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856B1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856B1
KR100685856B1 KR1020050110813A KR20050110813A KR100685856B1 KR 100685856 B1 KR100685856 B1 KR 100685856B1 KR 1020050110813 A KR1020050110813 A KR 1020050110813A KR 20050110813 A KR20050110813 A KR 20050110813A KR 100685856 B1 KR100685856 B1 KR 10068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conveyor belt
foreign matter
separa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개암 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개암 이엔티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개암 이엔티
Priority to KR102005011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함체의 하부에 슬러지 배출스크류가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로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함체 상부의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가라않는 스크랩바가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에 청수공급노즐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함체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발판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이송컨베이어 밸트의 구동로울러가 설치되는 양측에 소정 넓이로 연장시킨 형태를 갖는 작업공간부가 일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발판은 고정발판과 가변발판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발판은 일측단이 힌지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체의 양측면에 작업공간부를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 벨트와 그에 따른 구동부를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발판이 젖혀지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함체의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함체, 슬러지 배출스크류, 작업공간부, 가변발판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SEPARATION REMOVER TANK OF FOREIGN MATERIAL FRACTIO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함체 3:이송컨베이어
4:발판 11,11':작업공간부
31:구동로울러 41:고정발판
42:가변발판 421,421':힌지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쇄된 건설폐기물속에 포함된 부유물질 및 가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류하여 골재를 재활용하도록 선별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세척수가 채워 지는 탱크(함체)의 양측면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작업공간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 벨트와 그에 따른 구동부를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발판을 고정발판과 가변발판으로 구분지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그 내부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안전을 위한 목적으로 이를 다시 부순 후 재건축을 하게 되고, 건축물을 부수는 과정에서 철골 및 벽면, 슬래브, 천정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 목재, 유리, 합성수지가포함 된 다량의 건설 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건설 폐기물은 초기에는 특정한 장소에 매립하여 처리하였으나, 매립 후 발생되는 침출수로 인해 토양이 다시 오염되는 원인으로 현재는 거의 매립하지 않고 대부분을 재활용하고 있다.
즉, 건축물을 부수는 과정에서 발생된 건설 폐기물 중 재활용이 가능한 철골 등을 먼저 수거한 후 콘크리트를 분쇄기로 분쇄시키고, 분쇄된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다량의 이물질은 별도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통해 분리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재생골재를 얻고, 재생골재를 얻는 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인 폐목편, 직물류조각, 프라스틱, 종이류, 비닐류는 소각으로 폐기처분하면 된다.
한편, 분쇄된 콘크리트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이물질 선별장치는 재생골재 및 재생골재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매개체의 따라 습식선별법 및 건식선별법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습식선별법은 물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송컨베이어 벨트를 통 해 금속재가 분리된 콘크리트 분쇄물을 수조내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분쇄물과 이물질과의 비중 차이에 의해 이물질이 수조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하고, 그 상부로 떠오른 이물질을 별도의 제거장치 또는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선별되도록 하고, 동시에 이물질이 제거된 콘크리트 분쇄물(골재)은 별도의 이송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 모아 놓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선별법에 사용되어지는 이송컨베이어 벨트는 수조의 내부 즉, 그 양측벽 사이에 거의 밀착되는 형태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로울러 역시 양측벽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건축 폐기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송컨베이어 벨트의 마모나 기타 구동 로울러의 지지부 등을 교체 및 점검할 경우, 구동로울러 및 구동로울러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간격이 매우 협소함에 따라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다량의 세척수가 채워지는 함체의 양측면에 작업공간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 벨트와 그에 따른 구동부를 용이하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발판을 고정발판과 가변발판으로 구분지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탱크의 내부로 들어가 점검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류용 솔팅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체의 하부에 슬러지 배출스크류가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로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함체 상부의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가라않는 스크랩바가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에 청수공급노즐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함체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발판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에 있어서, 상기 함체(1)는 이송컨베이어 밸트(3)의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되는 양측에 소정 넓이로 연장시킨 형태를 갖는 작업공간부(11)(11')가 일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발판(4)은 고정발판(41)과 가변발판(42)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발판(42)은 일측단이 힌지(421)(421')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는 작업공간부(11)(11')의 내측단이 가운데 중심의 저부를 향하여 양측으로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그 양측면이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되는 경사진 부위로 다수개의 청수공급노즐(12)(12')(12")을 설치하고, 상기 청수공급노즐(12)(12')(12")에 분배기(13)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는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된 일측의 상부를 주변보다 더 낮게 형성한 요홈형태를 갖는 제1오버플러워부(1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는 슬러지 밸브(21)가 설치된 상측으로 그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넘쳐 배출되는 제2오버플러워부(15)를 설치하되, 상기 제2오버플러워부(15)는 일측으로 편심되어진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로울러(31)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 벨트(3)는 함체(1)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캐스터(16)(16')에 의하여 그 양측이 눌려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오버플로워(14) 하부에는 제1슈트(51)를 갖는 제1탈수진동스크린(5)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슈트(51)의 배출측이 제2오버플로워(15)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함체(1)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하부에 제2슈트(6)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슈트(6)의 배출측이 제2오버플로워(15)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오버플로워부(15)가 위치한 하부에는 제3슈트(71)를 갖는 미세이물질 제거진동 스크린(7)을 설치하되, 상기 미세이물질 제거진동 스크린(7)의 상부가 제2오버플로워부(15) 및 슬러지 배출밸브(21)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도록 하며 그 하부의 제3슈트(71)의 출구측이 유량조절조(8)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 슬러지 배출스크류(2), 이송컨베이어 벨트(3), 발판(4), 제1탈수진동스크린(5), 제2슈트(6) 그리고 미세이물질제거 진동스크린(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함체(1)는 미도시한 급수펌프로 부터 공급되어지는 세척수( 물)가 항상 일정한 량 만큼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미도시된 공급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공급되어지는 분쇄된 건축 폐기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에 부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이를 분리시키는 주된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하부에는 슬러지 배출스크류(2)가 외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2)에 결합되어 항상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슬러지 배출스크류(2)의 끝단에는 슬러지 배출밸브(21)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오버플로워(14) 하부에는 제1슈트(51)를 갖는 제1탈수진동스크린(5)이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제1슈트(51)의 배출측이 제2오버플로워(15)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함체(1)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하부에 제2슈트(6)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제2슈트(6)의 배출측이 제2오버플로워(15)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전후 및 좌우 공간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어지는 슬러지를 그 중앙으로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후술하는 작업공간부(11)(11')의 하부는 가운데 중심의 하부를 향하여 양측으로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슬러지 배출스크류(2)의 양측단이 위치하는 부분 역시 소정의 경사각을 갖으며 내측 하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진 부분에는 슬러지 배출밸브(21)가 설치된 슬러지 배출스크류(2)의 부분만 제외한 모든면(구동 로울러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분배기(13)에 결합된 청수공급노즐(12)(12')(12")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발생되어진 슬러지가 뒷 부분 즉, 슬러지 배출밸브(21)가 설치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공간부(11)(11')는 함체(1)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진 부분이 끝나는 그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소정 넓이로 연장된 형태를 취하도록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 벨트(3)와 그에 따른 피동로울러(31)의 설치와 해체 그리고 점검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3)는 작업공간부(11)(11')의 하단 양측 사이로 설치된 것으로 그 일측에는 베어링으로 지지된 피동로울러(31)가 미도시한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측은 함체(1)의 밖으로 미도시된 피동 로울러 사이에 연결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 벨트(3)는 피동로울러(31)에 의하여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위치로 부터 일정한 거리 즉, 슬러지 배출스크류(2)의 절반 정도 길이에 해당하는 곳에 함체(1)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캐스터(16)(16')에 의하여 그 양측이 눌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기물의 골재가 일정한 거리까지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더 분류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1)는 이송컨베이어 밸트(3)의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된 일측의 상부를 주변보다 더 낮게 형성하여 요홈형태를 갖는 제1오버플러워부(14)를 설치하여 함체(1)에 채워진 물의 일부가 오버플러워되면서 그 위에 떠있는 이물질이 같이 넘쳐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오버플러워부(14)의 상부에는 구동로울러(17)와 종동로울러(18) 및 이들을 연결하는 스크랩바(191)이 구비된 배출컨베어어 벨트(19)가 결합되어 있어 물의 표면에 떠오른 이물질을 물과 같이 바깥쪽 즉, 제1오버플로워부(14)가 형성된 방향으로 끌어 이동시킴으로써 이물질의 배출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판(4)은 함체(1)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고정발판(41)과 가변발판(4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발판(42)은 그 일측단이 힌지(421)(421')로 함체(1)의 상부에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상부로 젖혀 온픈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업공간부(11)(11')로 들어가 이송 컨베이어벨트(3)의 점검 및 교체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함체(1)는 슬러지 배출밸브(21)가 설치된 상측으로 그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넘쳐 배출되는 제2오버플러워부(15)를 설치하되, 상기 제2오버플러워부(15)는 일측으로 편심되어진 형태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슬러지 배출밸브(21) 및 이와 결합된 미도시한 다른 배출 파이프 사이에서 상호 간섭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오버플로워부(15)가 위치한 하부에는 제3슈트(71)를 갖는 미세이물질 제거진동 스크린(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미세이물질 제거진동 스크린(7)의 상부가 제2오버플로워부(15) 및 슬러지 배출밸브(21)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세이물질 제거진동스크린(7) 하부의 제3슈트(71)의 출구측이 유량조절조(8)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속에 포함된 이물질과 사용가능한 골재를 분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도시한 세척수 공급부의 구동으로 인하여 세척수가 함체(1)의 내부로 공급되어 제1,2오버플로워부(14)(15)로 넘치게 될 경우, 미도시된 구동 로울러에 의하여 피동로울러(31)가 구동됨으로써, 여기에 연결된 이송 컨베이어 벨트(3)가 이송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함체(1)의 상부로 투입하게 됨과 동시에 투입된 건설폐기물이 물속으로 가라앉으면서 그 속에 포함된 비중이 낮은 이물질은 물의 표면으로 떠오르게 되며, 물속으로 가라않은 골재는 그 하부에서 이송되어지고 있는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상부에 올려지게 된다.
다음, 이송컨베이어 벨트(3)에 올려진 골재는 함체(1)의 내부로 이송되는 가운데 미처 분리되지 못한 이물질이 재차 분리되어진 후 캐스터(16)(16')가 양측을 누르고 있는 부분을 지나 함체(1)의 물밖으로 나오면서 이송되어진다.
이때, 함체(1)의 물밖으로 나오면서 이송되어지는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상부 표면으로 재자 분리되어지는 과정에서 남아 있는 나머지의 이물질이 세척노즐(N)을 통해 분사되어지는 세척수에 의하여 분리되어지면서 제2슈트(6)를 경유하고, 골재와 분리된 이물질과 물은 제2슈트(6)를 통해 제2오버플로워(15)로 이송된다.
다음, 물의 표면으로 떠오른 이물질은 제1오버플로워부(14)에 의하여 넘쳐나 는 물과 같이 배출되어지며, 이때 그 상부에 설치된 구동로울러(17)와 종동로울러(18) 및 이들을 연결하는 배출컨베이어 벨트(19)의 스크랩바(191)에 의하여 물의 표면에 떠오른 이물질을 물과 같이 바깥쪽으로 걷어 당김에 따라 이물질의 배출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물질과 같이 배출된 물은 제1진동스크린(5)을 통해 이물질로 부터 물이 분리되어지며, 분리되어진 물은 그 하부에 설치된 제1슈트(51)를 통해 제2오버플로워(15)로 이송어지고, 물이 제거된 이물질은 별도의 장소로 배출되어진다.
이러한 과정 중에 슬러지(골재로 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제외한 토분)는 하부로 가라앉아 슬러지 배출스크류(2)의 끝단 즉, 슬러지 배출밸브(21)로 부터 가장 먼 거리에 쌓이게 됨과 동시에 슬러지의 배출저항으로 작용하게 되나, 이때 분배기(13)를 통하여 각각의 청수공급노즐(12)(12')(12")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슬러지를 포함한 물이 슬러지 밸브(21)가 설치된 방향으로 순환되어짐으로써, 슬러지 밸브(21)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부는 제2오버플로워(15)를 통해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나머지는 가라앉으면서 슬러지 배출스크류(2) 및 슬러지 밸브(21)를 통해 배출되어 배출저항을 줄이면서도 골재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물속에 포함된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러지가 포함된 상태에서 제2오버플러워(15)를 통해 배출된 물은 그 하부에 설치된 미세이물질 제거 진동스크린(7)에 의하여 1mm 이상의 미세이물질이 탈수되어 미도시된 벨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고, 1mm이하의 크기를 갖는 슬러지는 그 하부에 설치된 제3슈트(71)를 통해 매설된 유량조정조(8) 및 미도시된 슬 러지침전조 그리고 슬러지 반응조를 경유하면서 응집된 슬러지가 슬러지침전탱크로 유입 자연침전되어지게 되며, 슬러지 배출스크류(2)를 통해 배출된 슬러지 역시 슬러지반응조를 경유하면서 응집된 슬러지가 슬러지침전탱크로 보내져 자연침전된 상태에서 이를 농축교반탱크로 이송시켜 필터 프레스로 물기가 제거된 후 처리하면 된다.
한편, 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이송컨베이어 벨트(3)가 마모되어 교체하거나, 이를 이송시키는 피동로울러(31)의 구성품을 교체 또는 점검하고자 할 경우, 함체(1)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모두 배출한 상태에서 그 상단 양측에 힌지(421) (421')로 고정된 가변발판(42)을 위로 젖혀놓고, 그 하부로 드러나는 작업공간부(11)(11')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필요한 작업을 하면 된다.
다음, 점검 및 교체의 작업이 끝난 후 젖혀져 있던 가변발판(42)을 원래의 상태로 다시 덮어놓은 상태에서 골재의 선별작업을 계속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수가 채워지는 함체의 양측면에 작업공간부가 설치되도록 하고, 그 상부에 가변발판이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함체의 내부로 들어가 이송컨베이어 벨트와 그에 따른 구동부품의 점검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Claims (7)

  1. 함체의 하부에 슬러지 배출스크류가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로 이송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함체 상부의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가라않는 스크랩바가 설치된 배출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어지며 그 상부에 청수공급노즐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함체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발판이 설치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에 있어서,
    상기 함체(1)는 이송컨베이어 밸트(3)의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되는 양측에 소정 넓이로 연장시킨 형태를 갖는 작업공간부(11)(11')가 일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발판(4)은 고정발판(41)과 가변발판(42)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발판(42)은 일측단이 힌지(421)(421')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는 작업공간부(11)(11')의 내측단이 가운데 중심의 저부를 향하여 양측으로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그 양측면이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되는 경사진 부위로 다수개의 청수공급노즐(12)(12')(12")을 설치하고, 상기 청수공급노즐(12)(12')(12")에 분배기(13)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는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피동로울러(31)가 설치된 일측의 상부를 주변보다 더 낮게 형성한 요홈형태를 갖는 제1오버플러워부(1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는 슬러지 밸브(21)가 설치된 상측으로 그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가 넘쳐 배출되는 제2오버플러워부(15)를 설치하되, 상기 제2오버플러워부(15)는 일측으로 편심되어진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로울러(31)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 벨트(3)는 함체(1)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캐스터(16)(16')에 의하여 그 양측이 눌려지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제1오버플로워(14) 하부에는 제1슈트(51)를 갖는 제1탈수진동스크린(5)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1슈트(51)의 배출측이 제2오버플로워(15)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함체(1)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 이송컨베이어 벨트(3)의 하부에 제2슈트(6)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제2슈트(6)의 배출측이 제2오버플로워(15)에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버플로워부(15)가 위치한 하부에는 제3슈트(71)를 갖는 미세이물질 제거진동 스크린(7)을 설치하되, 상기 미세이물질 제거진동 스크린(7)의 상부가 제2오버플로워부(15) 및 슬러지 배출밸브(21)의 간격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지도록 하며 그 하부의 제3슈트(71)의 출구측이 유량조절조(8)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KR1020050110813A 2005-11-18 2005-11-18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KR10068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13A KR100685856B1 (ko) 2005-11-18 2005-11-18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13A KR100685856B1 (ko) 2005-11-18 2005-11-18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856B1 true KR100685856B1 (ko) 2007-02-22

Family

ID=3810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813A KR100685856B1 (ko) 2005-11-18 2005-11-18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8837A (zh) * 2010-12-01 2011-06-01 南京大学 一种腐殖化垃圾水力分选设备及其分选方法
CN102430469A (zh) * 2011-11-02 2012-05-02 重庆大学 生活垃圾分选工艺及其分选装置
CN106001075A (zh) * 2016-06-30 2016-10-12 柳州市久日工程机械有限公司 移动式水选轻物质分离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828U (ko) * 1996-09-20 1998-06-25 김종진 스크린 교환장치
KR19990017560U (ko) * 1999-01-23 1999-05-25 권수길 쓰레기분리용골재선별장치
KR20050031104A (ko) * 2005-03-12 2005-04-01 박창규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KR100534680B1 (ko) 2003-02-07 2005-12-08 주식회사 삼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828U (ko) * 1996-09-20 1998-06-25 김종진 스크린 교환장치
KR19990017560U (ko) * 1999-01-23 1999-05-25 권수길 쓰레기분리용골재선별장치
KR100534680B1 (ko) 2003-02-07 2005-12-08 주식회사 삼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KR20050031104A (ko) * 2005-03-12 2005-04-01 박창규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8837A (zh) * 2010-12-01 2011-06-01 南京大学 一种腐殖化垃圾水力分选设备及其分选方法
CN102430469A (zh) * 2011-11-02 2012-05-02 重庆大学 生活垃圾分选工艺及其分选装置
CN106001075A (zh) * 2016-06-30 2016-10-12 柳州市久日工程机械有限公司 移动式水选轻物质分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040004294A (ko)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CA30940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and washing sand
KR100685856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제거용 세퍼레이션 리뮤버 탱크
KR102364327B1 (ko) 골재·슬러지 원샷루프형 배출과 2단계 이물질 분리배출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분리배출장치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20050031104A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7797B1 (ko)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81575Y1 (ko) 폐 콘트리트 재생장치의 부유성 이물질 분리장치
KR100931471B1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89099B1 (ko)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골재배출장치
GB2606045A (en) Sand rinsing apparatus
KR200390469Y1 (ko)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KR100430837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GB2457068A (en) Aggregate washing apparatus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464790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