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015B1 - 핸드폰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핸드폰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015B1
KR100661015B1 KR1020050074994A KR20050074994A KR100661015B1 KR 100661015 B1 KR100661015 B1 KR 100661015B1 KR 1020050074994 A KR1020050074994 A KR 1020050074994A KR 20050074994 A KR20050074994 A KR 20050074994A KR 100661015 B1 KR100661015 B1 KR 10066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ell phone
decorative
ring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익
Original Assignee
주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 filed Critical 주익
Priority to KR102005007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의 장식 기능과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액세서리에 있어서,핸드폰의 삽입홈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고리부, 장식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장식부, 장식부와 장식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줄 및 핸드폰 줄의 장식부와 장식부의 중심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외주면에 부착면을 복수개 형성한 반지를 포함하되 핸드폰 줄에 구비된 장식부와 상기 반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부착면 내부에는 자석을 구비하여 장식부의 배면과 반지의 외주면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줄의 배면과 반지의 외주면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반지 없이 핸드폰 줄만으로도 장식부와 장식부가 결합하여 손가락 등에 끼울 수 있도록 하여 핸드폰의 장식기능과 핸드폰 분실 방지기능을 하며 핸드폰을 사용할 때 자연스럽게 반지로부터 핸드폰 줄이 떨어졌다가 사용을 마치고 파지를 하면 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며 반지의 부착면 중 1 개와 핸드폰 줄의 6 번 장식부는 똑딱이 단추 형상의 요철을 구비하여 자력과 함께 부착력을 증대하여 핸드폰을 한 손으로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핸드폰 탈락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반지, 핸드폰, 액세서리, 핸드폰 줄, 자석

Description

핸드폰 액세서리{Accessary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손가락걸이형 핸드폰 줄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패션용 액세서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의 배면도 및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의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핸드폰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반지의 제 1 실시예,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핸드폰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반지의 제 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와 반지의 결합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연결고리부 110: 고리
200: 액세서리 부재 300: 장식부
310: 연결부 400: 요철(凹凸)
410: 정면 케이스 420: 배면 케이스
430: 자석 510: 연결 고리
520: 회전 고리 530: 회전 고리 연결핀
540: 회전판 610: 1번 장식부
620: 6 번 장식부 630: 걸림 부재
640: 걸림턱 700: 반지
710: 부착면 720: 회전형 부착면
본 발명은 핸드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패션용 액세서리의 역할을 하는 핸드폰 줄에 복수개의 자석을 구비하고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반지에는 핸드폰 줄의 자석과 결합하기 위한 부착면을 복수개 형성하여 반지와 핸드폰 줄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고, 반지 없이 핸드폰 줄만으로도 복수개의 자석중 2개 이상을 서로 결합하여 손가락에 걸거나 가방의 고리나 벨트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폰에 장착하는 핸드폰 줄의 미적인 기능과 분실 방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핸드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에는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에 루프형 핸드폰 줄의 일단을 끼운 다음 그 끼운 부분에 핸드폰 줄의 나머지 부분을 끼워 당김으로써 핸드폰 줄을 핸드폰에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핸드폰 액세서리는 크게 기능성 액세서리, 패션용 액세서리, 분실 방지용 액세서리 세가지로 나뉜다.
기능성 액세서리에는 핸드폰에 구비된 액정부를 세척할 수 있는 액정 크리너, 주변을 밝히는 기능을 가진 후레쉬, 간단한 메모 또는 서명을 하기 위한 볼펜, 어두운 장소에서 핸드폰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야광링, 치한의 습격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호신용 호루라기 및 소량의 향수를 담을 수 있는 향수병 등이 있다.
패션용 액세서리에는 동물이나 만화캐릭터 등의 인형, 전화번호나 이니셜 또는 그림 등을 표시한 십자수, 큐빅이나 은 또는 금도금을 이용한 보석류 및 각종 모양의 펜던트 등이 있다.
분실 방지용 액세서리는 다시 손가락걸이형, 손목걸이형, 목걸이형 세가지로 분류된다. 손가락걸이형은 핸드폰 줄의 일측은 핸드폰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손가락에 걸 수 있도록 반지형태의 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손목걸이형은 핸드폰 줄의 일측은 핸드폰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손목에 걸 수 있도록 가죽이나 천 등의 재질로 구비되어 있으며, 목걸이형의 일측은 핸드폰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 형태의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가락걸이형 핸드폰 줄의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줄은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니면서 간편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핸드폰의 일측에 핸드폰 줄을 장착하기 위해 형성된 삽입홈에 핸드폰 줄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고리부(10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핸드폰 줄의 타측에 형성된 반지 형상의 고리(110)에 손가락을 걸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핸드폰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놓치더라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핸드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종래의 패션용 액세서리의 평면도이다.
핸드폰에 장착하기 위한 패션용 액세서리의 일반적인 형상으로 일측은 핸드폰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부(10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핸드폰의 미감을 높이기 위한 액세서리 부재(200)를 구비한다. 액세서리 부재는 금, 은, 큐빅,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 또는 십자수, 인형 등으로 구성되며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 색채로 제작하여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핸드폰에 사용하던 핸드폰 줄은 사용자가 핸드폰의 사용시 단순히 손가락에 걸어 파지하도록 되어 있어 미감이 떨어지는 한편, 최근에 핸드폰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핸드폰 사용자가 본인의 핸드폰을 치장하기 위하여 핸드폰에 액세서리를 부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핸드폰 액세서리는 단순히 인형 모양 또는 팬던트 등을 부가하여 외형적인 미감만 중시할 뿐 핸드폰 사용 기능에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션용 액세서리의 역할을 하는 핸드폰 줄에 복수개의 자석을 구비하고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반지에는 핸드폰 줄의 자석과 결합하기 위한 부착면을 복수개 형성하여 반지와 핸드폰 줄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고, 반지 없이 핸드폰 줄만으로도 복수개의 자석중 2개 이상을 서로 결합하여 손가락에 걸거나 가방의 고리나 벨트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핸드폰에 장착하는 핸드폰 줄의 미적인 기능과 분실 방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며 핸드 폰을 사용할 때 자연스럽게 반지로부터 핸드폰 줄이 떨어졌다가 사용을 마치고 파지를 하면 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며 반지의 부착면 중 1 개와 핸드폰 줄의 최후의 장식부는 똑딱이 단추 형상의 요철을 구비하여 자력과 함께 부착력을 증대하여 핸드폰을 한 손으로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핸드폰 탈락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핸드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드폰의 장식 기능과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액세서리에 있어서, 핸드폰의 삽입홈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고리부, 장식 기능을 하는 복수개의 장식부, 장식부의 배면에는 제 1 부착면을 형성하며, 장식부와 장식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줄 및 핸드폰 줄의 장식부와 장식부의 중심간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외주면에 제 2 부착면을 복수개 형성한 반지를 포함하되 핸드폰 줄에 구비된 장식부 및 반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부착면 내부에는 자석을 구비하여 장식부의 제 1 부착면과 반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부착면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는 핸드폰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부(100), 핸드폰 줄의 미감을 표현하며 상호 결합이 가능한 장식부(300), 복수개의 장식부(300)를 연결해주는 연결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식부(300) 정면에는 미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문자 또는 문양을 새겨 넣거나 보석류로 장식한다. 또한 장식부(300) 및 연결부(310)는 부식 방지 및 미적인 효과를 위하여 도금처리를 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에 구비된 장식부(300)의 배면에는 단면적을 넓혀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부착 후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凹凸, 400)을 구비한다. 요철(400)이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이라면 요철(40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며 핸드폰 줄의 미적인 요소를 부각시킴과 동시에 제작하기 용이하도록 원, 하트, 별, 십자(十) 등의 형상이 바람직하다.
장식부(300)는 정면 케이스(410), 배면 케이스(420) 및 자석(430)으로 구성되며 정면 케이스(410)와 배면 케이스(420) 내부 빈 공간에 자석(430)이 삽입되며 정면 케이스(410)와 배면 케이스(420)가 조립되는 형상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의 무게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200 ~ 250 g 정도이며 지름 10 mm 의 자석인 경우에 자력은 300 ~ 400 g의 무게를 들어올리며 수치상으로는 약 3000 G(Gauss)의 자력을 가진다. 핸드폰에 구비된 진동기능을 수행하는 진동모터 내부 자석의 자력 또한 3000 G 정도이며 핸드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미도시)은 차량에 거치하기 위한 핸즈프리, 충전기 등에 구비된 자석에 의한 기능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장 방어기능이 있기 때문에 자석을 구비한 핸드폰 액세서리는 핸드폰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연결부(310)를 확대한 도면으로 연결부는 장식부(300)에 형성된 연결 고리(510), 회전 고리(520) 및 회전 고리 연결핀(5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식부(3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10)는 연결 고리(510)와 회전 고리(520)가 연결되어 전후로 180 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며, 두 개의 회전 고리(520)에 형성된 회전판(540)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에는 두 개의 회전 고리(520)를 연결해 주는 회전 고리 연결핀(530)이 삽입되어 회전 고리(520)가 상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되며 두 개의 회전 고리(520)는 회전 고리 연결핀(530)을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의 실시예이다.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1 번 장식부(610)와 6 번 장식부(620)를 결합한 모습이다. 1 번 장식부(610)에 형성된 배면의 요철이 돌출부라면 6 번 장식부(620)의 배면에는 홈을 형성하고 반대로 1 번 장식부(610)의 배면이 홈을 형성한 부분이라면 6 번 장식부(620)의 배면에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1 번 장식부(610)와 6 번 장식부(620) 둘 중 하나는 자석을 구비하며, 둘 다 자석일 경우 배면 의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여 부착하는 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결합하는 요철의 홈 내부에는 핀 또는 판 스프링 형상의 걸림 부재(630)를 구비하고, 요철의 돌출부 외주면에는 요철의 홈 내부에 형성된 걸림 부재(630)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걸림턱(640)을 형성하여 똑딱이 단추 형상으로 탈부착되도록 하여 자석의 자력에 의한 부착력을 보조하도록 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핸드폰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반지의 제 1 실시예이다.
반지(700)의 외주면에는 부착면(710)을 형성하는데 부착면(710) 중심 간의 거리는 핸드폰 액세서리에 구비된 장식부(300)와 장식부(300)의 중심거리와 동일하도록 하여 핸드폰 액세서리가 반지(7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부착면(710)에 부착되도록 한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핸드폰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반지의 제 2 실시예이다.
반지(7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부착면(710)에 핸드폰 액세서리를 탈부착하기 용이하고, 반지(700)를 손가락에 끼우고 반지(700)에 핸드폰 줄을 부착한 상태에서 핸드폰을 사용할 때 핸드폰은 손 안에서 움직이게 되고 핸드폰이 움직임에 따라 핸드폰 줄의 연결고리부(100)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반지를 회전 묵주 반지와 유사한 형태로 부착면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형 부착면(720)을 구비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액세서리와 반지의 결합도면이다.
반지(700)의 부착면(710)은 모두 자석(430)을 구비한 홈을 형성하고 5개의 부착면(710)을 구비하도록 하며, 핸드폰 액세서리의 1 번 장식부(300)만 자석(430)을 구비하고 장식부(300)는 1번 장식부(610)를 포함하여 장식부(300)를 총 5 개 구비하며 반지(700)의 외주면은 모두 N 극으로 통일하여 구비할 경우 핸드폰 액세서리의 1 번 장식부(610)의 배면 쪽은 S극이 되도록 하며, 핸드폰 액세서리의 배면은 모두 홈을 형성하여 반지의 부착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핸드폰 줄만으로 도 6과 같이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결합이 가능함과 동시에 도 8과 같이 반지와 핸드폰 줄의 결합 가능하다면 핸드폰 액세서리에 구비된 장식부(610)의 자석(430) 배열, 장식부의 개수 및 배면의 요철 형상과, 반지(700)에 형성된 부착면(710)의 요철 형상, 자석(430)의 배열, 개수 및 순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반지의 부착면은 홈 형태의 요철을 구비하고 핸드폰 액세서리의 6 번 장식부의 배면은 돌출형 요철을 형성하며 핸드폰의 탈락 방지를 위해 똑딱이 단추 형상으로 하고 핸드폰 액세서리의 6 번 부착면과 결합하는 반지의 부착면을 제외한 다른 부착면은 착용감 및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요철이 없는 평면이거나 요철을 형성하더라도 홈 형상으로 구비하며 반지의 외주면에는 자석을 구비하며 핸드폰 액세서리의 배면은 자석에 부착 가능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지를 손가락에 끼우고 핸드폰 액세서리를 반지의 외주면에 부착하고 핸드폰을 파지하고 휴대를 하다가 핸드폰의 폴더나 플립을 개방하고 사용하려면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방향에 위치한 핸드폰의 윗부분을 검지와 중지 손가락 방향 으로 약 30도 회전하게 되고 사용을 마치고 파지상태로 돌아갈 때는 반대로 검지와 중지 손가락 방향을 향하던 핸드폰의 윗부분이 엄지 손가락 방향으로 약 30도 회전한다. 이와 같이 사용시에 핸드폰이 이동함에 따라 핸드폰 액세서리와 반지의 유동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사용시에 핸드폰 액세서리와 반지가 자연스럽게 탈부착되도록 한다. 핸드폰 액세서리의 1 번 장식부 배면은 6 번 장식부의 배면과 결합이 가능하면서 반지의 부착면과 부착된 상태에 있다가 사용시 좌우로 이동하고 핸드폰의 이동량이 크면 떨어졌다가 사용을 마치고 다시 파지하면 떨어졌던 핸드폰 액세서리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요철을 구비하며 2 번 장식부와 2 번 장식부와 결합하는 반지의 부착면은 평면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줄의 장식부 일면에는 미감을 위한 도안 또는 보석류를 구비하고 배면에는 요철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자 석을 구비하며, 반지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있는 부착면을 형성하고 부착면의 주변에는 도안 또는 보석류를 구비하고 반지의 외주면에는 자석을 구비하여 핸드폰 줄의 배면과 반지의 외주면이 서로 자석의 자력에 의해 결합이 가능하며 반지 없이 핸드폰 줄만으로도 장식부와 장식부가 결합하여 손가락 등에 끼울 수 있도록 하여 핸드폰의 장식기능과 핸드폰 분실 방지기능을 하며 핸드폰을 사용할 때 자연스럽게 반지로부터 핸드폰 줄이 떨어졌다가 사용을 마치고 파지를 하면 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며 반지의 부착면 중 1 개와 핸드폰 줄의 6 번 장식부는 똑딱이 단추 형상의 요철을 구비하여 자력과 함께 부착력을 증대하여 핸드폰을 한 손으로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핸드폰 탈락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핸드폰의 장식 기능과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용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를 상기 핸드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부, 상기 연결고리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장식부 및 상기 복수의 장식부 각각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핸드폰 줄; 및
    상기 각각의 장식부와 결합되기 위한 부착면을 외주면 상에 복수개 구비한 반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와 상기 부착면은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와 상기 부착면에는 서로 밀착 결합하기 위한 요철(凹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형상은 원, 하트, 십자, 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정면에는 도안이 새겨지거나 보석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부착면 주위에는 도안이 새겨지거나 보석류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지의 외주면에 일정한 폭을 가진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링 형태의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상기 부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는, 상기 장식부와 상기 부착면이 결합 후 이탈 방지를 위한 요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폐루프 형태의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줄의 인장강도는 8 kgf/c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2. 제 3 항, 제 4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홈 내부에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요철의 돌출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 부재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핀 또는 판 형상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줄의 상기 장식부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고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회전 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 고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 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연결 고리와 회전 고리는 결합하여 전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액세서리.
  17. 핸드폰의 장식 기능과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에 부착되는 핸드폰 줄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줄을 상기 핸드폰의 삽입홈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부;
    상기 연결고리부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장식부; 및
    복수개의 연결부재가 조립되어 상기 복수의 장식부 각각을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식부는 상기 장식부 간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최초의 장식부와 최후의 장식부가 결합되는 경우 고리를 형성하도록 된 핸드폰 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 간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상기 장식부 내부에 자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 후 이탈 방지를 위한 요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형상은 원, 하트, 십자, 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 간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상기 장식부에 요철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의 홈 내부에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요철의 돌출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 부재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핀 또는 판 형상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 간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상기 장식부 내부에 자석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장식부에 요철을 구비하고 상기 요철의 홈 내부에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요철의 돌출부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 부재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자석의 자력과 상기 요철의 걸림 부재 및 걸림턱에 의한 결합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줄.
KR1020050074994A 2005-08-16 2005-08-16 핸드폰 액세서리 KR100661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994A KR100661015B1 (ko) 2005-08-16 2005-08-16 핸드폰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994A KR100661015B1 (ko) 2005-08-16 2005-08-16 핸드폰 액세서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614U Division KR200401472Y1 (ko) 2005-08-16 2005-08-16 핸드폰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015B1 true KR100661015B1 (ko) 2006-12-22

Family

ID=3781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994A KR100661015B1 (ko) 2005-08-16 2005-08-16 핸드폰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0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392Y1 (ko) 2002-04-25 2002-07-22 박인수 기능성 핸드폰 걸게
KR200326452Y1 (ko) 2003-06-13 2003-09-13 (주)태현 통상 펜던트 및 반지 겸용 휴대폰 손잡이줄
KR20040006373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392Y1 (ko) 2002-04-25 2002-07-22 박인수 기능성 핸드폰 걸게
KR20040006373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
KR200326452Y1 (ko) 2003-06-13 2003-09-13 (주)태현 통상 펜던트 및 반지 겸용 휴대폰 손잡이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6720A1 (en) Universal wrist worn holder for cellular phones
US20090096982A1 (en) Interchangeable Charm System for Glasses
US8015673B2 (en) Bolo style clasp with multi-purpose clip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US20120118923A1 (en) Vision hooks
US10342315B2 (en) Enhanced lipstick tubes
WO2013188747A1 (en) System and article for displaying removable decorative articles on back pack straps.
US20140220893A1 (en) Bluetooth receiv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0401472Y1 (ko) 핸드폰 액세서리
KR100661015B1 (ko) 핸드폰 액세서리
KR20220077752A (ko)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핸드폰 액세서리
JP3228989U (ja) 装身具用チェーン連結具
KR100738667B1 (ko) 핸드폰 액세서리
EP2785073A1 (en) Bluetooth listening device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0304455Y1 (ko) 핸드폰의 의류부착구조
CN209788697U (zh) 表带单元及手表
JP3167774U (ja) 携帯機器用ケース
JP3141848U (ja) 装飾カバー
KR200366456Y1 (ko) 고리가 부착된 휴대폰케이스
KR200201849Y1 (ko) 휴대폰용 목걸이줄용 결착구
JP3239328U (ja) キーホルダー
KR200320982Y1 (ko) 투명 휴대폰 케이스
CN218570274U (zh) 一种多用途手机壳
JP3088496U (ja) 携帯電話機の装飾用グッズ
JP3068324U (ja) 携帯電話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