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969B1 -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969B1
KR100720969B1 KR1020060074250A KR20060074250A KR100720969B1 KR 100720969 B1 KR100720969 B1 KR 100720969B1 KR 1020060074250 A KR1020060074250 A KR 1020060074250A KR 20060074250 A KR20060074250 A KR 20060074250A KR 100720969 B1 KR100720969 B1 KR 10072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leachate
unit
le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선
안화선
최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7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복층 건물에서 바닥방수몰탈층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생활오수발생설비 하측으로 오수가 침투되어 하층으로 누수되는 침출오수를 미연에 차단하여 메인배수관으로 배수되게 하는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층 건물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4)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단수평테두리부(11)를 구비하고 층간콘크리리층(3)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w')를 받아 내는 누수받이홈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부(13)와 바닥집수면부(14)를 갖는 침출오수차단부(10)와; 상기 바닥집수면부(14)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상,하부기립관부(21,22)에 생활오수관(4) 및 오수배수관(4')이 각각 연결되어 생활오수(w)가 통과되는 오수통과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통과관부(20) 일측의 바닥집수면부(14)에 형성된 유입공(31)으로 침출오수(w')가 유입되어 하부기립관부(22)의 배출공(32)으로 배수되게 하기 위해 바닥집수면부(14)와 하부기립관부(22)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건물 배수장치, 생활오수차단장치, 침출수차단장치

Description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The needle of the building nap interception drainage system it will dance}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건물의 일부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확대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층간콘크리트구획층 4 : 생활오수관
4' : 오수배수관 8 : 메인배수관
10 : 침출오수차단부 11 : 상단수평테두리부
12 : 누수받이홈부 13 : 측면부
14 : 바닥집수면부 20 : 오수통과관부
21,22 : 상,하부기립관부 30,30' : 침출오수배수관부
31 : 유입공 32 : 배출공
33 : 연결배출관부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복층 건물에서 오수가 바닥으로 침투하여 하층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여 메인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한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의 세면장이나 화장실 또는 아파트나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주방이나 욕실에서는 생활오수가 발생되고, 이러한 생활오수는 배수관을 통해 정화조와 같은 집결처리장으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건물 증축 과정에 바닥 방수처리가 잘 안되었거나 또는 건물이 오래되어 바닥방수층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경우 생활오수가 아래층으로 흘러 내리게 되어 악취 및 불편이 초래되고 하자보수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복층건물은 상층(1)과 하층(2) 사이에 층간콘트리트구획층(3)이 있고, 이 층간콘트리트구획층(3)을 콘크리트 타설 시공할 때 각종 생활오수관(4)을 설치하기 위한 관구멍(5)이 다수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타설 시공한다.
상기 각종 생활오수관(4)은 좌변기 및 세면대, 욕조, 그리고 싱크대에서 배수되는 생활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각각의 생활오수관(4)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각종 생활오수관(4)이 관통되게 설치하기 위한 관구멍(5)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3)을 콘크리트 타설 시공할 때 다수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관구멍(5)으로 생활오수관(4)을 설치하고 층간콘트리트구획층(3) 위 에 바닥방수몰탈층(6)을 시공한 후 그 위에 좌변기나 욕조 및 세면대 등과 같은 설비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생활 오수가 발생되는 설비, 즉 좌변기나 욕조 또는 세면대나 싱크대와 같이 오수가 발생되는 설비들을 총괄하여 생활오수발생설비(7)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예컨대 빌딩의 남자화장실에 주로 설치되는 소변기도 생활오수발생설비(7)에 포함한다.
한편, 생활오수관(4)은 층간콘트리트구획층(3) 하측에서 오수배수관(4')에 의해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배수관(8)에 연결되도록 배관되어 각종 생활오수가 정화조와 같은 집결처리장으로 배수되도록 시공되는 것이고, 층간콘트리트구획층(3) 하측으로 노출되는 생활오수관(4)은 하층(2)의 천장부재(9)에 의해 은폐되게 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물 시공과정에 바닥방수몰탈층(6) 시공상의 하자 등으로 인해 방수가 잘 안되었거나 또는 건물 완공 후 약 10년 이상 경과되어 노후 된 경우 바닥방수몰탈층(6)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허다한데 특히 생활오수관(4)이 있는 부분에서 크랙이 많이 발생 됨에 따라 관구멍(5)과 생활오수관(4) 사이로 오수가 침투되어 밑으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관구멍(5) 주변의 층간콘크리트층(3)으로 오수가 침투되어 하층(2)으로 흘러 내리게 됨으로써 하층(2)의 악취 발생 및 침출오수로 오염되고 상당한 비용을 들여 보수를 해야 하는 등의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층 건물에서 바닥방수몰탈층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하자로 인 해 생활오수발생설비 하측으로 오수가 침투되어 하층으로 누수되는 침출오수를 미연에 차단하여 메인배수관으로 배수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층 건물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단수평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층간콘크리리층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를 받아 내는 누수받이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부와 바닥집수면부를 갖는 침출오수차단부와; 상기 바닥집수면부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상,하부기립관부에 생활오수관 및 오수배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생활오수가 통과되는 오수통과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통과관부 일측의 바닥집수면부에 형성된 유입공으로 침출오수가 유입되어 하부기립관부의 배출공으로 배수되게 하기 위해 바닥집수면부와 하부기립관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가 침출오수를 내측으로 유도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집수면부는 낙수된 침출오수가 유입공으로 유도되어 흘러내리도록 위해 유입공 중심부 쪽으로 하향되게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층 건물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단수평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층간콘크리리층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를 받아내는 누수받이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부 와 바닥집수면부를 갖는 침출오수차단부와; 상기 바닥집수면부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상,하부기립관부에 생활오수관 및 오수배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생활오수가 통과되는 오수통과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통과관부 일측의 바닥집수면부에 형성된 유입공으로 낙수된 침출오수가 유입되어 배수되게 하는 일자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침출오수배수관부와 오수배수관 중간부를 연결배출관부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 침출오수가 오수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전체 종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층 건물에서 상층(1)과 하층(2)을 구획되게 하는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에 고정되게 설치하되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4)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4)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단수평테두리부(11)를 구비하고 층간콘크리트층(3)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w')를 받아 내는 누수받이홈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측면부(13)와 바닥집수면부(14)를 갖는 침출오수차단부(10)를 구성한다.
상기 측면부(13)는 층간콘크리층(3)에서 누수되어 낙수되는 침출오수(w')를 내측으로 유도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바닥집수면부(14)는 층간콘크리층(3)으로부터 낙수된 침출오수(w')가 천장부재(9)에 낙수되어 하층(2) 실내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바닥집수면부(14) 일측에는 생활오수관(4)으로부터 배수되는 생활오수(w)가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오수통과관부(20)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구비된다.
상기 오수통과관부(20)는 바닥집수면부(14)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상,하부기립관부(21,22)를 각각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부기립관부(21)는 생활오수관(4)과 연결되게 하고 하부기립관부(22)에는 오수배수관(4')이 각각 연결되게 함으로써 생활오수발생설비(7)로부터 나오게 되는 생활오수(w)가 메인배수관(8)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하부기립관부(21,22)에 생활오수관(4) 및 오수배수관(4')이 각각 고정되게 연결시키는 것은 배관용 체결밴드(b)를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관용 체결밴드(b)는 이미 공지된 부품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드시 배관용 체결밴드(b)만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배관용 연결 소켓(미도시)을 이용하여 상,하부기립관부(21,22)에 생활오수관(4) 및 오수배수관(4')이 각각 고정되게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집수면부(14)로 낙수된 침출오수(w')를 배출시키기 위 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바닥집수면부(14)에서 하부기립관부(22)로 침출오수(w')가 배출되게 하기 위한 "L"자 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즉, 오수통과관부(20) 일측의 바닥집수면부(14)에 형성된 유입공(31)으로 침출오수(w')가 유입되어 하부기립관부(22)의 배출공(32)으로 배수되게 하기 위해 바닥집수면부(14)와 하부기립관부(22)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집수면부(14)는 낙수된 침출오수(w')가 유입공(31)으로 유도되어 흘러내리도록 위해 유입공(31) 중심부 쪽으로 하향되게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 장치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 재질로 프레스 성형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는 도 1과 같이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15)에 의해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에 상단수평테두리부(11)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단수평테두리부(11)의 일측 부분만 먼저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에 고정되게 한 후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4)이 상부기립관부(21)에 끼워지도록 하고 체결밴드(b)로 결합되게 한 다음 다른 쪽 부분의 상단수평테두리부(11)를 체결수단(15)에 의해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부호 16은 체결구멍을 나타낸다.
이때, 침출오수차단부(10)가 합성수지재질이므로 약간 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설치가 가능하고 아울러서 상단수평테두리부(11)와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면부 사이에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미도시 됨)가 게재되는 사태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하부기립관부(22)에 오수배수관(4')이 체결밴드(b)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생활오수발생설비(7)에서 발생되는 생활오수(w)가 생활오수관(4)과 오수통과관부(20) 및 오수배수관(4')을 통해 메인배수관(8)으로 배수된다.
그러나 상층(1)의 바닥방수몰탈층(6)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생활오수(w)가 생활오수관(4)과 관구멍(5)의 틈새로 침투되어 흘러 내리거나 또는 층간콘크리트구획층(3)으로 침투되어 누수되는 경우에는 생활오수관(4) 주위의 넓은 면적에 위치하는 누수받이홈부(12)로 누수되는 침출오수(w')가 떨어지게 되어 바닥집수면부(14)에 집수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바닥집수면부(14)로 낙수된 침출오수(w')는 유입공(31)으로 흘러 들어가서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통해 배출공(32)으로 배수되어 하부기립관부(22)로 배출됨으로써 오수배수관(4')을 통해서 메인배수관(8)으로 배수됨에 따라 상층(1)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w')가 하층(2)으로 떨어지지 않고 메인배수관(8)으로 배수 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누수되는 침출오수(w')에 의한 하층(2)에서의 악취 발생이 없게 되고 침출오수(w')에 의해 하층(2)의 실내가 오염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뿐만 아니라 예전에 오염된 하층(2)을 보수하여야 하였던 불편과 번거로움이 배제되고 보수 비용 등이 없게 되므로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한편, 상층(1)에서 하층(2)으로 누수될 때에는 초기에는 매우 소량이 누수되다가 점차 크랙이 크게 발생하여 점차 많은 량이 누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초기에 매우 적은 소량이 누수되는 경우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많은 량이 누수되는 경우는 침출오수(w')가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면부에서 물방울이 되어 낙수되므로 이와 같이 낙수될 때 물방울이 바닥집수면부(14)에 떨어지는 충격음(낙수소리)에 의해서 상층(1)에서 누수되는 것을 인지하고 상층(1)만 보수를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낙수 소리가 없는 경우에는 보수를 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적은 소량의 침출오수(w')가 누수되는 것이고 이 정도의 누수일 경우에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서 메임배수관(8)으로 침출오수(w')가 배수되므로 보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하층(2)에 전혀 불편이나 피해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침출오수차단부(10) 및 오수통과관부(2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가지는 침출오수배수관부(30')에 관련한 설명만 기술한다.
제2실시예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는 오수통과관부(20) 일측의 바닥집수면부(14)에 형성된 유입공(31)으로 낙수된 침출오수(w')가 유입되어 배수되게 하는 일자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침출오수배수관부(30')와 오수배수관(4') 중간부를 연결배출관부(33)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 침출오수(w')가 오수배수관(4')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바닥집수면부(14)로 낙수된 침출오수(w')가 침출오수배수관부(30')와 연결배출관부(33)를 통해서 오수배수관(4')의 중간부분으로 배출되어 메인배수관(8)로 배수된다.
제2실시예는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면부와 하층(2)의 천장부재(9) 사이의 간격이 협소한 경우에 실시된다.
즉, 제1실시예와 같이 "L"자 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채용하는 경우 하부기립관부(21)의 길이가 길어야 하나 제2실시예와 같이 일자 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채용하는 경우 하부기립관부(21)의 길이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높이가 제2실시예보다 제2실시예의 장치가 낮아지게 되므로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면부와 하층(2)의 천장부재(9) 사이의 간격이 협소한 경우에 제2실시예의 장치를 채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때는 연결배출관부(33)를 연결하여 침출오수(w')가 오수배수관(4')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에 따라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면부와 하층(2)의 천장부재(9) 사이의 간격이 상호 차이가 있고, 이때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면부와 하층(2)의 천장부재(9)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제1실시예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간격이 협소한 경우에는 제2실시예의 장치가 설치되게 하는 것이 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복층 건물에서 상층의 생활오수가 하층으로 누수되는 경우 그 누수되는 침출오수가 하층으로 누수되기 전에 차단하여 배수되게 함으로써 하층이 오염되는 것과 악취가 발생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누수되는 것이 인지되었을 때 하층은 전혀 보수를 하지 않고 상층만 보수하면 되므로 하층의 생활 불편과 번거로움이 없게 되는 효과 및 하층 보수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생활오수의 누수 차단과 배수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이와 유사한 여건에서의 누수 차단배수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Claims (4)

  1. 복층 건물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4)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단수평테두리부(11)를 구비하고 층간콘크리리층(3)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w')를 받아 내는 누수받이홈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부(13)와 바닥집수면부(14)를 갖는 침출오수차단부(10)와;
    상기 바닥집수면부(14)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상,하부기립관부(21,22)에 생활오수관(4) 및 오수배수관(4')이 각각 연결되어 생활오수(w)가 통과되는 오수통과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통과관부(20) 일측의 바닥집수면부(14)에 형성된 유입공(31)으로 침출오수(w')가 유입되어 하부기립관부(22)의 배출공(32)으로 배수되게 하기 위해 바닥집수면부(14)와 하부기립관부(22)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L"자 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3)가 침출오수(w')를 내측으로 유도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집수면부(14)는 낙수된 침출오수(w')가 유입 공(31)으로 유도되어 흘러내리도록 위해 유입공(31) 중심부 쪽으로 하향되게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4. 복층 건물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3) 저부면을 관통하는 생활오수관(4)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단수평테두리부(11)를 구비하고 층간콘크리리층(3)에서 누수되는 침출오수(w')를 받아 내는 누수받이홈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측면부(13)와 바닥집수면부(14)를 갖는 침출오수차단부(10)와;
    상기 바닥집수면부(13)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기립되게 형성되는 상,하부기립관부(21,22)에 생활오수관(4) 및 오수배수관(4')이 각각 연결되어 생활오수(w)가 통과되는 오수통과관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통과관부(20) 일측의 바닥집수면부(14)에 형성된 유입공(31)으로 낙수된 침출오수(w')가 유입되어 배수되게 하는 일자형태의 침출오수배수관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침출오수배수관부(30')와 오수배수관(4') 중간부를 연결배출관부(33)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 침출오수(w')가 오수배수관(4')으로 배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20060074250A 2006-08-07 2006-08-07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072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50A KR100720969B1 (ko) 2006-08-07 2006-08-07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50A KR100720969B1 (ko) 2006-08-07 2006-08-07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969B1 true KR100720969B1 (ko) 2007-06-04

Family

ID=3835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250A KR100720969B1 (ko) 2006-08-07 2006-08-07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9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5B1 (ko) * 2009-09-05 2012-05-25 주식회사 엘쓰리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CN105350615A (zh) * 2015-11-10 2016-02-24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厨卫漏水维修专用疏导管
KR20200047129A (ko) * 2018-10-26 2020-05-07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CN112095817A (zh) * 2017-01-11 2020-12-18 唐嘉诚 一种卫生间防水层渗水应急处理方法
KR102281248B1 (ko) * 2020-10-08 2021-07-23 장종성 배관 누수 방지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477U (ko) 1985-07-29 1987-02-18
JPH084327A (ja) * 1994-06-15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ルーム
JPH0874306A (ja) * 1994-09-02 1996-03-19 Sanuki:Kk 浴室用排水器
KR200188221Y1 (ko) 2000-02-02 2000-07-15 정진영 발코니용 배수구
JP2004278017A (ja) 2003-03-12 2004-10-07 Bridgestone Corp 浴槽排水構造
KR100592115B1 (ko) 2006-03-07 2006-06-21 주식회사 풍국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477U (ko) 1985-07-29 1987-02-18
JPH084327A (ja) * 1994-06-15 1996-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ユニットルーム
JPH0874306A (ja) * 1994-09-02 1996-03-19 Sanuki:Kk 浴室用排水器
KR200188221Y1 (ko) 2000-02-02 2000-07-15 정진영 발코니용 배수구
JP2004278017A (ja) 2003-03-12 2004-10-07 Bridgestone Corp 浴槽排水構造
KR100592115B1 (ko) 2006-03-07 2006-06-21 주식회사 풍국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0840U (ko) * 2017-09-26 2019-04-03 웬-쳉 리우 자체권선형 리니어 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5B1 (ko) * 2009-09-05 2012-05-25 주식회사 엘쓰리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CN105350615A (zh) * 2015-11-10 2016-02-24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一种厨卫漏水维修专用疏导管
CN112095817A (zh) * 2017-01-11 2020-12-18 唐嘉诚 一种卫生间防水层渗水应急处理方法
KR20200047129A (ko) * 2018-10-26 2020-05-07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125000B1 (ko) * 2018-10-26 2020-06-19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281248B1 (ko) * 2020-10-08 2021-07-23 장종성 배관 누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1146505B1 (ko)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CN100485144C (zh) 同层排水***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US11248370B1 (en) Plumbing for prefab bathroom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1304302B1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CN210369232U (zh) 卫生间防水结构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342860B1 (ko)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CN206554183U (zh) 卫生间同层排水***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102569017B1 (ko) 씽크 이중배관을 이용한 주방 및 세탁실 통합 배수 시스템
KR101037955B1 (ko)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CN216810197U (zh) 一种集成式组合地漏及卫生间同层排水***
CN107119787A (zh) 室内多用途结构板预埋水封圈式防臭积水处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