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132B1 -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132B1
KR100724132B1 KR1020060056607A KR20060056607A KR100724132B1 KR 100724132 B1 KR100724132 B1 KR 100724132B1 KR 1020060056607 A KR1020060056607 A KR 1020060056607A KR 20060056607 A KR20060056607 A KR 20060056607A KR 100724132 B1 KR100724132 B1 KR 10072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infrared lamp
dryer
lam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택
김제덕
Original Assignee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Abstract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막대형 근적외선 램프,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 및 후면에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와 대응하여 근적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내부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관을 포함하며,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상기 반사판은 각(α)진 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근적외선 램프의 밀집도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로 인하여 건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면적이 큰 형태의 냉각관을 구비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근적외선, 건조기, 반사판

Description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using near infrared ray lamp}
도 1은 종래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의 일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210 : 근적외선 램프
220, 300 : 반사판 230 : 냉각관
본 발명은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적외선 램프의 반사판의 구조를 달리하여 근적외선의 밀도를 더욱 높이고, 이와 더불어 근적외선 램프의 방열을 방지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관의 표면적을 넓게 하여 냉각효율을 증가시킨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10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적외선 램프(110)의 저면에 평판형 반사판(120)을 마련하고 상기 적외선 램프(110)의 일측면(120)에 근적외선을 반사시키는 경사형 반사판(1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100)의 저면부에는 근적외선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식히기 위하여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근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근적외선이 피건조물의 부분도장 부위에 집중되지 않는다.
즉, 평판형 반사판(120) 방향으로 조사된 근적외선은 평판형 반사판(120)에 의하여 일부는 수직으로 반사되어 피건조물에 조사되지만 대부분의 수직을 벗어나 거울 반사가 되므로 피건조물을 벗어나 반사하게 되며, 경사형 반사판(130)으로 조사된 근적외선 역시 일부분만이 피건조물에 조사되어 피건조물에 조사되는 근적외선의 양이 적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100)는 적외선 램프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형 반사판(130)으로 인하여 반사판의 폭(D1)을 축소할 수 없어, 적외선 램프 건조기에 구비되는 적외선 램프의 개수가 매우 한정적이다.
또한, 종래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의 후면에 존재하는 냉각홈(140)은 식각공정을 통하여 제조함으로 그 형성공정이 매우 까다로우며 냉각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근적외선 램프의 반사판의 구조를 달리하여 근적외선 램프의 밀도를 향상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근적외선의 램프를 이용한 건조 작업 시, 근적외선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냉각구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막대형 근적외선 램프,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 및 후면에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와 대응하여 근적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내부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관을 포함하며,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상기 반사판은 각(α)진 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의 냉각관 단면은 요철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의 후면에 존재하는 상기 반사판은 복수의 각(γ,δ)진 면으로 형성되며, 램프의 측면 및 램프의 후면에 존재하는 반사판 사이에도 소정의 각(β)이 형성된다.
이때, α 각은 160°내지 175°, γ각과 δ각은 140°내지 160°, β각은 130°내지 150°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막대형 근적외선 램프들은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이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200)는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막대형 근적외선 램프(210), 램프의 후면에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와 대응하여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반사판(220), 반사판의 내부에는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관(230)을 포함하며, 냉각관의 단면은 요철형태이다.
근적외선 램프(210)는 파장이 0.75 내지 3㎛인 근적외선을 조사하며, 이러한 근적외선은 투과성이 매우 높아 도료 즉, 페인트 도포층 밑바닥까지 순간적으로 침투하여 대상물을 수초 이내에 완전 건조시킬 수 있는 높은 방사 에너지 밀도의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근적외선은 통상 열원체를 2,500 내지 3,500K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방사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텅스텐 코일 등 내구성을 가진 열원체가 사용된다.
또한, 근적외선 램프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램프 홀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근적외선 램프의 외부에는 피처리물에 근적외선이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반사판(220, 30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반사판은 근적외선 램프(210)의 길이방향으로 근적외선 램프(210)의 측면 및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반사판(31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한 각(α)이 형성된 구조로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 등으로 형성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반사판은 종래와 달리 각(α)이 진 형태로 반사판의 폭(D2)을 종래에 비하여 더욱 좁게 형성할 수 있어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구비되는 근적외선 램프의 개수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병렬로 정렬된 근적외선 램프의 밀집도를 향상시켜 피처리물의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반사판(310)에 형성된 각(α)은 160°내지 175°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α각이 168°에 가까워질수록 인접하는 근적외선 램프간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반사율을 유지할 수 있어 건조기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반사판(310)과 근적외선 램프의 후면에 존재하는 반사판(320) 사이에도 일정한 각(β)을 이루고 있으며, 이때의 β각은 130°내지 150°으로 형성하며, β각이 134°에 가까워질수록 높은 반사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적외선 램프의 후면에 존재하는 반사판(320)에도 반사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각(γ, δ)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γ각과 δ각은 140°내지 160°으로 형성하며, γ각은 152°에 가까워질수록, δ각은 157°에 가까워질수록 높은 반사율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반사판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종래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에 비하여 더욱 많은 수의 근적외선을 구비할 수 있게 되어 근적외선 램프의 밀집도가 향상되며 결국, 피처리재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에서 건조작업 시 발생한 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는 냉각관을 반사판의 내부에 구비함에 있어서, 적외선 램프와 유사한 길이로 그 단면이 요철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는 냉각수와 반사판과의 닿는 면적을 더욱 크게하여 근적외선 램프에서 발생한 열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근적외선 램프의 밀집도를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로 인하여 건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는 단면적이 큰 형태의 냉각관을 구비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막대형 근적외선 램프;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 및 후면에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와 대응하여 근적외선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상기 반사판의 내부에는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길이 방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관;
    을 포함하며,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측면에 존재하는 상기 반사판은 각(α)진 면으로 형성된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의 단면은 요철형태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램프의 후면에 존재하는 상기 반사판은 복수의 각(γ,δ)진 면으로 형성된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측면 및 램프의 후면에 존재하는 반사판 사이에 각(β)이 형성된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α)은 160°내지 175°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막대형 근적외선 램프들은 병렬로 배치되는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γ,δ)은 140°내지 160°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β)은 130°내지 150°인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KR1020060056607A 2006-06-23 2006-06-23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KR10072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607A KR100724132B1 (ko) 2006-06-23 2006-06-23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607A KR100724132B1 (ko) 2006-06-23 2006-06-23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132B1 true KR100724132B1 (ko) 2007-05-31

Family

ID=3827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607A KR100724132B1 (ko) 2006-06-23 2006-06-23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8569A (zh) * 2013-07-27 2013-11-20 王兆进 一种对红外灯管实施保护的装置
WO2019182406A1 (ko) * 2018-03-23 2019-09-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소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523A (ja) * 2004-12-30 2006-07-20 Nippon Zeon Co Ltd 導光板
KR100659863B1 (ko) * 2005-11-30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전극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523A (ja) * 2004-12-30 2006-07-20 Nippon Zeon Co Ltd 導光板
KR100659863B1 (ko) * 2005-11-30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전극 형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8569A (zh) * 2013-07-27 2013-11-20 王兆进 一种对红外灯管实施保护的装置
WO2019182406A1 (ko) * 2018-03-23 2019-09-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소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729B2 (ja) 急速熱処理装置及び方法
TWI391235B (zh) Light irradiation device
JP5598974B2 (ja) 照明装置
US6614005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ly treating substrates
US11554581B2 (en) Light engine frame with integrated baffle
KR100724132B1 (ko) 근적외선 램프 건조기
KR200484992Y1 (ko) 개선되는 균일도 범위를 위한 led들의 에지 가중 간격
KR20080059358A (ko) 열풍 및 열원을 이용한 건조장치
US20160075075A1 (en) Heating system for pet-preforms
JP4042592B2 (ja) 加熱装置
US6599585B2 (en) UV curing system for heat sensitive substances and process
JP2008235678A (ja) 紫外線照射器、紫外線照射装置及び膜質改質方法
KR20210002453U (ko)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용융도금강판의 후처리 피막 건조용 적외선 오븐
WO2005114265A1 (en) Light flux transformer
US20050052104A1 (en) Infrared reflector and infrared radiator having such an infrared reflector
JP4947344B2 (ja) 加熱装置
US20030061726A1 (en) Method for drying coatings on substrates for lamps
JP2007222790A (ja) 光収束照射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KR100520873B1 (ko) 고출력 적외선 발열 모듈
JP7367024B2 (ja) ターゲット照射用照明器具
KR100720932B1 (ko) 자동차 건조용 근적외선 건조장치
JP7275966B2 (ja) インク乾燥用光源装置
JP6533507B2 (ja) 光照射装置
JP6926437B2 (ja) 加熱装置
KR100952618B1 (ko) 근적외선 히팅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