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596B1 -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596B1
KR100666596B1 KR1020040099839A KR20040099839A KR100666596B1 KR 100666596 B1 KR100666596 B1 KR 100666596B1 KR 1020040099839 A KR1020040099839 A KR 1020040099839A KR 20040099839 A KR20040099839 A KR 20040099839A KR 100666596 B1 KR100666596 B1 KR 100666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einforcing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pil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002A (ko
Inventor
문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영산업개발
이수열
문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57611&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665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영산업개발, 이수열, 문근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영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4009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5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원판과 볼트 등의 조임구를 제거함으로써 자제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을 줄임으로써 현장에서의 볼트 조임이나 용접작업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간단하게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으며, 확실한 강결효과로 인한 인발력을 증가시켜 안전한 기초구조물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 ∪ "자형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강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강철근과, 상기 보강철근이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철근끼움공과, 상기 보강철근을 결속하여 지지하는 외부띠철근과,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관통공 및 강관의 상단부에 결속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10)은 상기 강관(20)에 결합되는 부위가 두번 더 굴곡되는 "
Figure 712006002579256-pat00016
"자형의 보강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끼움공(22)은 상기 강관(20)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보강철근(10)의 끼움 결합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에는 상기 보강철근(10)을 결속하여 지지하도록 내부띠철근(32)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굴곡부(16)의 상부에는 상기 강관(2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자형 고정철근(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관말뚝, 보강철근, 내부띠철근, 고정철근

Description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A PILE HEAD REINFORCEMENT OF A STEEL PIP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
도3은 도2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강철근 12: 보강부
13: 내측보강부 14: 외측보강부
16: 굴곡부 18: 상부띠철근
20: 강관 22: 철근끼움공
30: 외부띠철근 32: 내부띠철근
40: 하부원판 42: 관통공
50: 보강부재 52: 걸림부
54: 지지부 60: 고정철근
본 발명은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원판과 볼트 등의 조임구를 제거함으로써 자제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을 줄임으로써 현장에서의 볼트 조임이나 용접작업 등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간단하게 단시간에 시공할 수 있으며, 확실한 강결효과로 인한 인발력을 증가시켜 안전한 기초구조물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는 콘크리트 기초내에 강관말뚝의 두부를 일정 길이만 묻고 부족한 내력은 보강철근으로 보강하여 강관말 뚝의 두부에 작용하는 외력을 지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더 상세히 살펴보면, 강관말뚝의 두부보강구조는 보강철근이 고정되도록 강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강관내부에 삽입되는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원판과 하부원판을 상호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강관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여기에 상기 상부원판과 보강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및 너트가 구비되고, 압입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원판 하부에 보강판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을 " ∪ "자형 또는 " L "자형으로 형성하기도 하고 일단이 굴곡된 낱개의 철근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6366호(2000.12.29, 고안의 명칭: 강관말뚝용 머리보강 장치)를 보면 철근이 나사 결합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구비된 상부원판과, 상기 체결공의 사이 간격에 용접되는 보강부재와, 지지블럭과 +자형 지지간으로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지지블럭의 저면에 용접되는 하부원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강관말뚝용 머리보강 장치는 상부원판 및 지지블럭과 +자형 지지간으로 인해 구성이 복잡하고, 철근의 나사결합과 기타 용접부위가 많아 시공이 곤란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며, 자제비의 부담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072호(2004.08.05, 고안의 명칭: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에 의하면 강관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강 관막음원판과 상기 강관막음원판과 결합되는 강관걸림철근과 상기 강관걸림철근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강관걸림철근고정링으로 구성된 강관내부 고정장치와, 강관의 측벽 둘레에 형성된 체결홈에 고정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띠철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는 상기 강관에 체결/고정되는 철근을 굴곡을 갖는 " ∪ "자형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철근을 띠철근으로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하중을 보강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압입력에 대한 응력을 줄이지는 못하고 있고, 강관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철근을 삽입할 시에 쉽게 삽입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강관에 상기 철근이 결합될 시에 상기 강관의 외측벽과 상기 철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감소시켜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취급 및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시공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자재비의 절감으로 인한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외측보강부를 갖는 보강철근을 사용함으로써 지압면적을 넓혀 압입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지진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굴곡부위를 콘크리트에 매설되게 하여 기초콘크리트와 일체로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강결효과로 인한 인발력을 증가시켜 안전한 기초구조물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는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일측 단부에 " ∪ "자형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강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강철근과, 상기 보강철근이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철근끼움공과, 상기 보강철근을 결속하여 지지하는 외부띠철근과,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관통공 및 강관의 상단부에 결속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10)은 상기 강관(20)에 결합되는 부위가 두번 더 굴곡되는 "
Figure 712006002579256-pat00017
"자형의 보강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끼움공(22)은 상기 강관(20)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보강철근(10)의 끼움 결합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에는 상기 보강철근(10)을 결속하여 지지하도록 내부띠철근(32)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굴곡부(16)의 상부에는 상기 강관(2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자형 고정철근(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분 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이며, 도3은 도2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평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평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는 일측 단부에 " ∪ "자형의 굴곡부(16)가 형성되고 강관(20)의 상부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강관(20)에 결합되는 부위로 두번 더 굴곡되는 "
Figure 712006002579256-pat00003
"자형의 보강부(12)를 갖는 복수개의 보강철근(10)과, 상기 보강철근(10)이 각각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강관(20)의 상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타원형을 갖는 복수개의 철근끼움공(22)과, 상기 보강철근(10)의 외측보강부(14) 바깥쪽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철근(10)을 결속하여 지지하는 외부띠철근(30)과, 상기 강관(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연에 근접되게 복수개의 관통공(42)이 형성된 하부원판(40)과, 양측이 굴곡되어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강관(2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부(52)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관통공(42)에 끼워지도록 지지부(54)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철근(10)은 한쌍의 상기 철근끼움공(22)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 ∪ "자형의 굴곡부(16)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되, 상기 보강철근(10)의 " ∪ "자형 부위를 직각으로 두번 굴곡시켜 측면에서 바라보면 "
Figure 112004056598854-pat00004
"자형이 되도록 보강부(12)를 형성하여 수평부분이 상기 강관(20)의 철근끼움공(22)에 위치되게 끼움/결합하고, 상기 보강부(12)의 굴곡된 부위는 매끄럽게 형성하여 상기 철근끼움공(22)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보강부(12)를 매설되게 하여 인발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격 및 큰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관(20)에 끼움/결합된 복수개의 상기 보강철근(10)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보강철근(10)의 외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호 결속시키는 복수개의 상부띠철근(18)이 구비되어 상기 보강철근(10)을 1차적으로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10)의 외측보강부(14)에는 상기 보강철근(10)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철근끼움공(22)과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외부띠철근(30)이 구비된다.
상기 철근끼움공(22)은 상기 강관(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보강철근(10)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50)는 상기 강관(20)의 상단부에 걸리도록 일측은 " ∩"자형으로 걸림부(52)를 형성하여 상기 강관(20)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고, 타측은 상기 하부원판(40)의 관통공(42)을 통해 저부에 고정되도록 " L "자형으로 지지부 (54)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원판(50)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에는 상기 보강철근(10)을 결속하여 지지하도록 2차적으로 보강하는 내부띠철근(3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는 상기 강관(20)의 직경보다 상부띠철근(18) 및 외부띠철근(30)에 의해 결속된 상기 보강철근(10)의 직경이 커짐으로써 지압면적이 넓어져 압입력에 대한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고, 상기 보강철근(10)의 보강을 위한 상부띠철근(18) 및 내부띠철근(32)이 구비되어 더욱더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는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에 구비되는 내부띠철근(32)을 대신하여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굴곡부(16)의 상부에 상기 강관(2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자형 고정철근(60)을 더 구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는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에 구비되는 내부띠철근(32)과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굴곡부(16)의 상부에 상기 강관(2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자형 고정철근(60)을 같이 구비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제작과정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강관 말뚝 및 보강철근, 보강부재, 하부원판 등을 소정작업장으로 운반한다. 이 경우 운반시 부피가 적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단시간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소정작업장으로 운반된 상기 자재는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먼저 " ∪ "자형을 갖는 상기 보강철근(10)을 "
Figure 112004056598854-pat00005
"자형으로 굴곡시켜 놓은 다음, 상기 강관(2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철근끼움공(22)을 타원형으로 관통시켜 뚫어 놓는다.
상기 하부원판(40)은 상기 보강부재(50)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외주연에 근접되게 복수개의 관통공(42)을 형성시킨다.
상기 보강부재(50)는 일측에 " ∩"자형의 걸림부(52)를 형성하여 상기 강관(20)의 상단부에 걸리게 하고, 타측은 상기 관통공(42)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원판(40)의 저부에 고정되도록 " L "자형의 지지부(54)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50)의 지지부(54)를 상기 하부원판(40)에 관통시켜 고정한 후, 상기 강관(20)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강관(20)의 상단부에 상기 걸림부(52)가 걸리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강철근(10)을 상기 철근끼움공(22)에 끼움/결합시키되, "
Figure 112004056598854-pat00006
"자형 보강부(12)의 수평부분이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보강철근(10)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지압면적을 넓혀 압입력을 분시킬수 있고, 굴곡부위를 콘크리트에 매설되게 하여 기초 콘크리트와 일체로 양생시켜 확실한 강결효과로 인한 인발력을 증가시켜 안전한 기초구조물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강관(20)에 끼움/결합된 복수개의 상기 보강철근(10)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보강철근(10)의 외측에 복수개의 상부띠철근(18)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결속시키고, 상기 보강철근(10)의 외측보강부(14)에 외부띠철근(30)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결속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 상부면에는 고리형상의 내부띠철근(32)을 구비하여 각각의 내측보강부(13)를 연결하여 결속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철근(10)을 상기 강관(20)의 상부에 직접 관통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철근(10)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상부원판과 볼트 및 너트,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여 현장에서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자제비가 절감되며, 용접작업 등의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수를 감소시켜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취급 및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시공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자재비의 절감으로 인한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외측보강부를 갖는 보강철근을 사용함으로써 지압면적을 넓혀 압입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지진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굴곡부위를 콘크리트에 매설되게 하여 기초콘크리트와 일체로 양생되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강결효과로 인한 인발력을 증가시켜 안전한 기초구조물의 시공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일측 단부에 " ∪ "자형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강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보강철근과, 상기 보강철근이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강관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철근끼움공과, 상기 보강철근을 결속하여 지지하는 외부띠철근과, 상기 강관의 내부에 삽입되고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판과, 상기 관통공 및 강관의 상단부에 결속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10)은 상기 강관(20)에 결합되는 부위가 두번 더 굴곡되는 "
    Figure 712006002579256-pat00018
    "자형의 보강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철근끼움공(22)은 상기 강관(20)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보강철근(10)의 끼움 결합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보강철근(10)의 내측보강부(13)에는 상기 보강철근(10)을 결속하여 지지하도록 내부띠철근(32)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강관(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굴곡부(16)의 상부에는 상기 강관(2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자형 고정철근(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1020040099839A 2004-12-01 2004-12-01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10066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839A KR100666596B1 (ko) 2004-12-01 2004-12-01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839A KR100666596B1 (ko) 2004-12-01 2004-12-01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048U Division KR200376608Y1 (ko) 2004-12-01 2004-12-01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02A KR20060061002A (ko) 2006-06-07
KR100666596B1 true KR100666596B1 (ko) 2007-01-10

Family

ID=3715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839A KR100666596B1 (ko) 2004-12-01 2004-12-01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65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강관 복합 두부 보강을 위한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62B1 (ko) * 2010-04-01 2011-09-27 (주)신영토건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장치
CN103835304B (zh) * 2014-02-25 2016-04-27 湘电风能(福建)有限公司 一种高桩承台基础结构
CN103821161B (zh) * 2014-03-17 2015-10-28 太原理工大学 预应力混凝土管桩劲性填芯结构
KR101683616B1 (ko) * 2015-06-15 2016-12-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기초와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초와 강관말뚝의 결합구조
CN105926615A (zh) * 2016-05-10 2016-09-07 温岭市呈隆管桩有限公司 一种改进型变截面空心方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65A (ko)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비비엠코리아 강관 복합 두부 보강을 위한 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02A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KR100838484B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용 철근 결속장치
KR20060006112A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장치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JP4844928B2 (ja) 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666596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101770596B1 (ko) 파일 연결 장치
KR101176030B1 (ko) 강관말뚝 두부 보강구조
KR20190048500A (ko) 볼트 체결식 결합부재를 이용해 연결된 phc 말뚝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복합말뚝
KR200376608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을 위한 연결구조
KR20110044720A (ko) 이경 복합말뚝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1448145B1 (ko) 기둥 일체형 기초
KR200426656Y1 (ko) 강관의 두부 보강장치
KR20150142946A (ko) Lu형으로 3차원 가공된 이형철근을 결합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0455415Y1 (ko)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의 두부 보강조립체
KR102203307B1 (ko)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200414866Y1 (ko) 기초공사용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0657228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 장치
JP3855922B2 (ja) 杭頭接合構造および杭頭接合部の施工方法
KR200249532Y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102474648B1 (ko) 볼트연결철물을 이용한 접합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라멘구조물
KR100661596B1 (ko)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100229166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713

Effective date: 200612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10059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713

Effective date: 200612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02

Effective date: 201107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000025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02

Effective date: 201107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08112;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30000048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22

Effective date: 201201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20000811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22

Effective date: 20120112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01

Effective date: 2012052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30000048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01

Effective date: 201205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0206

Effective date: 201207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500001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20206

Effective date: 201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