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108B1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108B1
KR100678108B1 KR1020050011637A KR20050011637A KR100678108B1 KR 100678108 B1 KR100678108 B1 KR 100678108B1 KR 1020050011637 A KR1020050011637 A KR 1020050011637A KR 20050011637 A KR20050011637 A KR 20050011637A KR 100678108 B1 KR100678108 B1 KR 10067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rging devic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0914A (en
Inventor
손호성
한기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08B1/en
Publication of KR2006009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외부에서는 무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지만, 실내나 사무실에서는 유선망인 PSTN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 통신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시스템은 유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소정의 RF대역을 통하여 무선망과의 데이터 통신 및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이용한 유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하는 충전장치 블루투스부와, 유선망과 접속되어 유선망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PSTN 게이트웨이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을 담당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nd communicating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external PSTN network in a room or office.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save the communication co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forms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d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RF band. It is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a wired / wireless network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via a wired network using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device Bluetooth unit for provid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STN gateway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to perform protocol conversion for data exchange with the wired network, and charg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ovided with a charging module in charge.

이동통신단말기, 휴대폰, 블루투스, 충전장치, PSTN, 피코넷, 유선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Bluetooth, charging device, PSTN, piconet, wired network

Description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 / WIRELESS NET AND THE METHOD}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상태도.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2a,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이용한 충전 및 블루투스 통화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Figure 2a, Figure 2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charging and Bluetooth call using a Bluetooth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4는 블루투스 충전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충전장치와의 통신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luetooth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블루투스 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luetooth pho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0: 이동통신단말기 210: 블루투스 충전장치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Bluetooth charging device

402: 충전장치 블루투스부 404: PSTN 게이트웨이402: Bluetooth charging unit 404: PSTN gateway

406: 충전모듈406: charging module

본 발명은 유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외부에서는 무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지만 실내나 사무실에서는 유선망인 PSTN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electing and communicating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STN network, which is a wired network in an indoor or an off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 통신로인 파이롯, 동기, 페이징, 통화채널을 통하여 이동통신기지국(BTS)과 단말기 고유번호 호출메시지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대편 단말기와의 음성통화를 제공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러한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상호간의 간단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쓰일 뿐 아니라 점차 마케팅과 고객관리 수단으로 쓰임새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무선 인터넷 메일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무선넷 메일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voice call with the oth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pilot, synchronization, paging, and a call channe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BTS) and a terminal unique number call message and voic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rthermore, in recent years,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have been provided, and these short message services are not only used as simple communication means for each other but also gradually used as marketing and customer management means. It's happening. In addition, by providing wireless Internet mail, various wireless net mail message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CDMA, GSM 등의 방식 모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발신되는 무선 신호는 이동통신기지국(102;BTS), 이동교환국(104;MSC)을 거쳐 PSTN망(106) 등의 공중망을 통하여 상대방의 유선 전화기(110)와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서비스 제공사가 다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108)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 신호가 이동 통신기지국과 이동교환국을 거쳐 다른 이동통신단말기(108)에 전송되는 것이다.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as shown in FIG. 1, and the wireless signals received / outgo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TS, GSM, and the like. A call is made to the other party's landline telephone 110 via a public network such as the PSTN network 106 via a mobile switching center 104 (MSC). Similarly, in or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8 whose service provider is different,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origin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asse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to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108).

그런데, 상기와 같이 무선망(150)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화는 PSTN망과 같은 일반 유선망(106)만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화료에 비하여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즉, 무선망(150)을 이용한 통화는 이동통신기지국(102), 이동교환국(104;MSC)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 이용 요금 등의 부담으로 인해 일반 유선 PSTN망(106) 만을 이용한 전화통화보다 비싼 전화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싼 전화요금 때문에 무선망을 통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에 부담을 느끼는 실정이었다. 특히, 가정 내 또는 사무실내와 같이 일반 유선전화기가 구비된 경우,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은 무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비싼 통화료가 들기 때문에, 가정 내에 있는 유선전화기를 찾아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무선 통화할 수 있음에도, 유선전화기로 발신을 시도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 내의 전화부를 검색하여 발신번호를 찾아내어 유선 전화기로 통화를 시도하는 불편이 있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a call mad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150 is expensive compared to a call made through a general wired network 106 such as a PSTN network. That is, since the call using the wireless network 150 must pa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02, the mobile switching center 104 (MSC), and the like, due to the burden of the usage fee, the call using only the general wired PSTN network 106 is used. There was a burden of expensive telephone bills. Therefore, the users are burdened with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due to the high phone bill. In particular, when a general landline telephone is provided, such as in a home or an office,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mobile phone costs expensive call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There was discomfort. In addition, even though it is easy to make a wireless call using a shortcut key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rying to make a call using a wired phone by searching the phone par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rying to make a call using a landline phone. .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외부에서 통화 요청이 있을 때는 무선망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정 내 등의 구내에서는 유선망을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유선망/무선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내에서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선망을 통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유선망 접속 장치를 이용할 필요 없이 기존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유선망 통화가 이루어지는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s a call from the outside, the call is ma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in the premises such as home using a wired network In order to make a call, the user can use a wired / wireless network at the user's choice.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method of making a wired network call using an existing charging device without using a separate wired network connection device in or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network in the premises.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소정의 RF대역을 통하여 무선망과의 데이터 통신 및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이용한 유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하는 충전장치 블루투스부와, 유선망과 접속되어 유선망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PSTN 게이트웨이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을 담당하는 충전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은, 무선망상의 이동통신기지국과 소정의 RF대역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유선망 탐색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피코넷을 설정할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충전장치가 근거리 지역에 있는지를 탐색하는 과정과, 근거리 지역내에 있는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검색해내어 상호간에 피코넷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충전기에서 수신하여 소정의 유선망 프로토콜로 변환 후 유선망으로 전송되는 과정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uetooth charging device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network by perform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RF b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data communication and a wired network using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is provided.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device Bluetooth unit for provid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STN gateway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to perform protocol conversion for data exchange with the wired network, and charg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ovided with a charging module in char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process of 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n a wireless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RF band, and a Bluetooth charging device capable of establishing a Bluetooth piconet when a user requests a wired network search, Searching for a Bluetooth device within a short distance, establishing a piconet connection with each other,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rom the Bluetooth charger to a predetermined wired network protocol. After the conversion is provided to the wired network.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general practices of those belonging to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충전장치에 접속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고, 도 2b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며 전화 통화를 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a Bluetooth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is performed.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kes a phone call while perform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charging device.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블루투스 충전장치(210)에 거치 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충전이 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2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일반 충전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PSTN 접속 모듈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PSTN 접속 모듈에 RJ11의 전화커넥터(212)가 연결 됨으로써, 결국, 블루투스 충전장치(210)는 PSTN망(220)과 연동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충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블록을 도 4와 함께 후술한다. As shown in FIG. 2A,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placed in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2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harged.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210 includes a charging module for char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Unlike the general charging device,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210 includes a separate PSTN connection module. By connecting the telephone connector 212 of the RJ11 to the PSTN connection module,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210 is eventually interlocked with the PSTN network 220.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충전장치(210)와 블루투스 통신(202)을 수행함으로써, 블루투스 충전장치(210)에 연결된 PSTN 망(220)을 이용한 전화통화를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외부에서는 무선망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지만, 블루투스 충전장치가 있는 근거리 지역에서는 블루투스 충전장치(210)에 연결된 PSTN망(220)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PSTN망은 전화국과 전화국 사이를 연결하는 전송로로서, 전송로 매체로는 동축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무선, 그리고 최근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As shown in FIG. 2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telephone call using the PSTN network 220 connected to the Bluetooth charger 210 by perform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202 with the Bluetooth charger 210.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erform a call using a wireless network from the outside, but can perform a phone call function using the PSTN network 220 connected to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210 in a short range area where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is located. have. The PSTN network is a transmission path that connects between a telephone station and a telephone station. As a transmission path medium, a coaxial cable, a microwave radio, and recently, an optical fiber cable is us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RF부(30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302)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304)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304)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RF unit 302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F unit 302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304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304 may include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오디오 처리부(306)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304)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304)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processor 306 reproduces a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304 through a speaker or transmits a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to an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304. Perform.

키입력부(31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표시부(308)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The key input unit 31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display unit 308 displays an image signal on a screen, and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300. It i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메모리(312)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OS가 들어가 있으며, 데이터 메모리는 이동통신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곳이다. The memory 312 is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includes a booting and an O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ata memory is a place for storing various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말기 블루투스부(314)는 블루투스 충전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서,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충전장치 사이에서의 블루투스 통신을 담당한다. 따라서, 단말기 블루투스부는 충전장치 블루투스부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Layer 1,2,3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책임진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종래 공지된 통신방식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rminal Bluetooth unit 314 is an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and is responsibl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Therefore, the terminal Bluetooth unit is responsible for the hardware and software of the layers 1,2 and 3 according to the Bluetooth protocol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arging unit Bluetooth unit. Since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uses a conventionally known communication metho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3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에서는 무선망을 이용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가정 내같은 구내에서는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통한 유선망을 이용하여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using a wireless network from the outside, and a telephone call is made using a wired network through a Bluetooth charging device in a premises such as a home. To los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충전장치의 내부 구성 블록을 도시한 그림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block of a Bluetooth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블루투스 충전장치는 크게 충전장치 블루투스부(402), PSTN 게이트웨이(404), 충전모듈(406)을 구비하는데, 상기의 충전장치 블루투스부(402)는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의 단말기 블루투스부(31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includes a charging device Bluetooth unit 402, a PSTN gateway 404, and a charging module 406. The Bluetooth device 402 is a module that is responsibl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terminal Bluetooth unit 314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STN 게이트웨이(404)는 충전장치 블루투스부(402)를 통하여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를 PSTN망을 이용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변환 게이트웨이로서, 아울러 RJ11과 같은 공중전화 접속핀이 접속되는 변환 통신 모듈이다. 상기 PSTN 게이트웨이(404)의 동작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지트(digit) 키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디지트 키를 DTMF 톤으로 변환하여 PSTN 망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충전모듈(406)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모듈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를 소정의 전압까지 충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The PSTN gateway 404 is a conversion gateway for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Bluetooth unit 402 into a signal that can use the PSTN network, and a conversion to which a public telephone connection pin such as RJ11 is connected.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key signal of the PSTN gateway 404 is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digital key is converted into DTMF tones and exported to the PSTN network. The charging module 406 is a modu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unctions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PSTN망에 연결된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유선 PSTN망을 통한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telephone call through a wired PSTN network by perform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charging device connected to a PST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기(200) 사용자가 PSTN 유선망을 사용하여 통화모드를 선택(S502)하게 되면, 이와 같은 입력을 받은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충전장치가 있는지를 탐색(S504)하여 탐색이 완료되면 해당 블루투스 충전장치(210)와 피코넷 링크를 설정(S506,S508)한다. 상기 탐색은 근거리 지역 내에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모듈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서, 표준 규격에 따른 탐색을 수행하여 피코넷 링크 설정이 이루어진다. 즉, 블루투스 충전장치가 어느 피코넷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피코넷 가입을 위해 블루투스 연결 대기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동통신단말기가 접근하여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서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 안으로 접근하면, 피코넷을 이루기 위하여 무선 탐색(inquiry)과 응답(response)를 통해 피코넷 연결된다. 이렇게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충전장치는 피코넷 링크 연결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채널을 확보, 상호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elects a call mode using the PSTN wired network (S50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such an input searches for whether there is a Bluetooth charging device that can communicate (S504) and the search is completed. The piconet link is established with the Bluetooth charger 210 (S506, S508). The search is for searching whether there is a module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in the near area. The search is performed according to a standard specification to establish a piconet link. That is, if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is not connected to any piconet, the Bluetooth connection standby state is maintained to join the piconet.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roaches and approaches the distance within which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iconet is achieved. The piconet is connected via wireless inquiry and response. In this w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secure a channel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piconet link connection, and are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피코넷 연결을 이루어짐으로써, 결국, PSTN망에 연결되어 유선 PSTN망을 통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코넷 링크 설정이 해제(S510,S512)된 후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충전장치는 피코넷 연결이 종료되어, 이동통신단말기는 PSTN망이 아닌 무선망을 통한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stablishes a piconet connection with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and thu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STN network to make a telephone call through the wired PSTN network. After the piconet link setting is released (S510, S51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are terminat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erform a telephone call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stead of the PSTN network.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된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GSM 방식 등의 무선망 스펙이 적용되는 모든 무선 단말기를 말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폰(Bluetooth Phone)에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블루투스 폰이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이동통신단말기 (604)와 블루투스 통신하면서 무선 통신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형 무선단말기(606)를 말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604)가 이동통신기지국(602)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하면서, 통신 내용을 블루투스 폰(606)에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해주면, 사용자는 블루투스 폰(606)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방이나 서랍 등에 있으면서 기지국과 RF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604)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폰(606)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목걸이형으로 되어 최소한의 크기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블루투스 폰(606)은 스피커, 마이크, LCD창, 키패드, 블루투스 모듈 등의 최소한의 구성블록만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블루투스 폰은 유럽등의 GSM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속 폰으로 상용화되어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refers to all wireless terminals to which the wireless network specifications such as CDMA, GSM, etc. are applied, but in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not on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a Bluetooth phone. It will be possible. As described above, the Bluetooth phone refers to a small wireless terminal 606 that provides wireless communication to a us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4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4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602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ommunication contents to the Bluetooth phone 606 using the Bluetooth method, the user calls using the Bluetooth phone 606. To do. Therefore, the Bluetooth phone 606 for carrying ou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4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n a bag or drawer is made of a necklace so as to be easy for a user to maintain a minimum size. To this end, the Bluetooth phone 606 has only a minimum block of components, such as a speaker, a microphone, an LCD window, a keypad, and a Bluetooth module. Such a Bluetooth phone is commercially available as an accessory phone of a GSM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Europe.

그런데,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604) 뿐만 아니라 상기 블루투스 폰(606)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즉, 블루투스 폰의 경우 외부에서는 무선망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루투스 전송을 받아 통화를 수행하지만, 구내에서는 유선망에 연결된 블루투스 충전장치의 블루투스 전송을 받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블루투스폰의 경우, 콜 수신 시에는 무선망에 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이용의 수신 콜을 받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 전화번호로의 수신 콜을 받게 된다. 반면에, 상기 블루투스가 구내에 있어 유선망에 접속된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해당 블루투스 충전장치에 연결된 PSTN 유선 고유 전화번호를 가진 수신 콜을 받게 되는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Bluetooth phone 606 as well as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4. That is, in the case of a Bluetooth phone, the outside receives the Bluetooth transmis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wireless network, but the call can be received in the premises by receiving the Bluetooth transmission of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Bluetooth phone, when a call is received, a Bluetooth call is receiv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As a result, the Bluetooth phone receives a call to a unique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uetooth is in the premises and performs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as a result, the incoming call with the PSTN wired unique telephone number connected to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is received.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embodiment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will be apparent in the claims as well as equivalent scope.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여 PSTN망에 접속시켜 놓음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는 외부에서 무선망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유지하지만, 가정 내와 같은 구내에서는 PSTN망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약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충전장치에 블루투스 모듈과 PSTN 게이트웨이만을 구비하며 본 발명이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PSTN 접속 터미널 필요없이 경제적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module including a Bluetooth module to connect to a PSTN network,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tains a telephone call using a wireless network from the outside, but in the premises such as a home, the PSTN Since the telephone call can be performed using the network, it is cost effective. In addition, since only the Bluetooth module and the PSTN gateway ar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conomically implement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STN connection terminal.

Claims (8)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하는 충전장치 블루투스부와,A charging device Bluetooth unit for providing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유선망과 접속되어 유선망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PSTN 게이트웨이와,A PSTN gateway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to perform protocol conversion for data exchange with the wired network;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을 담당하는 충전모듈Charging module in char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ging device provided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접속을 제공하는 단말기 블루투스부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The charg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es a terminal Bluetooth unit providing a connection for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는 RF11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어 PSTN망의 접속 핀이 삽입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The charg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includes an RF11 connector so that a connection pin of a PSTN network can be inserted. 유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충전장치와, A Bluetooth charging device for perform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connected to the wired network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es through the wired network; 소정의 RF대역을 통하여 무선망과의 데이터 통신 및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이용한 유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한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capable of selecting and communicating a data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RF band and a wired / wireless network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network using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충전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접속 모듈을 제공하는 단말기 블루투스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claim 4,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Bluetooth providing a connection module for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charging device. . 무선망상의 이동통신기지국과 소정의 RF대역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n a wireless network through a predetermined RF band; 사용자로부터 유선망 탐색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블루투스 피코넷을 설정할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충전장치가 근거리 지역에 있는지를 탐색하는 과정과,If there is a wire network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searching for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establishing a Bluetooth piconet in a short-range area; 근거리 지역내에 있는 블루투스 충전장치를 검색해내어 상호간에 피코넷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과, Searching for a Bluetooth charging device in a short distance and establishing a piconet connection with each other;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블루투스 충전기에서 수신하여 소정의 유선망 프로토콜로 변환 후 유선망으로 전송되는 과정The process of receiving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Bluetooth in the Bluetooth charger, converting the data into a predetermined wired network protocol, and then transmitting the wired network. 을 포함하는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Method of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by selecting a wired / wireless network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이 있을 시에는 유선망 전송이 중지되고 무선망을 통하여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stopping the wired network transmission when the user request is made, and transmitting the data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 제6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탐색 결과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충전장치가 없을 시에는 블루투스 충전장치 없음을 디스플레이하고, 무선망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망/무선망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6, wherein when there is no Bluetooth charging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Bluetooth, the Bluetooth search device displays no Bluetooth charging device and maintains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state. Method of oper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11637A 2005-02-11 2005-02-11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KR100678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37A KR100678108B1 (en) 2005-02-11 2005-02-11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637A KR100678108B1 (en) 2005-02-11 2005-02-11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14A KR20060090914A (en) 2006-08-17
KR100678108B1 true KR100678108B1 (en) 2007-02-02

Family

ID=3759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637A KR100678108B1 (en) 2005-02-11 2005-02-11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37A1 (en) * 2009-12-30 2011-07-07 Lim Chang-Soo Charger type 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237A1 (en) * 2009-12-30 2011-07-07 Lim Chang-Soo Charger type 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914A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0818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US6813505B2 (en)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KR20100007042A (en) An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in a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JPH09107409A (en) Telephone set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KR100678108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selecting wire/wireless net and the method
KR20100065221A (en) Method of inter-connection from mobile phone to wired and wireless pstn or voip phone for switching and enabling telecommunication by pstn or voip via mobile gsm or cdma mobile phone
US20070232273A1 (en)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answering function to a wireless phone
KR100607703B1 (en) Telephone with p2p for a basis
KR100685279B1 (en)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larm function by using an appointment call
JP4206179B2 (en) Mobile terminal network system
KR20070088083A (en) Method for receiving the multimedia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KR20040082892A (en) Manners Mod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in private mobile service system
KR200600712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sm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ing it
JPH06311099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20070007527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inary cdm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0723721B1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Call Service in Non Simultaneous Voice and Video Terminal
KR19980072498A (en) Auto mode switching method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home and public use
JPH10224844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6058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number while taking over ?he telephone in wireless terminal
KR200188087Y1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ring Sets of Portable Telephone
KR20020045927A (en) Bluetooth Type Telephone Set Capable of Communicating Data and Sound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1006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outing between portable terminal and wireless headset
KR100663416B1 (en) Method for confirming the receiving state of mobile terminal
KR200187431Y1 (en)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ring Sets of Portab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