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013B1 -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 Google Patents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013B1
KR100705013B1 KR1020050090835A KR20050090835A KR100705013B1 KR 100705013 B1 KR100705013 B1 KR 100705013B1 KR 1020050090835 A KR1020050090835 A KR 1020050090835A KR 20050090835 A KR20050090835 A KR 20050090835A KR 100705013 B1 KR100705013 B1 KR 10070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jog
jog key
mobile terminal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5896A (en
Inventor
권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013B1/en
Publication of KR2007003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본체; 단말기본체에 마련되는 키수용부; 키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말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되,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가능한 조그키; 및 키수용부와 조그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단말기본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감쇠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모터의 진동시 조그키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조그키의 클릭(click)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omprising: a terminal body; A key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 jog key detachably coupled to the key receiving part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body, the jog key being rotat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a vibration damping damp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and the jog key to attenuate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erminal body. As a result, the click sensitivity of the jog key can be improved while preventing the jog key from shaking when the motor vibrates.

이동단말기, 조그키, 조그셔틀 Mobile terminal, jog key, jog shuttle

Description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Portable phone having jog key}Mobile phone with jog key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서 폴더부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folder in an open stat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에서 폴더부가 닫힌 상태의 정면도,FIG. 2 is a front view of a closed folder unit in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에서 조기키와 키수용부 간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key and the key receiving portion in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그키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jog key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은 각각 조그키의 동작을 보인개략적인 작동도,5 and 6 is a schematic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jog key, respectively,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단말기본체 12 : 본체부10: terminal body 12: main body

18 : 폴더부 19a,19b : 액정18: folder portion 19a, 19b: liquid crystal

30 : 조그키 31 : 베이스30: jog key 31: base

32 : 축부 33 : 조작부32: shaft portion 33: operation portion

34 : 플랜지부 35 : 키수용부34: flange portion 35: key receiving portion

38 : 스위치 40 : 진동감쇠댐퍼38: switch 40: vibration damper

41 : 제1댐퍼부분 42 : 제2댐퍼부분41: first damper portion 42: second damper portion

본 발명은,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진동시 조그키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조그키의 클릭(click)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jog key which can improve the click sensitivity of the jog key while preventing the jog key from shaking when the motor vibrates. I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이동단말기 중에는 메뉴검색을 원활하게 하거나 게임을 보다 쉽게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조그키가 구비된 것들이 존재한다.Some mobi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jog keys as a means to facilitate menu search or to operate a game more easily.

그런데, 종래의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는, 조그키와 조그키가 마련된 주변 구조물들 간에 진동시 발생하는 마찰 소음을 줄이기 위한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동단말기에 마련된 모터가 진동할 경우, 조그키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there is no means for reducing friction noise generated during vibration between the jog key and surrounding structures provided with the jog key. Therefore, when the mot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vibrates, the jog key may be shaken.

이에, 조그키 주변으로 별도의 진동방지 구조를 장착한 이동단말기가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이러한 경우, 조그키가 마련된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진동방지 구조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조그키의 클릭(click) 감도가 저하되는 단점을 유발한다.In this case,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separate anti-vibration structure has been proposed around the jog key.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pace where the jog key is provided is very narrow, interference with the anti-vibration structure occurs and the click of the jog key occurs. It causes the disadvantage that the sensitivity is lowered.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진동시 조그키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조그키의 클릭(click) 감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which can prevent the jog key from trembling when the motor vibrates, while preventing the click sensitivity of the jog key from being greatly reduced.

상기 목적은, 단말기본체; 상기 단말기본체에 마련되는 키수용부; 상기 키수 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되,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가능한 조그키; 및 상기 키수용부와 상기 조그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감쇠댐퍼를 포함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 terminal body; A key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A jog key detachably coupled to the key receiving part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body, the jog key being rotat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a jog key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and the jog key, and including a vibration damping damper configured to attenuat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body.

여기서, 상기 조그키는, 상기 키수용부 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중앙역역으로부터 돌출된 축부; 단부가 상기 단말기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조작가능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 상기 키수용부에 형성된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Here, the jog key, the base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key receiving portion; A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region of the base; An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inserted into the shaft portion and operable to rotate with the shaft portion as an axis;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operation portion to press a switch formed in the key accommodation portion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operation portion is operated.

상기 진동감쇠댐퍼는, 상기 키수용부의 내벽면에 마련되는 제1댐퍼부분; 및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단에 마련되는 제2댐퍼부분을 포함한다.The vibration damping damper may include a first damper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damper portion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제1댐퍼부분은 상기 키수용부의 내벽면에 형성된 계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댐퍼부분은 상기 키수용부의 내벽면 중 상기 조그키의 작동방향과 45°를 이루는 내벽면에 구비되기도 한다.The first damper portion is provided in a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amper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to form the 45 ° with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jog key.

상기 제2댐퍼부분은 상기 플랜지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The second damper portion is provided in an edge region of the flange portion.

상기 제1 및 제2댐퍼부분은 스펀지인 것이 유리하다.Advantageously, said first and second damper portions are sponges.

상기 조작부의 수직축선에 대해 상기 플랜지부의 장변측 선단까지는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는 최단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portion forms the shortest length that can press the switch to the long side end of the flan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operation por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서 폴더부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folder in an open state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1)는, 크게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미도시)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1)는 소위, 폴더형 휴대폰을 가리킨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mobi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rminal pack 10 and a battery pack (not shown) that is coupled to the terminal unit 10 to supply power. The mobile terminal 1 shown in FIG. 1 indicates a so-called foldable cellular phone.

단말기본체(10)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을 내장하고 있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8)와, 본체부(12)와 폴더부(18)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부(12)에 대해 폴더부(18)를 회동시키는 힌지(21)를 갖는다. 힌지(21)의 양측에는 양방향 스테레오 스피커(23)가 갖춰져 있다. 스피커(23)의 상측에는 안테나(24)가 마련되어 있다.The terminal body 1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2 having a predetermined printed circuit board (PCB), a folder portion 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2, a main body portion 12 and a folder portion. It is provided between 18 and has the hinge 21 which rotates the folder part 18 with respect to the main-body part 12. As shown in FIG. Both sides of the hinge 21 are provided with two-way stereo speakers 23. An antenna 24 is provided above the speaker 23.

본체부(12)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13)이 구비되어 있다. 입력버튼(13)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메뉴검색버튼(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12)의 측면에는 복수의 사이드버튼(17)이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버튼(17)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3)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3). In the lower part of the input buttons 13, a transmitting unit 14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or recording a voice message is formed, and in the upper part thereof, a menu search button 15 is formed. A plurality of side buttons 17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2. Unlike the input buttons 13 for inputting a phone number, the side buttons 17 serve to adjust the reception volume or to adjust the key tone.

본체부(12)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터리팩은 통상적으로 충전식으로 채용되는데, 그 종류에 따라서 납산(Lead-Acid) 배터리, 니켈 카드뮴(Ni-Cd) 배터리, 니켈 수소(Ni-Mh) 배터리, 리튬이온 충전지(Lithium-ion), 리튬폴리머 충전지(Polymer) 등의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The battery pack coupled to the back of the main body 12 is typically used as a rechargeable, depending on the type of lead-acid battery, nickel cadmium (Ni-Cd) battery, nickel-hydrogen (Ni-Mh) battery, Any of lithium ion battery (Lithium-ion), lithium polymer battery (Polymer) and the like may be applied.

폴더부(18)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포함하여 문자나 화면이 형성되는 대화면 내부액정(19a)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액정(19a)은 소위, LCD로 채용된다. 내부액정(19a)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0)가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older unit 18 is provided with a large screen internal liquid crystal 19a in which a character or a screen is formed, including a phone number,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a vibration state, an alarm state display, and the like. The internal liquid crystal 19a is adopted as a so-called LCD. The receiver 20 for receiving the voice from the other party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nal liquid crystal 19a.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에서 폴더부가 닫힌 상태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closed folder part in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1.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18)의 외면에는 외부액정(19b)이 마련되어 있다. 외부액정(19b) 역시 내부액정(19a)과 마찬가지로 LCD로 채용된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outer liquid crystal 19b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18. The outer liquid crystal 19b is also employed as the LCD like the inner liquid crystal 19a.

외부액정(19b)에는 문자수신 상태, 시간, 전화수신 상태 등의 간단한 정보가 표시되지만, 인터넷 검색, 화상통화, 게임 등의 화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액정(19b)의 하부에는 메뉴검색을 원활하게 하거나 게임을 보다 쉽게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조그키(30)가 마련되어 있다.Although the external liquid crystal 19b displays simple information such as text reception status, time, phone reception status, etc., a screen such as Internet search, video call, and game may be formed. On the other hand, a jog key 3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liquid crystal 19b as a means for smoothing the menu search or operating the game more easily.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에서 조기키와 키수용부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그키의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조그키의 동작을 보인개략적인 작동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ly key and a key receiving portion in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of the jog key shown in FIG. 3, and FIGS. 5 and 6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jog key, respectively. It is operation degre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본체(10)에는 키수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키수용부(35)는 단말기본체(10)의 판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키수용부(35)의 내벽면에는 계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때, 키수용부(35)에는 스위치(3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외에도 키수용부(35) 내에는 각종 기기부품이 마련되어 있지만, 생략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erminal body 10 is provided with a key receiving portion 35.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is formed to be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 The step part 36 is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accommodation part 35. 5 and 6,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is provided with a switch 38. In addition, although various equipment parts are provided in the key accommodation part 35, it abbreviate | omits.

키수용부(35)에는 조그키(3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조그키(30)는 키수 용부(35)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2의 A 내지 D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말기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게임을 즐기는 경우, 조그키(30)를 A 내지 D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활한 게임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인터넷 검색시에도 더욱 빠르게 입력을 할 수 있다.The jog key 3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The jog key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ody 10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s A to D of FIG. 2 while being coupled to the key receiving unit 35. That is, when enjoying the ga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mooth game operation while rotating the jog key 30 in the A to 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nput faster even when searching the Internet.

이러한 조그키(30)는 키수용부(35) 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31)와, 베이스(31)의 중앙역역으로부터 돌출된 축부(32)와, 단부가 단말기본체(10)의 판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축부(32)에 삽입되어 축부(32)를 축으로 하여 A 내지 D 방향으로 회전 조작가능한 조작부(33)와, 조작부(33)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조작부(33)의 조작시, 키수용부(35)에 형성된 스위치(38)를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랜지부(34)를 갖는다. 필요시, 조작부(33)의 노출단은 손가락 끝이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홈이나 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jog key 30 includes a base 31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a shaft portion 32 protruding from the central station of the base 31, and an end portion of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 An operating portion 33 expos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32 and inserted into the shaft portion 32 and rotatable in the A to D direction with the shaft portion 32 as an axis, and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at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portion 33 to In operation, it has the flange part 34 which presses the switch 38 formed in the key accommodation part 35 and generate | occur | produces a signal. If necessary, the exposed end of the operation unit 33 may have a groove or ball structure so that the fingertips can be easily disposed without slipping.

베이스(31)는 조그키(3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모서리가 모따기 된 사각 블록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31)의 측면에는 복수의 돌출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1)의 중앙 판면에서 돌출된 축부(32)는 베이스(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base 31 is a portion supporting the jog key 30 and has a rectangular block shape with chamfered corners. A plurality of protrusions 31a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31. The shaft portion 32 protruding from the center plate surface of the base 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31.

조작부(33)는 축부(32)에 끼워져 축부(32)를 축으로 하여 A 내지 D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면서 플랜지부(34)로 하여금 스위치(38)를 가압하도록 한다. 조작부(33)와 플랜지부(3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별개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portion 33 is fitted to the shaft portion 32 and rotates in the A to D direction with the shaft portion 32 as the axis. As it rotates, it causes the flange portion 34 to press the switch 38. The operation part 33 and the flange part 34 may be formed integrally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조그키(30)와 키수용부(35)에는 단말기본체(10)에 마련된 도시 않은 진동모 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단으로서 진동감쇠댐퍼(40)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감쇠댐퍼(40)는 키수용부(35)의 내벽면에 마련되는 제1댐퍼부분(41)과, 플랜지부(34)의 외측단에 마련되는 제2댐퍼부분(42)을 포함한다.The jog key 30 and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are provided with a vibration damping damper 40 as a means for attenuating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10. The vibration damping damper 40 includes a first damper portion 41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and a second damper portion 42 provided on the outer end of the flange portion 34.

제1댐퍼부분(41)은 키수용부(35)의 내벽면에 형성된 계단부(36)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댐퍼부분(42)은 플랜지부(34)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은 각기 해당 위치에서 단말기본체(1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감쇠댐퍼(40)로써 가장 간단한 것으로 스펀지가 채용될 수도 있으나, 필요시 고무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first damper portion 41 is provided below the step portion 36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and the second damper portion 42 is provided in the corner region of the flange portion 34. They each attenuate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erminal body 1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the vibration damping damper 40, the sponge may be adopted as the simplest one, but may be replaced with rubber when necessary.

한편, 조그키(30)에 형성된 플랜지부(34)는 모서리가 모따기 처리되거나 혹은 라운딩처리된 대략 사각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플랜지부(34)에는 총 4개의 장변이 존재한다. 이 때, 조작부(33)의 수직축선에 대해 플랜지부(34)의 장변측 선단(34a)까지는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즉, 플랜지부(34)가 스위치(38)를 가압할 수 있을 최소한의 길이로써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ange portion 34 formed in the jog key 3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corners chamfered or rounded. Therefore, a total of four long sides exist in the flange portion 34.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lange portion 34 to the long side end 34a of the flange 34 is relatively shor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operation portion 33. That is, the flange portion 34 is formed with the minimum length that can press the switch 38.

이처럼 조작부(33)의 수직축선에 대해 플랜지부(34)의 장변측 선단(34a)까지 길이를 최단길이로 형성할 경우, 플랜지부(34)의 상승거리가 줄어든다. 따라서 조그키(30)의 주변 공간에 여유가 발생하여 공간 활용을 충분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술한 것처럼 진동감쇠댐퍼(40)를 마련하더라도, 제1댐퍼부분(41)은 키수용부(35)의 내벽면 중 조그키(30)의 작동방향과 45°를 이루는 내벽면에 구비되므로 조그키(30)와의 구속이 적게 발생하여 조그키(30)의 클릭(click) 감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length is formed in the shortest length to the long side end 34a of the flange portion 3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operation portion 33, the ascending distance of the flange portion 34 is reduced. Therefore, a margin occurs in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jog key 30 to allow sufficient space utilization, and even when the vibration damping damper 4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amper portion 41 is the key receiving portion 35. Since th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of the jog key 3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45 ° and the operating direction is less constrained with the jog key 30 to prevent the click sensitivity of the jog key 30 is greatly reduced. You can do it.

이와 같이, 조그키(30)와 키수용부(35)에 각각 진동감쇠댐퍼(40)를 마련하는 한편 조작부(33)의 수직축선에 대해 플랜지부(34)의 장변측 선단(34a)까지 길이를 최단길이로 형성함으로써 모터의 진동시 조그키(30)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조그키(30)의 클릭(click) 감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vibration damping damper 40 is provided in the jog key 30 and the key accommodating part 35, respectively, and the length to the long side front end 34a of the flange part 3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operation part 33 is provided. By forming the shortest leng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ick sensitivity of the jog key 30 from being greatly reduced while preventing the jog key 30 from shaking dur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더형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folding type mobile terminal is illustrate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lip type or the slider type mobile terminal.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조그키가 폴더부의 외면에 마련되어 있지만, 본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내부액정을 보면서 키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jog key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portion, the jog key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key operation can be performed while viewing the inner liquid crysta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진동시 조그키가 떨리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조그키의 클릭(click) 감도가 크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ick sensitivity of the jog key from being greatly reduced while preventing the jog key from shaking dur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Claims (7)

단말기본체;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본체에 마련되는 키수용부;A key receiving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상기 키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되,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 조작가능한 조그키; 및A jog key detachably coupled to the key receiving part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body, the jog key being rotat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상기 키수용부와 상기 조그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말기본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감쇠댐퍼;A vibration damping damp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and the jog key to attenuate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erminal body; 를 포함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그키는,The jog key, 상기 키수용부 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이스;A bas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key receiving portion; 상기 베이스의 중앙역역으로부터 돌출된 축부;A shaf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region of the base; 단부가 상기 단말기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축부에 삽입되어 상기 축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조작가능한 조작부; 및An end portion expose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inserted into the shaft portion and operable to rotate with the shaft portion as an axis; And 상기 조작부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시, 상기 키수용부에 형성된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랜지부;A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operation portion to press a switch formed in the key accommodation portion to generate a signal when the operation portion is operated; 를 포함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진동감쇠댐퍼는,The vibration damping damper, 상기 키수용부의 내벽면에 마련되는 제1댐퍼부분; 및A first damper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And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단에 마련되는 제2댐퍼부분;A second damper portion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flange portion; 을 포함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댐퍼부분은 상기 키수용부의 내벽면 중 상기 조그키의 작동방향과 45°를 이루는 내벽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The first damper por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key receiving portion to form an operating direction of the jog key 45 °.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댐퍼부분은 상기 플랜지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The second damper por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corner region of the flange portion.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제1 및 제2댐퍼부분은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The first and second damper por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spong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조작부의 수직축선에 대해 상기 플랜지부의 장변측 선단까지는 상기 플 랜지부가 상기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는 최단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키를 구비한 이동단말기.A mobile terminal having a jog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portion forms the shortest length for pressing the switch to the long side end of the flan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operation portion.
KR1020050090835A 2005-09-28 2005-09-28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KR100705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35A KR100705013B1 (en) 2005-09-28 2005-09-28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835A KR100705013B1 (en) 2005-09-28 2005-09-28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896A KR20070035896A (en) 2007-04-02
KR100705013B1 true KR100705013B1 (en) 2007-04-09

Family

ID=3815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835A KR100705013B1 (en) 2005-09-28 2005-09-28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0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531B1 (en) * 2010-10-05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93A (en) * 2001-06-26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upgrade in FPGA EEPR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693A (en) * 2001-06-26 200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upgrade in FPGA EEPRO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6933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896A (en)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7869B (en)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KR20070087744A (en) Portable phone having many display
KR101324422B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KR101143183B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US6226501B1 (en) Radiotelephone having a primary keypad and a movable flip cover that contains a secondary keypad
JP4833130B2 (en) Electronics
KR100575998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CN102752416B (en) Mobile terminal
KR101202236B1 (en) Portable phone having speaker
US20020151282A1 (en) Joystick for cellular phone
KR100705013B1 (en) Portable phone having jog key
JP4628896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10000388U (en) Folding hand phone
KR100619856B1 (en) Side button in mobile phone
JP2005286702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0681016B1 (en) Sliding type portable phone
KR100640493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244353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665814B1 (en) Portable phone having intenna
KR20070024067A (en) Portable phone having a clock
KR100800829B1 (en) Game/communication portable device
KR200473244Y1 (en) Case for Mobile Handsets
KR20070017889A (en) Mechanical layout and component placement for thin clamshell phone
KR101284272B1 (en) Portable phone having intenna
KR20070010719A (en) Portable phone having key-pad for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