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와,
    발동작에 의한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충격 센서와,
    발동작의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발동작 방향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와,
    발동작의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발동작 속도에 해당하는 센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휴대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발동작 감지 모듈로부터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는 발동작 인식부와,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휴대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인식부는 발동작 각각에 의한 센서 임계값을 미리 저장하고, 센서 데이터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발동작의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이 수행된 것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인식부는 단일 발동작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인식부는 복수 발동작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동작 방향이 인식되면 미리 저장된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및 기능정보에 따라 해당 조작 명령 또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휴대기기 조작 명령 및 기능정보는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18.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방향 감지 요구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방향 감지 요구는 휴대기기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동작 방향 감지 요구는 발동작 인식 모듈에 의해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발동작에 의한 압력 및 충격과 발동작 방향, 발동작 속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 결과, 발동작에 의한 압력 센서 데이터, 충격 센서 데이터, 지자기 센서 데이터, 가속도 센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은,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 값이 상기 미리 저장된 발동작의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동작 방향에 의한 센서 데이터값이 미리 저장된 발동작의 센서 임계값에 해당하면 그 발동작 방향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은 단일 발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은 복수 발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휴대기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탭댄스 기능, 멜로디 악기 연주 기능, 뮤직 플레이어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탭댄스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발구르기 동작의 강약 및 장단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구르기 동작의 강약 및 장단에 따라 탭댄스 음악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탭댄스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탭댄스 음악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멜로디 음악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음계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동작 방향에 대응된 음계에 따라 멜로디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멜로디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멜로디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발동작 방향 인식 결과에 따라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인식된 발동작 방향 및 압력에 대응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발동작 방향 및 압력에 대응된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에 따라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플레이어 제어 명령은 앞으로 감기(FF), 뒤로 감기(REW), 재생(PLAY), 정지(STOP) 명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방법.
KR1020050116902A 2005-12-02 2005-12-02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KR10073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902A KR100735419B1 (ko) 2005-12-02 2005-12-02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US11/633,239 US8021269B2 (en) 2005-12-02 2006-12-05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portable equipment using foot mo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902A KR100735419B1 (ko) 2005-12-02 2005-12-02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438A KR20070057438A (ko) 2007-06-07
KR100735419B1 true KR100735419B1 (ko) 2007-07-04

Family

ID=3819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902A KR100735419B1 (ko) 2005-12-02 2005-12-02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21269B2 (ko)
KR (1) KR100735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8963A (zh) * 2008-12-05 2016-0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团体运动环境中的运动表现监测***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0313B2 (ja) * 2005-07-27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の生成装置
US20080229914A1 (en) * 2007-03-19 2008-09-25 Trevor Nathanial Foot operated transport controller for digital audio workstations
US8702430B2 (en) 2007-08-17 2014-04-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US8221290B2 (en) 2007-08-17 2012-07-1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electronic gaming featur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360904B2 (en) 2007-08-17 2013-01-29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sport ball, and applications thereof
DE202007018166U1 (de) * 2007-12-29 2009-05-20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S8088044B2 (en) 2008-03-03 2012-01-03 Nike, Inc. Interactive athletic equipment system
US20100115799A1 (en) * 2008-11-13 2010-05-13 Brady Welter Shoe Apparatus
US8231506B2 (en) 2008-12-05 2012-07-31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in a team sports environment
US8628453B2 (en) 2008-12-05 2014-01-14 Nike, Inc.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in a team sports environment
DE102008062276B3 (de) * 2008-12-15 2010-09-09 Cairos Technologies Ag System und Verfahren zur Ballbesitzerkennung mithilfe eines passiven Feldes
US8831407B2 (en) 2010-11-10 2014-09-09 Nik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ime-based athletic activity measurement and display
CA2827501A1 (en) 2011-02-17 2012-08-23 Nike International Ltd. Location mapping
US20130090213A1 (en) * 2011-03-25 2013-04-1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xercise-Based Entertainment And Game Controller To Improve Health And Manage Obesity
CN103196460B (zh) * 2013-03-18 2015-12-02 北京邮电大学 一种估计步长的方法和装置
US20150040437A1 (en) * 2013-08-07 2015-02-12 Joseph Ibetoh Easy-on talking and detection shoes for kids
KR102266344B1 (ko) * 2014-03-12 2021-06-1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사용자의 발 모션에 따른 초음파 기기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45981A (ko) * 2015-06-11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180733B2 (en) * 2015-12-22 2019-01-15 Kindred System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oot control of robots
US11478037B2 (en) * 2016-07-06 2022-10-25 Msg Entertainment Group, Llc Wireless microphon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262850B2 (en) * 2016-07-20 2022-03-01 Autodesk, Inc. No-handed smartwatch interaction techniques
US10176691B2 (en) * 2017-06-07 2019-01-08 Rachanee L. Smoak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9147742A (zh) * 2018-10-31 2019-01-04 北京戴乐科技有限公司 一种音乐控制***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889A (ja) * 1987-12-24 1989-07-03 Yamaha Corp 楽音制御装置
JPH0968973A (ja) * 1995-08-31 1997-03-11 Yamaha Corp 楽音制御方法および楽音制御装置
KR200362439Y1 (ko) 2004-03-05 2004-09-20 이철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KR20050049345A (ko) * 2003-11-20 2005-05-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재생모드 제어장치 및 재생모드 제어방법
KR20060037642A (ko)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진단 기능을 갖는 신발 및 이를 구비한 건강 진단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8769A (en) * 1983-02-09 1986-03-25 Nike, Inc. Device for determining the speed, distance traversed, elapsed time and calories expended by a person while running
DE3405081A1 (de) * 1984-02-13 1985-08-14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fuer laufdisziplinen und verfahren zur informationsabgabe und/oder zum informationsaustausch ueber bewegungsablaeufe bei laufdisziplinen
US4660305A (en) * 1985-12-17 1987-04-28 Medler Charles E Tap dance shoe including integral electromechanical energy conversion means
US5139261A (en) * 1989-09-15 1992-08-18 Openiano Renato M Foot-actuated computer game controller serving as a joystick
US5467652A (en) * 1994-01-03 1995-11-21 Richards; Katy S.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ponse parameters of a runner to a start signal
US5461188A (en) * 1994-03-07 1995-10-24 Drago; Marcello S. Synthesized music, sound and light system
US5615111A (en) * 1994-05-23 1997-03-25 Solefound, Inc. Record and playback means for footwear
US5855080A (en) * 1997-09-30 1999-01-05 Van Staden; Will H. Musical shoe construction
EP0977974B1 (en) * 1998-02-25 2004-10-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system for measuring performance during an exercise activity
US6326539B1 (en) * 1998-06-30 2001-12-04 Yamaha Corporation Musical tone control apparatus and sensing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6315571B1 (en) * 1998-11-13 2001-11-13 Chosun International, Inc. Slipper with musical and rhythmic stimulation
US6358187B1 (en) * 1999-05-19 2002-03-19 Carl M. Smith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exertion data
US6585622B1 (en) * 1999-12-03 2003-07-01 Nike, Inc. Interactive use an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and rewar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6430843B1 (en) * 2000-04-18 2002-08-13 Nike, Inc. Dynamically-controlle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6428449B1 (en) * 2000-05-17 2002-08-06 Stanford Apseloff Interactive video system responsive to motion and voice command
US6599255B2 (en) * 2001-05-31 2003-07-29 Rehabilitation Institute Of Chicago Portable intelligent stretching device
US7188439B2 (en) * 2003-03-10 2007-03-1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7225565B2 (en) * 2003-03-10 2007-06-0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Intelligent footwear systems
US7373820B1 (en) * 2004-11-23 2008-05-20 James Terry L Accelerometer for data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US7299034B2 (en) * 2005-06-21 2007-11-20 Lawrence Kates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electronics
US20070006489A1 (en) * 2005-07-11 2007-01-11 Nike, Inc. Control systems and foot-receiving device products containing such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889A (ja) * 1987-12-24 1989-07-03 Yamaha Corp 楽音制御装置
JPH0968973A (ja) * 1995-08-31 1997-03-11 Yamaha Corp 楽音制御方法および楽音制御装置
KR20050049345A (ko) * 2003-11-20 2005-05-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재생모드 제어장치 및 재생모드 제어방법
KR200362439Y1 (ko) 2004-03-05 2004-09-20 이철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KR20060037642A (ko)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진단 기능을 갖는 신발 및 이를 구비한 건강 진단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8963A (zh) * 2008-12-05 2016-0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团体运动环境中的运动表现监测***和方法
CN105288963B (zh) * 2008-12-05 2018-04-1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团体运动环境中的运动表现监测***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21269B2 (en) 2011-09-20
US20070149361A1 (en) 2007-06-28
KR20070057438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419B1 (ko)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US8184100B2 (en) Inertia sensing input controller and receiver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thereof
US75195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bo-manual gesture interface
JP6043891B1 (ja) 履物、音声出力システム及び出力制御方法
EP2237132B1 (en) Input method for detecting the gravity center position of the user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126114B2 (en) Storage medium, input termina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158253B1 (ko) 게임장치, 게임제어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JP4679431B2 (ja) 音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音出力制御装置
JP2009536765A (ja) 加速度計データに基づいて、振りの衝撃の時期および/または振りの強度を検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306070A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TWI392532B (zh) 遊戲裝置、遊戲裝置之控制方法及資訊記錄媒體
US20170087455A1 (en) Filtering controller input mode
US20140248956A1 (en) Game device, control method of game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4203115B1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ケース、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4959481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2001252470A (ja) ビデオゲーム装置
WO2006098299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情報入力装置
KR100347837B1 (ko) 리듬 앤드 댄스 게임 제어장치 및 풋 키
CN111494927A (zh) 具有触觉反馈的迷宫和生成迷宫触觉反馈的方法
JP2012115422A (ja) 入力判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247885A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ケース、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JP2012239760A (ja) 方向制御システム、方向制御装置、方向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方向制御方法
JP5667847B2 (ja) 音楽演奏プログラム、音楽演奏装置、音楽演奏方法および音楽演奏システム
JP2012065833A (ja)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3703982B2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