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747B1 -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747B1
KR100667747B1 KR1020020047514A KR20020047514A KR100667747B1 KR 100667747 B1 KR100667747 B1 KR 100667747B1 KR 1020020047514 A KR1020020047514 A KR 1020020047514A KR 20020047514 A KR20020047514 A KR 20020047514A KR 100667747 B1 KR100667747 B1 KR 10066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defect
temporary defect
defec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5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5424A (en
Inventor
고정완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747B1/en
Priority to TW092121766A priority patent/TWI294622B/en
Priority to RU2005103626/28A priority patent/RU2288513C2/en
Priority to BRPI0313395A priority patent/BRPI0313395B1/en
Priority to AU2003248500A priority patent/AU2003248500A1/en
Priority to CN2007101048559A priority patent/CN101064156B/en
Priority to PCT/KR2003/001610 priority patent/WO2004015708A1/en
Priority to MYPI20033042A priority patent/MY135098A/en
Priority to SG200701062-2A priority patent/SG145577A1/en
Priority to CA2494148A priority patent/CA2494148C/en
Priority to CN038189933A priority patent/CN1675708B/en
Priority to JP2004527436A priority patent/JP4540476B2/en
Priority to PL03375343A priority patent/PL375343A1/en
Priority to MXPA05001548A priority patent/MXPA05001548A/en
Priority to CN2007101048563A priority patent/CN101064157B/en
Priority to EP03784681.3A priority patent/EP1540654B1/en
Priority to US10/638,481 priority patent/US7423946B2/en
Priority to US10/638,555 priority patent/US7379402B2/en
Priority to US10/638,551 priority patent/US7400564B2/en
Publication of KR2004001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424A/en
Priority to HK08102847.3A priority patent/HK1116572A1/en
Priority to HK08102846.4A priority patent/HK1116571A1/en
Priority to US11/430,168 priority patent/US20060203684A1/en
Priority to US11/430,877 priority patent/US7558174B2/en
Priority to US11/432,474 priority patent/US7746743B2/en
Priority to US11/432,556 priority patent/US20060203670A1/en
Priority to US11/432,469 priority patent/US20060203638A1/en
Priority to US11/432,475 priority patent/US76466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747B1/en
Priority to US12/173,282 priority patent/US7911903B2/en
Priority to JP2010091785A priority patent/JP47128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과 결함 관리 영역이 마련된 디스크, 그 결함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Discs provided with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nd a defect management area, and a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re disclosed.

본 발명에 따라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마련되어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적용가능하면서도 기록 용량의 제한이 있는 결함 관리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having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sequentially arranged, comprising: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the data area to recor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o recor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And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use a defect management area that is applicable to write once disks and has a limited recording capacity.

Description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과 결함 관리 영역이 마련된 디스크, 그 결함 관리 방법 및 장치{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Disc with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nd defect management area, its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디스크(100)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3 i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the disk 100 of FIG.

도 4는 도 3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4 i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DFL이 기록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TDF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DFL의 데이터 구조도,6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TDF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TDDS #i의 데이터 구조도,7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TDDS #i;

도 8은 TDFL #i의 데이터 구조도,8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TDFL #i;

도 9는 DDS의 데이터 구조도,9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DDS;

도 10은 DFL의 데이터 구조도,10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DF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f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스크의 결함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과 결함 관리 영역이 마련된 디스크, 그 결함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fect management of a disc,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 provided with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nd a defect management area, and a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결함 관리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기록한 사용자 데이터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때 결함이 발생된 부분에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시 기록하여 결함 발생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보충해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종래, 결함 관리는 크게 선형 치환(Linear replacement)을 이용한 결함 관리 방법과 건너뛰기(slipping replacement)를 이용한 결함 관리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선형 치환이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결함이 발생하면 이 결함 영역을 스패어 영역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으로 치환하는 것을 말한다. 건너뛰기란 결함이 발생한 영역은 사용하지 않고 "건너뛴" 다음 결함이 발생되지 않은 영역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Defect management refers to a process of supplementing data loss due to defects by rewriting user data recorded in a portion where a defect occurs when a defect occurs in user data recorded in the user data area. Conventionally, defect management is largely divided into a defect management method using linear replacement and a defect management method using skipping replacement. Linear replacement means that when a defect occurs in the user data area, the defective area is replaced with an area where a defect in the spare area does not occur. Skipping refers to the use of areas skipped without using the defective areas, followed by areas that are not defective.

선형 치환 방식 및 건너뛰기 방식 모두 DVD-RAM/RW 등 반복기록이 가능하고 랜덤 액세스 방식에 의한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에 대해서만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종래 선형 치환 방식 및 건너뛰기 방식은 모두 한번만 기록가능한 write once 디스크에 적용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실제로 데이터를 기록해봄으로써 확인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write once 디스크의 경우 한번 데이터를 기록하면 다시 지우고 쓸 수 없으므로 종래 방식에 의한 결함 관리가 불가능하다. Both the linear replacement method and the skip method are applicable only to discs capable of repeatable recording such as DVD-RAM / RW and recording by the random access method.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linear replacement method and the skip method are difficult to apply to a write once disc which can only be written once. This is because whether or not a defect has occurred is confirmed by actually recording data. However, in the case of write once disks, once data has been written, it cannot be erased and written again, and thus defe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s impossible.                         

한편, CD-R, DVD-R 등에 이어 수십 GB의 기록용량을 갖는 고밀도 기록가능한 write once 디스크가 제안되고 있다. 이들 디스크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데이터 독출시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므로 읽기 속도가 비교적 빠르므로 백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write once 디스크에 대한 결함 관리는 수행되지 않으므로 백업 도중 결함 영역이 발생되면 백업이 계속되지 못하고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백업은 특히 시스템이 빈번하게 사용되지 않는 시간, 즉 주로 관리자가 없는 밤시간에 이루어지므로 결함 영역이 발생하여 백업이 중단되면 더 이상 백업이 수행되지 않고 방치될 가능성이 높다.On the other hand, high density recordable write once discs having a recording capacity of several tens of GB have been proposed following CD-R, DVD-R and the like. Since these disks are relatively inexpensive and have random access when reading data, they can be used for backup because of their relatively high read speed. However, since defect management is not performed for the write once disk, if a defective area is generated during backup, the backup cannot be continued and is interrupted. Since backups occur, especially at times when the system is not used frequently, usually at night when there are no administrators, it is likely that backups will no longer be performed if a backup is interrupted due to a faulty z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함 관리가 가능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 그 결함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te once disk having a data structure capable of defect management, a defect management method thereof,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 중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결함을 처리해줌으로써 기록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해주는 데이터 구조를 갖는 write once 디스크, 그 결함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rite once disk having a data structure which allows recording to be performed smoothly by handling the defect even if a defect occurs during record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defect thereof, and an apparatus thereof.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 마련되어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 및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in which the lead-in area, the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are sequentially arrange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data area and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o recor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Achieved by a disc comprising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거나, OPC 포인터를 포함하거나, 디스크 사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an OPC pointer, or disk usage information.

상기 디스크의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결함 관리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되는 결함 관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마지막으로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defect management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of the disc, wherein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last recorded in the data area.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recorded information.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거나, OPC 포인터를 포함하거나, 디스크 사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an OPC pointer, or disk usage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a)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b)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하여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단계; (c) 결함이 발생된 부분에서부터 그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까지 결함 영역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결함 영역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를 임시 결함 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해두는 단계; (d) 상기 결함 영역 이후부터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e)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종료가 예측될 때까지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f) 상기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종료가 예측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배치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상기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대응하도록 기록하고,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에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h) 파이널라이징이 수행되기 이전까지 상기 (a)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하되, 상기 (f)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는 직전의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i) 파이널라이징시 마지막으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영역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a) recording the data in a predetermined unit; (b) verifying the recorded data to find out where the defect occurred; (c) designating a defect area from a portion where a defect occurs to data recorded thereafter as a defect area, and storing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of the designated defect area in the memory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d) recording data in a predetermined unit after the defect area; (e) repeating steps (a) to (d) until the end of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edicted; (f) If the end of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edicte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read and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rranged in the data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ording oper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s stor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Recording information specifying an information area; (g)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recorded in step (f)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h) Repeat steps (a) to (f) until finalizing is performed, and when performing step (f),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nclude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reviou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ccumulating and recording; And (i) recording the last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during finalizing.

상기 (g)단계에서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n step (g) preferably include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상기 임시 결함 정보는 결함 #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defect #n, and the information on defect #n includes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defect #n and end position information of defect #n.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거나,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거나, OPC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of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nclud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or includes an OPC point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기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에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결함 정보와 이전에 수행된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결함 정보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제1 임시 결함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임시 결함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에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결함 정보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제2 임시 결함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임시 결함 정보는 결함 #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data on a disc; And recording information such that defect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in accordance with a recording operation in the data area of the disc and defect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in accordance with a recording operation previously performed, are recorded in the data area as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defect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in the data area according to a next recording operation in the data area as secon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also achieved by an apparatus comprising information on defect #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를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제1 임시 결함 관리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를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제2 임시 결함 관리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recor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s first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lead-out area, and an outer area. Controlling a recording unit and record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secon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s seco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lead-out area and an outer area. Preferably, the record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록 장치는 기록/독출부(1), 제어부(2) 및 메모리부(3)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저장매체인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어부(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함 관리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2)는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기록 후 검증 (verify after write) 방식」에 따른다. 제어부(2)는 소정 기록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결함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를 임시 결함 정보로서 디스크(100)에 기록하고,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로서 디스크(100)에 기록한다. 기록 단위는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일 수 있다. 레코딩 오퍼레이션이란 사용자의 의사, 수행하고자 하는 기록 작업 등에 의해 결정되는 작업 단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100)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어 소정 데이터의 기록작업이 수행된 다음 디스크(100)가 꺼내질 때까지를 가리킨다. 레코딩 오퍼레이션 동안 기록 후 검증 작업은 적어도 1 회, 통상 복수회 수행된다. 사용자가 소정 데이터의 기록작업을 완료한 다음 디스크(100)를 꺼내기 위해 기록장치에 마련된 이젝트(eject)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면 제어부(2)는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것을 예측하게 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될 것이 예측되면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기록/독출부(1)로 제공하여 디스크(100)에 기록하도록 한다. 메모리부(3)는 제어부(2)가 기록 후 검증 작업을 수행한 결과 얻어진 임시 결함 정보를 저장해두는데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ecording apparatus includes a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a control section 2, and a memory section 3.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records data on the disk 100, which is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reads data to verify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 unit 2 performs defect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2 conforms to the "verify after write method" in which the defect is found by recording the data in predetermined units and then verifying the recorded data. The control unit 2 records the user data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unit and then record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defective area on the disk 100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s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he disc 100 writes. The recording unit may be one recording operation. The recording operation is a unit of work determined by a user's intention, a record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disc 100 is loaded into a recording device to perform recording of predetermined data, and then the disc 100 is ejected. Until point. The verification operation after recording during the record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least once, usually a plurality of times. When the user completes the recording of the predetermined data and then presses an eject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the recording apparatus to eject the disc 100, the control unit 2 predicts that one recording operation will end.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recording operation will be complet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recording / reading section 1 to be recorded on the disc 100. The memory unit 3 is used to stor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obtain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2 after recording.

디스크(100)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될 경우, 다시 말해 디스크(100)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제어부(2)는 디스크(100)에 기록해둔 임시 결함 정보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When data recording is completed on the disc 100, that is, when no further data is to be recorded on the disc 100 (when finalizing), the control unit 2 record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recorded on the disc 100.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provided in the disc 10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의 구조를 보여준다.2 shows the structure of a disk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는 디스크(100)가 하나의 기록층 L0를 갖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의 구조를 보여주는 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을 포함한다. 리드-인 영역은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 위치하고 리드-아웃 영역은 디스크(100)의 외주 측에 위치한다. 데이터 영역은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의 사이에 위치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스패어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스패어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결함에 의한 기록 공간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한 영역이다. 스패어 영역은 디스크 상에 결함을 허용하면서 기록할 수 있는 최대한의 데이터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통상 전체 데이터 용량의 약 5% 정도를 스패어 영역으로 설정한다. 스패어 영역은 디스크의 기록 공간 상의 마지막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rite once 디스크의 경우, 내주 측에부터 외주 측으로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면서 건너뛰기 치환을 수행하는 기록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FIG. 2A shows a structure when the disc 100 is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having one recording layer LO, and includes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The lead-in area is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k 100 and the lead-out area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k 100. The data area is located betwee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he data area is divided into a user data area and a spare area. The user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user data is recorded. The spare area is an area for supplementing the loss of recording space due to a defect in the user data area. The spare area is preferably set so as to ensure the maximum data capacity that can be recorded while allowing a defect on the disk, so that approximately 5% of the total data capacity is usually set as the spare area. The spare area is preferably arranged at the last portion on the recording space of the disc. In the case of write once disk, the write characteristic of skip substitutio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while recording data sequentially from the inner peripheral side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본 실시예에서 스패어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사이에만 존재하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 영역을 나누어 얻어진 별도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are area exists only between the user data area and the lead-out area, but may be disposed at least one betwee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by utilizing a separate space obtained by dividing the user area as necessary. have.

도 2의 (b)는 디스크(100)가 두 개의 기록층 L0, L1을 갖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의 구조를 보여주는 바, 기록층 L0에는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바깥 영역이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서 외주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기록층 L1에는 바깥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디스크(100)의 외주 측에서 내주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a)의 단일 기록층 디스크와 달리, 리드-아웃 영역 또한 디스크(100)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경로는 기록층 L0의 리드-인 영역에서부터 기록층 L0의 바깥 영역으로, 이어서 기록층 L1의 바깥 영역에서 기록층 L1의 리드-아웃 영역으로 이어지는 OTP(Opposite Track Path)이다.FIG. 2B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k 100 is a dual recording layer disk having two recording layers L0 and L1. The recording layer L0 includes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n outer area. An outer region, a data region, and a lead-out area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c 100 in the recording layer L1. Unlike the single recording layer disc of FIG. 2A, the lead-out area is also arrang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c 1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cording path for recording data is an OTP (Opposite Track Path) from the lead-in area of the recording layer L0 to the area outside of the recording layer L0, and then from the area outside of the recording layer L1 to the lead-out area of the recording layer L1. to be.

도 3은 도 2의 디스크(100)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이다. 3 is an example of a data structure of the disk 100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결함 관리 영역이 마련되어 있고,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 영역에는 소정 기록 단위마다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3, a defect management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and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In the data area,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s disposed for each predetermined recording unit.

일반적으로 결함관리 영역에는 결함을 관리하기 위한 디스크의 구조, 결함정보의 위치, 결함관리 여부, 스페어 영역의 위치, 크기 등과 같이 디스크 전반에 영향을 주는 정보들을 기록하고 있다. 정보의 기록 방식은 write once 디스크인 경우 해당 정보가 변경되면 기존에 기록된 정보에 이어서 변경된 정보를 새롭게 기록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통상, 기록 또는 재생장치는 디스크가 장치에 장착되면, 리드-인 영역과 리드-아웃 영역에 있는 정보들을 읽어들여 디스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하게 된다. 리드-인 영역의 정보가 커지면 커질수록 디스크를 장착하고 난 다음 기록 또는 재생을 준비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및 임시 결함 정보의 개념을 도입한 다음 , 비교적 더 중요한 정보인 임시 결함 관리 정보만을 리드인 영역에 기록하고, 임시 결함 정보는 데이터 영역에 기록해둔다. 이때, 임시 결함 정보는 이전의 임시 결함 정보를 모두 포함하도록 누적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록 또는 재생 장치는 마지막으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임으로써 디스크 전체의 결함 상황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는 마지막으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기록된다. In general, the defect management area records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entire disk,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disk for managing defects, the location of defect information, whether or not the defect is managed,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spare area. In the case of a write once disc, when a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changed, a method of recording the changed information after the previously recorded information is applied. In general, when a disc is mounted in the apparatus,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reads information in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to figure out how to manage the disc and how to record or play it. The larger the information in the lead-in area, the longer the time taken to prepare for recording or playback after the disc is load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only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which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lead-in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data area. At this time,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preferably cumulatively recorded to include all previou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herefore,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can determine the defect situation of the entire disc by reading the last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hu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last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임시 결함 정보 영역 #0에는 기록 단위 #0에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고, 임시 결함 정보 영역 #1에는 기록 단위 #1에 발생된 결함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 #0, #1,‥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지 않을 경우, 즉 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되었던 결함 정보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되었던 결함 관리 정보는 비로소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된다.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 0, information about a defect that occurred in the recording unit # 0 is recorded, an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 1, information about a defect that has occurred in the recording unit # 1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s # 0, # 1, ... is recorded. If data can no longer be written to the data area or if you no longer want to write data to the data area, that is, when finalizing, the defect information that wa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will be delete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hat has been recorded is finally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임시 결함 관리 정보와 임시 결함 정보를 다시 결함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디스크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없는 경우(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여러 번 갱신되어 기록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 및 데이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임시 결함 정보를 리드-인 영역의 결함 관리 영역에 옮겨둠으로써 기록 또는 재생 장치가 향후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보다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며, 결함 관리 정보를 복수개의 장소에 기록해 둠으로써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gain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is as follows. When data is no longer needed to be written to disk (finalizing),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updated and recorded several times 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located in the data area are moved to the defect management area of the lead-in area. This is because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has an advantage that the information recorded on the disc can be read more quickly in the future,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an be improved by recording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plurality of places.

본 실시예에서, 임의의 임시 결함 정보 영역 #i에는 이전의 임시 결함 정보 영역 #0, #1, #2,‥, #i-1에 기록된 결함 정보들이 누적되어 기록된다. 따라서, 파이널라이징할 때 마지막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된 결함 정보만을 읽어들여 다시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하면 족하다.In this embodiment,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reviou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s # 0, # 1, # 2, ..., # i-1 is accumulated and recorded in any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 Therefore, when finalizing, it is sufficient to read only the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a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write it back to the defect management area.

도 4는 도 3의 데이터 구조의 일 예이다. 4 is an example of the data structure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결함 관리 영역인 DMA(Defect Management Area)가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와 같은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DMA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다. 도 2의 (b)와 같은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DMA는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DMA는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모두에 배치되고, 이중 기록층 디스크인 경우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모두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a defect management area (DMA), which is a defect management are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lead-out area, and an outer area.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as shown in Fig. 2A, the DM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In the case of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s shown in Fig. 2B, the DMA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single recording layer disc, the DMA is arranged in both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and in the case of a double recording layer disc, it is arranged in all of the lead-in area, the lead-out area and the outer area.

레코딩 오퍼레이션 #0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 #0에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인 TDFL(Temporary DeFect List) #0이 배치된다. TDFL #0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 #0에 따라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에 발생한 결함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 #1에 대응하는 TDFL #1은 레코딩 오퍼레이션 #1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다음 배치되고, 레코딩 오퍼레이션 #2에 대응하는 TDFL #2 또한 마찬가지 순서로 배치된다.User data according to recording operation # 0 is recorded in the data area, and then TDFL (Temporary DeFect List) # 0, which is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corresponding to recording operation # 0, is disposed. In TDFL # 0, information about a defect that has occurred in user data recorded in accordance with recording operation # 0 is recorded. The TDFL # 1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operation # 1 is disposed after the user data according to the recording operation # 1 is recorded, and the TDFL # 2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operation # 2 is also arranged in the same order.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는 TDFL #0, #1, #2,‥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인, 임시 결함 관리 정보 TDDS(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0, #1, #2,‥가 기록된다. TDDS #0, #1, #2,‥는 TDFL #0, #1, #2,‥에 각각 대응된다. TDDS #i에는 결함 관리 여부, 스패어 영역의 크기, 기타 TDFL #i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고, TDFL #i에는 결함 영역의 위치 정보, 치환된 부분의 위치 정보 등이 기록될 수 있다.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 0, # 1, # 2, ... which is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DFL # 0, # 1, # 2, ... is recorded. TDDS # 0, # 1, # 2, ... correspond to TDFL # 0, # 1, # 2, ..., respectively. TDDS #i can record defect management status, spare area size, and other information necessary to manage TDFL #i, and TDFL #i can recor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ive are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placed part. Can be.                     

TDDS #i는 수십 기가바이트의 고밀도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의 경우 대략 1 클러스터, TDFL #i는 4-8 클러스터 정도가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함 관리 정보 TDDS #i의 경우 수 KBytes에 지나지 않으나 디스크의 최소한의 물리적인 기록단위가 클러스터인 경우, 갱신을 위해 새로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디스크에 허용되는 결함의 총량은 개략적으로 디스크 기록용량의 약 5 퍼센트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나의 결함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약 8 바이트 정도의 정보가 필요한 것을 감안하고 클러스터의 크기가 64Kbyte임을 감안하면 TDFL #i는 대략 4-8 클러스터가 된다.TDDS #i should be allocated approximately 1 cluster for disks capable of high density recording of several tens of gigabytes, and 4-8 clusters for TDFL #i. This is because if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i is only a few KBytes, but the minimum physical recording unit of the disk is a cluster, it is preferable to record in cluster units in order to record new information for updating. On the other hand, the total amount of defects allowed for the disk is preferably about 5 percent of the disk recording capacity. In this case, considering that about 8 bytes of information are needed to record information about one defect, and considering that the cluster size is 64 Kbytes, the TDFL #i is approximately 4-8 clusters.

한편, TDDS #i 및 TDFL #i에 대해서도 기록 후 검증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결함이 발생된 경우 이어지는 인접 영역에 다시 기록한다.Meanwhile, post-recording verification may also be performed for TDDS #i and TDFL #i, respectively. If a defect occurs, write back to the next adjacent are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DFL이 기록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TDF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는 섹터 및 클러스터로 나눌 수 있다. 섹터는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이나 응용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를 의미하며, 클러스터는 한꺼번에 물리적으로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섹터가 하나의 클러스터를 구성한다.The unit for processing data may be divided into sectors and clusters. A sector is a minimal unit that can manage data in a computer's file system or application program. A cluster is a minimum unit that can be physically recorded on a disk at one time. Typically, one or more sectors make up a cluster.

섹터는 다시 물리 섹터와 논리 섹터로 나누어진다. 물리 섹터는 디스크 상에 한 섹터 분량의 데이터가 기록되어지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물리 섹터를 찾 기 위한 주소를 물리 섹터 번호(Physical Sector Number:PSN)라고 한다. 논리 섹터는 파일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섹터 단위를 말하며, 마찬가지로 논리 섹터 번호(Logical Sector Number:LSN)가 주어져 있다.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장치는 기록해야할 데이터의 디스크 상의 위치를 물리 섹터 번호를 사용하여 찾아가게 되고,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데이터 전체를 논리 섹터 단위로 관리를 하며, 데이터의 위치를 논리 섹터 번호로 관리하게 된다. 논리 섹터 번호와 물리 섹터 번호의 관계는 기록 또는 재생 장치의 제어부가 결함 여부와 기록 시작 위치 등을 사용하여 변환하게 된다.Sectors are divided into physical sectors and logical sectors. The physical sector means space for recording one sector of data on the disk. The address for finding a physical sector is called a physical sector number (PSN). A logical sector refers to a sector unit for managing data in a file system or an application program. Similarly, a logical sector number (LSN) is given. A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on a disc finds a location on the disc of a data to be recorded using a physical sector number. A computer or application for recording data manages the entire data in logical sector units. The position of is managed by the logical sector numb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cal sector number and the physical sector number is converted by the controller of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by using a defect status and a recording start position.

도 5를 참조하면, A는 데이터 영역을 의미한다. 데이터 영역에는 물리적 섹터 번호가 순차적으로 할당된 복수개의 물리 섹터(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한다. 논리 섹터 번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섹터 단위로 부여된다. 다만, 논리 섹터 번호는 결함이 발생된 결함 영역을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부여되므로, 물리 섹터와 논리 섹터의 크기가 같다고 가정하더라도 결함 영역이 발생하게 되면 물리 섹터 번호와 논리 섹터 번호가 일치하지 않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means a data area. In the data area, there are a plurality of physical sectors (not shown) to which physical sector numbers are sequentially assigned. The logical sector number is given in at least one physical sector unit. However, since the logical sector numbers are sequentially assigned except for the defective area in which the defect has occurred, even if the physical sector and the logical sector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size, when the defective area occurs, the physical sector number and the logical sector number do not coincide.

① 내지 ⑨는 각각 기록 후 검증 작업이 수행되는 단위를 가리킨다. 기록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를 구간 ① 만큼 기록한 다음 구간 ①의 첫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부터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까지 모두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다. 이에, 결함 영역인 결함 #0이 지정된다. 다음으로, 구간 ② 만큼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다시 구간 ②의 첫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결함 영역인 결함 #1이 지정된다. 마찬가지로, 결함 영역인 결함 #3이 지정된다. 구간 ④에서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지 않아 결함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① to ⑨ refer to the unit where the ver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recording. The recording device records the user data by the interval ① and then returns to the beginning of the interval ① to check whether the data is properly recorded or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If a part where a defect has been found is found, all of the part and the data recorded thereafter are designated as the defect area. Thus, defect # 0, which is a defect area, is designated. Next, record the user data for the interval ② and then return to the beginning of the interval ② again to check whether the data is properly recorded or whether a defect has occurred. Thus, defect # 1, which is a defect area, is designated. Similarly, defect # 3 which is a defect area is specified. In section ④, no part where a defect occurred is found and there is no defect area.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100)는 write once 디스크이므로, 결함이 발생된 부분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결함이 발생된 부분 이후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은 모두 결함 영역으로 편입된다. 왜냐하면, 결함이 발생된 부분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 중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논리 섹터 번호 LSN(Logical Sector Number) i를 부여한다면, 이후에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기록한 다음 여기에 부여되는 논리 섹터 번호는 나머지 데이터에 부여된 논리 섹터 번호보다 앞서는 LSN i-1을 부여해야만 재생시 데이터가 순서대로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논리 섹터 번호가 순차적으로 부여되지 않고 그 순서가 뒤바뀌는 구간이 생기게 되면 논리 섹터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 이후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은 모두 결함 영역으로 편입시킴으로써 논리 섹터 관리의 효율을 제고하였다.Since the di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write once disk, it is preferable not to use data recorded after the defective portion, so that all the areas where data after the defective portion are recorded are defective regions. It is incorporated. Because if the logical sector number LSN (Logical Sector Number) i is assigned to use the remaining data except the defective part of the data recorded after the defective part, the defective part is recorded later. Next, the logical sector number given here must be given an LSN i-1 that precedes the logical sector number assigned to the remaining data, so that data can be reproduced in order during reproduction. However, logical sector management is not easy when a logical sector number is not sequentially assigned and a section in which the order is reversed is not easy.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ll areas in which data after the defective portion is recorded are incorporated into the defective area. The efficiency of logical sector management has been improved.

구간 ④까지 기록하고 검증한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 #0의 종료가 예측되면(사용자가 이젝트 버튼을 누르거나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면) TDFL #0이 기록된다. TDFL #0에는 구간 ① 내지 ④까지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 #1, #2, #3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레코딩 오퍼레이션 #1에 대응하도록 TDFL #1이 기록된다. TDFL #0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 #0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중 결함이 발생되어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TDFL #1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 #1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중 결함이 발생되어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에 관한 정보가 기록됨은 물론 TDFL #0에 기록된 정보가 더 기록되어 있다.TDFL # 0 is recorded if the end of recording operation # 0 is predicted (after the user presses the eject button or completes the recording of the user data assigned to the recording operation). In the TDFL # 0, information relating to the defective areas # 1, # 2, and # 3 generated in the sections 1 to 4 is recorded. Similarly, TDFL # 1 is recorded to correspond to recording operation # 1. In TDFL # 0, information regarding a portion in which a defect is generated and designated as the defect area is recorded in the area in which user data according to recording operation # 0 is recorded. In the TDFL # 1, information regarding a portion in which a defect occurs in the area where user data according to the recording operation # 1 is recorded and designated as the defect area is recorded, as well a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DFL # 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DFL의 데이터 구조도이다.6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TDF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TDFL #0에는 결함 #1에 관한 정보, 결함 #2에 관한 정보, 결함 #3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결함 #1에 관한 정보란 결함 #1이 발생된 부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가리킨다. 결함 #2에 관한 정보는 결함 #2가 발생된 부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결함 #3에 관한 정보는 결함 #3이 발생된 부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말한다.Referring to FIG. 6, information about defect # 1, information about defect # 2, and information about defect # 3 are recorded in TDFL # 0. The information on defect # 1 refers to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defect # 1 is located.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 2 is information that tells where the part where the defect # 2 occurred is loca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 3 refers to information that tells where the part where the defect # 3 occurred is located.

나아가, TDFL #0에는 TDFL #0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어 있다. TDFL #0에 관한 정보는 TDFL #0이 기록된 위치를 알려준다. TDFL #0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TDFL #0에 기록된 데이터는 읽어들일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 데이터 재생의 관점에서 보면 결함 영역 #i과 TDFL #0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므로 결함 영역 #i과 TDFL #0는 구별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TDFL #0에는 자신의 기록 위치 정보, 즉 TDFL #0에 관한 정보가 기록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려주는 유용한 정보로서 사용된다.Further, information about TDFL # 0 is further recorded in TDFL # 0. Information about TDFL # 0 indicates where TDFL # 0 is recorded. Since no user data is recorded in the TDFL # 0, data recorded in the TDFL # 0 need not be read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 user data. That is, from the viewpoint of user data reproduction, the defective area #i and the TDFL # 0 are the same in that the user data is not recorded, so the defective area #i and the TDFL # 0 have no meaning. Therefore, TDFL # 0 records its own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TDFL # 0, and is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indicating that user data is not recorded, for example, during playback.

TDFL #1에는 TDFL #0에 기록된 정보에 부가하여 결함 #4에 관한 정보, 결함 #5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나아가, TDFL #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TDFL #1이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TDFL #1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된다. 그 이유는 TDFL #0의 경우와 같다.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DFL # 0, information on defect # 4 and information on defect # 5 are recorded in TDFL # 1. Furthermore, similarly to the case of TDFL # 0, information about TDFL # 1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DFL # 1 is recorded is further recorded. The reas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DFL # 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DFL의 데이터 구조도이다.6 is a data structure diagram of a TDF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TDFL #0에는 결함 #1에 관한 정보, 결함 #2에 관한 정보, 결함 #3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결함 #1에 관한 정보란 결함 #1이 발생된 부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가리킨다. 결함 #2에 관한 정보는 결함 #2가 발생된 부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결함 #3에 관한 정보는 결함 #3이 발생된 부분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말한다.Referring to FIG. 6, information about defect # 1, information about defect # 2, and information about defect # 3 are recorded in TDFL # 0. The information on defect # 1 refers to information indicating where the defect # 1 is located.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 2 is information that tells where the part where the defect # 2 occurred is loca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 3 refers to information that tells where the part where the defect # 3 occurred is located.

나아가, TDFL #0에는 TDFL #0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되어 있다. TDFL #0에 관한 정보는 TDFL #0이 기록된 위치를 알려준다. TDFL #0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TDFL #0에 기록된 데이터는 읽어들일 필요가 없다. 즉, 사용자 데이터 재생의 관점에서 보면 결함 영역 #i과 TDFL #0는 구별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TDFL #0에는 자신의 기록 위치 정보, 즉 TDFL #0에 관한 정보가 기록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시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음을 알려주는 유용한 정보로서 사용된다.Further, information about TDFL # 0 is further recorded in TDFL # 0. Information about TDFL # 0 indicates where TDFL # 0 is recorded. Since no user data is recorded in the TDFL # 0, data recorded in the TDFL # 0 need not be read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the user data. In other words, the defect area #i and the TDFL # 0 have no meaning in terms of user data reproduction. Therefore, TDFL # 0 records its own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about TDFL # 0, and is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indicating that user data is not recorded, for example, during playback.

TDFL #1에는 TDFL #0에 기록된 정보에 부가하여 결함 #4에 관한 정보, 결함 #5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 나아가, TDFL #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TDFL #1이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TDFL #1에 관한 정보가 더 기록된다. 그 이유는 TDFL #0의 경우와 같다.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DFL # 0, information on defect # 4 and information on defect # 5 are recorded in TDFL # 1. Furthermore, similarly to the case of TDFL # 0, information about TDFL # 1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DFL # 1 is recorded is further recorded. The reas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DFL # 0.

도 7은 TDDS #i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7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DDS #i.

도 7을 참조하면, TDDS #i는 식별자, 결함 관리 모드 정보,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 TDFL #i의 위치를 가리키는 TDFL #i 포인터,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 OPC 포인터, 및 디스크 사용성 정보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DDS #i denotes an identifier,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a drive information pointer, a TDFL #i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of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DFL #i, a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a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OPC pointer, and disk usability information.

결함 관리 모드 정보는 결함 관리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결함 관리가 수행되지 않고 따라서 스패어 영역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결함 관리가 수행되고 따라서 스패어 영역이 마련됨을 표시한다. 즉 결함관리를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결함관리를 하지 않는 다는 내용을 명기함으로써 약 5%정도에 해당하는 스패어 영역의 기록공간을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는 디스크(100)에 마련된 드라이브 정보 영역(도시되지 않음)의 위치, 예컨대 드라이브 정보 영역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드라이브 정보는 특정 드라이브가 디스크(100)를 테스트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기록해 둠으로써 다시 동일한 디스크를 읽을 경우 해당 테스트를 반복하지 않고 곧바로 디스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드라이브 정보란 특정 드라이브를 테스트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록해 둔 정보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드라이브 정보로는 사용된 드라이브의 식별자, 최적의 기록 파워 등 기록 조건을 예로 들 수 있다. Write once 디스크의 특성상 드라이브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새로운 클러스터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므로, 다음 드라이브 정보를 어디에 기록해야 하는 등의 정보를 미리 알고 있으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예비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드라이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유용하다. TDFL #i 포인터는 TDFL #i가 기록된 위치, 예를 들면 TDFL #i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는 데이터 영역 중 사용자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어디까지 기록되어 있는지,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마지막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는 데이터 영역 중 사용자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어디까지 기록되어 있는지,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마지막 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와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에 따르면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시 어디에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해야할지 알 수 있게 된다. OPC(Optimal Power Control) 포인터는 최적 파워 콘트롤을 알아내기 위한 시험 영역의 위치를 알려준다. OPC 포인터는 또한 복수개의 서로 다른 드라이브가 서로 다른 OPC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에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을 알려주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 사용성 정보는 파이널라이징이 수행되었는지 여부, 즉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알려준다.The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record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defect management is performed. Defect management is not performed and thus indicates that a spare area is not provided or defect management is performed and thus indicates that a spare area is provided. In other words, if there is no need to perform defect management, it indicates that the defect management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storage space of the spare area corresponding to about 5% can be used to record user data. The drive information pointer informs the position of the drive information area (not shown) provided in the disc 100, 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drive information area. The drive information is for operating the disc immediately without repeating the test when a specific drive tests the disc 100 and records the test result and reads the same disc again. In other words, drive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corded in order to use a specific drive immediately without a test. Examples of the driv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recording conditions such as the identifier of the used drive and the optimum recording power. Write o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k, data is written to the new cluster every time the drive information is updated. Therefore, if the drive information is known in advance, the data should be read from the disk or written to the disk. This reduces the time spent on preliminary operations that need to be done. It is useful to record drive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TDFL #i pointer tells where TDFL #i is written, 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DFL #i. The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indicates how far user data is physically recorded in the data area, for example, the la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area where user data is recorded. The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indicates how far user data is logically recorded in the data area, for example, the last logical sector number of the area where user data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and the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it is possible to know where to record the user data in the next recording operation. The OPC (Optimal Power Control) pointer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test area to determine optimal power control. The OPC pointer can also be use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that can be used next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drives use different OPCs. The disk usability information tells us whether or not finalization has been performed, ie whether user data can no longer be written to the data area.

도 8은 TDFL #i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8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DFL #i.

도 8을 참조하면, TDFL #i는 식별자, TDDS #i 포인터, 결함 #n에 관한 정보, 결함 #n+1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상태 정보 결함 #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DFL #i includes an identifier, a TDDS #i pointer, information about defect #n, information about defect # n + 1,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n includes th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defect # and the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TDDS #i 포인터는 대응하는 TDDS #i가 기록된 위치, 예를 들면 TDDS #i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TDDS #i에 들어있는 TDFL #i의 위치정보와 TDFL #i에 들어 있는 TDDS #i의 위치 정보는 서로 짝이 되는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 으므로, 두 곳에 기록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함 #n에 관한 정보로서 상태 정보는 해당 영역이 실제 결함 영역인지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된 영역인지를 알려준다. 상태 정보의 결함 #n에 관한 정보에의 포함 여부는 선택적이다.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는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로 기록되고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는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의 마지막 물리 섹터 번호로 기록될 수 있다. 결함 #n+1에 관한 정보도 결함 #n에 관한 정보와 마찬가지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서는 복수의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 후 검증을 수행하지만, 하나의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 후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결함 영역으로 등록되는 부분의 크기가 하나의 클러스터로 결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의 마지막 물리 섹터 번호는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The TDDS #i pointer indicates the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TDDS #i is recorded, 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DDS #i.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DFL #i in TDDS #i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DDS #i in TDFL #i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paired information, it can be used to validate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wo locations. have. The status information as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n indicates whether the corresponding area is an actual defect area or a region in which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Whether or not the statu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s optional. Th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may be recorded as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portion designated as the defect area, and the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may be recorded as the la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portion designated as the defect reg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 n + 1 is also recorded similarly to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n this embodiment, the verification is performed after recording in the unit of a plurality of clusters. Howev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verification after recording in one cluster unit, since the size of the portion registered as the defect area is determined as one cluster, the defect area is determined. It is not necessary to record the la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portion designated by.

도 9는 DDS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9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he DDS.

도 9를 참조하면, DDS는 식별자, 결함 관리 모드 정보,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 대응하는 결함 정보 DFL의 위치를 가리키는 DFL 포인터,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 OPC 포인터, 및 디스크 사용성 정보를 포함한다.9, the DDS includes an identifier,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a drive information pointer, a DFL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of a corresponding defect information DFL, a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a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an OPC pointer, and disk usability information. It includes.

결함 관리 모드 정보는 결함 관리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결함 관리가 수행되지 않고 따라서 스패어 영역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하거나 결함 관리가 수행되고 따라서 스패어 영역이 마련됨을 표시한다.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는 디스크(100)에 마련된 드라이브 정보 영역(도시되지 않음)의 위치, 예컨대 드라이브 정보 영역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드라이브 정보는 특정 드라이브가 디스크(100)를 테스트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기록해둔 정보를 말한다. 드라이브 정보는 특정 드라이브가 디스크(100)를 테스트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기록해 둠으로써 다시 동일한 디스크를 읽을 경우 해당 테스트를 반복하지 않고 곧바로 디스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드라이브 정보란 특정 드라이브를 테스트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록해 둔 정보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정보로는 사용된 드라이브의 식별자, 최적의 기록 파워 등 기록 조건을 예로 들 수 있다. Write once 디스크의 특성상 드라이브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새로운 클러스터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므로, 다음 드라이브 정보를 어디에 기록해야 하는 등의 정보를 미리 알고 있으면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예비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드라이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유용하다. The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record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defect management is performed. Defect management is not performed and thus indicates that a spare area is not provided or defect management is performed and thus indicates that a spare area is provided. The drive information pointer informs the position of the drive information area (not shown) provided in the disc 100, 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drive information area. The driv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in which a specific drive tests the disc 100 and records the test result. The drive information is for operating the disc immediately without repeating the test when a specific drive tests the disc 100 and records the test result and reads the same disc again. In other words, drive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corded in order to use a specific drive immediately without a test. Examples of the driv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recording conditions such as an identifier of an used drive and an optimum recording power. Write o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k, data is written to the new cluster every time the drive information is updated. Therefore, if the drive information is known in advance, the data should be read from the disk or written to the disk. This reduces the time spent on preliminary operations that need to be done. It is useful to record drive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DFL 포인터는 DFL이 기록된 위치, 예를 들면 DFL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는 데이터 영역 중 사용자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어디까지 기록되어 있는지,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마지막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는 데이터 영역 중 사용자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어디까지 기록되어 있는지, 예컨대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의 마지막 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와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에 따르면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시 어디에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해야할지 알 수 있게 된다. OPC 포인터는 최적 파워 콘트롤을 알아내기 위한 시험 영역의 위치를 알려준다. OPC(Optimal Power Control) 포인터는 최적 파워 콘트롤을 알아내기 위한 시험 영역의 위치를 알려준다. OPC 포인터는 또한 복수개의 서로 다른 드라이브가 서로 다른 OPC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에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을 알려주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크 사용성 정보는 파이널라이징이 수행되었는지 여부, 즉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The DFL pointer tells where the DFL is written, 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DFL. The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indicates how far user data is physically recorded in the data area, for example, the la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area where user data is recorded. The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indicates how far user data is logically recorded in the data area, for example, the last logical sector number of the area where user data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and the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it is possible to know where to record the user data in the next recording operation. The OPC pointer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test area to determine the optimum power control. The OPC (Optimal Power Control) pointer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test area to determine optimal power control. The OPC pointer can also be used 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rea that can be used next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drives use different OPCs. The disk usability information tells us whether or not finalization has been performed, ie whether user data can no longer be written to the data area.

도 10은 DFL의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10 shows the data structure of the DFL.

도 10을 참조하면, DFL은 식별자, DDS 포인터, 결함 #n에 관한 정보, 결함 #n+1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상태 정보 결함 #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함 #i에 관한 정보는 전술한 TDFL #i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DFL includes an identifier, a DDS pointer, information about defect #n, information about defect # n + 1,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n includes th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defect # and the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i may be the information about the above-described TDFL #i.

DDS 포인터는 대응하는 DDS가 기록된 위치, 예를 들면 DDS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를 알려준다. DDS에 들어있는 DFL의 위치정보와 DFL에 들어 있는 DDS의 위치 정보는 서로 짝이 되는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두 곳에 기록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DDS pointer tells where the corresponding DDS is written, 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DDS.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FL in the DD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DS in the DFL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paired information, it can b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wo locations.

결함 #n에 관한 정보로서 상태 정보는 해당 영역이 실제 결함 영역인지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된 영역인지를 알려준다. 상태 정보의 결함 #n에 관한 정보에의 포함 여부는 선택적이다.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는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의 첫 번째 물리 섹터 번호로 기록되고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는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의 마지막 물리 섹터 번호로 기록될 수 있다. 결함 #n+1에 관한 정보 도 결함 #n에 관한 정보와 마찬가지로 기록된다. 본 실시예서는 복수의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 후 검증을 수행하지만, 하나의 클러스터 단위로 기록 후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결함 영역으로 등록되는 부분의 크기가 하나의 클러스터로 결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부분의 마지막 물리 섹터 번호는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The status information as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n indicates whether the corresponding area is an actual defect area or a region in which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Whether or not the statu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s optional. Th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may be recorded as the fir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portion designated as the defect area, and the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may be recorded as the la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portion designated as the defect reg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 n + 1 is recorded similarly to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n this embodiment, the verification is performed after recording in the unit of a plurality of clusters. Howev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verification after recording in one cluster unit, since the size of the portion registered as the defect area is determined as one cluster, the defect area is determined. It is not necessary to record the last physical sector number of the portion designated by.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함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ef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f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기록 장치는 기록 후 검증이 수행되는 단위로 데이터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다(1001단계). 다음으로, 상기 1001단계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하여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낸다(1002단계). 제어부(2)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에서부터 그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까지 결함 영역으로 지정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제1 임시 결함 정보로서 메모리부(3)에 저장해둔다(1003단계).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종료가 예측되기 전까지(1005단계) 상기 1001단계 내지 1004단계를 반복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recording apparatus records user data in the data area in units of performing verification after recording (step 1001). Next, the data recorded in step 1001 is verified to find a portion where a defect occurs (step 1002). The control unit 2 generates information designating the defect area from the portion where the defect occurs to the data recorded thereafter an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3 as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ep 1003). Steps 1001 to 1004 are repeated until the end of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edicted (step 1005).

사용자 입력 또는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어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종료가 예측되면(1005단계), 기록 장치의 제어부(2)는 메모리부(3)에 저장된 제1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는 제1 임시 결함 정보 영역 TDFL #0에 기록한다(1006단계). 이 때, 제1 임시 결함 정보 영역 TDFL #1에 제1 임시 결함 정보 영역 TDFL #0를 결함 영역으로 지정하는 정보를 더 기록한다(1007단계). 또한, 제1 임시 결함 정보 영역 TDFL #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로서 제1 임시 결함 관리 정보 TDDS #0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1008단계). 파이널라이징이 수행되기 전까지(1009단계), 상기 1001단계 내지 1008단계를 반복한다. 다만, 상기 1001단계 내지 1008단계를 반복할 때마다 임시 결함 정보, 임시 결함 정보 영역, 임시 결함 관리 정보에 부가되는 서수는 1씩 증가시키며 임시 결함 정보로는 이전의 임시 결함 정보가 누적적으로 기록된다(1010단계). 파이널라이징이 수행되면(1009단계), 지금까지 기록된 것들 중 마지막으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TDFL #i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 TDDS #i를 결함 관리 영역 DMA에 최종 결함 정보 DFL 및 최종 결함 관리 정보 DDS로 기록한다(1010단계). 최종 결함 정보 DFL 및 최종 결함 관리 정보 DDS는 DMA에 기록됨에 있어 복수회 반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데이터 검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최종 결함 정보 및 최종 결함 관리 정보에 대해서도 기록 후 검증 과정을 거쳐서 결함이 발생된 경우 결함이 발생된 부분부터 그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는 모두 무시하고(모두 결함 영역으로 지정하고), 결함 영역으로 지정된 이후부터 나머지 최종 결함 정보 및 최종 결함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 recording of the user data according to the user input or the record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end of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edicted (step 1005), the control unit 2 of the recording apparatus reads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 to read the data area. The data is recorded in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TDFL # 0 assigned to step S100 (step 1006). At this time, information specifying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TDFL # 0 as the defect area is further recorded in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TDFL # 1 (step 1007). In addition, the first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 0 is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s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TDFL # 0 (step 1008). Steps 1001 to 1008 are repeated until finalizing is performed (step 1009). However, each time the steps 1001 to 1008 are repeated, the ordinal number added to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increased by one, and the previou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accumulated cumulatively as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ep 1010). When finalizing is performed (step 1009), the last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TDFL #i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TDDS #i are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DMA. Record as (step 1010). The last defect information DFL and the last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DDS can be repeatedly recorded a plurality of times in recording in the DMA. This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detection. Similarly, the final defect information and the final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and verified, and if a defect occurs, all data recorded after the defect is generated after the defect is ignored (all designated as defect areas), and the defect area. 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the remaining final defect information and the last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fter the designation a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write once 디스크에 적용가능한 결함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을 데이터 영역에 배치하여 기록 용량의 제한없이 결함 정보를 누적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파이널라이징시 마지막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만을 읽어들여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방식에 의해 기록 용량의 제한이 있는 결함 관리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write once 디스크의 경우에도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면서 결함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작업 중단없이 보다 안정적인 백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ect management method applicable to a write once disc. By plac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n the data area, defect information can be accumulated cumulatively without limiting the recording capacity.In the finalizing, only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la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s read and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use a defect management area with a limited recording capacity.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write once disk, defect management is performed while recording user data, so that a more stable backup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ruption of work.

특히, TDFL #i에는 대응하는 TDDS #i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가 기록되어 있고, TDDS #i에는 TDFL #i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가 기록되어 있어 대응관계를 크로스 첵크할 수 있다. DDS와 DFL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나아가, TDDS #i 및 DDS에는 결함 관리 모드 정보가 기록되므로 선택적으로 결함 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기록하고자하는 데이터의 특성 등 기록 환경에 대한 적용성 및 응용성이 양호하다.In particular, a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DDS #i is recorded in the TDFL #i, and a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DFL #i is recorded in the TDDS #i so that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can be cross-checked. The same is true for DDS and DFL. Furthermore, since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is recorded in TDDS #i and DDS, defect management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so that the applicability and applicability to a recording environment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data to be recorded are good.

Claims (36)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있어서,In a single recording layer write once disc in which a lead-in area, a data area and a lead-out area are sequentially arranged, 상기 데이터 영역에 마련되어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 및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the data area in which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을 구비하고,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in which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s recorded;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of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OPC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n OPC poin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디스크 사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disk usabilit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결함 관리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nclude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임시 결함 정보는 결함 #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defect #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ncludes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and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드-인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결함 관리 영역을 더 포함하고,And a defect management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lead-in area and the lead-out area. 상기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되는 결함 관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 영역에 마지막으로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include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last recorded in the data area.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OPC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n OPC point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디스크 사용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disk usability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물리적 영역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 user data physical area point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논리적 영역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 user data logical area point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결함 관리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defect management mode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결함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결함 관리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fect information area includes a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결함 정보는 결함 #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defe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defect #n.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ncludes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and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a)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a) recording data in a predetermined unit; (b)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하여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단계;(b) verifying the recorded data to find out where the defect occurred; (c) 결함이 발생된 부분에서부터 그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까지 결함 영역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결함 영역의 시작 위치 및 끝 위치를 임시 결함 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해두는 단계;(c) designating a defect area from a portion where a defect occurs to data recorded thereafter as a defect area, and storing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of the designated defect area in the memory a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d) 상기 결함 영역 이후부터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d) recording data in a predetermined unit after the defect area; (e)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종료가 예측될 때까지 상기 (a)단계 내지 (d)단계를 반복하는 단계;(e) repeating steps (a) to (d) until the end of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edicted; (f) 상기 레코딩 오퍼레이션의 종료가 예측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배치되는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상기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대응하도록 기록하고,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을 지정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f) If the end of the recording operation is predicte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read and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rranged in the data area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ording oper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s stor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Recording information specifying an information area; (g) 상기 (f)단계에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g)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recorded in step (f)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h) 파이널라이징이 수행되기 이전까지 상기 (a)단계 내지 (f)단계를 반복하되, 상기 (f)단계를 수행할 때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는 직전의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h) Repeat steps (a) to (f) until finalizing is performed, and when performing step (f),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nclude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previous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ccumulating and recording; And (i) 파이널라이징시 마지막으로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영역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i) recording the last recorde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and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during finalizing.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g)단계에서 상기 임시 결함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임시 결함 정보는 상기 대응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rea in step (g) include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임시 결함 정보는 결함 #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defect #n.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fect #n includes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and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g)단계에서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in step (g) includes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of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OPC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n OPC pointer.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i)단계에서 상기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되는 결함 정보는 대응하는 결함 관리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결함 관리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defe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in step (i) includes a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of correspond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i)단계에서 상기 결함 관리 영역에 기록되는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in step (i) includes a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position of corresponding defect information.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An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결함 관리 정보는 OPC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관리 방법.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n OPC pointer. 기록 장치에 있어서In the recording device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data on the disk; And 상기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에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결함 정보와 이전에 수행된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결함 정보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제1 임시 결함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임시 결함 정보와, 상기 데이터 영역에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결함 정보를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제2 임시 결함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The recording unit to record defect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according to one recording operation in the data area of the disc and defect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according to a recording operation previously performed in the data area as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unit to record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nd defect information on data recorded in the data area according to a next recording operation in the data area as secon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상기 임시 결함 정보는 결함 #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defect #n.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결함 #n에 관한 정보는 결함 #n의 시작 위치 정보 및 결함 #n의 끝 위 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defect #n includes the star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and the e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fect #n. 제32항에 있어서,33. 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제1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를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제1 임시 결함 관리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를 리드-인 영역, 리드-아웃 영역 및 바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영역에 제2 임시 결함 관리 정보로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부를 제어하고,The recording unit is controlled to record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first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s first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lead-out area, and an outer area. And record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second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as seco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lead-in area, a lead-out area, and an outer area. To control,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가리키는 임시 결함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a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pointer indicating a location of corresponding temporary defect information.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드라이브 정보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 drive information pointer. 제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임시 결함 관리 정보는 OPC 포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an OPC pointer.
KR1020020047514A 2002-08-12 2002-08-12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0667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14A KR100667747B1 (en) 2002-08-12 2002-08-12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TW092121766A TWI294622B (en) 2002-08-12 2003-08-08 Disc with tdds and tdf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EP03784681.3A EP1540654B1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BRPI0313395A BRPI0313395B1 (en) 2002-08-12 2003-08-11 disc for use with a recording and / or playback apparatus and defect management apparatus for data recorded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2007101048559A CN101064156B (en) 2002-08-12 2003-08-11 Method for forming partition on disc and the reproducing apparatus
PCT/KR2003/001610 WO2004015708A1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MYPI20033042A MY135098A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dds and tdf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SG200701062-2A SG145577A1 (en) 2002-08-12 2003-08-11 Method of managing defect in a disc
CA2494148A CA2494148C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CN038189933A CN1675708B (en) 2002-08-12 2003-08-11 Recording method, method of for managing defect in the disc, and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2004527436A JP4540476B2 (en) 2002-08-12 2003-08-11 Disc having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nd defect management area,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PL03375343A PL375343A1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MXPA05001548A MXPA05001548A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CN2007101048563A CN101064157B (en) 2002-08-12 2003-08-11 Method of managing defect and recording apparatus
RU2005103626/28A RU2288513C2 (en) 2002-08-12 2003-08-11 Storage disk with temporary disk descrip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isk fault list (tdfl) and method and system for fault control in this storage disk
AU2003248500A AU2003248500A1 (en) 2002-08-12 2003-08-11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0/638,555 US7379402B2 (en) 2002-08-12 2003-08-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0/638,551 US7400564B2 (en) 2002-08-12 2003-08-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0/638,481 US7423946B2 (en) 2002-08-12 2003-08-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HK08102847.3A HK1116572A1 (en) 2002-08-12 2006-03-11 Method for forming areas on a disc and reproducing apparatus
HK08102846.4A HK1116571A1 (en) 2002-08-12 2006-03-11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US11/430,168 US20060203684A1 (en) 2002-08-12 2006-05-09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1/430,877 US7558174B2 (en) 2002-08-12 2006-05-10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1/432,475 US7646688B2 (en) 2002-08-12 2006-05-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1/432,474 US7746743B2 (en) 2002-08-12 2006-05-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1/432,556 US20060203670A1 (en) 2002-08-12 2006-05-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1/432,469 US20060203638A1 (en) 2002-08-12 2006-05-12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US12/173,282 US7911903B2 (en) 2002-08-12 2008-07-15 Disc with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DS) and temporary defect list (TDFL),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 the same
JP2010091785A JP4712899B2 (en) 2002-08-12 2010-04-12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c provided with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nd a defect management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514A KR100667747B1 (en) 2002-08-12 2002-08-12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424A KR20040015424A (en) 2004-02-19
KR100667747B1 true KR100667747B1 (en) 2007-01-11

Family

ID=3732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514A KR100667747B1 (en) 2002-08-12 2002-08-12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7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788B2 (en) * 2003-01-14 2008-05-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0909042B1 (en) * 2003-02-28 2009-07-22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Write once recording medium, recording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for write once recording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879A1 (en) * 2000-04-05 2001-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879A1 (en) * 2000-04-05 2001-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424A (en)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673B1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KR1006677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and disc thereof
KR1008911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on disc
JP4540476B2 (en) Disc having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a and defect management area,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4986614B2 (en) Method, apparatus and disk for managing disk defects
KR100950526B1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considered compatability with rewritable disc, disc drive and a write once disc thereof
JP4762544B2 (en) Defect management method using updatable defect management area, apparatus and disk thereof
KR100667747B1 (en) Disc with temporary DDS and temporary DF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0900969B1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and disc thereof
KR200400650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MA and temporary FDMA and a disc thereof
KR100677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Drive ? DIsc Information and disc thereof
KR1008966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updatable DMA, and disc thereof
KR100896687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disc
KR100958587B1 (en) Defect management method
KR100900976B1 (en) Recording apparatus performing defect management and disc thereof
KR100888601B1 (en) Disc and defect management apparatus
KR1009360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FL and temporary DDS including recording prevention information, and disc thereof
KR100728044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disc thereof
KR200400650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MA, and a disc thereof
KR200400773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using temporary DMA and temporary FDMA and a disc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