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711B1 -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 Google Patents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711B1
KR100681711B1 KR1020050081991A KR20050081991A KR100681711B1 KR 100681711 B1 KR100681711 B1 KR 100681711B1 KR 1020050081991 A KR1020050081991 A KR 1020050081991A KR 20050081991 A KR20050081991 A KR 20050081991A KR 100681711 B1 KR100681711 B1 KR 10068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loating
play equipment
floa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금성열
정세호
Original Assignee
금성열
정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열, 정세호 filed Critical 금성열
Priority to KR102005008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7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7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owing or scull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8Apparatus for rope-danc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00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 A63G3/02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with floating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A floating instrument for leisure in wat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instrument from being overturned or sunk by too heavy pressure caused by user's weight. The floating instrument includes a ring(1) in which a user is put into an inner portion and plural floating members(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ng at equal intervals for floating the. The floating member consists of a protruding rod(3)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ng by a connecting member and a floating material(4) fixedly installed on an outer end portion of the protruding rod through a floating material fix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consists of a connecting pipe having a tap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ring and a threaded portion fastened to the connecting pipe.

Description

부유 물놀이 기구{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1 shows a water play equipment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사시도이고,        1A is a perspective view,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A,

도 1c는 도 1b의 B부 확대도이고,        1C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1B,

도 1d는 도 1b의 C부 확대도.       1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of FIG. 1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Figure 2 shows a water play equipment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사시도이고,        2A is a perspective view,

도 2b는 도 2a의 D-D선 단면도이며,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A,

도 2c는 도2b의 E부 확대도이고,        2C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E of FIG. 2B,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 낸 사시도.        Figure 2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y equip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a는 사시도이고,        3A is a perspective view,

도 3b는 도 3a의 F-F선 단면도이며,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3A,

도 3c는 도 3b의 도 3a의 G부 확대도이고,        3C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G of FIG. 3A of FIG. 3B;

도 3d는 도 3b의 H부 확대도.       3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H of FIG. 3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y equipment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사시도이고,        5A is a perspective view,

도 5b는 도 5a의 I부 확대도이며,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 5A;

도 5c는 승강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확대도시한 분해 사시도.        Figure 5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lifting operation mean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lay equipment of a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play equipment of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링1: ring

11 : 노 삽입링    11: furnace insert ring

2 : 부유수단2: floating means

3 : 돌출대3: protrusion

31 : 연결수단    31: connection means

311 : 연결관, 312 : 나선부, 313 : 브라켓, 315 : 힌지축,          311 connector, 312 helix, 313 bracket, 315 hinge shaft,

316 : 돌출돌기         316: protrusion

4 : 부유체4: floating body

41 : 부유체 고정수단    41: floating body fixing means

411 : 연결관, 412 : 나선부         411 connector, 412 helix

42 : 수직 원통체    42: vertical cylinder

43 : 구체    43: sphere

44 : 부유물    44: float

45 : 수납공간    45: storage space

451 : 도어         451: Door

5 : 의자5: chair

51 : 승강의자    51: lift chair

511 : 내측링, 512 : 의자부, 513 : 승강 조작수단, 515 : 홀,          511: inner ring, 512: chair portion, 513: lifting operation means, 515: hall,

516 : 장홀, 517 : 엑스자형 링크부, 518 : 고정수단         516: long hole, 517: X-shaped link portion, 518: fixing means

52 : 밀폐형 의자    52: closed chair

521 : 골반 안착부, 522 : 다리 삽입부         521: pelvic seat, 522: leg insertion portion

6 : 파라솔6: parasol

61 : 지지대    61: support

7 : 돛7: sail

8 : 풍선8: balloon

9 : 수납함9: storage box

본 발명은 부유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침몰 및 뒤집힘을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전성을 가진 부유 물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play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play equipment having a sufficient safety to prevent sinking and overturning.

일반적으로 부유 물놀이 기구라 함은 사용자를 수면 위에 부상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floating water ride means a device used for floating a us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이에 종래에 알려진 부유 물놀이 기구는, 비닐지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튜브, 메트리스, 보트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Conventionally, the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known in the art is widely known as a tube, mattress, boat, etc., which are made of vinyl paper and filled with air therein.

그런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비닐지로 구성된 물놀이 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However, when using a water-playing device composed of plastic paper filled with air therein,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먼저 비닐지의 강도가 약함에 따라 사용중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과중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비닐지가 쉽게 손상됨으로서, 물놀이 기구의 침수로 인하여 익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First of all, when heavy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during use due to the weak strength of the plastic paper, the plastic paper is easily damaged and drowning accidents are frequently caused due to the inundation of the play equipment.

또한 바닷가나 강가에서 비닐지로 구성된 물놀이 기구를 사용함에 있어 물놀이 기구가 바위나 나뭇가지 등에 충돌될 경우에 강도가 약한 비닐지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ak plastic paper is easily damaged when the water playground equipment collides with rocks or branches when using the water playground equipment composed of plastic paper at the beach or riverside.

또 비닐지로 구성된 물놀이 기구에 공기구멍이 생길 경우에는 물놀이 기구의 재사용이 불가능함으로서, 고가인 물놀이 기구를 버려야 함에 따라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많음은 물론 합성수지의 비닐지가 바닷가나 강가에 그대로 버려짐으로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if there is an air hole in the playing equipment made of plastic paper, the playing equipment cannot be reused, and the expensive playing equipment must be discarded. There was also a problem polluting.

또 공기를 채우는 비닐지의 물놀이 기구는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파도나 급류에 쉽게 휩쓸리게 됨으로서 아이들이 깊은 바닷가나 강가로 이동되는 경우로 인하여 수상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the water-filled play equipment of the plastic paper filling the air is easily swept by the waves or rapids because of the light weight of the plastic paper,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water safety accidents are caused by the children moving to the deep beach or the riv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과중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뒤집어지거나 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 물놀이 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that can be prevented from flipping or sinking even when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또한 물놀이 기구를 부유시키는 수단으로 FRP등의 합성수지 부유체를 사용함으로서 바위나 나뭇가지에 충돌될 경우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synthetic resin floating body, such as FRP as a means to float the play equipment,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event damage in the event of collision with rocks or branches.

또 링이나 돌출대 및 부유체로 구성된 중량이 무거운 물놀이 기구를 제공함으로서 파도나 급류에 쉽게 휩쓸리지 않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It is also an object to provide a heavy water play equipment composed of a ring, a protrusion and a float so that it is not easily swept by waves or rapids.

또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휴대와 운반을 편리하게 하는 목적도 있다. It also has a purpose to make it easy to carry and carry by being prefabric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사용자가 삽입되는 링과, 상기 링의 외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링에 삽입된 사용자를 물 위로 부상시키는 다수의 부유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유수단은 상기 링의 둘레에 링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수단을 통해 구비된 돌출대와, 상기 돌출대의 외측단부에 부유체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부유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ing is inserted into the user therein, and a plurality of floating means to protrude at an equal interval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ng to float the user inserted into the ring over the water) It is configured, the floa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otrusion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around the ring around the ring, and a floating body is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protrusion via the floating body fixing means.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B부 확대도이고, 도 1d는 도 1b의 C부 확대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a, Figure 1c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B of Figure 1b, Figure 1d It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1b.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내부에 사용자가 삽입되는 링(1)과, 상기 링(1)의 외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링(1)에 삽입된 사용자를 물 위로 부상시키는 다수의 부유수단(2)으로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1 into which a user is inserted, and a user inserted into the ring 1 by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a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ring 1.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floating means (2) to float on the water.

그리고 상기 부유수단(2)은, 상기 링(1)의 둘레에 링(1)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수단(31)을 통해 구비된 돌출대(3)와, 상기 돌출대(3)의 외측단부에 부유체 고정수단(41)을 통해 고정되는 부유체(4)로 구성되는 것이다. And the floating means (2), the circumference of the ring (1) with a protrusion 3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31 around the ring (1), the outer end of the protrusion (3) It is composed of a float (4) is fixed through the float fixing means (41).

또한 상기 부유체(4)는 내부 공간이 포함되는 FRP등의 고강도 합성수지로 구성된 수직 원통체(42)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수면에 부유되는 압축 스치로폼등의 부유물(44)이 더 채워지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loating body 4 is composed of a vertical cylindrical body 4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resin, such as FRP, including the inner space, the inner space is further filled with a float 44, such as compressed styrofoam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will be.

아울러, 상기 연결수단(31)은, 상기 링(1)의 외측으로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연결관(311)과, 상기 돌출대(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311)에 체결되는 나선부(312)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ans 31, the connection pipe 311 including a tab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ring 1, and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3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pe 311 Will be composed of a spiral portion 312.

또한, 상기 부유체 고정수단(41)은, 상기 돌출대(3)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 수직부(413)와, 상기 절곡 수직부(413)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둘레에는 탭부(415)가 형성된 연결체(414)와, 상기 수직 원통체(4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탭부(415)에 체결되는 나선부(416)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loating body fixing means 41 is detachably fixed to the bent vertical portion 413 vertically bent from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ent vertical portion 413, It is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414 having a lower portion and having a tab portion 415 formed therein and a spiral portion 416 form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ylindrical body 42 and fastened to the tab portion 415. .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놀이 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링(1)을 허리에 찬 상태에서 수면에 입수하게 되면 링(1)의 둘레에 구비된 부유수단(2)이 수면위로 부상됨으로서 사용자를 수면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water play equip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obtains the ring 1 on the surface while the waist is full, the floating means 2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ring 1 is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user. Can rise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수면위로 부상된 상태에서 팔을 수면위에서 움직임으로서 물놀이 기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njoy the water play while easily moving the water play equipment by moving the arm on the water surface while the user is injured on the water surface.

더불어, 상기와 같이 물놀이를 함에 있어서, 링(1)의 주위에 구비된 다수의 부유수단(2)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분산시키면서 수면위에 부상됨으로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water play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floating means (2) provided around the ring 1 is floating on the water while distributing the user's weigh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safety of the user.

특히 상기 부유수단(2)을 3개소 등간격으로 구비하여 링(1)의 둘레를 견고하게 분산 지지함으로서 안전성을 좀더 향상시킨 물놀이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링(1)을 삼각구조로 지지함으로서 링(1)의 부상력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particular, by providing the floating means (2) at three equal interval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lay equipment to further improve the safety by supporting the dispersion of the ring (1) steadily. That is, by supporting the ring 1 in a triangular structure, the floating force of the ring 1 can be improved to the maximum.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링(1)의 둘레를 다수의 부유수단(2)을 통해 충분히 지지함으로서 사용자가 한 쪽으로 기울거나 일방향으로 편향되게 파도가 칠 경우에도 물놀이 기구가 뒤집히는 현상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sufficiently suppor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ng 1 through the plurality of floating means 2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or the wave hits in one direction, the play equipment can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flipping. .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유수단(2)을 통해 링(1)을 충분히 지지함으로서,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과중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뒤집어 지거나 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sufficiently supporting the ring 1 through the plurality of floating means 2 as described above, even if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flipping over or sinking.

또한 물놀이 기구를 부유시키는 수단으로 FRP등의 합성수지 부유체를 사용함에 따라서, 물놀이 기구가 바위나 나뭇가지에 충돌될 경우에도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using a synthetic resin floating body such as FRP as a means to float the play equipme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even when the play equipment impacts rocks or branches.

또 링(1)과 돌출대(3) 및 부유체(4)로 구성된 중량이 무거운 물놀이 기구를 제공함 따라 파도나 급류에 쉽게 휩쓸리지 않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heavy water play equipment composed of the ring (1), the protrusion (3) and the floating body (4), there is also an object to prevent being easily swept by waves and rapids.

또 부유체(4)의 하부와 수면의 밀착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부유체(4)를 수직 원통체(42)로 구성함으로서, 부유체(4)의 부유력을 향상시켜 좀더 안전한 물놀이 기구를 제공함은 물론, 해상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시 해상 구조도 용이하게 하는 물놀이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loating body 4 is composed of a vertical cylindrical body 42 so as to exp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surface of the water, thereby improving the floating force of the floating body 4, thereby creating a safer play equipmen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lay equipment that facilitates the offshor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at sea.

또 상기 링(1)과 돌출대(3)를 분리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돌출대(3)와 부유체(4)를 상호 분리 가능하게 함으로서 물놀이 기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휴대와 운반이 용이함으로서 해상 구조시 신속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ing 1 and the protrusion 3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 3 and the floating body 4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f the play equipment. In other words, because it is easy to carry and transport, it can be used quickly in the sea rescu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도2b의 E부 확대도이다.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A, and FIG. 2C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E of FIG. 2B.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제1 실시예에서 부유수단(2)을 제외한 타 구성은 동일함을 전제하고, 부유수단(2)을 구성하는 부유체(4)는 내부 공간이 포함되는 구체(43)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체(43)의 내부에는 부유물(44)이 더 채워지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emise that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floating means 2 are the sam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loating body 4 constituting the floating means 2 is an internal space. It is composed of spheres 43 included. In addition, the float 44 is further filled in the sphere 43.

그리고 상기 구체(43)와 돌출대(3)를 상호 연결하는 부유체 고정수단(41)은, 부유체의 외측에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연결관(411)과, 상기 돌출대(3)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411)에 체결되는 나선부(412)로 구성되는 것이다. And the floating body fixing means 41 for interconnecting the sphere 43 and the protrusion 3, the connection pipe 411 including a tab portion protruding on the outside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protrusion 3 Is provided on the outside is composed of a spiral portion 412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pipe 411.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유체(4)를 구체(43)로 구성함으로서 물놀이 기구가 이동중 파도등에 충돌되더라도 구체(4)의 표면이 구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충격이 완화됨으로서 물놀이 기구가 뒤집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킨 물놀이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floating body 4 is formed as a sphere 43 as described above, so that even if the water play equipment collides with a wave during movement, the surface of the sphere 4 is formed as a sphere, so that the impact is alleviated, thereby reversing the water play equip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lay equipment with further improved stability that can be prevented.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상기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며, 상기 각각의 부유체(4)에는 도어(451)를 포함하는 수납공간(4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2d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lay equipment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include all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each said floating body 4, the storage space 45 including the door 451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부유체(4)에는 도어(451)를 포함하는 수납공간(45)을 구비함으로서 물놀이 중 필요한 여러 음식물이나 귀중품등을 보관할 수 있고 낚시용구등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floating body 4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45 including a door 451,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foods and valuables required during the water play, and also can easily store fishing equip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F-F선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도 3a의 G부 확대도이고, 도 3d는 도 3b의 H부 확대도이다.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3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ure 3a, Figure 3c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G of Figure 3a of Figure 3b, Figure 3d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H of FIG. 3b.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연결수단(31)은 돌출대(3)를 수직으로 절곡시키는 것으로. 링(1)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측과 하부가 개방되는 개방공간(314)을 포함하는 브라켓(313)과, 상기 돌출대(3)의 내측을 개방공간(314)에 절첩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힌지축(315), 및 상기 개방공간(314)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대(3)의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지지하는 돌출돌기(316)로 구성되는 것이다. The connecting means 31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ending the projection (3) vertically. Bracket 313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ng (1) including an open space 314 to open the outside and the bottom, and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3)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open space 314 to be folded The hinge shaft 315 is formed, and both sides of the open space 314 is configured to protrude inward to support the vertical or horizontal state of the protrusion (3).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돌출대(3)가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연결수단(31)을 구성함으로서 차량 등에 용이하에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Therefore, by configuring the connecting means 31 so that the protrusion 3 can be bent vertically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loaded and transported in a vehicle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상기 제1,2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고, 링(1)의 내부에는 링(1)에 고정되는 의자(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emise that it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urther includes a chair 5 fixed to the ring 1 inside the ring 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그리고 상기 의자(5)는 하나 이상의 고정대를 통해 링(1)의 내부에 고정 구비는 것이다. And the chair (5) is to be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ring (1) through one or more fasteners.

따라서 상기 링(1)의 내부에 의자(5)를 구비함으로서 유아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by providing a chair (5) inside the ring (1) to provide a water play equipment that can be easily used by infants, senior citizens or disabl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I부 확대도이며, 도 5c는 승강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수단을 확대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FIG. 5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 of FIG. 5A, and FIG. 5C is an enlarged exploded view showing the fixing means constituting the lifting operation means. Perspective view.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의자(5)는 조작을 통해 승강이 가능한 승강의자(5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ther words, the chair 5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lifting chair 51 that can be lifted and lifted through manipulation.

그리고 상기 승강의자(51)는, 상기 링(1)과 연결된 승강 조작수단(513)을 승강되는 내측링(511)과 이 내측링(5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의자부(512)로 구성되는 것이다. And the elevating chair 51 is composed of an inner ring 511 for elevating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513 connected to the ring 1 and a chair portion 512 provided inside the inner ring 511. will be.

또한, 상기 승강 조작수단(513)은, 상기 링(1)의 내측에 구비되고 전,후방에 홀(515)이 구비된 양 고정대(514)와, 상기 의자부(512)의 양측에 구비되는 전,후방 장홀(516)과, 상기 의자부(512)의 양측에 구비되며, 하부 전,후방은 상기 고정대의 전,후방 홀(515)에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전,후방은 상기 전,후방 장홀(516)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중간은 두 개 링크의 경사각도롤 고정하는 고정수단(518)이 구비되어 있는 엑스자형 링크부(517)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513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unit 514 and the chair unit 512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ing 1, the front and rear with a hole 515 is provided. The front and rear long holes 516 and the chair unit 512 are provided at both sides, and the lower front and rear sides are mounted to the front and rear holes 515 of the fixing unit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The front and rear long holes 516 are movably inserted and mounted, and the middle part is composed of an X-shaped link part 517 having fixing means 518 for fix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wo links.

특히 상기 고정수단(518)은 엑스자형 링크부(517)를 구성하는 각 링크의 중간에 형성된 장홀(518a)과 2개의 링크에 형성된 장홀(518a)을 관통하는 볼트축(518b) 및 상기 볼트축(518a)에 체결되어 2개의 링크각도를 고정하는 너트 손잡이(518c)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fixing means 518 is a bolt shaft 518b and the bolt shaft penetrating the long hole 518a formed in the middle of each link constituting the X-shaped link portion 517 and the long hole 518a formed in the two links. It is composed of a nut handle 518c fastened to 518a to fix two link angles.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승강의자(51)를 승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의자(51)의 의자부(512)를 승강시킬 경우에는 의자부(512)의 양측에 구비된 승강 조작수단(513)을 작동시켜 의자부(51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elevating chair 51 can be eleva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When elevating the chair unit 512 of the elevating chair 51, elevating operation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unit 512.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hair unit 512 by operating (513).

즉 상기 승강 조작수단(513)의 엑스자형 링크부(517)를 구성하는 2개의 링크각도를 변경시킨 후 고정수단(518)의 체결을 통해 의자부(512)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height of the chair part 512 can be adjusted by fastening the fixing means 518 after changing two link angles constituting the X-shaped link part 517 of the lifting operation means 513.

한편, 상기 링(1)의 양측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로 돌출되는 노 삽입링(1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a on both sides of the ring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nace insertion ring 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p.

따라서 상기 승강의자(51)의 높이를 조정한 후 상기 노 삽입링(11)에 노를 끼워 사용자가 노를 저의면서 물놀이 기구를 이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levating chair (51) by inserting the furnace into the furnace insert ring 11, the user can move the water play equipment while lowering the furnac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의자(5)는, 사용자의 하체가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함몰된 골반 안착부(521)와 골반 안착부(5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리 삽입부(522)가 일체로 구성된 밀폐형 의자(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hair 5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g insertion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pelvis seating portion 521 and the pelvis seating portion 521 so that the lower body of the user can be inserted. 522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closed chair 52 is formed integrally.

따라서 상기 밀폐형 의자(52)를 통해 사용자의 하체를 전체적으로 감싸줌으로서 물속의 돌이나 병과 같은 쓰레기등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covering the lower body of the user through the closed chair 52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injury due to rubbish, such as stones or bottles in the water in advan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상기 제1,2,3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고, 상기 링(1)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61)를 통해 지지되는 파라솔(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an upper part of the ring 1 is supported by a parasol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6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6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하절기에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음은 물론 우천시 비를 피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direct sunlight in the summer, as well as to avoid rain in the rai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상기 제1,2,3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고, 상기 링(1)에는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돛(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Thus, the play equipment of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emise that it includes all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ring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ail (7) that can be erected vertically It features.

따라서 상기 돛(7)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돛(7)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서 바람를 타고도 물놀이 기구를 이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sail (7) in the vertical state of the sail (7) will be able to move the play equipment even in the win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상기 제1,2,3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고, 상기 링(1)이나 부유수단(2)에는 다수의 풍선(8)을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the ring 1 or the floating means 2 includes a plurality of balloons 8.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풍선(8)을 더 구비함으로 보호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아이들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having the balloon 8 further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the guardian to prevent children's safety accidents in advanc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물놀이 기구는, 상기 제1,2,3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하고, 상기 각각의 돌출대(3)의 상부에는 도어를 포함하는 수납함(9)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Thus, the water play equipment of the seven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emise that it includes all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a storage box 9 including a door on the top of each protrusion 3.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being provided.

따라서 상기 수납함(9)을 통해 물놀이 중 필요한 여러 음식물이나 귀중품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낚시용구등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rough the holder (9)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various foods and valuables required during the play, and also can easily store fishing equip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과중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뒤집어지거나 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분한 안전성을 가지는 부유 물놀이 기구를 제공함으로서, 해상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시 해상 구조도 용이한 효과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having sufficient safety to prevent the user from flipping or sinking even when excessive pressure is applie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have.

또한 물놀이 기구를 부유시키는 수단으로 FRP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부유체를 사용함에 따라 바위나 나뭇가지에 충돌될 경우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 로서, 안전성을 좀더 향상시킨 물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floating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FRP as a means to float the play equip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rocks or branches, and to provide a play equipment that further improves the safety. have.

또 링이나 돌출대 및 부유체로 구성된 중량이 무거운 물놀이 기구를 제공함으로서 파도나 급류에 쉽게 휩쓸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아이들이 깊은 바닷가나 강가로 이동되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heavy water play equipment composed of a ring, a protrusion and a float to avoid being easily swept by the waves and rapids, there is also an effect to prevent children from moving to the deep beach or the river.

또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휴대와 운반을 편리하게 함으로서, 해상구조 활동시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structure makes it easy to carry and transport, and also has the effect of enabling a quick rescue during marine rescue activitie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Claims (19)

내부에 사용자가 삽입되는 링(1)과, 상기 링(1)의 외측 둘레에 등간격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링(1)에 삽입된 사용자를 물 위로 부상시키는 다수의 부유수단(2)으로 구성되며, It is composed of a ring (1) is inserted into the user inside, and a plurality of floating means (2)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ring (1) to float the user inserted into the ring (1) over water , 상기 부유수단(2)은 상기 링(1)의 둘레에 링(1)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수단(31)을 통해 구비된 돌출대(3)와, 상기 돌출대(3)의 외측단부에 부유체 고정수단(41)을 통해 고정되는 부유체(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The floating means (2) is attached to the protrusion (3)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31 around the ring (1) around the ring (1), the outer end of the protrusion (3) Floating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oat (4) fixed through the fluid fixing means (41).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1)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31, 링(1)의 외측으로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연결관(311)과, A connecting pipe 311 including a tab portion protruding outward of the ring 1, 상기 돌출대(3)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311)에 체결되는 나선부(3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iral portion 312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3)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ipe (3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1)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31, 링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측과 하부가 개방되는 개방공간(314)을 포함하는 브라켓(313)과, A bracket 313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ring and including an open space 314 for opening the outer and lower parts thereof; 상기 돌출대(3)의 내측을 개방공간에 절첩이 가능하게 삽입 고정하는 힌지축(315), 및 A hinge shaft 315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3 in an open space, and 상기 개방공간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대(3)의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지지하는 돌출돌기(3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rotrusions 316 protruding inward on both sides of the open space to support the vertical or horizontal state of the protrusions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 고정수단(41)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oating body fixing means 41, 부유체의 외측에 돌출된 탭부를 포함하는 연결관(411)과, A connecting pipe 411 including a tab part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floating body, 상기 돌출대(3)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411)에 체결되는 나선부(4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Floating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iral portion 412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pipe (4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4)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oating body 4, 내부 공간이 포함되는 수직 원통체(42)나 구체(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Float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ertical cylindrical body 42 or sphere 43 containing the internal spa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ner space, 부유물(44)이 더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 Float pad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 (44) is further filled.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4)는 수직 원통체(42)로 구성되고; 8. A float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loat (4) consists of a vertical cylinder (42); 상기 부유체 고정수단(41)은, 상기 돌출대(3)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 수직부(413)와, 상기 절골 수직부(413)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에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 둘레에는 탭부(415)가 형성된 연결체(414)와, 상기 수직 원통체(4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탭부(415)에 체결되는 나선부(4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The floating body fixing means 41 is bent vertical portion 413 vertically bent from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3, and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ing vertical portion 413, the lower portion is in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nnecting member 414 is opened and the inner periphery is formed with a tab portion 415, the spiral portion 416 form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cylindrical body 42 is fastened to the tab portion 415 Float water rides.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4)는, The floating body 4 according to claim 6 or 7, 도어(451)를 포함하는 수납공간(4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 Float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45 further comprises a door (451). 제 1항 및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7, 상기 링(1)의 내부에는 링(1)에 고정되는 의자(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 Float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ring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air (5) fixed to the ring (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5)는 승강의자(51)이고, 11. 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hair (5) is a lifting chair (51), 상기 승강의자(51)는, 상기 링(1)과 연결된 승강 조작수단(513)을 승강되는 내측링(511)과 이 내측링(5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의자부(5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The elevating chair 51 is composed of an inner ring 511 for elevating the elevating operation means 513 connected to the ring 1 and a chair portion 512 provided in the inner ring 511. Float water pla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작수단(513)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ifting operation means 513, 상기 링(1)의 내측에 구비되고 전,후방에 홀(515)이 구비된 양 고정대(514)와, Both holders 514 provided inside the ring 1 and provided with holes 515 in the front and rear, 상기 의자부(512)의 양측에 구비되는 전,후방 장홀(516)과, Front and rear long holes 51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unit 512, 상기 의자부(512)의 양측에 구비되며, 하부 전,후방은 상기 고정대의 전,후방 홀(515)에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전,후방은 상기 전,후방 장홀(516)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중간은 두 개 링크의 경사각도롤 고정하는 고정수단(518)이 구비되어 있는 엑스자형 링크부(5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물놀이 기구.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hair portion 512, the lower front, rear is mounted in the front and rear holes 515 of the fixing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and the front, rear, the front and rear long holes 516 Float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X-shaped link portion 517 is provided with a movable means is inserted to be mounted and the fixing means 518 for fix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wo link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링(1)의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노 삽입링(1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11. The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furnace inserting ring (11) protruding upward on both sides of the ring (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5)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hair (5) 하체가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함몰된 골반 안착부(521)와 골반 안착부(5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리 삽입부(522)가 일체로 구성된 밀폐형 의자(5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body is inserted into the lower pelvis seating portion 521 and the leg insertion portion 52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pelvis seating portion 521 is composed of a closed chair 52 is integrally formed Floating water rides. 제 1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1)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61)를 통해 지지되는 파라솔(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8. The floating water pa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ring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rasol 6 supported by at least one support 61. 9. . 제 1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1)에는 수직으로 세워짐이 가능한 돛(7)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8. Floating pa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ail (7) capable of standing vertically. 제 1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1)이나 부유수단(2)에는 다수의 풍선(8)을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8.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1) or the floating means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lloons (8). 제 1항 및 제 3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수단(2)은 3개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 The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7, wherein the floating means (2) is provided at three places.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대(3)의 상부에는 도어를 포함하는 수납함(9)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물놀이 기구.The floating water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box (9) including a door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
KR1020050081991A 2005-09-03 2005-09-03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KR1006817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991A KR100681711B1 (en) 2005-09-03 2005-09-03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991A KR100681711B1 (en) 2005-09-03 2005-09-03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711B1 true KR100681711B1 (en) 2007-02-12

Family

ID=3810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991A KR100681711B1 (en) 2005-09-03 2005-09-03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7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88B1 (en) * 2012-11-27 2014-05-14 이형 Safety tube
KR20170001166U (en) * 2015-09-22 2017-03-30 민병곤 A watering device that works in ancillary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683A (en) * 1998-01-15 1999-08-05 김복래 Diving equipment
KR19990040295U (en) * 1998-04-29 1999-11-25 정광식 Water park
JP2002233670A (en) * 2001-02-09 2002-08-20 Gifu Plast Ind Co Ltd Connection mount of play equipment for swimming p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683A (en) * 1998-01-15 1999-08-05 김복래 Diving equipment
KR19990040295U (en) * 1998-04-29 1999-11-25 정광식 Water park
JP2002233670A (en) * 2001-02-09 2002-08-20 Gifu Plast Ind Co Ltd Connection mount of play equipment for swimming poo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81991 - 61551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088B1 (en) * 2012-11-27 2014-05-14 이형 Safety tube
KR20170001166U (en) * 2015-09-22 2017-03-30 민병곤 A watering device that works in ancillary equipment
KR200491132Y1 (en) * 2015-09-22 2020-04-24 민병곤 Water rides that operate inside assistiv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588A (en) Floatable sunshade assembly
US20020185049A1 (en) Floating playground
US7051668B1 (en) Floating docking system for personal watercraft
US20060105651A1 (en) Inflatable towable float
MXPA01011641A (en) Self-righting inflatable life raft.
US8075358B2 (en) Dream walk on the water
US8770213B2 (en) Floating shade canopy
US5881402A (en) Portable in-ground pool
GB1596970A (en) Liferafts
TWM381588U (en) Land-based lifeboat with anti-overturn function
KR100681711B1 (en) A floating instrument used in water for leisure
US7121221B2 (en) Floatable dock mooring article
KR200487140Y1 (en) Portable water type seat plate for fishing
CA2233846A1 (en) Inflatable reversible life raft
KR102058358B1 (en) Safety devices for external shock relief and human accident prevention of water float
US7021230B1 (en) Floatable dock mooring article
US20030046755A1 (en) Floating bug, sun and privacy dome
US8414340B1 (en) Personal flotation and rescue device
WO2014148882A1 (en) A floatation apparatus
KR100490938B1 (en) Hull apparatus for a rubber boat
CA2541655C (en) A floatable dock mooring article
US20080227069A1 (en) Swimming Pool Device
CA2613158A1 (en) A floatable dock mooring article
WO2011124728A1 (en) Flotable device having a closed perimeter
KR102491054B1 (en) Amphibious pedes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