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960B1 -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960B1
KR100657960B1 KR1020050041285A KR20050041285A KR100657960B1 KR 100657960 B1 KR100657960 B1 KR 100657960B1 KR 1020050041285 A KR1020050041285 A KR 1020050041285A KR 20050041285 A KR20050041285 A KR 20050041285A KR 100657960 B1 KR100657960 B1 KR 10065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torage medium
suppl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870A (ko
Inventor
이재용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960B1/ko
Priority to CNB2006100818646A priority patent/CN100533826C/zh
Priority to JP2006138242A priority patent/JP4493624B2/ja
Priority to US11/434,718 priority patent/US8278006B2/en
Publication of KR2006011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18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liquid-charged or electrolyte-charged react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셀 팩과, 이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홀이 형성된 연료 탱크와, 상기 셀 팩에 연결된 연료 혼합부와, 상기 연료 탱크에 내재되어 있고 일부가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와, 일단은 상기 연료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동작시에만 상기 연료저장매체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과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Fuel cell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이 동작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3-3'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뒷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2 캐필러리 수단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을 8-8'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연료 공급로가 차단막으로 피복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연료 탱크와 나머지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연료 탱크의 변형예를 나타 낸 단면도들이다.
도 16은 도 15의 연료 탱크에 포함된 윅 플레이트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통신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상부 패널의 뒷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하부 패널의 앞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하부 패널의 뒷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모바일 통신기기에 구비된 연료 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을 22-22'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7의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배터리가 하부 패널과 이에 고정된 연료 탱크사이로 삽입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7을 24-24'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동작 상태에 있는 도 17의 모바일 통신기기를 24-24'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17에 도시한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연료 공급로가 하부 패널과 연료 탱크사이로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들로써, 도 26은 모바일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27은 동작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 다.
도 28 및 도 29는 도 17에 도시한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연료 공급로가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사이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들로써, 도 28은 모바일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29는 동작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도 28 및 도 29에서 하부 패널의 버튼 영역의 표면이 주변 영역의 표면보다 낮은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실물 사진이다.
도 34 및 도 35는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스윙 타입의 통신기기에 관한 도면들로써, 도 34는 통신기기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35는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스윙 타입 휴대폰의 한 종류에 대한 실물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50:셀 팩 20, 160:연료 혼합부
22, 24: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 30, 170:연료공급로
30a:연료 공급로 끝 부분(연료저장매체 접촉부분)
33:차단막 40, 84, 140:연료 탱크
42, 86:연료저장매체
42a, 86a: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의 일부
44:다공성 매질 46:연료
48:윅 플레이트 48a:윅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48b:플래너 윅(planar wick) 60, 300:상부 패널
62:스크린 영역 64, 72: 제1 및 제2 버튼 영역
70:하부 패널 72a:메인 키
66a, 66b, 74a, 74b:가이드 레일 77:안테나
80:전원부 90:프레임(frame)
100: 상부 패널 110:하부 패널
120:배터리 130:회전축
200:연료 전달매체 210:연료 주입구 셔터
300a: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셀 팩 내장 위치
310:배터리
G:홈 h, h1, h2, h3, h4:홀
S:스페이스 60a:관통홀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연료 전지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 하게는 연료 전지 시스템과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2. 관련기술의 설명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그 사용자가 증가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통신기기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자연히 무게는 가볍고 사이즈는 작고 용량은 큰 배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량이면서 충전 주기가 긴 2차 전지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차 전지들의 충전 주기는 대부분이 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동작 시간, 특히 통화 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현재까지 소개된 2차 전지들의 충전 주기는 그리 길지 못하다. 또한, 모바일 통신기기에 부가된 기능,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기능, 영상 촬영 기능, 휴대 메모리 기능과 조만간 추가될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의 수신 기능을 활용하자면, 현재 소개된 2차 전지들의 충전 주기는 더욱 짧아진다.
이에 따라 발전 효율과 종합 효율이 현재까지 소개된 2차 전지들보다 우수한 연료 전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직 연료 전지를 모바일 통신기기에 적용한 예는 많지 않으나 PDA 폰이나 노트북 등에 종종 적용되고 있다.
연료 전지(Fuel Cell)란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기화학 장치를 말한다. 기본 원리는 석유나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개질((改質)하여 얻은 수소나 순수한 수소를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전기에너지가 발생되고, 열과 수증기(물)가 부산물로 얻어진다.
연료 전지는 외부에서 연료가 주어지는 한 계속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2 차 전지와 구분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연료 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PAFC, Phosphoric Acid Fuel Cell), 용융탄산염형(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 고체산화물형(SOFC, Solid Oxide Fuel Cell), 고체고분자형(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등 크게 네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방식 중 기술 검증이 끝나 상업화 단계에 있는 연료 전지는 인산형이 유일하며, 나머지는 아직 실증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밖에 연료개질(수소 추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메탄올로부터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DMFC), 금속 수소화물을 이용한 연료 전지 등 다양한 방식의 연료 전지가 개발 중에 있다.
현재까지 소개된 모바일 통신기기용 연료 전지의 경우, 셀 폰의 뒷면을 통해서 음극측에 산소를 공급하고 있는데, 실제 사용시 셀 폰의 뒷면은 사용자의 손으로 덮이게 된다. 따라서 셀 폰 사용중에 산소 공급이 어려울 수 있고, 셀 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신속히 제거하기 어려우며, 발생되는 이산화 탄소(CO2)의 신속한 방출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가 양극과 직접 붙어있어 장착시 후단부의 두께가 두껍다. 아울러 상기 연료 탱크는 셀 팩(cell pack)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연료 탱크의 교체 혹은 연료의 주입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를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고, 가스(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용이하고, 두께와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연료 탱크의 교체 혹은 연료의 주입이 용이한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모바일(mobile) 통신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 팩과, 상기 셀 팩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홀이 형성된 연료 탱크와, 상기 셀 팩에 연결된 연료 혼합부와, 상기 연료 탱크에 내재되어 있고 일부가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와, 일단은 상기 연료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동작시에만 상기 연료저장매체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 혼합부는 상기 셀 팩의 양극층에 연결된 제1 캐필러리 수단 및 상기 셀 팩의 상기 음극층에 연결된 제2 캐필러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은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은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 공급로는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 탱크의 일부는 상기 연료저장매체로 채워져 있고, 상기 연료 탱크의 나머지는 연료로 채워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로 채워져 있고,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상기 홀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련된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에 체결되어 있고, 데이터 입출력과 검색을 위한 키(key)가 구비된 하부 패널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전원부와, 구성 요소들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전원부에 산재되어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모바일 통신기기에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기기 동작시에 노출되는 상기 상부 패널의 소정 영역에 내재된 적어도 양극층, 음극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셀 팩과, 상기 전원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장착 대상을 향하는 면에 홀이 형성된 연료 탱크와, 상기 셀 팩에 연결된 연료 혼합부와, 상기 연료 탱크에 내재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와, 일단은 상기 연료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동작시에만 상기 연료저장매체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탱크의 일부는 상기 연료저장매체로 채워져 있고, 나머지는 연료로 채워져 있다.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는 연료로 채워져 있고,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상기 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료 혼합부의 구성과 각 구성의 특성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제공한 것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료 공급로의 상기 연료저장매체와 접촉 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상부 패널에 내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패널에 상기 연료 공급로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전원부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 공급로의 상기 연료저장매체와 접촉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하부 패널의 뒷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탄력을 갖는 프레임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패널의 뒷면에 상기 연료 공급로의 이동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홈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상부 패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탄력을 갖는 프레임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패널의 상기 키가 구비된 영역의 표면은 주변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에 배터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은 슬라이딩 또는 회전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연료 전지가 사용된 모바일 통신기기의 두께를 2차 전지를 사용할 때와 대등한 두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셀 팩이 모바일 통신기기의 사용되지 않는 유휴 영역, 곧 사용자의 손 등으로 덮여지지 않고 대기와 넓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내장되고, 이 부분에 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의 공급과 이산화 탄소의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고, 동작 중에 발생되는 열도 신속히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 전지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연료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 전지는 전기가 발생되는 셀 팩(10), 셀 팩(10)에 공급될 연료, 예를 들면 메탄올이 저장된 연료 탱크(40), 연료 탱크(4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와 물이 혼합되는 영역인 연료 혼합부(20), 연료 탱크(40)의 연료를 연료 혼합부(20)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로(30)를 포함한다. 연료 혼합부(20)는 셀 팩(10)의 양극판(12)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캐필러리 수단(22)을 포함한다. 제1 캐필러리 수단(22)은 윅 구조체, 예컨대 박막의 윅 플레이트(wick plate)일 수 있고, 다공성 매질일 수도 있다. 연료 공급로(30)의 일단은 제1 캐필러리 수단(22)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연료 공급로(30)는 모세관력을 이용해서 연료 탱크(40)로부터 연료 혼합부(20)로 연료를 이송한다. 따라서 연료 공급로(30) 역시 윅 구조체 혹은 다공성 매질일 수 있고, 따라서 연료 공급로(30)와 제1 캐필러리 수단(22)은 단일체 윅 플레이트일 수 있다. 참조번호 42는 연료 탱크(40) 안에 있는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저장매체를 나타낸다.
도 1의 측면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연료 공급로(30)는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료 혼합부(20)는 제1 캐필러리 수단(22)과 제1 캐필러리 수단(22) 아래에 구비된 제2 캐필러리 수단(24)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캐필러리 수단(24)은 셀 팩(10)의 음극층(14)에서 발생된 물을 제1 캐필 러리 수단(22)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캐필러리 수단(24)은 제1 캐필러리 수단(22)과 마찬가지로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윅 구조체, 예컨대 윅 플레이트일 수 있고, 다공성 매질일 수도 있다. 도 2에서 제2 캐필러리 수단(24)은 직각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시의 편의 상 그렇게 한 것이며, 유연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셀 팩(10)의 음극층(14)과 양극층(12)사이에 구비된 중간층(16)은 촉매층과 전해질층을 포함한다. 셀 팩(10)은 음극층(14), 양극층(12) 및 중간층(16)으로 구성된 단위 셀이 다수 포함되어 있지만, 도시의 편의 상 단위 셀만 도시하였다.
도 1을 3-3'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 3을 참조하면, 연료 공급로(30)와 연료 탱크(40)의 홀(h)을 통해 노출된 연료저장매체(42)가 접촉된 것을 볼 수 있다. 연료저장매체(42)는 연료, 예를 들면 메탄올을 함유하는 다공성 매질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연료 전지 시스템의 밑면을 보여준다. 도 1과 도 4를 비교하면, 연료 혼합부(20)의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22, 24)은 같은 너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22, 24)의 너비는 달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22, 24)의 연료 공급로(30)와 접촉되는 쪽의 너비가 연료 공급로(30)의 너비보다 훨씬 넓게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22, 24)은 연료 공급로(30)와 접촉되는 쪽의 너비가 연료 공급로(30)의 너비와 같을 수 있도록 연료 공급로(30)를 향해 점차 너비가 좁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셀 팩(10)과 접촉되는 부분의 너비와 연료 공급로(30)와 접촉되는 부분의 너비의 다른 연료 혼합부(20)가 구비된 연료 전지 시스템을 보여준다. 24a는 연료 혼합부(20)와 동일한 너비 구조를 갖는 변형된 제2 캐필러리 수단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료 공급로(30)와 연결되는 제1 캐필러리 수단(22) 역시 연료 혼합부(20)와 동일한 너비 구조를 갖는 변형된 구조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의 정면을 보여준다. 연료 전지 시스템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는 셀 팩(10), 연료 혼합부(20) 및 연료 공급로(30) 전체를 아래로 내린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혼합부(20)와 연료 탱크(40)의 거리는 좁아지고, 연료 공급로(30)의 하단은 연료 전지 시스템이 동작 상태에 있을 때보다 연료 탱크(40)의 하단에 훨씬 가까워진다.
도 7은 도 6의 측면을 보여주고, 도 8은 도 6을 8-8'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연료 공급로(30)가 연료 탱크(40)의 표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짐에 따라 연료 공급로(30)의 하단은 연료 탱크(40)의 홀(h)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연료 공급로(30)와 홀(h)은 이격된 상태가 되어 연료 탱크(40)로부터 연료 공급로(30)로 더 이상 연료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연료 공급로(30)가 상향으로 비스듬한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한편, 연료 공급로(30)의 연료저장매체(42)와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막(33)으로 피복된 경우, 연료 공급로(30)는 비스듬하게 휘어진 구조가 아니라 수평으로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대기 상태에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의 밑면을 보여준다.
도 11은 도 1의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연료 공급로(30)와 연료 탱크(40)가 분리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료 탱크(40)에 형성된 홀(h)을 명확히 볼 수 있다. 참조번호 42a는 홀(h)을 통해서 노출되는 연료 탱크(40)에 내재된 연료저장매체(42)의 일부를 나타낸다. 연료 전지 시스템이 동작 상태에 있을 때, 홀(h)을 통해서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42)의 일부(42a)는 연료 공급로(30)와 접촉된다.
한편, 연료 탱크(40)는 도 8이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저장매체(42)로 완전히 채울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이에 대한 여러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연료저장매체(4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공성 매질(44)로 대체될 수 있다. 다공성 매질(44)은 중간 부분이 휘어져 있고 한쪽은 연료 탱크(40)의 바닥에 다른 한쪽은 연료 탱크(40)의 천장에 닿아있다. 다공성 매질(44)의 두께는 연료저장매체(42)의 두께보다 얇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연료저장매체(42)는 연료 탱크(40)의 일부만 채우고 연료 탱크(40)의 나머지는 연료(46), 예를 들면 메탄올로 채울 수 있다. 이때, 연료저장매체(42)는 연료 탱크(40)의 홀(h)을 포함하는 일부를 채우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46)는 연료저장매체(42)로 유입된다.
또한, 도 13의 경우에서 연료(46)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40) 내부 전체를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연료저장매체(42)는 홀(h)에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4의 경우에 연료저장매체(42)는 연료(46)가 통과하는 채널 역할을 한다.
또한, 연료저장매체(42)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40)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채우는, 복수의 윅 플레이트(48)가 적층된 구조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윅 플레이트(48)로 채워지지 않은 연료 탱크(40) 내부는 연료(46)로 채워져 있다. 복수의 윅 플레이트(48)의 연료(46)와 접촉되는 부분은 떨어져 있으나, 반대쪽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5에는 편의 상 연료 탱크(40) 내에 세 개의 윅 플레이트(48)가 적층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수의 윅 플레이트(4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윅 플레이트(48)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6을 참조하면, 윅 플레이트(48)에 복수의 긴 홀(48a)이 형성되어 있다. 홀(48a)과 홀(48a)사이에 플래너 윅(planar wick)(48b)이 존재한다. 플래너 윅(48b) 아래에 모세관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연료(46)는 플래너 윅(48b)아래를 통해 흐르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 구비된 모바일 통신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통신기기(이하, 본 발명의 통신기기)의 일예로써,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폰을 보여준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기기는 상부 패널(60), 하부 패널(70), 연료 탱크를 포함하는 전원부(80), 상부 패널(60)에 내재된 셀 팩(10)을 포함한다. 상부 패널(60)은 앞면에 문자, 이미지, 동영상 등이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62)이 마련되어 있고, 스크린 영역(62) 아래쪽에 제1 버튼 영역(64)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버튼 영역(64)에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일 때, 스크린 영역(62)에 표시되는 정보의 확인 검색 등에 사용되는 키(key) 들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 패널(70)의 앞면 하부에 제2 버튼 영역(7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앞면 상부에 상부 패널(60)의 슬라이딩을 위한 가이드 레일(74a)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 패널(70)의 제2 버튼 영역(72)에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의 동작시에 사용되는 메인 키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18은 상부 패널(60)의 뒷면, 곧 하부 패널(70)의 앞면과 마주하는 면을 보여준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부 패널(60)의 뒷면에는 두개의 가이드 레일(66a, 66b)이 주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66a, 66b)은 하부 패널(70)의 앞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74a, 74b, 도 19 참조)과 접촉된다. 셀 팩(10)은 가이드 레일(66a, 66b)사이의 상부 패널(60)에 내재되어 있다. 가이드 레인(74a, 74)사이의 상부 패널(60) 뒷면에 셀 팩(10)이 노출되는 관통홀(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60a)은 공기의 유입 통로이면서 통신기기의 동작시 셀 팩(1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이고, 열이 방출되는 통로이기도 하다. 상부 패널(60)에는 또한 셀 팩(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 캐필러리 수단(24)과 제2 캐필러리 수단(24)의 하단에 연결된 연료 공급로(30)도 내재되어 있다. 다만,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은 상부 패널(60)의 뒷면에 형성된 홀(h1)을 통해 노출되어 있다. 홀(h1)은 연료 공급로(30)와 상부 패널(60)의 뒷면사이에 형성된다. 연료 공급로(30)의 상기 노출된 끝 부분(32a)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동작 상태에 있을 대, 전원 부(80)의 연료 탱크내에 내재된 연료저장매체와 접촉된다. 셀 팩(10), 제2 캐필러리 수단(24), 연료 공급로(30) 등은 상술한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9는 뒷면에 전원부(80)가 부착된 하부 패널(70)의 앞면을 보여준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 버튼 영역(72)에 복수의 메인 키(72a)가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부 패널(60)의 두 가이드 레일(66a, 66b)에 각각 대응되는 두 가이드 레일(74a, 74b)을 볼 수 있다. 또한, 제2 버튼 영역(72) 위쪽에 홀(h2)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홀(h2)을 통해 노출된 부분(86a)은 전원부(80)에 포함된 연료저장매체의 일부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참조번호 77은 안테나를 나타낸다. 안테나는 내장될 수 있다.
도 20은 전원부(80)가 제거된 하부 패널(70)의 뒷면을 보여준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원부(80)에 포함된 연료저장매체의 일부가 노출되는 홀(h2)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참조번호 78은 전원부(80)가 부착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21은 전원부(80)의 앞면, 곧 하부 패널(70)에 부착되는 면을 보여준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원부(80)는 2차 전지인 배터리(82)와 연료 탱크(84)를 포함한다. 연료 탱크(84)에 홀(h)이 형성되어 있다. 홀(h)은 배터리(82)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연료 탱크(84)에 형성된 홀(h)은 전원부(80)가 하부 패널(70)에 장착될 때, 하부 패널(70)에 형성된 홀(h2)과 정확히 매칭된다. 배터리(82)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사용되는 전원이다. 셀 팩(10)과 연료 탱크(84) 등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의 동작 중 많은 전력이 요구되는 시간, 예컨대 사용자가 통화 중일 때 배터리(82)를 지원하는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동작 전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2는 도 21의 전원부(80)를 22-22'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원부(80)는 연료 탱크(84)와 배터리(82)가 적층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곧, 연료 탱크(84)는 홀(h)이 형성된 부분이 위로 돌출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평평하다. 배터리(82)는 연료 탱크(84)의 상기 평평한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연료 탱크(84)가 1회용이 아닌 충전용인 경우, 전원부(80)의 연료 탱크(84)는 하부 패널(70)과 일체가 되도록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배터리(82)는 하부 패널(70)과 이러한 연료 탱크(84)사이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3은 이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반대로 배터리(82)가 하부 패널(70)에 일체로 영구 고착되고, 연료 탱크(84)는 탈착되게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4는 도 17을 24-24'방향으로 절개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술한 연료 전지 시스템 중에서 연료 탱크(84)를 제외한 모든 요소들, 곧 셀 팩(10), 연료 혼합부(20), 연료 공급로(30) 등이 상부 패널(60)에 내재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연료 공급로(30)의 노출된 끝 부분(30a)은 노출되어 하부 패널(70)에 접촉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단면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의 단면은 도 25에서 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동작 중일 때, 연료 공급로(30)의 노출된 끝 부분(30a)은 하부 패널(70)에 형성된 홀(h2)을 덮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84) 내의 연료저장매체(86)에 저장된 연료는 홀(h2)을 통해서 연료 공급로(30)로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홀(h2)의 깊이로 인해 연료저장매체(86)와 연료 공급로(30)의 노출된 끝부분(30a)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하부 패널(70)의 두께는 얇고, 홀(h1)의 직경에 비해 홀(h1)의 깊이는 훨씬 작기 때문에, 연료저장매체(86)와 연료 공급로(30)의 끝부분(30a)의 접촉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상술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도 26 및 도 28은 그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하부 패널(70)에 홀(h3)이 형성되어 있다. 홀(h3)은 하부 패널(70)의 전원부(80)가 장착되는 영역으로 확장되어 있다. 연료 공급로(30)는 홀(h3)을 통해서 하부 패널(70)의 뒷면으로, 곧 전원부(80)가 장착되는 면으로 구비되어 있다.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은 연료 공급로(30)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대기시에 연료 공급로(30)와 연료 탱크(84)내의 연료저장매체(86)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시에만 연료 공급로(30)와 연료저장매체(86)가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 공급로(30)가 연료저장매체(86)와 접촉되는 부분(30a)을 제외하고 차단제로 피복되어 있다면, 연료 공급로(30)의 연료저장매체(86)와 접촉되는 부분(30a)을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두껍게 만들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28은 연료 공급로(30)가 상부 패널(60)과 하부 패널(70)사이에 구비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28부터 편의 상 설명에 직접 언급되는 부분만 도시하고 나머지 부분은 이전의 설명과 도면에서 충분히 알 수 있는 것인 바, 도시를 생략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부 패널(60)의 뒷면에 소정 깊이의 홈(G)이 형성되어 있다. 홈(G)의 길이는 연료 공급로(30)의 길이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연료 공급로(30)는 상기 홈(G)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연료저장매체(86)와 접촉되는 끝 부분(30a)을 포함한 연료 공급로(30) 전체는 상부 패널(60)과 하부 패널(70)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연료 공급로(30)의 연료저장매체(86)와 접촉되는 끝 부분(30a)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곧 연료 혼합부(20)의 제1 캐필러리 수단(12)과 상기 끝 부분(30a)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은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료 공급로(30)가 윅 플레이트인 경우에는 윅 플레이트 그 자체로서 상기 비스듬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연료 공급로(30)가 유연성이 큰 다공성 물질인 경우에는 상기 비스듬한 형태를 유지하고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과 연료저장매체(86)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연료 공급로(30)를 연료 공급로(30)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어느 정도의 탄력성을 갖는 프레임(9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90)의 일단은 상부 패널(60)의 뒷면에 고정된다. 연료 공급로(30)가 상향 비스듬한 관계로 대기 상태에서 연료 공급로(30)와 연료저장매체(86)는 접촉되지 않는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가 동작 상태일 때의 상부 및 하부 패널(60, 70)의 상대적 위치를 보여준다. 도 29를 참조하면,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이 하부 패널(70)에 형성된 홀(h2)을 덮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도 28에 도시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에서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과 하부 패널(70)의 제2 버튼 영역(72)사이에 스페이스(S)를 만들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버튼 영역(72)의 표면을 주변의 표면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버튼 영역(72)과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사이에 스페이스(S)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제2 버튼 영역(72)이 오염될 소지는 없으나, 제2 버튼 영역(72)과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사이에 약간의 스페이스(S)를 둠으로써, 제2 버튼 영역(72)의 오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제2 버튼 영역(72)과 연료 공급로(30)의 끝 부분(30a)사이에 스페이스(S)가 존재하는 통신기기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 상부 및 하부 패널(60, 70)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준다.
한편, 본 발명자는 연료 혼합부(20)에서 연료 공급로(30)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와 음극층(14)에 연결된 제2 캐필러리 수단(2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혼합되는 과정에서 연료가 제2 캐필러리 수단(24)을 통해 음극층(14)으로의 확산되는 것을 염려하였으나, 실험 결과 그와 같은 확산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료 공급로로써 천을 이용하고 순수 메탄올과 물을 이용한 상기 실험에서 순수 메탄올과 물은 혼합 영역에서 혼합된 이후 모두 같은 방향으로 확산되었는데, 이 방향은 상기 순수 메탄올이 공급되는 방향도 상기 물이 공급되는 방향도 아니었다. 또한, 상기 순수 메탄올이 공급되는 경로의 폭과 상기 물이 공급되는 경로의 폭을 조절할 경우 상기 혼합 영역에서 상기 순수 메탄올과 상기 물의 혼합율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상기 순수 메탄올이 공급되는 경로는 상술한 연료 전지 시스템 혹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의 연료 공급로(30)에 해당되고, 상기 물이 공급되는 경로는 제2 캐필러리 수단(24)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실험 결과에 따라 연료 공급로(30)의 폭과 제2 캐필러리 수단(24)의 폭을 조절하여 연료와 물을 원하는 비율로 희석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 사상이 적용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실물 사진을 보여준다. 상기 휴대폰에 구비된 연료전지 시스템은 도시의 편의를 위해 그래픽처리하여 사진과 겹쳐 도시하였다.
도 32는 상부 패널(60)이 슬라이딩되지 않은 상태, 곧 대기 상태에 있는 슬라이딩 휴대폰을 보여주고, 도 33은 상부 패널(60)이 슬라이딩 된 상태, 곧 사용중의 슬라이딩 휴대폰을 보여준다.
도 32 및 도 33에서 참조번호 200은 연료탱크(84)에서 연료 공급로(30)로 연료를 전달하는 전달 매체이다. 전달 매체(200)는 모세관력이 나타나는 다공성 물질 또는 윅 구조체일 수 있다. 전달매체(200)는 연료 탱크(84)에 내재된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저장매체(42 또는 86)가 확장된 것일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에서 참조번호 210은 연료 주입구 셔터(shutter)를 나타낸다.
도 3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휴대폰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전달매체(200)가 채워진 홀(h4)의 입구는 연료 주입구 셔터(210)로 덮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휴대폰이 사용될 때, 곧 상부 패널(60)이 슬라이딩될 때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주입구 셔터(210)는 상부 패널(60)과 함께 이동되어 홀 (h4)의 입구가 개방되고, 홀(h4)에 채워진 전달매체(200)와 연료 공급로(30)가 접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4는 상부 패널(100)과 하부 패널(110)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는 스윙 타입의 통신기기, 예컨대 휴대폰 또는 DMB(Digital Multi Broadcasting) 폰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4를 참조하면, 상부 패널(100)과 하부 패널(110)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주어진 각도로 회전된다. 하부 패널(110)에 셀 팩(150)이 내장되어 있다. 하부 패널(110) 뒷면에 배터리(120)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패널(110)에는 또한 셀 팩(150)과 연결된 연료 혼합부(160)가 내재되어 있다. 연료 혼합부(160)의 일부는 노출되어 있다. 연료 혼합부(160)는 상술한 연료 혼합부(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패널(100)은 연료 탱크(140)와 이에 연결된 연료 공급로(170)를 포함한다. 연료 탱크(140)는 상부 패널(100)에 내재될 수도 있지만, 교체나 연료 충전 등을 고려할 때, 배터리(120)가 하부 패널(110) 뒷면에 장착되듯이 상부 패널(100)의 밑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연료 공급로(170)의 일부는 도 34의 통신기기가 동작 상태일 때, 곧 상부 및 하부 패널(100, 110)이 주어진 각도로 펼쳐졌을 때, 하부 패널(110)의 연료 혼합부(160)의 노출된 부분과 접촉될 수 있도록 노출되어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연료 공급로(170)와 연료 혼합부(160)는 상기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일 때, 곧 상부 및 하부 패널(100, 110)이 겹쳐있을 때는 서로 떨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35의 통신기기에서 셀 팩(150)과 연료 탱크(140)는 반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신기기가 대기 상태일 때와 동작 상태일 때에 맞춰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통신기기는 2차 전지인 배터리 없이 연료 전지 시스템만으로 충분하며, 기타 다른 형태의 통신기기, 예를 들면 폴더형 휴대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6은 상술한 연료전지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스윙 타입 휴대폰의 한 종류에 대한 실물 사진을 보여준다.
도 36에 도시한 스윙 타입 휴대폰에서 상술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셀 팩은 스윙되는 상부패널(300) 중에서 상부패널(300)이 회전될 때 노출되는 부분(300a)에 내장된다. 그리고 연료탱크는 배터리(310)가 장착된 위치에 단독으로 장착되거나 배터리(310)와 함께 전원부를 이루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되지 않은 다른 형태의 모바일 통신기기, 예컨대 DMB 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료 탱크에 연료저장매체가 노출될 수 있는 홀을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연료 탱크에 순수 연료를 채우는 대신, 연료 혼합부에서 희석된 연료와 동일한 비율로 순수 연료와 물이 희석된 연료를 채울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연료 공급로를 양극층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므로, 연료 혼합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 술 사상은 모바일 통신기기 뿐만 아니라 일반 통신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기기는 2차 전지인 배터리를 구비하고, 동시에 통신기기의 유휴 영역에 구비된 셀 팩과 상기 배터리 장착 위치에 구비된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상기 셀 팩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로 등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기기에서는 통신기기의 유휴 영역을 이용하여 연료 전지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연료 전지의 구비에 따른 모바일 통신기기의 두께 및 부피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휴 영역, 예를 들면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의 상부 패널의 뒷면의 상부 영역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으로 덮이지 않고 대기에 완전히 노출된다. 본 발명의 통신기기에서 상기 유휴 영역에는 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로, 예컨대 홀이 형성되어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통신기기는 공기의 유입이 자유롭고, 연료 전지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가스, 예컨대 이산화탄소의 배출 또한 자유롭다. 아울러 연료 전지의 사용 중 발생되는 열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4)

  1. 양극층, 음극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셀 팩;
    상기 셀 팩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홀이 형성된 연료 탱크;
    상기 셀 팩에 연결된 연료 혼합부;
    상기 연료 탱크에 내재되어 있고, 일부가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 및
    일단은 상기 연료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동작시에만 상기 연료저장매체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혼합부는,
    상기 셀 팩의 양극층에 연결된 제1 캐필러리 수단; 및
    상기 셀 팩의 상기 음극층에 연결된 제2 캐필러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은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은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는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 는 윅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일부는 상기 연료저장매체로 채워져 있고, 상기 연료 탱크의 나머지는 연료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로 채워져 있고,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상기 홀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8.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련된 상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에 체결되어 있고, 데이터 입출력과 검색을 위한 키(key)가 구비된 하부 패널;
    상기 상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전원부; 및
    구성 요소들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패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전원부에 산재되어 있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통신기기 동작시에 노출되는 상기 상부 패널의 소정 영역에 내재된 적어도 양극층, 음극층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셀 팩;
    상기 전원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장착 대상을 향하는 면에 홀이 형성된 연료 탱크;
    상기 셀 팩에 연결된 연료 혼합부;
    상기 연료 탱크에 내재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노출되는 연료저장매체; 및
    일단은 상기 연료 혼합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동작시에만 상기 연료저장매체에 연결되는 연료 공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일부는 상기 연료저장매체로 채워져 있고, 나머지는 연료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는 연료로 채워져 있고, 상기 연료저장매체는 상기 홀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혼합부는
    상기 셀 팩의 양극층에 연결된 제1 캐필러리 수단; 및
    상기 셀 팩의 상기 음극층에 연결된 제2 캐필러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은 상기 연료 공급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캐필러리 수단은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5. 제 9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는 모세관력이 작용하는 다공성 매질 또는 윅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의 상기 연료저장매체와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상부 패널에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에 상기 연료 공급로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하부 패널과 상기 전원부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의 상기 연료저장매체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연료저장매체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부 패널의 뒷면에 상기 연료 공급로의 이동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홈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상부 패널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탄력을 갖는 프레임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의 상기 키가 구비된 영역의 표면은 상기 키가 구비된 영역의 주변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로는 상기 하부 패널의 뒷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탄력을 갖는 프레임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2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 배터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은 슬라이딩 또는 회전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KR1020050041285A 2005-05-17 2005-05-17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KR10065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85A KR100657960B1 (ko) 2005-05-17 2005-05-17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CNB2006100818646A CN100533826C (zh) 2005-05-17 2006-05-17 燃料电池***
JP2006138242A JP4493624B2 (ja) 2005-05-17 2006-05-17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当該燃料電池システムを備える移動体通信装置
US11/434,718 US8278006B2 (en) 2005-05-17 2006-05-17 Fuel cell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285A KR100657960B1 (ko) 2005-05-17 2005-05-17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870A KR20060118870A (ko) 2006-11-24
KR100657960B1 true KR100657960B1 (ko) 2006-12-14

Family

ID=3742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285A KR100657960B1 (ko) 2005-05-17 2005-05-17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78006B2 (ko)
JP (1) JP4493624B2 (ko)
KR (1) KR100657960B1 (ko)
CN (1) CN1005338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0562A1 (fr) * 2006-08-17 2008-02-2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ositif électronique
US7709127B2 (en) * 2007-05-08 2010-05-04 Quantumsphere, Inc. Electro-catalytic recharging composition
JP4720797B2 (ja) 2007-06-28 2011-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及び電子機器
US7853288B2 (en) * 2007-08-30 2010-12-14 MacroDisplay, Inc. Sunlight illuminated and sunlight readable mobile phone
US10044055B2 (en) * 2008-10-15 2018-08-07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power conditions in a fuel cell
US20120113616A1 (en) * 2010-11-10 2012-05-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Frame incorporating a fuel cell for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US20130140902A1 (en) * 2011-12-06 2013-06-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Fuel cell recovery time system
WO2023049507A2 (en) 2021-09-27 2023-03-30 Quantumscape Battery, Inc. Electrochemical stack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072A (ja) 2003-04-21 2004-11-18 Tohoku Ricoh Co Ltd 燃料電池及び電気電子機器
JP2005346974A (ja) 2004-05-31 2005-12-15 Canon Inc 小型携帯機器用燃料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小型携帯電気機器
KR20060032052A (ko) * 2004-10-11 200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9683B1 (de) * 1970-12-04 1972-05-25 Messerschmitt Boelkow Blohm Treibstoffsystem,insbesondere fuer Raketentriebwerke
JPS5966066A (ja) 1982-10-06 1984-04-14 Hitachi Ltd 液体燃料電池
US6326097B1 (en) * 1998-12-10 2001-12-04 Manhattan Scientifics, Inc. Micro-fuel cell power devices
JP3668069B2 (ja) 1999-09-21 2005-07-06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用液体燃料収容容器および燃料電池
CN2521833Y (zh) 2001-04-09 2002-11-20 周学良 一种袖珍型移动电话机
US6994932B2 (en) * 2001-06-28 2006-02-07 Foamex L.P. Liquid fuel reservoir for fuel cells
US20030008193A1 (en) * 2001-06-28 2003-01-09 Foamex L.P. Liquid fuel delivery system for fuel cells
JP4288040B2 (ja) 2002-03-29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燃料電池用燃料カートリッジおよび燃料電池を用いた携帯電子機器
US20040001991A1 (en) * 2002-07-01 2004-01-01 Kinkelaar Mark R. Capillarity structures for water and/or fuel management in fuel cells
JP3715608B2 (ja) 2002-09-30 2005-11-0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池ユニット
JP2004289995A (ja) 2003-03-06 2004-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充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34698B1 (ko) 2003-07-11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KR100528339B1 (ko) 2003-10-01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액체연료전지 스택
CN2660807Y (zh) 2003-11-26 2004-12-01 夏新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超薄直板式移动电话
JP2005167488A (ja) * 2003-12-01 2005-06-2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US7329470B2 (en) * 2004-05-26 2008-02-12 Societe Bic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production of fuel for a fuel c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072A (ja) 2003-04-21 2004-11-18 Tohoku Ricoh Co Ltd 燃料電池及び電気電子機器
JP2005346974A (ja) 2004-05-31 2005-12-15 Canon Inc 小型携帯機器用燃料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小型携帯電気機器
KR20060032052A (ko) * 2004-10-11 2006-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3826C (zh) 2009-08-26
US20060263672A1 (en) 2006-11-23
CN1866596A (zh) 2006-11-22
US8278006B2 (en) 2012-10-02
KR20060118870A (ko) 2006-11-24
JP2006324248A (ja) 2006-11-30
JP4493624B2 (ja)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796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통신기기
TW567637B (en) Fuel cell, electric power supply method of using fuel cell, function card, gas supply mechanism of fuel cell, power generation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generation body
CN100377402C (zh) 具有改进的冷却结构的电池堆及其燃料电池***
TW533619B (en) Fuel cell, fuel cell generator, and equipment using the same
JP2003282131A (ja) 通気型直接メタノール燃料電池セルパック
US7722973B2 (en) Fuel cell
JP4119188B2 (ja) 燃料電池搭載機器
JP2005129525A (ja) 直接メタノール燃料電池及びこれを装着した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4394340B2 (ja) 液体燃料電池
US8080345B2 (en) High capacity micro fuel cell system
JP2007087655A (ja) 燃料電池
US8968946B2 (en) Fuel cell systems
JP5207019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TW200810223A (en) Fuel cell
JP4489419B2 (ja) 情報処理装置
US2008029291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fuel cell
JP200427314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607466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TW200917561A (en) Fuel cell, and charg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8663855B2 (en) Fuel cell protection device
JP200733522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200801029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123440A (ja) 電子機器
JP2007095399A (ja) 燃料電池及びこ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2008243578A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