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225B1 -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 Google Patents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225B1
KR100677225B1 KR1020050000882A KR20050000882A KR100677225B1 KR 100677225 B1 KR100677225 B1 KR 100677225B1 KR 1020050000882 A KR1020050000882 A KR 1020050000882A KR 20050000882 A KR20050000882 A KR 20050000882A KR 100677225 B1 KR100677225 B1 KR 10067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phone
control unit
data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0609A (en
Inventor
황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225B1/en
Publication of KR2006008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제어부 모듈 사이에 유에스비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이동통신 기능을 제어 감시하는 폰제어부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폰제어부에 인가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활성화된 차동증폭부는 정합 인터페이스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에 인가하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폰제어부에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는 활성화된 제2 와 제3 버퍼에 의하여 정합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가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 또는 상기 폰제어부 중 어느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하여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차동증폭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폰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등등으로 하여, 적은 전류를 소모하며, 간단한 구성의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수신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USB data between the control module of the PD phone, by the pho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D phone, the USB control unit to be applied to the phone control unit in the state that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signal Outputs a signal, and activates the differential amplifier to match the interface to the PD controller, and the US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to the phon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ctivated second and third buffers. In addition, when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PD control unit of the PD phone, the data control unit, the PD control unit or the phone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the UESB data,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D control unit In the case of outputting data,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are respectively activated to interface the USB signal output by the PD controller to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ler. When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the UESB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PD controller may activate the differential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to input the USB signal output by the phone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ries of processes to interface to match the level, it consumes a small current, there is an effect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o the interface device of a simple configuration.

Description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도1 은 피디에이폰의 발달 과정 설명도, 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development process of a PD;

도2 는 버스 파워에 의한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구성도,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USB interface device using bus power;

도3 은 셀프 파워에 의한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구성도,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use USB interface device using self power;

도4 는 종래 피디에이폰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기능 구성도, 4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SB interface between the conventional PD module;

도5 는 본 발명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기능 구성도, Figure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inter-us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Dphone;

도6 은 본 발명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순서도.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nter-use USB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PDphon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폰제어부 110 : 차동증폭부 120 : 제1 버퍼부100: phone control unit 110: differential amplifier 120: first buffer unit

130 : 제2 버퍼부 140 : 제3 버퍼부 150 : 피디에이 제어부130: second buffer unit 140: third buffer unit 150: PD controller

160 : 스위치부 160: switch unit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피디에이 제어부 모듈과 시디엠에이 폰제어부 모듈 사이에 유에스비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모듈의 동작전원 레벨 차이에 의하여 각각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의 전압레벨 차이를 정합 상태로 인터페이스하여 양방향으로 송수신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terface between a PD controller module and a CD phone controller module of a PD phone. In particular, the voltage level difference of the USB data output by the operation power level difference of each module is adjusted to a matching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inter-use USB interface of a PD phon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both directions.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망(NETWORK)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The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MS: MOBILE STATION) moves freely 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registered base station or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RAN: RADIO ACCESS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llows an individual to carry it anywhere and always carry it by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desired party anytime, anywhere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established by monitoring, control and switching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

최근, 통신관련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통신장비를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하는 동시에 대량생산하므로, 보급이 확산되어 많은 사람이 통신의 편리한 혜택을 보고 있다.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related technology, communication equipment is produced at a relatively low price and mass production.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을 위하여 소형이고 가볍게 제작하고, 실제 통신에 이용되는 시간이 작으며, 상기와 같이 낮은 휴대단말기(MS)는 이용률을 높이고 실생활의 응용성 및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act and lightweight for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the time used for actual communication is small, and the low portable terminal (MS) as described above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and increase the applicability and convenience of real lif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또한, 피디에이(PDA: PERSONAL DATA ASSISTANCE)는 포켓용 컴퓨터로 개발된 것으로, 단순한 데이터 단말기로 시작하여 엠피3, 멀티미디어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In addition, PDA (PERSONAL DATA ASSISTANCE) is developed as a pocket computer, starting with a simple data terminal,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MP3 and multimedia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와 피디에이가 각각 발달하는 과정에서 서로 통합되게 되었고, 즉, 휴대단말기와 피디에이가 결합한 것이 피디에이폰(PDA-PHONE)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D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at is, the PDA and the PD are coupled to the PD-PHONE.

상기 피디에이폰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의하여서만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로,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음성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발신자 번호 확인(CID), 컨텐츠 제공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또는 피디에이에서 공통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가서비스로, 카메라, 블루투스, 적외선, 무선랜, 라디오, 티비,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등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로운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The PD phone is an additional service provided only by a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includes a text message, a video message, a voice message, an online game, a wireless Internet, a caller ID (CID), content provision, and the like in a mobile terminal or a PD. Additional services that can be commonly implemented include cameras, Bluetooth, infrared, wireless LAN, radio, television, games, electronic calculators, calendars, and the like, and the additional services are continuously added with new functions.

상기 피디에이폰(PDA-PHONE)은, 피디에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모듈과 휴대단말기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모듈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제어부 모듈 사이에 송수신이 필요한 데이터는 범용직렬버스(USB) 방식으로 전송하며, 각각 사용하는 동작전원의 레벨이 3.3 볼트와 2.8 볼트로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 출력하는 데이터의 레벨에도 차이가 있다. The PDA-PHONE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PD function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function, and data require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control modules is controlled by a universal serial bus (USB) method. The level of the operating power used for transmission varies between 3.3 volts and 2.8 volts.

따라서, 상기 피디에이폰(PDA-PHONE)에서는 각 제어부 모듈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레벨에 차이가 있어도 정합(MATCHING) 상태로 인터페이스(INTERFACE) 되어 송수신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in the PDA-PHON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allows an interfac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matching state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data transmitted between each control module.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odule-to-use USB interface of the P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피디에이폰의 발달 과정 설명도 이고, 도2 는 버스 파워에 의한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구성 도 이며, 도3 은 셀프 파워에 의한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구성도 이고, 도4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피디에이폰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It is attached to explain the prior art, Figure 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DA,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module UESB interface device by the bus power, Figure 3 is a module-to-module USB interface device by the self-power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USB interface between PD phone modu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1을 참조하여, 피디에이폰의 발달과정을 설명하면, 휴대단말기는 초기 1세대(1G)는 음성급 통신을 위주로 개발되었으며, 다음의 2세대(2G)에서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발달되어 문자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 있게 되었고, 현재의 3 세대(3G)에서는 음성과 데이터와 영상 신호를 포함하며, 카메라기능, MP3 기능, 티비(TV) 기능, 라디오 기능, 블루투스(BLUETOOTH) 기능, 적외선(IRDA) 기능, 무선인터넷 접속 등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이 포함되는 멀티미디어(MULTIMEDIA) 통신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Referring to FIG. 1,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DA phone is described. First, the first generation (1G) of the mobile terminal was developed mainly for voice level communic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2G) was developed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Messages can be transmitted, and current 3G (3G) includes audio, data and video signals, camera function, MP3 function, TV (TV) function, radio function, Bluetooth (BLUETOOTH) function, infrared (IRDA) It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inclu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access, etc.

상기 멀티미디어 신호 중에서 특히, 영상신호는 데이터 량이 매우 많으므로, 정지영상 또는 화소(PIXEL) 수를 최소로 하는 동시에 전송하는 프레임의 숫자를 줄이는 방식으로 통신하고 있다. Particularly, among the multimedia signals, since the video signal has a large amount of data, the video signal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minimizing the number of still images or pixels and simultaneously reducing the number of transmitted frames.

따라서, 3세대(3G)의 멀티미디어(MULTIMEDIA) 방식 이동통신을 좀더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고속데이터 통신(EVDO: EVOLUTION DATA ONLY)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Therefore, the 3G 3G (MULTIMEDIA) is evolving into a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EVDO: EVOLUTION DATA ONLY) method for more smoothly and efficiently using mobile communication.

또한, 피디에이(PDA)는 초기에 단순하게 계산과 워드프로세서 및 데이터 단말 기능 등의 처리를 하는 저가형(LOW COST)으로 개발을 시작하고, 다음에는 보다 고급형으로, 카메라, MP3, 티비(TV), 라디오 등등의 부가기능이 포함되는 피디에이로 발전하고, 현재는 블루투스(BT: BLUETOOTH)방식과 무선랜(WLAN: WIRELESS LAN)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DA started development as a low-cost (LOW COST) that simply processes calculations, word processors, and data terminal functions, and then more advanced, camera, MP3, TV (TV), It is evolving into a media that include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radio, etc., and is now developing into a method capable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ing a Bluetooth (BT: BLUETOOTH) method and a WLAN (WIRELESS LAN) method.

상기와 같이 각각 발전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와 포켓용 소형 컴퓨터의 피디에이(PDA)는, 각각의 부가기능 확장에 의하여 통합되게 되므로, 피디에이폰(PDA-PHONE) 또는 스마트 피디에이(SMART PDA)로 발전하였다. The PDA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S) and the pocket small computer, which have been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are integrated by the expansion of the respective additional functions. Developed.

상기 피디에이폰은,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모듈과 피디에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모듈을 각각 동시에 구비한다. The PD phone includes a controll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module for controlling the PD.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제어부 모듈(MODULE) 사이에 버스파워(BUS POWER)에 의하여 동작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operated by bus power between the control module MODULE will be described.

제1 제어부(10)와 제2 제어부(40)는 동일한 레벨의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운용되는 것으로, 일 예로, 제1 제어부(1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0)가 제2 전원부에 버스(BUS) 경로(PATH)를 통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The first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40 are operated by receiving the same level of operating power.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0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first control unit 10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It is a method of supplying operating power through a bus path.

상기 버스(BUS)는, 트위스티드 페어 실드선(TWISTED PAIR SHIELD)(30)을 이용하고, 상기 실드선(3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므로, 버스파워 방식이라고 한다. The bus BUS is referred to as a bus power system because it uses a twisted pair shield wire 30 to transmit data while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hield wire 30.

상기 제1 제어부(10)와 제2 제어부(40)는 범용직렬버스(USB)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실드선(30)을 통하여 전송된다. The first control unit 1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40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method, and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ield wire 30.

이하, 상기 첨부된 도3 을 참조하여, 제어부 모듈(MODULE) 사이에 자체파워(SELF POWER)에 의하여 동작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3,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perating by self power between the control module MODULE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 제어부(15)는 자체 전원부(25)에 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제2 제어부(45)도 자체 전원부(28)에 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자체파워 공급방식이 다. The first control unit 15 is a self-power supply system is supplied with the operating power by the self-power supply unit 25, the second control unit 45 is also supplied with the operating power by the self-power supply unit 28.

상기와 같이 자체파워 공급방식의 제1 제어부(15)와 제2 제어부(45)에서도 범용직렬버스(USB)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실드선(35)을 통하여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 unit 15 and the second control unit 45 of the self-power supply method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method, and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ield wire 35.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피디에이폰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4, a USS interface device between PD phone modu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상기 피디에이폰(PDA-PHONE)은 피디에이(PDA)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를 결합한 것으로, 피디에이를 제어하는 피디에이 제어부(80)와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폰제어부(50)를 각각 구비한다. The PD-PHONE is a combination of the PDA and the mobile terminal MS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includes a PD controller 80 for controlling the PD and a phone controller 50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2.8 볼트(V)를 사용하여 동작되도록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피디에이는 컴퓨터를 초소형화 한 것이므로 3.3 볼트(V)를 사용하여 동작되도록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veloped to operate using 2.8 volts (V)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the PD has been developed to operate using 3.3 volts (V) because it is a miniaturized computer.

상기 폰제어부(50)는 2.8 볼트(V)의 전원부(60)를 구비하고, 피디에이 제어부(80)는 3.3 볼트의 전원부(90)를 각각 구비하며, 각각 해당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므로 각각 출력하는 데이터의 레벨(LEVEL)이 상이하다. The phone control unit 5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60 of 2.8 volts (V), the PD controller 8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90 of 3.3 volts, each operated by the operating power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unit Therefore, the level LEVEL of the data to be output is different.

그러므로, 상기 폰제어부(5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80)에서 그대로 입력할 수 없고, 또한,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8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상기 폰제어부(50)에서 그대로 입력할 수 없다. Therefore, the data output from the phone control unit 50 cannot be input directly from the PD controller 80, and the data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80 can be input directly from the phone controller 50. none.

상기와 같이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레벨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듀얼포트램(DP-RAM: DUAL PORT RAM)(70)을 이용한다. As described above, a dual port RAM (DP-RAM) 70 is used to adjust the level of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phone controller and the PD controller.

상기 듀얼포트램(70)은 입력과 출력포트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입력과 출력포트는 별도 전용 프로그램으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과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상이하여도 정합상태로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가격이 비교적 비싸다. The dual port RAM 70 is a separate input and output port, the input and output port is set as a separate dedicated program, even if the level o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is different, the matching state It can be controlled and output, and the price is relatively expensiv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동작전원의 레벨이 상이한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정합상태로 전송하기 위하여 듀얼포트램(70)을 인터페이스 장치로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제어과정이 복잡한 등의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prior art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expensive because the dual port RAM 70 is used as an interface device in order to transmit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PD control unit having different levels of operating power in a matched state.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complicated control process.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레벨이 상이한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의 레벨을 정합상태로 인터페이스하여 각각 입력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use USB interface between PD phone which interface each level of data outputted from PD phone with different level of data output from PD controller and input each of them. to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이동통신 기능을 제어 감시하는 폰제어부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폰제어부에 인가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활성화된 차동증폭부는 정합 인터페이스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에 인가하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폰제어부에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는 활성화된 제2 와 제3 버퍼에 의하여 정합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ho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D phone outputs the USB data signal to be applied to the phone control unit in the state that the PD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the USB signal The activated differential amplifier unit is interfaced to the PD controller, and the US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to the phon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ctivated second and third buffers. .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을 위한 제어를 하며 리시브 단자를 감시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오이단자를 로우레벨로 제어하고 정합상태의 유에스비 데이터를 입력하는 폰제어부와; 상기 폰제어부와 활성화된 차동증폭부를 통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수신하고 활성화된 버퍼를 통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송신하는 피디에이 제어부와;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 또는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폰제어부의 리시브 단자에 인가하는 제1 버퍼부와;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제2 버퍼부와;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제3 버퍼부와; 상기 폰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 제어신호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차동증폭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o control the mobile terminal and to monitor the receiving terminal to receive the USB data when receiving the low level of the terminal and input the USB data of the matching state A phone control unit; A PD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USAB data through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activated differential amplifier and transmits the USAB data through the activated buffer; A first buffer unit for detecting the output of the USB data signal from the data plus terminal or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applying it to the receiver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A second buffer unit for activating the US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data pl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by an OI terminal control signal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ler; A third buffer unit for activating the US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by an OI terminal control signal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ler;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for matching and outputting the USA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phone control unit to the input level of the P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ucumber terminal control sign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가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 또는 상기 폰제어부 중 어느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하여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차동증폭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폰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n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PD controller of the PD phone data communication, it determines whether any of the PD controller or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the USB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PD controller outputs the USB data, the phone generates the USB data output by the PD controller by activating a second buffer and a third buff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Interface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control unit,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the USB data,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by activating the differential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USB data Characterized in that a series of processes to interface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D controller.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각 제어부 모듈이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 폰제어부가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의 출력단과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차동증폭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차동증폭부의 인버터 출력 단자를 풀업하여 폰제어부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에 전송하는 폰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하여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상기 폰제어부에 전송하는 피디에이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unit of the PD phone when the UESB data communication when the phon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data; When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the USB data signal during the startup process, the differential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is activated, and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unit is pulled up to use the USB controller of the phone control unit. A phone process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D controller; When the phone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signal during the start process,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are activated to activate the USB signal of the PD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D to send to the phone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제어부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USS interface device and method between control module modules of a PD ph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순서도 이다. Attach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inter-SD UBS interface device of the P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inter-module USS interface of the P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제어부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면, 피디에이폰의 이동통신 기능을 제어 감시하는 폰제어부(100)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폰제어부(100)에 인가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활성화된 차동증폭부(110)는 정합 인터페이스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에 인가하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가 폰제어부(100)에 출력하는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는 활성화된 제2 와 제3 버퍼(130, 140)에 의하여 정합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I module between the controller modules of the PD phone will be described. The PD controller 150 is controlled by the phone controller 100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D phone. Outputs the USAB data signal to be applied to the phone control unit 100 in the state of not outputting the data signal, and the activated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interfaced to the PD controller 150 and applied to the PD controller 150, and the PD controller 150 The USB data signal output to the phone control unit 100 i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ctivated second and third buffers 130 and 140.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디에이폰(PDA-PHONE)의 제어부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동통신을 위한 제어와 감시를 하며 리시브(RCV: RECEIVE) 단자를 감시하여 유에스비(USB)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오이단자(OE#)를 로우레벨(LOW LEVEL)로 제어하고 정합상태의 유에스비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으로, 제1 버퍼(120)를 감시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활성화 제어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정합(MATCHING) 상태로 인터페이스(INTERFACE) 하도록 제어하고 각각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와 데이터 플러스 단자(D+)로 입력하며, 상기 제1 버퍼(120)를 감시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비활성화 제어하고, 상기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 제어하며 해당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정합(MATCHING) 상태로 인터페이스(INTERFACE)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에 인가하는 폰제어부(100)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interface device between the control module of the PDA (PDA-PHONE), the control and monitoring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onitors the receive (RCV: RECEIVE) terminal to receive the USB data (USB) In this case, by controlling the cucumber terminal OE # to a low level and inputting the USB data in the matched state, the first buffer 120 is monitored and the USB data signal is input from the PD controller 150. In this case,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re activated and controlled so as to interface with the USB data signal of the PD controller 150 to a matching state, and respectively, the data negative terminal D-. ) And the data plus terminal (D +),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when the first buffer 120 is monitored and the USD data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PD controller 150. The phone control unit for deactivating and controlling the buffer 140, activating and controlling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interfacing the corresponding USB data signal to a matching state to be applied to the PDP controller 150 ( 100),

상기 폰제어부(100)가 출력하는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OE#) 제어신호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부(160)를 통하여 3.3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폰제어부(100)의 오이(OE#)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2.8 볼트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피디에이 제어부(150)에 정합(MATCHING) 상태인 3.3 볼트로 인터페이스(INTERFACE)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110)와, The phone controller 100 outputs the USB data signal that is output by matching the input level of the PD controller 150 by an OE # control signal and is controlled by the PD controller 150. The 3.3V operating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witch unit 160 and activated by the OE # control sig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to provide a 2.8V USS data signal applied from the phone control unit 100. A differential amplifier 110 for interfacing to the control unit 150 at a matching state of 3.3 volts and outputting the same;

상기 차동증폭부(110)의 인버터(INVERTOR)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되는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의 레벨을 풀업(PULL-UP)하는 제1 저항(R1)과, A first resistor R1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pulling up the level of the USB data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of the PD controller 150. and,

상기 차동증폭부(110)의 인버터(INVERTOR)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그라운드(GROUND)와 접속되어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풀다운(PULL DOWN)하는 제2 저항(R2)과,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connected to ground to pull down when the USB data signal is not output;

상기 차동증폭부(110)의 노멀(NORMAL)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풀다운하는 제3 저항(R3)과, A third resistor R3 connected to the normal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pulled down when the UBS data signal is not output when connected to ground;

상기 폰제어부(100)와 활성화된 차동증폭부(110)를 통하여 유에스비(USB) 데이터를 수신하고 활성화된 버퍼(BUFFER)를 통하여 유에스비(USB)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상기 폰제어부(100)로부터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 스위치부(160)를 오프(OFF) 제어하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는, 스위치부(160)를 온(ON) 제어하는 동시에 제1 저항(R1)을 로우(LOW) 상태에서 하이(HIGH) 상태로 제어하는 피디에이 제어부(150)와, Receiving USB data through the phone controller 100 and the activated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transmitting USB data through the activated buffer BUFFER,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When the USB data signal is not input, the switch unit 160 is controlled to be OFF, and when the USB data signal is input, the switch unit 160 is ON and the first resistor is controlled. A media controller 150 for controlling R1 from a low state to a high state,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D+) 또는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로부터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폰제어부(100)의 리시브(RCV) 단자에 인가하는 제1 버퍼부(120)와, First to detect the output of the USB data signal from the data plus terminal (D +) or the data minus terminal (D-) of the PDP control unit 150 to apply to the receive (RCV)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A buffer unit 120,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D+)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OE#)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100)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제2 버퍼부(130)와, A second USB signal that is output from the data plus terminal D + of the PD controller 150 is activated by an OE # control signal and is matched to an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ler 100 to output the second USB signal; A buffer unit 130,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OE#)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100)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제3 버퍼부(140)와, A third buffer unit 140 which is activated by an OE # control signal and is matched with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by outputting the UES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150; ,

상기 차동증폭부(110)에 접속하고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3.3 볼트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16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The switch 160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supplies or cuts off 3.3V of operating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D controller 150.

상기 제1 버퍼(120)와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는, 각각 2.8 볼트의 동작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3.3 볼트의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2.8 볼트로 정합 인터페이스하여 폰제어부(100)에 출력하는 구성이다. The first buffer 120,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operate by an operating power of 2.8 volts, respectively, and are 3.3 volts USB (USB) applied from the PD controller 150. The data signal is interfaced to 2.8 volts and output to the phone control unit 10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inter-use USB interface device of P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100)는, 제1 버퍼부(120)를 감시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가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지 또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 The phone control unit 100 of the PDP phone monitors the first buffer unit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PD controller 150 outputs the USB data signal or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상기 제1 버퍼부(120)는, 2.8 볼트(V)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피디에이 제 어부(150)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D+)와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에 모두 접속하여 어느 한쪽으로부터 3.3 볼트(V) 레벨의 유에스비 데이터가 출력되면, 상기 폰제어부(100)의 리시브 단자(RCV)에 2.8 볼트(V)의 신호를 출력한다. The first buffer unit 120 is supplied with an operating power of 2.8 volts (V), and is connected to both the data plus terminal (D +) and the data minus terminal (D−) of the PD controller 150 from either side. When the USAB data of the 3.3 V (V) level is output, a signal of 2.8 V is output to the receive terminal RCV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따라서, 상기 폰제어부(100)는, 리시브 단자(RCV)에 신호가 입력되면 피디에이 제어부(150)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인지한다. Therefore, when the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e terminal RCV, the phone control unit 100 recognizes that the PD controller 150 outputs the USB data signal.

상기 폰제어부(100)는, 리시브 단자(RCV)에 신호가 인가되면, 오이단자(OE#)를 로우 레벨(LOW LEVEL)로 설정하여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활성화(ACTIVE)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차동증폭부(110)를 비활성화(NON-ACTIVE) 제어한다. When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receive terminal RCV, the phone controller 100 sets the cucumber terminal OE # to a low level to activate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t the same time as the (ACTIVE) control,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controlled to be non-active (NON-ACTIVE).

상기 차동증폭부(110)와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는, 로우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액티브 상태가 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비활성화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operate in an active state when a low level control signal is applied, and are inactivated when a high level control signal is applied. I never do that.

상기와 같이, 폰제어부(100)의 오이단자(OE#)로부터 로우레벨(LOW LEVEL)의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활성화된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는, 2.8 볼트(V)의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와 데이터 플러스 단자(D+)로부터 각각 3.3 볼트(V)로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2.8 볼트(V)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폰제어부(100)의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와 데이터 플러스 단자(D+)에 각각 인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ctivated by receiving a low level control signal from the cucumber terminal OE #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are 2.8 volts (V). Is supplied with an operating power of 2.8 V, and a 2.8 V (V) of USB signal is output from the data negative terminal (D-) and the data plus terminal (D +) of the PD controller 150 to 3.3 V (V), respectively.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and applied to the data minus terminal D− and the data plus terminal D +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피디에이제어부(150)로부터 3.3 볼트(V)로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는, 2.8 볼트(V)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로 인터페이스(INTERFACE) 되 어 정합(MATCHING) 상태로 상기 폰제어부(100)에 인가된다. Accordingly, the USB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150 to 3.3 volts (V) is interfaced to the 2.8 volts (V) USB signal and is interfaced to the phone control unit 100 in a matching state. Is applied to.

상기 폰제어부(100)는, 상기 제1 버퍼부(120)를 감시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오이단자(OE#)를 하이레벨(HIGH LEVEL)로 설정하여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버퍼부(130)와 제3 버퍼부(140)를 비활성화 제어한다. The phone control unit 100 monitors the first buffer unit 120 and sets the cucumber terminal OE # to a high level when the UESB data signal is not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150. While activating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re inactivated and controlled.

또한,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160)를 온(ON) 제어하여 상기 차동증폭부(110)에 3.3 볼트(V)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저항(R1)을 로우(LOW) 레벨에서 하이(HIGH) 레벨로 강제 절환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D controller 150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the switching unit 160 is turned on so that 3.3 V (V) of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t the same time, the first resistor R1 is forcibly switched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to recognize the USB data.

상기 폰제어부(100)는,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와 데이터 플러스 단자(D+)를 통하여 2.8 볼트(V) 레벨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는, 3.8 볼트(V)의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차동증폭부(110)에 인가되어 3.8 볼트(V) 레벨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D+)와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에 각각 인가되는 동시에, 상기 차동증폭부(110)의 인버터(INVERTOR)된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는 제1 저항(R1)에 의하여 풀업(PULL-UP)되므로 출력레벨이 3.8 볼트(V)로 정격규격화 되어 출력된다. The phone control unit 100 outputs a 2.8 volt (V) level USB signal through the data minus terminal (D-) and the data plus terminal (D +), and the output USB signal is 3.8 volts (V). Is appli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cation unit 110 supplied with the operating power of the control unit and converted into a 3.8 volt (V) level UESB data signal, and the data plus terminal (D +) and the data minus terminal (D−) of the PD controller 150. ), While the UES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inverter-inverted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pulled up by the first resistor R1, the output level is 3.8 volts (V). It is output as standardized by).

즉, 상기 폰제어부(100)의 오이단자(OE#)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고, 온(ON) 상태의 스위치부(160)를 통하여 3.3 볼트(V)의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차동증폭부(110)는 폰제어부(100)로부터 2.8 볼트(V)의 레벨(LEVEL)로 출력 되는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를 3.3 볼트(V)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로 인터페이스(INTERFACE) 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에 정합(MATCHING) 상태로 인가한다. That is, the differential is activated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ucumber terminal (OE #)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is supplied with the operating power of 3.3V (V) through the switch unit 160 of the ON state (ON) The amplifier unit 110 interfaces the US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to the level LEVEL of 2.8 volts (V) with the 3.3 V (US) data signal to interface with the PD controller. 150 to the matching (MATCHING) state.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에 있어서, 폰제어부(100)와 피디에이 제어부(150) 사이에 데이터 레벨이 상이한 유에스비 신호를 차동증폭부와 버퍼의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를 이용하여 정합(MATCHING) 상태로 인터페이스(INTERFACE) 처리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a PD phone, matches a USB signal having a different data level between the phone controller 100 and the PD controller 150 using a simple and inexpensive structure of a differential amplifier and a buffer. It has the advantage of handling INTERFACE in (MATCHING) state.

이하,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6 by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inter-use USB interface of PD phone.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100)와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피디에이제어부(150) 또는 폰제어부(100) 중 어느 제어부가 유에스비(USB)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피디에이제어부(150)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면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출력단과 폰제어부(10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활성화하여 피디에이제어부(150)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폰제어부(100)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판단 결과 폰제어부(100)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면 폰제어부(100)의 출력단과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하여 폰제어부(100)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When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the PD controller 150 of the PD phon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D controller 150 or the PD controller 150 determines which control unit outputs USB data (USB) data,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USB data, the PD controller 150 activates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150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100. Interfaces the output USB signal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if the phone control unit 100 outputs the UBS data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150 A series of interfaces for activating the connected differential amplifier 110 to interface the USB data output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D controller 150. It consists of.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제어부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면, 피디에이폰의 각 제어부 모듈이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 폰제어부(100)가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100)와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각 모듈 사이에서 유에스비(USB) 데이터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의 판단 결과, 제어부 모듈 사이에서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폰제어부(100)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the USB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module of the PD phone, by determining whether the phone control unit 100 outputs data when each control module of the PD phone to the UESB data communication,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the PD controller 150 of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ch module (S10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ep (S100), when the UE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module, the start process comprising the step (S11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hone control unit 100 outputs the UESB data signal,

상기 시작과정에서 폰제어부(100)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S110),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하고, 차동증폭부(110)의 인버터(INVERTOR) 출력 단자를 풀업(PULL-UP)하여 폰제어부(100)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피디에이 제어부(150)에 전송하는 것으로, 폰제어부(100)에 의하여 오이단자(OE#)를 하이레벨(HIGH LEVEL)로 설정하고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며,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차동증폭부(110)에 접속하고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부(160)를 온(ON) 상태로 제어하여 3.3 볼트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의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차동증폭부(160)의 인버터(INVERTOR)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1 저항(R1)을 강제 풀업(PULL-UP) 변환하여 로우 레벨(LOW LEVEL)에서 하이레벨(HIGH LEVEL)로 변환하고 유에스비(USB) 데이터 신호가 출력됨을 인식시키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의 폰제어부(100)는 폰제어부(100)의 데이터 플러스(D+)와 데이터 마이너스(D-) 단자로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에 전송하는 과정(S140)으로 이루어지는 폰과정과, When the phone control unit 100 outputs the USB data signal in the starting process (S110),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activated and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pulled up (PULL-UP). By transmitting the USB data sig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to the PD controller 150, by setting the cucumber terminal (OE #) to the high level (HIGH LEVEL) by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 Is activated and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re controlled to be in an inactive state, and the PD controller 150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controlled by the PD controller 150. Supplying operating voltage of 3.3 volts by controlling the switch unit 160 operated by the on state (S120); The PD controller 150 of the step S120 converts the first resistor R1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60 by forced pull-up, thereby converting the low level to a low level. Converting to a high level at a high level and recognizing that a USB data signal is output (S130); The phone control unit 100 of the step (S130) is a step of outputting the USB data signal to the data plus (D +) and data minus (D-)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to transmit to the PD controller 150 (S140) Phone process consisting of,

상기 시작과정에서 폰제어부(100)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S110),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활성화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폰제어부(100)에 전송하는 것으로, 폰제어부(100)에 의하여 오이단자(OE#)를 로우레벨(LOW LEVEL)로 설정하고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며, 차동증폭부(110)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의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D+)와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D-)로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폰제어부(100)에 전송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피디에이 과정으로 구성된다. If the phone control unit 100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signal in the start process (S110), the phone control unit to activate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to the USB data signal of the PD controller 150 By transmitting to the (100), the phone control unit 100 sets the cucumber terminal (OE #) to a low level (LOW LEVEL) and controls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in an active state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controls the deactivation state (S150); The PD controller 150 in the process S150 outputs the USB signal to the data plus terminal D + and the data minus terminal D- of the PD controller 150 and transmits it to the phone controller 100 (S160). The process consists of a P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피디에이폰의 제어부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100)와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제어부 모듈간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할 것인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제어부 모듈 사이의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폰제어부(100)로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또는, 폰제어부(100)로부터 피디에이 제어부(150)로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한다(S110). When the phone control unit 100 and the PD control unit 150 of the PD phone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the UE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module (S100), and if the determination (S100) determines that the UE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module In operation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BS data is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150 to the phone controller 100 or the UBS data is output from the phone controller 100 to the PD controller 150 (S110).

상기 판단에서(S110), 폰제어부(100)로부터 피디에이 제어부(150)로 유에스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100)는, 오이단자(OE#)를 통하여 하이(HIGH) 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를 비활성화하여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폰제어부(100) 방향으로 유에스비 데이터가 전송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하므로, 폰제어부(100)로부터 피디에이 제어부(150) 방향으로 유에스비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S120). In the determination (S110),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USB data from the phone control unit 100 to the PD controller 150, the phone control unit 100, a high level control signal through the cucumber terminal (OE #) Since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re inactivated so that the USD data cannot be transmitted from the PD controller 150 toward the phone controller 100, and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activated. Therefore, the USB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phone control unit 100 toward the PD controller 150 (S120).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60)를 온(ON) 제어하여 3.3 볼트 (V)의 동작전원이 차동증폭부(110)에 인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차동증폭부(110)의 인버트된 출력단자에 접속된 풀업(PULL-UP)저항(R1)을 로우(LOW) 레벨로부터 하이(HIGH) 레벨로 강제 변환하여 유에스비 데이터의 입력을 데이터 입력단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130). The PD controller 150 controls ON of the switch unit 160 so that an operating power of 3.3 volts (V) is appli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inver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turned on. The pull-up resistor R1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s forcibly converted from the low level to the high level so that the input of the USB data can be recognized by the data input terminal (S130).

상기와 같이 차동증폭부(110)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하고, 피디에이 제어부(150)를 데이터 인식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폰제어부(100)는 2.8 볼트(V) 레벨의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면, 차동증폭부(110)에서 입력하고 3.3 볼트 레벨의 유에스비 데이터로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므로 피디에이 제어부(150)의 데이터 단자에 전송되어 인가된다(S140). When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set to the active state and the PD controller 150 is set to the data recogni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hone control unit 100 outputs UAV data of 2.8 volts (V) level, Input from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and the level conversion to the 3.3V level of the USB ratio of the data is output to the data control terminal 150 of the PD controller 150 is applied (S140).

상기 시작과정(S110)에서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폰제어부(100)로 유에스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폰제어부(100)는 오이단자(OE#)를 통하여 로우(LOW) 레벨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차동증폭부(110)를 비활성화 제어하고, 상기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는 활성화 제어한다(S15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 that the UE controller transmits the USB data from the PD controller 150 to the phone controller 100, the phon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low level through the cucumber terminal OE #. Since the signal is output,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is deactivated and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are activated and controlled (S150).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스위치부(160)를 오프(OFF) 제어하므로, 3.3 볼트(V)의 동작전원이 차동증폭부(110)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차단한다. Since the PD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witch 160 to be off, the 3.3 V operating power is not appli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0 to block unnecessary current consumption.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150)는 3.3 볼트(V)의 레벨로 데이터 단자를 통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각 데이터 단자에 접속된 제2 버퍼(130)와 제3 버퍼(140)는 2.8 볼트(V)의 동작전원을 공급받고, 피디에이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3.3 볼트(V)의 유에스비 데이터를 2.8 볼트(V)의 유에스비 데이터로 정합 인터페이스 처리하여 폰제어부(100)의 해당 데이터 단자에 각각 전송 인가한다(S160). The PD controller 150 outputs USB data through the data terminals at a level of 3.3 volts (V), and the second buffer 130 and the third buffer 14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ata terminals are 2.8 volts (V). ) Is supplied with operating power, and the interface of the 3.3 V (US) data applied from the PD controller 150 to the 2.8 V (US) data of the USB interfac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ata terminals of the phone control unit 100, respectively. It is applied (S16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 모듈과 피디에이 제어부 모듈 사이에 유에스비 데이터를 정합상태로 인터페이스하는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적은 전류를 소모하고, 차동증폭부와 버퍼를 이용하여 가격을 저렴하게 하고,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phone control unit module and the PD controller module of the PD phone in a consistent state, while consuming a small current through the interface, u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and a buffer There is an advantage of low price and simple configur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 모듈 사이에 유에스비 데이터를 적은 전류를 소모하며, 간단한 구성의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수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nsumes little current between the phone control unit of the PDphone and the PD controller module, consumes a small amount of current, and has a convenient effect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using an interface devic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은, 듀얼포트램 보다 가격이 저렴한 차동증폭부와 버퍼를 이용하여 전압레벨이 다른 신호를 정합상태로 인터페이스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uch a configuration has an industrial use effect of interfacing signals having different voltage levels to a matched state by u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and a buffer which are less expensive than a dual port RAM.

Claims (12)

피디에이폰의 이동통신 기능을 제어 감시하는 폰제어부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폰제어부에 인가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고, 활성화된 차동증폭부는 정합 인터페이스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에 인가하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폰제어부에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는 활성화된 제2 와 제3 버퍼에 의하여 정합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The phon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D phone outputs the US data signal to be applied to the phone control unit while the PD controller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signal, and the activated differential amplifier is matched to the PD controller And the US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PD controller to the phon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ctivated second and third buffers. 이동통신을 위한 제어를 하며 리시브 단자를 감시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오이단자를 로우레벨로 제어하고 정합상태의 유에스비 데이터를 입력하는 폰제어부와, A control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the receive terminal to receive the USB data, and controlling the cucumber terminal to a low level and inputting the USB data of the matched state; 상기 폰제어부와 활성화된 차동증폭부를 통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수신하고 활성화된 버퍼를 통하여 유에스비 데이터를 송신하는 피디에이 제어부와, A PD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USB data through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activated differential amplifier, and transmits the USB data through the activated buffer;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 또는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폰제어부의 리시브 단자에 인가하는 제1 버퍼부와, A first buffer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output of the USB data signal from the data plus terminal or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apply it to the receiver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제2 버퍼부와, A second buffer unit for activating the US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data pl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by an OI terminal control signal, matching the input level with the phon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the same;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제3 버퍼부와, A third buffer unit configured to activate the US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by an OI terminal control signal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ler; 상기 폰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오이단자 제어신호에 의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시켜 출력하는 차동증폭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for matching and outputting the USB signal output from the phone control unit to the input level of the PD controller according to an OI terminal control signal. 제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차동증폭부에 접속하고 피디에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3.3 볼트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와, A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supplying or cutting off a 3.3 volt operating power under control of a PD controller; 상기 차동증폭부의 인버터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피디에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되는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의 레벨을 풀업하는 제1 저항과, A first resistor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pulling up the level of the USB data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of the PD controller; 상기 차동증폭부의 인버터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풀다운하는 제2 저항과, A second resistor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cation part and connected to ground, and pulled down when the UESB data signal is not output; 상기 차동증폭부의 노멀 출력단자에 접속하고 그라운드와 접속되어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풀다운하는 제3 저항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And a third resistor connected to the normal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connected to the ground to pull down when the UESB data signal is not outpu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폰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hone control unit, 상기 제1 버퍼를 감시하여 피디에이 제어부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 제어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정합상태로 인터페이스하도록 제어하고 각각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와 데이터 플러스 단자로 입력하며, 상기 제1 버퍼를 감시하여 피디에이 제어부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비활성화 제어하고 상기 차동증폭부를 활성화 제어하며 해당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정합상태로 인터페이스하여 피디에이 제어부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When the USD data signal is input from the PD controller by monitoring the first buffer,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are activated and controlled to interface the USD data signals of the PD controller in a matched state, respectively. Inputting to a terminal and monitoring the first buffer, if the UBSB data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PD controller, deactivating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activating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matching the corresponding UESB data signal Interface between the module to the PD controllers, the UI between the module of the PD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D controller, 상기 폰제어부로부터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제어하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는 상기 스위치부를 온 제어하는 동시에 제1 저항을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The switch unit is turned off when the UBS data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phone control unit, and when the UBS data signal is input, the switch unit is controlled on and the first resistor is controlled from the low state to the high state. An inter-modul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Dphone. 제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버퍼와 제2 버퍼와 제3 버퍼는, 각각 2.8 볼트의 동작전원에 의하여 동작하고,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3.3 볼트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2.8 볼트로 정합 인터페이스하여 폰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Each of the first buffer,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is operated by an operating power source of 2.8 volts, respectively, and outputs a 3.3 volt USB signal signal applied from the PD controller to 2.8 volts and outputs the interface to the phone controller. The inter-us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D 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증폭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부를 통하여 3.3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폰제어부의 오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상기 폰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2.8 볼트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피디에이 제어부에 정합상태인 3.3 볼트로 인터페이스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The 3.3 V operating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witch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PD controller, and is activated by the cucumber control signal of the phone controller, and the 2.8 volt UESB data signal applied from the phone controller is matched to the PD controller. The inter-us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D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ace is configured to output by 3.3 volts.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가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 또는 상기 폰제어부 중 어느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하여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차동증폭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폰제어부가 출력하는 유에스비 데이터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레벨에 정합되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When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PD controller of the PD phone data communication, it is determined which of the PD controller or the phone controller to output the USB data,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PD controller outputs the USB data, the PD Activating a second buffer and a third buff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l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respectively, to interface the USB signal output by the PD controller to match the input level of the phon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outputs the USB data, the interface is activated so that the differential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is activated to match the USB signal output by the phone controller to the input level of the PD controller. Pidieyi between modules yueseubi interface method of the phone which comprises a series of process. 피디에이폰의 각 제어부 모듈이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 폰제어부가 데이터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A start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hone controller outputs data when each controller module of the PD phone performs the UBS data communication;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의 출력단과 피디에이 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차동증폭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차동증폭부의 인버터 출력 단자를 풀업하여 폰제어부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에 전송하는 폰과정과, When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the USB data signal during the startup process, the differential amplifi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is activated, and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unit is pulled up to use the USB controller of the phone control unit. A phone process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D controller;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출력단과 상기 폰제어부의 입력단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하여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폰제어부에 전송하는 피디에이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When the phone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signal during the start process,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ler are activated to activate the USB signal of the PD controller. An inter-module USB interface method of a PD phon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D process transmitted to the phone control uni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arting process, 피디에이폰의 폰제어부와 피디에이 제어부는 각 모듈 사이에서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The phone control unit and the PD control unit of the PD phone determines whether the UE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ch module; 상기 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제어부 모듈 사이에서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UESB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module, the phone control unit comprise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UESB data signal, the UI between the module UESB interface metho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폰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hone process,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에 의하여 오이단자를 하이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차동증폭부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 버퍼와 제3 버퍼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는 상기 차동증폭부에 접속하고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3.3 볼트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과정과, When the phone control unit outputs the USB data signal during the startup process, the phone control unit sets the cucumber terminal to a high level, controls the differential amplifier to an active state, and deactivates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Controlling the state, wherein the PD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differential amplifier and controls the switch unit operated by the PD controller to be turned on to supply 3.3 V of operating power; 상기 과정의 피디에이 제어부는 상기 차동증폭부의 인버터 출력 단자에 접속된 제1 저항을 강제 풀업 변환하여 로우 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환하고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가 출력됨을 인식시키는 과정과, The PD controller of the above process is to forcibly pull-up the first resistor connected to the inverter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to convert from a low level to a high level, and recognizes that the USB signal is output; 상기 과정의 폰제어부는 상기 폰제어부의 데이터 플러스와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The phone control unit of the process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USB data signal to the data plus and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hon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o the PD controller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디에이 과정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DQ process, 상기 시작과정에서 상기 폰제어부가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상기 폰제어부에 의하여 오이단자를 로우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제2 버퍼와 제3 버퍼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차동증폭부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는 과정과, When the phone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the USB data signal during the startup process, the phone control unit sets the cucumber terminal to a low level, controls the second buffer and the third buffer to an active state, and the differential amplifier uni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o inactive state, 상기 과정의 피디에이 제어부는 상기 피디에이 제어부의 데이터 플러스 단자와 데이터 마이너스 단자로 유에스비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폰제어부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디에이폰의 모듈간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The PD controller of the process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UESB data signal to the data control terminal and the data minus terminal and the data minus terminal of the PD controller, and transmits to the phone control unit.
KR1020050000882A 2005-01-05 2005-01-05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KR100677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882A KR100677225B1 (en) 2005-01-05 2005-01-05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882A KR100677225B1 (en) 2005-01-05 2005-01-05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09A KR20060080609A (en) 2006-07-10
KR100677225B1 true KR100677225B1 (en) 2007-02-02

Family

ID=3717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882A KR100677225B1 (en) 2005-01-05 2005-01-05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22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738A (en) * 2002-01-15 2002-03-27 정아람 Expansion pack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20045444A (en) * 2000-12-11 2002-06-19 견병선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DA with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040000550A (en) * 2002-06-21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hone in a smart phone
KR20040065385A (en) * 2003-01-14 2004-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Telematics system using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80633A (en) * 2003-03-12 2004-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yer architecture for interfac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4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444A (en) * 2000-12-11 2002-06-19 견병선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DA with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020022738A (en) * 2002-01-15 2002-03-27 정아람 Expansion pack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40000550A (en) * 2002-06-21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hone in a smart phone
KR20040065385A (en) * 2003-01-14 2004-07-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Telematics system using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80633A (en) * 2003-03-12 2004-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yer architecture for interfac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4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609A (en) 200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250B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data transmission speed responsive to built-in battery power
US20070149244A1 (en) Power-save system and method
EP3930138B1 (en) Charging control circuit,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201101019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ource control device
CN110518707B (en) Transmitting terminal device, receiving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CN111092621B (en) Radio frequency circui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9842872B (en) Working mode control method, Bluetooth headset,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762076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 power,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WO2020215970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2003158561A (en) Mobile phone
US2003013920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switching power supply
US6684083B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standby power supply
US20230378767A1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harger
JP3703185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399686A (en) Light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677225B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usb interface between controller module for pda-phone
CN109688393B (en) Screen projection control method and first electronic device
CN108777627B (en) Power supply method and device
CN111463912A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MX2011000118A (en) Terminal apparatus using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CN110071542B (en) Charging circuit, charging method and terminal
CN113722260A (en) Protection circuit, serial bus system, circuit prot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2437421A (en) Bluetooth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KR100452844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power-sav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KR10109422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electric power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