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596B1 -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596B1
KR100716596B1 KR1020070029085A KR20070029085A KR100716596B1 KR 100716596 B1 KR100716596 B1 KR 100716596B1 KR 1020070029085 A KR1020070029085 A KR 1020070029085A KR 20070029085 A KR20070029085 A KR 20070029085A KR 100716596 B1 KR100716596 B1 KR 10071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ouch
type lithium
crud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봉
김영재
정재국
김규식
엄원섭
엄희민
Original Assignee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한에너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596B1/ko
Priority to US12/079,115 priority patent/US20080241680A1/en
Priority to JP2008078927A priority patent/JP2008243815A/ja
Priority to CNA2008101092077A priority patent/CN10135518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구비된 크루드 셀과 상기 크루드 셀을 밀봉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위치하는 상기 외장재의 내면에 절연재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알루미늄계열 외장재와 리륨이차전지용 전해액과의 반응에 의한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고 크루드셀의 수납시 발생할 수 있는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차전지, 외장재, 절연재, 전극탭, 전극리드,

Description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알루미늄 외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a ~ 4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파우피형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산화가속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크루드 셀 111 : 전극리드
112 : 전극탭 120 : 수납부
123 : 실링부 130 : 제2수납부
140, 140' : 절연재
본 발명은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루드셀의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위치하는 파우치형 2차전지의 외장재의 내면에 절연재를 구비하여 전해액과 외장재간의 산화반응을 억제하고 크루드셀의 수납시 발생할 수 있는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산업이 성장되고 다양화되어 발전하여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가 보완해야 될 주요한 과제 중 하나가 전지의 장기적 안정성이다. 특히 알루미늄계열의 외장재를 사용하는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이를 수개월이상 사용시, 외장재의 내부 산화에 의한 전지 팽창현상인 스웰링 현상과 누액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외장재를 사용하는 통상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모식도이다.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10)은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을 와인딩 방식이라고 불리는 공정을 통해 분리막으로 감아 일체화하는 방식 또는 분리막, 양극, 음극 순으로 일정 면적으로 유지하면서 적층하는 스태킹 방식이 이용된다. 이들 방식은 공통적으로 단위셀의 집합체인 크루드셀(20)을 제작한 후, 상기 크루드셀(20)을 수납하는 외장재(30)의 수납부에(31) 크루드셀(20)을 수납하고 외장재 덮개(32)를 덮는다. 이때 크루드셀(20)의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은 전극리드(40)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리드는 전극탭(50)과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이후, 외장재 수납부(31)과 덮개(32)를 밀봉한다. 그 뒤 여기에 전해액을 넣어 리륨이차전지를 만든다. 이때 전극탭(50)과 외장재(3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파우치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레진층(51)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외장재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알루미늄계열의 외장재(70)는 여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심층에는 파우치의 형태를 유지시키게 하는 박형의 알루미늄층(71)이 있으며, 최외각에는 외부 공기 및 자극에 알루미늄층을 보호하는 필름(72)이 있다. 전지내부인 알루미늄층 안쪽에는 전해액과 알루미늄과의 반응을 방지하는 폴리프로필렌계열의 레진층(73), 파우치의 밀봉을 위하여 열에 의해 융착이 되는 실런트층(74)이 순차적으로 있다. 파우치형 리륨이차전지 제작시 알루미늄계열 외장재는 연포장재로 되어 있어 크루드셀이 수납되기 쉽도록 오목한 공간을 만들며, 그 공간은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형으로 성형한다. 이렇게 성형된 외장재에 크루드셀을 수납한 후 덮개를 덮고 외장재 외부에 열을 가하여 실런트층을 녹여 밀봉한다.
한편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 제작 시 외부충격이나 크루드셀(20)의 수납 시 전극리드(40)과 전극탭(50)의 돌출부위가 전지내부에서 외장재(30)에 손상을 주어 알루미늄층을 노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파우치 밀봉시 사용하는 열의 영향으로 레진층에 미세한 구멍인 핀홀 발생 및 파우치 손상 등으로 알루미늄층 노출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완성된 파우치형 리튬2차전지의 경우에도 낙하, 충격, 압력 및 압착 등의 영향으로 전극리드(40)의 이동에 의한 외장재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알루미늄층을 이루고 있는 알루미늄이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과 반응을 하여 전지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를 팽창시켜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외장재 밀봉 시 전극리드(40)에 대응하여 위치하는(맞닿는) 수납부 상단부분(34)은 파우치형 리륨이차전지의 밀봉을 위하여 전극리드(40)에 부착된 레진(51)을 녹이기 위하여 전극리드(40)에 대응하지 않고 덮개와 맞닿는 실링부(33)에 보다 많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밀봉을 한다. 이러한 경우 실런트층(74)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층을 보호하는 레진층(73)을 녹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알루미늄층을 이루고 있는 알루미늄이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과 반응을 하여 전지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를 팽창시키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외부충격 또는 크루드셀 안착 시 전극리드(40)과 전극탭(50)의 돌출부위가 전지내부에서 외장재에 손상을 주어 알루미늄층을 노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계열의 외장재를 사용하는 파우치형 리륨이차전지의 외장재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루드셀의 전극리드와 전극탭과 대응하는 파우치형 2차전지의 외장재의 내면에 절연재를 구비하여 전해액과 외장재간의 산화반응을 억제하고 크루드셀의 수납시 발생할 수 있는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는,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구비된 크루드 셀과 상기 크루드 셀을 밀봉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와 전극탭과 대응하는 상기 외장재의 내면에 절연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장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루드 셀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전극리드가 수납되는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납부의 내면에 절연재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재는 바람직하게는 절연테이프 또는 절연수지이며, 상기 절연테이프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에폭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테프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아스테이트 필름, 필라멘트필름, 석면 필름, 종이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필름 형태의 절연테이프를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절연수지는 실리콘, 세라믹, 알루미나, 에폭시,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아스테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수지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01 ~ 5 ㎜ 이다.
상기 절연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수납부의 덮개부 및/또는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구비된 크루드 셀과 상기 크루드 셀을 밀봉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이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크루드 셀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전극리드가 수납되는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납부의 내면에 절연재를 처리한 후 상기 크루드 셀을 상기 외장재에 삽입하고 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리튬2차 전지(100)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구조를 가지며 전극리드와 전극탭을 구비한 크루드 셀(110)과 이 크루드 셀(110)이 수납되어 밀봉될 수 있는 외장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크루드 셀(110)은 이론적으로 리튬 2차 이온 전지 또는 리튬 2차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 또한, 크루드 셀(110)은 단위 셀(unit cell) 그 자체 또는 바이-셀(Bi-cell) 그 자체를 불문하며, 이러한 단위 셀 또는 바이셀이 여러 겹으로 적층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극판(양극판 또는 음극판)은 극판 몸체와 극판 몸체로부터 돌출된 그리드로 구성된다.
상기 그리드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구별되며,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는 크루드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는 크루드 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상기 양극 리드와 음극리드를 포괄하여 전극리드(111)라 한다. 상기 전극리드(111)는 전극탭(11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탭(112)는 레진층(113)으로 보호되며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크루드 셀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크루드 셀(110)을 수납하는 외장재(120)는 실제로 크루드 셀(11)을 수납하는 수납부(121)와 이를 덮는 덥개부(122)로 구분된다. 상기 수납부는 크루드 셀(110)의 몸체 부분을 수납하는 제1수납부 즉 크루드 셀(110)이 차지하는 공간과, 전극리드(111) 및 전극리드(111)와 연결되는 전극탭(112)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수납부(130) 및 레진층(113)에 대응하는 실링부(123)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극리드와 전극탭과 대응하는 상기 외장재의 내면을 절연재로 처리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수납부(130)의 내면 즉 제2수납부(130)의 내측면을 절연재(140, 140')로 처리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 로 상기 제2수납부(130)의 내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절연재로 처리하는 경우 전극리드와 외장재가 반응하여 스웰링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절연재로 처리되는 부분은 도 4a ~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납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와 같이 제2수납부(130)의 내주면 부분을 'ㄱ'자 형상으로 처리하거나 도 4b와 같이 제2 수납부의 내주면 중 상기 양극/음극전극리드와 대응하는 부분만을 절연재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c와 같이 수납부 전체에 절연재를 처리할 수 있으며, 도 4d와 같이 제2수납부의 덮개부분에 절연재를 처리할 수 있으며, 도 4e와 같이 제2 수납부의 내주면 및 덮개부분을 모두 절연재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레진층(113)과 맞닿는 실링부(123)는 절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실링부(123)를 절연테이프로 처리하는 경우 절연재가 녹거나 실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절연재는 전극리드와 외장재간의 접촉 및 반응을 차단하는 것이면 종류의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재는 바람직하게는 절연테이프 또는 절연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테이프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에폭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테프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아스테이트 필름, 필라멘트필름, 석면 필름, 종이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필름 형태의 절연테이프를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 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수지는 실리콘, 세라믹, 알루미나, 에폭시,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아스테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농도 및 용매의 종류 등은 통상의 절연수지의 희석농도 및 용매의 종류와 동일하다. 상기 절연수지의 두께는 상기 저연테이프의 두께와 동일하게 도포하며 바람직하게는 0.001 ~ 5 ㎜이다. 한편 절연수지의 도포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충분한 건조과정을 거친 후 밀봉하여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4a와 같이 실링부를 제2수납부의 내주면에 폴리에스터 재질의 절연테이프를 부착한 외장재에 통상의 크루드 셀(새한 에너테크)을 수납한 후 이를 밀봉하여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절연테이프를 대신하여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절연테이프를 부착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의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를 각각 30개씩 제작한 후, 이에 대한 산화가속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우치형 리튬이차전지의 알루미늄계열의 외장재와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전해질과 반응에 의한 산화는 전지내부에서 외장재의 미세한 핀홀 및 손상부분에서 반응하여 가스가 발생 발생하여 전지가 팽창하는 스웰링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지가 팽창하기 전까지는 육안상 및 기타측정장비를 동원하여 측정하는 것이 난해하고 시일이 오래 걸린다. 그러므로, 외장재에 흐르는 전자의 양을 크게 할 경우 산화를 가속할 수 있어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도 5와 같이 4.2V까지 충전된 파우치형 리륨이차전지의 음극리드 부분과 와장재의 알루미늄층을 연결하여 외장재에 높은 전위를 흐르게 하여 산화를 가속하여 실험을 하였다. 총 30개의 전지를 제작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스웰링 발생유무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일차 1 2 3 4 5 6 7 8 9 10
스웰링발생 전지수 (누적) 실시예 1 0 0 0 0 0 0 0 0 0 2
실시예 2 0 0 0 0 0 0 0 0 0 3
비교예 1 0 0 3 9 10 11 11 13 14 14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2의 전지에서는 스웰링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경우 3일차부터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여 10일차에는 절발 가량의 전지에서 스웰링 현상이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루미늄계열 외장재와 리륨이차전지용 전해액과의 반응에 의한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고 크루드셀의 수납시 발생할 수 있는 외장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륨이차전지 사용시 낙하, 압착, 충격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전극 탭의 이동에 의한 외장재 손상을 방지하여 리륨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8)

  1.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구비된 크루드 셀과 상기 크루드 셀을 밀봉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 및 전극탭이 위치하는 상기 외장재의 내면에 절연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크루드 셀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전극리드가 수납되는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납부의 내면에 절연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절연테이프 또는 절연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테이프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에폭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테프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아스테이트 필름, 필라멘트 필름, 석면 필름, 종이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필름 형태의 절연테이프를 아크릴계, 실리콘계 및 고무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는 실리콘, 세라믹, 알루미나, 에폭시, 폴리이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터, 아스테이트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의 두께는 0.001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우치형 리튬2차전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상기 제2수납부의 내주면 또는 덮개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8. 전극리드와 전극탭이 구비된 크루드 셀과 상기 크루드 셀을 밀봉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이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크루드 셀이 수납되는 제1 수납부와 상기 전극리드가 수납되는 제2 수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납부의 내면에 절연재를 처리한 후 상기 크루드 셀을 상기 외장재에 삽입하고 이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70029085A 2007-03-26 2007-03-26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KR10071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85A KR100716596B1 (ko) 2007-03-26 2007-03-26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US12/079,115 US20080241680A1 (en) 2007-03-26 2008-03-25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08078927A JP2008243815A (ja) 2007-03-26 2008-03-25 ポーチ型リチウム二次電池
CNA2008101092077A CN101355183A (zh) 2007-03-26 2008-03-26 袋状锂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085A KR100716596B1 (ko) 2007-03-26 2007-03-26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596B1 true KR100716596B1 (ko) 2007-05-09

Family

ID=3827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085A KR100716596B1 (ko) 2007-03-26 2007-03-26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41680A1 (ko)
JP (1) JP2008243815A (ko)
KR (1) KR100716596B1 (ko)
CN (1) CN10135518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77B1 (ko) 2006-07-31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상단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CN102017226A (zh) * 2008-09-22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携式电子设备
WO2012023804A3 (ko) * 2010-08-17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리드 구조의 이차전지
KR101484369B1 (ko) 2012-07-19 2015-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680755B1 (ko) 2012-02-13 2016-11-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KR101734327B1 (ko) * 2013-11-29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70111631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101853673B1 (ko) 2014-05-30 2018-05-0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 필름 포장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11725441A (zh) * 2019-03-22 2020-09-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封装结构
US11532859B2 (en) 2016-11-07 2022-12-2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43B1 (ko) * 2008-03-28 2009-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1032290B1 (ko) * 2009-03-02 201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5059890B2 (ja) * 2009-03-31 2012-10-31 Jmエナジー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蓄電デバイス
JP5353435B2 (ja) * 2009-05-18 2013-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US8623537B2 (en) * 2009-08-18 2014-01-0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WO2011070918A1 (ja) * 2009-12-07 2011-06-16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KR101132115B1 (ko) * 2010-05-31 2012-04-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케이스 및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US9083062B2 (en) 2010-08-02 2015-07-14 Envia Systems, Inc. Battery packs for vehicles and high capacity pouch secondary batteries for incorporation into compact battery packs
JP5830953B2 (ja) * 2010-11-17 2015-12-0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バッテリ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5842340B2 (ja) * 2011-02-21 2016-0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用包装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20138B2 (ja) * 2011-04-07 2015-11-24 株式会社京都製作所 袋詰電極の製造装置、および袋詰電極の製造方法
KR101547403B1 (ko) * 2013-01-11 2015-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EP3051611B8 (en) * 2013-11-26 2020-03-11 LG Chem, Ltd. Battery cell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ng short circuit
PL2899769T3 (pl) 2013-11-27 2019-09-30 Lg Chem, Ltd. Kieszeń od akumulatora i akumulator ją zawierający
US10950913B1 (en) 2020-09-30 2021-03-16 Inventus Power, Inc. Impact absorbing member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1081755B1 (en) 2020-09-30 2021-08-03 Inventus Power, Inc. Housing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1349174B2 (en) 2020-09-30 2022-05-31 Inventus Power, Inc. Flexible battery matrix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1477885B2 (en) * 2020-09-30 2022-10-18 Inventus Power, Inc. Redundant trace fuse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1064604B1 (en) 2020-09-30 2021-07-13 Inventus Power, Inc. Flexible circuit board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0980116B1 (en) * 2020-09-30 2021-04-13 Inventus Power, Inc. Flexible battery matrix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1251497B1 (en) 2020-09-30 2022-02-15 Inventus Power, Inc. Conformal wearable battery
CN114388870B (zh) * 2020-10-21 2023-11-14 好风光储能技术(成都)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单体以及软包电池模组
US11394077B1 (en) 2021-03-15 2022-07-19 Inventus Power, Inc. Conformal wearable battery
US11581607B1 (en) 2021-09-30 2023-02-14 Inventus Power, Inc. Thermal management for a conformal wearable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640A (ja) * 1992-09-01 1994-03-25 Toshiba Corp 割込応答処理方式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3212B1 (en) * 1997-03-19 2002-06-1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Nonaqueous thin battery
JPH10289696A (ja) * 1997-04-14 1998-10-27 Asahi Chem Ind Co Ltd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7808C (zh) * 1998-02-05 2004-07-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盒形成片和电池组件
US6083640A (en) * 1998-09-22 2000-07-04 Samsung Display Device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electrode assembly fixing device
JP2003257387A (ja) * 2002-03-01 2003-09-12 Shibaura Mechatronics Corp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2504B1 (ko) * 2002-06-17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강구조가 개선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211322B2 (ja) * 2002-08-26 2009-01-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組電池、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気自動車
JP4424053B2 (ja) * 2004-04-28 2010-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二次電池、およびその組電池
JP4375148B2 (ja) * 2004-07-20 2009-1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用リード線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640A (ja) * 1992-09-01 1994-03-25 Toshiba Corp 割込応答処理方式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6083640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77B1 (ko) 2006-07-31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상단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CN102017226A (zh) * 2008-09-22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携式电子设备
US8586233B2 (en) 2008-09-22 2013-11-19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2023804A3 (ko) * 2010-08-17 2012-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리드 구조의 이차전지
US9520589B2 (en) 2010-08-17 2016-12-1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lead structure
KR101680755B1 (ko) 2012-02-13 2016-11-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셀
KR101484369B1 (ko) 2012-07-19 2015-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734327B1 (ko) * 2013-11-29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087614B1 (ko) 2014-05-30 2020-03-11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 필름 포장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853673B1 (ko) 2014-05-30 2018-05-0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 필름 포장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80048485A (ko) * 2014-05-30 2018-05-10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 필름 포장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90045140A (ko) * 2014-05-30 2019-05-02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 필름 포장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147653B1 (ko) 2014-05-30 2020-08-25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용기, 필름 포장 전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170111631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102135282B1 (ko) * 2016-03-29 2020-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US11532859B2 (en) 2016-11-07 2022-12-2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N111725441A (zh) * 2019-03-22 2020-09-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封装结构
CN111725441B (zh) * 2019-03-22 2023-08-1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封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41680A1 (en) 2008-10-02
CN101355183A (zh) 2009-01-28
JP2008243815A (ja)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6B1 (ko)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EP3346520B1 (en) Batte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85365B1 (ko) 전기화학적 전지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US907702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102097611B (zh) 二次电池
JP2011119216A (ja) 二次電池
WO2016137141A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CN108933298A (zh) 制造防短路全固态电池的方法
KR101724620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이차 전지
KR101403692B1 (ko) 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KR100876266B1 (ko) 이차전지
WO2016018129A1 (ko) 절연 특성이 강화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6533B1 (ko) 파우치형 리튬 2차전지
KR102341135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40061153A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3851792B (zh) 一种软包锂离子电池及电子装置
KR2004010786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20230411769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EP4243177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CN113871808B (zh) 一种软包锂离子电池及电子装置
EP4231429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JP2001338687A (ja) 密閉形電池
EP4195379A1 (en)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EP4333140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