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605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605B1
KR100685605B1 KR1020060102239A KR20060102239A KR100685605B1 KR 100685605 B1 KR100685605 B1 KR 100685605B1 KR 1020060102239 A KR1020060102239 A KR 1020060102239A KR 20060102239 A KR20060102239 A KR 20060102239A KR 100685605 B1 KR100685605 B1 KR 10068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lectrode terminal
battery cell
circuit modu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06010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6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605B1/en
Priority to PCT/KR2007/001966 priority patent/WO20080662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 battery pack is provided to improve implemental robustness by forming an assembly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movement between a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The battery pack comprises: a battery cell(10) that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11)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supplies charged power; a protective circuit module(40) for preventing the overcharging or overdischarging of the battery cell(10);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30) to be join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11); a holder(20) that is joined to the top of the battery cell(10) and has a first opening(21) formed at the position to which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10) is joined; a cover case(50) that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40),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30), and the holder(20) and is united with the battery cell(10); and a connection plate(60a)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40).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Battery pack {BATTERY PACK}

도 1은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1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며,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1 실시예의 접속플레이트와 양극단자판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ttery pack,

도 4는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2 실시예의 결합단면도이고,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2 실시예에서 보호회로모듈이 접속플레이트에 의해 양극단자에 연결되어 굽혀지는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protective circuit module is bent and connected to a positive terminal by a connection plat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인 배터리 팩 중 제 2 실시예에서 보호회로모듈이 굽혀진 후 홀더와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with a holder after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ben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ttery pack,

도 8a는 본 발명인 배터리 팩의 결합사시도 중 라벨시트를 결합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며,Figure 8a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before the label sheet of the combin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b는 본 발명인 배터리 팩의 결합사시도 중 라벨시트를 결합한 후를 도시한 도면이고,Figure 8b is a view showing the after combining the lab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pack,

도 9a는 커버 케이스 및 보호회로모듈과 홀더의 결합과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upling process of the cover case and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holder.

도 9b는 커버 케이스 및 보호회로모듈과 홀더의 결합과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rocess of the cover case and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hold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 배터리 셀 11 : 음극단자10: battery cell 11: negative terminal

13 : 양극단자 20 : 홀더13: anode terminal 20: holder

21 : 제 1 개구부 25 : 끼움홈21: first opening 25: fitting groove

27 : 결합부 30 : 음극단자판27: coupling portion 30: negative terminal plate

35 : 양극단자판 40 : 보호회로모듈35: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40: protective circuit module

41 : 제 2 개구부 50 : 커버 케이스41: second opening 50: cover case

51 : 끼움돌기 57 : 외착부51: fitting protrusion 57: external parts

59 : 부착부 60 : 접속플레이트59: attachment portion 60: connection plate

70 : 하부 케이스 80 : 라벨시트70: lower case 80: label sheet

90 : 양면테이프 95 : 침수라벨90: double-sided tape 95: immersion label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구적 강도가 향상되고, 불량시 교체가 용이하며, 전체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킨 인너형(Inner type)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ner type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easy replacement in case of failure, and reduced overall weight and size.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인너형 배터리 팩은 배 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In general, an inner type battery pack used as a power sour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are combined.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Here, the battery cell is a form in which an electrode laminated unit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ing,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ing.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installed outside the battery cell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and overcharge of the battery.

즉,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포장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That is, the battery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ackaged in a unit form, and such a battery pack has become smaller, thinner, and lighter according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It is required.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2-334686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에는 이러한 배터리 팩의 일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에서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측면에 장착된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such a requirement,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33468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iscloses one embodiment of such a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pack in the prior art has a battery cell and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t includes a protective circuit module mounted, and an electrode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이때,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전극단자는 몰드성형부에 의하여 배터리 셀과 일체로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is fixed integrally with the battery cell by a mold molding portio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를 수지재의 사출에 의한 몰드성형부를 통해 배터리 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배터리 팩의 제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수 밖에 없었다. However, the battery pack of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fixing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to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mold molding by the injection of the resin material,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the manufacture of the battery pack.

또한, 상기와 같은 제조방식은, 몰드성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의 유동불량이 생길 경우, 몰드성형부의 크랙이나 핀홀이 생성되면서, 몰드성형부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flow defect of the molten resin occurs during the molding of the mold molding part, cracks or pinholes are generated in the mold molding part, and the strength of the mold molding part is weakened.

이러한 상기 문제점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몰드성형부가 쉽게 파손되면서 보호회로모듈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Due to this problem,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tection for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not made properly while the mold molded part is easily damaged from an external impact.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를 몰드성형부에 일체화시키는 구조로서, 보호회로모듈와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일체화된 몰드성형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is integrated into the mold molding part, and even if a defect occurs in any on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the entire integrated mold molding part needs to be replaced, so that replacement cost is high. There was an increasing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회로모듈과 양극단자판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기구적 견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can further improve mechanical robustness by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불량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can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defective product,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if any on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셀의 둘레면을 덮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전체적인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can reduce the overall weight and size by not using a separate case for cover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배터리 팩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 보호회로모듈과 양극단자판을 접속플레이트로 연결하여 유동을 방지하며, 기구적 견고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attery pa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battery pack that prevents the flow by connecting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to the connection plate, improving the mechanical robustness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음극단자판과,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tery cell comprising a negative terminal and a positive terminal, and supplies a charged power; A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preventing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at a position coupled to a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A cover cas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negative terminal plate, and the holder and coupled to the battery cell;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여기서, 상기 배터리 팩은 양극단자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접속플레이트는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본 양극단자판은 대략 " ㄴ "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본 접속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고 타측은 본 양극단자판의 돌출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battery pack further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the connection plate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of the present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또한, 상기 접속플레이트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일측에 연결되어 굽힘에 의해 상기 양극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by ben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극단자판은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홀더에 수용되어 상기 홀더에 마련된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Preferably, on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other side may be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first opening accommodated in the holder and provided in the holder.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ase for protecting the battery cell.

여기서, 상기 커버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ver case and the lower case may include an attachment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cell in the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본 홀더와 본 커버 케이스의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holder, and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cover case, so that the holder and the cover case may be mutually fit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음극단자판과 결합하는 부분에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단자판이 스폿(Spot)용접에 의해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at a portion that is coupl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may be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by spot welding.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holder is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battery cell, it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또한, 상기 홀더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battery cell by a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음극단자(11)와 양극단자(13)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10)과,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11)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30)과,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21)가 마련된 홀더(2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홀더(20)를 수용하도 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50)와, 상기 양극단자(13)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플레이트(60)를 포함한다.1 and 4,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and includes a battery cell 10 for supplying charged power and the battery cell 10.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for preventing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nega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the battery cell ( 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older 20,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and the holder 20, the first opening 21 is provided in a position that is coupled to the terminal of the 10). A cover case 5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and a connection plate 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13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배터리 팩은 양극단자판(35)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또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10)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라벨시트(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label sheet 80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 to prevent the flow of the battery cell 10.

여기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침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침수라벨(95)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n immersion label 95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attery cell 10 is flooded.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배터리 팩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10)은 상기 음극단자(11)를 포함하며, 본 음극단자(11)에 연결된 음극단자판(30)과 본 배터리 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양극단자판(35)을 통해 상기 보호회로모듈(40)(PCM;Protection Circuit Module)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충전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1 and 2, the battery cell 10 includes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30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PCM) to supply a charged power.

한편, 상기 배터리 팩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10)은 상기 음극단자(11)와 상기 양극단자(13)를 포함하며, 본 음극단자(11)에 연결된 음극단자판(30)과 본 양극단자(13)에 연결된 접속플레이트(60b)를 통해 상기 보호회로모듈(40)(PCM;Protection Circuit Module)과 전기적으로 접 속되어 충전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battery cell 10 includes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 11)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13 and the connection plate 60b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1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PCM; Protection Circuit Module) to supply the charged power. It is arranged to help.

또한, 상기 배터리 셀(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1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 electrode laminated unit consisting of a negative electrode sheet and a positive electrode sheet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ing.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attery cell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or a lithium ion battery.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셀(10)은 다른 배터리와 비교시 크기에 비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편리한 리튬이온으로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attery cell 10 is capable of charging a large voltage compared to the size compared to other batteries, and the power supply is sustainable for a long time after charging, consisting of a single battery as a convenient lithium ion Can be prepared.

상기 배터리 셀(10)은 본 배터리 셀(10)의 일측에 마련된 음극단자(11)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연결되어 있는 음극단자판(30)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타측에 상기 양극단자판(35)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The battery cell 10 is provided such that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He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배터리 셀(10)의 타측에 마련된 상기 양극단자(13)와 상기 접속플레이트(60b)가 결합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and the connection plate 60b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are provided to be coupled.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13)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상기 양극단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positive terminal 13 may be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nection plate 60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do.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판(35)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 일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coupled by laser welding.

상기 배터리 셀(10)은 상부에 상기 홀더(2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90)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상기 음극단자판(30)을 수용하도록 제 1 개구부(21)가 마련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1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older 2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For example, the battery cell 10 may be coupled using a double-sided tape 90 or an adhesive. In this case, the holder 2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21 to accommodate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at a position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10.

상기 배터리 셀(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홀더(20)와 결합된 후, 상기 커버 케이스(50)에 결합되며,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70)가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터리 셀(10)은 상기 양극단자판(35)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케이스(50)에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battery cell 10 is coupl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and the holder 20, and then the cover case ( 50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70. He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 10 may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and coupled to the cover case 50.

이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은 외력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해지며, 배터리 팩의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attery pack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 and the strength of the battery pack is also increased.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며, 또한, 상기 배터리 셀(10)의 폭발을 방지하고, 과도한 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며, 또는 배터리 셀(10)에 마련된 단자의 단락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provided to prevent overcharging or overdischarging of the battery cell 10, and also prevents explosion of the battery cell 10, prevents excessive current from flowing in, or prevents the battery cell from being discharged. It is provided to block the short circuit of the terminal provided in 10).

즉,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배터리 셀(10)의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조시 상기 배터리 셀(10)에 장착되어 작동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을 하도록 마련된다.That is,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battery cell 10 at the time of manufacture in order to ensure safety from the risk of explosion or the like of the battery cell 10, the service life of the battery cell 10 It is intended to serve as a prolonga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를 통해 상기 양극단자판(35)에 결합되며, 본 양극단자판(35)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He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s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through the connection plate 60a,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is provided to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attery cell 10.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도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를 통해 상기 양극단자(13)에 결합되며, 본 양극단자(13)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is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through the connection plate 60b, as shown in Figs. 4, 5 and 6. The anode terminal 13 is provided to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attery cell 1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의 일측이 화살표 방향(A)으로의 굽힘에 의해 상기 양극단자(13)와 결합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60b is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by bending in the arrow direction (A).

이 경우,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가 굽혀진 후 상기 홀더(20)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유동이 방지되며, 홀더(20) 또한, 본 보호회로모듈(40)과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7,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older 20 after the connection plate 60b is bent. As a resul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and the holder 20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to prevent the flow.

여기서,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접속플레이트(60b)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며, 예를 들어, 납땜방식 또는 스폿(Spot)용접방식에 의해 결합이 가능하다.Her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b in various ways, for example, can be coupled by a soldering method or a spot welding method.

한편,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도 1 및 도 2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극단자판(30)에 결합되며, 본 음극단자판(30)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or 4 and 5,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nd the battery cell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t i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of 10).

여기서, 상기 음극단자판(30)은 다양한 방식으로 보호회로모듈(40)의 중심부 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납땜방식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coupled by a soldering method.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음극단자판(30)과 결합하는 부분에서 제 2 개구부(41)를 포함하며, 본 제 2 개구부(41)를 통해 상기 음극단자판(30)이 상기 배터리 셀(1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음극단자(11)와 스폿(Spot)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ncludes a second opening portion 41 at a portion coupl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nd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second opening 41. It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and the spot (spot) provided in the (10).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홀더(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21)가 형성되며, 본 제 1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음극단자판(30)을 수용하여 본 음극단자판(30)이 상기 음극단자(11)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lder 2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to prevent flow. In this case, the holder 20 has a first opening 21 formed at a position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10, and accommodates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through the first opening 21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커버 케이스(50)에 수용되며, 유동방지와 외력으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케이스(50)는 외착부(57a)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의 유동 방지가 증대되며, 라벨시트(80)로 감싸는 경우, 상기 배터리 팩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case 50, and is provided to prevent flow and to protect from external force. In this case, the cover case 50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part 57a to increase the prevention of flow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and when wrapped with the label sheet 80,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battery pack. Can be.

음극단자판(30)은 일측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결합되어서, 본 보호회로모듈(40)이 상기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On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of the battery cell 10,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is the battery cell 10 )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음극단자판(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의 금속판에 굽힘을 가하여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11) 모두에 접속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 다.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or 4 and 5,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may be bent by applying a bending to a straight metal plate. It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both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상기 음극단자판(30)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음극단자판(30)의 양쪽 끝 부분이 본 보호회로모듈(40)에 접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극단자판(30)의 양쪽 끝 부분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의 중심부에 납땜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and both ends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by a soldering method.

또한, 상기 음극단자판(30)은 상기 음극단자(11)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정의 편이를 위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마련된 제 2 개구부(41)를 통해 스폿(Spot)용접에 의해 결합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in various ways. Preferably, for convenience of the process, it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by spot weld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41 provided i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상기 음극단자판(30)은 상기 배터리 셀(10)과 결합하는 상기 홀더(20)에 마련된 제 1 개구부(21)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음극단자판(30)은 상기 제 1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음극단자(11)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may b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ning 21 provided in the holder 2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That is,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through the first opening 21.

본 발명인 상기 배터리 팩 중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되는 상기 양극단자판(35)은 일측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연결되는 상기 접속플레이트(60a)에 결합되어서, 본 보호회로모듈(40)이 상기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a) connected to th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provided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10).

즉,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극단자판(35)은 대략 " ㄴ "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되며, 돌출부위인 타측은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접속플레이트(60a)에 결합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or 3,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the oth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approximately "a" shape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a) provided.

이 경우, 상기 양극단자판(35)은 상기 접속플레이트(60a)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폿(Spot)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a in various ways, for example, by spot welding.

여기서, 상기의 "대략"은 정확하게 " ㄱ " 자 또는 " ㄴ " 자와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 ㄱ " 자 또는 " ㄴ " 자와 유사한 형상도 가능함을 의미한다.Here, the above "approximately" does not need to be exactly the same shape as the "a" character or "b" character, it means that a shape similar to the "a" character or "b" character is possible as needed.

한편, 상기 양극단자판(35)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단자판(35)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by laser welding.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nickel plate.

홀더(2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을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The holder 2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to support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to prevent flow.

상기 홀더(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90)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결합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2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battery cell 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s provided to be coupled using a double-sided tape 90 or adhesive.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21 may be included at a position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of the battery cell 10 is coupled.

여기서, 상기 홀더(20)는 상기 제 1 개구부(21)에 의해 상기 음극단자판(30)을 수용하며, 본 제 1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음극단자(11)와 상기 음극단자판(30)이 연결되도록 마련된다.Here, the holder 20 accommodates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by the first opening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21. It is arranged to be connected.

상기 홀더(20)는 도 1,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마련된 결합부(27)를 통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o 7, the holder 20 is provided to be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part 27 provided in the holder 20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도 1, 도 2 내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는 본 홀더(20)의 길이방향의 외측면에 상기 양극단자판(35) 및 상기 접속플레이트(60a)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Figs. 2 to 9A, the holder 20 is the positive terminal plate 35 and the connection to the out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20; The plate 60a may be provided to contact.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도 4, 도 5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는 상기 양극단자(13)와 상기 접속플레이트(60b)에 결합되어 본 접속플레이트(60b)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o 9b, the holder 20 is coupled to the positive terminal 13 and the connection plate 60b to the present connection plate It may be provided to support 60b.

여기서, 상기 홀더(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가 굽혀진 후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홀더(20)뿐만 아니라 보호회로모듈(40)의 유동도 방지될 수 있다.Here, the holder 2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after the connection plate 60b is bent, as shown in FIG. Thereby, the flow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as well as the holder 20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홀더(2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50)와 결합하는 경우, 본 커버 케이스(50)에 마련된 끼움홈(25)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끼움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20)는 상기 커버 케이스(50)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20, as shown in Figure 9a, when combined with the cover case 50, the fitting protrusion (140)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5 provided in the cover case 50 ( 51). That is, the holder 20 may be supported by the cover case 50 to prevent flow.

여기서, 상기 끼움홈(25)은 상기 커버 케이스(5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tting groove 25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cover case 50.

한편, 상기 홀더(2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5)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커버 케이스(50)에는 끼움돌기(51)가 포함되어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B, the holder 20 may include a fitting groove 25. In this case, the cover case 50 may include a fitting protrusion 51 to enable fitting. Of course, it can be prepared.

여기서, 상기 커버 케이스(50)의 내주면에 상기 끼움돌기(51)를 형성하는 것보다는 상기 끼움홈(25)을 형성하는 것이, 실제 생산가공에서의 금형제작을 용이하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50)의 성형시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커버 케이스(50)에 끼움홈(25)을 형성하여 상 기 홀더(20)에 마련된 끼움돌기(51)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forming the fitting groove 25 rather than forming the fitting protrusion 5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case 50 may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mold in actual production processing, and Since molding failure rate of the cover case 50 can be reduced, as shown in FIG. 9A, the fitting protrusions 51 formed in the holder 20 are formed by forming fitting grooves 25 in the cover case 50. It is preferable to combine with).

커버 케이스(50)는,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양극단자판(35)과 상기 접속플레이트(60)를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양극단자판(35)과 상기 접속플레이트(60)를 보호하며, 유동의 방지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A, the cover case 5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the positive terminal plate 35, and the connection plate 60. . As a resul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and the connection plate 60 can be protected and flow can be prevented.

상기 커버 케이스(50)는 상기 배터리 셀(1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10)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57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착부(57a)는 대략 3밀리미터(mm)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The cover case 50 may include an external part 57a for fixing the battery cell 10 when the cover case 50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10. In this case, the external part 57a may be approximately. It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of 3 millimeters (mm).

여기서, 상기 3밀리미터는 외착부(57a)의 길이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길이의 외착부(57a)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3 millimeters are for illustrating the length of the external part 57a,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external parts 57a of various lengths.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착부(57a)와 본 배터리 셀(10)이 결합하는 부위의 둘레면을 상기 라벨시트(80)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의 기구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b,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battery cell 10,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outer portion 57a and the battery cell 10 is coupled to the label sheet 80 Can be fixed In this way,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attery pack can be increased.

상기 커버 케이스(5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와 결합하는 경우, 본 홀더(20)에 마련된 끼움돌기(51)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끼움홈(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 케이스(50)는 상기 홀더(20)를 지지하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A, when the cover case 50 is coupled to the holder 20, the cover case 50 has a fitting groove 25 to be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51 provided in the holder 20. It may include. As a result, the cover case 50 supports the holder 20 and can prevent flow.

여기서, 상기 끼움홈(25)은 상기 커버 케이스(5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tting groove 25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cover case 50.

상기 커버 케이스(50)는 상기 침수라벨(95)이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에 부착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착부(59)는 상기 커버 케이스(5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5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cover case 50 may include an attachment portion 59 on one side such that the submersion label 95 may be attached. Here, the attachment portion 59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over case 5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attachment portion 59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ver case 50.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는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양극단자판(35)과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연결되어 본 보호회로모듈(40)이 상기 배터리 셀(10)에 마련된 상기 양극단자판(35)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connection plate 60a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and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us,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provided to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10.

즉,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는 일측이 대략 " ㄴ " 자 형상으로 마련된 상기 양극단자판(35)의 돌출부위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at is, the connection plate 60a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one side of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60a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는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양극단자(13)를 연결하여 굽혀지며, 본 보호회로모듈(40)이 상기 배터리 셀(10)에 마련된 상기 양극단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connection plate 60b is bent by connecting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and the positive terminal 13,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is provided to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ositive terminal 13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10.

상기 접속플레이트(60)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니켈플레이트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가요성에 의해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를 상기 보호회로모듈(40) 및 상기 양극단자(13)에 연결하는 경우, 원활하게 굽힘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다.The connection plate 6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nickel plate. The nickel plate is excellent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when the connection plate 60b is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by flexibility, coupling by smooth bending is possible.

여기서, 가요성이란 외부의 힘에 의하여 물체가 구부러져 휘는 성질을 의미한다.Here, the flexibility refers to a property that the object is bent and bent by an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접속플레이트(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가능하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6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plate 60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Also, 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plate 6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t may be arranged.

상기 접속플레이트(6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며, 예를 들어, 납땜 방식 또는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속플레이트(60)는 상기 양극단자판(35)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며, 예를 들어, 스폿(Spot)용접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late 60 may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nnection plate 60 may be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by soldering or spot welding. 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60 may be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coupled by spot welding.

하부 케이스(70)는 상기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 배터리 셀(10)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The lower case 7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to protect the battery cell 10.

상기 하부 케이스(70)는 상기 배터리 셀(1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10)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57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외착부(57b)는 대략 3밀리미터(mm)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70 may include an external part 57b for fixing the battery cell 10 when the lower case 70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10. In this case, the external part 57b may be approximately It may be provided in the order of 3 millimeters (mm).

여기서, 상기 3밀리미터(mm)는 외착부(57b)의 길이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길이의 외착부(57b)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3mm (mm) is for illustrating the length of the external portion (57b),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may have an external portion (57b) of various lengths.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착부(57b)와 본 배터리 셀(10)이 결합하는 부위의 둘레면을 상기 라벨시트(80)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배터리 팩의 기구 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a and 8b, 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battery cell 10,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57b and the portion where the battery cell 10 is coupled to the label sheet ( 80). In this way,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attery pack can be increased.

라벨시트(80)는 상기 커버 케이스(50)가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양극단자판(35)과, 상기 홀더(20)를 수용하여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10)의 유동방지 및 기구적 견고성의 증가를 위해 상기 배터리 셀(10)의 둘레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In the label sheet 80, the cover case 50 accommodates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and the holder 20. In the coupled state 10, it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 in order to prevent flow of the battery cell 10 and increase mechanical robustness.

여기서, 상기 라벨시트(8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스(70)에 마련된 외착부(57a, 57b)를 감싸도록 마련된다.Here, the label sheet 80, as shown in Figure 8b,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xternal parts (57a, 57b) provided in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상기 라벨시트(80)는 외면에 문자나 이미지 또는 그래픽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문자나 이미지 또는 그래픽을 통해 제품의 상표나 상품명 또는 제조회사 등의 표시가 가능하다.The label sheet 80 may display one or more of a text, an image, or a graphic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trademark, a brand name, a manufacturer, or the like of the product through the letter, image or graphic.

침수라벨(95)은 침수상태 확인용 라벨로서, 상기 배터리 팩에 침수가 발생한 경우, 색의 변화 내지 침수라벨(95)에 표시된 표식의 번짐에 의해 침수상태를 확인가능 하도록 마련된다.The immersion label 95 is a label for checking the immersion state. When the battery pack is immersed in water, the immersion label 95 is provided to be able to check the immersion state by changing the color or spreading a mark displayed on the immersion label 95.

상기 침수라벨(95)은 상기 커버 케이스(50)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50)에 마련된 부착부(59)에 부착되어 상기 배터리 팩의 침수여부를 표시한다.The submersion label 95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cover case 5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 or 4, the attachment part 59 provided in the cover case 50 may be provided. It is attached to indicate whether the battery pack is flooded.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양극단자판(35)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는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본 양극단자 판(35)은 대략 " ㄴ "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본 접속플레이트(60a)의 일측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결합되고 타측은 본 양극단자판(35)의 돌출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wherein the connection plate 60a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is approximately "b".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hild,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60a)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positive terminal plate (35).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배터리 팩의 결합과정을 도 1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or 8.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양극단자판(35)을 레이저 용접방식으로 결합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by laser welding.

다음,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상기 양면테이프(90)를 결합하며, 본 양면테이프(90)가 테이핑 된 위치에 상기 상기 홀더(20)를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20)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개구부(21)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마련된 음극단자(11)와 결합되며, 본 홀더(20)의 일측면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일측에 결합된 상기 양극단자판(35)에 접촉된다.Next, the double-sided tape 9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and the holder 20 is coupled to the taped position of the double-sided tape 90.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21 formed in the holder 20 is coupl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provided on the battery cell 10, and one side of the holder 20 is the battery cell. In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coupled to one side of the (10).

다음, 별도의 공정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의 중심부에 상기 음극단자판(30)을 납땜방식으로 결합하며, 또한 본 보호회로모듈(40)의 일측면에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를 납땜방식 또는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한다.Next, by a separate process,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by soldering, and the connection plate 60a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Joining by soldering or spot welding.

다음, 전술한 별도 공정을 통해,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접속플레이트(60a)가 결합된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을 상기 홀더(20)에 결합한다. 여기서, 본 음극단자판(30)이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된 상기 홀더(20)의 제 1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음극단자(11)와 접속되도록 결합한다. Nex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parate process,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nd the connection plate 60a is coupled to the holder 20. Her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through the first opening 21 of the holder 2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이 경우,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를 통해 상기 양 극단자판(35)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20)와 결합하여 본 홀더(20)의 유동을 방지한다.In this cas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plate 35 through the connection plate 60a, and is coupled to the holder 20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lder 20.

여기서, 상기 음극단자판(30)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마련된 제 2 개구부(41)를 통해 상기 배터리 셀(1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음극단자(11)와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된다.Her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10 by a spot welding method through the second opening 41 provid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do.

또한,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는 상기 양극단자판(35)에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홀더(20)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부(27)를 통해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60a is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by a spot welding method, and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and the holde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part 27 formed at an edge thereof. Combined.

이 경우, 상기 음극단자판(30)을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하는 스폿(Spot)용접과 상기 접속플레이트(60a)를 상기 양극단자판(35)에 결합하는 스폿(Spot)용접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가능하다.In this case, spot welding for coupling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to the battery cell 10 and spot welding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late 60a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s possible.

다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홀더(20)와,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양극단자판(35)이 결합된 상기 배터리 셀(10)을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스(70)와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스(70)에 마련된 외착부(57a, 57b)가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 8A, the battery cell 10 in whic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e holder 20,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shown. It is coupled to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In this case, external parts 57a and 57b provided on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are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스(70)가 결합된 상기 배터리 셀(10)을 라벨시트(80)로 감싸며, 이 경우, 상기 외착부(57a, 57b)도 본 라벨시트(80)에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 8B, the battery cell 10 to which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are coupled is wrapped with a label sheet 80. In this case, the external parts 57a, 57b) is also coupled to the label sheet 80.

다음, 커버 케이스(50)의 상부에 마련된 부착부(59)에 침수라벨(95)을 부착 한다.Next, the immersion label 95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59 provided on the cover case 50.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접속플레이트(60b)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의 일측에 연결되어 굽힘에 의해 상기 양극단자(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late 60b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and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3 by bending.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배터리 팩의 결합과정을 도 4 또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or 8.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양극단자(13)를 레이저 용접방식으로 결합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anode terminal 13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by laser welding.

다음, 별도의 공정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의 중심부에 상기 음극단자판(30)을 납땜방식으로 결합하며, 또한 본 보호회로모듈(40)의 일측면에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를 납땜방식 또는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한다.Next, by a separate process, the negative terminal plate 3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by soldering, and the connection plate 60b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Joining by soldering or spot welding.

다음, 전술한 별도 공정을 통해,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접속플레이트(60b)가 결합된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을 본 접속플레이트(60b)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10)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양극단자(13)에 결합한다. Nex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parate process,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nd the connection plate 60b a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10 by the connection plate 60b. It is coupled to the anode terminal 13 provided.

이 경우,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는 상기 양극단자(13)에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plate 60b is coupled to the anode terminal 13 by a spot welding method.

다음,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상기 양면테이프(90)를 결합하며, 본 양면테이프(90)가 테이핑 된 위치에 상기 상기 홀더(20)를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20)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개구부(21)가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마련된 음극단자(11)와 결합되며, 본 홀더(20)의 일측면은 상기 양극단자(13)와 연결된 상기 접속플레이트(60b)에 결합된다.Next, the double-sided tape 9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10, and the holder 20 is coupled to the taped position of the double-sided tape 90.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21 formed in the holder 20 is coupl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provided on the battery cell 10, and one side of the holder 20 is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b connected with (13).

다음, 상기 접속플레이트(60b)가 굽혀지며, 본 접속플레이트(60b)에 결합된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이 상기 홀더(20)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음극단자판(30)이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된 상기 홀더(20)의 제 1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음극단자(11)와 접속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홀더(20)는 일측에 마련된 결합부(27)를 통해 결합된다.Next, the connection plate 60b is bent,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b is coupled to the holder 20. Her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through the first opening 21 of the holder 2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In additio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and the holder 20 is coupled through a coupling portion 27 provided on one side.

이 경우, 상기 보호회로모듈(40)은 상기 접속플레이트(60b)를 통해 상기 양극단자(13)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20)와 결합하여 본 홀더(20)의 유동을 방지한다.In this cas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13 through the connection plate 60b, and is coupled to the holder 20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lder 20.

여기서, 상기 음극단자판(30)은 상기 보호회로모듈(40)에 마련된 제 2 개구부(41)를 통해 상기 배터리 셀(1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음극단자(11)와 스폿(Spot)용접방식으로 결합된다.Her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is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1 provided in the battery cell 10 by a spot welding method through the second opening 41 provided in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40. do.

다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회로모듈(40)과, 상기 홀더(20)와, 상기 음극단자판(30)과, 상기 양극단자판(35)이 결합된 상기 배터리 셀(10)을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스(70)와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스(70)에 마련된 외착부(57a, 57b)가 상기 배터리 셀(10)에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 8A, the battery cell 10 in whic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40, the holder 20,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35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shown. It is coupled to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In this case, external parts 57a and 57b provided on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are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케이스(50) 및 상기 하부 케이 스(70)가 결합된 상기 배터리 셀(10)을 라벨시트(80)로 감싸며, 이 경우, 상기 외착부(57a, 57b)도 본 라벨시트(80)에 결합된다.Next, as shown in FIG. 8B, the battery cell 10 to which the cover case 50 and the lower case 70 are coupled is wrapped with a label sheet 80, and in this case, the attachment part 57a. , 57b) is also coupled to the label sheet 80.

다음, 커버 케이스(50)의 상부에 마련된 부착부(59)에 침수라벨(95)을 부착한다.Next, the submersion label 95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59 provided on the cover case 50.

전술한 배터리 팩의 결합과정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과정의 일부가 변경되어도 상관없음을 밝혀둔다.The above-described combining process of the battery pack is merely to exemplif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apparent that a part of the combining process may be chang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모듈과 양극단자판 상호간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기구적 견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mechanical robustness by forming a coupl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flow betwee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또한,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불량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교체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defect occurs in any on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it is easy to replace the defective produc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placement cost.

또한, 배터리 셀의 둘레면을 덮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무게와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case for cover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not used, the overall weight and size can be reduced.

또한, 배터리 셀을 보호하는 커버 케이스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xcellent strength can be provided by a cover case which protects the battery cell.

또한, 조립공정의 자동화에 의해, 배터리 팩의 제조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automation of the 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thereby improving the added value.

Claims (10)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과;A battery cell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supplying charged power; 상기 배터리 셀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회로모듈과;A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preventing overcharge or overdischarge of the battery cell;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음극단자판과;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단자와 결합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가 마련된 홀더와;A hold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and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at a position coupled to a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음극단자판과, 상기 홀더를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셀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와;A cover cas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negative terminal plate, and the holder and coupled to the battery cell;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And a connection plat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 팩은 양극단자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접속플레이트는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본 양극단자판은 대략 " ㄴ "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본 접속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고 타측은 본 양극단자판의 돌출부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battery pack further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the connection plate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is coupl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The other side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positive terminal pl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속플레이트는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일측에 연결되어 굽힘에 의해 상 기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connection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ositive terminal by bending.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음극단자판은 일측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홀더에 수용되어 상기 홀더에 마련된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One side of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is coupl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other side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first opening provided in the hold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배터리 셀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케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battery pack further comprises a lower case for protecting the battery cell.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커버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 셀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본 배터리 셀의 고정을 위한 외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cover case and the lower case include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portion for fixing the battery cell seen in the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홀더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본 홀더와 본 커버 케이스의 상호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the cover case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provided to enable the mutual coupling of the cover cas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음극단자판과 결합하는 부분에서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단자판이 스폿(Spot)용접에 의해 상기 음극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includes a second opening in a portion that is coupl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by spot welding (Spo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홀더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배터리 팩.The holder is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battery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battery pack.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홀더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holder is a battery pack,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top of the battery cell by a double-sided tape or adhesive.
KR1020060102239A 2006-10-20 2006-10-20 Battery pack KR1006856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239A KR100685605B1 (en) 2006-10-20 2006-10-20 Battery pack
PCT/KR2007/001966 WO2008066222A1 (en) 2006-10-20 2007-04-23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239A KR100685605B1 (en) 2006-10-20 2006-10-20 Battery p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605B1 true KR100685605B1 (en) 2007-02-22

Family

ID=3810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239A KR100685605B1 (en) 2006-10-20 2006-10-20 Battery pac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5605B1 (en)
WO (1) WO2008066222A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1539A1 (en) * 2007-09-21 2009-03-26 Seok Koh Battery pack
WO2009051388A2 (en) * 2007-10-18 2009-04-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energy density and pcm assembly therefor
KR100963994B1 (en) * 2008-03-12 2010-06-15 엔피텍주식회사 inner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KR101024387B1 (en) 2009-01-08 2011-03-23 주식회사 이젠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KR101057535B1 (en) * 2009-07-06 2011-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1130048B1 (en) 2007-11-29 2012-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Assembly of Novel Structure
KR101209976B1 (en) 2009-11-30 2012-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v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8449996B2 (en) 2009-10-09 2013-05-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778517B2 (en) 2009-11-19 2014-07-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5152600A1 (en) * 2014-04-03 2015-10-08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package and battery pack
KR20150115311A (en) *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Package of battery protection circuits module an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818B1 (en) 2008-12-22 2011-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CN108667986B (en) * 2018-05-21 2020-07-21 江西启迈科技有限公司 Mobile phone shell with heat preservation and heat dissipation func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32A (en) * 2004-02-27 2005-08-31 이재홍 Pcm protection cap of lithium ion battery
KR20050115218A (en) * 2005-11-24 2005-12-07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Inner pack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748B2 (en) * 1999-02-26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Battery pack
JP3609741B2 (en) * 2001-03-30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Pack battery
JP3696559B2 (en) * 2002-02-26 2005-09-21 京セラ株式会社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32A (en) * 2004-02-27 2005-08-31 이재홍 Pcm protection cap of lithium ion battery
KR20050115218A (en) * 2005-11-24 2005-12-07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Inner pack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1539A1 (en) * 2007-09-21 2009-03-26 Seok Koh Battery pack
WO2009051388A2 (en) * 2007-10-18 2009-04-23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energy density and pcm assembly therefor
WO2009051388A3 (en) * 2007-10-18 2009-07-02 Lg Chemical Lt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energy density and pcm assembly therefor
KR101001315B1 (en) * 2007-10-18 2010-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Energy Density and PCM Assembly therefor
US9123951B2 (en) 2007-10-18 2015-09-01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energy density and PCM assembly therefor
KR101130048B1 (en) 2007-11-29 2012-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Assembly of Novel Structure
KR100963994B1 (en) * 2008-03-12 2010-06-15 엔피텍주식회사 inner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KR101024387B1 (en) 2009-01-08 2011-03-23 주식회사 이젠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US9099707B2 (en) 2009-07-06 2015-08-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057535B1 (en) * 2009-07-06 2011-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US8449996B2 (en) 2009-10-09 2013-05-2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778517B2 (en) 2009-11-19 2014-07-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065092B2 (en) 2009-11-30 2015-06-2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09976B1 (en) 2009-11-30 2012-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v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5152600A1 (en) * 2014-04-03 2015-10-08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package and battery pack
KR20150115311A (en) *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Package of battery protection circuits module and battery pack
KR101595501B1 (en) * 2014-04-03 2016-02-26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Package of battery protection circuits module an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6222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605B1 (en) Battery pack
KR100685115B1 (en) Battery pack
KR101227870B1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cm case
KR100682731B1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KR20090075396A (en) Battery pack
KR101016852B1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18576A (en) Secondary battery pack
JP2008060053A (en) Battery pa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8305774A (en) Battery pack
KR20130018574A (en) Secondary battery pack
KR20130118232A (en) Rechargeable battery
JP2008027624A (en) Battery pa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6093135A (en) Pack case for secondary battery
KR100913695B1 (en) Battery pack
KR100585381B1 (en) Battery pack
KR100915545B1 (en) Battery pack
KR100919747B1 (en) Battery pack
KR101127610B1 (en) Battery Pack
KR100659866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585382B1 (en) Battery pack
KR100917227B1 (en) Battery pack
KR100949006B1 (en) Battery pack
KR100585380B1 (en) Battery pack
KR100585379B1 (en) Battery pack
KR101092959B1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