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796B1 - Secondary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4796B1
KR100684796B1 KR1020050025916A KR20050025916A KR100684796B1 KR 100684796 B1 KR100684796 B1 KR 100684796B1 KR 1020050025916 A KR1020050025916 A KR 1020050025916A KR 20050025916 A KR20050025916 A KR 20050025916A KR 100684796 B1 KR100684796 B1 KR 100684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terminal
ring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4071A (en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5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796B1/en
Priority to US11/110,902 priority patent/US7507124B2/en
Priority to JP2005135151A priority patent/JP2005322648A/en
Publication of KR2006010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0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가 냉각매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전지,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격벽, 및 상기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열전달 매체의 진행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전극단자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n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outside of the case so that th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s can be efficiently cooled without disturbing the flow of the cooling medium. A plurality of unit cells,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unit cells to provide a flow passage of a heat transfer medium,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 cells, and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to be parallel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t includes a connector.

이차 전지, 이차 전지 모듈, 연결구, 연절달 매체 Rechargeable Batteries, Rechargeable Battery Modules, Connectors, and Storage Media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Secondary Battery Module {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or of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부분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secondary batteries.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고출력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이차 전지를 구성하게 된다.Recently,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using a high energy density nonaqueous electrolyte has been developed, and a plurality of high output secondary batteries can be connected in series to be used for driving a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power. The battery is constructed.

상기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 등의 형상이 있으며, 하나의 대용량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 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전지 모듈이라 칭한다)는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이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의 편의상 단위전지라 칭한다)로 이루어진다.The secondary batteri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shapes and square shapes, and one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modu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oughout) is usually connected in serie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it cel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상기 각각의 단위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전극군에 구비된 양,음극의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음극 단자를 포함한다.Each unit cell includes an electrode group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position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 case having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ectrode group is embedded, a cap plate coupled to the case and sealing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cap plate. And a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current collectors provided in the electrode group.

그리고 각각의 단위전지를 일렬로 배열하고, 나사가공된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간에 너트를 매개로 도전체인 연결구를 연결 설치하여 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는 상기 단위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열전달 매체의 유동통로를 제공하는 격벽이 설치된다.Each unit cell is arranged in a row, and a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onnector between a screwed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to form a battery module. A partition wall is provided between the unit cells to provide a flow path of a heat transfer medium so as to release heat generated from the unit cells.

이때, 상기 격벽은 상기 전극 단자가 설치되는 않은 면을 통하여 열전달 매체가 유입되고 방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전극단자 및 연결구는 열전달 매체와 접촉하지 못하여 쉽지 냉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극단자와 연결구가 가열되는데, 전극단자와 연결구가 가열되면 내부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기 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 transfer medium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not installed. In this case,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onnector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medium and are not easily cooled. Therefore,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onnector is heated, wh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onnector is h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lowered to decrease the internal conductivity.

그리고 상기 격벽이 상기 전극 단자가 설치된 면을 통하여 열전달 매체가 유입되고 방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상기 전극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인하여 냉매의 유동이 방해를 받게 되고, 따라서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rrier rib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at transfer medium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through a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talled,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disturbed due to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 thus reducing the cooling efficiency. .

또한, 열 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예컨대, 각 단위전지에서 발 생되는 열은 전지모듈의 온도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지모듈이 적용된 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t is not properly discharged, for example, heat generated from each unit cell causes a temperature increase of the battery module, resulting in a malfunction of the device to which the battery module is applied.

그리고 종래에는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너트에 의하여 상기 전극단자들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경우 상기 전극단자와 연결구가 밀착되지 않으며, 전류가 전극단자에서 너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구로 흐르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related art,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of a unit cell is made of a thin plate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fix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by a nut. However,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onnector are not in close contact, and the contact resistance is large because current flows indirectly from the electrode terminal through the nut to the connect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 모듈의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열전달 매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열전달 매체에 의하여 용이하게 냉각될 수 있는 연결구를 채용한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to easily cool by the heat transfer medium, without hindering the flow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t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odule employing a connector that can be.

또한, 전극단자와 연결구 사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켜서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odule that can minimize the electrical loss by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connect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단위전지 모듈은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가 열전달 매체의 유동방향과 나란히 설치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unit cel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s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여기서 상기 전지 모듈은 단위전지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전지,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격벽, 및 상기 단위전지들을 전 기적으로 연결하며 열전달 매체의 진행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의 횡단면은 폭이 좁은 긴 직사각형의 양측단에 두 개의 원이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battery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cells including a case forming an outer shape of a unit cell and an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outward of the case,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unit cells to provide a flow path of a heat transfer medium, and the unit And a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ells and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heat transfer medium. Therefor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circles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a narrow narrow rectangle.

그리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들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include a ring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ring portions.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부가 단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고리부와 단자가 접촉하는 면적이 확대되어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portion may be made of a hollow cylinder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ince the r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ing portion and the terminal can be enlarged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그리고 상기 연결판은 하나의 면이 상기 고리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And one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ing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또한 상기 고리부는 연결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와 상기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plate, the r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to minimize contact resistance.

또한, 상기 연결판의 두께는 상기 고리부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late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ring portion.

그리고 상기 고리부는 내측면의 단면 형상이 상기 전극단자의 외주면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극단자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전극단자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되어, 상기 전극단자에 접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부의 상단부가 상기 전극단자에 용접으로 접합되될 수 있다. The ring portion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may be coupled to the electrode terminal by fitting. In addition, the ring portion may be welded in the state fit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it may be bon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ring portion may be bon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by welding.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리부와 상기 전극단자는 용접으로 형성된 용접부에서 면 접촉을 하므로, 상기 전극단자에서 고리부측으로 면 접촉으로 전류가 흐르고, 접촉저항은 제거되거나 최소화된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ring portion and the electrode terminal make a surface contact in the welded portion formed by welding, current flows from the electrode terminal to the ring portion in the surface contact, and the contact resistance is removed or minimized.

그리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전극 단자가 설치된 면을 향하여 길게 뻗은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을 통하여 열전달 매체가 유통되면, 상기 단위전지들이 냉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단자와 연결구도 냉각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구가 열전달 매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아서 냉각효율이 향상된다.The barrier rib is formed to have a long structure extending toward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talled. Therefore, when the heat transfer medium is distributed through the partition, not only the unit cells can be cooled, but also the terminals and the connector can be cooled, and the connecto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heat transfer medium, there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격벽에서 케이스로 직접 열전달이 일어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Therefore, heat transfer occurs directly from the partition to the case, there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은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the device in a device that operates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Can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대용량의 전지모듈(100)을 이루는 각 단위전지(1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단위전지(10)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군과, 상기 전극군이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14), 상기 케이스(14)와 결합되어 이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17), 상기 양극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1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단자(21)와 음극단자(23)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each unit cell 10 constituting a large-capacity battery module 100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the unit cell 10 is an electrode group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is placed between the separator, and A case 14 having a space part in which an electrode group is embedded, a cap plate 17 coupled to the case 14 to seal the electrode group,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protrude out of the cap plate 17. The positive terminal 21 and the negative terminal 23 are included.

또한 상기 케이스(14)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제작되고, 그 형상은 전극군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부를 가진 육면체의 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ase 14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such as aluminum, an aluminum alloy or nickel plated steel, and the shape is made of a cube or other shape having a cub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group is located.

그리고 상기 케이스(14)는 외측에는 열전달 매체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격벽(15)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5)은 상기 단자가 설치된 면을 향하여 길게 뻗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10)는 케이스(14)의 일측면에 형성된 격벽(15)과 타측면에 형성된 격벽(15)이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위전지(10)들이 이웃하여 적층 배열될 경우 상기 격벽(15)들이 각각 냉각매체가 유통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14 ha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5 protruding from the outside to provide a flow passage of the heat transfer medium. The partition wall 15 is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toward the surface on which the terminal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unit cell 10 is formed so that the partition wall 15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4 and the partition wall 15 formed on the other side are alternately arranged so that the unit cells 10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artitions 15 may each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medium flows.

또한, 상기 케이스(14)는 대향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곡면부로 이루어지며, 평면부와 곡면부가 연결되어 대향하는 양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ase 14 is formed of a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opposite flat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the fla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is configured to open.

다만 이러한 케이스(14)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에 널리 알려진 형태의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case 14 is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various types of cases of a type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그리고 상기 케이스(14)의 개방된 양측에는 상기 케이스(14)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17)가 설치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17)의 중앙에는 상기 전극군과 전기적 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21, 23)가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단자(21)와 음극단자(23)는 케이스(14)의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케이스(14)의 외부로 돌출된다.In addition, cap plates 17 for sealing the case 14 are installed at both open sides of the case 14, and electrode terminals 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group at the center of the cap plate 17. 23) are installed one by one. Therefor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3 are install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case 14 to protrude out of the case 14.

그리고 상기한 구조의 각 단위전지(10)는 대용량의 전지모듈(100)을 구성하기 위하여 전극단자(21, 23)가 위아래로 향하는 상태로 높여지고, 양극단자(21)와 음극단자(23)가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배열된다. 즉, 하나의 단위전지(10)의 양극단자(21)가 위로 향하도록 설치되면, 이와 이웃하는 단위전지(10)의 양극단자(21)는 아래를 향하도록 하고 음극단자(23)가 위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열은 극성이 교차되는 단자들이 일렬로 늘어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Each of the unit cell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elevated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facing up and down in order to form a large capacity battery module 10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3. Are intersected to stagger each other. That is,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of one unit cell 10 is installed to face upwar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of the neighboring unit cell 10 faces downward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3 faces upward. To be installed. Therefore, the terminal string may be understood as a line formed by arranging terminals crossing polarity.

그리고 상기 단위전지(10)를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양극단자(21)와 이웃하는 단위전지(10)의 음극단자(2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구(30)가 장착된다. In order to connect the unit cells 10 in series, a connector 3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3 of the neighboring unit cell 10 is moun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구(30)는 전극단자(21, 23)가 끼워지는 두 개의 고리부(31)와 상기 고리부(3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31)는 상기 전극단자(21, 23)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상기 단자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구(33)가 형성된다.The connector 30 is composed of two ring portions 31 in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re fitted, and a connecting plate 32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ing portions 31. The ring portion 31 is made of a long cylindrical shape so as to form a wide area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the through hole 33 for inserting the terminal is formed in the center.

상기 관통구(33)와 상기 전극단자(21, 23)는 끼워맞춤으로 결합된다. 상기 관통구(33)의 내경이 상기 전극단자(21, 23)의 단면을 형성하는 원의 직경과 같거 나 조금 작은 구조로 이루어져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또는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 fit)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33)의 내경이 상기 전극단자(21, 23)의 단면을 형성하는 원의 직경보다 커서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중간 끼워맞춤이나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경우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단자(21, 23)와 연결구(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33 and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re coupled by fitt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3 has a structure that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cross sections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is coupled by an interference fit or a transition fit.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3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cross sections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may be coupled in a loose fit. However, the terminal 21 and 23 and the connector 30 may be stably fixed by separate fixing means when combined with an intermediate fit or a loose fit.

그리고 상기 연결판(32)은 상기 원통형 고리부(31)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고리부(31)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32)은 하나의 면이 상기 고리부(31)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32)의 두께(연결판 횡단면의 폭)는 상기 고리부(31)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32)이 세워진 상태에서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연결판(32)의 상면의 폭이 상기 고리부(31)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32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31 is er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ring portion 31. Therefore, the connecting plate 32 is formed so that one surfac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ing portion 31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late 32 (width of the connecting plate cross section) is formed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ing portion 31. 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late 32 is standing,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3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ring portion 31.

또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고리부(31)와 연결판(32) 사이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32)은 상기 고리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ing portion 31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ring portion 31 and the connecting plate 32 can be minimiz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tter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전지(10)들이 인접하여 배열되고 각 단위전지(10)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14)와 일체로 형성된 격벽(15)이 이웃하는 단위전지 케이스(14)와 접하며, 이러한 격벽(15)은 열전달 매체의 유동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전지(10)에 설치된 양극단자(21)와 음극단자(23)는 이웃하는 전극단자와 엇갈리도록 배열 설치된다. 따라서 일측에서 이웃하는 단위전지(10)와 음극단자(23)가 연결되었다면, 타측에서 이웃하는 단위전지(10)와는 양극단자(21)가 연결된다. 그리고 일측에서 이웃하는 단위전지(10)와 상부의 단자가 연결되었다면 타측에서 이웃하는 단위전지(10)와는 하부의 단자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각 단위전지(10)는 직렬로 연결되고, 고출력 이차 전지 모듈(10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unit cells 10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rtition wall 15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14 is adjacent to each unit cell 10 and the unit cell case 14 adjacent thereto. These barriers 15 form a flow passage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3 installed in the unit cell 10 are arranged to alternate with the neighboring electrode terminal. Therefore, when the neighboring unit cell 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3 are connected at one sid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unit cell 10 at the other side. And if the neighboring unit cell 10 and the upper terminal is connected at one side, the low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unit cell 10 at the other side. In this structure, each unit cell 10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may be configured as a high output secondary battery module 10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양극단자(21)와 음극단자(22)가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단위전지(10)와 상기 단위전지들(10)의 전극단자(21, 23)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s 10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2 protrude outwards, and the electrodes of the unit cells 10. It comprises a connector 3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s (21, 23).

그리고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전극단자(21, 23)를 삽입하는 고리부(31)와 상기 고리부(31)들을 연결하는 연결판(32)을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31)는 상기 전극단자(21, 23)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onnector 30 includes a ring portion 31 for inserting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a connecting plate 32 for connecting the ring portions 31 to the ring portion 31.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 23).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단자(21, 23)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상기 고리부(31)의 내측면의 단면형상도 이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러한 단면 형상은 일 예에 불과하며, 사각형 등 다양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is circular,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31 is also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shape. However, such a cross-sectional shape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그리고 상기 고리부(31)의 내경은 전극단자(21, 23)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31)에 상기 전극단자(21, 23)가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워맞춤의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으며, 억지 끼워맞춤,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중 어느 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portion 3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may be coupled to the ring portion 31 by fitting. Here, the method of fitting is not limited, and may be combined by any one of an interference fit, a loose fit, and an intermediate fit.

그리고 상기 고리부(31)는 상기 전극단자(21, 23)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되어 상기 전극단자(21, 23)에 접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부(31)의 상단부가 상기 전극단자(21, 23)에 용접되어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용접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으며, 종래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용접될 수 있다.The ring portion 31 is welded while being fitt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to be join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ring portion 31 is the electrode terminal. It consists of a structure welded and joined to (21, 2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elding method, and may be welded by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21, 23)와 고리부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용접에 의해 용접부(40)가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부(40)는 단자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용접부(40)가 넓게 형성되면 상기 용접부(40)를 통하여 대용량의 전류가 용이하게 흐르게 되어 접촉저항이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용접부(40)가 형성되는 구조는 예시적이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용접부(40)는 연속적이지 않고, 점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elding portion 4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ring portion contact by welding, and the welding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erminal. In this structure, when the welding part 40 is formed to be wide, a large amount of current easily flows through the welding part 40 so that contact resistance can be removed. Howe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welding part 40 is formed is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welding part 4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not continuous bu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dot.

이상에 살표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21, 23)와 고리부(31)는 용접으로 접합됨으로써, 상기 전극단자(21, 23)와 상기 고리부(31)는 넓게 접촉하고, 상기 용접부(40)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되어 접촉저항이 제거 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As shown above,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ring portion 3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joined by welding,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ring portion 31 are in wid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welding part 40 so that contact resistance may be removed or minimized.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수개의 단위전지(10)가 적층 배열되고, 상기 단위전지(10) 사이에는 전지 케이스(14)와 일체로 형성된 격벽(15)이 이웃하는 단위전지(10)와 맞닿아 열전달 매체의 유동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동통로는 상기 전극단자(21, 23)가 설치된 면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므로, 열전달 매체는 상기 전극단자(21, 23)가 설 치된 길이방향으로 유동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21, 23)들을 연결하는 연결구(30)가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열전달 매체는 연결구(30)의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유동하고, 상기 열전달 매체와 상기 연결구(30)가 접촉하는 면적이 늘어나므로, 상기 연결구(30)는 충분히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매체는 전극단자(21, 23)를 지나서 유동하므로 상기 전극단자(21, 23)들까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30)의 고리부(31)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단자(21, 23)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된다.A plurality of unit cells 10 are stacked and arranged, and the partition walls 15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ttery case 14 contact the neighboring unit cells 10 between the unit cells 10 so that the flow passage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s formed. Is formed. Since the flow passage is formed long toward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re installed, the heat transfer medium fl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re installed. In addition, the connector 30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is installed to st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so that the heat transfer medium flows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connector 30, and the heat transfer medium and the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connector 30 increases, the connector 30 can be sufficiently cooled. In addition, the cooling medium flows past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so that the cooling medium may be cooled to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In addition, the ring portion 31 of the connector 30 is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21, 23)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 전극단자(21, 23)와 상기 고리부(31)가 용접되어 용접부(40)에서 넓게 접촉하여, 전극단자(21, 23)와 고리부(31)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전극단자(21, 23)와 고리부(31) 사이의 접촉 저항은 제거 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ring part 31 are welded to be widely contacted at the welding part 40, so that an area in which current flows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ring part 31 increases.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3 and the ring part 31 may be removed or minimized.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HEV(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EV(전기 자동차), 무선 청소기, 전동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과 같이 모터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기기에 있어, 해당 기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그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ergy source for driving a motor of the device in a device that operates using a motor, such a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an electric vehicle (EV), a wireless vacuum cleaner,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scooter, and the like. It may be used and the us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가 열전달 매체 유동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므로 상기 연결구가 냉각매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가 연결구 및 상기 단자는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or is installed in the heat transfer medium flow direction,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cooled while the connecto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cooling medium.

그리고 상기 연결구의 고리부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상기 단자와 연결구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단자와 연결구가 밀착되어 상기 단자와 연결구 사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ng portion of the connector is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is widened, and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itting so that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The loss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연결구가 상기 단자에 용접으로 접합되어 면접촉을 하므로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is joined to the terminal by welding to make a surface contact can minimize the contact resistance.

Claims (13)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전지;A plurality of unit cells including a case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n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상기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nit cells;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단위전지 사이에는 열전달 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이어진 열전달 매체의 유동 통로가 형성되고,Between the unit cells is formed a flow passage of the heat transfer medium extendi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heat transfer medium can move,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고리부들과 상기 고리부들을 연결하며 상기 전극단자의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상기 유동 통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Th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ring portions and the ring portions in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erted, and a connecting plat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통로는 상기 전극 단자가 위치하는 면에서 이와 대향하는 면을 향하여 이어져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flow passage extends from a surface at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positioned to face a surface opposite theret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전극단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중공형 원통으로 이루어진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2, wherein the ring portion is formed of a hollow cylinder formed to exten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폭이 상기 고리부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rechargeable battery module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plate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a length of the ring portion and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두께는 상기 고리부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4, wherein a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late corresponds to a thickness of the r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연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4, wherein the r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l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전극단자와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4, wherein the ring portion is fit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전극단자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4, wherein the ring portion is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상단이 상기 전극단자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4, wherein an upper end of the ring part is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통로는 상기 전극 단자가 설치된 면에서 이와 대향하는 면을 향하여 곧게 이어져 형성된 격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low passage is formed by a partition wall that is formed to extend straight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s installed to face the surface opposite thereto.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of claim 10,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integrally formed at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electrode terminal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cas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차 전지 모듈은 모터 구동용인 이차 전지 모듈.The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for driving a motor.
KR1020050025916A 2004-05-04 2005-03-29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684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916A KR100684796B1 (en) 2005-03-29 2005-03-29 Secondary battery module
US11/110,902 US7507124B2 (en) 2004-05-04 2005-04-21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05135151A JP2005322648A (en) 2004-05-04 2005-05-06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916A KR100684796B1 (en) 2005-03-29 2005-03-29 Secondary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71A KR20060104071A (en) 2006-10-09
KR100684796B1 true KR100684796B1 (en) 2007-02-20

Family

ID=3763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916A KR100684796B1 (en) 2004-05-04 2005-03-29 Secondary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7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127B2 (en) 2015-06-19 2019-06-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00B1 (en) * 2008-12-22 2015-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240702B1 (en) 2011-02-18 2013-03-1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Battery module providing improved barrier
US8765287B2 (en) 2011-08-09 2014-07-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2410758B1 (en) * 2016-11-14 2022-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with Improved Cooling Efficiency an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4A (en) * 1996-06-17 1998-01-06 Sekisui House Ltd Horizontal brace arranging method of dwelling house
KR20040081327A (en) * 2003-03-13 2004-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lithium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4A (en) * 1996-06-17 1998-01-06 Sekisui House Ltd Horizontal brace arranging method of dwelling house
KR20040081327A (en) * 2003-03-13 2004-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lithium battery modu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813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3127B2 (en) 2015-06-19 2019-06-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71A (en)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795B1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218751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JP4308515B2 (en) Battery module
KR100649561B1 (en) Ca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560483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1244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JP5541250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93989B1 (en) Cooling Member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US8734977B2 (en) Battery module
EP2509150B1 (en) Battery module having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and compact structur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US8911896B2 (en) Battery pack
US11289746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KR100717751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16029660A (en) Cooling member with good assembly efficiency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20110011068A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EP2631986B1 (en) Battery module
KR20070018507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070117825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130118145A (en) Battery pack
KR100684796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609232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Cartridge Having Coolant Flow Channel
KR100627396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648732B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0649205B1 (en) Secondary battery and cap assembly
KR20060018326A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