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580B1 -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580B1
KR100700580B1 KR1020050059420A KR20050059420A KR100700580B1 KR 100700580 B1 KR100700580 B1 KR 100700580B1 KR 1020050059420 A KR1020050059420 A KR 1020050059420A KR 20050059420 A KR20050059420 A KR 20050059420A KR 100700580 B1 KR100700580 B1 KR 10070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antenna
portable termin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438A (ko
Inventor
최현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80B1/ko
Priority to CNA2006100831570A priority patent/CN1893196A/zh
Publication of KR2007000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적인 특성 저하에 따른 안테나의 특성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급전패드 및 접지패드가 구비된 피씨비가 내부에 수용되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파의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가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방사부와 상기 피씨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방사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내장형 안테나, 피씨비, 방사부, 접촉단자부, 분리

Description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INTERNAL ANTENNA HAVING SEPARATION TYPE CONTACT TERMINAL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서,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단말기 본체 122 : 피씨비
122a : 급전패드 122b : 접지패드
140 : 안테나 141 : 방사부
142 : 접촉단자부 143 : 급전핀
144 : 접지핀 145 : 성형부
150 : 고정부재
본 발명은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특성 저하에 따른 안테나의 특성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로서,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10)는 본체부(20)와 이 본체부(20)에 절첩되며 본체부(2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본체부(20)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부(30)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20)의 상단부에는 폴더부(30)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본체힌지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더부(30)에는 본체힌지부(21)의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폴더힌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피씨비(22)가 수용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23a)를 갖는 키패드(23)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24)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상부측 내부에는 무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 한 안테나(40)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안테나(40)는 전파의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부(41)와, 상기 방사부(4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피씨비(22)에 구비된 급전패드(22a) 및 접지패드(2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접촉되는 급전핀(43)과 접지핀(44)으로 이루어진 접촉단자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30)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엘씨디(32)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부(30)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를 휴대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각종 정보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폴더부(30)를 개방시킨 후 폴더부의 수화부(33)를 사용자의 귀에 대고 통화를 하거나 폴더부(30)에 설치된 엘씨디(32)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며 본체부(20)의 상면에 설치된 키패드(22)를 조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급전핀(43) 및 접지핀(44)으로 이루어진 접촉단자부(42)가 방사부(41)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안테나(40)를 본체부(20)의 내부에 결합할 시 각 핀(43,44)간에 간섭(또는 각 핀의 구조적 변형) 및 안테나(40)와 본체부(30)의 내부 각종 기구물간에 편차에 의해 안테나와 피씨비간에 접촉 오류가 발생되는 등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안테나(40)의 특성이 저하되고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적인 특성 저하에 따른 안테나의 특성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전패드 및 접지패드가 구비된 피씨비가 내부에 수용되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파의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가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방사부와 상기 피씨비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방사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부는 일단은 상기 방사부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급전패드에 접속되는 급전핀과, 일단은 상기 방사부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패드에 접속되는 접지핀과, 상기 급전핀과 상기 접지핀이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전핀은 상기 방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급전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를 연결하며 상기 성형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핀은 상기 방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를 연결하며 상기 성형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가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피씨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제2접점부는 해당되는 상기 각 패드에 납땜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접촉단자부(142)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는, 급전패드(122a) 및 접지패드(122b)를 구비하여 단말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피씨비(12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파의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는 판상의 방사부(141)와, 상기 방사부(141)가 급전패드(122a)와 접지패드(12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방사부(141)와 피씨비(122)의 사이에 설치되되 방사부(141)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단자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 본체(110)로서는, 서로 전개 및 절첩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 및 폴더부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도 1 참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 및 슬라이드부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단말기(도시하지 않음) 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접촉단자부(142)는 일단은 방사부(141)에 접속되고 타단은 급전패드(122a)에 접속되는 급전핀(143)과, 일단은 방사부(141)에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패드(122b)에 접속되는 접지핀(144)과, 상기 급전핀(143)과 접지핀(144)이 일체를 이룰 수 있도록 급전핀(143) 및 접지핀(144)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성형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전핀(143)은 방사부(141)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성형부(145)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143a)와, 상기 급전패드(122a)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성형부(145)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143b)와, 상기 제1접점부(143a)와 제2접점부(143b)를 연결하되 제1접점부(143a)와 제2접점부(143b)가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성형부(145)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143c)를 포함하여 구 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지핀(144)은 방사부(141)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성형부(145)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144a)와, 상기 접지패드(122b)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성형부(145)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144b)와, 상기 제1접점부(144a)와 제2접점부(144b)를 연결하되 제1접점부(144a)와 제2접점부(144b)가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성형부(145)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14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급전핀(143) 및 접지핀(144)은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부(145)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전핀(143)과 접지핀(144)이 서로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급전핀(143)과 접지핀(144)을 서로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피씨비(122)에는 성형부(145)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의 고정부재(1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급전패드(122a) 및 접지패드(122b)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접촉되는 각 핀(143,144)의 제2접점부(143b,144b)는 해당되는 각 패드(122a,122b)에 납땜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전핀(143) 및 접지핀(144)의 각 제2접점부가 피씨비(122)의 각 패드(122a,122b)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접촉 단자부(142)의 성형부(145)를 피씨비(122)에 구비된 고정부재(150)에 지지 고정시키고, 그 후 급전핀(143) 및 접지핀(144)의 각 제1접점부가 방사부(141)의 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접촉단자부(142)의 상부에 방사부(141)를 배치시킴으로써 안테나(14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파의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부(141)와, 상기 방사부(141)가 피씨비(122)의 각 패드(122a,12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방사부(141)와 각 패드(122a,122b)를 연결하는 접촉단자부(142)를 분리형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접촉단자부(142)의 각 핀(143,144)이 해당되는 각 패드(122a,122b)와 방사부(141)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안테나(140)를 단말기 본체(110)의 내부에 결합할 시 접촉단자부(142)의 각 핀(143,144)간에 간섭(또는 각 핀(143,144)의 구조적 변형) 및 안테나(140)와 단말기 본체(110)의 내부 각종 기구물간에 편차에 의한 안테나(140)와 피씨비(122)간에 접촉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안테나(140)의 결합시 발생되는 전기적 특성 저하에 따른 안테나(140)의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에 의하면, 방사부와 접촉단자부를 분리형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접촉단자부의 각 핀이 해당되는 각 패드와 방사부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기적인 특성 저하에 따른 안테나의 특성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급전패드 및 접지패드가 구비된 피씨비가 내부에 수용되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파의 송수신 역할을 수행하는 방사부와;
    상기 방사부가 상기 급전패드와 상기 접지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방사부와 상기 피씨비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촉단자부로 구성되고,
    상기 접촉단자부는 일단은 상기 방사부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급전패드에 접속되는 급전핀과, 일단은 상기 방사부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패드에 접속되는 접지핀과, 상기 급전핀과 상기 접지핀을 지지하는 성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급전핀 및 상기 접지핀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핀은 상기 방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급전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 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를 연결하며 상기 성형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핀은 상기 방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접점부와, 상기 접지패드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성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접점부와, 상기 제1접점부와 상기 제2접점부를 연결하며 상기 성형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가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피씨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접점부는 해당되는 상기 각 패드에 납땜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20050059420A 2005-07-01 2005-07-01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070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20A KR100700580B1 (ko) 2005-07-01 2005-07-01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CNA2006100831570A CN1893196A (zh) 2005-07-01 2006-06-07 具备有分体式接触端子的便携式终端的内置式天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420A KR100700580B1 (ko) 2005-07-01 2005-07-01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438A KR20070003438A (ko) 2007-01-05
KR100700580B1 true KR100700580B1 (ko) 2007-03-28

Family

ID=3759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420A KR100700580B1 (ko) 2005-07-01 2005-07-01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0580B1 (ko)
CN (1) CN18931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2264B (zh) * 2007-05-25 2012-10-31 佳邦科技股份有限公司 天线托架结构及具有天线托架结构的天线装置
CN104466575B (zh) * 2014-12-25 2018-01-19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连接装置、天线组件及终端
KR20240049054A (ko) * 2022-10-07 202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성 부재를 이용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071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가상 접지 소자를 가진 내장형 안테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071A (ko) * 2004-08-13 2006-02-1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가상 접지 소자를 가진 내장형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3196A (zh) 2007-01-10
KR20070003438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8337B2 (en) Antenna device for a mobile phone
KR10058431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1737066B1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2009003764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4526429B2 (ja) 携帯無線機
KR100705015B1 (ko) 인테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101098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778365B1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642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지장치
KR10114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57079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60065323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80250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안테나 장치
JP4930851B2 (ja) アンテナ構造、及び携帯通信機器
KR20060125393A (ko) 착탈 가능한 안테나 모듈 및 탈착 가능한 안테나 모듈을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98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60068885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슬라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1413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722468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인테나 조립구조
KR1007834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21349A (ko) 회전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디엠비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