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170B1 -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170B1
KR100656170B1 KR1020020082693A KR20020082693A KR100656170B1 KR 100656170 B1 KR100656170 B1 KR 100656170B1 KR 1020020082693 A KR1020020082693 A KR 1020020082693A KR 20020082693 A KR20020082693 A KR 20020082693A KR 100656170 B1 KR100656170 B1 KR 10065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high density
passage
densit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142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170B1/ko
Priority to CNB031068812A priority patent/CN1231717C/zh
Priority to US10/452,383 priority patent/US6913637B2/en
Priority to EP03253994A priority patent/EP1434012A3/en
Publication of KR20040056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ultra-fine filter sheet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1Prefiltering; Flow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7/00Multiple 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7/40Different types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14Filters which are moved between two or more positions, e.g. by turnin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분포가 충분히 낮을 때 순환 기류가 고밀도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고밀도 필터에 의한 순환 기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또 순환 기류가 고밀도 필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고밀도 필터는 복수 개의 분할체로 구성되며, 공기 통로가 폐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구동 장치는 고밀도 필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분할체들 가운데 하나 이상의 분할체가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공기 통로가 개방되고, 흡입 공기가 개방된 공기 통로를 통해 원활히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구비하고, 이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여 흡입 공기가 개방된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원활히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기 정화기{AIR PURIFIER}
도 1은 종래의 공기 정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필터의 다양한 개방 구조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302 : 프리 필터
104, 304 : 전리부
106, 306 : 포집부
108, 308, 410, 510, 610, 808 : 고밀도 필터
206 : 오염도 센서
310 : 탈취 필터
720 : 바이패스 통로
820a, 820b : 도어
본 발명은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하여 맑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정화기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하여 정화된 맑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기 정화기 내부에는 먼지 등을 포집하기 위한 집진 장치가 마련되는데, 이 집진 장치에서는 전리부(ionizer)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 입자들이 반대 극성으로 대전된 포집부의 전기적 흡인력에 의해 포집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정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 정화기는 프리 필터(pre-filter, 102)와 전리부(104), 포집부(106), 고밀도 필터(108)로 구성된다. 프리 필터(102)에서는 일차적으로 비교적 큰 먼지 입자가 걸러진다. 전리부(104)에서는 방전선(104b)과 접지 전극(104a)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먼지 입자가 대전된다. 포집부(106)는 (+)극성과 (-)극성이 교대로 대전되는 다수의 수평 격벽들(106a)로 구성되는데, 대전된 먼지 입자들이 포집부(106)의 수평 격벽들(106a) 사이로 유입되면 전기적 흡인력에 의해 흡착 포집된다. 고밀도 필터(108)는 포집부(106)에서 포집되지 않은 미세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 정화기에서 고밀도 필터는 미세 먼지 입자나 곰팡이 등을 걸러내기 위해 극미세 구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공기 정화 효율은 매우 높은 반면에 극미세 구조에 따른 저항이 매우 커 순환 기류에 큰 압력 손실이 초래된다. 이와 같은 고밀도 필터에서의 압력 손실 때문에 정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의 먼 곳까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고, 더욱이 고밀도 필터의 사용 기간이 증가할수록 걸러진 불순물들에 의해 압력 손실은 더욱 커지기 때문에 고밀도 필터에 의한 압력 손실 문제는 사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압력 손실을 감안하여 팬의 회전 속도를 높이면 압력은 상승하나 소음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분포가 충분히 낮을 때 순환 기류가 고밀도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고밀도 필터에 의한 순환 기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또 순환 기류가 고밀도 필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고밀도 필터는 복수 개의 분할체로 구성되며, 공기 통로가 폐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구동 장치는 고밀도 필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분할체들 가운데 하나 이상의 분할체가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공기 통로가 개방되고, 흡입 공기가 개방된 공기 통로를 통해 원활히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는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고밀도 필터는 공기 통로가 폐쇄되도록 설치되어 흡입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에서, 도어가 구동 장치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바이패스 통로가 개방되고, 흡입 공기가 개방된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원활히 토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방법은,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키고;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를 갖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폐쇄 위치일 때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이 포집되고 개방 위치일 때 흡입된 공기가 공기 통로를 원활히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1 필터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정화기 본체(202)의 전면에는 커버(204)가 마련되며, 이 커버(204)에는 본체(202)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흡입구들(204a)이 형성된다. 이 공기 흡입구들(204a)을 통해 먼지 입자와 유해 성분, 냄새 등의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면 본체(202) 내부에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202) 후면의 공기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본체(202)의 측면에는 오염도 센서(206)가 장착되는데, 이 오염도 센서(206)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오염도 센서(206)는 공기 중에 빛을 쏘아 이 빛을 통과하는 먼지 입자의 수와 크기 등으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 밖에도 공기 중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 내부에는 상술한 기능성 필터를 포함하여 공기 정화를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마련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 내부에는 공기 정화를 위한 프리 필터(302)와 전리부(304), 포집부(306), 고밀 도 필터(308), 탈취 필터(310)가 본체(202)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된다. 또 본체(202) 내부의 가장 뒤쪽에는 본체(202)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팬(316)이 설치된다. 팬(316)이 회전하면 본체(202)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일정 압력의 순환 기류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낸 각각의 필터와 집진 장치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프리 필터(302)는 일차적으로 비교적 큰 먼지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전리부(304)와 포집부(306)는 전기 집진 장치로서, 전리부(304)에서 (+)극성으로 대전되는 먼지 입자가 포집부(306)에서 전기적 흡인력에 의해 흡착 포집된다. 고밀도 필터(308)는 DOP(Di-Octyl-ph+rate)가 매우 작은(예를 들면 0.3㎛ 가량의) 미세 먼지나 곰팡이, 진드기 등도 걸러낼 수 있도록 초극세 섬유 등으로 만들어져 매우 조밀한 구조를 갖는다. 탈취 필터(310)는 필터 표면에 도포된 화학 물질이 자외선 램프(310a)에서 발생하는 자외선과 반응하면서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이 제거되는 광촉매 필터이다.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때에는 헤파 필터(HEPA filter)와 같은 고밀도 필터(308)를 이용하여 미세 먼지 입자까지도 충분히 걸러내야 한다. 고밀도 필터(308)의 미세 구조로 인하여 공기 정화기를 통과하는 순환 기류의 압력 손실이 초래되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압력 손실이 가장 큰 고밀도 필터(308)를 개방하여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공기의 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져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고밀도 필터(308)에 의한 공기 정화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 문에, 이 경우 고밀도 필터(308)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밀도 필터(308)의 뒤에는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필터가 추가될 수 있다. 탈취 필터의 대표적인 예로는 광촉매 필터를 들 수 있는데 필터 표면에 도포된 화학 물질이 자외선과 반응하면서 공기 중의 냄새 성분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 필터이다. 필요할 경우 이 탈취 필터도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필터(308)와 동일한 개방 구조를 갖도록 하여 순환 기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에 채용되는 모든 필터가 개방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필터의 다양한 개방 구조의 실시예들을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먼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고밀도 필터(410)는 제 1 및 제 2 분할체(410a, 410b)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할체(410a, 410b)는 그 일측에 마련된 회전축(412a, 412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02)에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축(412a, 412b)은 모터(414a, 414b)에 의해 회전한다. 제 1 및 제 2 분할체(410a, 410b)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해 힌지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비록 고밀도 필터(410)가 제 1 및 제 2 분할체(410a, 410b)로 나누어지더라도 서로 맞닿는 부분이 중첩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공기 정화 효율은 충분히 유지된다. 고밀도 필터(410)가 도 4의 (A)와 같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본체(202)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나 곰팡이, 진드기 등이 고밀도 필터(410)에서 걸러진다. 단, 이 상태에서는 고밀도 필터(410)에서의 압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압력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충분히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고밀도 필터(410)를 닫아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이 걸러지도록 한다.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충분히 낮아지면 공기 정화보다는 이미 정화된 맑은 공기가 실내의 여러 곳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순환 기류의 압력을 높게 유지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실내 공기가 어느 정도 정화되어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도 4의 (B)와 같이 제 1 및 제 2 분할체(410a, 410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밀도 필터(410)를 개방시킨다. 고밀도 필터(410)가 개방되면 본체(202)의 전면으로 흡입된 공기가 본체(202)의 후면으로 토출될 때 고밀도 필터(410)에서 발생하던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5의 (A)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고밀도 필터(510)가 제 1 내지 제 3 분할체(510a, 510b, 510c)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할체(510a, 510b, 510c)의 중심 부분에 마련된 회전축(512a, 512b, 512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202)에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축(512a, 512b, 512c)은 모터(514a, 514b, 514c)에 의해 회전한다.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높아 공기 정화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압력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고밀도 필터(510)를 통해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도 5의 (A)와 같이 고밀도 필터(510)를 닫아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이 걸러지도록 한다.
실내 공기가 어느 정도 정화되어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도 5의 (B)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분할체(510a, 510b, 510c)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고밀도 필터(510)를 개방시킨다. 고밀도 필터(510)가 개방되면 본체(202)의 전면으 로 흡입된 공기가 후면으로 토출될 때 고밀도 필터(510)에서 발생하던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의 (A)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고밀도 필터(610)가 제 1 및 제 2 분할체(610a, 610b)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고밀도 필터(610)는 제 2 분할체(610b)가 제 1 분할체(610a)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개방된다. 제 1 분할체(610a)의 하부에는 모터(612a)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612b)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이 수납 공간은 제 2 분할체(610b)로 향한 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 2 분할체(612b)의 표면 가운데 제 1 분할체(612a)와 접한 면의 하부에는 피니언(612b)과 접하도록 랙(612c)이 형성된다. 모터(612a)에 의해 피니언(612b)이 회전하면, 피니언(612b)의 회전 운동이 랙(612)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바뀌어 제 2 분할체(610b)가 이동하여 개방됨으로써 순환 기류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는 공기 통로가 형성된다.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도 6의 (A)와 같이 고밀도 필터(610)를 닫아 오염 물질이 걸러지도록 한다.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도 6의 (B)와 같이 제 2 분할체(610b)가 개방됨으로써 본체(202)의 전면으로 흡입된 공기가 후면으로 토출될 때 고밀도 필터(610)에서 발생하던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밀도 필터(6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면 고밀도 필터(610)의 개방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체의 측면에 바이패스 통로가 설치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 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정화기 본체(702)의 전면에는 커버(704)가 마련되며, 이 커버(704)에는 본체(702) 내부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흡입구(704a)가 형성된다. 이 공기 흡입구(704a)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면 본체(702) 내부에서 먼지 입자와 유해 성분, 냄새 등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702) 후면의 공기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본체(702)의 측면에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706)가 장착된다. 또, 본체(702)의 측면에는 본체(70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바이패스 되도록 하기 위한 바이패스 통로(720)가 마련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공기 정화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702) 내부에는 프리 필터(802)와 전리부(804), 포집부(806), 고밀도 필터(808), 탈취 필터(810)가 본체(702)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된다. 본체(702)의 가장 뒤쪽에는 팬(816)이 설치되어 본체(702)의 후면 방향으로 강제 기류를 발생시킨다.
도 8에서, 고밀도 필터(808)의 양 측면에는 바이패스 통로(72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820a, 820b)가 설치된다. 이 도어(820a, 820b)가 닫히면 본체(702)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고밀도 필터(808)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 먼지 입자나 곰팡이 등이 걸러진다. 공기 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져 공기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도 8의 (B)와 같이 도어(820a, 820b)를 개방하여 본체(702)의 전면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대부분이 고밀도 필터(808)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 통로(720)를 통해 탈취 필터(810)에 직접 전달된다. 고밀도 필터(808)는 극미세 구조 를 갖기 때문에 저항이 매우 커 포집부(806)를 통과한 공기는 대부분 바이패스 통로(720)를 통해 흐르게 된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도어의 개폐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820a, 820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기어를 이용한다. 도 9에 나타낸 구조에서, 제 1 기어(902)는 모터(91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 2 기어(904)는 도어(820a)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 3 기어(906)와 제 4 기어(908)는 도어(820b)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 1 기어(902)가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기어(90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820a)가 개방된다. 이 때 제 4 기어(908)도 제 1 기어(90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820b)가 개방된다.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공기 정화기에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졌을 때 고밀도 필터 또는 바이패스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거나, 취침 모드와 탈취 모드일 때 고밀도 필터 또는 바이패스 통로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사람이 수면을 취하는 야간에는 이산화탄소나 암모니아 등과 같은 유해 가스의 공기 정화가 더 요구되므로, 취침 모드일 때 고밀도 필터 또는 바이패스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면 유해 가스 위주의 공기 정화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면에 방해가 되는 소음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내에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했을 때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모드로 동작시켜 고밀도 필터 또는 바이패스 통로가 개방되도록 하면 순환 기류의 압력이 높아져 공기의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속하게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는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분포가 충분히 낮을 때 순환 기류가 고밀도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고밀도 필터에 의한 순환 기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또 순환 기류가 고밀도 필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인다.

Claims (32)

  1.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와;
    복수 개의 분할체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 통로가 폐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밀도 필터와;
    상기 고밀도 필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체들 가운데 하나 이상의 분할체가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 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흡입 공기가 개방된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원활히 토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가 미세 오염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헤파 필터(HEPA filter)인 공기 정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공기 통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공기 정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가 모터인 공기 정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가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직선 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 통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공기 정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력 장치와;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가 랙과 피니언인 공기 정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센서의 검출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고밀도 필터가 개방되어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취침 시간에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취침 모드를 갖고;
    상기 취침 모드일 때 상기 고밀도 필터가 개방되어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탈취 모드일 때 상기 고밀도 필터가 개방되어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큰 먼지 입자를 걸러내는 프리 필터와;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집진 필터와;
    공기 중의 냄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필터가 상기 집진 필터와 상기 탈취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정화기.
  13.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와;
    상기 공기 통로가 폐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밀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흡입 공기가 개방된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원활히 토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가 미세 오염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헤파 필터(HEPA filter)인 공기 정화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고밀도 필터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정화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필터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 중 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오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센서의 검출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취침 시간에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취침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취침 모드일 때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탈취 모드일 때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탈취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큰 먼지 입자를 걸러내는 프리 필터와;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집진 필터와;
    공기 중의 냄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밀도 필터가 상기 집진 필터와 상기 탈취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정화기.
  21.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키고;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를 갖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폐쇄 위치일 때 상기 공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이 포집되고 상기 개방 위치일 때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 통로를 원활히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는 제 1 필터를 통해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 정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가 미세 오염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헤파 필터인 공기 정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가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공기 정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필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가 직선상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공기 정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필터를 이동시키고;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동력 장치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가 랙과 피니언인 공기 정화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제 2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필터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오염도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먼지 입자 분포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염도 센서의 검출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때 상기 제 1 필터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취침 시간에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가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취침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취침 모드일 때 상기 제 1 필터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유해 가스 및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탈취 모드일 때 상기 제 1 필터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냄새 입자가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공기 정화 방법.
  32. 제 21 항에 있어서,
    제 2 필터를 이용하여 큰 먼지 입자를 걸러내고;
    제 3 필터를 이용하여 정전기력으로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 포집하며;
    제 4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냄새 입자를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터가 상기 제 3 필터와 상기 제 4 필터 사이에 설치되는 공기 정화 방법.
KR1020020082693A 2002-12-23 2002-12-23 공기정화기 KR10065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93A KR100656170B1 (ko) 2002-12-23 2002-12-23 공기정화기
CNB031068812A CN1231717C (zh) 2002-12-23 2003-03-06 空气净化装置
US10/452,383 US6913637B2 (en) 2002-12-23 2003-06-03 Air purifier
EP03253994A EP1434012A3 (en) 2002-12-23 2003-06-25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693A KR100656170B1 (ko) 2002-12-23 2002-12-23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142A KR20040056142A (ko) 2004-06-30
KR100656170B1 true KR100656170B1 (ko) 2006-12-12

Family

ID=3246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693A KR100656170B1 (ko) 2002-12-23 2002-12-23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13637B2 (ko)
EP (1) EP1434012A3 (ko)
KR (1) KR100656170B1 (ko)
CN (1) CN1231717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3100A (zh) * 2011-09-21 2012-02-15 山东大学 一种自动调档空气净化机及其工作方法
WO2021153891A1 (ko) * 2020-01-30 2021-08-05 (주)센도리 공기청정용 필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9241B1 (ja) * 2003-03-04 2005-05-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部材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20050089451A1 (en) * 2003-10-23 2005-04-28 Ping Huang Structure of a light-catalyst equipped electric fan
US20050108996A1 (en) * 2003-11-26 2005-05-26 Latham Steven R. Filter system for an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JP2005296901A (ja) * 2004-04-15 2005-10-27 Daikin Ind Ltd 清浄処理材料、エアフィルタ、空気調和装置、熱交換エレメント、および熱交換ユニット
JP4244022B2 (ja) * 2004-04-28 2009-03-25 日新電機株式会社 ガス処理装置
KR101168738B1 (ko) * 2004-06-02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JP3742863B2 (ja) * 2004-07-02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US20060021503A1 (en) * 2004-07-30 2006-02-02 Caterpillar, Inc. Electrostatic precipitator particulate trap with impingement filtering element
JP2006046730A (ja) * 2004-08-02 2006-02-16 Sharp Corp 集塵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機
DE102004042158B3 (de) * 2004-08-31 2006-03-02 Maier, Max Lufterfassungseinrichtung und insbesondere dafür vorgesehene Abluftbox
JP4529013B2 (ja) * 2004-10-01 2010-08-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ガス処理装置
WO2006128453A1 (de) * 2005-06-03 2006-12-07 Pro Net Gmbh Filtersystem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US20090193821A1 (en) * 2005-10-20 2009-08-06 Calsonic Kansei Corporation Pre-riding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ir conditioner
GB2436535B (en) * 2006-03-31 2008-11-05 Wellman Defence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removal
US20080127830A1 (en) * 2006-12-04 2008-06-05 Thanh Duc Le Air purifier for nail workers
JP5228319B2 (ja) * 2006-12-12 2013-07-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DE102007047118A1 (de) * 2007-10-02 2009-04-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Luftfilter und Kältegerät mit einem Luftfilter
KR100905421B1 (ko) * 2007-11-16 2009-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 기능을 갖는 지능형 환기 제어 시스템
AT10429U1 (de) * 2008-02-25 2009-03-15 Make Charlotte Filter
US20090229458A1 (en) * 2008-03-11 2009-09-17 Feddersen Terrance D Filter element arrangement including bypass arrangement and methods
US20100313748A1 (en) * 2009-06-15 2010-12-16 Middle Atlantic Products, Inc. Method and system for smart air filter monitoring
US20110030560A1 (en) * 2009-08-04 2011-02-10 Bohlen John R Air cleaner with multiple orientations
US8814144B2 (en) * 2010-04-08 2014-08-26 Johnnie McTaw, Jr. Air register assembly
WO2011141827A1 (en) * 2010-05-11 2011-11-17 Flsmidth A/S Method and plant for dedusting a stream of dust-laden gases in a hybrid filter installation
TWI412398B (zh) * 2011-05-12 2013-10-21 China Steel Corp Air purification device
US8861167B2 (en) 2011-05-12 2014-10-14 Global Plasma Solutions, Llc Bipolar ionization device
KR20130026811A (ko) 2011-09-06 2013-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덕트 필터링장치 및 필터링방법
FR2983085B1 (fr) * 2011-11-28 2013-12-27 Aaf France Dispositif d'actionnement de filtres montes pivotants, ensemble filtre d'entree d'air le comportant et procede de commande d'un dispositif d'actionnement de filtres
US20130252524A1 (en) * 2012-03-26 2013-09-26 Richard Jerald Lavender Beauty salon ventilator
CN103195732A (zh) * 2013-04-11 2013-07-10 无锡市崇安区科技创业服务中心 一种吸烟室用排气扇
CN203354967U (zh) * 2013-07-05 2013-12-25 苏州贝昂科技有限公司 一种离子风净化器及其高压保护装置
WO2015059770A1 (ja) * 2013-10-22 2015-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USD761411S1 (en) * 2014-04-17 2016-07-12 Stego-Holding Gmbh Fan
US9759438B2 (en) 2014-06-10 2017-09-12 Whirlpo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with selective filtering for air purification
US9803898B2 (en) 2014-06-10 2017-10-31 Whirlpo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with selectable supplemental compressor cooling
EP3015784B1 (en) * 2014-10-24 2020-02-19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JP6467584B2 (ja) * 2014-11-12 2019-0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HK1205412A2 (en) * 2015-09-14 2015-12-11 立風鐡聯環保科技有限公司 An apparatus to purify fresh air using biodegradable filter
US10144269B2 (en) * 2015-10-28 2018-1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line register
CN105257568B (zh) * 2015-10-30 2018-09-04 苏州腾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洁功能的负压风机
CN105570994B (zh) * 2016-01-26 2018-07-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CN106091337A (zh) * 2016-06-21 2016-11-09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空气净化设备
EP3306218A1 (en) 2016-10-06 2018-04-11 Unilever N.V. Air purifier
CN106594885A (zh) * 2017-01-20 2017-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过滤结构和空调装置
JP6765457B2 (ja) * 2017-02-16 2020-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7062459A (zh) * 2017-05-19 2017-08-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霾装置、空调设备以及除霾装置的控制方法
CN109028361A (zh) * 2017-06-08 2018-12-18 开利公司 空气过滤***以及hvac***
JP6846598B2 (ja) * 2017-07-11 2021-03-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7626448A (zh) * 2017-10-30 2018-01-26 天津远达滤清器股份有限公司 一种悬挂式净化空气装置
CN107744882B (zh) * 2017-11-13 2019-08-27 东北师范大学 基于物联网的侧壁可转分割扇形极板
CN108036420B (zh) * 2017-12-08 2023-09-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进风组件和空调器
BR112020011561A2 (pt) * 2017-12-13 2020-12-0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nidade de filtro configurada para ser montada em um aparelho de ar condicionado, e, aparelho de ar condicionado
JP7103373B2 (ja) * 2017-12-14 2022-07-20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集塵機
CN108469060B (zh) * 2018-02-11 2020-07-28 张子欣 空气净化器及净化方法
CN208936359U (zh) * 2018-09-14 2019-06-04 开利公司 空气处理单元
CN111715010A (zh) * 2019-03-21 2020-09-29 北京康孚科技股份有限公司 轴流旋风凝并式空气过滤方法和装置
CN111795435A (zh) * 2019-04-08 2020-10-20 开利公司 风机盘管和空气净化***
US20200376934A1 (en) * 2019-05-31 2020-12-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ir filtration system
CN110280389A (zh) * 2019-07-19 2019-09-27 南安市跃启机械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医院环境气体消毒通风设备
KR102358992B1 (ko) * 2020-01-30 2022-02-07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USD1017790S1 (en) 2021-09-14 2024-03-12 Conair Llc Air filtration apparatus
USD1013854S1 (en) 2021-09-14 2024-02-06 Conair Llc Air filtration apparatus
CN113915653A (zh) * 2021-10-27 2022-01-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过滤装置、吸油烟机及油烟过滤方法
CN113915656A (zh) * 2021-10-27 2022-01-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过滤装置、吸油烟机及油烟过滤方法
EP4241870A1 (en) * 2022-03-10 2023-09-13 MANN+HUMMEL GmbH Filter system
NL2032412B1 (en) 2022-07-07 2024-01-23 Virus Free Air B V Air duc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0409A (ja) * 1991-02-14 1992-09-16 Sharp Corp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19990025260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에어필터 조립체
JP2000262826A (ja) 1999-03-19 2000-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清浄機
KR200284643Y1 (ko) 2002-05-10 2002-08-05 주식회사 에이스랩 창문형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6836A (en) * 1927-04-21 1931-08-04 American Air Filter Co Process for cleaning and coating air filters
US1824891A (en) * 1930-11-10 1931-09-29 Hill Earl Vernon Air cleaning and conditioning apparatus
US3353551A (en) * 1965-08-05 1967-11-21 Gen Motors Corp Air by-pass arrangement operated by differential air pressure
US4312645A (en) * 1980-03-10 1982-01-26 Parmatic Filter Corporation Separator assembly
DE3444126A1 (de) * 1984-12-04 1986-06-05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filtern eines zuluftstroms,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698078A (en) * 1985-10-02 1987-10-06 Parmatic Filter Corporation Separator assembly
JPS62237237A (ja) * 1986-04-08 1987-10-17 Yoshiharu Harada 清浄度可変の空気清浄ユニツト
ATE77734T1 (de) * 1987-03-05 1992-07-15 Urs Mueller Filtergeraet, insbesondere an staubsauger.
US4749385A (en) * 1987-03-27 1988-06-07 Rca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ean air
US5015451A (en) * 1987-05-27 1991-05-14 Heinz Holter Process, filter and device for making available high-quality breathing air
US4854950A (en) * 1987-07-06 1989-08-08 Peerless Manufacturing Company Moisture separator
USH895H (en) * 1989-09-14 1991-03-05 Filtered inflow and emergency HEPA exhaust during asbestos removal
US4963170A (en) * 1989-12-04 1990-10-16 Global Consumer Services, Inc. Inflow and outflow HEPA vent filter for asbestos work areas
JPH03195835A (ja) * 1989-12-25 1991-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調装置
FR2664827B1 (fr) * 1990-07-19 1992-09-25 Valeo Dispositif de filtration d'un flux d'air,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H0480538A (ja) * 1990-07-20 1992-03-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リーンルーム空調装置
NL9101071A (nl) * 1991-06-21 1993-01-18 Daniel Hoekstra Filter voor de luchttoetreding naar het interieur van een motorvoertuig.
US6264888B1 (en) * 1992-10-09 2001-07-24 National Jewish Center For Immunology And Respiratory Medicine Ultraviolet germicidal apparatus and method
US5558158A (en) * 1994-05-19 1996-09-24 Elmore; Robert L. Hygienic air handler
US5647889A (en) * 1994-06-28 1997-07-15 Ltg Lufttechnische Gmbh Air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xtile machines
US5505768A (en) * 1994-10-11 1996-04-09 Altadonna; Anthony J. Humidity moisture exchanger
DE4442851C2 (de) * 1994-12-01 2003-06-26 Valeo Klimasysteme Gmbh Vorrichtung zur Filterung eines Luftstromes, insbesondere für eine Heiz- bzw. Klimaanlage in einem Kraftfahrzeug
JP2000117029A (ja) * 1998-10-16 2000-04-25 Toto Ltd 空気清浄器
JP3013851B1 (ja) * 1998-12-28 2000-02-2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機器の防塵構造
US6623544B1 (en) * 2002-10-31 2003-09-23 Kamaljit S. Kaura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0409A (ja) * 1991-02-14 1992-09-16 Sharp Corp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19990025260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에어필터 조립체
JP2000262826A (ja) 1999-03-19 2000-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清浄機
KR200284643Y1 (ko) 2002-05-10 2002-08-05 주식회사 에이스랩 창문형 환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3100A (zh) * 2011-09-21 2012-02-15 山东大学 一种自动调档空气净化机及其工作方法
CN102353100B (zh) * 2011-09-21 2013-07-24 山东大学 一种自动调档空气净化机的工作方法
WO2021153891A1 (ko) * 2020-01-30 2021-08-05 (주)센도리 공기청정용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4012A2 (en) 2004-06-30
KR20040056142A (ko) 2004-06-30
CN1510352A (zh) 2004-07-07
CN1231717C (zh) 2005-12-14
US6913637B2 (en) 2005-07-05
US20040118276A1 (en) 2004-06-24
EP1434012A3 (en)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170B1 (ko) 공기정화기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0749772B1 (ko) 공기 정화기
KR101386187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080072867A (ko) 공기정화장치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CN106999948B (zh) 方法、过滤器模块和空气净化设备
KR200494084Y1 (ko)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N107694755A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102111867B1 (ko) 공기청정 장치
KR102218726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는 빌딩 환기형 실내집진 공기 정화시스템
KR100323113B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CN204285652U (zh) 一种超薄空气净化装置
WO2019063834A2 (en) AIR POLLUTION FILTRATION SYSTEM AND UNIT
CN206996842U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20180076960A (ko) 수분 제거기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장치
CN210283830U (zh) 一种车用空气滤清风道
CN204768108U (zh) 一种机床油雾净化收集器
CN113639366A (zh) 固定式清风机
KR20040078740A (ko) 워터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N2190759Y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KR20020097444A (ko) 습식 집진 장치
CN220852464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0035743U (zh) 一种中央空调空气净化消毒装置
KR102127413B1 (ko) 에너지 절감형 복합오염물질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