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005B1 -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005B1
KR100692005B1 KR1020040080751A KR20040080751A KR100692005B1 KR 100692005 B1 KR100692005 B1 KR 100692005B1 KR 1020040080751 A KR1020040080751 A KR 1020040080751A KR 20040080751 A KR20040080751 A KR 20040080751A KR 100692005 B1 KR100692005 B1 KR 10069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picture
input
data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1768A (en
Inventor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005B1/en
Priority to CNA2005100662794A priority patent/CN1758672A/en
Publication of KR2006003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별도의 사진 및 이에 해당하는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메모리에서 불러온 별도의 사진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펜을 통하여 기록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부와,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와 터치 스크린 입력부에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각기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하여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진 데이터 또는 메모 데이터의 표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메라에서 찍은 각각의 사진에 대한 정보를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의 필기 형식의 문자 또는 그림으로 직접 메모를 기록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진을 찍은 장소나 특정한 사연 등을 별도의 노트가 필요없이 화면상에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주위소음이 심하거나 사용자가 음성녹음을 하기에 충분한 환경이 아닌 경우에도 메모 입력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for photographing a camera, a memory for storing picture data or a separate picture and a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and a separate picture loaded from the picture data or memory taken from the camera.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ouch scree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memo data recorded through the pen, the phot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emo data input to the touch screen input unit are stored in different storage spaces for cross-referenced index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isplay switching of photo data or memo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refore, by recording the memo directly into the user's handwritten form of characters or pictures on the touch screen, information about each picture taken by the camera is input. It is easy to input to, and can take advantage of memo input function even when the ambient noise is heavy or the environment is not enough for the user to record voice.

이동통신, 사진, 메모, 촬영, 펜, 필기, 터치 스크린, 카메라Telecommunications, photography, memo, shooting, pen, handwriting, touch screen, camera

Description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emo input function by pic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과정 및 메모 표시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mo input process and a memo display process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카메라 11 : 영상처리부10: camera 11: image processing unit

12 : 오디오 처리부 13 : 터치 스크린 입력부12: audio processor 13: touch screen input unit

14 : 표시부 15 : 메모리14: display unit 15: memory

16 : 제어부 17 : 키입력부16 control unit 17 key input unit

18 : 송신부 19 : 수신부18: transmitting unit 19: receiving unit

20 : 듀플렉서 SPK : 스피커20: Duplexer SPK: Speaker

MIC : 마이크 ANT : 안테나MIC: Microphone ANT: Antenna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서 찍은 각각의 사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필기 형식의 메모로 입력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hoto-specific memo input func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each picture taken by a camera as a memo of a user's handwriting, and its control. It is about a method.

최근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휴대용 전화기 및 PDA 등을 포함한다.)에는 영상 처리 기능이 부가되어 복합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추세이다. In recent years,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mobile phones and PDAs) have added image processing functions to have a complex function.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CCD나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The camera may use a CCD or a CMOS sensor, and the display unit may use an LCD.

또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지화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the camera device is downsized, the device for capturing the im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downsized.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capture a video screen and display the moving picture and the still picture, and may also transmit the captured screen.

상기 카메라를 부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영상화면을 촬영, 저장, 관리 및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메모리에 저장시 IMG○○○.jpg 또는 DSC○○○.jpg와 같이 찍은 순서대로 ○○○이라는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자동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performs a function of capturing, storing, managing, and transmitting a video screen, wherein the pictures taken with the camera are stored in memory, such as IMG ○○○ .jpg or DSC ○○○ .jpg. It is common to have a serial number of ○○○ in the order taken together and automatically save i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진을 찍은 장소나 특정한 사연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기억력에 의존하거나 별도의 노트에 메모를 할 수 밖에 없다. 최근 일부 카메라에는 음성메모기능이 있어서 사진과 함께 음성을 실어 사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긴 하지만, 이 또한 주위소음이 심하거나 사용자가 음성녹음을 하기에 충분한 환경이 아닌 경우(예: 감기, 언어장애등)에는 이 기능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o rely on a user's memory or take notes in a separate note in order to input a place where a picture is taken or a specific story. Recently, some cameras have a voice memo function, which allows you to enter information about the picture by carrying a voice along with the picture, but this also means that the ambient noise is not enough or the environment is not sufficient for the user to record the voice (eg, cold, Language impairment, etc.) had a problem that can not utilize this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에서 찍은 각각의 사진에 대한 정보를 터치스크린상에 사용자의 필기 형식의 문자 또는 그림으로 직접 메모를 입력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nputs a memo for each picture to directly input a memo in the form of a character or a picture of the user's handwriting on the touch screen for information on each picture taken by the camer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별도의 사진 및 이에 해당하는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리에서 불러온 별도의 사진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펜을 통하여 기록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부와,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와 터치 스크린 입력부에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각기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하여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진 데이터 또는 메모 데이터의 표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icture-specific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mory for storing a camera for taking a picture, the picture data or a separat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and the corresponding memo data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icture data taken by the camera or a separate picture loaded from the memory, a touch scree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memo data recorded through a pen, and a touch with the pictur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toring memo data input to the screen input unit in different storage spaces to give cross-referenced indexes and controlling display switching of photo data or memo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 위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상에 표시된 필기 메모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화면과 중첩되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ouch screen input unit is formed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handwritten memo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is overlapped with the pictur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표시부에 촬영된 사진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메모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동작상태를 메모 입력 모드로 전환시키고, 터치 스크린에 기록된 사용자의 메모를 입력받는 단계;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와 터치 스크린 입력부에 입력된 메모 데이터에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를 부여하고, 각기 다른 메모리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를 구비한 메모 입력 과정과;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표시된 리스트중 특정 사진을 선택하여 해당 사진이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단계; 메모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메모리를 검색하여 표시된 사진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메모 표시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lecting a memo input mode in a state in which a picture screen photograph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Switching an operation state to a memo input mode and receiving a memo of a user recorded on a touch screen; A memo input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assigning a cross-referenced index to the phot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emo data input to the touch screen input unit, and storing the indexes in the storage spaces of different memories; A user selecting a play mode; Selecting a specific picture from the displayed list to display the picture on the screen; When the memo input mode is selected, the memo display process includes a step of searching the memory to search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picture and displaying the memo data.

상기 메모 표시 과정중, 상기 표시된 사진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메모 입력 과정으로 전환되도록 한다.If the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picture is not retrieved during the memo display process, the memo input process is switched.

삭제dele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10), 영상처리부(11), 오디오 처리부 (12), 터치 스크린 입력부(13), 표시부(14), 메모리(15), 제어부(16), 키입력부(17), 송신부(18), 수신부(19), 듀플렉서(20), 스피커(SPK), 마이크(MIC), 안테나(ANT)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 an image processing unit 11, an audio processing unit 12, a touch screen input unit 13, a display unit 14, a memory 15, a controller 16, a key input unit ( 17), the transmitter 18, the receiver 19, the duplexer 20, a speaker (SPK), a microphone (MIC), an antenna (ANT).

제어부(16)는 문서를 인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또한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사진 및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6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ognizing a document. The memory 15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lso stores a photo and memo data generated while the program is being executed.

카메라(10)는 사진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는 초점 및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로써, 촬영되는 영상 화면의 화질을 높일 수 있다.The camera 10 performs a function of taking a picture. The camera is a camera that can adjust the focus and distance,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aptured video screen.

영상처리부(11)는 상기 카메라(1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 화면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및 압축 부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or 11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nd compressing and encoding an image screen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10 into digital data.

오디오처리부(12)는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19)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 송출한다.The audio processor 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to a radio signal, and demodulates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9 to generate a speaker SPK. The audio signal is sent to the camera.

터치 스크린 입력부(13)는 표시수단과 함께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 모듈(touch screen module)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사용하여 원하는 필기 형식의 문자를 입력하면서, 바로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touch screen module together with the display means.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may directly display a character on a screen while inputting a desired writing type character using a stylus pen.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된 사진에 메모를 입력하기 위한 메모 입력 모드 선택키, 저장키, 저장된 메모를 불러 오기 위한 재생 모드 선택키, 수정키, 삭제키 및 종료키 등을 구비한다.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may include a memo input mode selection key for inputting a memo to a picture taken, a storage key, a playback mode selection key for retrieving a stored memo, a modification key, a delete key,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d key.

저장키는 입력된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키이고, 수정키는 저장된 메모를 불러와서 수정하기 위한 키이며, 삭제키는 선택된 사진에 대응하여 저장된 메모를 삭제하는 키이다. 종료키는 현재의 동작을 종료하는 키이다.The storage key is a key for storing the input memo, the modification key is a key for retrieving and modifying the stored memo, and the delete key is a key for deleting the stored memo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icture. The end key is a key for ending the current operation.

상기의 기능은 하나의 키에 중복해기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들면, 1번째로 메모 입력 모드 선택키를 누르면 메모 입력 모드가 선택되고, 펜을 사용하여 원하는 필기 형식의 문자를 입력한 후, 2번째로 메모 입력 모드 선택키를 누르면 입력된 메모를 저장시킴으로써, 저장키의 기능도 겸할 수 있다.The above function may be repeatedly input to one key. For example, the first time the memo input mode selection key is pressed, the memo input mode is selected, the pen enters the desired handwriting type character, and the second memo input mode selection key is pressed to save the entered memo. By doing so, it also functions as a storage key.

키입력부(17)는 일반적인 전화 통신을 위한 숫자키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예로서, 상기 키입력부(17)에 위치될 수 있는 기능키들은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초점 및 거리 조정키, 상기 카메라(10)에서 출력되는 프리뷰 화면을 저장하거나 표시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7 includes numeric keys for general telephone communic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function keys which may be located in the key input unit 17 are focus and distance adjusting key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10 and keys for storing or displaying the preview screen output from the camera 10. It can be configured as.

표시부(14)는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되는 사진 또는 메모리에서 불러온 사진을 화면으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 displays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 or a picture loaded from a memory on a screen.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되고 있는 사진 화면을 저장할 때에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에 사용자가 필기 형식으로 입력한 문자를 함께 메모리(15)에 저장한다.When the controller 16 stores the pictur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the controller 16 stores the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in the writing format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together in the memory 15.

이때, 상기 사진 데이터와 상기 메모 데이터는 각각 서로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되며,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hoto data and the memo data are stored in different storage spaces, and cross-referenced indexes are preferably given.

한편, 듀플렉서(1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부 (20)로부터의 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되도록 하고, 안테나(ANT)를 통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부(12)로 수신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duplexer 1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so that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20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and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2.

수신부(12)는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되며, 듀플렉서(10)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송신부(11)는 오디오부(13)로부터의 변조된 무선신호를 듀플렉서(10)로 송신한다.The receiver 1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4 and receives a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uplexer 10. The transmitter 11 transmits the modulated radio signal from the audio unit 13 to the duplexer 10.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과정 및 메모 표시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mo input process and a memo display process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is way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메모 입력 과정으로서, 상기 표시부(14)에 촬영된 사진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촬영한 사진에 메모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상의 메뉴 항목중 메모 입력 모드 선택키를 선택한다(S110~S120).As shown, first, as a memo input process, in a state in which the photographed pictur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the user inputs a memo from a menu item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to input a memo to the photographed picture. Select the input mode selection key (S110 ~ S120).

제어부(16)는 동작상태를 메모 입력 모드로 전환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상에 펜을 이용하여 사진의 설명이나 기타 필요한 내용의 메모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과 동시에 화면상에 표시된다(S130).The controller 16 switches the operation state to the memo input mode, allows the user to input a memo of a photograph or other necessary contents by using a pen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and simultaneously inputs a memo on the screen. It is displayed (S130).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상에 입력 표시된 필기 메모는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된 사진 화면과 중첩되어 함께 표시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handwritten memo input an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is preferably overlapped with the photo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이후, 사용자가 메모 입력 모드 선택키를 다시한번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 (16)는 메모 입력 과정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S140),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되고 있는 사진 화면과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에 사용자가 필기 형식으로 입력한 문자를 각각의 메모리(15)에 저장한다(S150~S160).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the memo input mode selection key again, the controller 16 determines that the memo input process is finished (S140), and displays the picture screen and the touch screen inpu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in the handwriting format at 13 are stored in the respective memory 15 (S150 to S160).

여기서,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에 기록된 메모 데이터는 각각 서로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되며,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phot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and the memo data recorded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are stored in different storage spaces, and cross-referenced indexes are preferably provided.

또한, 메모 데이터의 파일명은 촬영한 사진 데이터의 파일명과 동일하게 부여되고 이때, 상기 필기 메모 내용은 그림형식으로 저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e name of the memo data is given the same as the file name of the photographed picture data, and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handwritten memo is more preferably stored in a picture format.

다음으로 메모 표시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메모리(15)에 저장된 사진을 재생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상의 메뉴항목중 재생 모드 선택키를 선택한다(S210).Next, referring to the memo display process, the user selects a play mode selection key among menu items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to reproduce the picture stored in the memory 15 (S210).

이때, 표시부(14)에는 저장된 사진의 리스트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표시된 리스트중 특정 사진을 선택하면, 제어부(16)는 해당 사진을 메모리(15)로부터 불러와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S220).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4 displays a list of stored pictures,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icture from the displayed list, the controller 16 retrieves the corresponding picture from the memory 15 and displays the picture on the screen (S220).

이후,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기록되어 있는 메모를 불러오기 위하여 메모 입력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6)는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전에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메모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230~S240).Subsequently, when a memo input key is selected to call up a memo previously record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6 corresponds to the pictur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and the memo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5. Search whether the data exists (S230 ~ S240).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이전에 기록되어 있는 메모 데이터가 있다면 상기 제어부(16)는 그 내용을 불러와서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13)에 표시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4)에 표시된 사진 화면과 중첩되어 함께 표시된다(S250).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if there is previously recorded memo data, the controller 16 retrieves the contents and displays the contents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13.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is overlapped with the pictur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 (S250).

한편, 상기 검색결과에 의하여, 이전에 기록되어 있는 메모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 입력 과정으로 전환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memo data previously recorded by the search result, it is switched to the memo input process as shown in FIG.

즉, 메모 입력 과정과 메모 표시 과정은 동일한 메모 입력 모드키로서 그 동작을 개시할 수 있으며, 메모가 기록되어 있는 상태이면 메모가 표시되면서 수정할 수 있는 상태 전환되고, 메모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신규로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memo input process and the memo display process can be started as the same memo input mode key. If the memo is recorded, the memo is displayed and the state can be modified and the memo is not recorded.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process to transition to a new inputable st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a variety of variations will be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에서 찍은 각각의 사진에 대한 정보를 터치스크린상에 사용자의 필기 형식의 문자 또는 그림으로 직접 메모를 기록하여 입력함으로써, 사진을 찍은 장소나 특정한 사연 등을 별도의 노트가 필요없이 화면상에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주위소음이 심하거나 사용자가 음성녹음을 하기에 충분한 환경이 아닌 경우에도 메모 입력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nformation on each picture taken by the camera is directl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a text or picture in the form of a user's handwriting. By recording and entering a memo, you can easily input the place where a picture was taken or a specific story on the screen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note, even if the ambient noise is severe or the environment is not enough for the user to record a vo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tilize the input function.

Claims (7)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A camera for taking pictures;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별도의 사진 및 이에 해당하는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the picture data or the separate picture and the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리에서 불러온 별도의 사진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 picture data taken by the camera or a separate picture loaded from the memory; 펜을 통하여 기록되는 메모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입력부;A touch screen input unit for receiving memo data recorded through a pen and displaying the memo data;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에 입력된 메모 데이터를 각기 다른 저장 공간에 저장하여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진 데이터 또는 메모 데이터의 표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phot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emo data input to the touch screen input unit in different storage spaces to give a cross-referenced index, and to control display switching of the photo data or memo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 위에 형성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상에 표시된 필기 메모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화면과 중첩되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기.The touch screen input unit is formed on the display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written memo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put unit overlaps with the pictur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표시부에 촬영된 사진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메모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동작상태를 메모 입력 모드로 전환시키고, 터치 스크린에 기록된 사용자의 메모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와 상기 터치 스크린 입력부에 입력된 메모 데이터에 상호 참조 가능한 인덱스를 부여하고, 각기 다른 메모리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를 구비한 메모 입력 과정과; 사용자가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표시된 리스트중 특정 사진을 선택하여 해당 사진이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단계; 메모 입력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표시된 사진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메모 표시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Selecting a memo input mode while displaying a photographed picture screen on a display unit; Switching an operation state to a memo input mode and receiving a memo of a user recorded on a touch screen; A memo input process comprising assigning a cross-referenceable index to the photo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memo data input to the touch screen input unit, and storing the indexes in the storage spaces of different memories; A user selecting a play mode; Selecting a specific picture from the displayed list to display the picture on the screen; When a memo input mode is selected, a memo display process comprising a step of searching the memory to search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picture and displaying the memo data is displayed. Control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모 표시 과정중, 상기 표시된 사진에 대응하는 메모 데이터를 검색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메모 입력 과정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If the memo dat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picture is not retrieved during the memo display process, it is switched to the memo input process.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필기 메모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사진 화면과 중첩되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And a memo input function for each picture, wherein the handwritten memo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overlapping with the pictur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KR1020040080751A 2004-10-09 2004-10-09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92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751A KR100692005B1 (en) 2004-10-09 2004-10-09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5100662794A CN1758672A (en) 2004-10-09 2005-04-2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function for input memo according to picture and control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751A KR100692005B1 (en) 2004-10-09 2004-10-09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768A KR20060031768A (en) 2006-04-13
KR100692005B1 true KR100692005B1 (en) 2007-03-09

Family

ID=3670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751A KR100692005B1 (en) 2004-10-09 2004-10-09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2005B1 (en)
CN (1) CN1758672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55B1 (en) * 2009-06-22 2012-05-08 정종훈 Method for learning words by imaging object associated with word
KR101188421B1 (en) 2011-08-16 2012-10-08 정종훈 Portable apparatus for learning words by imaging object associated with word
WO2013059508A1 (en) * 2011-10-19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facilitate asynchronous communication
US9039659B2 (en) 2009-12-30 2015-05-26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393363B2 (en) 2009-09-02 2016-07-19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421321B2 (en) 2009-12-30 2016-08-23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518813B2 (en) 2009-12-30 2016-12-13 Medtronic Minimed, Inc. Sensing systems and methods
US9610405B2 (en) 2009-12-30 2017-04-04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943332B2 (en) 2009-09-02 2018-04-17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458B1 (en) * 2007-04-02 2008-02-0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handwritten message and the method of transmitting handwritten message using the same
KR101476653B1 (en) * 2008-09-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method
CN103905637A (en) * 2014-03-07 2014-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Memorandum ev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05701647A (en) * 2016-01-15 2016-06-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Memorandum file prompting method and device
CN109309757B (en) * 2018-08-24 2020-11-1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Memorandum reminding method and terminal
CN115705118A (en) * 2021-08-06 2023-02-17 荣耀终端有限公司 Car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955B1 (en) * 2009-06-22 2012-05-08 정종훈 Method for learning words by imaging object associated with word
US9393363B2 (en) 2009-09-02 2016-07-19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943332B2 (en) 2009-09-02 2018-04-17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039659B2 (en) 2009-12-30 2015-05-26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421321B2 (en) 2009-12-30 2016-08-23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518813B2 (en) 2009-12-30 2016-12-13 Medtronic Minimed, Inc. Sensing systems and methods
US9610405B2 (en) 2009-12-30 2017-04-04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188421B1 (en) 2011-08-16 2012-10-08 정종훈 Portable apparatus for learning words by imaging object associated with word
WO2013059508A1 (en) * 2011-10-19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facilitate asynchronou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768A (en) 2006-04-13
CN1758672A (en)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1765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KR100692005B1 (en) Mobile station having photograph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99470A1 (en) Photograph prediction including automatic photograph recording with autofocus and method
US201100395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KR20050020672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n image pickup function, and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00527820C (en) Video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US2007007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16061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using the imag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US7486821B2 (en)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s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mage input unit
CN101022528A (en)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and photograph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101946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ding sound annotation to picture and for highlighting on photos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evices
JP4618356B2 (e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US20060277266A1 (en) Wireless terminal having switching function for image attach mode and method thereof
JP4269153B2 (en) Information device and data display method
KR100703342B1 (en) Method for handl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428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using touch screen
KR1006058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division photograph using hand-held terminal
JP451580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628072B1 (en) Method for editing and transmitting a photo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JP4403542B2 (en) Portable terminal, directory management method, and directory management program
KR20050112998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saving function of image
KR20100018666A (en) Preview utiliz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and handheld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KR100601926B1 (en) Method for administering multimedia file in mobile phone
KR100639875B1 (en) Method for managing imag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KR10062432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and image data managemen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