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718B1 -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718B1
KR100671718B1 KR1020050022613A KR20050022613A KR100671718B1 KR 100671718 B1 KR100671718 B1 KR 100671718B1 KR 1020050022613 A KR1020050022613 A KR 1020050022613A KR 20050022613 A KR20050022613 A KR 20050022613A KR 100671718 B1 KR100671718 B1 KR 10067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lan
communication network
dual mode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0799A (ko
Inventor
장현웅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온
Priority to KR102005002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1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에서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서 무선랜에 자동으로 위치 등록하여 해당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간에 상호 연동된 음성 통화 서비스와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서 자동 위치 등록이 가능하게 하고, 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상호 연동하게 하는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이 상호 연동하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의 장점을 결합하여 듀얼모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속도 향상 및 이용 요금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동통신망, 무선랜, 통합 이동 교환기, 듀얼모드 단말기,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패킷 데이터, 위치 등록, 통합 서비스

Description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nified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 통합 이동 교환기의 내부 기능 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 듀얼모드 단말기가 무선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위치 등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절차(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로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절차(이동통신망의 단말기에서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로 호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절차(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서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절차(이동통신망의 단말기에서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서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이동 교환기(MSC/VLR) 12 : 홈 위치 등록기(HLR)
13 : AAA 서버 14 : PDSN
15 : 기지국(BTS) 16 : 기지국 제어기(BSC)
17 : 액세스 포인트 20 : 통합 이동 교환기
21 : No.7 신호 처리부 22 : IP 처리부
23 : ISUP 처리부 24 : MAP 처리부
25 : SIP 처리부 26 : 음성 처리부
27 : 음성 처리 제어부 28 : 호 처리부
29 : 서비스 처리부 30 : 패킷 데이터 처리부
31 : 시스템 관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연동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에서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서 무선랜에 자동으로 위치 등록하여 해당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간에 상호 연동된 음성 통화 서비스와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이라 함은 광 파이버나 동축 케이블이 아닌 전파를 이용한 고속 근거리의 통신 시스템을 의미하며, PDA나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무선랜 서비스 제공 지역에서 무선으로 초고속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무선랜 기술은 IEEE 802.11x, HiperLAN2, HomeRF, DECT 등으로 다양하지만, 현재 무선랜 장비의 대부분은 최대 11Mbps의 속도로서 Wi-Fi로 알려진 IEEE 802.11b(2.4GHz) 표준에 기초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최대 54Mbps인 IEEE 802.11a(5GHz) 및 이들의 복합모드도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무선랜은 속도 면에서 유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보다는 느리지만, 최대 2Mbps(3G 이동통신서비스 IMT-2000)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보다는 빠르고, 또한 요금 면에서도 패킷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요금보다 훨씬 저렴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선랜은 사설 무선랜(private WLAN)과 공중 무선랜(public WLAN)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사설 무선랜은 기존의 유선으로 구축된 랜(wired LAN)을 확장하거나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 가정, 사무실, 공장, 창고, 병원, 학교 등에서 이미 폭넓게 사용되고, 네트워크를 자주 재구조화 하는 경우 케이블 설치 비용이나 이전 비용의 감소 등과 같은 편익을 제공해 주며, 공중 무선랜은 핫스폿(hotspot)으로 불리는 공공장소 등에서 개인 이용자에게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기업망에 원격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을 비롯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갈수록 심화되고 있으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나 SMS(Short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소량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주로 서비스 하였으며, 최근에 IMT-2000 시스템을 구성하면서 대역폭을 넓히고, 시스템 구조를 개선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인스턴트 메신저 등과 같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나, 전송 속도가 전술한 무선랜 환경에 비해 현격히 떨어지며, 또한 일반적으로 데이터 양에 따라 과금을 하기 때문에 정액제로 운영되는 무선랜에 비해 현격한 비용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은 현재 별개의 망으로 중복 구축되고 있는데, 이동통신망의 경우 넓은 서비스 영역과 높은 이동성을 지원하지만 서비스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고가인 반면에, 무선랜의 경우 좁은 서비스 영역과 낮은 이동성을 지원하지만 비교적 높은 서비스 속도와 저렴한 서비스 비용으로 급속히 확산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서비스와 무선랜을 통한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듀얼모드(Dual Mode) 단말기의 경우 상용화 단계에 있으나, 이는 이동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와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를 서로 기구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단말기를 구성한 것으로,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서로 다른 가입자 번호로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를 사용하는 단말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듀얼모드 단말기의 경우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에 모두 접속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2개의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독립된 단말기와 같이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의 장점을 이용하여 상호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거나, 문자 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을 연동할 수 있는 방안은 아직 구현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서 자동 위치 등록이 가능하게 하고, 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상호 연동하게 하는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이 상호 연동하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의 장점을 결합하여 듀얼모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속도 향상과 이용 요금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일련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그 무선랜에 자동 위치 등록하고, 상기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 간에 상호 연동된 IP 기반의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통합 이동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는, IP 백본망을 기반으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고, SS7 네트웍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MSC와, HLR, AAA 서버 및 PDSN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는, SS7 네트웍 및 IP 백본망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과의 물리적인 연결 및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및 프로토콜 처리 수단과;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처리 수단과; 이동통신망의 MSC와 연동하여 위치 등록, 음성 호 및 문자 메시지 발/착신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수단과; AAA 서버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증 처리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처리 수단과; 통합 이동 교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일련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받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무선랜 스캐닝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무선랜과 이동통신망을 상호 연동해 주는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그 듀얼모드 단말기를 무선랜에 위치 등록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무선랜 및 IP 백본망을 통해 이동통신망과 연동하는 IP 기반의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를 무선랜에 위치 등록 처리하는 과정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통합 이동 교환기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위치 등록 요청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자신과 연동하는 VLR DB에 등록하고, HLR로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HLR에서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한 후에 기존 이동통신망의 MSC와 연동하여 그 MSC와 연동하는 VLR DB에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삭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위해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IP 백본망을 통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SS7 네트웍을 통해 이동통신망의 HLR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HLR에서 착신 MSC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호 설정을 위한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응답받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HLR로부터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받아 착신 MSC와 하나의 호를 생성한 후에 그 착신 MSC를 통해 착신 단말기에 무선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 링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발신자인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이동통신망의 발신 단말기에서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위해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MSC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SS7 네트웍을 통해 HLR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HLR에서 착신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호 설정을 위한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응답받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HLR로부터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받아 통합 이동 교환기와 하나의 호를 생성한 후에 그 통합 이동 교환기를 통해 착신 단말기인 무선랜에 위치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무선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 링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발신 단말기와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착신자 번호를 입력받아 IP 백본망을 통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자 번호와 함께 SS7 네트웍을 통해 SMSC로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SMSC에서 이동통신망의 HLR과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응답받은 후에 통합 이동 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SMDPP 형식의 문자 메시지를 그 착신자 번호와 함께 이동통신망의 착신 MS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착신 MSC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고, SMSC로 문 자 메시지 송신을 보고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이동통신망의 단말기에서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의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착신자 번호를 입력받아 MSC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자 번호와 함께 SS7 네트웍을 통해 SMSC로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SMSC에서 이동통신망의 HLR과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응답받은 후에 이동통신망의 MSC로부터 전송받은 SMDPP 형식의 문자 메시지를 그 착신자 번호와 함께 그 착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IP 백본망을 통해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인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고, SMSC로 문자 메시지 송신을 보고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그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소정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트 및 IP 백본망을 통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이동 IP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SS7 네트웍을 통해 AAA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 자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IP 주소 할당 방법을 체크하여 이동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IP 주소를 상기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에 할당함으로써 그 이동 IP 주소로 통합 이동 교환기 및 PDSN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가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서, 그 단말기 위치에 따라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에 자동으로 위치 등록하여 이들간에 상호 연동된 음성 통화 서비스와 문자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한 시스템 구성은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듀얼모드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망과 무선랜 사이에 IP 기반의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이동 교환기(Unified MSC)(20)를 구현하여 상호 연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 VLR)가 포함된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11)와, 가입자 정보를 보관하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HLR)(12)와, 인증 및 과금 처 리를 위한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13)와, 패킷 데이터 교환을 위한 PDSN(Packet Data Service Node)(14)과, 무선 접속을 처리하는 기지국(Base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 BTS)(15)과, MSC(11)와 BTS(15)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BTS(15)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16)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Station ; MS)가 상호 연동하는 구성을 기반으로 하며, 무선랜은 무선랜 접속 장비가 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 AP)(17)와, 그 액세스 포인트(17)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하여 해당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랜 단말기(즉, 듀얼모드 단말기)가 상호 연동하는 구성을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통합 이동 교환기(20)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선랜 단말기의 기능을 모두 구비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무선랜과 이동통신망을 상호 연동하는 IP 기반의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즉 듀얼모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에 무선랜 지역으로 이동시에는 통합 이동 교환기(20)에서 그 듀얼모드 단말기를 무선랜 단말기로 자동 위치 등록하여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을 상호 연동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해 IP 백본망을 기반으로 무선랜과 연동하고, 또한 SS7(Signaling System Number 7.) 네트웍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MSC/VLR(11)와, HLR(12), AAA 서버(13) 및 PDSN(14)과 연동한다.
또한, 통합 이동 교환기(20)는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S7 네트웍 및 IP 백본망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과의 물리적인 연결 및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No.7 신호 처리부(21)와, IP 처리부(22)와, ISUP(ISDN User Part) 처리부(23)와, MAP(Mobile Application Part) 처리부(24)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처리부(25)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26) 및 음성 처리 제어부(27)와, 이동통신망의 MSC(11)와 연동하여 위치 등록, 음성 호 및 문자 메시지 발/착신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부(28) 및 서비스 처리부(29)와, AAA 서버(13)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증 처리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처리부(30)와, 통합 이동 교환기(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부(31)가 상호 연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치 등록 절차와, 음성 통화 서비스 처리 절차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절차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절차로 구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가 무선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른 위치 등록 절차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무선랜(VoIP 네트웍 기반) 및 이동통신망에 동일 가입자 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HLR 및 그 단말기가 위치한 MSC와 연동하는 VLR에 단말기 위치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하며, 이렇게 임의의 VLR 및 HLR에 위치 등록되어 있는 듀얼모드 단말기는 주기적인 무선랜 스캐닝을 통해 자신이 가입된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 동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30).
이때,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는 그 무선랜에 접속하여 무선랜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위치 등록을 요청(Registration Request)하게 된다(스텝 S31).
그러면, 통합 이동 교환기는 위치 등록 요청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번호 및 위치 정보 등을 자신과 연동하는 VLR(또는 통합 이동 교환기에 포함된 VLR)의 DB에 등록하게 되며(스텝 S32), 이후에 HLR로 위치 정보 업데이트(Update Location)를 요청함으로써 HLR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 위치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스텝 S33).
그리고, HLR은 듀얼모드 단말기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여 그 위치 정보 갱신을 완료한 후에는 기존 이동통신망의 MSC로 VLR DB에 등록된 해당 듀얼모드 단말기 즉,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삭제를 요청(Location Cancel)함으로써 그 이동통신망의 VLR DB에 등록되어 있던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삭제하게 되며(스텝 S34), 이후에 위치 정보를 정상적으로 삭제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Location Cancel Ack)를 받게 되면(스텝 S35), 통합 이동 교환기로 위치 정보를 정상적으로 갱신하였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Update Location Ack)를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36).
이후, 통합 이동 교환기는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등록 및 HLR 위치 정보 갱신 절차와 기존 이동통신망의 VLR DB에 등록되어 있던 위치 정보 삭제 등과 같은 일련의 위치 등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듀얼모드 단말기로 위치 등록 확인을 통보(Registration Confirm)함으로써 해당되는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무선랜 위치 등록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스텝 S37).
다음으로, 상술한 절차에 따라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음성 통화 서비스 절차를 첨부한 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위한 호 발신을 시도하고자 하는 경우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통합 이동 교환기로 호 발신을 요청(Call Origination Request)하게 되면(스텝 S41), 통합 이동 교환기는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HLR로 착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Request Location Information)하게 된다(스텝 S42).
그러면, HLR은 해당되는 착신자에 대한 위치를 확인한 후에 그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MSC 즉, 착신 MSC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Request Routing Information)함으로써 호 설정을 위한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응답(Response Routing Information)받게 되며(스텝 S43, S43-1), 이후에 착신 MSC로부터 받은 착신 정보를 통합 이동 교환기의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 Location Information)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42-1).
이후,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착신자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받은 착신 정보를 포함한 IAM(Initial Address Message) 메시지를 착신 MSC로 전송함으로써 중계선 설정을 요청하게 되면(스텝 S44), 착신 MSC는 ACM(Address Complete Message) 메시지를 발신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호를 생성하게 되며(스텝 S44-1), 또한 BSC/BTS와의 페이징 요청 및 응답 메시지(Paging Request/Page Response Message)와 채널 자원 요청 및 완료 메시지(Assignment Request/Assignment Complete) 송수신을 통해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채널 자원을 할당한 후에 링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스텝 S45).
이때, 통합 이동 교환기는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발신자인 듀얼모드 단말기로 링백톤을 송출하게 되며(스텝 S46), 이후에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착신자가 호출에 응답함에 따라 BSC/BTS에서 호 연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착신 MSC로 전송하게 되면(스텝 S47), 착신 MSC는 착신 응답을 나타내는 ANM(ANswer Message) 메시지를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게 되고(스텝 S48),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는 듀얼모드 단말기로의 링백톤 송출을 정지시키고 호 응답 처리를 수행하여(스텝 S49), 발신자인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발신으로 인해 무선랜에 위치한 임의의 듀얼모드 단말기로 음성 통화를 위한 호 착신 요구가 있는 경우 즉,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 말기에서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MSC로 호 발신을 요청(Call Origination Request)하게 되면(스텝 S51), MSC는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HLR로 착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Request Location Information)하게 된다(스텝 S52).
이때, HLR은 해당되는 착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한 결과, 착신자가 무선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그 착신자의 듀얼모드 단말기가 위치한 통합 이동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Request Routing Information)함으로써 호 설정을 위한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응답(Response Routing Information)받게 되며(스텝 S53, S53-1), 이후에 착신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부터 받은 착신 정보를 발신 MSC의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 Location Information)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52-1).
이후, 발신 MSC에서 착신자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받은 착신 정보를 포함한 IAM 메시지를 착신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함으로써 중계선 설정을 요청하게 되면(스텝 S54), 통합 이동 교환기는 ACM 메시지를 발신 MSC로 전송함으로써 하나의 호를 생성하게 되며(스텝 S54-1), 또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착신자의 듀얼모드 단말기에 무선 채널 자원을 할당한 후에 링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스텝 S55).
이때, 발신 MSC는 BSC/BTS를 통해 발신자 단말기로 링백톤을 송출하게 되며(스텝 S56), 이후에 무선랜에 위치한 착신자가 호출에 응답함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서 호 연결 메시지(Connect Message)를 착신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 하게 되면(스텝 S57), 통합 이동 교환기는 착신 응답을 나타내는 ANM 메시지를 발신 MSC로 전송하게 되고(스텝 S58), 발신 MSC에서는 발신자 단말기로의 링백톤 송출을 정지시키고 호 응답 처리를 수행하여(스텝 S59),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인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절차에 따라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절차를 첨부한 도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착신자 번호를 입력한 후에 메시지 전송을 실행하게 되면(스텝 S60, S61), 통합 이동 교환기는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SMDPP(Short Message Delivery Point-to-Point)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자 번호와 함께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 SMSC)로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스텝 S62).
그러면, SMSC에서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smdpp)를 통합 이동 교환기를 전송하는 한편(스텝 S62-1),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HLR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요청(SMSREQ)하게 되며(스텝 S63), HLR은 해당되는 착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그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MSC 즉, 착신 MSC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smsreq)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63-1).
이후, 착신자 위치 정보를 응답받은 SMSC에서 발신자인 듀얼모드 단말기가 위치한 통합 이동 교환기로부터 전송된 SMDPP 형식의 문자 메시지를 그 착신자 번호와 함께 착신자가 위치한 MSC인 착신 MSC로 전송하게 되면(스텝 S64), 착신 MSC는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착신자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고(스텝 S65), 그 착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 수신 응답을 받게 되면(스텝 S65-1), SMSC로 문자 메시지 송신을 보고(sdmpp)함으로써(스텝 S64-1), 일련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랜에 위치한 임의의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착신자 번호를 입력한 후에 메시지 전송을 실행하게 되면(스텝 S70, S71), MSC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자 번호와 함께 SMSC로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스텝 S72).
그러면, SMSC에서는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smdpp)를 통합 이동 교환기를 전송하는 한편(스텝 S72-1),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HLR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요청(SMSREQ)하게 되며(스텝 S73), HLR은 해당되는 착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그 착신자의 듀얼모드 단말기가 위치한 교환기 즉, 통합 이동 교환기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smsreq)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73-1).
이후, 착신자 위치 정보를 응답받은 SMSC에서 발신자 단말기가 위치한 MSC로부터 전송된 SMDPP 형식의 문자 메시지를 그 착신자 번호와 함께 착신자가 위치한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게 되면(스텝 S74), 통합 이동 교환기는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착신자 단말기인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게 되고(스텝 S75), 그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 수신 응답을 받게 되면(스텝 S75-1), SMSC로 문자 메시지 송신을 보고(smdpp)함으로써(스텝 S74-1), 일련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상술한 절차에 따라 무선랜 위치 등록을 마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절차를 첨부한 도면 도 8의 (가) 및 (나)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그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소정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MagicN, Fimm, Nate, June 등)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듀얼모드 단말기는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IP 백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 이동 교환기로 이동 IP 등록을 요청(Mobile IP Registration Request)하게 된다(스텝 S81).
그러면, 통합 이동 교환기는 SS7 네트웍을 통해 AAA 서버에 접속한 후에 그 AAA 서버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Authentication Request)하게 되며(스텝 S82), 이렇게 하여 AAA 서버에서는 통합 이동 교환기를 통해 인증 요청한 듀얼모드 단말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에 그 인증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을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달해 주게 된다(스텝 S83).
그리고, 통합 이동 교환기는 IP 주소 할당 방법 정보를 체크하여 IP 풀 또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와 연동하여 이동 IP 주소를 할당하게 되며, 이렇게 할당받은 이동 IP 주소 정보를 이동 IP 주소 등록을 요청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응답(Mobile IP Registration Reply)으로 전송해 주게 된다(스텝 S84).
이후, 이동 IP 주소를 할당받은 듀얼모드 단말기는 자신에게 할당된 이동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합 이동 교환기 및 PDSN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하나의 가입자 번호로서 자동 위치 등록이 가능하게 하고, 그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을 상호 연동하게 하는 통합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이 상호 연동하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의 장점을 결합하여 듀얼모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속도 향 상 및 이용 요금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일련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그 무선랜에 자동 위치 등록하고, 상기 무선랜 및 이동통신망 간에 상호 연동된 IP 기반의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통합 이동 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는,
    SS7 네트웍 및 IP 백본망을 통해 각각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과의 물리적인 연결 및 시그널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및 프로토콜 처리 수단;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처리 수단;
    이동통신망의 MSC와 연동하여 위치 등록, 음성 호 및 문자 메시지 발/착신 처리를 수행하는 호 처리 및 서비스 처리 수단;
    AAA 서버와 연동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인증 처리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처리 수단; 및
    통합 이동 교환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는, IP 백본망을 기반으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고, SS7 네트웍을 통해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MSC와, HLR, AAA 서버 및 PDSN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에 접속 가능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하여 일련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받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무선랜 스캐닝을 통해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하는 경우 무선랜과 이동통신망을 상호 연동해 주는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그 듀얼모드 단말기를 무선랜에 위치 등록 처리하는 과정; 및
    상기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무선랜 및 IP 백본망을 통해 이동통신망과 연동하는 IP 기반의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를 무선랜에 위치 등록 처리하는 과정은,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통합 이동 교환기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위치 등록 요청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번호 및 위치 정보를 자신과 연동하는 VLR DB에 등록하고, HLR로 위치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HLR에서 무선랜 서비스 영역으로 위치 이동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한 후에 기존 이동통신망의 MSC와 연동하여 그 MSC와 연동하는 VLR DB에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삭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위해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IP 백본망을 통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SS7 네트웍을 통해 이동통신망의 HLR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HLR에서 착신 MSC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호 설정을 위한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응답받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HLR로부터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받아 착신 MSC와 하나의 호를 생성한 후에 그 착신 MSC를 통해 착신 단말기에 무선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 링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발신자인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착신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이동통신망의 발신 단말기에서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위해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MSC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SS7 네트웍을 통해 HLR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HLR에서 착신 교환기인 통합 이동 교환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여 호 설정을 위한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응답받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HLR로부터 착신 정보가 포함된 라우팅 정보를 위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받아 통합 이동 교환기와 하나의 호를 생성한 후에 그 통합 이동 교환기를 통해 착신 단말기인 무선랜에 위치한 듀얼모드 단말기에 무선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 링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하는 경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발신 단말기와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이동통신망의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착신자 번호를 입력받아 IP 백본망을 통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듀얼모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자 번호와 함께 SS7 네트웍을 통해 SMSC로 전송함으 로써 해당되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SMSC에서 이동통신망의 HLR과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응답받은 후에 통합 이동 교환기로부터 전송받은 SMDPP 형식의 문자 메시지를 그 착신자 번호와 함께 이동통신망의 착신 MSC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착신 MSC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고, SMSC로 문자 메시지 송신을 보고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이동통신망의 단말기에서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망의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내용 및 착신자 번호를 입력받아 MSC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망의 MSC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SMDPP 형식으로 변환하여 착신자 번호와 함께 SS7 네트웍을 통해 SMSC로 전송함으로써 해당되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SMSC에서 이동통신망의 HLR과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착신자 위치 정보를 응답받은 후에 이동통신망의 MSC로부터 전송받은 SMDPP 형식의 문 자 메시지를 그 착신자 번호와 함께 그 착신 단말기가 위치 등록된 통합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IP 백본망을 통해 대응하는 착신 단말기인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고, SMSC로 문자 메시지 송신을 보고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무선랜에 위치 등록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그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소정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트 및 IP 백본망을 통해 통합 이동 교환기로 이동 IP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이동 교환기에서 SS7 네트웍을 통해 AAA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자 인증을 요청하여 상기 듀얼모드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IP 주소 할당 방법을 체크하여 이동 IP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IP 주소를 상기 무선랜의 듀얼모드 단말기에 할당함으로써 그 이동 IP 주소로 통합 이동 교환기 및 PDSN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방법.
KR1020050022613A 2005-03-18 2005-03-18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7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613A KR100671718B1 (ko) 2005-03-18 2005-03-18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613A KR100671718B1 (ko) 2005-03-18 2005-03-18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799A KR20060100799A (ko) 2006-09-21
KR100671718B1 true KR100671718B1 (ko) 2007-01-22

Family

ID=3763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613A KR100671718B1 (ko) 2005-03-18 2005-03-18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61B1 (ko) 2006-06-13 2008-01-17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기
KR101183643B1 (ko) 2010-02-02 2012-09-17 주식회사에이메일 스마트 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533A (ko) * 2006-08-21 2008-02-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아이피 백본망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방법
US8619988B2 (en) * 2008-01-31 2013-12-3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Wi-Fi service with authentication and accounting control
KR101692075B1 (ko) * 2010-05-31 2017-01-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제어 방법
WO2014165500A1 (en) * 2013-04-01 2014-10-09 Nexus Environmental, LLC Remote onboard emission compliance techn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7008A1 (en) 2001-01-29 2002-10-10 Janne Kallio GSM Networks and solutions for providing seamless mobility between GSM Networks and different radio networks
KR20040049189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KR20040093643A (ko) * 2002-07-31 2004-11-06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코어 네트워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7008A1 (en) 2001-01-29 2002-10-10 Janne Kallio GSM Networks and solutions for providing seamless mobility between GSM Networks and different radio networks
KR20040093643A (ko) * 2002-07-31 2004-11-06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코어 네트워크
KR20040049189A (ko) * 2002-12-05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망간의 아이피 할당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4918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61B1 (ko) 2006-06-13 2008-01-17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기
KR101183643B1 (ko) 2010-02-02 2012-09-17 주식회사에이메일 스마트 폰 문자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799A (ko)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0895B (zh) 一種獨立且高效傳遞服務予能支援多無線介面及網路基礎結構無線裝置之方法及裝置
US7383042B2 (en) Interoperable voice and data wireless network
KR100703264B1 (ko)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70931B1 (ko) 무선 네트워크간의 음성 및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694208B1 (ko) 무선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8224291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obile-to-mobile calls within femtocell network
CA2341935C (en) Method and system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KR100770930B1 (ko) 무선 네트워크들간의 음성 및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패킷 스위치
US20060111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MS mess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LAN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080096597A1 (en) Providing Push-to-Talk Communication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3744854B2 (ja) 移動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発呼者位置に基づくコール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7528176A (ja) 異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ノード、および移動ホスト
JP4584241B2 (ja) 相互に異なる無線網における移動局間のパケットデータ呼を設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71718B1 (ko) 이동통신망 및 무선랜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1067684A2 (en) Short haul radio supported wireless communications
US7336971B2 (en) System for providing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eparately from public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processing call using the same
KR100418151B1 (ko) 사설 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등록 방법과호처리 방법
CN1332571C (zh) 在网络间转发多媒体消息的方法
CN100515132C (zh) 用于在移动网络与无线网络之间漫游的方法和***
KR20060082127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연동시스템 및 방법
JP4585500B2 (ja) 通信サーバ、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623291B1 (ko) 씨디엠에이 2000과 휴대인터넷 망간 핸드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100418479B1 (ko) 동기와 비동기 이동 통신망 간의 데이터 서비스 로밍을위한 차세대 비동기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40023018A (ko)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데이터위치 저장기 공통 사용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