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580B1 -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580B1
KR100690580B1 KR1020050052613A KR20050052613A KR100690580B1 KR 100690580 B1 KR100690580 B1 KR 100690580B1 KR 1020050052613 A KR1020050052613 A KR 1020050052613A KR 20050052613 A KR20050052613 A KR 20050052613A KR 100690580 B1 KR100690580 B1 KR 10069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tem
state
stor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32324A (en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580B1/en
Priority to US11/352,300 priority patent/US20060288365A1/en
Priority to CNB2006100937560A priority patent/CN100563313C/en
Publication of KR2006013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외부기기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저장동작을 조작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외부기기의 상태를 쉽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동작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112005032298047-pat0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capable of storing image signals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Requesting,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ate data regar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is selected; Receiving,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requested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data. Thus, when operating the storage operation, the user can easily and effectively grasp the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reby providing a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torage system that can perform the storage operation more simply and reliably.

Figure 112005032298047-pat00001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며,1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EPG정보화면의 TV가이드 예시도이며,2 is an example of a TV guide of the EPG information scree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예시도이며,3 is an exemplary view of an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키 입력 시에 표시되는 아이콘설명화면 및 상태데이터화면의 예시도이며,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con description screen and a status data screen displayed when an information key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5 and 6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복수의 외부기기 20 : 통신부10: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20: communication unit

25 : 감지부 30 : 디스플레이부25 detection unit 30 display unit

40 : 안테나 42 : 튜너40: antenna 42: tuner

45 : 영상신호처리부 50 : UI생성부45: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50: UI generation unit

60 : 메모리 70 : 사용자입력부60: memory 70: user input unit

80 : 제어부 100 : 영상처리장치80: control unit 100: imag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동작을 조작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외부기기의 상태를 쉽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동작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a user to easily and effectively grasp a stat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when operating a storag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more easily and reliably perform and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종래 영상의 저장방법은 저장기기에서 직접 저장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IEEE 1394 등의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처리장치(이후 설명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영상처리장치 인 티브이로 설명함)에 연결된 외부기기를 선택하여 저장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storing an image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storage function directly on a storage device. Recently, however, a method of selecting and stor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ost representativ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V) using a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IEEE 1394 may be used.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의 티브이(TV)방송의 경우, 채널 수의 비약적인 증가에 대응하여, 방송국에서 방송신호와 함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티브이는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상기 EPG정보를 추출하여 티브이 화면에 상기 EPG정보에 대응하는 EPG정보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재생 프로그램의 제목과 시작 및 종료시각과 같은 각종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ecently, in the case of digital TV broadcasting, in response to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channels, broadcasting stations provid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together with broadcast signals. Accordingly, the TV extracts the EPG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displays the EPG informatio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EPG information on the TV screen, so that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on various broadcast programs such as title and start and end time of the playback program. Can be obtained.

이에, EPG정보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티브이를 이용하는 종래의 영상저장방법은, EPG정보화면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나 향후 방송될 프로그램을 선택 하고, 연결된 외부기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외부기기에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영상을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Thus, in the conventional video storage method using a TV that can display the EPG information screen, the program currently being broadcast or the program to be broadcasted in the EPG information screen is selected, and one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s is selected to select the external device. A method of storing an image of the selected program is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저장방법은, 티브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기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티브이 측에서 일방적으로 상기 선택되는 외부기기에 영상저장을 명령함으로서, 실제로 정상적으로 상기 선택된 외부기기에서 영상저장동작이 실행되는 지를 확신할 수 없으며, 차후에 저장동작이 종료된 후에야 영상저장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영상저장기능을 사용하는데 혼란을 겪게 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image storage method as described above, by actually instructing the image storage to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unilaterally on the TV side, without consider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V, actually the selected external It is not certain whether the video storage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video storage operation is normally performed only after the storage operation is ended later, and the user is confused when using the video storage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동작을 조작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외부기기의 상태를 쉽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동작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grasp the state of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easily and effectively when operating a storage operation, and thus can perform the storage operation more simply and reliably.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외부기기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capable of storing image signals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Requesting,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ate data regar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is selected; Receiving,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requested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data. .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중 저장 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고, 저장 불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며, 상기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과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을 상호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which is an operation state that can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s a storage available external device item and based on the state data. May be displayed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and the storage available external device item and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may be differently displayed.

여기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화면의 표시기능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EPG정보화면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isplay function of th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screen is selec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 program to be stored in the displayed EPG information screen.

또한,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거나 저장하는 재생/저장 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재생/저장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displaying a first icon indicating a play / save execution state of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which is a play / save state of playing or storing another program based on the state data.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ed.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a second ico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which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is mounted on a storage medium, based on the state data;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또한,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 여,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용량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제3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stor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provided storage medium based on the status data, the capacity of which is less than or equal to a capacity to store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Preferably, the device item is displayed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third icon indicating a storage capacity shortage condition.

여기서,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에러상태를 나타내는 제4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ourth icon indicating an error state, based on the state data.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상태데이터는, 현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상태인지 여부 및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te data,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playing the other program and the storage state for storing other programs, whether the storage medium is provided, and the remaining capacity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normal storage operation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되지 아니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을 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5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not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isplayed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ifth icon indicating a non-connected state. Do.

그리고,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And 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program is selected; Whe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또한,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외부기기가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을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비정상적으로 상기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에 비정상 저장종료상태를 나타내는 제6아이콘을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device storing the image signal abnormally terminates the storing operation; In 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t is preferable to further display a sixth icon indicating an abnormal storage end state on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storing operation is abnormally terminated.

그리고, 상기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6아이콘이 나타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설명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Determining whether an information key for confirming the state data is input; If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description screen of the operation states indicated by the first to sixth icons.

또한,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in a state in which one external device item is indicat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f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status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그리고, 상기 저장기기선택기능 선택 시, 상기 EPG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저작권으로 인한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저장불가능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program is a non-storable program due to copyright based on the EPG information; If the selected program is a non-storable program,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non-storabl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program is a non-storable program.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과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storage external device item and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6아이콘은,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며, 하나의 아이콘 표시위치에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to sixth icon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nd one of the first to fifth icons may be displayed at one icon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IEEE 1394 통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re connected by an IEEE 1394 communication cable.

또한,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일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갯수가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 가능한 외부기기항목의 표시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상기 나열된 일 방향을 따라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항목과 (▼)항목을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displayi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n one direction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nd displaying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to be displayed.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external device item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tatus menu is greater than or equal to one,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can be moved in one of two directions along one of the listed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 and (▼) items further.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세로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갯수가 상기 표시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 중 최 하측단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되지 아니하던 외부기기항목이 상기 상측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최 하측단에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 중 최 상측단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되지 아니하던 외부기기항목이 상기 하측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최 상측단에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ing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ay include displaying and listi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to be display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play number, the external device state. When a selection key (-) for moving downward is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item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menu is indicate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Moving the device item upward and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item not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so as to appear at the bottom end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by the upward movement; Move to the upper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item at the top end is indicat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status menu. When a selection key (+) is inputte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moved downward, and the external device items not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lower tha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displaying so as to appear at the top end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by the direction movemen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통신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영상신호를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저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표시하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생성하는 UI생성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a user input uni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video signal to be stored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 memory for storing state data relating to operat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 UI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xternal device state menu display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t can be achieved by a processing device.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상기 상태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되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ler requests the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receives the requested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Preferably, the received stat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중 저장 가능한 동작 상태 인 외부기기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고, 저장 불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which is an operation state that can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s a storage external device item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 an operation state as an external storage item.

그리고,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화면의 표시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되는 EPG정보에 기초한 EPG정보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EPG정보화면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f a display function of a predetermined EPG information scree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ler displays an EPG information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EPG information, and selects a program to be stored in the EPG information screen. If so,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거나 저장하는 재생/저장 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재생/저장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first icon indicating the execution state of the playback / storage of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of the playback / storage state of playing or storing other program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to display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s displayed. Preferably, the UI generating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n ic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상기 선택된 프 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용량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제3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store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provided storage medium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which is less than or equal to a capacity for stor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Preferably, the UI generation unit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item to be displayed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third icon indicating a storage capacity shortage condition.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제4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ourth icon indicating an error state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so as to.

또한, 상기 상태데이터는, 현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상태인지 여부 및 현재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ate data,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playing the other program and the current state of storing the other program, whether the storage medium is provided, and the rest of the storage mediu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apacit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normal storage operation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지 아니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을 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5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ifth icon indicating a non-connecte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It is desirable to control.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EPG정보화면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하는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 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for a program to be stored on the EPG information scree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an external device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storing a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program is selected. Whe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여기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이 나타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설명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key for confirming the state data, and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description screen for an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the first to fifth icons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 중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while one of the external device item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s indicate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to display.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상기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과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to display the storage capable external device item and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며, 하나의 아이콘 표시위치에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the first to fifth icons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 different colors and to display one of the first to fifth ic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at one icon display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to display one.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IEEE 1394 통신 케이블에 의해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eferably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by an IEEE 1394 communication cab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은 영상처리장치(100)와, 영상처리장치(100)와 연결되어 영상처리장치(100)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외부기기(10)를 포함한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imag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to store image signals from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기기(10)는 제1외부기기(1)와 제2외부기기(2)와 제3외부기기(3)… 등으로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외부기기(10)는 영상저장이 가능한 DVD플레이어와, 영상저장이 가능한 하드 디스크드라이브(AV-HDD)와, 디지털영상저장이 가능한 디지털영상저장기기(D-VHS)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1,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may include the first external device 1, the second external device 2, and the third external device 3.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may include a DVD player capable of storing images, a hard disk drive capable of storing images (AV-HDD), and a digital image storing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digital images (D-). VH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통신부(20), 감지부(25), 튜너(42), 영상신호처리부(45), 디스플레이부(30), 메모리(60), 사용자입력부(70), UI생성부(50), 제어부(80)를 포함한다.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0, a detection unit 25, a tuner 42,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45, a display unit 30, a memory 60, and a user input unit. 70, a UI generator 50, and a controller 80.

통신부(20)는 방송신호 이외의 외부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접속포트 및 복수의 외부기기(10)가 접속되는 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나 S-비디오신호 등의 아날로그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접속포트 및 DVI 신호 등의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는 디지털 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접속포트는 AV HDD 및 D-VHS와 같은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IEEE 1394 포트를 포함한다. 이에 영상처리장치(100)와 복수의 외부기기(10)는 IEEE 1394 포트에 접속되는 IEEE 1394 통신케이블을 통해 상 호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to which an external video signal other than a broadcast signal is input and a connection port to which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are connec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0 may include an analog connection port through which an analog video signal such as a 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or an S-video signal is input, and a digital connection port through which a digital video signal such as a DVI signal is input. have. The digital connection port includes an IEEE 1394 port to which external devices such as an AV HDD and a D-VHS are connected.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n IEEE 1394 communication cable connected to the IEEE 1394 port.

영상신호처리부(45)는 통신부(20)로부터 입력되는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나 S-비디오신호 등의 영상신호 및 튜너(42)로부터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가 처리 가능한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영상신호처리부(45)는 안테나(4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튜너(42)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IF방송신호를 소정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채널 디코더(미도시)와, 채널 디코더(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절환된 해당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 및 소정의 영상 신호열을 복호하여 출력하는 TP 디코더(미도시)와, TP 디코더(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영상 신호열을 입력받아 압축을 출어 원 영상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디코더(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영상신호처리부(45)는, 처리한 영상신호와 UI생성부(50)를 통해 생성된 외부기기상태메뉴에 대응되는 메뉴신호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한다. The video signal processor 45 may process a video signal such as a 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or an S-video signal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0, and a broadcast signal from the tuner 42 to the display unit 30. Convert to Here, the image signal processor 45 is a channel decoder for de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IF broadcast signal of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42 that tun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40 into a predetermined transport stream ( And a TP decoder (not shown) for decoding and outputting program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sequence of a corresponding channel switched by a user from a predetermined transport stream output from a channel decoder (not shown), and a TP decoder. And a video decoder (not shown) which receives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string output from the video signal (not shown) and restores the compressed video signal to the original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or 45 synthesizes the processed video signal and a menu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generated by the UI generator 50 and outputs the synthesized menu signal to the display unit 30.

또한, 영상신호처리부(45)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복수의 외부기기(10)에 저장하기 위한 포맷으로 처리하여, 통신부(20)를 통해 복수의 외부기기(10)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45 processes the video signal into a format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and then, via the communication unit 20,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It is possible to output

감지부(25)는, 복수의 외부기기(10)가 통신부(20)에 연결되었는 지 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80)로 출력한다. The sensing unit 25 outputs a sensing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to the control unit 80.

메모리(60)는 복수의 외부기기(1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태데이터는 복수의 외부기기(10)가 현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 생상태인지 여부 및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 memory 60 stores state data regarding operat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Here, the status data may include whether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are currently in a playback state for playing another program, whether they are in a storage state for storing another program, whether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 image is provided, and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capacity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whether or not normal storage operation is possible.

사용자입력부(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80)에 키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입력부(70)는 EPG정보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EPG키와,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와, 메뉴의 각 항목을 지시 또는 선택하기 위한 네비게이션(+)/(-)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입력부(70)는 별도로 연결되는 입력수단 즉,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마련되거나 무선 리모콘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신호처리부(45)와 UI생성부(50) 등을 제어한다. The user input unit 70 outputs a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8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 user input unit 70 includes an EPG key for displaying an EPG information screen, a menu key for selecting a storage-related function of an image signal, and a navigation (+) / (-) key for indicating or selecting each item of a menu. It may include. Of course, the user input unit 7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input means, that is, a mouse, a keyboard, or the like, or may be provided as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image signal processor 45 and the UI generator 50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UI생성부(5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외부기기(10)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생성한다. 또한, UI생성부(5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화면을 생성한다. 이처럼 UI생성부(5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UI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UI생성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처리부(45)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나, 영상신호처리부(45)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UI generator 50 generates an external device state menu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for storing the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In addition, the UI generation unit 50 generates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80. As such, the UI generator 50 may generate various UI scree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0. The UI generator 5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45 as illustrated in FIG. 1, but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signal processor 45 and implemented.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의 조작에 따라, EPG키가 입력되면 EPG정보화면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80)는, 방송신호의 재 생 프로그램의 제목 및 장르와 시작 및 종료시각과 같은 다양한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EPG정보를 채널 디코더(미도시)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이에, 제어부(80)는 추출하여 얻은 상기 EPG정보에 기초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EPG정보화면(TV가이드 2a)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an EPG information screen when an EPG key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70. Here, the controller 80 may obtain EPG information including various channel information such as title and genre of a broadcast program reproduction program, and start and end times from a transport stream output from a channel decoder (not shown). Can be.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PG information screen (TV guide 2a) as shown in FIG. 2 based on the extracted EPG information.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의 네비게이션(+)/(-)키를 통해 EPG정보화면(TV가이드 2a)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축구 대한민국 vs 일본(2-1))이 선택되고,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80)는, 메뉴키가 입력되면 복수의 외부기기(10)에 상기 상태데이터를 요청한다. 이에, 복수의 외부기기(1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태데이터를 제어부(80)로 송신하고,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80)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메모리(60)에 저장한다. 물론, 제어부(80)는 저장관련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가 입력되는 것과 상관없이,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상태데이터를 복수의 외부기기(10)에 요청하고 수신하여 메모리(6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80 selects one program (Soccer Korea vs Japan (2-1)) from the EPG information screen (TV guide 2a) through the navigation (+) / (-) keys of the user input unit 70. It is determined whether a menu key for selecting a video storage function is input. When the menu key is input, the controller 80 requests the state data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transmits the state data to the controller 80 according to the request, and the controller 80 receiving the requested state data stores the state data in the memory 60. Of course, the controller 80 periodically requests and receives the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regardless of whether a menu key for selecting a storage-related function is input. It is also possible to save to).

한편,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저장관련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가 입력되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상기 EPG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작권으로 인한 저장(복사) 불가능 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제어부(80)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장(복사) 불가능 정보라고 판단되면,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저장불가능메세지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UI생성부(50)는 상기 저장불가능메 세지를 소정 시간(약 3초)동안 표시하고, 이후에는 EPG정보화면(TV가이드 2a)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nu key for selecting a storage related func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selected program 2-1 to be copyrighted based on the EP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mpossible to store (copy)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at the selected program 2-1 is impossible to store (copy) information, the controller 80 displays a non-storabl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program 2-1 is a non-storable program. To control. The UI generating unit 50 preferably displays the non-storable mess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bout 3 seconds), and then displays the EPG information screen (TV guide 2a).

이후,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선택된 프로그램(2-1)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고자 하는 외부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80)는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면, 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기기(1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80)는 마이컴 등의 컨트롤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to store the video signal of the program 2-1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is selected. Whe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80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To control. The controller 80 may be implemented by a controller such as a microcomputer.

이제,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기기(10) 중 저장 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고, 저장 불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은 흰색으로 표시하고,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은 회색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기기항목들은 일 방향(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ow, when the operation of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escribed, the controller 80 can store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when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 an operational state as an external device item that can be stored, and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in an non-storable operation state as an external device item.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available external device item is displayed in white and the storage non-storable device item is displayed in gray.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tems are preferably displayed in one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즉,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프로그램을 재생/저장하거나 또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재생되는 시각에 타 프로그램의 저장이 예약된 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재생/저장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 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That is, when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plays / stores another program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or at the time when the selected program 2-1 is played.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storage of the program is reserved,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a first icon indicating a play / store execution state.

또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indicates an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stored state data.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second icon.

또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선택된 프로그램(2-1)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선택된 프로그램(2-1)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용량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제3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may store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2-1 in which the remaining storage capacity of the provided storage medium is selected based on the stored state data. Determine if the capacity is below.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third icon indicating an insufficient storage capacity of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whose remaining storage capacity of the provided storage medium is less than a capacity to store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2-1 is included.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또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인 외부기기 즉,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제4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indicates an error state of an external device that is an abnormal operation state, that is,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in which a normal storage operation is impossible.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fourth icon.

여기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감지부(25)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통신부(20)에 연결되지 아니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을 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5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Here, when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indicates a non-connection state of an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25.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fifth icon.

여기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 중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하나의 아이콘 표시위치에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아이콘은 빨강색, 제2아이콘은 주황색, 제3아이콘은 노란색, 제4아이콘은 초록색, 제5아이콘은 파란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아이콘 표시위치에 표시되는 우선순위는, 제1순위인 제5아이콘부터 <제5아이콘→제4아이콘→제2아이콘→제3아이콘→제1아이콘>의 순으로 제1아이콘이 가장 하위순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가, 저장매체를 나머지 저장용량이 부족하고(제3아이콘 표시 경우), 현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상태(제1아이콘이 표시 경우)이면,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3아이콘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first icon to the fifth icon in different colors when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nd one icon to display a plurality of icons among the first to fifth icon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ng unit 50 to display any one of the first icon to the fifth icon in a display posi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Here, the first icon is red, the second icon is orange, the third icon is yellow, the fourth icon is green, and the fifth icon is blue. In addition, the priority displayed on one icon display position includes the first icon in the order of the fifth icon, which is the first priority, <5th icon → 4th icon → 2nd icon → 3rd icon → 1st icon>. It is preferable to be the lowest rank. That is,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external device items, the storage medium is running out of the remaining storage capacity (when the third icon is displayed), currently playing other programs (when the first icon is display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only the third icon according to the priority.

여기서, 도3의 외부기기상태메뉴(3a)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을 표시하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설명한다.Here, referring to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of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first icon to the fifth icon and the storage capable external device item (white) are displayed. Describe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외부기기상태메뉴(3a)는, 복수(4개)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을 세로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외부기기상태메뉴(3a)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기기항목 중 AV-HDD1항목과 D-VHS2항목은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이고, DVD항목과 D-VHS1항목은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이다. 즉, AV-HDD1항목과 D-VHS2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는 선택된 프로그램 (2-1)을 저장할 수 있는 외부기기이고, DVD항목과 D-VHS1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을 저장할 수 없는 외부기기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displays a plurality (four)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AV-HDD1 and D-VHS2 items are recordable external device items (white), and DVD and D-VHS1 items are not stored. (Gray). That is,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V-HDD1 item and the D-VHS2 item is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storing the selected program (2-1), and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VD item and the D-VHS1 item is selected program (2- 1) It indicates that it is an external device that cannot be saved.

외부기기상태메뉴(3a)가 표시된 상태의 영상저장시스템을 좀 더 자세히 서명하면, D-VHS1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제1디지털영상저장기기)는 통신부(20)에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이고, 이에 D-VHS1항목은 이러한 비 접속 상태임을 알리는 제5아이콘(3-5)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DVD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DVD플레이어)는 타 프로그램을 재생/저장하거나 또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재생되는 시각에 타 프로그램의 저장이 예약된 상태이고, 이에 DVD항목은 이러한 재생/저장 실행상태임을 알리는 제1아이콘(3-1)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AV-HDD1항목과 D-VHS2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을 저장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AV-HDD1항목과 D-VHS2항목은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으로 표시된다. If the video storage system with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is displayed in more detail,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VHS1 item (for example, the first digital video storage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In this regard, the D-VHS1 item is displayed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a fifth icon (3-5) indicating the non-connection state. In addition, an external device (eg, a DVD player) corresponding to a DVD item is in a state in which another program is reserved for storing / playing another program or at the time when the selected program 2-1 is played.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first icon 3-1 indicating the reproduction / save execution state is displayed. Since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V-HDD1 and D-VHS2 items can store the selected program (2-1), the AV-HDD1 and D-VHS2 items are stored as external device items (white). Is displayed.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2-1)을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할 때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상태메뉴(3a)를 통해, 각 외부기기의 저장가능상태를 한 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torage state of each external device at a glan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3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ed when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storing the desired program (2-1). have.

여기서 제어부(80)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외부기기가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을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저장동작의 종료는, 저장동작을 수행하는 외부기기에 구비된 저장매체의 저장용량이 부족하여 저장동작이 멈추거나, 저장동작을 수행하는 중 외부기기의 전원이 오프되는 등 저장동작을 수행하는 외부기기의 동작에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기기의 동작에 러에 의해 저장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외부기기는 동작에러의 발생을 알리는 저장동작 비정상종료신호를 영상처리장치(100)로 출력한다. 이에, 제어부(80)는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저장동작 비정상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동작 비정상종료신호를 송신한 외부기기를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로서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영상처리장치(100)가 외부기기에 저장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제공하던 중, 영상처리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감지부(25)의 감지신호 에 기초하여 저장동작을 수행하던 외부기기가 갑자기 분리되는 경우 저장동작을 수행하던 외부기기를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로서 기억한다. Herein, the controller 80 may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device that stores the image signal abnormally ends the storing operation. The abnormal end of the storage operation includes a storage operation such that the storage operation is stopped due to insufficient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that performs the storage operation, or the power of the external device is turned off during the storage operation. This may be caused by an operation error of an external device. As such, when the storage operation is abnormally terminated due to an operation error of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outputs the storage operation abnormal termination signal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operation error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80 receives the abnormal end of storage operation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80 stores the external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abnormal end operation of the storage operation as an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abnormal end of the storage operation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hil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provides an image signal for storing in an external device, or may be based on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25. If the external device that is performing the storage operation is suddenly disconnected, the external device that is performing the storage operation is stored as the external device that is abnormally terminated.

이에,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로 기억된 해당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비정상 저장종료상태를 나타내는 제6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stores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corresponding external device stored as the external device that has been abnormally stored, including a sixth icon indicating an abnormal storage end state.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an impossi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여기서, 도3의 외부기기상태메뉴(3a')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제1아이콘 내지 제6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을 표시하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설명한다.Here, referring to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of FIG. 3,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first to sixth icons and the saveable external device item (white) are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This section describe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외부기기상태메뉴(3a')는, 복수(4개)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을 세로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외부기기상태메뉴(3a')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기기항목 중 DVD항목은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이고, AV-HDD1항목과 D-VHS1항목과 D-VHS2항목은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 회색)이다.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displays a plurality of (four)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the DVD item is an external device item (white), and the AV-HDD1 item, D-VHS1 item, and D-VHS2 item cannot be stored. Item (grey).

외부기기상태메뉴(3a')가 표시된 상태의 영상저장시스템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AV-HDD1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제1하드디스크드라이브)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상태이고, 이에 AV-HDD1항목은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임을 알리는 제2아이콘(3-2)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D-VHS1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제1디지털영상저장기기)는 구비된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선택된 프로그램(2-1)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상태이고, 이에 D-VHS1항목은 저장용량부족상태임을 알리는 제3아이콘(3-3)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D-VHS2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제2디지털영상저장기기)는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이에 D-VHS2항목은 에러상태임을 알리는 제4아이콘(3-4)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D-VHS2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제2디지털영상저장기기)는 이전에 수행하던 저장동작을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으로 기억된 상태이고, 이에 D-VHS2항목은 비정상 저장종료상태임을 알리는 제6아이콘(3-6)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DVD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DVD플레이어)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을 저장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DVD항목은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으로 표시된다. When the video storage system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is displayed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n external device (eg, the first hard disk drive) corresponding to the AV-HDD1 item may b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 video signal. In this case, the AV-HDD1 item is displayed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a second icon 3-2 indicating that the storage medium is not installed. The external device (e.g., the first digital video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VHS1 item is in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storage capacity of the provided storage medium is less than the capacity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2-1). In this regard, the D-VHS1 item is displayed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a third icon 3-3 indicating that the storage capacity is insufficient. An external device (eg, the second digital video storag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VHS2 item is in a state in which a normal storage operation is impossible, and thus, the D-VHS2 item includes a fourth icon 3-4 indicating that an error state is present. Impossi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s displayed. Here,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VHS2 item (for example, the second digital video storage device) is stored as having abnormally terminated the previous storage operation, and thus the D-VHS2 item is abnormally terminated. The not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sixth icon 3-6. Since the external device (eg, DVD player) corresponding to the DVD item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lected program 2-1 can be stored, the DVD item is displayed as a recordable external device item (white).

이에, 사용자는, 프로그램(2-1)을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할 때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기기상태메뉴(3a')를 통해, 각 외부기기의 저장가능상태 및 이전 저장동작의 비정상 저장종료상태를 한 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6아이콘(3-6)은, 해당 외부기기가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을 종료한 후에, 처음으로 표시되는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표시되고, 다음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는 표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us,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ed when selecting the external device for storing the program (2-1), abnormality of the storage state and the previous storage operation of each external device The end of storage can be easily identified at a glance. Here, the sixth icon 3-6 is display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at is displaye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external device abnormally ends the storing operation, and is not displayed when the next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Do.

여기서, UI생성부(50)는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갯수(예 : 5개)가 외부기기상태메뉴(3a') 상에 표시 가능한 외부기기항목의 표시 갯수(예 : 4개) 이상인 경우, 세로방향으로 나열된 복수(4개)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의 상단과 하단에 (▲)항목(3e)과 (▼)항목(3f)을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사용자는 (▲)항목(3e)과 (▼)항목(3f)을 확인하여, 외부기기상태메뉴(3a') 상에 표시되지 못한 외부기기항목이 더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Here, the UI generation unit 50 displays the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items (eg, four)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eg, five)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3a 'can be displayed. ), Or above the (▲) items (3e) and () at the top and bottom of a plurality of (four)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listed vertically.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display item 3f. Thus, the user checks (▲) items 3e and (▼) items 3f to recognize that there are more external device items that are not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이에,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의 네비게이션 (+)키, 네비게이션 (-)키를 통해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서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을 지시 조작하다가,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 표시된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 중 최 하측단의 외부기기항목(D-VHS2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네비게이션(-)키가 입력되면, UI생성부(50)를 제어하여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through the navigation (+) key and the navigation (-) key of the user input unit 70. VHS1 item, D-VHS2 item), and the lower end of the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When the navigation (-) key for moving to the lower side when the external device item (D-VHS2 item) is indicated, the plurality of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by controlling the UI generation unit 50 Move the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and D-VHS2 item) upward to display.

또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 표시된 외부기기항목(AV- 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 중 최 상측단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네비게이션(+)키가 입력되면, UI생성부(50)를 제어하여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 표시된 복수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item (AV) at the top end of the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When a navigation (+) key for moving upward is input when the HDD1 item is indicate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AV)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UI generator 50. -HDD1, DVD, D-VHS1, D-VHS2 items are moved downward to display.

이러한,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이동을 도3의 외부기기상태메뉴(3a') 및 외부기기상태메뉴(3a")를 통해 설명한다.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s describ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and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of FIG.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 표시된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 중 최 하측단의 외부기기항목(D-VHS2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네비게이션(-)키가 입력되면, 복수의 외부기기항목(AV-HDD1항목, DVD항목, D-VHS1항목, D-VHS2항목)은 상측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하게 된다. 이에, 외부기기상태메뉴(3a")과 같이, 외부기기상태메뉴(3a')상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하던 AV-HDD1항목은 상측단 영역에서 벗어나서 표시되지 않고, 외부기기상태메뉴(3a')에 표시되고 있지 않던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D-VHS3)이 D-VHS3항목의 하측에 나타나도록 표시된다. 이는, 네비게이션(+)키가 선택되는 경우에도 이동방향만이 달라질 뿐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Among the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the lowest external device item (D-VHS2 item) is indicated. When the navigation (-) key for moving downward in the state is input,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AV-HDD1 item, DVD item, D-VHS1 item, D-VHS2 item) are moved one space upward. Thus, as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 the AV-HDD1 item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is not displayed out of the upper end area and is display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3a'. The external device item (D-VHS3) of the external device, which was not displayed, is displayed under the D-VHS3 item, which is displayed in the same way only when the navigation (+) key is selected but the moving direction is changed. do.

이에, 외부기기가 많아서, 하나의 외부기기상태메뉴에 모든 외부기기항목을 표시하기 곤란한 경우 (▲)항목(3e)과 (▼)항목(3f)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기기상태메뉴(3a') 상에 표시되지 못한 외부기기항목이 더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키 및 네비게이션(-)키 조작을 통해 스 크롤기능을 실행하여 외부기기항목들을 이동시킴으로서, 외부기기상태메뉴에 표시되지 아니한 외부기기항목이 표시되도록 하여, 각각의 외부기기상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us, when there are many external devices and it is difficult to display all the external device items in on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 items (3e) and (▼) items (3f) are display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 3a ') can recognize that there are more external device items that are not displayed. In addition, by moving the external device items by executing the scroll function through the navigation (+) key and the navigation (-) key, the external device items not display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displayed.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한편, 사용자입력부(70)는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키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정보키가 입력되면, 제1아이콘(3-1) 내지 제6아이콘(3-6)이 나타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아이콘설명화면(도4의 4a)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아이콘설명화면(도4의 4a)은, 제1아이콘(3-1) 내지 제6아이콘(3-6) 각각이 나타내는 동작상태에 대한 설명을 텍스트화면으로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user input unit 70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key for confirming the state data. Therefore,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while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first icon 3-1 to the sixth icon 3-6.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50 to display the icon description screen (4a of FIG. 4) for. It is preferable that the icon description screen (4a in Fig. 4) display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each of the first icons 3-1 to 6th icon 3-6 as a text screen.

또한,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정보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해당하는 상태데이터화면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3의 외부기기상태메뉴(3a')에서 사용자입력부(70)의 네비게이션(+)/(-)키를 통해 DVD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정보키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80)는 DVD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 : DVD플레이어)의 상태데이터화면을 도4의 4b와 같이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태데이터화면(도4의 4b)은, 지시된 외부기기항목(DVD)에 대응하는 외부기기(DVD플레이어)가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상태인지 여부 및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부(20)로의 연결여부 및 비정상 저장종료 여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아이콘설명화면(4a) 또는 상태데이터화면(4b)이 표시된 상태에서 EXIT기능(EXIT키 입력 또는 EXIT항목선택)이 선택되면, 아이콘설명화면(4a) 또는 상태데이터화면(4b)은 표시되지 않고 이전에 표시되던 외부기기상태메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is configured to display a state dat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when an information key is input in a state where one external device item is indicat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50). 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DVD item is indicated through the navigation (+) / (-) keys of the user input unit 70 i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3a 'of FIG. ) Controls the UI generating unit 50 to display the state data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eg, DVD player) corresponding to the DVD item as shown in FIG. 4B. Here, the status data screen (4b in Fig. 4)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external device (DVD player)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ed external device item (DVD) is in a playback state for playing another program and in a storage state for storing another program. And whether or not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 image is provided, remaining capacity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provided therein, whether or not normal storage operation is possible, and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and abnormal storage. It may further indicate whether or not to terminate. Of course, if the EXIT function (EXIT key input or EXIT item selection) is selected while the icon description screen 4a or the status data screen 4b is displayed, the icon description screen 4a or the status data screen 4b is not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at was displayed before.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프로그램(2-1)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DVD플레이어)가 선택되면, 제어부(80)는, 외부기기(DVD플레이어)에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2-1 :축구 대한민국 vs 일본)의 영상신호를 소정의 포맷으로 인코딩하도록 영상신호처리부(45)를 제어하고, 이를 IEEE 1394 케이블을 통해 외부기기(DVD플레이어)에 전송한다. When an external device (DVD player)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of the program 2-1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i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the control unit 80 stores the external device (DVD player). The video signal processor 45 is controlled to encode the video signal of the program (2-1: soccer Korea vs. Japan) into a predetermined format, and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DVD player) via an IEEE 1394 c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 및 영상처리장치(100)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먼저,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EPG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고(S10), EPG키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UI생성부(50)를 제어하여 EPG정보화면을 표시한다(S12). 여기서, 제어부(80)는, 영상신호처리부(45)의 채널 디코더(미도시)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EPG정보를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70)의 네비게이션(+)/(-)키를 조작하여 EPG정보화면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예 : 축구 대한민국 vs 일본(2-1))이 선택한다(S14). 이에,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20).First,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the EPG key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S10), and when the EPG key is input,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PG information screen. It is displayed (S12). Here, the controller 80 may extract and obtain EPG information from a transport stream output from a channel decoder (not shown) of the video signal processor 45. Thereafter, the user operates a navigation (+) / (-) key of the user input unit 70 to select one program (eg, soccer Korea vs Japan (2-1)) on the EPG information screen (S14).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a menu key for selecting a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imag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S20).

제어부(80)는, 메뉴키가 입력되면, 복수의 외부기기(10)에 상태데이터를 요청한다(S30). 이에, 복수의 외부기기(1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태데이터를 제어부(80)로 송신하고(S32),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80)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메모리(60)에 저장한다(S34). 물론, 제어부(80)는 저장관련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가 입력되는 것과 상관없이,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상태데이터를 복수의 외부기기(10)에 요청하고 수신하여 메모리(6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3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제어부(80)는 (S30)~(S34)단계를 수행하면서 감지부(25)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통신부(20)에 연결되지 아니한 외부기기를 파악하고, 이전 저장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외부기기를 파악한다.  When the menu key is input, the controller 80 requests status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S3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transmits the state data to the controller 80 according to the request (S32), and the controller 80 receiving the requested state data stores the state data in the memory 60. (S34). Of course, the controller 80 periodically requests and receives the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regardless of whether a menu key for selecting a storage-related function is input. It is also possible to save to).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80 identifies an external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25 while performing steps S30 to S34. And identify the external device whose previous storage operation is abnormally terminated.

여기서 제어부(80)는, (S14)단계에서 선택된 프로그램(2-1)의 EPG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작권으로 인한 저장(복사) 불가능 정보인지를 판단한다(S40). 제어부(80)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장(복사) 불가능 정보라고 판단되면,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저장불가능메세지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45). 여기서, UI생성부(50)는 상기 저장불가능메세지를 소정 시간(약 3초)동안 표시하고, EPG정보화면을 표시하는 (S12)단계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the selected program 2-1 is impossible to store (copy) due to copyright, based on the EPG information of the program 2-1 selected in step S14 (S40). . If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at the selected program 2-1 is impossible to store (copy) information,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a non-storabl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program 2-1 is a non-storable program. (S45). Here, the UI generation unit 50 preferably enters the step S12 of displaying the non-storable message for a predetermined time (about 3 seconds) and displaying an EPG information screen.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저장(복사)이 가능한 정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하는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S50).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된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 및 통신부(20)에 연결되지 아니한다고 파악된 외부기기정보 및 이전 저장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파악되 외부기기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외부기기(1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program 2-1 is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copyed), the controller 80 selects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storing an image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Determine (S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device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storage operation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0 are abnormally terminated.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information,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state menu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10 (S60).

여기서,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S60)단계를 도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step (S60) of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할 때, 상기 파악한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저장동작 시에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를 파악한다(S51). 이에, 제어부(80)는 이전 저장동작 시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에 비정상 저장종료상태를 나타내는 제6아이콘(3-6)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52). 이후, 제어부(80)는, 제6아이콘(3-6)을 표시한 상기 외부기기항목을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5). When the controller 80 displays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e external device that has abnormally terminated the storage operation at the time of the previous storage operation,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information for which the abnormal storage operation has been terminated (S51). . Accordingly, the UI unit 50 displays the sixth icon 3-6 indicating the abnormal storage end state on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storage operation was abnormally terminated during the previous storage operation. Control (S52). Thereafter,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displaying the sixth icon 3-6 as an external storage item (gray) (S65).

여기서, 제어부(80)는 (S51)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감지부(25)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통신부(20)의 비 접속된 외부기기를 파악한다(S53). 이에, 제어부(80)는 통신부(20)에 비 접속된다고 판단되는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에 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5아이콘(3-5)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54). 이후, 제어부(80)는, 제5아이콘(3-5)을 표시한 상기 외부기기항목을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5). Here, the control unit 80 performs the step (S51)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25 to determine the unconnected external device of the communication unit 20 (S53).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fifth icon 3-5 indicating the non-connected state on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determined to be un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S54). Thereafter,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displaying the fifth icon 3-5 as an external storage item (grey) (S65).

제어부(80)는, (S53)단계에서 통신부(20)에 접속된 상태라고 판단되는 외부 기기 중, 메모리(60)에 저장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불가능한 에러상태인 외부기기를 파악한다(S55). 이에, 제어부(80)는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불가능한 에러상태라고 판단되는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에 에러상태를 나타내는 제4아이콘(3-4)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56). 이후, 제어부(80)는, 제4아이콘(3-4)을 표시한 상기 외부기기항목을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5). The controller 80 identifies an external device which is in an error state in which a normal storage operation is impossible,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among the external devices determined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in step S53. (S55).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a fourth icon 3-4 indicating an error state on an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that is determined to be an error state in which a normal storage operation is impossible. (S56). Thereafter,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displaying the fourth icon 3-4 as an external storage item (grey) (S65).

제어부(80)는 (S55)단계에서 에러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외부기기 중, 메모리(60)에 저장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외부기기를 파악한다(S57). 이에, 제어부(80)는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되는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에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3-2)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58). 이후, 제어부(80)는, 제2아이콘(3-2)을 표시한 상기 외부기기항목을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5).The controller 80 identifies an external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among the external devices that are determined not to be in an error state in step S55 (S57). ).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ing unit 50 to display the second icon 3-2 indicating the non-mounting storage medium in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determined to not have the storage medium. It is controlled (S58). Thereafter,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displaying the second icon 3-2 as an external storage item (grey) (S65).

제어부(80)는 (S57)단계에서 저장매체를 구비하였다고 판단되는 외부기기 중, 메모리(60)에 저장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선택된 프로그램(2-1)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외부기기를 파악한다(S59). 이에, 제어부(80)는 저장매체의 나머지 용량이 선택된 프로그램(2-1)을 저장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에 저장용량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제3아이콘(3-3)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1).이후, 제어부(80)는, 제3아이콘(3-3)을 표시한 상기 외부 기기항목을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5).The controller 80 selects the remaining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among the external devices determined to have the storage medium in step S57. In operation S59, an external device having a capacity less than or equal to a capacity capable of storing a corresponding video signal is identifi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may display a third icon (3-3) indicating an insufficient storage capacity in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is insufficient to store the selected program 2-1.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50 to display (S61). [0056] After that,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external device item displaying the third icon 3-3 to b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S65).

제어부(80)는, (S59)단계에서 저장매체의 나머지 용량이 선택된 프로그램(2-1)을 저장하기에 부족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외부기기 중, 메모리(60)에 저장된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프로그램을 재생/저장하거나 또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재생되는 시각에 타 프로그램의 저장이 예약된 상태인 외부기기를 파악한다(S62). 이에, 제어부(80)는 타 프로그램을 재생/저장하거나 또는 선택된 프로그램(2-1)이 재생되는 시각에 타 프로그램의 저장이 예약된 상태라고 판단되는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에, 재생/저장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3-1)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3). 이후, 제어부(80)는, 제1아이콘(3-1)을 표시한 상기 외부기기항목을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5).The controller 80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is not sufficient to store the selected program 2-1 in step S59,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among other external devices. Recognize the external device that is in a state of playing / saving the recording or storing of another program at the time when the selected program 2-1 is played (S62). Accordingly, the controller 80 plays / stores other programs or plays / plays them to an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determined to be stored in another program at the time when the selected program 2-1 is played.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first icon 3-1 indicating the storage execution state (S63). Thereafter,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ing unit 50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displaying the first icon 3-1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S65).

제어부(80)는 (S62)단계에서 재생/저장 실행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을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흰색)으로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64).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or 50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determined to be not in the play / store execution state as a storage capable external device item (white) in step S62 (S64). ).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외부기기상태메뉴에는, 저장 불가능한 상태인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이, 제1순위인 제5아이콘부터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에 따라 <제5아이콘→제4아이콘→제2아이콘→제3아이콘→제1아이콘>가장 하위 순위인 제1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외부기기상 태메뉴에는,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의 표시와는 상관없이, 이전 저장동작 시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이, 비정상 저장종료상태를 나타내는 제6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회색)으로 표시한다. Accordingly,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of the imag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non-storable state has the <5th icon →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ority from the fifth icon, which is the first priority. It is displayed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an icon of any one of the fourth icon → second icon → third icon → first icon> the lowest first icon. In addition,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of the imag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display of the first icon to the fifth icon, an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that abnormally terminates the storage operation during the previous storage operation.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gray) including the sixth icon indicating the abnormal storage end state is indicated.

여기서, 제1아이콘은 빨강색, 제2아이콘은 주황색, 제3아이콘은 노란색, 제4아이콘은 초록색, 제5아이콘은 파란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icon is red, the second icon is orange, the third icon is yellow, the fourth icon is green, and the fifth icon is blue.

도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도5의 (S60)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5를 통해 계속해서 설명한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fter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S60 of FIG. 5),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되면(S60),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70)의 네비게이션(+)/(-)키를 조작하여,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외부기기항목을 지시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70). 정보키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80)는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지시되는 외부기기항목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80). 지시되는 외부기기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80)는, 제1아이콘(3-1) 내지 제6아이콘(3-6)이 나타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아이콘설명화면(도4의 4a)을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84). 지시되는 외부기기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80)는,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해당하는 상태데이터(도4의 4b)를 표시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한다(S86). 여기서, 상태데이터(도4의 4b)는,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가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상태인지 여부 및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표시하며, 통신부(20)로의 연결여부 및 비정상 저장종료 여부를 더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S60), the user may operate the navigation (+) / (-) keys of the user input unit 70 to instruct the external device item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Herein,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an information key for checking status data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S70).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an external device item indicat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exists (S80). If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does not exist, the controller 80 displays an icon description screen (4a in FIG. 4) regarding the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the first icons 3-1 to 6th icon 3-6.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controlled to display (S84). If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exists,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UI generating unit 50 to display state data (4b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S86). Here, the state data (4b of FIG. 4)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is in a playback state for playing another program and in a storage state for storing another program, and for storing an image. Whether or not the medium is provided, the remaining capacity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whether or not the normal storage operation is possible, and whether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20 and whether or not abnormal storage termination can be further displayed. .

물론, 아이콘설명화면(4a) 또는 상태데이터화면(4b)이 표시된 상태에서 EXIT기능(EXIT키 입력 또는 EXIT항목선택)이 선택되면, 아이콘설명화면(4a) 또는 상태데이터화면(4b)은 표시되지 않고 이전에 표시되던 외부기기상태메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f the EXIT function (EXIT key input or EXIT item selection) is selected while the icon description screen 4a or the status data screen 4b is displayed, the icon description screen 4a or the status data screen 4b is not displaye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at was displayed before.

이후,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70)를 통해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프로그램(2-1)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항목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 제어부(80)는,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외부기기항목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에 프로그램(2-1)의 영상신호를 저장하도록 영상신호처리부(45)를 제어한다(S100). Thereafter, the controller 80 determines whether an external device item for storing an image signal of the program 2-1 is select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0 (S90). When the external device item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video signal processor 45 to store the video signal of the program 2-1 in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xternal device item. (S1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영상저장시스템인 경우, 복수의 외부기기 중 저장 가능한 외부기기와, 저장 불가능한 외부기기를 분리하여 보여주고, 더 나아가 저장 불가능한 외부기기의 상태(연결 여부, 에러상태 여부, 저장매체 구비 여부, 저장용량 부족 여부, 타 프로그램 재생/저장 여부, 비정상적인 저장동작 종료경험 여부)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자 할 때, 복수의 외부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통해, 저장동작에 유익한 외부기기 각각의 상태정보를 한 눈에 효과적으 로 파악할 수 있다. Thus,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video storage system that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apable of storing the image,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an external device that can not be stored External device status that shows the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that can be displayed separately, and further indicates the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that cannot be stored (connection, error status, storage medium, lack of storage capacity, play / save of other programs, abnormal end of recording operation) A menu can be provided. Thus, when the user wants to store a desired program, the user can effectively grasp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external devices beneficial to the storage operation at a glan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dicating the state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동작을 조작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외부기기의 상태를 쉽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동작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rating the storage operation, the user can easily and effectively grasp the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perform the storage operation more easily and reliab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Claims (35)

복수의 외부기기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A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capable of storing video signals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상기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Requesting,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state data regard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is selected;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requested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상기 수신되는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And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중 저장 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고, 저장 불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며, 상기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과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을 상호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Based on the state data, the external device in the operation state which can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s displayed as a storage capable external device item;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evice item and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화면의 표시기능이 선택되는 단계와;Selecting a display function of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screen; 상기 표시된 EPG정보화면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And selecting a program to be stored from the displayed EPG information scree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거나 저장하는 재생/저장 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재생/저장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Based on the state data,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in a play / save state for playing or storing another program is displayed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irst icon indicating a play / save execution state.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Based on the state data,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second icon indicating a non-mounting state of the storage medium.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용량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제3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And based on the state data, a third icon indicating a storage capacity shortage status of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whose remaining storage capacity of the provided storage medium is less than or equal to a capacity for stor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non-storeable external device item.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에러상태를 나타내는 제4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Based on the state data, displaying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ourth icon representing an error sta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상태데이터는,The state data, 현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상태인지 여부 및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 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Whether it is a playback state that currently plays another program and whether it is a storage state that stores another program, whether the storage medium is provided, the remaining capacity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a normal storage operation.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가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Determining whether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연결되지 아니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을 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5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not connected to the image processing device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ifth icon representing a non-connected stat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Determining whether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program is selected; 상기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if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외부기기가 비정상적으로 저장동작을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device storing the video signal abnormally terminates the storing operation;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비정상적으로 상기 저장동작이 종료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에 비정상 저장종료상태를 나타내는 제6아이콘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And displaying a sixth icon indicating an abnormal storage end state on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storing operation is abnormally terminat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n information key for confirming the state data is input;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6아이콘이 나타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설명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If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description screen of an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the first to sixth icon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in a state in which one external device item is indicated i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if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displaying the st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제3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13, 상기 저장기기선택기능 선택 시, 상기 EPG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프로 그램이 저작권으로 인한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When the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selected program is a non-storable program due to copyright based on the EPG information;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인 경우,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저장불가능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저장불가능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If the selected program is a non-storable program, displaying the non-storabl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selected program is a non-storable program.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과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And controlling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to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6아이콘은,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며, The first to sixth icon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from each other, 하나의 아이콘 표시위치에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 The control method of the image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irst icon to the fifth icon is displayed in one icon display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priority.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IEEE 1394 통신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re connected by an IEEE 1394 communication cable.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일 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갯수가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 가능한 외부기기항목의 표시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상기 나열된 일 방향을 따라 양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리는 (▲)항목과 (▼)항목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List and display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n one direction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to be display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displayable external device items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the (▲) and (▼) items indicating that you can move in one of the two directions along the one direction listed to further display Control method of an image stor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세로방향으로 나열하여 표시하고, Display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n a vertical direction;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갯수가 상기 표시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 중 최 하측단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되지 아니하던 외부기기항목이 상기 상측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최 하측단에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단계와,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to be display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play number, for moving to the lower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item at the lower end is indicat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When a selection key (-) is input,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moved upward, and the external device items not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moved upward. Displaying at the bottom end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by 표시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의 갯수가 상기 표시 갯수 이상인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 중 최 상측단 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상에 표시되지 아니하던 외부기기항목이 상기 하측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최 상측단에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저장시스템의 제어방법.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to be display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play number, an external device item at the uppermost end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indicated to move upward. When a selection key (+) is input,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moved downward, and the external device items not displayed o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re moved downward. And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at the top end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복수의 외부기기가 연결되는 통신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영상신호를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저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o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a user input uni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o process image signals to be stored in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state data relating to operat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의 외부기기항목을 표시하는 외부기기상태메뉴를 생성하는 UI생성부와;A UI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xternal device state menu displaying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 items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Processing unit.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의 저장관련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상기 상태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태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되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When the storage related function of the video signal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ler requests the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receives the requested state data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the stat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중 저장 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고, 저장 불가능한 동작 상태인 외부기기를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n external device, which is an operation state that can be stored, among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s a storage external device item based on the state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s displayed, and an operation state that cannot be stored. And controlling the UI generator to display an external device as a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고;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화면의 표시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수신되는 EPG정보에 기초한 EPG정보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EPG정보화면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If a display function of a predetermined EPG information scree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ler displays an EPG information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EPG information, and selects a program to be stored in the EPG information screen. And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거나 저장하는 재생/저장 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재생/저장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ler may include a first icon indicating an execution state of playing / storing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which is a play / save state of playing or storing another program,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s displayed. And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제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를 구비하지 아니한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매체 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a second icon indicating a non-mounting storage medium of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that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video signal,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displaying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And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비된 상기 저장매체의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이하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저장용량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제3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device item of an external device having a remaining capacity capable of stor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gram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s displayed. And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third icon indicating a storage capacity shortage condition. 제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 표시 시에 상기 상태데이터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인 외부기기의 외부기기항목을 에러 상태를 나타내는 제4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ourth icon indicating an error state based on the state data when the external device state menu is display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UI generation unit.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상태데이터는,The state data, 현재 타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재생상태인지 여부 및 현재 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상태인지 여부와, 상기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와, 구비하고 있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 가능한 나머지 용량정보와, 정상적인 저장동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Whether it is currently in a playback state for playing another program and whether it is currently in a storage state for storing another program, whether the storage medium is provided, remaining capacity information tha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a normal storage operation. And at least any one of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제2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지 아니한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을 비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5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item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device no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s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including a fifth icon indicating a non-connecte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EPG정보화면에서 저장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외부기기를 선택하는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저장기기선택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for a program to be stored on the EPG information scree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a storage device selection function for selecting an external device for storing a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program is selected. And if the device selection function is selected, controlling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제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키를 포함하고,The user input unit includes an information key for confirming the state dat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이 나타내는 동작 상태에 대한 설명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I generator to display a description screen of an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the first to fifth icons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제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에 대응하는 외부기기항목 중 어느 하나의 외부기기항목이 지시된 상태에서, 상기 정보키가 입력되면, 상기 지시된 외부기기항목에 해당하는 상기 상태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dicated external device item when the information key is input while one of the external device item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is indicat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UI generator.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상기 저장 가능 외부기기항목과 상기 저장 불가능 외부기기항목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storage capable external device item and the non-storable external device item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 different colors. 제3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상태메뉴의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을 상호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며, 하나의 아이콘 표시위치에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제1아이콘 내지 제5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UI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first icons to the fifth icons of the external device status menu in different colors, and display one of the first icons to the fifth ic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ority at one icon display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UI generator to display the UI.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통신부에 연결된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와 IEEE 1394 통신 케이블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A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by an IEEE 1394 communication cable.
KR1020050052613A 2005-06-17 2005-06-17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690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613A KR100690580B1 (en) 2005-06-17 2005-06-17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1/352,300 US20060288365A1 (en) 2005-06-17 2006-02-13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s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CNB2006100937560A CN100563313C (en) 2005-06-17 2006-06-19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o the control method of image storage system with thi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613A KR100690580B1 (en) 2005-06-17 2005-06-17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324A KR20060132324A (en) 2006-12-21
KR100690580B1 true KR100690580B1 (en) 2007-03-09

Family

ID=3752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613A KR100690580B1 (en) 2005-06-17 2005-06-17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88365A1 (en)
KR (1) KR100690580B1 (en)
CN (1) CN100563313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341B1 (en) * 2005-11-02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method for displaying a diagnostic information
KR101299683B1 (en) * 2006-10-20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72202A (en) * 2007-02-0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90784A (en) 2007-04-06 2008-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ntrolling method and a receiv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rogram information
KR20080092501A (en) 2007-04-12 200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ontrolling method and a receiving apparatus for mobile service data
KR101377885B1 (en) 2007-07-23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tus and method for labal display in display device
JP4407737B2 (en) * 2007-09-28 2010-02-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00074589A1 (en) * 2008-09-24 2010-03-25 Pace Plc Program Content Recovery for Multimedia Devices and Digital Video Recorder Set-Top Boxes
KR20120073892A (en) * 2010-12-27 201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mu applied thereto
JP2013003678A (en) * 2011-06-13 2013-01-07 Canon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20321279A1 (en) * 2011-06-15 2012-12-20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and or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JP6772531B2 (en) * 2016-04-28 2020-10-21 オムロン株式会社 Control systems, control methods, control programs, and recording media
US10110955B2 (en) * 2017-03-17 2018-10-23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dvertised media content
EP4333442A1 (en) * 2021-09-30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490A (en) * 1997-04-29 1998-11-16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V sets and periphera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3570A1 (en) * 1998-11-30 2000-06-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JP2000184320A (en) * 1998-12-11 2000-06-30 Nec Corp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JP4310674B2 (en) * 2000-01-11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Method for selecting device connected to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is selection method
US7062156B2 (en) * 2000-06-26 2006-06-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US7814516B2 (en) * 2001-05-03 2010-10-12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US7218839B2 (en) * 2002-02-11 2007-05-15 Scientific-Atlanta, Inc. Management of television presentation recordings
US8607269B2 (en) * 2002-03-12 2013-12-10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for obtaining past, current, and future programs
JP2006211592A (en) * 2005-01-31 2006-08-10 Orion Denki K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simplified reservation-record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490A (en) * 1997-04-29 1998-11-16 윤종용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V sets and peripheral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784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8365A1 (en) 2006-12-21
CN100563313C (en) 2009-11-25
CN1882068A (en) 2006-12-20
KR20060132324A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580B1 (en) Image Processing Unit, Control Method For Image S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7031596B2 (en) Digital video reproduction method, digital video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739929B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xternal devices
KR101382972B1 (en) Gui with dynamic thumbnail grid navigation for internet tv
EP2048882A1 (en) Display apparatus
EP1320256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EP1195989A2 (en) Video processing device
WO2009028768A1 (en) Method of displaying recorded materia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05181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US20090263102A1 (en) Video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Video Content Reproducing Method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JP5087944B2 (e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KR100603293B1 (en) Audio/Video apparatus for visualizing operations therein, or thereamong in the form of contents flow and a method operation controlling thereof
JP2007158903A (en) Means for switching resolution i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output
KR101053732B1 (en) Digital TV User Control Interface Device
KR1009790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umber of video titles available at power on
JP2006222693A (en) Video display device
US7043135B2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008028947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0571772B1 (e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size of OSD menu
JP2005223632A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recorded video display system
KR100864720B1 (en) Combin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each device through a single OSD menu, and a control method therof
EP1353328A2 (en) Recording medium player apparatus
JP2006332866A (en) Remote control apparatus
JP5449724B2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