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284B1 -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284B1
KR100670284B1 KR1020050010821A KR20050010821A KR100670284B1 KR 100670284 B1 KR100670284 B1 KR 100670284B1 KR 1020050010821 A KR1020050010821 A KR 1020050010821A KR 20050010821 A KR20050010821 A KR 20050010821A KR 100670284 B1 KR100670284 B1 KR 10067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fuel cell
water
membrane
catalys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000A (ko
Inventor
김지래
김혜경
이승재
장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284B1/ko
Priority to JP2006027441A priority patent/JP4776386B2/ja
Priority to CNB2006100711333A priority patent/CN100438173C/zh
Priority to US11/347,275 priority patent/US8187764B2/en
Publication of KR2006009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1Electrolytic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17Treatment of supports before applica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96Pressing, rolling,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3Psychrophilic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중 펌프의 오작동이나 연료 이동 통로의 막힘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연료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경우, 연료전지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Fuel cell}
도 1a,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의 적층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MEA에 있어서, 시간 경과에 따른 포텐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3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MEA에 있어서, 전류밀도에 따른 전지 포텐셜 변화를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a-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애노드 전극의 분극 곡선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전해질막과 애노드의 촉매층사이에 및/또는 애노드 촉매층과 확산층 사이에 물 합습 물질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연료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도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에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형, 인산형, 용융탄산염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형, 고체 고분자형 등 여러 가지 타입의 연료전지가 있는데, 저온에서 가동할 수 있고, 다루기 쉬우며, 또한 출력밀도가 높은 고체 고분자형 전해질이 전기자동차, 가정 등의 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고체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의 전해질로는 프로톤 전도막이 이용된다. 프로톤 전도막은 연료전지의 전극반응에 관여하는 프로톤에 대해 높은 이온전도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프로톤 전도막으로는 초강산기 함유 불소계 고분자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재료는 불소계 고분자이기 때문에 매우 비싸고, 또한 프로톤 전도의 매체가 물이라는 점에서 항상 가습하여 물을 보급할 필요가 있는 등 문제가 있다.
미국 특허공개 2004/0166397은 지지층위에 소수성 촉매층을 코팅하고 거칠게 처리된 전해질막에 소수성이 없는 촉매층을 코팅한 것을 접합하여 MEA를 제조하고, 캐소드쪽에 소수성 처리를 실시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연료전지는 펌프의 오작동이나 연료 이동 통로의 막힘으로 인하여 연료의 공급이 순간적으로 원할 하지 않은 경우, 그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연료가 순간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포텐셜 등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연료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porous laye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막은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막은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 중량부의 프로톤 전도성 수지와 2,000 내지 3,000 중량부의 촉매를 함유한다.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애노드 확산층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이 구비된다.
상기 다공성막은 연속적인 코팅막 또는 불연속적인 코팅막이며, 상기 다공성막의 두께는 0.5 내지 5㎛이다.
상기 물 함습 물질의 평균 입경이 50nm 내지 104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또한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애노드 확산층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 성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을 갖는다. 이 다공성막은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막은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 중량부의 프로톤 전도성 수지, 2,000 내지 3,000 중량부의 촉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또한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과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를 함유하는 다공성막(porous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또한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실리카(SiO2) 다공성막(porous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전해질막과 애노드의 촉매층사이에 및/또는 애노드 촉매층과 확산층 사이에 물 합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을 형성하여 연료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도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MEA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를 구성하는 애노드 촉매층(11a)와 캐소드(12)가 위치해 있고, 애노드의 촉매층(11a)과 전해질막(10) 사이에는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13)이 형성되어 있고, 애노드 촉매층(11a)의 다른 일면에도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a에서 애노드를 구성하는 애노드 확산층은 미도시된 상태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촉매층(11a)와 캐소드(12)가 위치해 있고, 애노드 촉매층(11a)과 전해질막(10) 사이에는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의 촉매층(11a)와 캐소드(12)가 위치해 있고, 상기 애노드는 애노드 확산층(11b)과 애노드 촉매층(11a)로 구성되며, 상기 애노드 확산층(11b)과 애노드 촉매층(11a) 사이에는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c에는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전해질막(10)과 애노드 촉매층(11a)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 b의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13)은 물 함습 물질이외에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 때 촉매의 함량은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0 내지 3,000 중량부이고, 프로톤 전도성 수지의 함량은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촉매 및 프로톤 전도성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프로톤의 이동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물 함습 물질로는 SiO2, TiO2, ZrO2, 모덴나이트(mordenite)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SiO2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촉매로는 백금(Pt), 루테늄(Ru), 팔라듐(Pd), 로듐(Rh), 이리듐(Ir), 오스뮴(Os) 및 금(Pt), 그 혼합물, 그 합금 또는 이들 금속이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등의 카본 블랙, 활성탄 및 흑연에 분산된 담지 촉매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tRu/C 촉매를 이용한다.
상기 프로톤 전도성 수지로는 나피온,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르 알킬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의 두께는 0.5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다공성막의 두께가 0.5㎛ 미만이면, 물 함습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므로 촉매층이나 전해질막이 건조되기 쉽고, 5㎛를 초과하면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절연 물질로 작용하여 계면 저항을 크게 하여 성능을 떨어뜨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은 연속적인 코팅층 또는 불연속적인 코팅층 형태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불연속적인 코팅층 형태인 것이 적절한 물 함습 능력을 가짐으로써 촉매층과 전해질이 건조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전해질막으로 이온의 이동 및 CO2의 배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즉, 도 1a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하되, 이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하기 설명에서 캐소드 및 애노드 촉매층 형성시 데칼 공정(decal process)을 이용하는데, 본 발명의 연료전지가 이러한 데칼 공정을 이용해서만 제조가능한 것은 아니다.
먼저 촉매에 용매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를 실리카와 같이 물 함습 물질이 처리된 지지막에 도포 및 건조하여 애노드 촉매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물 함습 물질의 예로서, SiO2, TiO2, ZrO2, 모덴나이트(mordenite)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SiO2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 함습 물질의 평균 입경은 3nm 내지 수십 ㎛ (104nm)이며, 특히 50 내지 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함습 물질이 처리된 지지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켑톤 (keptone) 등 고분자 물질의 필름위에 SiO2 또는 TiO2이 0.5㎛ 내지 5 ㎛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 이때 불연속적인 막을 얻기 위해서는 기존에 코팅된 필름에 원하는 형태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필요 없는 부분은 필요 없는 부분은 제거한 것을 이용한다.
상기 바인더로는 프로톤 전도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른 수지예를 들어 발수성을 가진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 중에서도 융점이 40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나피온,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르 알킬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바인더의 함량은 촉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 촉매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백금(Pt), 루테늄(Ru), 팔라듐(Pd), 로듐(Rh), 이리듐(Ir), 오스뮴(Os) 및 금(Pt), 그 혼합물, 그 합금 또는 이들 금속이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등의 카본 블랙, 활성탄 및 흑연에 분산된 담지 촉매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tRu/C 촉매를 이용한다.
상기 용매로는 물, 1-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2-프로판올 등을 이용하며, 이의 함량은 촉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의 함량은 5 내지 10 중량부가 적당하며, 1-프로판올의 경우 150 내지 250 중량부가 적당하며 에틸렌 글리콜의 경우 100 내지 200 중량부이며 2-프로판올의 경우 150 내지 250 중량부이 다.
이와 별도로, 촉매, 용매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한다. 여기에서 바인더 및 용매의 종류 및 함량은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한다. 이 조성물을 지지막에 코팅하여 캐소드 형성용 조성물이 코팅된 지지막을 얻는다. 이 때 상기 지지막으로는 SiO2가 코팅된 PET 필름 등을 사용한다.
한편, 전해질막으로는 주로, 불소화 알킬렌으로 구성된 주쇄와, 말단에 술폰산기를 갖는 불소화비닐 에테르로 구성된 측쇄를 갖는 술폰화된 고불화폴리머 (예: Nafion : Dupont사의 상표)와 같은 양이온교환성 폴리머 전해질이 사용된다.
상기 전해질막은 전처리 과정을 거쳐 H+ 형태로 만든 후, 이를 실리카와 같이 물 함습 물질로 처리된 지지막과 핫 프레스(hot press)를 실시하여 전해질막상에 물 함습 물질로 된 표면코팅층을 형성한다. 이 때 표면코팅층은 불연속적인 코팅막 형태이거나 또는 연속적인 코팅막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핫 프레스 조건은 70 내지 100℃의 온도, 1 내지 5ton의 압력하에서 실시된다. 이 때 프레스 시간은 가열온도 및 압력 조건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3 내지 10분동안 실시한다.
나피온막 상부에 코팅된 실리카와 같은 물 함습 물질의 함량과 코팅된 부분의 비율의 조절은 막 상부에 실리카를 입히는 방법을 조절함으로써 연속적 혹은 불연속적으로 실리카를 필름위에 코팅하여 나피온막위에 전사시키는 실리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면을 실리카와 같은 물 함습 물질로 처리한 전해질막과 애노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이 코팅된 지지막과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이 코팅된 지지막에 대한 핫 프레스 공정을 거쳐 CCM (catalyst coated membrane)을 제조한다. 이 때 프레스는 80 내지 130℃에서 0.5 내지 5ton의 압력으로 1 내지 5분동안 실시하여 애노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이 코팅된 막과 캐소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이 코팅된 막으로부터 촉매층을 전해질막으로 각각 전사시켜 CCM(Catalyst coated Membrane)을 얻는다.
한편, 캐소드 및 애노드 확산 전극은 카본 블랙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와 같은 불소계 수지 함유 에멀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잉크를 스프레이하여 제조하고, 잉크를 스프레이하기 위한 지지층(backing layer)으로는 PTFE가 처리된 카본 종이(carbon paper)를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애노드 확산 전극과 캐소드 확산 전극 사이에 앞서 제조한 CCM을 두고 핫 프레스를 실시하여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를 제조한다. 이 때 상기 핫 프레스 공정은 온도 100 내지 140℃, 압력 0.1 내지 5 ton에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PtRu black 촉매 (johnson matthey) 1.2 g에 DI (deionized water, 순수)를 0.5 g을 넣어 DI가 PtRu black촉매에 잘 웨팅(wetting)되도록 혼합하였다. 여기에 나피온 이오노머(dupont) 3g을 첨가하여 다시 혼합한 후 1-프로판올 1.5 g과 EG 1.5g을 첨가하여 스터러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애노드 촉매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애노드 촉매 슬러리는 실리카가 처리된 지지막위에 닥터 블레이드 방식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이를 80℃, 진공건조시켜 애노드 촉매층을 제조하였다. 여기에서 실리카가 처리된 지지막은 PET, 필름위에 SiO2가 코팅된 것을 사용하며, 1 um 두께의 연속막을 사용하였다.
이와 별도로, 캐소드 전극은60 wt% PtRu/C 0.8g에 0.1g의 DI를 첨가하여 DI가 촉매내로 잘 웨팅(wetting)되도록 혼합하였다. 여기에 6.4g의 나피온 이오노머와 2g의 EG를 첨가하여 교반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캐소드 촉매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캐소드 촉매 슬러리는 실리카가 처리되지 않은 PET 지지막위에 닥터 블레이드 방식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이를 80℃, 진공건조시켜 캐소드 촉매층을 제조하였다.
한편, 전해질막은 하기 방법에 따라 준비하였다.
먼저, 나피온막 115 (nafion membrane 115) (Dupont)를 80℃의 5wt% H2O2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80도의 1M H2SO4 용액으로 처리하여 H+ 형태로 치환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은 나피온막과 실리카가 처리된 지지막을 85℃에서 1 ton의 압력으로 1분간 프레스하여 나피온막에 실리카를 코팅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면을 실리카로 처리한 전해질막과 애노드 촉매 슬러리가 코팅된 지지막과 캐소드 촉매 슬러리가 코팅된 지지막에 대한 핫 프레스 공정을 거쳐 CCM (catalyst coated membrane)을 제조하였다. 이 때 프레스는 85℃에서 3ton의 압력으로 5분동안 실시하여 애노드 촉매 슬러리가 코팅된 지지막과 캐소드 촉매 슬러리가 코팅된 지지막으로부터 촉매층을 전해질막으로 전사시켜 CCM을 제조하였다.
캐소드 및 애노드 확산 전극은 카본 블랙에 PTFE 에멀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잉크를 스프레이하여 제조하였고, 잉크를 스프레이하기 위한 지지층(backing layer)으로 는 PTFE가 처리된 카본 종이(carbon paper)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애노드 확산 전극 및 캐소드 확산 전극 제조시 PTFE의 함량은 각각 10wt% 및
20wt%를 사용하였다.
상기 애노드 확산 전극과 캐소드 확산 전극 사이에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CCM을 배치하고 핫 프레스를 실시하여 MEA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접합은 온도 125℃, 압력 1 ton에서 5분간 프레스하는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실시예 2
나피온막을 실리카로 코팅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연료전지의 MEA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애노드 촉매층 제조시 애노드 촉매 슬러리를 실리카가 처리되지 않은 지지막 상부에 닥터 블래이드를 이용하여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 법에 따라 실시하여 연료전지의 MEA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애노드 촉매층 제조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애노드 촉매 슬러리에 촉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SiO2를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실리카가 처리되지 않는 지지막 상부에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연료전지의 MEA를 제조하였다.
한편, 전해질막은 하기 방법에 따라 준비하였다.
먼저, 나피온막 115 (nafion membrane 115) (Dupont)를 80℃의 5wt% H2O2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80℃의 1M H2SO4 용액으로 처리하여 H+ 형태로 치환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애노드 및 촉매층 제조시 실리카가 처리되지 않은 지지막을 사용하고 전해질막으로서 실리카가 코팅되지 않은 나피온막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연료전지의 MEA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MEA를 동일한 조건에서 성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2 , 도3a, 도 3a-d 및 도4a, 도 4a-b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측정 조건은 상온에서 애노드쪽에는 2M 메탄올을 공급하였고 캐소드쪽에는 공기를 공급하였다. 그리고 상기MEA를 모두 활성화(activation )시킨 상태에서 메탄올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였다. 그리고 실험 시작 후 30분에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 여 성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측정 결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의 경우 MEA의 성능이 점차 떨어져 연료의 공급을 중단한지3분후에는 초기 성능의 절반 이하로 낮아졌다. 그러나 실리카층을 추가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40분까지 거의 동일한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용중 펌프의 오작동이나 연료 이동 통로의 막힘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연료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경우, 안정적으로 연료전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a, 도3d는 분극 곡선(polarization curve)을 통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한 MEA의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도 3a,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성능 곡선의 기울기가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촉매층내와 촉매층과 전해질막에 존재하는 실리카가 반응에 적절한 수준으로 물을 함유함으로써 촉매층과 전해질간의 계면저항이나 전해질내의 내부 저항값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MEA 성능이 비교예 1의 경우와 비슷하거나 대등한 것으로 보여 실리카층이 존재함으로써 전도도가 감소하여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4a-4b는 애노드 전극의 분극 곡선을 비교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MEA 성능이 초기에서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해서 낮았으나 고전류(high current)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오히려 성능이 안정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실리카가 메탄올의 크로스 오버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중 펌프의 오작동이나 연료 이동 통로의 막힘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연료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은 경우, 연료전지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가한 물 함습 물질은 캐소드 전극에서 생성된 물이 역확산(back diffusion)되어 애노드 전극으로 이동할 때 이 물을 잡아주는 완층 역할을 하므로 애노드 촉매층내의 플러딩(flooding) 현상을 줄일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9)

  1.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porous laye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함습 물질이 SiO2, TiO2, ZrO2, 모덴나이트(mordenite)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이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이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 중량부의 프로톤 전도성 수지와 2,000 내지 3,000 중량부의 촉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애노드 확산층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6.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이 연속적인 코팅막 또는 불연속적인 코팅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7.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의 두께가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8.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함습 물질의 평균 입경이 50nm 내지 104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9.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애노드 확산층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함습 물질이 SiO2, TiO2, ZrO2, 모덴나이트(mordenite) 및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이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이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 중량부의 프로톤 전도성 수지, 2,000 내지 3,000 중량부의 촉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4. 제9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이 연속적인 코팅막 또는 불연속적인 코팅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5. 제9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의 두께가 0.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6. 제9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함습 물질의 평균 입경이 50nm 내지 104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7.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물 함습 물질과 촉매와 프로톤 전도성 수지를 함유하는 다공성막(porous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막에서 촉매의 함량은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0 내지 3,000 중량부이고, 프로톤 전도성 수지의 함량은 물 함습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10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19. 캐소드, 애노드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전해질막을 구비한 연료전지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가 상기 전해질막에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인접되게 위치한 애노드 확산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전해질막 사이에, 실리카(SiO2) 다공성막(porous laye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KR1020050010821A 2005-02-04 2005-02-04 연료전지 KR10067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821A KR100670284B1 (ko) 2005-02-04 2005-02-04 연료전지
JP2006027441A JP4776386B2 (ja) 2005-02-04 2006-02-03 燃料電池
CNB2006100711333A CN100438173C (zh) 2005-02-04 2006-02-05 燃料电池
US11/347,275 US8187764B2 (en) 2005-02-04 2006-02-06 Fuel cell with moisture retentive layer in M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821A KR100670284B1 (ko) 2005-02-04 2005-02-04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000A KR20060090000A (ko) 2006-08-10
KR100670284B1 true KR100670284B1 (ko) 2007-01-16

Family

ID=3678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821A KR100670284B1 (ko) 2005-02-04 2005-02-04 연료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87764B2 (ko)
JP (1) JP4776386B2 (ko)
KR (1) KR100670284B1 (ko)
CN (1) CN1004381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6123529A1 (ja) * 2005-05-18 2008-12-25 東亞合成株式会社 膜電極接合体および直接液体燃料形燃料電池
JP2007095558A (ja) * 2005-09-29 2007-04-12 Toshiba Corp 燃料電池
KR100645832B1 (ko) * 2005-11-07 2006-11-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그 제조방법 및상기 막전극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US8497049B2 (en) * 2007-04-02 2013-07-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ophilic and corrosion resistant fuel cell components
JP5484477B2 (ja) * 2008-10-24 2014-05-07 ナノシス・インク. 界面層を有する膜電極複合体
WO2010132050A1 (en) * 2009-05-13 2010-11-18 Utc Power Corporation Pem fuel cell catalyst and diffusion layer structure for increased water storage capacity and improved cold start performance
WO2011036749A1 (ja) * 2009-09-24 2011-03-31 株式会社 東芝 集電部材、発電装置、および発電装置用集電部材の製造方法
KR101309160B1 (ko) 2011-08-11 2013-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촉매층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연료 전지용 전극, 연료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CA2848326A1 (en) * 2011-09-23 2013-03-28 Societe Bic Methods of forming arrays of fuel cells on a composite surface
US9461311B2 (en) 2013-03-15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icroporous layer for a fuel cell
JP2016004658A (ja) * 2014-06-16 2016-01-12 学校法人早稲田大学 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および電解質膜の製造方法
CN113258079A (zh) * 2021-03-23 2021-08-13 西安交通大学 一种拓展反应界面电极
CN114759235B (zh) * 2022-03-31 2024-04-16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保水层、膜电极及其制备方法
CN114883583B (zh) * 2022-06-09 2023-10-2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燃料电池用高稳定性的高温膜电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059A (ja) 1999-10-01 2001-04-13 Toshiba Corp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システム
WO2003055593A1 (en) 2001-12-31 2003-07-10 Grace Gmbh & Co. Kg Adsorbing material comprised of porous functional solid incorporated in a polymer matrix
WO2004023576A2 (en) 2002-09-04 2004-03-18 Utc Fuel Cells, L.L.C.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with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catalyst
JP2004158388A (ja) 2002-11-08 2004-06-03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の電極
KR20050121911A (ko) * 2004-06-23 2005-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777A (en) * 1991-02-19 1993-08-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mbrane catalyst layer for fuel cells
JP2842150B2 (ja) * 1992-06-02 1998-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JP3498321B2 (ja) * 1992-09-25 2004-02-16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3711546B2 (ja) * 1996-03-29 2005-11-02 マツダ株式会社 燃料電池の電極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89004A (ja) * 1996-12-27 1998-07-21 Tokyo Gas Co Ltd 燃料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US6291091B1 (en) * 1997-12-24 2001-09-18 Ballard Power Systems Inc. Continuous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electrolyte and electrode assembly
DE19837669A1 (de) * 1998-08-20 2000-03-09 Degussa Katalysatorschicht für Polymer-Elektrolyt-Brennstoffzellen
KR100343209B1 (ko) * 2000-03-27 2002-07-10 윤종용 강화제가 부가된 복합 이온 전도성 고분자막 및 이를채용하고 있는 연료전지
JP4974403B2 (ja) * 2000-05-31 2012-07-11 日本ゴア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7541308B2 (en) * 2001-04-11 2009-06-02 Cabot Corporation Fuel cells and other products containing modified carbon products
CN1299374C (zh) * 2001-09-10 2007-02-07 旭化成株式会社 用于燃料电池的电极催化剂层
CN1224119C (zh) * 2002-03-29 2005-10-19 清华大学 一种质子交换膜燃料电池用的自保湿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181585C (zh) * 2002-06-19 2004-12-2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燃料电池用自增湿复合质子交换膜的制备方法
JP4529345B2 (ja) * 2002-07-31 2010-08-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3812901B2 (ja) * 2002-11-08 2006-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の電極構造体
US20040166397A1 (en) * 2002-11-08 2004-08-26 Valdez Thomas I. Cathode structur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WO2004063438A1 (ja) * 2003-01-15 2004-07-29 Bridgestone Corporation 炭素繊維の製造方法,触媒構造体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
US20040197629A1 (en) * 2003-01-20 2004-10-07 Yasuo Arishima Electric power generating element for fuel cell and fuel cell using the same
JP2004247091A (ja) * 2003-02-12 2004-09-02 Toagosei Co Ltd 電解質膜電極接合体および直接アルコール形燃料電池
JP2004259661A (ja) * 2003-02-27 2004-09-16 Asahi Glass Co Ltd 膜・電極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059A (ja) 1999-10-01 2001-04-13 Toshiba Corp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システム
WO2003055593A1 (en) 2001-12-31 2003-07-10 Grace Gmbh & Co. Kg Adsorbing material comprised of porous functional solid incorporated in a polymer matrix
WO2004023576A2 (en) 2002-09-04 2004-03-18 Utc Fuel Cells, L.L.C.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with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catalyst
JP2004158388A (ja) 2002-11-08 2004-06-03 Honda Motor Co Ltd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の電極
KR20050121911A (ko) * 2004-06-23 2005-1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8173C (zh) 2008-11-26
JP2006216559A (ja) 2006-08-17
JP4776386B2 (ja) 2011-09-21
US20060177726A1 (en) 2006-08-10
KR20060090000A (ko) 2006-08-10
US8187764B2 (en) 2012-05-29
CN1848498A (zh)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284B1 (ko) 연료전지
KR101135479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JP3760895B2 (ja) 液体燃料供給型燃料電池、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448168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가스켓 접합체의 제조방법
JP4550798B2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01816B1 (ko) 막-전극 어셈블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JP2007115413A (ja) 燃料電池
JP2006049110A (ja) 燃料電池用触媒、それを用いた膜電極接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
KR100765088B1 (ko) 계면 저항을 감소시킨 하이브리드 전극-막 접합체 및 그제조방법
JP5079195B2 (ja) 燃料電池用ガス拡散電極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4140001A (ja) 液体燃料供給型燃料電池、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6344517A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101312971B1 (ko) 불소계 이오노모를 이용하여 표면 개질한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KR101117630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12233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JP4649094B2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EP1675201B1 (en) Proton conductor, polymer electrolyte comprising the same and fuel cell employing the polymer electrolyte
KR102075180B1 (ko)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05116338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そのガス拡散電極の製造方法
KR102188833B1 (ko)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연료 전지
KR20150138103A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4529345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2005317287A (ja) 膜/電極接合体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101035620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용전극의 제조방법
KR102390018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