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945B1 -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945B1
KR100699945B1 KR1020050113044A KR20050113044A KR100699945B1 KR 100699945 B1 KR100699945 B1 KR 100699945B1 KR 1020050113044 A KR1020050113044 A KR 1020050113044A KR 20050113044 A KR20050113044 A KR 20050113044A KR 100699945 B1 KR100699945 B1 KR 100699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phthoquinone
disease
alzheimer
composition
cognitive dys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
하희진
김영호
이성은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주) 디지탈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지탈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 디지탈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5011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945B1/ko
Priority to JP2006313809A priority patent/JP200714584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천연에 존재하는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시키며, 베타아밀로이드로 인한 세포독성을 저해하는 등 인지기능장애 개선 효과를 가짐으로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 나프토퀴논, 알츠하이머, 인지기능 장애,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naphthoquinone compounds for preventing cognitive dysfunction}
도 1은 저글론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1,2-나프토퀴논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에 대한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의 세포 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천연의 식물체에 존재하는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brain)와 척수 (spinal cord)로 구성된 중추신경계는 생명현상을 운영하는 중심센터로서 감각과 (불)수의적인 운동에서부터 사고, 기억, 감정, 언어 등에 이르기까지 인체의 모든 기능을 총괄하는 아주 필수적인 기관이다. 따라서 뇌졸중, 외상 등으로 야기된 급행적인 신경세포의 사멸이나,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 파킨슨질환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서행적인 신경세포의 사멸등과 같은 모든 경우에서는 곧 바로 신경회로망의 비가역적인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되며 결국에는 해당 인체 기능의 영구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으로 대표되는 노인성 치매는 인간 평균수명의 연장과 의료복지시설의 현대화와 맞물려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보건사회연구원 통계조사에 다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가 2000년에 7%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래 2003년 397만 명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이 8.3%에 이르렀고 2019년 에는 14.4%에 이르러 완전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견된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한 가지 이상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에 이르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율도 8.2%로 추정된다. 서구사회에서는 65세 이상인구의 약 10%, 80세 이상인구의 약 40 ~ 50%에서 알츠하이머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미 미국에서는 환자가 500만 명 이상으로 이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연간 1000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약 20만 명 이상이 치매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2030년까지 현재의 2배 규모로 증가하고, 2050년까지는 350% 이상 늘어난 1,4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어지고 있다.
인지기능장애로 시각되어지는 알츠하이머형 노인성 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 라는 단백질이 뇌신경 세포에 쌓여 뇌세포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축적되고 아세틸콜린이라는 뇌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 정확한 발생원인과 치료대책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베타-아밀로이드는 플라크(plaque)의 주요 구성 성분인데 플라크가 뇌에 축적되는 현상은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 발병 초기에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감소시키면 이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인간 본성이 파괴되며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를 수용하는 수동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사회 경제적 부담을 감당할 수가 없으므로 예방 및 원인 치료제를 개발하는 적극적인 시도를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인 화이자사의 아리셉트(Aricept), 노바티스사의 엑셀론(Exelon), 그리고 얀센사의 레미닐(Reminyl) 과 최근에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받은 NMDA수용체의 길항제 기전의 룬드벡사의 에빅사(Ebixa; Memantine)가 있다. 그러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의 경우는 감퇴된 인지 능력을 개선해 줄 뿐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을 치료하지는 못한다. 또한, 단지 일부 환자의 경우 (약 40-50%)에서 일시적인 증세 완화 효과를 보이며, 그 약효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므로 근본적인 치료제라 하기 어렵다. 또한 질환의 특성상 장기 복용을 요하게 되는데, 상기 의약품들의 경우 간 독성, 구토, 식욕감퇴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것 또한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질환의 진행 과정을 막아 줄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4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베타 또는 감마 시크리테아제 저해제의 개발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알츠하이머 질환에 대한 기초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매 치료제 개발 그 자체의 경우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고 사료된다. 감마 시크리테아제 저해제의 경우 동물 실험 모델에서 뿐만 아니라 최근의 임상 실험 결과에서도 상당한 독성을 수반함으로써 그 전망이 불투명하다. 비교적 연구 개발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으나 베타 시크리테아제의 경우 유전자 결핍 형질 전환 동물모델의 결과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좀 더 안전하고도 효율적인 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한 타겟으로써 유망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에 관여하는 인자를 타겟으로 하는 것도 비교적 안전하게 효과를 보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베타아밀로이드를 타겟으로 하는 신약 개발에서 미국의 앤소닉스사에서 펜세린(Phenserine)이라는 약물에 대해 임상 2상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약물은 이중 기능을 가지고 있어 콜린에스테라제(cholineesterase) 저해 효과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Greig et al., J. Med. Chem. 44, pp.4062-4071, 2001; Medical News Today 2004년 9월 4일 기사, www.medicalnewstoday.com;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 홈페이지, www.alzforum.org/drg/drc).
가능성이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베타아밀로이드를 이용한 백신 (Vaccine) 의 개발이다. 엘란(Elan)회사를 중심으로 진행된 일련의 연구 및 임상의 결과로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를 백신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과가 보고되었으나 임상 2상에서 소수의 환자에서 뇌염증 반응이 일어나 중단된 상태이다. 현재 다양한 베타아밀로이드 구조를 이용한 백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동물실험의 결과로 베타아밀로이드 백신은 뇌 속에 형성된 노인반의 수를 줄이고 모델동물의 인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뇌세포의 활성을 증진하고 손상을 입은 뇌신경세포의 활성을 증진시켜 인지 기능을 향상시킴으로 알츠하이머를 완화할 수도 있다.
나프토퀴논 (Naphthoquinone)은 나프탈렌 고리의 골격을 갖는 퀴논으로 l, 2-(??-)와 1, 4-(??-) 및 2, 6-(amphi-) 3가지 이성질체가 있다. 1, 4-나프토퀴논 유도체는 동물색소로서 천연에 분포하며, 2, 6- 나프토퀴논은 불안정하여 용액 속에서 즉시 분해한다. 모두 피부에 대해 자극성이 있고, 퀴논 특유의 색을 가진 결정으로 존재한다. 1, 2 - 나프토퀴논은 시약 및 중간체로서 쓰이며, 1, 4 - 나프토퀴논은 염료 및 의약품의 원료로서, 또 살균제로 이용되는 외에 고무 및 폴리에스테르수지에 대한 중합 조절제(重合調節劑)로도 사용된다. 퀴논(Quinone)류는 생약성분 중에서도 대단히 큰 그룹의 하나로 동물, 식물, 미생물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안스라 퀴논(Anthraquinone; 대표적 화합물로 에모딘(emodin)이 있다.)이 가장 많고,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벤조퀴논(benzoquinone)의 순이다. 이들은 생리활성을 갖는 성분이 많은데, 생체내 전자전달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비 퀴논(ubiquinone), 혈액응고작용을 하는 비타민 K,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미토마이신(mitomycin), 사하작용을 나타내는 세노사이드(sennoside)등과 같이 의약품으로 중요한 것도 많다. 또 알카닌(alkannin), 아리자린(alizarin), 시코닌(shikonine)과 같이 염료로도 중요한 것이 많다(기능성식품소재로서 생물활성 천연물의 국내 연구 동향, 황금희, 김현구, 식품과학과 산업, 28(3), 1995; 생약학, 생약학 교재출판위원회, 동명사)
나프토퀴논의 유도체인 비타민K는 주로 혈액응고를 촉진시키고 작용물질로는 비타민K(필로퀴논)·비타민K(메나퀴논)·비타민K(메나디온) 등 다수의 동족체가 단리(單離) 또는 합성되어 있다. 비타민 K는 혈액응고인자인 프로트롬빈 등의 생성을 촉진시켜서 혈액응고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작용을 하여 항 출혈성 비타민이라고 한다. 또한 항암효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는데 5-하이드록시-2-메톡시-1,4-나프토퀴논이 고형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국특허공보 제180791호, 건일제약, 6-치환-5,8-디옥시-1,4-나프토퀴논 유도체; 미국특허 제5,696,276호 5,8-Dihydroxynaphthoquinone derivatives)
나프토퀴논의 이러한 효능들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으나, 뇌질환 관련 연구에 관한 문헌은 개시되거나, 공개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 확립된 스크리닝 방법으로 인지기능 장애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을 분리하려는 목적으로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 하였다. 그 결과, 나프토퀴논 계 화합물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을 관찰하였고, 응집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한 유의적인 억제 활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자체 세포독성은 낮은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기되는 저글론(Juglone), 5, 8 - 하이드록시 - 1, 4 - 나프토퀴논(5, 8 - hydroxy - 1, 4 - naphthoquinone) 및 1, 2 - 나프토퀴논 (1, 2 - naphthoquinone)으로부터 선택된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인지기능장애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pick)명, 크루츠펠트-야곱(Creutzfeldt-jakob)병,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을 포함한다.
Figure 112005067994914-pat00001
(1) Juglone
Figure 112005067994914-pat00002
(2) 5,8-hydroxy-1,4-naphthoquinone
Figure 112005067994914-pat00003
(3) 1,2-naphthoquino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기되는 저글론(Juglone),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5,8-hydroxy-1,4- naphthoquinone) 및 1,2-나프토퀴논 (1,2-naphthoquinone)으로부터 선택된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 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인지기능장애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시키며, 베타아밀로이드로 인한 세포독성을 저해하는 등의 인지기능 회복 효과를 가짐으로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쿠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관련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도1의 화학식(1) 내지 화학식(3)의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인지 기능 장애관련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들의 준비
저글론(Juglone),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5,8-hydroxy-1,4- naphthoquinone) 및 1,2-나프토퀴논 (1,2-naphthoquinone)은 시그마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기타 시약들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실험
베타-아밀로이드는 플라크(plaque)의 주요 구성 성분인데 플라크가 뇌에 축적되는 현상은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시중구입가능 한 베타아밀로이드 1-42 (BACHEM)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의 응집 억제 실험을 실시하였다. DMSO에 250??M로 완전히 녹인 베타아밀로이드를 형광 블랙 플레이트에 PBS로 1/10 희석하여 응집을 유도한다. 여기에 각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저해능을 비교하여 10㎍/㎖ 에서 50% 저해효과 이상 나타내는 것을 골라 시료로 사용하여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50 mM 글리신 완충액에 ThT(Thioflavin T)를 희석하여 웰 당 150 ㎕씩 넣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SAFIRE, TECAN)에서 여기 파장 450nm/ 방출 파장 480nm 에서 흡 광도를 측정하였다.
저글론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89.9%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저글론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2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2.5㎍/㎖ 으로 확인되었다.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5,8-hydroxy-1,4- naphthoquinone) 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61.3%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3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3.56㎍/㎖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1,2-나프토퀴논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능을 10㎍/㎖ 농도에서 측정하여 91.3%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50% 이상의 저해를 보이는 경우에는 농도별 실험을 통해 IC50 값을 구하기 의해 0.05㎍/㎖, 0.5㎍/㎖, 5㎍/㎖, 50㎍/㎖ 등의 다양한 농도로 응집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1,2-나프토퀴논의 농도별 응집억제 정도를 도4에 나타내었으며 IC50 값은 1.26㎍/㎖ 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저해 효과 실험
2-1. 세포 준비
생쥐의 신경세포주인 HT22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BRL) 배지에 10% FBS (Fetal Bovine Serum, Hyclone)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Sigma사)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Forma)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HT22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ㅧ 103 세포/웰의 밀도로 평판 배양한 후 시료를 처리하기 전에 혈청이 제거된 DMEM 배지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2. 세포 괴사 억제정도 측정
시료를 10㎍/㎖ 의 농도로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고, 응집이 된 베타아밀로이드 25-35(US 펩티드)를 25??M의 농도로 처리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괴사를 유도한 후, 5㎎/㎖ MTT (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용액을 웰 당 15㎕씩 넣고, 4시간 배양 후 용해화 완충액(10% SDS, 50% 디메틸포름아미드, pH 4.7)을 100㎕ 씩 첨가하여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18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Sunrise, TECAN)를 이용하여 570nm/6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베타아밀로이드의 독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여(illardon, F. et al., Brain Research, 706(1), pp169-172, 1996)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이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세포 독성측정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의 자체 세포 독성을 측정하여 향후 생길 수 있는 시료의 자체 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검색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2-1의 신경세포주 HT22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10㎍/㎖ 농도로 각 시료를 처리하여 자체 독성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은 세포 독성이 없으나 저글론과 1,2-나프토퀴논은 약간의 세포독성을 보였다. 저글론의 경우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억제 효과와 세포독성 사이에 서로 상보적인 효과가 보였다.
실험결과, 나프토퀴논 중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은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억제능과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뇌신경 세포의 괴사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저글론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1,2-나프토퀴논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저글론 1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
Na2HPO4ㅇ12H2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2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1,2-나프토퀴논 10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5,8-하이드록시-1,4-나프토퀴논 100㎎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시키며, 베타아밀로이드로 인한 세포독성을 저해하는 등의 인지기능 회복 효과를 확인함으으로써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2-나프토퀴논(1,2-naphthoqui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pick)병, 크루츠펠트-야곱(Creutzfeldt-jakob)병,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KR1020050113044A 2005-11-24 2005-11-24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99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44A KR100699945B1 (ko) 2005-11-24 2005-11-24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6313809A JP2007145840A (ja) 2005-11-24 2006-11-21 ナフトキノン系化合物を含有する認知機能障害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44A KR100699945B1 (ko) 2005-11-24 2005-11-24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945B1 true KR100699945B1 (ko) 2007-03-26

Family

ID=3820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044A KR100699945B1 (ko) 2005-11-24 2005-11-24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145840A (ko)
KR (1) KR100699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6269D0 (en) 2008-09-05 2008-10-15 Univ Ramot Naphthoquinone derivatives useful for prevention of amyloid deposits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526A (ja) * 1993-06-02 1994-12-13 Mitsui Toatsu Chem Inc 置換1,4−ナフトキノ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神経成長因子産生、分泌誘発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7326D0 (en) * 2001-07-16 2001-09-05 Univ Aberdeen Napthoquinone-type inhibitors of protein aggreg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526A (ja) * 1993-06-02 1994-12-13 Mitsui Toatsu Chem Inc 置換1,4−ナフトキノ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神経成長因子産生、分泌誘発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45840A (ja)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266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25839B1 (ko) 단삼으로부터 분리된 탄시논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2897B1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01074352A1 (fr) Compositions somniferes
KR20070040209A (ko) 단삼 분획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65061B1 (ko) 땅콩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99945B1 (ko) 나프토퀴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8379B1 (ko) 자바강황 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358627B2 (ja) タラヨウ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虚血性疾患または退行性脳疾患の予防もしくは治療用または記憶障害の改善用の薬学的組成物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8371B1 (ko) 로가닌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파킨슨씨 질환, 스트레스, 노화, 뇌졸중 및 헌팅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20160103547A (ko)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조성물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7522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10140933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400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871A (ko) 감마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9316A (ko) 3-O-갈로일-3,3',5,5',7-펜타하이드록시플라반(3-O-galloyl-3,3',5,5',7- pentahydroxyflavan)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61560B1 (ko) 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감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0787765B1 (ko) 팔미트산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JP2011006324A (ja) 新規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