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219B1 - 초소형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초소형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219B1
KR100723219B1 KR1020060049235A KR20060049235A KR100723219B1 KR 100723219 B1 KR100723219 B1 KR 100723219B1 KR 1020060049235 A KR1020060049235 A KR 1020060049235A KR 20060049235 A KR20060049235 A KR 20060049235A KR 100723219 B1 KR100723219 B1 KR 10072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conditional expression
refractive power
imag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양, 음, 양의 굴절력 배치를 갖는 3매의 렌즈만을 이용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형상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한다.
[조건식 1] 0.24 < r1/r2 < 0.3 (다만, r1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 r2 :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도가 높고 광학적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렌즈의 구성매수가 적고 전장이 매우 짧으며, 온도변화에 덜 민감하고 제조비용이 적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초소형, 광학계, 전장, 글래스, 플라스틱, 고해상도

Description

초소형 촬상 광학계{Subminiature Optical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의 렌즈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 수차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구면수차, (b)는 비점수차, (c)는 왜곡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의 렌즈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제 수차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구면수차, (b)는 비점수차, (c)는 왜곡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의 렌즈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제 수차도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구면수차, (b)는 비점수차, (c)는 왜곡을 각각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L1...제1 렌즈 L2...제2 렌즈
L3...제3 렌즈 AS...개구 조리개
OF...광학적 필터 IP...상면
1,2,3,4,5,6,7,8,9,10...면 번호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 PDA 등에 탑재되거나, 감시용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초기에는 통신수단의 기능만을 가졌다. 하지만 그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사진촬영 또는 화상 전송 내지 통신 등 요구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기능과 서비스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기술과 모바일폰 기술을 융합시킨 확장된 새로운 개념의 이동통신단말기, 즉 소위 카메라폰(camera phone 또는 camera mobile phone)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카메라폰에 탑재되는 촬상 광학계에 대하여 소형 / 경량화 / 저비용화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CD(고체촬상소자)나 CMOS(보상금속반도체) 등의 이미지 센서의 픽셀 사이즈(pixel size)가 점점 작아짐에 따라 이러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촬상 광학계에 대해서도 높은 해상도가 요청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 등의 소형기기에 장착되는 촬상 광학계는 소형화 / 저비용화를 만족시키기 위해 가능한 렌즈 매수를 줄여야 하지만 설계에 대한 자유도가 적어지고 광학성능을 만족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특개2004-219982호에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이고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와, 물체측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상이고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로 이루어지는 촬상 광학계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촬상 광학계의 전장(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은 6.46~7.07mm 정도로서,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정도로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보다 더 작은 전장을 가지면서도 고해상도 및 충분한 광학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초소형, 초경량의 촬상 광학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3매의 렌즈만을 이용하여 고해상인 동시에 렌즈의 구성매수가 적어 컴팩트하고 전장이 매우 짧은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온도 변화가 덜 민감하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형상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한다.
[조건식 1] 0.24 < r1/r2 < 0.3
여기서, r1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
r2 :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
바람직하게는, 광축방향의 치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2를 추가로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0.75 < efl/TL < 0.77
여기서, efl :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
TL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는 글래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렌즈 및 제3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3을 추가로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v1-v2│ > 25
여기서, v1 : 제1 렌즈의 아베수
v2 : 제2 렌즈의 아베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계는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상기 제1 렌즈에서 입사된 광 중에서 불필요한 광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 조리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글래스 재질의 제1 렌즈; 개구 조리개; 음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2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3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형상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제공한다.
[조건식 1] 0.24 < r1/r2 < 0.3
여기서, r1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
r2 :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
바람직하게는, 광축방향의 치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2를 추가로 만족하며,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3을 추가로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0.75 < efl/TL < 0.77
[조건식 3] │v1-v2│ > 25
여기서, efl :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
TL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v1 : 제1 렌즈의 아베수
v2 : 제2 렌즈의 아베수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렌즈 구성도이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갖고 양의 굴절력 을 갖는 글래스 재질의 제1 렌즈(L1)와,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갖고 음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2 렌즈(L2)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3 렌즈(L3)를 포함하며,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는 개구 조리개(AS)가 설치된다. 이때, 제1 렌즈(L1)는 글래스 재질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덜 민감하게 되며,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비구면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제3 렌즈(L3)와 상면(IP)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 커버 글래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필터(OF)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초소형 촬상 광학계에서는 제1 렌즈(L1)의 굴절력을 크게 하고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가 서로 마주하는 메니스커스 형상을 갖도록 하여, 광학계의 초소형화를 도모하며,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의 굴절면을 비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제 수차를 보정하여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즉,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L1)과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L2)를 통하여 색수차를 보정하고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를 비구면 렌즈로 사용함으로써 렌즈의 해상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구면 수차 등 각종 수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컴팩트하고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의 아베수를 차이를 이상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색수차를 충분히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렌즈(L3)는 양의 굴절력 을 가지고, 광속(luminous flux)을 수렴하며 적정한 초점거리를 제공한다.
한편, 제1 렌즈(L1)를 온도 변화시 굴절률의 변화가 작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상점의 위치 변동을 최소화하며,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를 가공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경량화, 가공성의 향상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절감을 이루도록 하여, 3매의 렌즈만을 사용하면서도 고해상도의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를 각각 양, 음, 양의 굴절력을 갖게 하고 각각의 렌즈에 메니스커스 형상과 비구면을 적절히 형성함으로써, 렌즈의 가장자리 입사각도를 줄여 이미지 센서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광량을 균일하게 하고 주변광량을 가능한 한 확보하여 주변이 어두워지는 현상과 왜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 하에서 다음의 조건식 1 내지 3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조건식 1] 0.24 < r1 / r2 < 0.3
여기서, r1은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1)의 곡률반경이고, r2는 제1 렌즈(L2)의 상측 면(2)의 곡률반경이다.
조건식 1은 제1 렌즈(L1)의 형상에 관한 조건으로서, 제1 렌즈(L1)의 굴절력을 크게 하여 전체 광학계의 전장을 작게 하기 위한 조건이다.
조건식 1의 하한을 벗어나게 되면 3차 구면 수차 및 비점수차가 발생하여 광학적 성능이 저하되며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1)의 곡률반경이 극히 작아져 가공이 곤란해진다.
반대로, 조건식 1의 상한을 벗어나게 되면 상면(이미지 센서)에 입사하는 빛의 각도가 커져 광량이 부족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해 입사각도를 줄이려고 하는 경우에는 전장이 길어지게 되어 소형화에 반하게 된다.
[조건식 2] 0.75 < efl / TL < 0.77
여기서, efl은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이고, TL은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1)으로부터 상면(IP)까지의 거리이다.
조건식 2는 전체 광학계의 치수를 규정하는 것으로 소형화에 대한 조건이다. 상기 조건식 1의 하한을 벗어나면 제 수차의 보정면에서는 유리하나 전장 길이가 길어져 본 발명의 특징인 초소형이라는 관점에 상반된다. 또한, 조건식 2의 상한을 벗어나면 소형화 관점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전장길이가 너무 짧아지기 때문에 광학계에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기 어려워진다.
[조건식 3] │ v1 - v2 │ > 25
여기서, v1은 제1 렌즈(L1)의 아베수(abbe number)이고, v2는 제2 렌즈(L2)의 아베수이다.
조건식 3은 색수차 보정에 관한 것으로, 하한을 벗어나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의 아베수의 차이가 작아지면 종색수차가 발생하여 광학적 성능이 저하된다.
이하, 구체적인 수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하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갖고 양의 굴절력을 갖는 글래스 재질의 제1 렌즈(L1)와,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갖고 음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2 렌즈(L2)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3 렌즈(L3)를 포함하며,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는 개구 조리개(AS)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3 렌즈(L3)와 상면(IP) 사이에는 적외선 필터, 커버 글래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필터(OF)가 구비된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제1 렌즈(L1)는 글래스 재질을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하였고,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비구면의 형성이 쉽도록 하였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F 넘버가 대략 2.8정도, 화각이 60도 이상, 전장이 5mm 이하이고, 2 메가픽셀 CCD 또는 CMOS에 적합한 광학계에 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전장, 화소수 또는 촬상소자의 종류에 적합한 광학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공지의 수학식 1로부터 얻어지며, 코닉(Conic)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B,C,D,E)에 사용되는 'E 및 이에 이어지는 숫자'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01은 101을, E-02는 10-2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1
여기서, Z :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Y :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r :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 반경
K : 코닉(Conic) 상수
A,B,C,D,E,F : 비구면 계수
[제1 실시예 ]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결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표 1 및 도 1에 도시된 광학계의 제 수차도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비점수차도면의 "S"는 새지털(sagital), "T"는 탄젠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경우, F 넘버(FNo)는 2.97이고, 화각(畵角)은 61.2도,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1)으로부터 상면(IP)까지의 거리(TL)는 4.88㎜,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efl)는 3.71㎜, 제1 렌즈(L1)의 초점거리(f1)는 3.83㎜, 제2 렌즈(L2)의 초점거리(f2)는 -9.60㎜, 제3 렌즈(L3)의 초점거리(f3)는 8.15㎜이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2
표 1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1 실시예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렌즈(L2)의 물체측 면(4)과 상측 면(5),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3 렌즈(L3)의 물체측 면(6)과 상측 면(7)이 비구면이다.
수학식 1에 의한 제1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3
[제2 실시예 ]
하기의 표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결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구성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표 3 및 도 3에 도시된 광학계의 제 수차도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경우, F 넘버(FNo)는 2.95이고, 화각(畵角)은 61.2도,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1)으로부터 상면(IP)까지의 거리(TL)는 4.85㎜,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efl)는 3.68㎜, 제1 렌즈(L1)의 초점거리(f1)는 4.00㎜, 제2 렌즈(L2)의 초점거리(f2)는 -8.10㎜, 제3 렌즈(L3)의 초점거리(f3)는 5.85㎜이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4
표 3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2 실시예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렌즈(L2)의 물체측 면(4)과 상측 면(5),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3 렌즈(L3)의 물체측 면(6)과 상측 면(7)이 비구면이다.
수학식 1에 의한 제2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5
[제3 실시예 ]
하기의 표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수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결상 광학계의 렌즈 배치를 나타내는 렌즈구성도이고, 도 6(a) 내지 6(c)는 표 5 및 도 5에 도시된 광학계의 제 수차도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경우, F 넘버(FNo)는 2.96이고, 화각(畵角)은 61.4도, 제1 렌즈(L1)의 물체측 면(1)으로부터 상면(IP)까지의 거리(TL)는 4.87㎜,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efl)는 3.68㎜, 제1 렌즈(L1)의 초점거리(f1)는 3.83㎜, 제2 렌즈(L2)의 초점거리(f2)는 -9.60㎜, 제3 렌즈(L3)의 초점거리(f3)는 7.88㎜이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6
표 5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제3 실시예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2 렌즈(L2)의 물체측 면(4)과 상측 면(5),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제3 렌즈(L3)의 물체측 면(6)과 상측 면(7)이 비구면이다.
수학식 1에 의한 제3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은 다음의 표 6과 같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7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수차의 특성이 우수한 광학계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한 조건식 1 내지 3의 값은 다음의 표 7과 같다.
Figure 112006038732744-pat00008
상기의 표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조건식 1 내지 3을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매의 렌즈만을 이용하여 고해상인 동시에 렌즈의 구성매수가 적어 컴팩트하고 전장이 극히 작은 초소형 촬상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를 2매 사용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가 적게 되는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렌즈를 글래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온도변화에 의한 상점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9)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형상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조건식 1] 0.24 < r1/r2 < 0.3
    여기서, r1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
    r2 :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
  2. 제1항에 있어서,
    광축방향의 치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2를 추가로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조건식 2] 0.75 < efl/TL < 0.77
    여기서, efl :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
    TL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글래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렌즈 및 제3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3을 추가로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조건식 3] │v1-v2│ > 25
    여기서, v1 : 제1 렌즈의 아베수
    v2 : 제2 렌즈의 아베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상기 제1 렌즈에서 입사된 광 중에서 불필요한 광을 제거하기 위한 개구 조리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7.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갖는 글래스 재질의 제1 렌즈;
    개구 조리개;
    음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2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제3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형상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조건식 1] 0.24 < r1/r2 < 0.3
    여기서, r1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의 곡률반경
    r2 : 제1 렌즈의 상측 면의 곡률반경
  8. 제7항에 있어서,
    광축방향의 치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2를 추가로 만족하며,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아베수에 관하여 다음의 조건식 3을 추가로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조건식 2] 0.75 < efl/TL < 0.77
    [조건식 3] │v1-v2│ > 25
    여기서, efl : 전체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
    TL :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
    v1 : 제1 렌즈의 아베수
    v2 : 제2 렌즈의 아베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20060049235A 2006-06-01 2006-06-01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72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35A KR100723219B1 (ko) 2006-06-01 2006-06-01 초소형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235A KR100723219B1 (ko) 2006-06-01 2006-06-01 초소형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219B1 true KR100723219B1 (ko) 2007-05-29

Family

ID=3827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35A KR100723219B1 (ko) 2006-06-01 2006-06-01 초소형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2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974A (ko) * 2003-08-06 2005-02-21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렌즈
KR20050059390A (ko) * 2003-12-12 2005-06-20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렌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974A (ko) * 2003-08-06 2005-02-21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렌즈
KR20050059390A (ko) * 2003-12-12 2005-06-20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716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691624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96699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70321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US7457053B2 (en) Subminiature imaging optical system
KR100849827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759152B1 (ko) 촬영 렌즈 시스템
KR20120018573A (ko) 초소형 광학계
KR100843467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JP2001337268A (ja) 広角レンズ
KR10080925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930183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080072333A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56225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49775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4347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691187B1 (ko) 비구면 렌즈를 이용한 초소형 광학계
KR100616643B1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KR100809251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0925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1208185B1 (ko) 초소형 광학계
KR100723219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72322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20080062155A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96602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