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917B1 -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917B1
KR100710917B1 KR1020060084898A KR20060084898A KR100710917B1 KR 100710917 B1 KR100710917 B1 KR 100710917B1 KR 1020060084898 A KR1020060084898 A KR 1020060084898A KR 20060084898 A KR20060084898 A KR 20060084898A KR 100710917 B1 KR100710917 B1 KR 10071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ndwater
drainage
concre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765A (ko
Inventor
홍종인
Original Assignee
홍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인 filed Critical 홍종인
Priority to KR102006008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9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수 배수공법은, 배수시설이 마련된 기초지반 위에 건축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버림콘크리트 시공단계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위에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이 내장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에 수평연결관과 이 수평연결관과 연결되며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직관을 시공하는 배수관 시공단계와, 상기 수평연결관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 상에 상부 보호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보호용 콘크리트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연결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raining subsurface water and the connecting device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가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지하수 배수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와 제 2연직관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공법에 사용되는 수평연결관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연결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제 1연결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 2연결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제 2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2는 제 3연결부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지하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수의 수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축조되는 토목 또는 건축 구조물에 지하수에 의해 작용하는 양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최종 바닥이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될 경우, 건축물에 의해 배제된 공간 즉, 건축구조물의 바닥과 건축구조물의 지하외벽의 지하수 수두차에 의해 양압력(부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양압력은 건축물의 자중에 대한 반발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건축구조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지하수의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대규모 건축물의 신축 시에는 최근 법적으로 지하주차장이 의무화되었고, 입주자의 차량증가 추세 및 입주자의 녹지공간 확보에 대한 욕구 등으로 인해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더욱 낮은 지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지하수의 수위 가변에 따른 양압력이 건축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공법(Permanent Anchor)과, 배수공법(Dewatering)이 사용되고 있다.
배수공법의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17530호에는 지하구조물의 양압력 해소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195274호에는 지하 건축물 부력 방지용 연직 배수관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부력방지용 연직 배수관은 기초 슬라브 바닥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필터관이 연결되고 유입관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의 상단부에는 평상시의 지하수위 높이에 맞추어 연결된 상부배관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부력 방지용 배수관과 상부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내부시설에 간섭을 받게 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특허등록 제 0443640호에는 지하 건축물 부력방지용 연직 배수관의 설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관의 설치 시스템은 지하건물의 부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외측으로부터 지하수 배출을 위한 연직배수관의 거리 및 연직배수관과의 거리를 한정한 구성을 가진다.
본 출원인은 건축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력사고 방지를 위한 능동적 자연 배수를 갖는 배수구조물 및 공법(등록 특허 제 0461920호)과, 지하배수구조물(실용신안등록 제 0271757호),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장치(등록특허 제 0601227호) 등을 개발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을 더욱 개량하여 지하수의 수위를 설계안정영역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관로 시공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하수 배수 공법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수 배수장치, 배수공법 및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수 배수를 위한 연직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 록 하여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평연결관 설치시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한 지하수 배수장치, 배수공법 및 그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수 배수공법은, 배수시설이 마련된 기초지반 위에 건축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버림콘크리트 시공단계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위에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이 내장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에 수평연결관과 이 수평연결관과 연결되며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직관을 시공하는 배수관 시공단계와, 상기 수평연결관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 상에 상부 보호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보호용 콘크리트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수 배수장치는 지하지반의 기초콘크리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과 연결되며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토출하는 연장관을 구비한 배수부와,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어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 이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연직관과, 상기 배수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며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의 높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연직관과,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연직관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관과, 상기 수평연결관의 상부에 타설되는 보호용 콘트리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2연직관을 각각 감싸며 상기 제1, 2 연직관을 고정하여 상기 제1, 2 연직관과의 사이에 지하수 유출통로를 제공하는 고정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박스는 건축물의 기둥 또는 벽체에 매립되어 고정박스의 외측면이 기둥 또는 벽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연직관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2 연직관으로부터 월류되는 지하수를 집수정 쪽으로 유도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를 관통 설치되어 상기 수평 연결관과 배수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연결관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지하수 배수 공법에 설치되는 수평연결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로서, PVC로 제작되며, 내부에 밀페된 공간부를 가지며, 측면에는 수평연결관이 결합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보호용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하면를 관통하고 상하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제1 중공 지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용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중공 지주부에 끼워지고 상하부가 개방된 는 제2 중공 지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 공법 및 그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공법은 배수를 위한 연직관 또는 수평연결관(45)의 시공시 외력에 의해 수평연결관(4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건축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기초 지반 위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21)을 설치하고 이 유공관 또는 배수판(21)에 의해 집수된 물을 배출하는 연장관(22)을 가진 배수부(20)를 시공하는 배수부 시공단계와, 배수부(20)가 설치된 기초지반 위에 기초콘크리트(300)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 시공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부(20)를 시공함에 있어서 집수 및 배수에 의해 위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 배수관 및 배수판으로 홀드레인보드(hole drain board)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 시공단계에서 버림콘크리트와 후술하는 기초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수직연결관(도4의 51)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된 버림콘트리트 위에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이 내장된 기초 콘크리트(300)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300) 상에 수평연결관(45)과, 이 수평연결관(45)과 연결되며 하단부가 배수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직관(41, 42)을 시공하는 배수관시공단계를 수행한다. 이 배수관시공단계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관(45) 또는 연직관(41, 42)을 수직연결관(52)과 연결하는 연결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 시공단계가 완료되면, 결로방지 배수판 시공단계와 상부보호용 콘크리트(320)를 타설하는 시공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하수 배수시공공법에 따르면, 수평연결관(45)이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종래에 수평연결관이 기초콘크리트의 내부에 설치시 파생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기초콘크리트의 타설 시 진동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기 설치된 수평연결관이 파손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에 연직관이 누락되거나 연직관의 관리소홀로 연직관을 교체하거나 보수하야야 하는 경우,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단축되면 시공의 신뢰성도 현저하게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하수 배수장치는 건축구조물이 설치되는 지하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300)의 하부에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21)과 연결되어 집수된 지하수를 토출하기 위한 연장관(22)을 구비한 배수부(20)와, 상기 연장관(22)과 제 1연결부(31)에 의해 연결되며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보다 낮은 높이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연직관(41)과, 상기 배수부(20)와 연결된 제 1수직연결관(51)과 제 2연결부(32)에 의해 연결되며 상단부가 설계안정수위와 같은 위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연직관(42)과, 상기 기초콘크리트(3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연직관(41)(42)이 연통되도록 제 1,2연결부(31)(32)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평연결관(45)들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부(20)는 건축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반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질 수 있는데, 연약지반의 경우 부직포 등에 의해 감싸여지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유공관들이 상기 연장관(22)과 연결되며 그 상부에 배수관 또는 배수판들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암반지반의 경우 지하수를 집수하기 위한 부직포 및 배수판들과, 집수된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연장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연직관(41)들은 상기 연장관(22)과 제 1연결부(31)에 의해 연결되 는 것으로,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복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연직관(41)의 상단부는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20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다.
상기 제 2연직관(42)들은 기초콘크리트(300)를 관통하는 제 1수직연결관(51)과 제 2연결부(32)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그 상단부가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200)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연직관(41)(42)들은 각각 이를 감싸며 상기 제1,2연직관(41)(42)을 통하여 배출되는 지하수를 집수정(310)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수 배출부를 구비한다. 이 지하수 배출부는 상기 제1,2연직관(41)(42)을 각각 감싸는 고정박스(61)(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연직관(41)을 감싸는 고정박스(61)는 집수정(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1연직관(41)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고정박스(61)의 내주면과 제 1연직관(41)의 외주면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집수정(310)으로 직접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박스(61)(62)는 벽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벽 또는 기둥에 전면이 노출되도록 매립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노출되는 고정박스의 전면은 기둥 또는 벽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하수 배출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제 2연직관(42)에 연결되며 기초콘크리트(300) 상에 설치되어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배출하는 배출관(6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관(45)은 기초콘크리트(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2연직관(41)(42)의 제 1,2연결부(31)(32)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상호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평연결관이 원형 단면을 가지고 3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조건이나 시공조건에 따라 당업자가 단면의 형태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설치 갯수를 다르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연결관(45)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트리트(30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배수부(20)와 연결되는 제2 수직연결관(52)들과 제 3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수직연결관(52)는 건축구조물의 바닥면에 복수개 설치되어 수평연결관(45)과 직렬 또는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수평연결관, 제1, 2 수직연결관, 제1, 2 연직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연결장치(80)는 수평연결관(45)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81)와 보호용 상판(8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81)는 PVC로 제작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본체(81)의 내부에 밀페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81)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수평연결관이 결합되는 연결공(81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본체(8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중공 지주부(81b)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중공 지주부(81b)의 상,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보호용 상판(82)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며 본체(81)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보호용 상판(82)의 하면에는 본체의 제1 중공 지주부(81b)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제2 중공 지주부(82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평연결관 연결장치(80)의 상부에 보호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제1 및 제2 중공 지주부 내에 콘트리트(320a)가 몰입되어, 장기적인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 보호용 상판(82)은 큰트리트 타설시에 예측하기 어려운 작업하중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중공 지주부의 하단은 제1 중공 지주부를 통과하여 건축기초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상부하중을 제2 중공 지주부가 모두 받을 수 있도록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연직관(41)과 수평연결관(45)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부(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직관(41)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부가 개방된 제1공간부(31a)를 가지며 수평연결관(45)들과 연결되는 제1본체(31b)와, 상기 본체(31b)와 결합되어 상기 제 1공간부(31a)를 밀폐하는 제 1커버(31c)를 구비한다.
수평연결관(45)과 제2 연직관(42) 및 수직연결관(51)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 2연결부(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연결장치(80)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연결부(32)는 밀폐된 공간부를 가진 직사각형의 본체(81)의 일측에 수평연결관(45)이 연결되고, 본체의 상면에는 제2 연직관(42)이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본체의 하면에는 제1 수직연결관(51)이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본체(81)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4개의 제1 중공 지주부(81b)는 상기 제2 연직관(42) 및 제1 수직연결관(51)이 배치되지 않는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81)의 상면에 결합되는 보호용 상판(82)에도 제2 연직관이 연결되는 통공(82a)이 형성되고, 보호용 상판의 가장자리에는 본체의 제1 중공 지주부(81b)와 결합되는 제2 중공 지주부(81b)가 형성된다.
제2 수직연결관(52)과 수평연결관(45)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 3연결부(33)는 도12에 도시하였다. 제3 연결부(33)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연결장치(80)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3 연결부(33)는 밀폐된 공간부를 가진 직사각형의 본체(81)의 양측에 수평연결관(45)이 연결되고, 본체의 하면에는 제2 수직연결관(52)이 연결된다. 본체(81)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4개의 제1 중공 지주부(81b)는 상기 제2 수직연결관(52)이 배치되지 않는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81)의 상면에 결합되는 보호용 상판(82)의 하면에는 본체의 제1 중공 지주부(81b)와 결합지는 제2 중공 지주부(81b)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중공 지주부의 개수 또는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수평연결관(45)과 연직관(42)을 모두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8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는 장마철이나 홍수에 지하 건축구조물 주위의 지하수 수위가 높아지게 되고 이 지하수는 배수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지하수는 제1,2수직연결관(51)(52) 및 수평연결관(45)을 통하여 제 1,2연직관(41)(42)을 단부측으로 유동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제 2연직관(41)으로 월류되어 집수정으로 배출된다. 제 1연직관(41)과 △H 만큼의 높이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제 2연직관(42)으로는 평상시에는 지하수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설계안정치 이상으로 지하수의 수위가 상승되어 설계안정치 이상의 수위가 되면, 제 2연직관(42)의 상부와 연결된 배출관(63) 등을 통하여 집수정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으로 기초부 지하수는 설계안정수위 이하가 될 때까지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지하수 배수장치는 수평연결관(45)이 보호용콘크리트(320)와 기초콘트리트(300)의 사이 즉, 결로방지 배수판이 설치되는 영역에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특히 기초콘트리트의 타설시 수평연결관이 손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수평연결관이 기초콘크리트 내부에 설치된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기초콘크리트의 단면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연직관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수평연결관에 대한 연직관들의 연결이 용이하다. 또한 수평연결관은 배수부(20)와 연통된 제 2수직연결관(52)와 제 3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건물구조물이 하면의 각 부위에서 배수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연직관을 고정하는 고정박스가 건축물의 기둥 또는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주위 시설물과의 간섭을 줄이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공법은 수평연결관을 기초콘트리트의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시공시에 수평연결관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콘크리트에 설치되며 배수부와 연결되는 수직 연결관들과 수평연결관 및 연직관들의 연결이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의 오류에 따른 보수 및 유지관리가 극히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배수시설이 마련된 기초지반 위에 건축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버림콘크리트 시공단계와,
    상기 버림콘크리트 위에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이 내장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에 수평연결관과 이 수평연결관과 연결되며 수직으로 설치되어 지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직관을 시공하는 배수관 시공단계와,
    상기 수평연결관이 설치된 기초콘크리트 상에 상부 보호용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보호용 콘크리트 시공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공법.
  2. 지하지반의 기초콘크리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공관 또는 배수판과 연결되며 집수정으로 지하수를 토출하는 연장관을 구비한 배수부와,
    상기 연장관과 연결되어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 이하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연직관과,
    상기 배수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며 지하수의 설계안정수위의 높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연직관과,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연직관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연결관과,
    상기 수평연결관의 상부에 타설되는 보호용 콘트리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연직관을 각각 감싸며 상기 제1, 2 연직관을 고정하여 상기 제1, 2 연직관과의 사이에 지하수 유출통로를 제공하는 고정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박스는 건축물의 기둥 또는 벽체에 매립되어 고정박스의 외측면이 기둥 또는 벽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제 2연직관의 상부와 연결되어 제2 연직관으로부터 월류되는 지하수를 집수정 쪽으로 유도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크리트를 관통 설치되어 상기 수평 연결관과 배수부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연결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장치.
  6. 지하수 배수 공법에 설치되는 수평연결관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PVC로 제작되며, 내부에 밀페된 공간부를 가지며, 측면에는 수평연결관이 결합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보호용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하면를 관통하고 상하부가 개방된 복수개의 제1 중공 지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용 상판의 하면에는 상기 제1 중공 지주부에 끼워지고 상하부가 개방된 는 제2 중공 지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배수 공법에 사용되는 수평연결관 연결장치.
KR1020060084898A 2006-09-04 2006-09-04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KR10071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898A KR100710917B1 (ko) 2006-09-04 2006-09-04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898A KR100710917B1 (ko) 2006-09-04 2006-09-04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765A KR20060116765A (ko) 2006-11-15
KR100710917B1 true KR100710917B1 (ko) 2007-04-25

Family

ID=3765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898A KR100710917B1 (ko) 2006-09-04 2006-09-04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388B1 (ko) 2007-07-09 2008-09-04 주식회사 시그마하우징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1291098B1 (ko) 2010-12-23 2013-08-01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영구배수용 집수정 연결장치 시공방법
CN106567452A (zh) * 2016-10-14 2017-04-19 武汉华德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混凝土结构水池表面防腐层的修复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587B1 (ko) * 2012-07-18 2014-04-23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디자인캠프문박디엠피 축열조 방수 단열 배수 시공 방법
CN110306595B (zh) * 2019-07-12 2024-01-05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管廊与防洪墙的共建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387A (ko) * 1999-06-15 2001-01-15 정성남 지하구조물 양압력해소시스템
KR20020033686A (ko) * 2002-03-20 2002-05-07 이창남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387A (ko) * 1999-06-15 2001-01-15 정성남 지하구조물 양압력해소시스템
KR20020033686A (ko) * 2002-03-20 2002-05-07 이창남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388B1 (ko) 2007-07-09 2008-09-04 주식회사 시그마하우징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1291098B1 (ko) 2010-12-23 2013-08-01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영구배수용 집수정 연결장치 시공방법
CN106567452A (zh) * 2016-10-14 2017-04-19 武汉华德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混凝土结构水池表面防腐层的修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765A (ko)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CN103510528B (zh) 用于地下结构抗浮的盲沟排水结构
US8689507B2 (en) Waterproofing system for a basement or similar structure
KR100710917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KR100665984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트랜치형 자연 배수로시공방법
CN202730785U (zh) 用于地下结构抗浮的盲沟排水结构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1103051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590421B1 (ko) 건설구조물의 부력방지 배수시스템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787567B1 (ko)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11498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20100041095A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965002B1 (ko) 지하수 배수 장치
CN209509556U (zh) 托换无地下室建筑地下空间增层的施工结构
CN209179155U (zh) 一种地下室的排水结构
KR100656410B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200419448Y1 (ko) 과도한 상향 수압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 구조체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383656B1 (ko) 지하층 바닥 콘크리트를 이용한 배수로 시공방법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CN210421104U (zh) 超深基坑集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