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311B1 -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311B1
KR100698311B1 KR1020050065819A KR20050065819A KR100698311B1 KR 100698311 B1 KR100698311 B1 KR 100698311B1 KR 1020050065819 A KR1020050065819 A KR 1020050065819A KR 20050065819 A KR20050065819 A KR 20050065819A KR 100698311 B1 KR100698311 B1 KR 10069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key
magnet
portable terminal
key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859A (ko
Inventor
안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3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키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명령을 입력하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 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 선택을 위해 적어도 4방향 이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네비게이션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네비게이션키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키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판; 상기 네비게이션키에 부착된 제1자석;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용단말기,자석,네비게이션키,척력,기능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navigation-key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네비게이션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I-I 선 단면도로서, 네비게이션키가 가이드판에 슬라이딩 되는 상태의 전,후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휴대용 단말기 11 : 네비게이션홈
20 : 액정표시장치 30 : 기능키
40 : 네비게이션키 41 : 플랜지
42 : 접촉홈 50 : 인쇄회로기판
60 : 가이드판 70 : 제2자석
80 : 제1자석 90 : 마그네틱 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최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능키의 반복적인 조작을 줄여주는 네이비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를 하고 이동하는 상태에서 음성은 물론 무선인터넷 등의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기로서 일상의 현대인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송신부와 수신부의 결합형태에 따라, 수신부가 송신부에 슬라이딩 되면서 송신부가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송신부의 상단부와 수신부의 힌지결합으로 수신부가 상방으로 결합되는 폴더형 단말기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폰은 처음에는 단순히 음성통신에만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라디오 방송 청취나, MP3뮤직을 다운로드 받아 필요할 때 재생하여 듣는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해야 할 메뉴들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기능키들을 여러번 반복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운 일련의 과정이 수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번거로움이 제기되면서 상기한 일련의 반복적인 기능키의 조작을 줄여주는 네비게이션키가 개발되었다.
첨부된 도 1을 통해 종래의 네비게이션키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와, 본체(1)의 전면에 구비된 액정표시장치(2)와, 상기 액정표시장치(2)를 통해 각 종 정보 및 영상들을 표시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능키(3)들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메뉴들을 기능키(3)의 반복적인 조작을 하지 않고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방향키 역할을 하는 네비게이션키(4)가 기능키(3)들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키(4)에 의해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실행키(5)가 네비게이션키(4)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네비게이션키(4)는 통상 일체로 형성된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물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좌,우에 입력키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키를 누름에 따라 각 종 메뉴들을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쉽게 원하는 메뉴를선택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네비게이션키(4)는 비록 한정되어 있는 기능이긴 하지만 최종 기능을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한번에 실행시킬 수 있는 단축키 기능도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네비게이션키(4)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최근 추세에 맞춰 휴대용 단말기가 슬림화 되어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각 종 기능키(3)들도 이에 맞춰 크기가 작아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일체로 형성된 네비게이션키(4)의 경우, 그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손이 닿을 수 있는 면적 또한 줄어들면서 손가락으로 네비게이션키(4)를 누를 때, 잘 못 선택되어 원치 않는 기능이 수행되는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일을 방지하 기 위해 네비게이션키(4)에 닿는 손가락의 면을 최대한 줄이고, 이를 위해 손톱을 써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를 개선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수행을 위한 입력 또는 단축기능 선택시 사용자가 입력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 선택을 위해 적어도 4방향 이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네비게이션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네비게이션키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키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판; 상기 네비게이션키에 부착된 제1자석;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의 저부와 본체 사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자석은 네비게이션키의 매설됨이 바람직하며 네비게이션키의 저부에 압입되거나 제1자석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착본드 등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은 페라이트 자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단부는 인쇄회로기판의 자석에 접촉되기 위한 가 이드 역할을 하는 접촉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살펴보면, 크게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10)와, 메뉴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키(40)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10)는 전면에 액정표시장치(20)를 비롯한 각 종 기능키(30)들이 포함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키(40)가 장착되도록 본체(10)의 전면에 네비게이션홈(11)이 형성되는데, 이 네비게이션홈(11)은 네비게이션키(40)의 노출된 부위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네비게이션키(40)가 상,하,좌,우 유동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키(40)와 인쇄회로기판(50) 사이에는 네비게이션키(4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한 가이드판(60)이 구비된다. 이는, 상기 네비게이션키(40)는 전기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0)의 상부에 직접 슬라이딩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이 상부에는 각 종 전기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키(40)의 슬라이딩 되는 면이 직접 인쇄회로기판(50)의 상부에 직접 맞닿아 슬라이딩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50)은 마찰력이 최소화 되도록 윤활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테프론 코팅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홈(11)을 중심으로 인쇄회로기판(50) 상부의 상,하, 좌,우의 위치에는 본드나, 접착테이프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적어도 4개 이상의 제2자석(70)이 장착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창에 표시된 여러개의 메뉴들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키(40)의 가장자리에는 단차진 플랜지(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4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자석(70)에 대응되게 접촉홈(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네비게이션키(40)가 슬라이딩 되어 원하는 위치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상기 네비게이션키가 상,하,좌,우의 방향 외에도 대각선의 방향으로 유동될 수도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키(40)가 접촉되는 위치를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키(40)의 내부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제1자석(80)이 매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자석(80)은 인쇄회로기판(50)에 장착된 제2자석(70)에 대응되게 매설되며, 상기 제2자석(70)과는 같은 극이 대향되게 하여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되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자석(70)은 네비게이션키(40)의 저부로 압입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 노출 되도록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은 페라이트(ferrite)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키(40)에 매설된 제1자석(80)의 위치를 판단하는 마그네틱 센서(90)가 인쇄회로기판(50)의 저부와 본체(10) 사이에 장착되며, 이 마그네틱 센서(90)는 각각의 제1자석(80)에 대응되며, 이 제1자석(80)과 동일한 수의 마그네틱 센서(90)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그네틱 센서(90)와 제1자석 (80)의 대응되는 위치는 상기 제1자석(80)의 대략 반에 해당하는 위치에 마그네틱 센서(90)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키(40)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면, 각 종 전기회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0)이 본체(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전기 회로들을 보호하며 네비게이션키(4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판(60)이 인쇄회로기판(50)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60)은 접착 본드나 접착 테이프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60) 위에 네비게이션키(40)가 안착되면서 본체(10)에 형성된 네비게이션홈(11)을 통해 네비게이션키(40)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키(40)에 매설된 각각의 제1자석(80)과 인쇄회로기판(50)에 장착된 각각의 제2자석(70) 사이에는 서로 같은 극이 대향하므로 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네비게이션키(40)는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치 않고 항상 중립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네비게이션키(4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원하는 기능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네비게이션키(40)를 기능에 맞는 위치에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네비게이션키(40)는 제2자석 (70)과 척력이 발생되는 상태이므로 네비게이션키는 사용자의 임의적인 힘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키(40)의 플랜지(41)에 형성된 접촉홈(42)은 제2자석(70)과 맞물리면서 정확한 위치에 접촉된다.
이때, 네비게이션키(40)의 내부에 매설된 제1자석(80)과 인쇄회로기판(50)의 제2자석(70) 사이에는 계속해서 척력이 발생되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네비게이션키(40)를 잡은 힘을 거둘시엔 네비게이션키(40)는 원래의 위치 즉, 중립의 위치로 돌아간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네비게이션키와 마그네틱 센서와의 상호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에서는 도 3a와 같이 네비게이션키(40)가 제2자석(70)과의 상호 발생되는 척력에 의해 중립에 위치한다. 여기서,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좌,우에 위치한 마그네틱 센서(90)만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90)는 인쇄회로기판(50) 및 가이드판(60)을 사이에 두고 제1자석(80)과 대응된다. 여기서, 마그네틱 센서(90)는 제1자석(80)의 대략 반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1자석(80)의 초기 상태를 'ON' 상태로 인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기능 입력을 위해 제2자석(70)과의 척력에 대항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네비게이션키(40)를 슬라이딩시킨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면에서와 같이 우측으로 네비게이션키(40)가 유동되며 네비게이션키(40)에 매설된 제1자석(80)도 네비게이션키(40)와 같이 유동된다.
이때, 제1자석(80)의 위치가 마그네틱 센서(90)의 초기 감지 범위를 벗어나 게 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90)는 이를 'OFF'로 인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우측에 프로그래밍된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네비게이션키(40)를 좌측으로 유동시키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용된다. 비록 도면이 도시되지 않고 상세한 설명을 하지는 않았으나 네비게이션키(40)의 상,하로 유동되는 작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네비게이션키940)의 좌,우로 유동되는 작용과 동일하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키(40)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한 명령 입력이 이루어짐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편하게 입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에 의하면, 네비게이션키의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가지 메뉴중 원하는 메뉴를 보다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입력 오류등으로 인해 메뉴가 잘 못 선택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자석이 매설된 네비게이션키와 제2자석을 같은극이 대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호간에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위치를 항상 중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 선택을 위해 적어도 4방향 이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네비게이션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네비게이션키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키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판;
    상기 네비게이션키에 부착된 제1자석;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제2자석; 및
    상기 제1자석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의 저부와 본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네비게이션키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네비게이션키의 저부에 압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네비게이션키의 저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은 적어도 4 개 이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페라이트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단부는 제2자석에 접촉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접촉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65819A 2005-07-20 2005-07-20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KR10069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19A KR100698311B1 (ko) 2005-07-20 2005-07-20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19A KR100698311B1 (ko) 2005-07-20 2005-07-20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859A KR20070010859A (ko) 2007-01-24
KR100698311B1 true KR100698311B1 (ko) 2007-03-23

Family

ID=3801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819A KR100698311B1 (ko) 2005-07-20 2005-07-20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3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78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그셔틀 키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78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그셔틀 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859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739B1 (ko) 디스플레이 브라켓 누름스위치가 장착된 멀티미디어용휴대기기 및 그의 조작 방법
US20070287512A1 (en) Layered mobile device
US8301211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1265914B1 (ko) 휴대 단말 장치
US818410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moving keypad
US8164571B2 (en) Slideable keyboard for an electronic equipment
JP2001007904A (ja) 摺動蓋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70213090A1 (en) Programmable keypad
RU233847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одну или более кнопок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в верхней части корпуса
EP1762083A1 (en)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US8195252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CN102257794A (zh) 具有滑动显示屏和屏幕划分构件的移动通信设备
US2010024523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Low Dexterity Requirement Input Means
KR1006983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네비게이션키
KR20000062611A (ko) 가변 디스플레이와 조합되는 전자 장치
WO2010150765A1 (ja) 携帯電話機
WO2008067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portable device by movement of a flip portion of the device
KR101463806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0402985Y1 (ko)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KR20060016369A (ko) 접지를 이용하여 슬라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슬라이드형휴대폰
KR100711755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28697A (ko) 필름커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버튼구조
KR100686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US20080303582A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160129665A (ko) 커버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