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135B1 - 이중창 구조의 창틀 - Google Patents

이중창 구조의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135B1
KR100720135B1 KR1020050005724A KR20050005724A KR100720135B1 KR 100720135 B1 KR100720135 B1 KR 100720135B1 KR 1020050005724 A KR1020050005724 A KR 1020050005724A KR 20050005724 A KR20050005724 A KR 20050005724A KR 100720135 B1 KR100720135 B1 KR 10072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uide
glass
glas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103A (ko
Inventor
이명성
Original Assignee
이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성 filed Critical 이명성
Publication of KR2005010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관한 것으로 외측의 창은 창틀과 유리창 고정틀 및 유리창의 구성으로, 내측의 창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사용한 미닫이창의 구조가 적용된다. 상기 내외측을 일체형으로 알루미늄 섀시 혹은 하이 섀시(PVC)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이중창 구조에 비해 보다 얇은 창틀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으로 내측의 틈새가 없는 창 구조를 통해 소음의 방지와 냉난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내측면의 외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외측 가이드 레일; 내측면의 내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 가이드 홈; 및 내측 가이드 홈 상에 끼워져 유리창을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유리창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유리창의 전후 슬라이딩시 소음을 방지하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가이드 레일에는 유리창을 고정시키는 유리창 고정틀이 외측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측에는 유리창이 내측 가이드 홈에 끼워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중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중창, 창문, 알루미늄 섀시, 하이 섀시, 창틀

Description

이중창 구조의 창틀 {A window frame of storm window structur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상하방향 결합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좌우방향 결합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서 미닫이식 유리창을 제거하는 상하 방향 결합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서 배수 홀을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적용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수직방향배수홀 4, 5. 수평방향배수홀
132. 외측 가이드 레일 134. 유리창고정틀
140. 유리창 142. 내측 가이드 레일
142a, 142b. 가이드 홈 160. 가이드용 패킹
162. 결합 유지면 164. 가이드 면
삭제
본 발명은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주택이나 공동주택 및 기타 건축물의 이중창틀을 보다 얇게 구성하면서도 소음 방지와 냉난방의 효과는 보다 우수한 구조의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이란 건축물에 있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는 동시에 내부 의 밀폐된 공간을 환기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창은 근래에 들어서 외부의 소음이나 오염원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려는 목적 및 냉난방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중창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창 구조는 사무용 빌딩군에서는 알루미늄 섀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이중창 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일반 주택이나 공동주택에서는 알루미늄 섀시와 목재 창틀 또는 알루미늄 섀시와 하이 섀시(PVC)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이중창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이중창 구조는 통상 창틀과 유리창 고정틀 및 유리창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중창 구조는 유리창 고정틀에 의해 유리창이 고정된 상태로 창틀에 끼워져 창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는 유리창 고정틀을 통해 유리창을 고정시켜 창틀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과 유리창 고정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
따라서,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는 외부 소음을 방지하거나 냉난방을 하는데 있어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창틀과 유리창 고정틀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소음방지나 냉난방의 효과가 저하될 수밖에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는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거나 내부에 목재 또는 PVC로 이루어진 창틀과 외부에 알루미늄 섀시를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중창 구조를 설치함에 있어 창틀 두께가 생각보다 많이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창틀 두께가 두껍게 구성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에 각각 설치하여 이중창을 구성하거나 목재 또는 PVC의 창틀과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로 각각 설치하는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임은 물론, 유리창을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유리창을 고정 결합하는 유리창 고정틀의 두께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는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에 각각 설치하여 이중창을 구성하거나 목재 또는 PVC 창틀과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로 각각 설치하는 구조를 적용하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외측에는 유리창 고정틀을 통해 유리창을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의 창틀을 내측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과 유리창만을 창틀에 결합시키는 구조의 이중창틀을 일체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에 각각 설치하는 이중창구조 혹은 목재 또는 PVC 창틀과 알루미늄 섀시를 내외에 각각 설치하는 이중창구조보다 두께가 더 얇고 , 더 낮은 단가로 제조가 가능하며 내측의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외측에 모헤어살을 사용함으로써 소음 방지 및 높은 냉난방 효율이 가능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내측면의 외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외측 가이드 레일; 내측면의 내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 가이드 홈; 및 내측 가이드 홈 상에 끼워져 유리창을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유리창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유리창의 전후 슬라이딩시 소음을 방지하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가이드 레일에는 유리창을 고정시키는 유리창 고정틀이 외측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측에는 유리창이 내측 가이드 홈에 끼워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중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상하방향 결합 단면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좌우방향 결합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서 미닫이식 유리창을 제거하는 상하 방향 결합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서 배수 홀을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적용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는 외측의 창은 창틀과 유리창 고정틀 및 유리창의 구성으로 내측의 창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사용한 미닫이창의 구조를 적용하여 내외측을 일체형으로 알루미늄 섀시 혹은 하이 섀시(PVC)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중창 구조에 비해 보다 얇은 창틀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이용해 내측의 틈새가 없는 창 구조를 통해 소음의 방지와 냉난방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는 유리창 고정틀 구조와 미닫이 창 구조를 일체로 한 창틀을 통해 이중창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상하방향 결합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보인 좌우방향 결합단면도이다 .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는 유리창 고정틀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적용하는 구조를 일체로 구성한 창틀을 통해 이중창 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즉, 하나의 창틀에 유리창 고정틀을 통해 유리창을 결합시키는 구조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이 적용된 미닫이식 창 구조가 일체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는 외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외측 가이드 레일(132), 외측 가이드 레일(132)의 내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내측 가이드 레일(142)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내측 가이드 홈(142a) 및 내측 가이드 홈(142b) 상에 끼워져 유리창(140)을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유리창(140)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유리창의 전후 슬라이딩시 소음을 방지하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중창 구조는 외측 가이드 레일(132)에는 유리창(130)을 고정시키는 유리창 고정틀(134)이 외측 가이드 레일(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는 유리창(140)이 내측 가이드 홈(142a, 142b)에 끼워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중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미닫이 구조의 창틀에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은 창틀의 가이드 홈(142a, 142b)에 관계하는 너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지되 유리창(140) 의 상·하단 전 후면에 면접촉되어 유리창(140)을 창틀에 결합 유지시키는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유리창 결합 유지면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양측의 유리창 결합 유지면 사이의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유리창 결합 유지면보다는 낮은 중간 높이로 상하 탄성 가능하게 융기 형성되어 유리창(140)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면(164)이 일체의 구성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
전술한 바와 같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가이드 면(164)의 구성으로 일체 성형되어지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은 성형된 형태가 " W "의 형태로 제조되어지고 ,창틀의 가이드 홈(142a, 142b)에 끼워져 구속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어 " M "의 형태가 된다. 이처럼 성형된 상태와 창틀의 가이드 홈(142a, 142b)에 구속된 상태의 형태가 다른 것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이 고무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
이때,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의 상부면에는 유리창(14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합성수지재의 융이 구비된다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가이드 면(164)의 구성으로 일체 성형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창틀의 가이드 홈(142a, 142b)에 끼워 구속하는 경우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은 가이드 홈(142a, 142b)의 깊이 즉, 가이드 레일(14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가이드 면(164)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에 비해 낮게 형성되나 그 높이는 가이드 홈(142a, 142b)의 중간 깊이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
이때, 창틀의 상·하부측 틀 각각의 가이드 홈(142a, 142b)에 끼워져 결합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의 가이드 면(164)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유리창(140)은 도 5와 같이 상부측 틀의 가이드 홈(142a, 142b)으로부터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이 제거된 상태에서 유리창의 하단면(15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내측 가이드 레일(142) 하부와의 간섭 없이 빠져나올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은 유리창(140)의 교체시 종래와 같이 창틀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창틀에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유리창(140)을 창틀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창틀을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제거한 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이 제거된 창틀의 부분으로부터 유리창(140)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유리창(140)의 교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창(140)을 창틀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유리창(140)을 창틀의 전후 일방향으로 밀어 놓은 상태에서 창틀 상단의 유리창이 없는 부분의 가이드 홈(142b) 상에 끼워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제거한 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이 제거된 가이드 홈 방향으로 유리창을 이동시킨 뒤 반대쪽 가이드 홈에 삽입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도 제거한다.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이 제거된 상단의 가이드 홈으로 유리창을 들어 올린 뒤 유리창의 하부(150)를 일측으로 기울이면 내측 가이드 레일 하부와의 간섭없이 유리창(140)을 창틀에서 제거할 수 있다.
유리창(140)을 창틀에 끼우는 경우에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내측 가이드 레일(142)의 가이드 홈(142b) 중 하부에 끼운 후 유리창(140)을 가이드 홈(142b)의 상부에 경사지게 넣고 유리창 하부(150)를 앞으로 밀어서 가이드 홈(142b)에 삽입된 가이드용 패킹(160)위로 위치하게 한 후 유리창(140)을 이동시켜 유리창이 가이드 홈(142b)에 삽입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의 가이드 면(164)에 면접촉하게 한다. 그리고 유리창(140)을 창틀의 전후 일방향으로 밀어 놓은 상태에서 상단의 가이드 홈 중 유리창(140)이 없는 부분에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가이드 홈(142b)에 끼운 후; 이때 삽입되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은 유리창이 있는 방향으로 유리창 길이의 절반정도는 가이드 홈에 끼우지 않고 바깥으로 나오고 나머지 길이의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유리창이 없는 부분의 가이드 홈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유리창을 가이드용 패킹(160)이 삽입된 방향으로 밀어서 유리창이 삽입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 끝까지 위치하게 한 후, 유리창과 면접촉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유리창과 같이 움직여서 창틀의 중간에 유리창(140)이 오게 한 후, 유리창 전후에 삽입되지 않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가이드 홈(142b) 안으로 끼워 넣는다.
또 다른 가이드 홈(142a)에 유리창을 끼우거나 빼내는 과정도 상기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은 유리창(140)을 미닫이 창틀에 끼우는 경우 유리창(140)의 상·하단 전후면에 면접촉되어 유리창(140)을 미닫이 창틀에 결합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은 창틀의 가이드 홈(142a, 142b)에 관계하는 너비의 간격으로 탄성 가능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은 가이드 홈(142a, 142b)의 깊이인 내측 가이드 레일(142)의 높이 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가이드 홈(142a, 142b)에 끼워 결합시키는 경우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이 내측 가이드 레일(142)의 상단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단보다 높게 노출된다.
가이드 면(164)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함께 유리창(140)의 슬라이딩시 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가이드 면(164)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양측의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 사이의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 보다는 낮은 높이로 상하 탄성변형 가능하게 융기 형성된다. 이때, 상부면은 유리창의 슬라이딩시 유리창(140)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면접촉되어 가이드 되도록 평면을 이룬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가이드 면(164)의 형성에 의해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가이드 면(164)의 양측 경사면 사이는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범위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힘탄성홈(166)이 형성되고, 가이드 면(164)의 양측 경사면 사이의 하부는 가이드면(164)이 상하로 탄성 가능하도록 수축 탄성홈(168)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과 가이드 면(164)의 양측 경사면 사이에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범위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힘 탄성홈(166)이 형성됨으로써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을 가이드 홈(142a, 142b)에 끼워 결합시 유리창 결합 유지면(162)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일정범위 접힘이 발생한다.
그리고, 가이드면(164)의 양측 경사면 사이의 하부는 가이드 면(164)이 상하로 탄성 가능하도록 수축 탄성홈(168)이 형성됨으로써 창틀에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이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에 유리창(140)을 끼우는 경우 가이드 면(164)이 수축 탄성홈(168)으로 탄성 변형되어 유리창(140)이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배수를 위하여 창틀 하부의 외측 가이드와 외측 가이드 레일(132) 그리고 중간가이드(138)를 지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홀 가공을 한다. 이러한 방식은 제품 생산시에는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지만, 일단 시공된 후 강풍을 동반한 비가 올 때 배수홀이 외부에서 내부로 일자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측가이드 홈상에 물이 고이고 심지어는 실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수직방향배수홀(1, 2, 3)과 수평방향배수홀(4, 5)을 갖는다. 도면 6의 수직방향배수홀(1 ,2 ,3) 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고, 수평방향배수홀(4, 5)은 지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형성한다. 이때 수직방향배수홀(1, 2, 3)의 수직방향 연장선과 수평방향배수홀(4, 5)의 수평방향 연장선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만약 두 연장선들이 만나게 된다면 빗물이 역류될 위험이 있고, 외풍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외측가이드와 외측가이드 레일 그리고 중간가이드(138)의 측면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수직방향배수홀(1, 2, 3)을 형성하고, 창틀 하부에 지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수평방향배수홀(4, 5)을 형성하되 수직 방향의 홀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과 수평 방향의 홀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창틀의 하단부 반대쪽에서 각각 가공하여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는 신규의 건축물을 건립하는 경우 및 리모델링을 하는 경우 이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이 적용된 미닫이식 창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이중창틀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창의 틈새를 없애 소음 방지 효과나 냉난방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중창 구조의 창틀을 시공할 때, 고리살(143)이 있는 유리창 고정틀(144)에서 상,하부의 고리살(143)은 하단창틀의 하단 중간 가이드(138)와 상단창틀의 상단 중간 가이드(139)와 간섭이 발생하므로, 고리살(143)이 가이드(138,139)에 걸리지 않게 유리창 고정틀(144)의 고리살(143)과 중간 가이드(138,139)가 겹치는 부분의 고리살(143)을 제거해야 한다.
여기에서 고리살(143)을 절단한 부위에 바람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모헤어살(120)이 없으면 그 틈새로 바람의 유입이 발생하여 소음 및 단열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하단창틀(136)의 중간 가이드(138,139) 홈 내측의 모헤어살 홈(122) 1개와 고리살(143)이 있는 유리창 고정틀(144)의 모헤어살 홈(141) 2개를 구비하여 3중의 모헤어살(120)이 바람의 유입을 완전히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리살이 있는 전후의 바람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도 고리살 전후로 모헤어살 홈(141)을 구비하여 바람의 유입을 막고, 미닫이식 유리창(146)이 교차하는 부분에 바람막이바(148)를 장착함으로써 유리창의 상, 하, 전, 후면은 내측 가이드 홈에 장착되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으로, 창틀 하단의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160) 위를 슬라이딩하는 미닫이식 유리창(146) 2개의 교차면은 바람막이바(148)의 모헤어살이 바람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도 유리창 고정틀(144)을 완전히 닫았을 경우에는 고리살(143) 2개가 겹쳐지면서 강풍시에도 유리창이 탈거될 위험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매장이나 사무실 등에서 이중창 위에 대형 복층 유리 또는 강화 유리로 쇼윈도를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이중창 위에 쇼윈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층유리 혹은 강화유리와 이중창의 창틀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오사이란 부품을 사용한다.
이 오사이는 복층유리 혹은 강화유리와는 실리콘으로 접합되고 이중창 구조의 창틀과는 접촉면에 누수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실리콘 작업 후 피스로 체결한다.
그런데 이중창 구조의 창틀과 오사이 사이에 실리콘의 양이 부족하거나 실리콘 내에 기포 발생 혹은 실리콘 접합면에 수분이 유입된 경우 그리고 건물 근처에서 진동이 심한 공사로 인하여 오사이와 이중창틀의 접착면이 약해진 경우에는 오사이와 이중창틀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어 장마기간에 강풍을 동반한 비가 올 때 오사이와 창틀 사이로 물이 내측으로 넘어와서 누수가 발생하여 건물 내에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상단과 측면에 복층유리 혹은 강화유리를 삽입 가능한 너비 20mm , 깊이 13mm 의 홈(110)이 있으며, 이중창 위에 쇼윈도를 장착할 때 상기 홈(110) 사이로 복층 유리 혹은 강화 유리를 삽입하고 홈(110)과 유리가 접하는 내외측에 실리콘처리를 하도록 구현하면 오사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작업도 간단하고 비용도 절감되며 디자인도 간결해지는 장점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측에는 유리창 고정틀을 통해 유리창을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의 창틀을 내측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과 유리창만을 창틀에 결합시키는 구조의 이중창틀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얇은 두께의 창틀을 구성할 수 있고, 보다 적은 비용으로 이중창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중창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기존의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외측 가이드레일이 외측가이드와 중간가이드보다 높이가 15mm 가 낮고 유리창 고정틀이 창틀에 결합된 경우에는 유리창 고정틀이 외측 가이드와 중간 가이드보다 20mm 이상 내려간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보다 유리창 고정틀이 창틀 가이드 속으로 충분히 삽입됨으로써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내측은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을 적용한 미닫이식 유리창 구조이므로 전체적인 창틀의 두께를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중창 구조 창틀이 내측에는 목재나 PVC를 사용하고 외측은 알루미늄 섀시를 사용한 서로 다른 재료의 창틀을 결합하는 경우여서 생산비용이 2중으로 들어가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이중창 구조의 창틀은 내외부 모두 알루미늄 혹은 PVC를 사용한 일체형 구조이므로 생산 단가면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중창 구조의 창틀에 비해 저렴하다.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삭제
  2. 내측면의 외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외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내측면의 내측에 상하가 상호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내측 가이드 홈과;
    상기 내측 가이드 홈 상에 끼워져 유리창을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유리창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유리창의 전후 슬라이딩시 소음을 방지하는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가이드 레일에는 유리창을 고정시키는 유리창 고정틀이 상기 외측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는 유리창이 상기 내측 가이드 홈에 끼워진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외측을 일체형으로 알루미늄 섀시 혹은 하이 섀시(PVC) 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유리창 가이드용 패킹은 상기 창틀의 가이드 홈에 관계하는 너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리창의 상,하단 전후면에 면접촉되어 상기 유리창을 상기 미닫이 창틀에 결합 유지시키는 탄성 가능한 유리창 결합 유지면과 상기 유리창 결합 유지면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양측의 유리창 결합 유지면 사이의 중심으로 양측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상기 유리창 결합 유지면보다는 낮은 높이로 상하 탄성 가능하게 융기 형성되어지되 상부는 상기 유리창의 슬라이딩시 유리창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면접촉되어 가이드 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가이드면이 일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 구조의 창틀.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 패킹의 유리창 결합 유지면과 가이드 면은 “ W "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창틀의 가이드 홈에 끼워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M "의 형태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 구조의 창틀.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외측가이드와 외측가이드 레일 그리고 중간가이드의 측면에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수직방향배수홀을 형성하고, 창틀 하부에 지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수평방향배수홀을 형성하되, 수직방향배수홀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과 수평방향배수홀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20050005724A 2004-04-29 2005-01-21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0720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29798 2004-04-29
KR1020040029798 2004-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03A KR20050105103A (ko) 2005-11-03
KR100720135B1 true KR100720135B1 (ko) 2007-05-18

Family

ID=3728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724A KR100720135B1 (ko) 2004-04-29 2005-01-21 이중창 구조의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1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42B1 (ko) 2009-03-05 2011-03-09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용 이중창 프레임
CN102979416A (zh) * 2012-11-07 2013-03-20 安徽鑫发铝业有限公司 一种双层窗下导轨结构
KR101468678B1 (ko) * 2014-04-01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KR101507989B1 (ko) 2014-11-24 2015-04-07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복합 단열 및 기밀 구조를 가진 슬림형 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5651B (zh) * 2018-08-16 2020-06-19 宇宸江苏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提高住宅环境的安全性的方法
CN109113520A (zh) * 2018-08-16 2019-01-01 *** 基于pvc框体的推拉窗
KR102619172B1 (ko) 2020-07-27 2023-12-29 주식회사 동해공영 이중 단열 방화 유리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64A (ko) * 2000-10-31 2001-01-05 김현수 복합 테이프 전사구
JP2001049962A (ja) * 1999-08-04 2001-02-20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ラ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962A (ja) * 1999-08-04 2001-02-20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ラン
KR20010000964A (ko) * 2000-10-31 2001-01-05 김현수 복합 테이프 전사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049962
200196494000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42B1 (ko) 2009-03-05 2011-03-09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용 이중창 프레임
CN102979416A (zh) * 2012-11-07 2013-03-20 安徽鑫发铝业有限公司 一种双层窗下导轨结构
KR101468678B1 (ko) * 2014-04-01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창호
KR101507989B1 (ko) 2014-11-24 2015-04-07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복합 단열 및 기밀 구조를 가진 슬림형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03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135B1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JP4472908B2 (ja) レール詰込み形スライディング窓戸装置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465697B1 (ko) 미서기 창호의 기밀보강재
KR101558869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1786546B1 (ko) 빗물 유입 방지 창호
KR10173170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US20090101293A1 (en) Light-blocking headrail for architectural covering
KR20210001860U (ko) 미닫이 창문용 방풍 장치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101279140B1 (ko)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CN210685748U (zh) 一种具有阻断式节能装置的铝合金推拉门窗
CN204002366U (zh) 一种门窗密封胶条支架组件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KR100979489B1 (ko) 실링의 설치를 위한 창틀 구조
KR20040084002A (ko) 창문용 패킹
KR200428862Y1 (ko) 창틀 커버
CN211008214U (zh) 一种新型铝合金门窗
KR101320830B1 (ko) 방풍 방음 창호
CN216741208U (zh) 嵌入式轨道的推拉窗结构
KR102559267B1 (ko) 시스템창호용 보조샤시
KR20190000526U (ko) 방풍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