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590B1 -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590B1
KR100700590B1 KR1020050085354A KR20050085354A KR100700590B1 KR 100700590 B1 KR100700590 B1 KR 100700590B1 KR 1020050085354 A KR1020050085354 A KR 1020050085354A KR 20050085354 A KR20050085354 A KR 20050085354A KR 100700590 B1 KR100700590 B1 KR 10070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play
controller
apply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0580A (ko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90B1/ko
Priority to CNA2006101520174A priority patent/CN1946094A/zh
Publication of KR2007003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바디가 지면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바디의 회전각에 대응하여 일정한 각도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바디와; 바디에 설치되어 바디를 회전시키면 바디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환시키는 화면변환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없이 일정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되어 편의가 증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면변환장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가 90도 회전될 경우 세로로 보였던 화면을 가로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가로로 보였던 화면이 세로로 변환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단말기, 회전자, 디스플레이, 랜드스케입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DISPLAY UNIT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가 90도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화면변환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작동상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 단면도,
도 10는 도 8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12은 도 1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는 도 11의 휴대 단말기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디스플레이 유닛 110,210: 바디
120,220: 디스플레이 121,121: 화면
130,230: 센싱장치 131,132,133,134,231,232,233,234: 고정체
140: 회전체 141,240: 추
160: 제어부 241: 안내레일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바디가 지면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바디의 회전각에 대응하여 일정한 각도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입력이나 제어를 위하여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이나 생산을 위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휴대 전화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추고 있다.
그러한 예 중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는, 제1바디(20)와, 제1바디(20)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바디(2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30)으로 구성된다.
제1바디(20)에는 그 닫히는 상면에 키 스트로크(key stroke)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키패드(21)와 송신음을 수신하도록 설치되는 마이크(22)가 장착된다.
제2바디(30)에는 그 외측면에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31)와, 상측에 수신음이나 기타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설치되는 스피커 또는 리시버 장치(34) 및, 키입력을 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키패드(3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10)는, 마이크(22)와 리시버 장치(34)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키패드(21)(3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1)의 화면(32)를 보며 휴대 단말기(10)에 입출력 또는 제어하거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31)는, 바디(20)(30)를 회전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31)가 바디(20)(30)와 함께 회전되어 그 화면(32)까지 회전하게 되므로(도 2참조) 뉘어진 화면(32)을 볼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바디(20)(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사용자가 바디(20)(30)의 회전만큼 같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31)를 보아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과 디스플레이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동영상 재생, TV방송 또는 화상통신을 시청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으므로 가로화면(landscape)의 구현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로화면 모드 변환방식은 특별한 메뉴를 선택하여야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게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바디가 지면에 대하여 회전되어도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사용자가 보기 편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화면을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바디와; 바디에 설치되어 바디를 회전시키면 바디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환시키는 화면변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화면변환장치는, 바디에 설치되어 바디의 회전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장치와; 센싱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센싱장치는,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의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와; 바디에 회전체의 궤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어 회전체가 해당 위치로 왔을 때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고정체들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회전체는, 힌지축과;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와;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자중이 작용하도록 무게를 갖는 추를 포함하여 구 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는 고정체들의 배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과; 자중이 작용하도록 무게를 가지며 안내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안내레일은 추를 내부로 안내하도록 링모양의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체들은, 바디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1고정체와; 제1고정체로부터 바디의 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2고정체와; 제1고정체로부터 바디의 반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3고정체와; 제1고정체로부터 바디의 18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4고정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체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회전체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된 것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1바디와;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와;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바디를 회전시키면 바디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환시키는 화면변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의 도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상면에 시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가 설치된 바디(110)와, 바디(110)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120)에서 표시되는 화면(121)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그 바디(110)의 회전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장치(130)를 구비한다.
상기 센싱장치(130)는, 도 5에서 도시된 블럭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와 연결된다. 즉, 바디(1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화면을 변환하기 위한 화면변환장치는 센싱장치(130)와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센싱장치(130)는, 바디(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140)와, 기판(111)에 회전체(140)의 궤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로 배치되어 회전체(140)가 해당 위치로 왔을 때 제어부(160)에 신호를 인가하는 제1 내지 제4 고정체(131)(132)(133)(134)를 구비한다.
회전체(14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축(142)과, 힌지축(14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143) 및, 로드(143)의 단부에 고정되어 자중이 작용하도록 무게를 갖는 추(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바디(110)가 지면에 대하여 회전하며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회전체(140)는 추(141)의 자중에 의하여 바디(110)의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회전체(140)의 회전궤도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고정체 (131)(132)(133)(134)가 장착된 것이며, 이들은 각각, 도 3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160)에 인가하는 제1고정체(131)와, 제1고정체(131)로부터 도 6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160)에 인가하는 제2고정체(132)와, 제1고정체(131)로부터 도 7에서와 같이 바디(110)의 반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160)에 인가하는 제3고정체(133)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1고정체(131)로부터 바디(110)의 18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제어부(160)에 인가하는 제4고정체(134)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체(131)(132)(133)(134)가 회전체(140)가 각 해당 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회전체(140)를 자석(magnet)으로 구성하고 고정체(131)(132)(133)(134)는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신호를 인가하는 자기센서, 예를 들어 홀 스위치(Hall Effect Switch)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회전체(140)를 광원으로 구성하고 고정체(131)(132)(133)(134)는 포토센서로 구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1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체(140)도 반대로 회전되며, 고정체(131)(132)(133)(134)가 설치된 4가지 회전위치에 이르게 되면 고정체(131)(132)(133)(134)는 그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160)는 다시 디스플레이(120)에 화면변환신호를 내리게 된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120)에서 표시되는 화면(121)이 기울어지지 않고 바디(110)의 초기위치인 도 3의 상태와 같은 상태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바디(110)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제어부(160)에서는 화면(121)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화면(121)이 사용자에게는 초기 상태로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며, 도 7에서와 같이 바디(110)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 제어부(160)에서는 화면(121)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화면(121)이 사용자에게는 초기 상태로 보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바디(110)가 180도 회전된 경우에도 제어부(160)에서는 화면(121)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초기 상태로 보여지도록 한다.
이 경우 도 7과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기위치에 대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가로와 세로 비율이 달라지므로 제어부(160)에서는 화면(121)을 비율에 맞게 변환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센싱장치(2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배치와 기능을 갖는 고정체들(231)(232)(233)(234)의 배열 방향으로 안내레일(2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내레일(241)을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자중이 작용하도록 무게를 갖는 추(2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레일(241)은 도 10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링모양의 튜브(tube)로 되어 있어 추(240)가 그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바디(210)가 초기 위치로부터 기울어지면 추(240)는 바디(21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각 고정체들(231)(232)(233)(234)의 장착위치에 이르게 되면 해당 고정체(231)(232)(233)(234)의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220)에서 표시되는 화면(221)을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추(240)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체(231)(232)(233)(234)는 자석이 근접하면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신호를 인가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화면변환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적용된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인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300)는, 센싱장치(330)가 설치된 제1바디(310)와, 제1바디(31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바디(310)를 개폐할 수 있게 연결되는 제2바디(320)으로 구성된다.
제2바디(320)에는 음성 등을 출력하기 위한 리시버 장치(324)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321) 및, 키패드(323)가 설치되어 있다.
센싱장치(33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자중이 작용하도록 무게를 가지며 제1바디(3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340)와, 회전체(340)의 궤도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기판(311)에 설치된 고정체들(331)(332)(333)(334)을 구비한다. 다만 센싱장치(330)는 도시예와 달리 제2바디(32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타의 구성이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 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300)를 도 13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센싱장치의 추(341)는 제1고정체(331)로부터 제2고정체(332)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고정체(332)에서는 그 신호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인가하여 제어부에서는 디스플레이(321)에서 표시되는 화면(322)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한 화면(322)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바디에 설치되어 바디를 회전시키면 바디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환시키는 화면변환장치를 구비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없이 일정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되어 편의가 증진된다.
특히, 본 발명의 화면변환장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가 90도 회전될 경우 세로로 보였던 화면을 가로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가로로 보였던 화면이 세로로 변환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6)

  1.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의 회전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싱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바디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싱장치는,
    링 모양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회전각에 따라 자중에 의하여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체; 및
    상기 안내레일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가 이동하여 오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회전체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광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들은,
    상기 바디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1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로부터 상기 바디의 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로부터 상기 바디의 반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3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로부터 상기 바디의 18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4고정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5.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바디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센싱장치; 및
    상기 센싱장치의 신호를 받아 상기 바디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싱장치는,
    링 모양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회전각에 따라 자중에 의하여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체; 및
    상기 안내레일의 주위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가 이동하여 오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회전체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광원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포토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들은,
    상기 바디의 초기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1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로부터 상기 바디의 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로부터 상기 바디의 반시계방향의 9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3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로부터 상기 바디의 180도 회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제4고정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50085354A 2005-09-13 2005-09-13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0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54A KR100700590B1 (ko) 2005-09-13 2005-09-13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A2006101520174A CN1946094A (zh) 2005-09-13 2006-09-11 显示装置及其便携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54A KR100700590B1 (ko) 2005-09-13 2005-09-13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580A KR20070030580A (ko) 2007-03-16
KR100700590B1 true KR100700590B1 (ko) 2007-03-28

Family

ID=3804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354A KR100700590B1 (ko) 2005-09-13 2005-09-13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0590B1 (ko)
CN (1) CN19460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9147B (zh) * 2013-07-30 2016-06-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话模式切换方法及移动终端
JP6367049B2 (ja) * 2013-11-15 2018-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868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50060448A (ko) * 2003-12-16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회전형 단말기의 lcd화면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868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50060448A (ko) * 2003-12-16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회전형 단말기의 lcd화면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6094A (zh) 2007-04-11
KR20070030580A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2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US8078105B2 (en) Scroll wheel on hinge
US200601352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US8140055B2 (en) Method for perform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a dual-hinge type mobile terminal
JP511703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20060055375A (ko) 화상표시장치, 화상표시장치의 표시 제어 방법 및,기억매체
US8520837B2 (en) Mobile device display implementation
KR20070016914A (ko)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통신 장치
KR100700590B1 (ko)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6180071A (ja) 携帯端末、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プログラム
US20050195160A1 (en) Folding-type mobile phone terminal
JP2007067511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WO2009020131A1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入力操作画面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MXPA06012930A (es) Terminal movil y metodo para cambiar el modo de la misma.
JP2004280542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0177879A (ja) 携帯電話機
KR101392912B1 (ko) 휴대 단말기
KR20060070195A (ko) 회전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화면 디스플레이 자동 전환장치
KR2006002035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및 방법
KR20070037549A (ko) 다기능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JP4960825B2 (ja) 端末装置
JP4514821B2 (ja) 携帯電話機の制御装置
KR20060107622A (ko) 위치 감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