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753B1 -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753B1
KR100708753B1 KR1020060050877A KR20060050877A KR100708753B1 KR 100708753 B1 KR100708753 B1 KR 100708753B1 KR 1020060050877 A KR1020060050877 A KR 1020060050877A KR 20060050877 A KR20060050877 A KR 20060050877A KR 100708753 B1 KR100708753 B1 KR 10070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흥
송영우
조상환
이준구
이소영
이선영
황규환
오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된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은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제2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전극을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30: 유기 발광 소자
131: 제1전극 133: 중간층
1331: 정공 주입층 1332: 정공 수송층
1333: 발광층 1334: 전자 수송층
1335: 전자 주입층 134; 제2전극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를 갖는 화소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최근 요구되는 사항은 저전력으로도 높은 광효율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도들 중에서, 공급 전압을 높이는 방법은 의도한 휘도 향상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배터리의 용량 증가를 수반하여 경량화에 반하며, 또한 배터리 및 자발광소자의 수명을 감축시킨다. 이 때문에, 공급 전압을 오히려 낮추 면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선행기술이 제안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192290호에는 무기EL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기판의 외측 표면에 무기EL소자와 동등 내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집광용의 마이크로렌즈를 복수개 설치한 무기EL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광의 사출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지향하게 하여 그 방향에서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EL소자가 면광원이기 때문에 해당 EL소자와 동등 내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경우에는 집광되지 않고 오히려 확산되는 EL광이 필연적으로 생기며, 또한 인접한 EL소자에 의한 상과의 중복으로 인해 상의 선명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된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은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 들이 구비된 상기 제2전극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중간층에서 발생된 광은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된 상기 제2전극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은 반사성 물질로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들은 상기 중간층 형성용 물질로 채워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들은 다공성 실리카,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채워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판은 반사성 물질로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제2전극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2전극을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부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130)를 구 비한다. 유기 발광 소자(130)는 제1전극(131)과, 제1전극(131)에 대향하는 제2전극(134)과,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133)을 구비한다.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133)은 적어도 발광층(1333)을 포함한다.
제1전극(13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134)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제1전극(131)이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134)이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전극(131)은 투명한 물질 또는 반사성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2전극(134)을 통해서만 외부로 취출되는 경우에는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 중 제1전극(131) 방향으로 진행한 광을 제1전극(131)에서 반사시켜 제2전극(134)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도록 하며, 이 경우 제1전극(131)은 반사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 중 제1전극(131) 방향으로 진행한 광이 그대로 제1전극(131)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도록 할 경우에는, 즉 양면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전극(131)도 투명한 물질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전극(131)이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성 물질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그 위의 ITO, IZO, ZnO 또는 In2O3 막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2전극(134)은 투명 전극 또는 반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2전극(134)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구조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제2전극(134)은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그 상부의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4)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1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발광층(1333)을 구비하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간층(13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1331),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1332), 발광층(EML: emissive layer, 1333),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1334) 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1335) 등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한 진공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대개 정공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정공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최근 요구되는 사항은 저전력으로도 높은 광효율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2전극(134)에 복수개의 관통부(134a)들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 관통부(134a)는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 중 제2전극(134)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광의 비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소비전력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에서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제2전극(134)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4a)가 아닌 원기둥 형태의 관통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기둥 형태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태의 관통부가 구비되도록 할 경우, 동일한 조건 하에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의 휘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하기 표 1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적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표이며, 도 3은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하기 표 1은 제2전극(134)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4a)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과, 제2전극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을 비교한 표이며, 도 3은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1의 결과 및 도 3의 그래프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610nm 내지 630nm인 경우이며,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 및 원기둥 형상 관통부 모두 600nm의 주기를 갖는 경우이다. 이때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의 경우 관통부의 외측 반경은 100nm이고 내측 반경은 50nm였으며, 원기둥 형상 관통부는 그 반경이 100nm이었다.
파장 (㎛) 원기둥 껍질 형상 원기둥 형상 투과율 비(%)
0.610 0.711322401 0.653953948 108.7725525
0.611 0.706117298 0.602918359 117.1165695
0.612 0.695879901 0.527944010 131.8094131
0.613 0.676698491 0.448116094 151.0096380
0.614 0.642856034 0.404430162 158.9535337
0.615 0.590726776 0.410821602 143.7915567
0.616 0.532040766 0.443215268 120.0411636
0.617 0.498329022 0.478764041 104.0865603
0.618 0.503853535 0.508642472 99.05848663
0.619 0.530552530 0.531507250 99.82037492
0.620 0.559828523 0.548244883 102.1128588
0.621 0.584664278 0.560014456 104.4016402
0.622 0.604208721 0.567734860 106.4244532
0.623 0.619351054 0.572019478 108.2744693
0.624 0.631148119 0.573220351 110.1056720
0.625 0.640451117 0.571491626 112.0665794
0.626 0.647880438 0.566865062 114.2918274
0.627 0.653874386 0.559367185 116.8953781
0.628 0.658739673 0.549239528 119.9366833
0.629 0.662689651 0.537348064 123.3259587
0.630 0.665870679 0.525809679 126.6372045
상기 표 1 및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제2전극(134)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된 경우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취출되는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컷-오프(cut-off)가 없어 투과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기 표 2는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녹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표이며, 도 4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하기 표 2는 제2전극(134)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4a)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과, 제2전극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을 비교한 표이며, 도 4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2의 결과 및 도 4의 그래프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520nm 내지 540nm인 경우이며,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 및 원기둥 형상 관통부 모두 600nm의 주기를 갖는 경우이다. 이때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의 경우 관통부의 외측 반경은 100nm이고 내측 반경은 50nm였으며, 원기둥 형상 관통부는 그 반경이 100nm이었다.
파장 (㎛) 원기둥 껍질 형상 원기둥 형상 투과율 비(%)
0.520 0.655181443 0.348984511 187.7394044
0.521 0.661364882 0.349675440 189.136784
0.522 0.666432839 0.350356883 190.2154264
0.523 0.670503930 0.351027044 191.0120434
0.524 0.673712655 0.351684356 191.5674220
0.525 0.676189534 0.352327473 191.9207517
0.526 0.678052239 0.352955260 192.1071354
0.527 0.679402723 0.353566783 192.1568303
0.528 0.680327372 0.354161296 192.0953475
0.529 0.680898466 0.354738226 191.9439226
0.530 0.681176091 0.355297158 191.7201072
0.531 0.681210068 0.355837822 191.4383539
0.532 0.681041693 0.356360077 191.1105469
0.533 0.680705249 0.356863901 190.7464574
0.534 0.680229266 0.357349370 190.3541248
0.535 0.679637566 0.357816653 189.9401721
0.536 0.678950108 0.358265994 189.5100625
0.537 0.678183683 0.358697704 189.0683088
0.538 0.677352471 0.359112152 188.6186439
0.539 0.676468496 0.359509750 188.1641585
0.540 0.675541997 0.359890951 187.7074137
상기 표 2 및 도 3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녹색의 광일 경우에도 제2전극(134)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된 경우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취출되는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컷-오프(cut-off)가 없어 투과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경우 거의 모든 파장대에 대하여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2배에 가까운 투과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과 비교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광효율을 비교하는 표이며, 도 5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하기 표 3은 제2전극(134)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4a)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과, 제2전극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의 투과율을 비교한 표이며, 도 5는 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3의 결과 및 도 5의 그래프는 발광층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 460nm 내지 479nm인 경우이며,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 및 원기둥 형상 관통부 모두 600nm의 주기를 갖는 경우이다. 이때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의 경우 관통부의 외측 반경은 100nm이고 내측 반경은 50nm였으며, 원기둥 형상 관통부는 그 반경이 100nm이었다.
파장 (㎛) 원기둥 껍질 형상 원기둥 형상 투과율 비(%)
0.460 0.732356841 0.634581655 115.4078178
0.461 0.732312649 0.631437508 115.9754750
0.462 0.731802651 0.627784220 116.5691376
0.463 0.730743074 0.623733292 117.1563365
0.464 0.729035041 0.619551908 117.6713414
0.465 0.726569202 0.615764435 117.9946683
0.466 0.723243521 0.613266129 117.9330614
0.467 0.719011921 0.613363734 117.2243942
0.468 0.713998519 0.617557600 115.6165058
0.469 0.708728741 0.626884072 113.0557902
0.470 0.704489602 0.641019561 109.9014204
0.471 0.703572787 0.657960792 106.9323273
0.472 0.708606302 0.674885476 104.9965256
0.473 0.720406259 0.689516514 104.4799137
0.474 0.736356617 0.700812222 105.0718858
0.475 0.752196308 0.708769039 106.1271398
0.476 0.765096849 0.713901866 107.1711514
0.477 0.774410811 0.716844845 108.0304638
0.478 0.780678115 0.718159753 108.7053558
0.479 0.784704572 0.718281350 109.2475214
상기 표 3 및 도 5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청색의 광일 경우에도 제2전극(134)에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될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가 구비된 경우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외부로 취출되는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원기둥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보다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파장의 컷-오프(cut-off)가 없어 투과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2전극(134)에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4a)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중간층(133)에 포함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의 외부로 효율적으로 취출되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전면에서의 휘도가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134a)는 e-beam 등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전극(134)에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4a)가 구비될 경우, 그 관통부(134a) 내부는 중간층(133) 형성용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즉 예컨대 정공 주입층(1331) 형성용 물질 또는 전자 주입층(1334) 형성용 물질로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4a)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로 이 외에도 제2전극(!34)의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4a)가 다공성 실리카,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전극(134)의 상부에 봉지층이 형성될 시, 그 봉지층 형성시 봉지층과 동일한 물질로 제2전극(!34)의 원기둥 껍질 형상 관통부(134a)가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질소 등과 같은 기체가 채워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물질은 제2전극(134)을 이루는 물질과 굴절율이 상이한 물질로서, 발광층(1333)에서 발생된 광이 제2전극(134)을 통하여 외부로 취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실험적으로는 제2전극(134)의 굴절율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진 물질로 관통부(134a)를 채움으로써,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만을 개시하였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화소마다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능동 구동형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각 화소 또는 부화소들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필요에 따라 SiO2 등으로 버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부로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구비된다. 물론 도 6에는 예시적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시된 것이며, 그 외의 다양한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게이트 전극(121)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23)과, 반도체층(127)과 게이트 절연막(125)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상부로는 SiO2 등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128)이 형성되고, 패시베이션막(128)의 상부에는 아크릴, 폴리이미드 등에 의한 화소정의막(129)이 형성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128)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그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막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회로는 반드시 도 6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23) 중 어느 하나에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의 유기 발광 소자(130)가 연결된다.
한편, 도 6에는 중간층(133)이 부화소에만 대응되도록 패터닝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부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그와 같이 도시한 것이며, 중간층(133)은 인접한 부화소의 중간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중간층(133) 중 일부의 층은 각 부화소별로 형성되고, 다른 층은 인접한 부화소의 중간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1전극(131)은 각 화소 또는 부화소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고, 제2전극(134)은 복수개의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판(10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는, 대향 부재(미도시)에 의해 밀봉된다. 대향부재는 기판(100)과 동일하게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이 외에도, 메탈 캡(metal cap)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2전극(134)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휘도가 높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전극(134)은 복수개의 (부)화소들에 있어서 일체로 형성되는 바,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134)의 각 부화소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원기둥 껍질형 관통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고, 공정의 편의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극(134)의 전면에 걸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광효율이 더욱 향상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에 대향하도록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배치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은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cylindrical shell) 형상의 관통부들을 갖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된 상기 제2전극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에서 발생된 광은 복수개의 원기둥 껍질 형상의 관통부들이 구비된 상기 제2전극을 통해 외부로 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반사성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들은 상기 중간층 형성용 물질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들은 다공성 실리카,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사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50877A 2006-06-07 2006-06-07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877A KR100708753B1 (ko) 2006-06-07 2006-06-07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877A KR100708753B1 (ko) 2006-06-07 2006-06-07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753B1 true KR100708753B1 (ko) 2007-04-17

Family

ID=3818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877A KR100708753B1 (ko) 2006-06-07 2006-06-07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7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373A (ko) * 2004-01-27 2005-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373A (ko) * 2004-01-27 2005-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02B1 (ko)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0900401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US2019017305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58749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0964225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227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4431125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898167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external light coupling efficiency and brightness
TWI582980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0133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79481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76595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83734B1 (ko)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3761B1 (ko)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52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7774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53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6383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683802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61525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7691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