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890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890B1
KR100725890B1 KR1020050016750A KR20050016750A KR100725890B1 KR 100725890 B1 KR100725890 B1 KR 100725890B1 KR 1020050016750 A KR1020050016750 A KR 1020050016750A KR 20050016750 A KR20050016750 A KR 20050016750A KR 100725890 B1 KR100725890 B1 KR 100725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ce
input
character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271A (ko
Inventor
가즈히꼬 미야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2Stiffening inser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8Stay means using specif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음성으로 입력된 정보는, 습음부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음성 신호는, 로컬 피드백부에서 피드백되며, 음성 인식부에서 음성 인식되어 문자 코드로 변환되고, 이 문자 코드가 폰트 변환부에서 폰트로 변환되어, 표시부에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입력한 그 자리에서 입력 내용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로컬 피드백을 가진 마이크로폰 장치 등의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습음부, 음성 신호, 문자 코드, 로컬 피드백부, 폰트 변환부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1인 마이크로폰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폰 장치의 외관과, 사용 중인 모습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폰 장치와 외부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폰 장치와 외부 장치로 구성되는 다른 시스템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폰 장치와 외부 장치로 구성되는 또 다른 시스템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2인 마이크로폰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인 마이크로폰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4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5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6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7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12는 도 1의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일례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마이크로폰부 및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음성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도 1의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다른 구조의 일례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마이크로폰부 및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음성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마이크로폰부에서의 습음부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2의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제1 예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마이크로폰부 및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음성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마이크로폰부에서의 습음부를 형성하고, 로컬 피드백부의 발음부를 상기 기판과는 별도로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도 2의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제2 예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마이크로폰부 및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음성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발음부를 형성하고, 마이크로폰부의 습음부를 상기 기판과는 별도로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도 2의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제3 예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마이크로폰부 및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음성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발음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습음부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도 2의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제4 예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마이크로폰부 및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마이크로폰부의 음성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발음부 겸 마이크로폰부의 습음부인 음원부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0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일례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터치 패널부의 영상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도 11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일례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터치 패널부의 영상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형성하고, 로컬 피드백부의 발음부를 상기 기판과는 별도로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도 11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다른 일례로서, 표시부가 형성되는 기판에, 표시부 구동 회로와 함께, 로컬 피드백부의 각 회로부와, 터치 패널부의 영상 신호 출력부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와, 로컬 피드백부의 발음부를 형성한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습음부
7 : 음성 신호 출력부
11 : 앰프부
12 : ADC부
13 : 음성 인식부
14 : 폰트 변환부
16 : 문자 코드 출력부
17 : 영상 신호 출력부
30 : 마이크로폰부
31 : 로컬 피드백부
[문헌1] 일본 특개평1-95322호 공보(1989년 4월 13일)
[문헌2] 일본 특개평1-155430호 공보(1989년 6월 19일)
[문헌3] 일본 특개2000-347807호 공보(2000년 12월 15일)
[문헌4] 일본 특개평1-131951호 공보(1989년 5월 24일)
[문헌5] 일본 특개평5-120258호 공보(1993년 5월 18일)
본 발명은,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장치나, 펜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 따라 전위의 변화나 전류 변화를 발생하고, 그 변화를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 등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로부터의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측의 장치인 외부 장치에,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해 입력된다.
예를 들면, 문헌1 : 일본 특개평1-95322호 공보(1989년 4월 13일 공개) 및 문헌2 : 일본 특개평1-155430호 공보(1989년 6월 19일 공개)에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장치에 입력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문헌1은, 음성 인식 장치에서 문자 정보로 변환된 정보가 음성 인식 장치와 접속된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문헌2는, 마이크로폰과 발화자를 촬상하고, 이것을 화상 처리하여 마이크로폰과 발화자의 입의 위치 관계를 검출 하며, 그 결과에 기초하여 발화자에게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음성 인식 장치에의 음성의 입력을 확실하게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펜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전위의 변화나 전류 변화로부터,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순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등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도 종래에서는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0-347807호 공보(2000년 12월 15일), 일본 특개평1-131951호 공보(1989년 5월 24일), 및 일본 특개평5-120258호 공보(1993년 5월 18일)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컴퓨터 단말기 등의 전기 신호를 수취하는 측의 외부 장치 등에 입력되어, 그 외부 장치의 표시부 등에 문자 등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입력 장치의 구성에서는, 마이크로폰 장치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나, 입력된 정보의 확인은, 정보를 받는 측의 외부 장치에 정보가 보내어져, 외부 장치측에서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하여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입력 장치가,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비하여 수십미터나 떨어진 장소로부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리스 마이크로폰 장치인 경우, 그 마이크로폰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한 유저는, 입력이 확실하게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수미터 이상의 거리를 이동하여 외부 장치측의 표시부 등을 보고 확인할 필요가 있어, 그 자리에서 간단히 입력 내용을 확인한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최근 IT 기술의 진전으로 음성에 의해 기기를 제어하는 용도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기기가 반응하는 적절한 음량으로 발화되어 있는지, 혹은 기기가 반응하는 적확한 발화가 되어 있는지 등의 지표를 얻기 위해서는, 유저의 그 시스템에의 습숙의 정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단순한 확성기 시스템에서도 입력이 적절하게 행해졌는지를 입력 기기측에서 알 방법은 없었다.
이것은,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비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와이어리스 시스템에 한하지 않고, 거리가 떨어진 외부 장치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유선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CAD 등의 전자 도면 작성 장치와 입력 타블렛의 접속과 같은, 근거리에서 접속되는 경우라도, 입력이 최종 정보 이용 시스템에 반영되지 않는 장해 발생 시에, 입력 기기측의 문제로 정보가 나오지 않는 것인지, 외부 장치(외부 기기)측의 문제인지를 판단하는 데 간편하고 신속한 판단 지표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최근에는, 네트워크 인프라 스트럭쳐나 서비스의 발전에 의해, 주된 정보 처리를 행하는 기능까지를 항상 일체화, 또는 일계통으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호스트라는 형태로 외부 장치(외부 기기)로서 분리하고, 특정, 혹은 불특정의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특히 싱클라이언트로 불리는 형태로 마이크로폰 장치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만을 단독의 장치 혹은 기기로서 이용함으로써 휴대성을 확보하고, 이용 범위와 용도를 확충하는 것도 요구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경우, 이용자는 위치 감각이나 시각적으로 자기 의식으로서 무의식적인 조작 확인을 행하면서 작업을 진행시키고 있다. 그러 나, 동일 감각 기관에 의한 자기 확인에 의지하게 되기 때문에, 착각에 의한 오류나, 계속 조작 시의 집중력 저하나 신경 자극에의 익숙함에 의한 오류 등이 시간과 함께 증가할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한 그 자리에서 입력 내용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로컬 피드백 기능을 가진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전기 신호, 광 신호 등)를 신호 출력부로부터 본 장치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 혹은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는, 전기 신호 등으로 변환되어 외부 장치로 보내어질 뿐만 아니라, 로컬 피드백부에 의해, 피드백되어 표시 혹은 음성으로써 출력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저는, 표시를 보거나 혹은 음성을 들음으로써,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입력이면 소리가 작은 등의 이유로, 외부 장치에의 전기 신호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그 상황을 그 자리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소리를 크게 하는 등의 입력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확실한 정보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항상 안심하고 입력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신호(입력 정보를 피드백한 신호)의 유무에 의해, 입력 장치측이 올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도 제공된다. 따라서, 입력 장치 가, 수시 호스트에 접속되는 상기 싱클라이언트와 같은 경우에는, 기능의 셀프 체크 기능으로도 된다.
또한, 음성 입력의 상황 파악을 표시로 행하는 경우에는, 입력과는 다른 감각 기관에서의 확인을 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의 오류 등을 저감하여,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입력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접촉 혹은 근접된 선단물을 검출하여 순차적으로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좌표 정보 검출부를 구비하고, 그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좌표 정보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그 좌표 정보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외부 장치로 보내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 등의 입력 장치에서, 좌표 정보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한 입력 정보가, 로컬 피드백부에 의해, 피드백되어 음성 출력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저는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한 입력에서, 피드백한 입력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등의, 좌표 정보 검출부로부터의 입력과는 관계가 없는 감각 기관인 귀를 이용한 확인이기 때문에, 좌표 정보 검출부로부터의 입력을, 그 입력에 관계가 있는 감각 기관, 즉, 눈을 이용한 표시에 의한 확인에 비해,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1인 마이크로폰 장치(1)의 외관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장치(1)는, 외관상은, 집음 구멍(2)이 형성되며, 유저가 양손 혹은 한쪽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형상을 갖고 있다. 기본적으로, 종래의 마이크로폰 장치와의 외관상의 상위는, 표시부(3)를 갖고 있는 점이지만, 종래의 마이크로폰 장치의 외관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이크로폰 장치(1)의 형상으로서는, 반드시 도 2와 같은 박형의 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표시부(3)를 탑재할 필요상, 원통형의 마이크로폰 장치에서는 플랫한 표시부를 넓게 확보할 수 없기 때문, 마이크로폰 장치(1)는, 직방체형 등의 마이크로폰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3)를 구성하는 표시 소자로서는, 박막층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박막 소자에 의해 구동 가능한 표시부이면 되고, LCD 외에,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나, 압전 소자나 마이크로머신 등으로 가동의 화소부를 제어하여 입사광의 반 란 또는 산란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소자나, FED(Field Emission Display) 방식을 적용한 소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이러한 마이크로폰 장치(1)의 구성을 기능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1의 마이크로폰 장치(1)는, 주로, 마이크로폰부(30)와, 로컬 피드백부(31)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폰부(30)는, 입력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장치 본래의 기능부이다. 이 마이크로폰부(30)는, 상세하게는, 습음부(4), 앰프부(1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부(12), 및 음성 신호 출력부(7)를 포함하고 있다.
습음부(4)는, 집음 구멍(2)으로부터 취득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 전기 신호는, 앰프부(11)로 출력되며, 앰프부(11)에서 증폭된 후, 음성 신호 출력부(7)에 보내어지고, 여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받는 측의 장치인 후술하는 외부 장치(100)(도 3 참조)로 출력된다.
로컬 피드백부(31)는, 상기 마이크로폰부(30)가 습음부(4)로부터 취득하여 음성 신호 출력부(7)로부터 출력하는 음성 신호의 내용을 음성 인식하고, 그 결과를 폰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이 로컬 피드백부(31)는,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부(13), 폰트 변환부(14), 폰트 메모리(14a), 및 표시부(LCD)(3)를 포함하고 있다.
음성 인식부(13)는, 입력된 음성 신호에 대한 문자 코드를 식별하여 출력한다. 마이크로폰부(30)에서의 ADC부(12)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는, 이 음성 인식 부(13)에서 문자 코드로 변환되어 폰트 변환부(14)로 출력된다. 폰트 변환부(14)는, 폰트 메모리(14a)에 저장된 폰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부(13)로부터 입력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폰트 변환부(14)에서, 문자 코드는, 폰트 데이터로 변환되어, 영상 신호로서 표시부(3)로 보내어진다. 표시부(3)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폰트를 표시한다.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는, 로컬 피드백부(31)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혹은 영상 신호를, 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는, 문자 코드 출력부(16)와 영상 신호 출력부(17)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로서는, 문자 코드 출력부(16) 및 영상 신호 출력부(17) 중 어느 한쪽의 출력부만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문자 코드 출력부(16)는, 음성 인식부(13)로부터 입력된 문자 코드를, 문자 코드를 수취하는 측의 장치인 후술하는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영상 신호 출력부(17)는, 폰트 변환부(14)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를 수취하는 측의 장치인 후술하는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의 마이크로폰 장치(1)에서는, 유저가, 예를 들면 "/てすと/"로 발화하면, 그 음성은, 마이크로폰부(30)에서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 신호 출력부(7)로부터 출력되는 한편, 로컬 피드백부(31)에 의해, 음성 인식되어, 폰트로 변환됨으로써, 표시부(3)에 피드백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입력 음성의 음량 등에 문제가 없으면, "てすと"라고 발화의 내용에 대응하는 폰트가 표시된다. 이 에 대하여, 소리가 작거나, 명료한 음성이 아니거나 하면, 표시부(3)에는 어떠한 것도 표시되지 않거나, 틀린 내용이 폰트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폰 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유저는, 입력한 그 자리에서, 입력 내용을 간단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져, 문제가 없으면, 그 상태 그대로 입력을 계속하고, 문제가 있으면, 소리를 크게 하거나, 발음을 명료하게 하는 등의 대응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입력 상태에 불안을 느끼지 않고, 확실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내용의 확인은, 음성에 의한 입력에서, 피드백한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소리와는 관계가 없는 감각 기관인 눈을 이용한 확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성에 의한 입력을, 소리에 관계가 있는 감각 기관, 즉, 귀를 이용한 음성 출력에 의한 확인에 비해,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드백 신호(입력 정보를 피드백한 신호)의 유무에 의해, 입력 장치인 마이크로폰 장치(1)측이 올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도 제공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장치(1)가, 수시 호스트에 접속되는 상기 싱클라이언트와 같은 경우에는, 기능의 셀프 체크 기능으로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음성 인식부(13)에 제공되는 알고리즘이나 파라미터의 조정에 의해, 외부 장치에서 필요로 되는 입력 레벨의 판단 기준으로 되는 피드백 동작의 깊이의 조정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마이크로폰 장치(1)에서는, 로컬 피드백부(31)에서 생성 되는 문자 코드와 영상 신호를, 장치 밖으로 출력할 수 있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에서의 문자 코드 출력부(16), 혹은 영상 신호 출력부(17)와, 외부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피드백된 내용을, 문자 코드나 영상 신호로서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장치(1)는, 마이크로폰 장치이면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키보드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나 CCD 카메라 등의 촬상 디바이스 등의 대체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 장치(1)는, 합성된 음성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또한, 물론이지만,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는, 로컬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 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로컬 피드백에 의한 입력 정보의 확인에는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폰 장치(1)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것은, 후술하는 모든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에,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이크로폰 장치(1)와, 음성 신호를 수취하는 제1 외부 장치로서의 외부 기기(100), 및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문자 코드를 각각 수취하는 제2 외부 장치로서의 외부 기기(101, 102)로 구성하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도시한다.
외부 기기(100)는, 마이크로폰 장치(1)와 유선으로 접속되는 통상의 마이크잭을 구비한 기기나, 마이크로폰 장치(1)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측 무선 설비나 수신기 등이며, 어쨌든, 음성 신호 입력부(100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외부 장치(101)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형식의 정보를 취급하는 호스트 시스템 등이어도 되고, 어쨌든, 영상 신호 입력부(101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외부 장치(101)와 마이크로폰 장치(1)의 접속도, 유선·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외부 장치(102)는,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형식의 정보를 취급하는 호스트 시스템 등이어도 되고, 어쨌든, 문자 코드 입력부(102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외부 장치(102)와 마이크로폰 장치(1)의 접속도, 유선·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도 3은 퍼스낼리티가 마이크로폰 장치(1)를 이용하여 음성을 입력하고, 동시에 믹싱, 모니터 확인, 캡션 생성을 병행 처리하는 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마이크로폰 장치(1)를 이용하여 입력된 음성에 의한 입력 정보는,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해, 음성 신호 입력부(100a)를 구비한 외부 기기(100)에 입력되어, 믹싱 처리 등이 실시된다. 이 때, 마이크로폰 장치(1)의 표시부(3)에는, 음성에 의한 입력 정보가 로컬 피드백되어 표시되어 있고, 퍼스낼리티 자신은, 표시부(3)의 표시를 시인하여 입력 결과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계속한다. 또한, 로컬 피드백 시에 부산물적으로 생성된(정보 소스는 동일한 음성 입력) 영상 신호와 문자 코드는, 각각 외부 기기(101, 102)에 입력된다. 외부 기기(101)는, 영상 신호를 별도의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이에 의해, 그 표시를 이용하여 제2 인물이 모니터 확인을 행한다. 또한, 외부 기기(102)는, 문자 코드를 캡션 생성 장치로 출력하고, 그 생성 장치에서 병행하여 캡션 생성도 행해진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 장치(1)는, 입력 상황을 체크할 수 있는 효능과, 동일한 정보 소스를 복수의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의한 작업의 병렬화, 또한 상호의 정보에서의 새로운 자동 조작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제1 외부 장치로서의 외부 기기(100), 및 제2 외부 장치로서의 외부 기기(101, 10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개별의 외부 기기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단일의 외부 기기(수록 컴퓨터)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4와 같이, 외부 기기(100∼102)가 개별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에서는, 다른 업무간에서 동시에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정보 취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외부 기기(100∼102)가 단일의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구성에서는, 외부 기기측의 용도 확대나 정보의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이 경우, 마이크로폰 장치(1)는, 반드시 제1 외부 장치인 외부 기기(100)와 접속되지 않으면 기능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로폰 장치(1)가 제2 외부 장치인 외부 기기(101, 102)와의 접속만을 행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2인 마이크로폰 장치(21)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2의 마이크로폰 장치(21)도 외관 등은, 실시 형태1의 마이크로폰 장치(1)(도 2 참조)와 동일하고, 표시부(3)를 구비하지만, 어디까지나 유저가 양손 혹은 한쪽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의 형상을 갖고 있다.
실시 형태2의 마이크로폰 장치(21)에서의 상술한 마이크로폰 장치(1)와의 차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컬 피드백부(31) 대신에 로컬 피드백부(33)를 구비한 점뿐이다.
실시 형태1의 마이크로폰 장치(1)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1)는, 입력된 음성의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이 음성 인식에 의해 얻어진 문자 코드를 폰트로 변환하여 표시부(3)에 표시한다. 이에 대하여, 실시 형태2의 마이크로폰 장치(21)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3)는, 마찬가지의 표시부(3)를 이용한 표시 외에, 인식한 결과를 발음부(6)로부터 음성에 의해서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컬 피드백부(33)는, 상술한, 음성 인식부(13), 폰트 변환부(14), 폰트 메모리(14a), 및 표시부(3) 외에, 일시 기억 메모리(27), 음성 합성부(25), 및 발음부(6)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인식부(13)의 문자 코드 출력은, 폰트 변환부(14)뿐만 아니라, 일시 기억 메모리(27)를 통해 음성 합성부(25)에도 입력된다. 음성 합성부(25)는, 입력된 문자 코드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음부(6)로부터 출력하기 위해, 문자 코드에 대응한 음성 데이터 소편을 음성 데이터 메모리(도시 생략)로부터 추출하여 적절한 접속 편집 등을 행하는 것이다. 음성 데이터 메모리는, 음성 합성부(25)가 발성 기구 모델화에 의한 규칙 합성만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없어도 된다.
음성 인식부(13)로부터 입력된 문자 코드는, 음성 합성부(25)에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음성 신호로 되며, 발음부(6)에 보내어져 음성 출력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음성을 입력한 그 자리에서, 표시 외에 음성에 의해서도 입력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표시만인 경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내용의 확인은, 발음부(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출력만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부(3)를 구비하지 않거나, 혹은 표시부(3)에 폰트를 표시하지 않고, 발음부(6)로부터 음성만으로 피드백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일시 기억 메모리(27)는, 습음부(4)로부터의 음성의 입력과, 발음부(6)로부터의 음성의 출력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기 위해 삽입된 타이밍 조정 수단이다. 합성 음성이 습음부(4)에서 집음되어, 앰프부(11)에서 증폭된 후, 발음부(6)로부터 방출된 음성이 재차 집음되어, 무한회의 증폭 회로 통과와 전달 왜곡 및 지연의 효과로 매우 불쾌하고 큰 잡음이 하울링으로서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시 기억 메모리(27)에서 음성 출력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하울링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은, 자신이 발한 소리가 조금 지연된 타이밍에서 회신되어 오면, 말할 수 없게 되거나, 이야기하기 어렵게 느끼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시 기억 메모리(27)를 삽입하여, 문자 코드를 이것에 저장하고, 재생 지시가 있었을 때에 음성 출력시키는 등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저(화자)의 발화가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결과를 기록해 두어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재생하는 등의 사용 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일시 기억 메모리(27)는, 단순한 링 버퍼에서 입력과 동 속도로 판독을 행하는 것을 계속함으로써 버퍼 길이분 의 지연을 발생하는 단순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무음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축적된 정보를 출력하는 고도의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일시 기억 메모리(27)는, 음성 합성부(25) 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3인 마이크로폰 장치(22)에 대하여,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1, 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3의 마이크로폰 장치(22)에서의 실시 형태2의 마이크로폰 장치(21)와의 차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컬 피드백부(33) 대신에 로컬 피드백부(34)를 구비한 점이다.
실시 형태2의 마이크로폰 장치(21)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3)는, 입력된 음성의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하고, 이것을 발음부(6)로부터 음성에 의해 출력할 때에, 일시 기억 메모리(27)에 의해 음성 입력과 음성 출력 사이의 타이밍을 조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인 마이크로폰 장치(22)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4)는, 일시 기억 메모리(27) 대신에, 에코 캔슬 회로(2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점만이 로컬 피드백부(33)와 다르다.
에코 캔슬 회로(28)는, 음성 합성부(25)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저하시키는 어테뉴에이터(ATT) 회로, 또는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하는 버퍼 앰프 회로와, 음성 신호를 역상으로 하는 인버터와, 발음부(6)로부터 출력된 음성이 습음부(4)로부터 입력되기까지의 지연을 음성 신호에 제공하는 딜레이부로 이루어진다. 이 에코 캔슬 회로(28)는, 습음부(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중에 포함되는, 발 음부(6)로부터 출력된 음성 부분을 상쇄한다. 에코 캔슬 회로(28)를 구비함으로써, 습음부(4)로부터의 음성 입력과 발음부(6)로부터의 음성 출력이 동시에 행해져도,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코 캔슬 회로(28) 이외에, PTT(Push To Talk) 스위치나, VOX(Voice operated Transfer) 회로 등을 설치하여, 습음부(4)로부터 음성을 입력하는 발화 시에는, 단 방향(심플렉스) 운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PTT 스위치는, 발화 시에만 마이크로폰 회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이다. VOX 회로는, 마이크로폰의 근방에서 발화된 것으로 상정할 수 있는 일정 레벨 이상의 음성 신호 입력이 있었던 경우에, 그 입력 신호 레벨을 키로 하여 마이크로폰 회로를 자동 동작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4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1∼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는, 주로, 터치 패널부(좌표 정보 검출부)(35)와, 로컬 피드백부(36)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로 구성된다.
터치 패널부(35)는, 터치 패널(5)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 본래의 기능부이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T/P)(5)과, 영상 신호 출력부(8)를 포함하고 있다.
터치 패널(5)은, 그 표면에서, 펜이나 손 등에 의해 접촉된 점(접촉점)에 발 생하는 부하의 변화에 기초하여, 흐르는 전류나 전압의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접촉점의 좌표를 구하기 위한 근원 신호를 얻는다. 즉, 터치 패널(5)은, 접촉점의 좌표의 정보를, 입력 내용에 따른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장치이다. 터치 패널(5)의 후단에, 그 좌표 정보를 그 상태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나, 좌표의 정보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좌표의 정보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터치 패널(5)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영상 신호 출력부(8)에 보내어지고, 여기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측의 장치인 외부 장치로 출력된다.
또한, 터치 패널부(35)로서는, 상기한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터치 패널(5)로부터 출력되는 접촉점의 좌표의 정보를 그 상태 그대로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5)은, 표시부(3)의 표시면측에 적층되어 있다.
로컬 피드백부(36)는, 상기 터치 패널부(35)가 입력을 접수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 신호 출력부(8)로부터 출력하는 영상 신호의 내용을 문자 인식하며, 그 결과를 음성 합성하여 음성 출력한다. 이 때문에, 로컬 피드백부(36)는, 상세하게는, 문자 인식부(23), 음성 합성부(25), 및 발음부(6)를 포함하고 있다.
문자 인식부(23)는, 터치 패널(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 중의 문자의 형상의 정보를 패턴 매칭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대조하여, 수기 입력된 문자 등을 판별하고, 대응하는 문자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터치 패널(5)에 입력된 수기 정보는, 이 문자 인식부(23)에서 문자 코드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변환된 문자 코 드는, 음성 합성부(25)에 입력되며, 이 음성 합성부(25)에서 음성으로 변환되어 음성 신호로 되며, 발음부(6)에 보내어져, 발음부(6)에 의해 음성 출력된다.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는, 로컬 피드백부(36)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혹은 음성 신호를, 장치 외부로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는, 문자 코드 출력부(16) 및 음성 신호 출력부(19)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로서, 문자 코드 출력부(16)와 음성 신호 출력부(19)의 양방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어느 한쪽의 출력부만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문자 코드 출력부(16)는, 문자 인식부(23)로부터의 문자 코드가 입력되며, 문자 코드를 이것을 수취하는 측의 장치인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음성 신호 출력부(19)는, 음성 합성부(25)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며, 음성 신호를, 이것을 수취하는 측의 장치인 외부 장치로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서는, 유저가, 예를 들면 "てすと"라고 터치 패널(5)을 이용하여 수기 입력하면, 그 수기의 문자 정보는, 터치 패널부(35)에서 그 상태 그대로의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영상 신호 출력부(8)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기의 영상 신호는, 로컬 피드백부(36)에 의해, 문자 인식, 음성 합성이 순서대로 행해져, 발음부(6)에 음성 출력으로서 피드백된다.
예를 들면, 수기 입력에 문제가 없으면, "てすと"라고 수기 입력의 내용에 대응하는 음성이 출력된다. 그러나, 필압이 약하거나, 흘려 쓴 글자이거나 하면, 인식 불능으로 어떠한 것도 음성 출력되지 않거나, 다른 문자로 인식되어, 입력의 내용과는 다른 내용의 음성이 출력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 따르면, 유저는, 입력한 그 자리에서, 간단하게 입력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져, 문제가 없으면, 그대로 입력을 계속하고, 문제가 있으면, 필압이나 글씨체를 조정하는 등의 대응을 취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입력 상태에 불안을 느끼지 않고, 확실하게 정보를 입력하거나, 혹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5)을 이용한 수기에 의한 입력에서, 피드백한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등의, 수기 입력과는 관계가 없는 감각 기관인 귀를 이용한 확인이기 때문에, 수기 입력을, 그 입력에 관계가 있는 감각 기관, 즉, 눈을 이용한 표시에 의한 확인에 비해,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서는, 로컬 피드백부(36)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와 음성 신호를, 장치 밖으로 출력시킬 수 있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에서의 문자 코드 출력부(16), 혹은 음성 신호 출력부(19)와, 외부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피드백된 내용을, 문자 코드나 음성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이면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키보드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나 CCD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대체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는, 그 밖에, 합성된 음성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예를 들면, 보코더나 텍스트 음성 합성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와, 영상 신호를 수취하는 측의 장치인 외부 장치로 구성하는 시스템 전체의 구성도, 기본적으로는 도 3∼도 5와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외부 장치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와 유선으로 접속되는 통상의 영상 신호 입력부(101a)를 구비한 외부 기기(101)로 된다.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와이어리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측 무선 설비나 수신기 등이고, 어쨌든, 영상 신호 입력부(101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로부터 출력되는 문자 코드, 혹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외부 장치는, 외부 기기(102, 100)로 된다. 문자 코드, 혹은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문자 코드 입력부(102a), 혹은 영상 신호 입력부(101a)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이들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와 외부 기기(102, 100)의 접속도, 유선·무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5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6)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1∼4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6)와 상술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의 차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컬 피드백부(36) 대신에 로컬 피드백부(38)를 구비한 점이다.
실시 형태3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6)는, 터치 패널(5)로부터 수기 입력된 문자의 영상 신호를 문자 인식하고, 이것을 음성 합성하여 발음부(6)로부터 음성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6)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8)는, 발음부(6)에 의한 음성 출력 외에, 표시부(3)를 이용하여 입력 내용을 표시하여, 시각에 의한 확인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이 점만이 로컬 피드백부(36)와 다르다.
로컬 피드백부(38)는, 상술한, 문자 인식부(23), 음성 합성부(25), 및 발음부(6) 외에, 표시부(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로컬 피드백부(38)에서, 터치 패널(5)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표시부(3)에도 출력되며, 표시부(3)에는, 수기 입력된 문자가 그 상태 그대로의 형태로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입력한 그 자리에서, 음성 외에 표시에 의해서도 입력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음성만의 경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내용의 확인은, 표시부(3)에 수기 입력한 문자가 그 상태 그대로 표시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부(3)에 의한 문자의 표시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경우에 비해 유저에 의한 인식의 용이함이라는 점에서는 뒤떨어지지만, 수기 문자가 그 상태 그대로 표시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6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1∼5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와 실시 형태4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의 차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컬 피드백부(36) 대신에 로컬 피드백부(39)를 구비한 점이다. 또한, 상기의 차이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 대신에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0)를 구비한 점에도 있다.
실시 형태4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6)는, 터치 패널(5)로부터 수기 입력된 문자의 영상 신호를 문자 인식하고, 이것을 음성 합성하여 발음부(6)로부터 음성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에서의 로컬 피드백부(39)는, 수기 입력된 문자를 문자 인식하고, 이 문자 인식에 의해 얻어진 문자 코드를 폰트로 변환하여 표시부(3)에 표시함으로써 피드백한다.
로컬 피드백부(39)는, 문자 인식부(23), 폰트 변환부(14), 폰트 메모리(14a), 및 표시부(3)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패널(5)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문자 인식부(23)에서 문자 코드로 변환되고, 계속해서 폰트 변환부(14)에서, 폰트 메모리(14a)에 저장된 폰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폰트로 변환되어, 표시부(3)에서 폰트로 표시된다.
즉, 터치 패널(5)을 이용하여 수기 입력하면, 그 문자 정보는, 터치 패널부(35)에서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영상 신호 출력부(8)로부터 출력됨과 함께, 로컬 피드백부(39)에 의해, 문자 인식, 폰트 변환이 순서대로 행해져, 표시부(3)에 폰트 표시로서 피드백된다. 예를 들면, 수기 입력에 문제가 없으면, "てすと"라고, 수기 입력의 내용에 대응하는 폰트가 표시된다. 그러나, 필압이 약하거나, 흘려 쓴 글자이거나 하면, 인식 불량으로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거나, 다른 문자로 인식되어, 입력의 내용과는 다른 내용의 표시가 출력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에 의해서도, 유저는, 입력한 그 자리에서, 간단하게 입력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져, 문제가 없으면, 그대로 입력을 계속하고, 문제가 있으면, 필압이나 글씨체를 조정하는 등의 대응을 취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입력 상태에 불안을 느끼지 않고, 확실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내용의 확인은, 수기에 의한 입력에서 동일한 지각인 시각에 의한 확인이다. 그러나, 그 내용의 확인은, 수기 입력에 대하여 폰트로 표시되므로, 수기 입력을, 그 상태 그대로의 수기 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됨으로써 행하는 확인보다, 피드백된 내용이 유저에게 인식되기 쉬워,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구성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에 구비된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0)는, 로컬 피드백부(39)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와 폰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를 장치 밖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문자 코드 출력(16)과,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7)에서의 문자 코드 출력부(16), 혹은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와, 외부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피드백된 내용을, 문자 코드나 폰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이면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키보드, 혹은 폰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청서기와 같은 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또한, 여기서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0)로서, 문자 코드 출력부(16)와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의 양방을 구비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출력부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7인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1∼6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는, 실시 형태4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5)에서의 음성 출력에 의한 피드백 기능과, 실시 형태6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에서의 폰트 표시에 의한 피드백 기능을 양방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컬 피드백부(41)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로컬 피드백부(41)로부터의 출력 수단으로서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로컬 피드백부(41)는, 상술한, 문자 인식부(23), 음성 합성부(25), 및 발음부(6), 및, 폰트 변환부(14), 폰트 메모리(14a), 및 표시부(3)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패널(5)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문자 인식부(23)에서 문자 코드로 변환되고, 음성 합성부(25)에서 음성으로 변환되어 발음부(6)로부터 음성 출력으로서 피드백된다. 또한, 상기의 문자 코드가 폰트 변환부(14)에 입력됨으로써, 터치 패널(5) 에의 수기 입력은 표시부(3)에 폰트 표시로서도 피드백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입력한 그 자리에서, 음성과 폰트 표시로 입력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음성에 의해서만 혹은 폰트 표시에 의해서만의 확인의 경우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에 구비된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2)는, 로컬 피드백부(41)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폰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를 각각 장치 밖으로 출력하도록, 문자 코드 출력(16)과,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와, 음성 신호 출력부(19)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2)에서의 문자 코드 출력부(16), 혹은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 혹은 음성 신호 출력부(19)와, 외부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피드백된 내용을, 문자 코드나 폰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이면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키보드, 혹은 폰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청서기와 같은 장치, 혹은, 합성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또한, 여기서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가,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42)로서, 문자 코드 출력부(16)와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와 음성 신호 출력부(19)를 구비하고 있지만, 어느 하나 혹은 2개의 출력부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실시 형태1∼7의 각 입력 장치(1, 21)에서의, 각 기능부의 배치나 구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1의 마이크로폰 장치(1)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50은 표시부(3)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글래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이다. 표시부(3)를 구성하는 표시 소자가 예를 들면 액정을 이용한 액정 패널이면, 그 기판(50)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기판을 갖고, 이들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다.
상기 기판(50)은, 다결정 규소(폴리실리콘)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을 갖고 있고, 이 박막층을 이용하여, 표시부(3)의 영역에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화소 전극이나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50) 상에는, 표시부(3)를 구동하는 표시부 구동 회로(51, 52)를 비롯하여, 상술한 음성 인식부(13), 폰트 변환부(14), 앰프부(11), A/D 변환부(12) 등의 회로 블록(53)이 상기의 박막층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문자 코드 출력부(16), 영상 신호 출력부(17), 음성 신호 출력부(7) 등도, 박막층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로 블록(53)에는, 폰트 메모리(14a)가 박막층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판(50)에 형성되는 상기 박막층으로서는, 폴리실리콘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 이외에, 글래스 기판 상에 연속 입계 결정 규소(CG 실리콘)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일경 일렉트로닉스(2003, 2, 17), p.123-130에는, 글래스 기판 상에 8비트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CG 실리콘 기술을 이용하여, 글래스 기판 상에 CG 실리콘을 포함하는 박막층이 형성되어 있다.
CG 실리콘은, 일반의 저온 다결정 실리콘에 비해, 결정립이 크고 경계가 규칙적이라는 특징을 구비한다. 전자 이동도가 200∼300㎠/Vs로 높기 때문에, 논리 회로의 고속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액정을 협지하는 기판에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대표되는 논리 처리 회로로 이루어지는 음성 인식 기능 등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기판(50) 상에,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집적 회로용 능동 소자를 접합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접합된 단결정 실리콘의 박막층에, 상술한 음성 인식부(13), 폰트 변환부(14), 앰프부(11), A/D 변환부(12) 등을 포함하는 회로 블록(53)이나, 문자 코드 출력부(16), 영상 신호 출력부(17), 음성 신호 출력부(7) 등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그 접합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17107호 공보(평성11년 1월 22일 공개)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접합 기술을 이용한 박막층을 전사 실리콘으로 칭한다.
그리고, 특히, 기판(50)에 별도의 기판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접착하는 공정에서는, 수소 이온 박리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이온 박리법을 이용한 접합에서는, 수소 이온 주입부를 갖고, 능동 소자를 포함하는 별도의 기판을 기판(50) 상에 접합하고, 그 별도의 기판을 열 처리한다.
능동 소자를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하고, 이것을 기판(50)에 접착하는 공정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 등도 있지만, 번거로운 접착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접착제의 내열성이 문제로 되기 때문에, 능동 소자를 접착한 후에 실시 가능한 공정이 제한되기도 한다. 이에 대하여, 수소 이온 박리법을 이용한 접 합에서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일체 없다.
여기서, 수소 이온 박리법으로 MOS형의 단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접착하는 예를 설명한다. 접합되는 측의 기판인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는, 표면에 MOS형의 단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산화막, 게이트 패턴, 불순물 이온 주입부가 형성되며, 또한,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수소 이온 주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결정 실리콘 기판을, 절연 기판에 대하여 산화막측에서 접합하여, 열 처리한다. 열 처리함으로써, 기판간의 접합이 원자끼리의 결합으로 변화되어 강고한 접합으로 됨과 함께, 수소 이온 주입부에서 벽개 박리(열 처리에 의해)가 발생하여,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서의 불필요한 부분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MOS형의 단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절연성 기판 상에 접착할 수 있다.
수소 이온 박리법에 의한 접합은, 마이크로폰 장치(1)를 대형화하지 않고, 로컬 피드백부(31),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이온 박리법에 의한 접합은, 상기의 회로부(31, 32)를 동일한 기판(50) 상에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만큼 코스트 삭감도 가능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IC 등의 독립 회로 부품의 접합부의 진동에 의한 박리 등의 문제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력 손실 저감과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회로 블록(53)에 기재된 회로의 일부를 기판(50)의 박막층 상에 형성하고, 일부는 외부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서는, 습음부(4)는,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표시 부(3)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음부(4)에, 예를 들면 로셸염의 결정이나 세라믹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압전 소자(4a)를 이용하여, 기판(50) 상에 습음부(4)를 형성하거나, 혹은 접착하여 일체화하도록 해도 된다. 즉, 습음부(4)가, 음성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와, 이 진동부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픽업부(픽업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면, 진동부를 기판(50)으로 하고, 픽업부를 압전 소자(4a)로 하면 된다. 음성에 의한 기판(50)의 진동은, 압전 소자(4a)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음성 인식부(13) 등에 입력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표시부(3)가 형성되는 기판(50)을 진동부로서 이용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3)를 구성하는 표시 소자는, 마이크로폰 회로 내장형 표시 소자로 되어, 습음부(4)가 표시부(3)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보다, 마이크로폰 장치(1)의 형상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4∼도 16은, 도 6에 도시한, 실시 형태2의 마이크로폰 장치(21)에서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이미지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2,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판(50) 상에, 표시부 구동 회로(51, 52)나, 상술한 음성 인식부(13), 폰트 변환부(14), 일시 기억 메모리(27), 앰프부(11), A/D 변환부(12)를 포함하는 회로 블록(53), 및 문자 코드 출력부(16), 영상 신호 출력부(17), 음성 신호 출력부(7) 등이, 상기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 콘)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도 14의 구성에서는, 습음부(4)가, 습음부(4)의 진동부로서 기능하는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고, 발음부(6)가 기판(50)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의 구성에서는, 이것과는 반대로, 발음부(6)가, 발음부(6)의 진동부로서 기능하는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고, 습음부(4)가 기판(50)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의 구성은, 습음부(4) 및 발음부(6)가, 쌍방의 진동부로서 기능하는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실시 형태3의 마이크로폰 장치(22)를 도 14∼도 16의 구성에 적용하는 경우, 일시 기억 메모리(27) 대신에 에코 캔슬 회로(28)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14∼도 16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에코 캔슬 회로(28)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판(50)에 형성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출력부(4)와 발음부(6)를 구비한 구성에서는, 습음부(4) 혹은 발음부(6)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기판(50) 상에 형성함으로써, 습음부(4) 혹은 발음부(6)가 기판(50)의 외부에 형성되는 구성보다, 장치 전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은, 실시 형태2, 3의 마이크로폰 장치(21, 22)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2∼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의 구성에서는, 습음부(4)에서의 상기 픽업부를 구성하는 압전 소자(4a)와, 발음부(6)에서의 여진원부를 구성하는 압전 소자(6a)가 공통화되며, 기판(50) 상에 형성된 1개의 압전 소자(54a), 즉 음원부(54)에서, 습음과 발음을 행한다. 이 구성에서는, 기판(50)의 진동을, 음원부(54)를 구성하는 압전 소자(54a)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인식부(13) 등에 입력한다. 또한, 음성 합성부(25)의 출력부에 설치되는 음성부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이 음원부(54)가 기판(50)을 진동시킴으로써, 음성이 발생된다.
단, 이와 같이, 음원부(54)로서 습음부(4)와 발음부(6)를 겸용하는 경우에는, 일시 기억 메모리(27)를 구비시키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심플렉스 운용이 가능하도록, PTT 스위치나, VOX 회로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들 PTT 스위치나 VOX 회로도, 상기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기판(50)에 형성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략 구성도를 예로 들어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도 17과는 반대로, 습음부(4)와 발음부(6) 중 어느 것도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50)과는 별도의 독자의 진동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8은, 도 10에 도시한, 실시 형태6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7)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2∼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판(50) 상에, 표시부 구동 회로(51, 52)나, 상술한 문자 인식부(23), 폰트 변환부(14) 등을 포함하는 회로 블록(53), 및 문자 코드 출력부(16), 영상 신호 출력부(8),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 등이, 상기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6에서는, 터치 패널(5) 내에, 입력 내용에 따른 좌표의 정보인 전기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기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터치 패널(5)측이 아니라, 기판(50) 상에, 문자 인식부(23) 등과 마찬가지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9는, 도 11에 도시한, 실시 형태7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8)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2∼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기판(50) 상에, 표시부 구동 회로(51, 52)나, 상술한 문자 인식부(23), 폰트 변환부(14), 음성 합성부(25) 등을 포함하는 회로 블록(53), 및 문자 코드 출력부(16), 영상 신호 출력부(8),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 음성 신호 출력부(19) 등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의 구성에서는, 발음부(6)는,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표시부(3)와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발음부(6)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로셸염의 결정이나 세라믹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압전 소자 (6a)를 이용하여, 기판(50)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발음부(6)가, 음성 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와, 이 진동부를 음성 합성 회로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에 따라 진동시키는 여진원부로 구성된 것으로 하면, 진동부가 기판(50)으로 이루어지며, 여진원부가 압전 소자(6a)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발음부(6)를 표시부(3)를 구성하는 표시 소자에 내장한 경우, 압전 소자(6a)로 이루어지는 여진원부를 구동하는 음성부 구동 회로가, 음성 합성부(25)의 출력부에 설치되고, 이 음성부 구동 회로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여진원부가 기판(50)을 진동시킴으로써, 음성이 발생된다. 음성부 구동 회로도, 상기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기판(50)에 형성된 박막층(폴리실리콘, CG 실리콘, 전사 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기판(50)을 진동부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표시부(3)를 구성하는 표시 소자는 음원 내장형 표시 소자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발음부(6)가 표시부(3)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보다, 표시부/스피커를 가진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33, 34)를 작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실시 형태5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46)를 도 19, 도 20의 구성에 적용하는 경우,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회로 블록(53)에, 폰트 변환부(14) 및 폰트 메모리(14a)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한, 기판(50) 상에 제2 영상 신호 출력부(18)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도 19, 도 2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두, 글래스 기판 상에, CG 실리콘 등의 소자로 이루어지는 전기 회로(음성 인식 회로, 음성 합성 회로, 표시부 구동 회로 등)를 형성하여, 각 입력 장치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회로 대신에, 광학 연산 회로, 즉, 광 제어 FET, 광 스위치 등의 광학 연산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선택적 광로 형성을 행함으로써, 연산을 실행하는 광학 연산 회로를,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하여, 각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연산 회로 이외에, 예를 들면, 분자의 작용을 이용한 유기 연산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 연산 회로를 글래스 기판 상에 형성하여, 각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계속해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총괄한다.
제1 입력 장치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출력부로부터 본 장치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 혹은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는, 전기 신호 등으로 변환되어 외부 장치로 보내어질 뿐만 아니라, 로컬 피드백부에 의해, 피드백되어 표시 혹은 음성으로써 출력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저는, 표시를 보거나 혹은 음성을 들음으로써,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입력이면 소리가 작은 등의 이유로, 외부 장치에의 전기 신호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상황이라도, 그 상황을 그 자리에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소리를 크게 하는 등의 입력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확실한 정보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항상 안심하고 입력 동작을 행할 수 있 다. 또한, 피드백 신호(입력 정보를 피드백한 신호)의 유무에 의해, 입력 장치측이 올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도 제공된다. 따라서, 입력 장치가, 수시 호스트에 접속되는 상기 싱클라이언트와 같은 경우에는, 기능의 셀프 체크 기능으로도 된다.
제2 입력 장치는, 음성을 습음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습음부를 구비하고, 그 습음부로부터 음성으로써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출력부로부터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하는 로컬 피드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습음부로부터 음성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을 전기 신호(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외부 장치로 보내는 마이크로폰 장치 등의 입력 장치에서, 음성 입력한 입력 정보가, 로컬 피드백부에 의해, 피드백되어 표시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저는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음성에 의한 입력에서, 피드백한 입력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소리와는 관계가 없는 감각 기관인 눈을 이용한 확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음성에 의한 입력을, 소리에 관계가 있는 감각 기관, 즉, 귀를 이용한 음성 출력에 의한 확인에 비해,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입력 장치는, 음성을 습음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습음부를 구비하고, 그 습음부로부터 음성으로써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출력부 로부터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함과 함께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유저가 정보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의 입력에는 직접 관계가 없는 눈을 이용한 확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귀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감각 기관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한층 더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입력 장치는, 제2 입력 장치에서의 상기 로컬 피드백부가, 예를 들면, 표시부와, 상기 습음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와, 그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를 구비하고, 그 문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음성으로써 입력된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하는 입력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음성 인식부에 제공되는 알고리즘이나 파라미터의 조정에 의해, 외부 장치에서 필요로 되는 입력 레벨의 판단 기준으로 되는 피드백 동작의 깊이의 조정도 할 수 있다.
제5 입력 장치는, 제3 입력 장치에서의 로컬 피드백부가, 예를 들면, 표시부와, 음성 출력부와, 상기 습음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와, 그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를 행함과 함께,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출력부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음성으로써 입력된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와 음성으로 출력하는 입력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한 정보의 피드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자기의 발화와 중첩됨으로써 피드백 효과의 저하나, 음성 회로의 자기 루프 형성에 의한 하울링의 위험성의 저하 등을 배제하기 위해, 피드백한 음성의 출력 타이밍을 조정하는 출력 타이밍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습음부로부터의 음성 입력과 음성 출력부로부터의 음성 출력이 동시에 행해지면, 집음되어, 앰프에서 증폭된 후, 음성 출력부로부터 방출된 음성이 재차 집음되어, 무한회의 증폭 회로 통과와 전달 왜곡 및 지연의 효과로 매우 불쾌하고 큰 잡음 출력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하울링인데, 이와 같이 타이밍 조정부를 설치하여 피드백된 정보의 음성 출력의 타이밍을 입력과 출력이 중첩되지 않도록 지연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음성 회로의 지연에 의해 지각적 원인에 의해 발화가 곤란하게 되는 현상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원래의 입력 기능의 장해로 되는 에코백 환경을 방지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한 정보의 피드백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상기 습음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중에서 피드백한 음성을 제거하는 에코 캔슬부를 구비하고 있 어도 된다. 이 에코 캔슬부에 의해서도, 상기 하울링이 방지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상기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5 또는 제6 입력 장치는, 상기 구성 외에, 또한, 상기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음성 인식부, 문자 변환부, 혹은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로컬 피드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장치 밖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 수단과 제2 외부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피드백된 정보를, 문자 코드나 영상 신호, 혹은 음성 신호로서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 장치는 제1 외부 장치와 동일해도 되고, 외부 장치측의 용도 확대나 정보의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반드시 제1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없으면 기능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제2 외부 장치와만의 접속을 행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입력 장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폰 장치 등이면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키보드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나 CCD 카메라 등의 촬상 디바이스 등의 대체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그 밖에, 합성된 음성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제7 입력 장치는, 접촉 혹은 근접된 선단물을 검출하여 순차적으로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좌표 정보 검출부를 구비하고, 그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에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에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좌표 정보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그 좌표 정보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외부 장치로 보내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 등의 입력 장치에서, 좌표 정보 검출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한 입력 정보가, 로컬 피드백부에 의해, 피드백되어 음성 출력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1 입력 장치와 마찬가지로, 유저는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한 입력에서, 피드백한 입력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등의, 좌표 정보 검출부로부터의 입력과는 관계가 없는 감각 기관인 귀를 이용한 확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좌표 정보 검출부로부터의 입력을, 그 입력에 관계가 있는 감각 기관, 즉, 눈을 이용한 표시에 의한 확인에 비해,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8 입력 장치는, 접촉 혹은 근접된 선단물을 검출하여 순차적으로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좌표 정보 검출부를 구비하고, 그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로 입력시키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 출력함과 함께 표시하는 로 컬 피드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제7 입력 장치와 마찬가지로, 유저가 정보 입력을 행한 그 장소에서, 입력 정보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의 입력에는 직접 관계가 없는 귀를 이용한 확인이다. 그렇기 때문에, 피드백된 정보의 내용이 유저에게 지각되기 쉬워, 보다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눈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감각 기관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한층 더 효과적인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9 입력 장치는, 제7 입력 장치에서의 상기 로컬 피드백부가, 음성 출력부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그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를 구비하고, 그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입력된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 출력하는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10 입력 장치는, 제8 입력 장치에서의 상기 로컬 피드백부가, 예를 들면, 음성 출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문자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그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출력부로부터 음성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문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 시한다. 이에 의해,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과 문자 표시로써 출력하는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11 입력 장치는, 제8 입력 장치에서의 상기 로컬 피드백부가, 음성 출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그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 음성을 출력함과 함께,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과 좌표 정보나 궤적 등의 표시로써 출력하는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9 내지 제11 입력 장치는, 상기 구성 외에, 또한, 상기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문자 인식부, 문자 변환부, 혹은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르면,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해, 로컬 피드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장치 밖으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 수단과 제2 외부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피드백된 정보를, 문자 코드나 영상 신호, 혹은 음성 신호로서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 장치는 제1 외부 장치와 동일해도 되고, 외부 장치측의 용 도 확대나 정보의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또한, 반드시 제1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없으면 기능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제2 외부 장치와만의 접속을 행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로써 입력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 등이면서,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키보드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스캐너나 CCD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대체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그 밖에, 합성된 음성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예를 들면, 보코더나 텍스트 음성 합성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은 장치로 된다.
제4 또는 제5 입력 장치는, 또한, 상기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음성 인식부와 문자 변환부, 음성 인식부와 문자 변환부와 음성 합성부, 혹은 문자 인식부와 문자 변환부와 음성 합성부, 혹은 이들에 상기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그 박막 기판 상에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9 내지 제11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장치는, 또한, 상기 로컬 피드백부에서의 문자 인식부와 음성 합성부, 혹은 이것에 상기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박막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그 박막 기판 상에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입력 장치 본래가 있어야 할 외형의 사이즈 및 형상을 대폭 변경 또는 대형화하지 않고, 로컬 피드백부를 구비한 입력 장치, 혹은 로컬 피드백부 외에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한 입력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관계가 있는 회로부를, 동일 기판 상에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만큼, 코스트 삭감도 가능해지고, IC 등의 독립 회로 부품의 접합부의 진동에 의한 박리 등의 문제가 없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전력 손실 저감과 신뢰성, 에너지 절약성 향상에도 기여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박막 기판으로서는, 다결정 규소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을 갖는 것이나, 연속 입계 결정 규소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을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 기판에의 별도의 기판에 형성한 능동 소자의 접착은, 그 능동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별도의 기판이 수소 이온 주입부를 갖고 있고, 그 수소 이온 주입부가 형성된 상기 별도의 기판을 상기 박막 기판에 접합한 후, 그 별도의 기판을 열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소 이온 주입부를 형성하여 박리하는 수소 이온 박리법을 이용한 접합은, 능동 소자를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하고, 이것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에 비해, 번거로운 접착 작업도 필요없어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내열성이 문제로 되지 않아, 간단하게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음성에 의한 입력의 경우, 상기 습음부가, 진동부와 그 진동부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픽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막 기판이 그 진 동부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각종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 기판 자신을 습음부의 진동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습음부의 진동부를 박막 기판과는 별도로 갖는 구성에 비해, 장치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를 구비한 구성에서는, 상기 음성 출력부가, 진동부와 상기 음성 합성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에 의해 상기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여진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 기판이 그 진동부이어도 된다. 각종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막 기판 자신을 음성 출력부의 진동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음성 출력부의 진동부를 박막 기판과는 별도로 갖는 구성에 비해, 장치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이며, 또한, 음성 출력부를 구비한 구성에서는, 상기 박막 기판이, 상기 습음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의 공통의 진동부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습음부 혹은 음성 출력부 중 어느 한쪽의 진동부가 박막 기판의 구성보다, 장치 전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박막 기판이, 상기 습음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의 공통의 진동부인 구성으로 한 경우, 상기 픽업부와 상기 여진원부 모두 공용인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더욱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각 실시 형태의 입력 장치는, 정보를 수취하는 측으로서 제공되는 호스트 장치에, 유선이나 와이어리스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인 마이크로폰 장치나 좌표 정보 검출식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정보를 보내는 시스템 등에 이용 가능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서 이루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사항과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한 그 자리에서 입력 내용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로컬 피드백 기능을 가진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3)

  1.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출력부로부터 본 장치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 혹은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2. 음성을 습음(拾音)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습음부를 포함하고, 해당 습음부로부터 음성으로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신호 출력부로부터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에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하는 로컬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표시함과 함께 음성 출력하는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습음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와,
    해당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와,
    해당 문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입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습음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부와,
    해당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와,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갖는 입력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피드백한 음성의 출력 타이밍을 조정하는 출력 타이밍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음부에 입력되는 음성 중에서 피드백한 음성을 제거하는 에코 캔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음성 인식부 혹은 문자 변환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혹은 문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음성 인식부, 문자 변환부, 혹은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10. 접촉 혹은 근접된 선단물을 검출하여 순차적으로 지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얻는 좌표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고, 해당 좌표 정보 검출부를 이용하여 입력된 입력 정보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1 외부 장치에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 출력하는 로컬 피드백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입력 정보를 피드백하여 음성 출력함과 함께 표시하는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해당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와,
    해당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갖는 입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해당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와,
    상기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와,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문자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입력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인식하여 문자 코드로 변환하는 문자 인식부와,
    해당 문자 인식부에서 변환된 문자 코드를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합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에서 검출된 좌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입 력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 혹은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 문자 변환부, 혹은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 혹은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 문자 코드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음성 인식부와 문자 변환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음성 인식부와 문자 변환부와 음성 합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음성 인식부 및 문자 변환부와, 상기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음성 인식부 및 문자 변환부, 혹은 음성 인식부, 문자 변환부 및 음성 합성부와, 상기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와 음성 합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박막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와 음성 합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박막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와 문자 변환부와 음성 합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피드백 수단에서의 문자 인식부 및 음성 합성부와, 상기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시부를 형성하는 기판으로서, 화소 구동용 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박막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를 해당 박막 기판 상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기판은, 다결정 규소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을 갖는 입력 장치.
  27.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기판은, 연속 입계 결정 규소 박막을 포함하는 박막층을 갖는 입력 장치.
  28.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기판에의 별도의 기판 상에 형성한 능동 소자의 접착은, 해당 능 동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별도의 기판이 수소 이온 주입부를 갖고 있고, 해당 수소이온 주입부가 형성된 상기 별도의 기판을 상기 박막 기판에 접합한 후, 해당 별도의 기판을 열 처리함으로써 이루어져 있는 입력 장치.
  29.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습음부가, 진동부와, 해당 진동부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픽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막 기판이 해당 진동부인 입력 장치.
  30. 제19항, 제22항, 제23항,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가, 진동부와, 상기 음성 합성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에 의해 상기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여진원부(勵振源部)로 이루어지고, 해당 박막 기판이 상기 진동부인 입력 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습음부가, 진동부와, 해당 진동부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픽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성 출력부가, 진동부와, 상기 음성 합성부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에 의해 상기 진동부를 진동시키는 여진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 기판이, 상기 습음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의 공통의 진동부인 입력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와 상기 여진원부가 공용인 입력 장치.
  3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인식부, 상기 문자 변환부, 상기 좌표 정보 검출부, 혹은 상기 음성 합성부에서 생성되는,문자 코드, 문자 데이터, 좌표 정보, 혹은 음성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본 장치와 접속되는 제2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부산물 데이터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입력 장치.
KR1020050016750A 2004-03-01 2005-02-28 입력 장치 KR100725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6602A JP2005250584A (ja) 2004-03-01 2004-03-01 入力装置
JPJP-P-2004-00056602 2004-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271A KR20060043271A (ko) 2006-05-15
KR100725890B1 true KR100725890B1 (ko) 2007-06-08

Family

ID=3491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750A KR100725890B1 (ko) 2004-03-01 2005-02-28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03749A1 (ko)
JP (1) JP2005250584A (ko)
KR (1) KR100725890B1 (ko)
CN (2) CN1664774B (ko)
TW (1) TWI270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16998B1 (ru) * 2006-11-27 2012-09-28 Юни-Чарм Корпорейшн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US8036375B2 (en) * 2007-07-26 2011-10-11 Cisco Technology, Inc. Automated near-end distortion detection for voice communication systems
JP5515709B2 (ja) * 2009-12-11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316395B (zh) * 2010-07-09 2014-12-31 深圳市宇恒互动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啸叫判断及消除的方法和装置
US20120173242A1 (en) * 2010-12-30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e of scribble data between gsm devices along with voice
US9691378B1 (en) * 2015-11-05 2017-06-27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vely ignoring captured audio data
TW201816557A (zh) * 2016-10-26 2018-05-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可施行光學移動品質判斷方法的電腦可讀取記錄媒體以及使用此光學移動品質判斷方法的光學移動偵測裝置
US11076225B2 (en) * 2019-12-28 2021-07-27 Intel Corporation Haptics and microphone display integration
CN111358066A (zh) * 2020-03-10 2020-07-03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基于语音识别的防护服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93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입력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10088226A (ko) 2000-03-11 2001-09-26 송정준 전자펜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장치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837B2 (ja) * 1992-05-29 2001-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一体型表示装置
JP2973726B2 (ja) * 1992-08-31 1999-1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
US6283367B1 (en) * 1995-09-29 2001-09-04 Info Telecom IC card reader with synthesized voice output
US6762749B1 (en) * 1997-01-09 2004-07-13 Virtouch Ltd. Tactile interface system for electronic data display system
TW362207B (en) * 1997-05-08 1999-06-21 Shimadzu Corp Display system
JP3394187B2 (ja) * 1997-08-08 2003-04-07 シャー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および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
JPH1165799A (ja) * 1997-08-08 1999-03-09 Fujitsu Ltd 情報オブジェクト指定装置
JP4073533B2 (ja) * 1998-02-09 2008-04-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
US6490563B2 (en) * 1998-08-17 2002-12-03 Microsoft Corporation Proofreading with text to speech feedback
US6259138B1 (en) * 1998-12-18 2001-07-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layered gate electrode and impurity regions overlapping therewith
GB2353927B (en) * 1999-09-06 2004-02-11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for text to speech conversion
US6937977B2 (en) * 1999-10-05 2005-08-30 Fastmobi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put speech signal during presentation of an output audio signal
GB2357943B (en) * 1999-12-30 2004-12-08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for text to speech conversion
JP2002334086A (ja) * 2001-05-10 2002-11-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474814B2 (ja) * 2001-09-05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
CN100410786C (zh) * 2001-10-03 2008-08-13 夏普株式会社 有源矩阵型显示装置及其数据线切换电路、开关部驱动电路、扫描线驱动电路
JP3913534B2 (ja) * 2001-11-30 2007-05-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システム
JP3886391B2 (ja) * 2002-02-15 2007-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ード型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0380918C (zh) * 2002-02-19 2008-04-09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US7047200B2 (en) * 2002-05-24 2006-05-16 Microsoft, Corporation Voice recognition status display
BR0202561A (pt) * 2002-07-04 2004-05-18 Genius Inst De Tecnologia Dispositivo e método de avaliação de desempenho de canto
US7137076B2 (en) * 2002-07-30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Correcting recognition results associated with user input
US8494859B2 (en) * 2002-10-15 2013-07-23 Gh, Llc Univers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outputs accessible by people with disabilities
US6995053B2 (en) * 2004-04-23 2006-02-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Vertical thin film transis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93A (ko) * 1998-06-27 2000-01-15 윤종용 입력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10088226A (ko) 2000-03-11 2001-09-26 송정준 전자펜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장치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40694A (en) 2005-12-16
JP2005250584A (ja) 2005-09-15
CN101013358A (zh) 2007-08-08
CN1664774A (zh) 2005-09-07
US20050203749A1 (en) 2005-09-15
KR20060043271A (ko) 2006-05-15
TWI270814B (en) 2007-01-11
CN1664774B (zh) 2010-11-03
CN100474233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890B1 (ko) 입력 장치
CN108874357B (zh) 一种提示方法及移动终端
US9111545B2 (en)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US8254605B2 (en) Binaural recording for smart pen computing systems
US20040117191A1 (en) Correlating video images of lip movements with audio signals to improve speech recognition
CN107886969B (zh) 一种音频播放方法及音频播放装置
WO202123884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JP2004214895A (ja) 通信補助装置
JP2010026220A (ja) 音声翻訳装置、および音声翻訳方法
JP2010023639A (ja) 車内会話補助装置
WO2020259295A1 (zh) 移动终端及控制方法
JP2005253078A (ja) 補聴器へ信号を送るための送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聴覚補助装置
JP2004015250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202801A (ja) 表示装置
JPH11184633A (ja) ペン入力装置
US20060129394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synthesized speech
JP6805663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726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7507859B2 (ja) 対話方法及び電子機器
JP3227725U (ja) 文字表示機能付き補聴システム
JP2010164921A (ja) 障害者用会話補助装置
KR102076350B1 (ko) 가상 데이터 입력 화면을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입출력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JP2007272260A (ja) 自動翻訳装置
JP2009147783A (ja) 電子機器
KR100341353B1 (ko) 농아자를 위한 음성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