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04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046B1
KR100694046B1 KR1020040006471A KR20040006471A KR100694046B1 KR 100694046 B1 KR100694046 B1 KR 100694046B1 KR 1020040006471 A KR1020040006471 A KR 1020040006471A KR 20040006471 A KR20040006471 A KR 20040006471A KR 100694046 B1 KR100694046 B1 KR 100694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update
dis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5243A (en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480038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898739B/en
Priority to RU2006122537/28A priority patent/RU2337416C2/en
Priority to CA2551548A priority patent/CA2551548C/en
Priority to CA2767483A priority patent/CA2767483C/en
Priority to CN2007101046110A priority patent/CN101071608B/en
Priority to PCT/KR2004/003378 priority patent/WO2005062306A1/en
Priority to JP2006546818A priority patent/JP4842837B2/en
Priority to BRPI0418139-5A priority patent/BRPI0418139B1/en
Priority to EP04808509.6A priority patent/EP1697941B1/en
Priority to SG200809524-2A priority patent/SG149060A1/en
Priority to TW093139969A priority patent/TWI307497B/en
Priority to MYPI20045312A priority patent/MY147127A/en
Priority to MYPI2012001439A priority patent/MY156152A/en
Priority to US11/018,225 priority patent/US7551532B2/en
Publication of KR2005006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43A/en
Publication of KR10069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04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1/773,137 priority patent/US7539102B2/en
Priority to HK07107466.3A priority patent/HK1103155A1/en
Priority to HK08103435.9A priority patent/HK1113435A1/en
Priority to HK08102858.9A priority patent/HK1116581A1/en
Priority to RU2008106216/28A priority patent/RU2390057C2/en
Priority to RU2008119130/28A priority patent/RU2467408C2/en
Priority to US12/362,835 priority patent/US7916587B2/en
Priority to US13/039,008 priority patent/US814455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7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0Doors; Trap-do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11B2020/10907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using pseudo-overwriting, i.e. virtually or logically overwriting data on WORM media by remapping recorded blocks to alternat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4Increase of the access speed
    • G11B2020/1295Increase of the access speed wherein the focus is on the read access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위치에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특히,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업데이트 영역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data recording apparatus, a method thereof, a data reproducing apparatus,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disc once on a recording disc. A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rite once disc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pdate areas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time for reading the updated information can be shortened more in the case of a recording disc once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in a new location.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pdate areas for recording the upd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the recording device or the reproduction device quickly selects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Can be easily and easily determined.

Description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 once disc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2 is a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dual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dual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스패어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recording data in a user data area and a spare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전체 TDMA가 다수의 가상적인 TDMA로 분할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entire TDM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rtual TDMA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of 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한번 기록 디스크(write once disc)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에 보다 빨리 접근(access)하기 위한 접근 정보를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하는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recording information on a write once disc or reproducing recorded inform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for faster access to information necessary for use of a write disc. An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ing disc once,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disc once.

재기록 가능 디스크(rewritable disc)의 경우, 이미 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새로운 정보를 덮어서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에는 정보를 한번 기록하면 다시 지우고 쓸 수 없기 때문에 이미 기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위치를 할당하여 기록해야 한다.In the case of a rewritable disc, new information can be overwritten on a portion where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record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the information is recorded, it cannot be erased and written again. Therefore, in order to update the already recorded information, a new location must be allocated and recorded.

실제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만이 유의미한 경 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업데이트 영역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고, 디스크 드라이브는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영역을 탐색하여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찾아낸다. 더욱이 탐색해야 할 영역에 많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In fact, most of the information that is updated is only meaningful when the information is finally updated. Thus, an update area is allocated to the data area, and the disk drive searches for an area in which the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to find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n order to read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Moreover, if a lot of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rea to be searched, it takes a long time to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한편, 드라이브에 의한 결함 관리를 구현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중 발생한 결함에 대한 결함 관리를 위한 정보와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들이 마련된다. 한번 기록 매체의 특성상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 등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면,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서와 같이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존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덮어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 위치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해야 하므로 비교적 넓은 업데이트 영역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업데이트 영역은 리드인 영역이나 리드 아웃 영역에 할당되나, 때로는 그 업데이트 회수를 늘이기 위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도 할당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rite-once disc for which defect management by the drive is implemented, areas for recording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bout the defects occurring during the use of the write-once disc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cording status of the write-once disc are provided. . Once an update such as information on defect management is requi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medium, the updated information cannot be overwritten in the same location where the existing information is recorded, as in a rewritable disc. Since information must be recorded, a relatively wide update area is required. In general, the update area is allocated to the lead-in area or the lead-out area, but sometimes may be allocated to the data are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updates.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최종적인 업데이트 정보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업데이트 영역에 기록되어 있고, 그 최종적인 업데이트 정보에 데이터 영역에 업데이트 영역이 할당되었다는 정보와 그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드라이브는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마련된 업데이트 영역을 모두 탐색하더라도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알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The final updat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assigned to the data area, and the final updat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pdate area is allocated to the data are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pdate area. In this case, even if the drive searches for all of the update areas provided in the lead-in area or the lead-out area, the drive cannot obtain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not knowing where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정보가 기록된 한번 기록 디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ite once disc in which information is recorded in a data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access time for reading upd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use of the write once disc.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an access time for reading upd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use of a recording disc o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hortening the access time for reading upd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use of a recording disc on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pdate areas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And an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recording disc once, the method comprising: recor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one of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on the disk; And recording access information indicative of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isks.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recording apparatus on a write once disk, comprising: a recording / reading unit for recording or reading information on the disk; And access information provided in the disc with 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for recor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n one of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the disc, and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s recorded. It is also achieved by an apparatu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in an information area.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producing a recording disc onc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finally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on at least one recording disc; And obtaining, from the access information, information on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among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on the disc.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 및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도록 상기 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 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producing apparatus of a write once disc, comprising: a reading unit for reading data recorded on the once recording disc; And controlling the readout unit to obtain finally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 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on the recording disc, and from the access information, the last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on the disc. It is achieved by th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updated update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b)는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 (a) shows the structure of a single recording layer and FIG. 1 (b) shows a double recording layer.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recording disc once.

도 1의 (a)에 도시된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는 내주부터 외주 방향으로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In the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shown in Fig. 1A,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are sequentially provi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의 (b)에 도시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첫 번째 기록층 L0 및 두 번째 기록층 L1에는 내주부터 외주 방향으로 안쪽 영역(Inner area),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Outer area)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In the first recording layer L0 and the second recording layer L1 of the dual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shown in FIG. 1B, the inner area, the data area and the outer area are arrange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sequentially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드-인 영역에는 제1 디스크 관리 영역(DMA1: Disc Management Area 1), 제2 디스크 관리 영역(DMA2: Disc Management Area 2), 제1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1: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1), 접근 정보 영역(AIA: Access Information Area)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등이 마련된다. 리드-아웃 영역에는 제3 디스크 관리 영역(DMA3) 및 제4 디스크 관리 영역(DMA4) 등이 마련된다. 나아가, 리드-아웃 영역에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 또는 접근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접근 정보 영역, 디스크 관리 영역,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은 각각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 존재할 수 있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single recording layer once recording di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lead-in area includes a first disc management area (DMA1), a second disc management area (DMA2), and a first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DMA1). Management Area 1), an Access Information Area (AIA), a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IA),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lead-out area, a third disk management area DMA3, a fourth disk management area DMA4, and the like are provided. Furthermore, at least one of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or an access information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lead-out area. In summary,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e disc management area, the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and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may respectively exist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or the lead-out are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기록층 L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기록층 L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기록층 L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3의 (b)에 도시된 기록층 L1의 구조는 기록층 L0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제2 안쪽 영역에는 접근 정보 영역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2 데이터 영역에는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이 두 개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3 is a view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dual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3A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layer L0 and FIG. 3B shows the recordin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yer L1.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layer L0 shown in Fig. 3A is the same as that of the single recording layer single-recording disc shown in Fig. 2.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layer L1 shown in Fig. 3B is similar to that of the recording layer L0, but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not provided in the second inner area, and the temporary data management area is provided in the second data area. There is a differenc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는 TDMA 1 내지 TDMA 5의 모두 5개의 TDMA가 마련되어 있다. TDMA 1과 TDMA2의 위치 및 크기는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가 이미 알고 있는 영역이다. 그러나, TDMA 3, TDMA 4 및 TDMA 5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디스크 초기화 시점에 사용자 또는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다. 그리고, TDMA 1부터 TDMS를 기록하는 경우,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의 크기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TDDS가 TDMA 1에 기록된다. In addition, in the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ve TDMAs of TDMA 1 to TDMA 5 are provided. The position and size of TDMA 1 and TDMA 2 are areas known to the recording device and / or reproducing device. However, TDMA 3, TDMA 4 and TDMA 5 are once assigned to the data area by the user or the recording device and / or the reproduction device at the time of disc initialization for use of the recording disc. When the TDMS is recorded from the TDMA 1, the TDDS including the size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DMA allocated to the data area is recorded in the TDMA 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기록층 L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기록층 L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는 TDMA 1, TDMA 2 및 TDMA 4가 할당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는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디스크 초기화 시점에 사용자 또는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 영역 2에 TDMA 4만이 할당된 한번 기록 디스크를 나타낸다. 4 is a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a dual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FIG. 4 (a)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layer L0 and FIG. 4 (b) shows the recordin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layer L1. TDMA 1, TDMA 2, and TDMA 4 are allocated to the dual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shown in FIG. That is, the doub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shown in Fig. 4 represents a write once disc in which only TDMA 4 is allocated to data area 2 by a user or a recording device and / or a reproducing device at the time of disc initialization for use of the disc.

이하,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등의 각 영역 및 각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recording data in each area and each area such as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recording disc once will be described.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최종화(finalization) 이전에 한번 기록 디스크의 관리를 위한 임시 관리 정보(TDMS: temporary Disc Management Structure)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한번 기록 디스크의 최종화라 함은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도록 하는 동작을 말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거나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는 경우, 한번 기록 디스크는 최종화된다.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TDMA) is an area for recording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TDMS) for management of a recording disk once before finalization of the recording disk. The finalizing of the recording disc once means an operation that no more data can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disc once. When the user no longer records data on the recording disk once or when additional data cannot be recorded once, the recording disk is finalized.

임시 관리 정보는 임시 결함 정보(TDFL: Temporary DeFect List),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및 스페이스 비트 맵(SBM: Space Bit Map)을 포함한다. 임시 결함 정보(TDFL)는 결함이 발생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와 새로이 대체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로 구성된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는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포인터, 대응하는 스페이스 비트 맵이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포인터, 데이터 영역 내에 할당된 스패어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정보, 데이터 영역 내에 할당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스페이스 비트 맵(SBM)은 데이터 기록 단위인 클러 스터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된 클러스터와 기록되지 않은 클러스터에 각각 다른 비트 값을 할당함으로써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비트 맵으로 나타낸 정보이다.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DFL),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and a space bit map (SBM).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DFL) is composed of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defect is generated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newly replaced area is.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i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includes a location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where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 location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where a corresponding space bitmap is recorded, and a data area. Loc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spare areas allocated within the data area, and loc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s allocated within the data area. The space bit map (SBM) is information representing a data recording state of a recording disk as a bit map by assigning different bit values to clusters in which data is recorded and clusters in which data is recorded in cluster units which are data recording units.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되면, 그 장치는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임시 관리 정보, 특히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를 빨리 얻을 것이 요구된다. Once the recording disc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apparatus and / or the reproduction apparatus, the apparatus is required to quickly obtain the finally updated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for use of the disk.

통상,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가 장치에 로딩되면,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있는 정보들을 읽어들여 디스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한다.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의 양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디스크를 로딩하고 난 다음, 기록 또는 재생을 준비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임시 관리 정보의 개념을 도입하고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 중에 발생한 임시 관리 정보를 결함 관리 영역과 별개로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해둔다. Typically,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reads the information in the lead-in area and / or the lead-out area when the disc is loaded into the device to figure out how to manage the disc and how to record or reproduce it. The larger the amount of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ead-in area and / or the lead-out area, the longer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the disc and then preparing for recording or playback occur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concept of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introduced and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data recording or reproduction on the disc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lead-in area and / or the lead-out area separately from the defect management area. .

한번 기록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지금까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된 임시 관리 정보, 즉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최종적으로 디스크 관리 영역(DMA)에 기록한다. 이는,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여러 번 갱신되어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중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만을 디스크 관리 영역에 옮겨둠으로써 기록 또는 재생 장치가 향후 결함 관리 영역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만을 읽어들이도록 하여 보다 빠르 게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정보 접근이 가능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When finalizing the recording disk once,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so far, namely,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finally recorded in the disk management area (DMA). When a disc is finalized, this means that only the last meaningful information, which has been updated and recorded several times, is finally transferred to the disc management area, so that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can finally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he future defect management area. This is beca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formation can be accessed for the use of the recording disc more quickly by only reading 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스패어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recording data in a user data area and a spar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A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의미하고, B는 스패어 영역을 의미한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은 연속 기록 모드(continuous recording mode) 또는 랜덤 기록 모드(random recording mode)에 의한다. 연속 기록 모드는 사용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기록하는 것이고, 랜덤 기록 모드는 반드시 연속적으로 기록하지 않고 랜덤하게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① 내지 ⑦은 각각 기록 후 검증 작업이 수행되는 단위를 가리킨다.Referring to FIG. 5, A means a user data area, and B means a spare area. The method of recording the user data in the user data area is by a continuous recording mode or a random recording mode. In the continuous recording mode, the user data is sequentially recorded in succession, and the random recording mode is not necessarily continuous but in random recording. ① to ⑦ respectively indicate a unit in which a ver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recording.

기록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를 구간 ① 만큼 기록한 다음 구간 ①의 첫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을 결함 영역으로 지정한다. 이에, 결함 영역인 결함 #1이 지정된다. 또한, 기록 장치는 결함 #1에 기록되었던 데이터를 스패어 영역에 다시 기록한다. 결함 #1에 기록된 데이터가 재기록된 부분은 대체 #1이라고 부른다. 다음으로, 기록 장치는 구간 ② 만큼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다시 구간 ②의 첫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은 결함 #2로 지정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함 #2에 대응하는 대체 #2가 생성된다. 또한, 구간 ③에서 결함 영역인 결함 #3과 대체 #3이 생성된다. 구간 ④에서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지 않아 결함 영역이 존재하지 않 는다.The recording device records the user data by the interval ①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art of the interval ① to check whether the data is recorded correctly or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If a part where a defect occurs is found, the part is designated as a defect area. Thus, defect # 1, which is a defect area, is designated. The recording apparatus also records the data recorded in the defect # 1 again in the spare area. The part where the data recorded in the defect # 1 is rewritten is called replacement # 1. Next, the recording apparatus records the user data for the interval ②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art of the interval ② again to check whether the data is properly recorded or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If a defective part is found, that part is designated as defect # 2. In a similar manner, replacement # 2 corresponding to defect # 2 is generated. In addition, defect # 3 and replacement # 3, which are defective areas, are generated in the section ③. In section ④, no defective part is found and there is no defective area.

구간 ④까지 기록하고 검증한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의 종료가 예측되면(사용자가 이젝트 버튼을 누르거나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면) 기록 장치는 임시 결함 정보 #1로서 구간 ① 내지 ④까지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인 결함 #1, #2, #3에 관한 정보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임시 결함 정보 #1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 #1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코딩 오퍼레이션이란 사용자의 의사, 수행하고자 하는 기록 작업 등에 의해 결정되는 작업 단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어 소정 정보의 기록 작업이 수행된 다음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장치로부터 언로딩(unloading)될 때까지를 가리킨다. After recording and verifying up to section ④, and when the end of recording operation # 1 is predic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eject button or the recording of the user data assigned to the recor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recording device i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as the sections ① to ④. Information about defects # 1, # 2, and # 3, which are defective areas generated in the above,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In addition,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1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as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 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cording operation is a unit of work determined by a user's intention, a record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a recording disk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apparatus once, and recording operation of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performed. Indicates until unloading from the recording device.

다시 한번 기록 디스크가 로딩되면 레코딩 오퍼레이션 #2가 시작되고,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기록 조건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레코딩 오퍼레이션 #2에서는 구간 ⑤ 내지 ⑦까지 전술한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결함 #4, #5 및 대체 #4, #5가 생성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 #2이 종료되면 기록 장치는 임시 결함 정보 #2로서, 결함 #4 및 #5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임시 결함 정보 #2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 #2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When the recording disc is loaded once again, recording operation # 2 is started, the recording condition is tested in the 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and data is recorded based on the result. That is, in the recording operation # 2, data is recor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recording operation # 1 described above until the sections ⑤ to ⑦, and defects # 4, # 5 and replacements # 4, # 5 are generated.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 2 ends, the recording apparatus records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s # 4 and # 5 a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2. Furthermore,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 2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 2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및 스패어 영역이 다수 개 마련된 경우, 소정 순서에 따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또는 스패어 영역이 사용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이중기록층 디스크에 적용되는 데이터 기록 경로가 기록층 L0의 제1 안쪽 영역에서부터 제1 바깥 영역으로, 이어서 기록층 L1의 제2 바깥 영역에서 기록층 L1의 제2 안쪽 영역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OTP(Opposite Track Path)인 경우, 스패어 영역은 기록층 L0의 스패어 영역 1부터 데이터가 기록된다. 스패어 영역 1이 모두 사용되면 다음으로 스패어 영역 2, 3 및 4의 순서로 사용된다. As shown in Figs. 2 to 4, when a plurality of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s and spare areas are provided on a recording disc once,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or a spare area is used in a predetermined order. For example, the data recording path applied to the dual recording layer disc shown in FIG. 3 is from the first inner region of the recording layer L0 to the first outer region, followed by the second inner region of the recording layer L1 in the second outer region of the recording layer L1. In the case of OTP (Opposite Track Path) for recording data into the area, data is recorded from the spare area 1 of the recording layer L0 in the spare area. When all spare areas 1 are used, they are next used in the order of spare areas 2, 3, and 4.

마찬가지로, 임시 관리 정보는 기록층 L0의 TDMA1부터 기록된다. TDMA1이 모두 사용되면 기록층 L1의 제2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2에 업데이트해야 할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TDMA2도 모두 사용되면 기록층 L0의 제1 데이터 영역에 마련된 TDMA3에 업데이트해야 할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기록층의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1 및 TDMA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에 필수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데이터 영역에 마련된 TDMA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할당될 수도 있고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임시 관리 정보는 각 기록층의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부터 기록된다. 각 기록층의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가 모두 데이터가 기록되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 들이 사용된다.Similarly,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from TDMA1 of the recording layer L0. When all of TDMA1 is used,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in TDMA2 provided in the second inner region of the recording layer L1. If both TDMA2 are also used,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in TDMA3 provided in the first data area of the recording layer LO. In this embodiment, TDMA1 and TDMA2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each recording layer are essentially provided in one recording disc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owever, the TDMA provided in the data area is an area which may or may not be alloca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refore,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from the TDMA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each recording layer. If all of the TDMAs provided in the inner area of each recording layer are recorded, the TDMAs assigned to the data area are used.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임시관리정보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에 기록되고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 장치로부터 언로딩(unloading)된 후 다시 그 디스크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는 경우, 기록 장치는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임시관리정보를 얻어야한다. 그러나, 임시관리정보는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에 기록되어 있고, 드라이브는 임시관리정보 중의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에 억세스하기 전까지는 데이터 영역에 TDMA가 할당되었음을 알 수가 없는 문제가 생긴다.When the finally updated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TDMA allocated to the data area, and once the recording disk is unloaded from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n the disk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apparatus, the recording apparatus is used for use of the disk. Finally, updated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should be obtain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TDMA allocated to the data area, and the drive cannot know that the TDMA has been allocated to the data area until the drive accesses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in the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 정보 영역(AIA)을 별도로 한번 기록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마련한다. 접근 정보 영역에는 접근 정보가 기록된다. 접근 정보는 임시관리정보와 같은 업데이트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IA onc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recording disc. Access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e access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location where update information such as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또한, 업데이트 정보라 함은 디스크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된 초기에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인식해야 하는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업데이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업데이트 영역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표적인 업데이트 정보로는 임시관리정보가 있고, 대표적인 업데이트 영역으로는 TDMA가 있다. In addition, updat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should recognize for the use of the recording disk once at the beginning when the disc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The area in which the update information is recorded is called an update area. In this embodiment, the representative update information includes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typical update area includes TDMA.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 정보 영역은 리드-인 영역 또는 안쪽 영역의 소정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접근 정보의 양 및 업데이트 횟수는 최소화하여 접근 정보 영역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근 정보 영역의 크기가 커지거나 다수의 접근 정보 영역을 할당한다면 접근 정보를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eferab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ead-in area or the inner are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size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by minimizing the amount of updat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update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This is because when the size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becomes large or when a plurality of access information areas are allocated, the time required for obtaining access information becomes long.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AI: Access Informa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접근 정보는 업데이트 정보로서 임시관리정보(TDMS), 업데이트 영역으로서 TDMA 및 도 3에 도시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에 있어서의 접근 정보를 나타낸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I)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information shown in FIG. 6 shows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TDMS) as update information, TDMA as update area, and access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dual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shown in FIG.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접근 정보의 헤더에는 접근 정보임을 나타내는 AI identifier와 몇 번째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인지를 나타내는 AI Update count를 포함한다. Referring back to FIG. 6, the header of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an AI identifier indicating access information and an AI update count indicating how many updated access information is present.

접근 정보는 디스크에 마련된 TDMA의 전체 개수,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를 알려주는 정보 및 각각의 TDM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각 TDMA의 위치 정보는 각 TDMA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 정보, 시작 또는 끝 위치와 크기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접근 정보에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TDMAs provided on the disk, information indicating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DM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DMA may be represented by start and end location information, start or end loc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each TDMA. As described above,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includes a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he like, so that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면, 드라이브는 이미 위치를 알고 있는 접근 정보 영역에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음으로써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를 알 수 있고 최종적인 TDDS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된 최종적인 접근 정보를 얻기 위한 억세스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근 정보 영역에는 연속기록모드에 따라 접근 정보들을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 회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ce a recording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into the drive, the drive can access the access information area of which the location is already known and finally obtain the updated access information so that the final TDDS can be known and the final TDDS You can get inform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access time for obtaining the final acces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t is desirable to continuously record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ccording to the continuous recording mode and to minimize the number of update of the access inform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 회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가 바뀔 때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접근 정보에 디스크에 할당된 TDMA의 개수 정보 및 각 TDM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새로운 TDMA가 할당되거나 TDMA의 위치 정보가 바뀔 때에도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기록된 접근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동일한 접근 정보를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number of updates of access information, the access information is updated when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is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information of the TDMAs allocated to the disk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DMA, the access information is updated even when a new TDMA is allocated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DMA is chang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repeatedly record the same access information in case an error occurs in the recorded access information.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구체적인 주소 정보가 접근 정보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업데이트 해야 할 접근 정보는 이전 접근 정보의 다음부터 연속해서 기록되므로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는 트랙 점프와 같은 방법을 동원하여 기록된 영역과 기록되지 않은 영역의 경계를 인식함으로써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RF 신호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RF 신호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Even if the specific address information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is not inclu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the access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continuously after the previous access information, so that the recording device and / or the playback device record using a method such as track jump. By recognizing the boundary between the recorded and unrecorded areas, it is possible to quickly find the location where the final TDDS is record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n RF signal obtained from an area where data is recorded and an RF signal obtained from an area where no data is record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모든 TDMA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 정보는 TDMA의 첫 번째 클러스터의 첫 번째 물리 섹터의 주소 및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 번째 물리 섹터의 주소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record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ll TDMAs and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However,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may be represented by the address of the first physical sector of the first cluster and the first physical sector of the last cluster of the TDM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nal TDDS may indic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rded TDMA using various methods.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TDDS의 데이터 구조와 동일하다. 즉, 별도의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지 않고 TDDS를 접근 정보로서 이용한다. TDDS를 접근 정보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필드를 TDDS에 추가해야 한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data structure of the TDDS. In other words, TDDS is used as access information without defin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In order to use the TDDS as access information, as shown in FIG. 8, an information field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must be added to the TDDS.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TDDS의 데이터 구조를 그대로 이용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와 달리, TDDS에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래그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를 나타내는 b0 내지 b4의 5개 비트와 보류된 b5 내지 b7의 3개 비트의 총 8개 비트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b0 내지 b4가 "00001b"이면 TDMA 1에, "00010b"이면 TDMA 2에,"00100b"이면 TDMA 3에,"01000b"이면 TDMA 4에 그리고 "10000b"이면 TDMA 5에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data structure of the TDDS as it is,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However, unlike the third embodiment, the TDDS further includes a flag indicating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In this embodiment, the flag consists of a total of eight bits of five bits of b0 to b4 indicating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and three bits of reserved b5 to b7. For example, the final TDDS is written to TDMA 1 if b0 to b4 is "00001b", to TDMA 2 if "00010b", to TDMA 3 if "00100b", to TDMA 4 if "01000b", and to TDMA 5 if "10000b". It can be defined as indicating that it is.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개의 TDMA는 데이터 기록 방향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복수개인 TDMA를 하나의 연속적인 TDMA로 보고 복수개의 가상적인 TDMA로 분할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DMAs provided on the recording disc on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used continuously based on the data recording direction. Therefore, a plurality of physical TDMAs can be regarded as one continuous TDMA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rtual TDMAs.

도 10은 전체 TDMA가 다수의 가상적인 TDMA로 분할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TDMA 1, TDMA 2, TDMA 3, TDMA 4 및 TDMA 5의 순서대로 사용되고, TDMA 1과 TDMA 2는 2048개의 클러스터, TDMA 3과 TDMA 4는 4096개의 클러스터 그리고 TDMA 5는 8192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된다면 전체 TDMA는 20480개의 클러스터로 이루어진다. 만약, 512개의 클러스터 단위, 1024 클러스터 단위 및 2048 클러스터 단위로 전체 TDMA를 각각 분할하면 40개, 20개 및 10개의 가상적인 TDMA로 각각 나눌 수 있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entire TDM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rtual TDMA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oub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shown in FIG. 3, TDMA 1, TDMA 2, TDMA 3, TDMA 4, and TDMA 5 are used in the order of TDMA 1 and TDMA 2 in 2048 clusters, TDMA 3, and TDMA 4 If TDMA consists of 4096 clusters and TDMA 5 consists of 8192 clusters, then the total TDMA consists of 20480 clusters. If the total TDMA is divided into 512 cluster units, 1024 cluster units, and 2048 cluster units, the TDMAs may be divided into 40, 20, and 10 virtual TDMAs, respectively.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할당된 TDMA 1 내지 TDMA 5 중 TDMA 3의 크기가 매우 크고, TDMA 3에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었다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접근 정보로부터 TDMA 3에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었음을 알게되고, TDMA 3를 탐색하여 최종적인 TDDS를 얻는다. 그러나, TDMA 3의 영역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최종적인 TDDS를 얻기 위해 TDMA 3를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적인 TDMA 개념을 이용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상적 TDMA의 크기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If the size of TDMA 3 among the TDMA 1 to TDMA 5 allocated to the dual recording layer once is very large and the final TDDS is recorded in the TDMA 3,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obtains the final TDDS from the access information. Knowing that it has been written, the TDMA 3 is searched to get the final TDD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region of TDMA 3 is large, a problem may occur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search for TDMA 3 to obtain a final TDDS.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a virtual TDMA concept as described above is used. As shown in FIG. 10, the size of each virtual TDMA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전체 TDMA를 가상적인 복수의 TDMA로 분할한 후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는 가상적인 TDMA가 바뀔 때만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접근 정보에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가상적인 TDMA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가상적인 TDMA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divides the entire TDMA into a plurality of virtual TDMAs and updates the access information only when the virtual TDMA to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is changed. The data structure of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use the data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virtual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TDMA.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기록 장치는 기록/독출부(1), 제어부(2) 및 메모리부(3)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1)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독출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이 마련된 한번 기록 디스크이다.Referring to FIG. 11, the recording apparatus includes a recording / reading unit 1, a control unit 2, and a memory unit 3.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records data on the recording disc 100 once, and reads back the recorded data to verify whether or not a defect exists in the recorded data. The write once disc 100 is a write once disc provided with an access informa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결함 관리를 위해 제어부(2)는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기록된 데 이터를 검증함으로써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기록 후 검증 (verify after write) 방식」에 따른다. 제어부(2)는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검증하여 결함 영역이 어디에 발생하였는지 검사하고, 검사 결과 밝혀진 결함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결함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결함 정보를 메모리부(3)에 저장해두었다가 소정 분량 모아서 임시 결함 정보로서 디스크(100)에 마련된 업데이트 영역, 즉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더 기록한다.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동안 기록 후 검증 작업은 적어도 1 회, 통상 복수 회 수행된다. 기록 후 검증 작업의 수행 결과 얻어진 결함 정보는 메모리부(3)에 임시 결함 정보로서 일시 저장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되면 제어부(2)는 메모리부(3)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기록/독출부(1)로 제공하고 이들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할 것을 명령한다.For the defect management, the controller 2 records data in predetermined units and then verifies the "verify after write method" in which the defective portion is found by verifying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 unit 2 records user data in units of one recording operation, and then verifies by checking where a defect area occurs, generates defect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defect area is foun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and then stores the generated defect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which is stored in (3) and collec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s recorded in the update area provided on the disk 100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hat is,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and the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added to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Record it. The verification operation after recording during one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least once, usually a plurality of times. The defect information obtain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verification operation after recording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2 read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nd provides it to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and records the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Command

디스크(100)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지 않을 경우(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제어부(2)는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해둔 임시 결함 정보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If the data can no longer be recorded on the disk 100 or if the user no longer wants to record the data in the data area (finalizing), the control unit 2 records a temporary defect recorded in the temporary disk management area. The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in the disc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제어부(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를 제어한다. 즉, 디스크(100)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 즉 임시 결함 정보 또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의 필요성이 발생하면 디스크(100)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to record data in the dat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the disk 100, namely,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or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when the need for updating of access information occurs, the disk is recorded.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is controlled to record the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the 100.

이상, 설명한 기록 장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기록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acces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recor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of 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면,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소정 사용자 데이터를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기록한다(제71 단계).Once the recording disk 100 is loaded into the recording apparatus, the control section 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to record the predetermined user data on the recording disk 100 once (step 71).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동안 적어도 1회 수행되는 "기록 후 검증" 작업의 수행 결과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73 단계). 본 실시예에서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는 임시 관리 정보를 의미한다. 임시 관리 정보가 발생하면 메모리부(3)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되면 제어부(2)는 메모리부(3)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기록/독출부(1)로 제공하고, 기록/독출부(1)는 이들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하나에 기록한다(제75 단계). 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영역은 TDMA를 의미한다. In operation 73, it is determined whether information to be updated has occurred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verify after recording" operation performed at least once during one recording opera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to be updated means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When temporary manage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nd when the recor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 read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 and provides it to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records this information in one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the disc 100 (step 75). The updat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TDMA.

제어부(2)는 다른 레코딩 오퍼레이션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제77 단계), 다른 레코딩 오퍼레이션 명령이 있으면 상기 제71 단계 내지 제75 단계를 반복한다. The controller 2 determines whether there are other recording operation commands (step 77), and repeats steps 71 to 75 if there are other recording operation commands.                     

그러나, 제어부(2)는 다른 레코딩 오퍼레이션 명령이 없으면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79 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인 TDMS, 특히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는 TDMA가 바뀔 때, 새로운 TDMA가 할당될 때 또는 기존 TDMA의 위치 정보가 바뀔 때에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However, if there is no other recording operation command, the controller 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need to update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79). In this embodiment, the access information is updated when the final TDMS, especially when the TDMA in which the final TDDS is recorded, is changed, when a new TDMA is allocated, or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xisting TDMA is changed.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제81 단계). 기록된 접근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동일한 접근 정보를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1 to provide 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area on the recording disc 100 that provides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Step 81). It is preferable to repeatedly record the same access information in case an error occurs in the recorded access informa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TDMS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나타내는 접근 정보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면, 그 한번 기록 디스크가 다시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될 때, 최종적인 TDDS 정보에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he final TDMS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of the recording disc once, when the recording disc is loaded again into the recording apparatus or the reproducing apparatus, the final TDDS information is added to the final TDDS information. More quickly and easily.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가 기록된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재생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 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재생 장치이므로 기록/독출부(1) 대신 독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가 기록된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로딩되면, 재생 장치는 DMA를 억세스하여 DMA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로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최종화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최종화 되지 않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에 접근하여 최종적인 접근 정보를 얻는다. 최종적인 접근 정보로부터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최종적인 TDDS 정보가 기록된 TDMA 영역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 및 그 기록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the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recording disc 100 once including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record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 However, since it is a reproducing apparatus, it includes a reading section instead of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In the re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ce the recording disc 100 including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ac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is loaded, the reproduction apparatus accesses the DMA onc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ata is recorded in the DMA. It is determined whether (100) has been finalized. If the recording disc 100 has not been finalized once,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cessed to obtain final access information. From the final access information, the recording device or the reproduction device recognizes the TDMA area in which the final TDDS information is record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operate the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recording disc 100 and the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You will know.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초기화되지 않은 공 디스크이라면 접근 정보 영역에는 데이터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는다. 기록 장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초기화시, 접근 정보 영역의 첫 번째 기록 클러스터에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로 최초 접근 정보가 기록된다. Once the recording disk 100 is a blank disk which has not been initialized, no data is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t all. The recording apparatus once performs initialization for use of the recording disk 100. Once the recording disk 100 is initialized, the initial access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data structur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recording cluster of the access information area.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위치에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 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업데이트 영역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cess time for reading the updated information can be shortened more in the case of a recording disc once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updated and recorded in a new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pdate areas for recording the updat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 of the recording disc once, the recording device or the reproduction device quickly selects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Can be easily and easily determined.

Claims (58)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In a one-time recording disc having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및A plurality of update areas i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recorded; And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area in which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의 개수 또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The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a number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or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region includes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each update reg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includes a start position of each update area and a size of the are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끝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includes an end position of each update area and a size of the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access information is updated only when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updated information is finally recorded is chang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근 정보는 새로운 업데이트 영역이 추가되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said access information is updated when a new update area is add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근 정보는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access information is update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is chang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access information is repeatedly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 plurality of tim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access information is flag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are physical are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are areas obtained by logically dividing a plurality of physical update area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wherein the update area is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크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isc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including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or the lead-out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크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각 기록층은 안쪽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안쪽 영역들 또는 바깥 쪽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The disc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c, each recording layer comprising an inner area, a data area and an outer area, and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inner areas or outer areas. .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writing data to a recording disc once,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Recor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updated in one of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in the disc; And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ording access information indicative of an update area in which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n an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disk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의 개수 또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or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region includes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each update regio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includes a start position of each update area and a size of the area.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끝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includes an end position of each update area and a size of the area.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The access information recording step,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cording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nged update area only when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updated information is finally recorded is changed.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The access information recording step, 상기 디스크에 새로운 업데이트 영역이 추가되면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의 개수 또는 추가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new update area is added to the disc,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changed update areas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dded update area.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The access information recording step,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s changed,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d location informat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n the recording of the access informatio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peatedly recorded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 plurality of time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s flag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is a physical reg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are logically divided regions of the plurality of physical update region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the update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디스크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aid disc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comprising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wherein said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said lead-in area or lead-out area.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디스크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각 기록층은 안쪽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안쪽 영역들 또는 바깥 쪽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Said disc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c, each recording layer comprising an inner area, a data area and an outer area, said access information area being provided in at least one of said inner areas or outer areas. .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In a data recording apparatus on a write once disc,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A recording / reading unit which records or reads information on the disc; And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provided on the disc, the access information being recorded in one of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on the disk, and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is record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in an area.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의 개수 또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or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region.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region includes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each update region.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may include a start position of each update area and a size of the area.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끝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update area includes an end position of each update area and a size of the area.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nged update area only when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updated information is finally recorded is changed.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크에 새로운 업데이트 영역이 추가되면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의 개수 또는 추가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changed update regions 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dded update region when a new update region is added to the disc.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nged position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is changed.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peatedly record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a plurality of times.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access information is flag information indicating an update area in which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is a physical region.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are regions obtained by logically dividing a plurality of physical update regions.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date area is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디스크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disc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including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or the lead-out area.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디스크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각 기록층은 안쪽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안쪽 영역들 또는 바깥 쪽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disc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c, each recording layer comprising an inner area, a data area and an outer area, and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inner areas or outer areas. . 한번 기록 디스크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playing a recording disc once,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는 단계; 및Obtaining finally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 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on the recording disc; And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obtaining, from the access information, information on an update area in which information finally updated is recorded among a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on the disc. 제46항에 있어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update area in which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제46항에 있어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an update area in which the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제4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8, 상기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cludes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the update region. 제46항에 있어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is a physical region. 제46항에 있어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are logically divided regions of the plurality of physical update regions. 제46항에 있어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the update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In a reproduction device of a write once disc,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 및A reading unit which reads the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disc once; And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도록 상기 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 update in which the reader is controlled to obtain finally updated access information in at least one access information area provided on the recording disc, and wherein the updated information is finally recorded among the plurality of update areas provided on the disc from the access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area. 제5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3,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an update area in which the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제5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pdate area in which the finally updated information is recorded includes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the update region. 제5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rein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is a physical region. 제5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plurality of update regions are regions obtained by logically dividing a plurality of physical update regions. 제5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be updated i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date area is 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KR1020040006471A 2003-12-24 2004-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 KR100694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6122537/28A RU2337416C2 (en) 2003-12-24 2004-12-21 Device for data recording and/or playback to/from write-once disc, and disc for this device
CA2551548A CA2551548C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CA2767483A CA2767483C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CN2007101046110A CN101071608B (en) 2003-12-24 2004-12-21 Method for distributing multiple partition on write-once disc
PCT/KR2004/003378 WO2005062306A1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JP2006546818A JP4842837B2 (en) 2003-12-24 2004-12-21 Data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write-once disc, data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and write-once disc
BRPI0418139-5A BRPI0418139B1 (en) 2003-12-24 2004-12-21 Disc that allows recording only once, and data recording and playback equipment of a disc that allows recording only once
EP04808509.6A EP1697941B1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a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SG200809524-2A SG149060A1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CN2004800386783A CN1898739B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TW093139969A TWI307497B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MYPI20045312A MY147127A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MYPI2012001439A MY156152A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11/018,225 US7551532B2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11/773,137 US7539102B2 (en) 2003-12-24 2007-07-03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HK08102858.9A HK1116581A1 (en) 2003-12-24 2007-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HK07107466.3A HK1103155A1 (en) 2003-12-24 2007-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HK08103435.9A HK1113435A1 (en) 2003-12-24 2007-07-12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RU2008106216/28A RU2390057C2 (en) 2003-12-24 2008-02-18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or playing back data onto/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o this end
RU2008119130/28A RU2467408C2 (en) 2003-12-24 2008-05-14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to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US12/362,835 US7916587B2 (en) 2003-12-24 2009-01-30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13/039,008 US8144554B2 (en) 2003-12-24 2011-03-0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6223 2003-12-24
KR1020030096223 200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43A KR20050065243A (en) 2005-06-29
KR100694046B1 true KR100694046B1 (en) 2007-03-12

Family

ID=3725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471A KR100694046B1 (en) 2003-12-24 2004-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4842837B2 (en)
KR (1) KR100694046B1 (en)
CN (3) CN101071608B (en)
CA (1) CA2767483C (en)
HK (2) HK1113435A1 (en)
MY (2) MY156152A (en)
RU (2) RU2390057C2 (en)
SG (1) SG149060A1 (en)
TW (1) TWI30749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861B2 (en) * 2007-05-11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Playback device and management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442A (en) * 1992-07-02 1994-01-28 Toshiba Corp Fault recovery method for magneto-optical disk
JP2003317387A (en) * 2002-04-16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to recording medium
JP2003333522A (en) * 2002-05-17 2003-11-21 Victor Co Of Japan Ltd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280A (en) * 1987-08-12 1989-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s for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for optical card
JPS6473559A (en) * 1987-09-14 1989-03-17 Pioneer Electronic Corp Controller for automatic changer for writable disk
JP2597451B2 (en) * 1993-02-19 1997-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DE69429891T2 (en) * 1993-06-08 2002-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c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KR100451718B1 (en) * 1999-01-13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managing defect area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playback of it
MY118342A (en) * 1999-02-01 2004-10-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RU2208844C2 (en) * 1999-02-10 2003-07-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Record medium incorporating backup domain for controlling faults and fault control data; backup domain allocation process ,and fault control process
JP2002008320A (en) * 2000-06-22 2002-01-11 Kenwood Corp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magneto-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agneto-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7355934B2 (en) * 2003-01-27 2008-04-08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442A (en) * 1992-07-02 1994-01-28 Toshiba Corp Fault recovery method for magneto-optical disk
JP2003317387A (en) * 2002-04-16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onto recording medium
JP2003333522A (en) * 2002-05-17 2003-11-21 Victor Co Of Japan Ltd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1608B (en) 2011-04-13
CN1898739B (en) 2010-05-12
SG149060A1 (en) 2009-01-29
CN1898739A (en) 2007-01-17
CN101071608A (en) 2007-11-14
TW200522017A (en) 2005-07-01
RU2008119130A (en) 2009-11-20
CA2767483C (en) 2015-06-23
CN100587830C (en) 2010-02-03
HK1113435A1 (en) 2008-10-03
MY156152A (en) 2016-01-15
RU2008106216A (en) 2009-08-27
TWI307497B (en) 2009-03-11
CN101059985A (en) 2007-10-24
RU2467408C2 (en) 2012-11-20
KR20050065243A (en) 2005-06-29
CA2767483A1 (en) 2005-07-07
JP2007517352A (en) 2007-06-28
MY147127A (en) 2012-10-31
JP4842837B2 (en) 2011-12-21
HK1103155A1 (en) 2007-12-14
RU2390057C2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6614B2 (en) Method, apparatus and disk for managing disk defects
JP4870554B2 (en) Write-once disc capable of data area management, data area management method of write-once disc,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7916587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JP5047631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for write-once disc, method thereof, and write-once disc
JP4643662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on write-once disc, method thereof, data reproducing device, method thereof, and write-once disc
KR1006940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
JP5047823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for write-once disc, method thereof, and write-once disc
KR100677641B1 (en) Apparatus for data recording, apparatus for data reproducing from write-once disc
KR100677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Drive ? DIsc Information and disc thereof
KR100936026B1 (en) Disc capable of managing spare area for defect management, and the method thereof, and reproducing method
EP1814114A1 (en) Write once disc, method of managing a data area of a write once disc,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