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875B1 -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875B1
KR100686875B1 KR1020050098806A KR20050098806A KR100686875B1 KR 100686875 B1 KR100686875 B1 KR 100686875B1 KR 1020050098806 A KR1020050098806 A KR 1020050098806A KR 20050098806 A KR20050098806 A KR 20050098806A KR 100686875 B1 KR100686875 B1 KR 10068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p
power
mode
power suppl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875B1/ko
Priority to CNA2006101400948A priority patent/CN1953590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가 절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MSM(mobile station modem)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소모전류를 절감하고 대기시간을 증가시킨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SP에 전원을 전달하는 DSP 전원부; 설정된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차단모드, DSP, DSP 전원부, 이동통신단말기, 전력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method for controlling DSP power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MSM 및 디지털신호처리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기 110: RF부
120: 전원부 130: 디지털신호처리부
132: DSP 전원부 134: DSP
140: 입력부 150: 출력부
160: 저장부 170: MSM
172: 이동통신처리부 174: DSP 모드 판단부
176: DSP 전원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가 절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MSM(mobile station modem)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소모전류를 절감하고 대기시간을 증가시킨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광범위한 보급과 이와 관련된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방송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된 DMB 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DMB 폰과 관련된 여러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DSP에서 소비하는 전력으로 인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시간 감소가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정상모드(normal mode)에서 DSP에 최대전력(full power)을 공급하고,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이고 일정 시간 동안 키 인터럽트의 입력이 없는 등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이동통신단말기를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진입시켜 DSP에 공급되는 전력을 줄인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DSP의 블록 중 DSP 내부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특정 블록에 공급되는 전력만을 차단하는 슬립모드(sleep mode)에 가까운 절전 방법을 채용함에 따라 DSP 대기 전류가 고정적으로 300μA 내지 400μA 이상이 소모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 대기 시간이 DSP에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에 비해 약 20% 내지 30%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DSP가 대기모드로 진입하고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DSP에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시간을 증가시키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SP에 전원을 공급하는 DSP 전원부;상기 DSP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모드를 판단하는 DSP 모드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DSP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DSP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없는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MSM(mobile station modem)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MSM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SP에 전원을 전달하는 DSP 전원부 및 상기 DSP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으로, 상기 DSP의 전원공급모드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상기 판단된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의 DSP 전원 제어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상기 전원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부로 상기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전원공급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없는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없는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radio frequency)부(110), 전원부(120), 디지털신호처리부(130), 입력부(140), 표시부(150), 저장부(160) 및 MSM(mobile station modem)(170)을 포함한다.
상기 RF부(110)는 상기 MSM(17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MSM(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RF부(110)는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RF부(110)의 송신부(미도시)에 공급되는 전력이 적어지거나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전원부(120)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MSM(170) 등 전원을 필요로 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여러 구성부품에 해당 구성부품에 적합하도록 처리된 전원을 전달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130)는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음성코딩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역할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130)는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134)와, 상기 MSM(17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DSP(134)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 수행하는 DSP 전원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130)는 상기 MSM(170)으로부터 상기 DSP(134)에 입력된 전력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DSP(134)가 상기 DSP 전원부(132)로부터 끌 어오는 전력량을 조절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DSP(134)가 상기 MSM(170)으로부터 정상 모드 신호(normal mode signal)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DSP(134)에 포함된 대부분의 블록이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DSP(134)는 상대적으로 큰 전류, 예를 들어 약 150 mA의 전류를 상기 DSP 전원부(132)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반면에 상기 DSP(134)가 상기 MSM(132)으로부터 대기 모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DSP(134)의 블록 중 일부분의 블록, 예를 들어 내부 저장부 블록, 비디오 블록 등만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DSP(134)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류, 예를 들어 약 300μA 내지 약 400μA의 전류를 상기 DSP 전원부(132)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정상 모드 및 대기 모드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술한다.
상기 입력부(140)는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MSM(170)으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상기 MSM(170)의 표시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영상이나 문자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MSM(170)의 제어시에 필요한 동작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60)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력관리를 위한 상기 MSM(170)의 제어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상기 MSM(17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상모드(normal mode)시 상기 DSP 전원부(132)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차단모드(cutoff mode)시 상기 DSP 전원부(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MSM(17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특히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130)의 상태를 감시(monitor)하여 상기 DSP(134)를 정상모드, 대기모드 또는 차단모드(cutoff mode)로 동작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차단모드로 동작시킬 경우, 상기 MSM(170)은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132)로 DSP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cutoff)한다.
한편, 상기 판단결과 정상모드로 동작시킬 경우, 상기 MSM(170)은 상기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132)로 DSP 전원 공급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MSM(170)은 상기 DSP(134)로 상기 DSP(134)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대기모드로 동작시킬 경우, 상기 MSM(170)은 상기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132)로 DSP 전원 공급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MSM(170)은 상기 DSP(134)로 상기 DSP(134)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모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MSM(170)은 상기 DSP(134)가 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MSM-DSP 인터페이스 라인을 통해 아무런 상기 DSP(134)의 동작을 감지하지 못 한 경우,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132)로 DSP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로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cutoff)한다. 그리고 상기 MSM(170)은 상기 DSP(134)가 대기모드로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MSM-DSP 인터페이스 라인을 통해 상기 DSP(134)의 동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DSP(132)로 정상 모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정상모드라 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카메라 모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 등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의 동작 또는 키입력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상기 MSM(170)에 입력되고, 상기 MSM(170)이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134)로 출력하여, 상기 DSP(134)에 포함된 대부분의 블록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DSP(134)에 최대 전력(full power)이 공급되는 정상 전력공급 모드이다.
또한, 대기모드라 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통화대기 상태에 놓여 있고 다른 작업이 상기 DSP(130)에 의해 수행되고 있지 않아 상기 MSM(170)이 대기 모드 신호를 상기 DSP(134)로 출력하여, 상기 DSP(134)에 포함된 블록 중 일부분의 블록만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DSP(134)에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이 공급되는 절전 전력 공급 모드이다.
그리고, 차단모드라 함은 상기 DSP(134)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 내지 50초 동안 상기 DSP(134)에 아무런 동작이 없어, 상기 MSM(170)이 DSP 전원 차단 신호를 상기 DSP 전원부(132)에 출력하고, 상기 DSP(130)에 공급되는 전력이 완전히 차단되는 절전 전력공급 모드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MSM 및 디지털신호처리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MSM(172)은 이동통신처리부(172), DSP 모드 판단부(174) 및 DSP 전원 제어부(176)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130)는 DSP 전원부(132) 및 DSP(13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처리부(172)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무선 자원을 활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모듈로서 공지의 이동통신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동작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상기 DSP(134)의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DSP(134)의 모드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DSP(134)의 모드는 정상적인 전원이 상기 DSP(134)에 공급되는 정상모드, 정상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이 상기 DSP(134)에 공급되는 대기모드 및 상기 DSP(134)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차단모드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상기 DSP 모드를 상기 DSP(134)와 상기 MSM(170) 간에 데이터 및 제어정보를 교환하는 MSM-DSP 인터페이스 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에 근거해 상기 DSP(134)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DSP(134)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DSP(134)를 차단모드로 진입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상모드, 대기모드 및 차단모드 간의 모드전환기준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공 지된 여러 기준이 존재하는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DSP(174)의 모드는 상기 정상모드, 대기모드 및 차단모드 뿐만 아니라 상기 DSP(134)에 공급되는 전력량에 차이가 있는 여러 다양한 모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에 의해 결정된 상기 DSP 모드에 따라 상기 DSP 전원부(132)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DSP 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DSP 전원부(132)로 DSP 전원 공급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DSP 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DSP 전원부(132)로 DSP 전원 차단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DSP(134)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DSP 전원부(132)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DSP(134)에 적합하게 변환, 예를 들어 강하(step-down) 및 안정화시킨 후, 상기 DSP 전원 공급/차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SP(134)로 변환된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DSP 전원부(132)는 DC-DC 변환기(DC to DC converter), 차지 펌프(charge pump),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 또는 기타 전원 제어 집적회로 등 다양한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DSP(134)는 상기 MSM(17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DSP 전원부(132)로부터 안정된 DC 전압을 공급받아 작동한 다.
또한, 상기 DSP(134)는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로부터 상기 DSP(134)가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에 의해 판단된 전원공급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공급 모드 신호, 즉 정상 모드 신호 또는 대기 모드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상기 전원공급 모드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즉, 상기 DSP(134)는 상기 정상 모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DSP에 포함된 대부분의 블록에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대기 모드 신호를 입력받으면 일부분의 블록에만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DSP(134)는 내부 저장부(미도시),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및 NAND(not AND)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DRAM(synchronous dynamic RAM)은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리프레쉬(refresh) 동작을 수행해야 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실된다. 상기 SDRAM의 리프레쉬 동작을 위해서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야 하며 이에 따른 전력소모가 발생한다. 반면에 상기 NAND 메모리는 전원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된다. 상기 SDRAM의 속도가 상기 NAND 메모리의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상기 DSP(134)를 부팅하거나 상기 DSP(134)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되어 재부팅하는 경우, 상기 NAND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SDRAM으로 로딩(loading)하여 상기 DSP(134) 동작에 이용하게 된다. 상기 DSP(134)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인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MSM(170)의 DSP 모드 판단부(174)는 상기 DSP(134)로부터 상기 DSP(134)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MSM-DSP 인터페이스 라인을 통해 전달받아 DSP 모드를 결정한다(S100).
그 후,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상기 결정된 DSP 모드가 차단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상기 S120 단계 판단결과 상기 DSP 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MSM(170)의 DSP 전원 제어부(176)는 DSP 전원 차단 신호를 GPIO 핀을 통해 디지털신호처리부(130)의 DSP 전원부(132)로 출력하고(S140)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S120 단계 판단결과 상기 DSP 모드가 차단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DSP 전원 전달 신호를 GPIO 핀을 통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130)의 DSP 전원부(132)로 출력하고(S160) 절차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MSM(170)의 DSP 모드 판단부(174)는 DSP(134)로부터 상기 DSP(134)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MSM-DSP 인터페이스 라인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DSP(134)의 DSP 모드를 결정한다(S200).
그 후,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상기 DSP 모드가 정상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상기 S210 단계 판단결과, 상기 DSP 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MSM(170)의 DSP 전원 제어부(176)는 DSP 전원 공급 신호를 GPIO 핀을 통해 디지털신호처리부 (130)의 DSP 전원부(132)로 출력한다(S220).
그 후,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DSP(134)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134)로 출력(S230)하고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S210 단계 판단결과, 상기 DSP 모드가 정상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상기 DSP 모드가 차단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상기 S240 단계 판단결과, 상기 DSP 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DSP 전원 차단 신호를 GPIO 핀을 통해 DSP전원부(132)로 출력(S250)하고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S240 단계 판단결과, 상기 DSP 모드가 차단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DSP 전원 공급 신호를 GPIO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132)로 출력한다(S260).
그 후,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DSP(134)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모드 신호를 상기 DSP(134)로 출력한다(S270).
그 후, 상기 DSP 모드 판단부(174)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DSP(134)의 동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80).
상기 S280 단계 판단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DSP(134)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S230 단계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S280 단계 판단결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DSP(134)의 동작이 없는 경우, 상기 DSP 전원 제어부(176)는 상기 S250 단계로 이동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에도 DSP 전원부에 계속적으로 DSP 전원 공급 신호가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따라 DSP에서, 예를 들어 시스템 전력으로 1.2 V, SDRAM 전력으로 1.8 V 그리고 비디오 입출력 및 MPEG 변환 등 주변(peripheral)모듈 전력으로 2.85 V가 입력됨에 따라, 각각 0.05 mA, 0.250 mA 및 0.119 mA , 총 0.374 mA 정도의 동작전류가 DSP로 공급된다. 대기모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소비되는 전류가, 예를 들어 총 1.319 mA 임에 비추어 보아, 대기모드에서 상기 DSP가 소모하는 전류가 총 소모 전류의 약 28%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기모드에서 상기 DSP에서 소비되는 전류를 제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대기시간을 약 20% 늘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DSP 전원부에 입력되는 DSP 전원 공급/차단 신호를 MSM에 의해 제어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도 DSP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으면 DSP 전원부를 오프(off)시켜 DSP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거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대기시간을 증가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DSP가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DSP에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SP에 전원을 공급하는 DSP 전원부;
    상기 DSP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모드를 판단하는 DSP 모드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DSP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DSP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없는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MSM(mobile station modem)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DSP 전원 제어부는 상기 MSM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상기 DSP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SP 전원을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DSP에 전원을 전달하는 DSP 전원부 및 상기 DSP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으로,
    상기 DSP의 전원공급모드를 판단하는 모드판단단계;
    상기 판단된 전원공급모드에 따라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DSP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상기 전원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부로 상기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 전원공급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DSP 전원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정상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상기 전압공급모드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DSP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없는 경우 상기 DSP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DSP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단계는
    대기모드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DSP의 동작이 있는 경우 상기 DSP가 정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정상 모드 신호를 상기 DSP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KR1020050098806A 2005-10-19 2005-10-19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68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06A KR100686875B1 (ko) 2005-10-19 2005-10-19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CNA2006101400948A CN1953590A (zh) 2005-10-19 2006-10-18 移动通信终端的dsp电源控制方法及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06A KR100686875B1 (ko) 2005-10-19 2005-10-19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875B1 true KR100686875B1 (ko) 2007-02-26

Family

ID=3805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06A KR100686875B1 (ko) 2005-10-19 2005-10-19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6875B1 (ko)
CN (1) CN19535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6283A (zh) * 2008-09-23 2010-03-31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降低射频sim卡在待机模式下功耗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98806 - 7604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3590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4740B2 (en) Power supply efficiency optimization
EP1580971B1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hone
US6710578B1 (en) Power resource management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88102B1 (ko) 집적회로장치
KR1015384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게이징 방법 및 장치
US7522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handheld communication system
WO2008093278A1 (en) Control of awake time in mobile device
CN110176643B (zh) 一种充电方法、供电方法、电源管理设备及终端设备
RU264351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требляемой мощностью
JP2013531822A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モジュールの電源管理方法及び装置
US20120280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current in device using rechargeable battery
WO2011012038A1 (zh) 剩余电池电量使用方法及装置
US74967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locks for standby mode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4530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tate transitions based on timer events
US7589503B2 (en) Re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enabling or interrupting recharging procedure for rechargeable batte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charging method thereof
CN108227900B (zh) 电子设备、节能控制方法、节能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068687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dsp 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US20130038126A1 (en) Standby power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standby power
JP2004088521A (ja) 複合携帯電話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電池残量による無線方式自動切替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80100717A (ko) 전력소비모듈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배터리팩과 이를이용한 전원제어방법
KR20040069516A (ko) 절전모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95586B1 (ko) 휴대단말기의 전원 절약장치 및 방법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706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방법
KR2006012080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