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834B1 -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 - Google Patents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834B1
KR100655834B1 KR1020037006877A KR20037006877A KR100655834B1 KR 100655834 B1 KR100655834 B1 KR 100655834B1 KR 1020037006877 A KR1020037006877 A KR 1020037006877A KR 20037006877 A KR20037006877 A KR 20037006877A KR 100655834 B1 KR100655834 B1 KR 10065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mulsion composition
acid
glycol
type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9264A (ko
Inventor
와카마츠고사부로
다나카마사히코
요시노노보루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질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전해질,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전해질, O/W형 유화 조성물

Description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O/W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해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해질을 함유하면서도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질에 대한 각종 생리 기능이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전해질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제제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성물 중에 전해질을 어느 농도 이상의 비율로 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해질은 유분과 수분의 경계가 되는 막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전해질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특히 O/W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 유화 입자가 집적되어 수상(water phases)과 유상(oil phases)이 분리되거나 또는 오일 플로팅(oil floating) 등이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해질의 영 향에 의해 유화물 자체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되어 색 및 냄새가 변화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전해질을 배합하여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는 경우, 제제적인 연구를 거듭하여 유화의 안정화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한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종래부터 안전성이 높고 우수한 사용감과 기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유화제이지만, 유화력이 비교적 약하고 다량의 전해질을 첨가 배합하는 경우에는 안정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하기가 곤란하다. 최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안정한 에멀션을 조제하는 방법으로서 비수 유화법(nonaqueous emulsion method)이 제안되었지만(일본 특개소 56-37040호 공보), 이 방법에서도 전해질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화 작용이 저하되어 오일 플로팅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 소량으로 안정한 에멀션을 수득할 수 있고, 유분의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성이 높으며, 인체나 환경에 해가 없고, 달라붙지 않아 피부나 모발에의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등의 이유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 공중합체가 우수한 O/W형 고분자 유화제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이것에 관해서도 이온성 성분을 배합할 경우에는 점도나 유화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FREGRANCE JOURNAL 1998-8 p.79-83 「O/W형 고분자 유화제의 기능과 응용」).
본 발명은 성분으로서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고, 장기간에 걸쳐 유화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는 O/W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호한 유화 안정성에 더하여,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전해질에 기초하여 원하는 작용을 가지는 의약 분야, 의약외 분야, 향수 및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의 각종의 외용제(external preparation)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을 함유하면서도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및 전해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해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안정하게 유화시키기 위해 주야 연구를 진행한 결과, 종래 공지의 유화제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병용하는 것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단독으로는 불가능했던 전해질의 유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장기간의 보존이나 또는 온도 변화에 의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에 의한 유화 입자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에 의한 유화 입자가 응집하여 용기의 내벽 부분이나 상층 부분에서 겔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유화제에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더 첨가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겔화를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의 보존에 의해서도 오일 플로팅이나 분리 등이 일어나지 않는,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견해를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1항 내지 21항에 든 O/W형 유화 조성물이다:
1항. 전해질,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유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2항. 제1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3항. 제2항에 있어서, 전해질이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인 O/W형 유화 조성물.
4항. 제3항에 있어서, 전해질이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O/W형 유화 조성물.
5항. 제3항에 있어서, 전해질이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인 O/W형 유화 조성물.
6항. 제2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인 O/W형 유화 조성물.
7항. 제2항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인 O/W형 유화 조성물.
8항. 제2항에 있어서, 알카노일 유산은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인 O/W형 유화 조성물.
9항. 제2항에 있어서, 알카노일 유산은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인 O/W형 유화 조성물.
10항. 제2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는 탄소수 5∼40 의 알킬기를 갖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
11항. 제2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는 탄소수 10∼30의 알킬기를 갖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
12항. 제2항에 있어서, 유분은 탄화수소계 액상유인 O/W형 유화 조성물.
13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전해질을 적어도 0.1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4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전해질을 0.5∼7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5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전해질을 1∼6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6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분을 0.3∼20중량% 및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7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1∼5.5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1∼0.5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3∼0.6중량%, 유분을 0.5∼15중량% 및 다가 알코올을 3∼1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8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은 중량비로 95:5 ∼ 60:40인 O/W형 유화 조성물.
19항.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은 중량비로 90:10 ∼ 70:30인 O/W형 유화 조성물.
20항. 제2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21항. 제2항에 있어서, 피부 화장료, 피부외용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O/W형 유화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22항 내지 24항에 든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이다:
22항.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유분 및 필요에 따라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비수 유화물을 조제하는 공정,
2) 전해질, 수분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 및
3) 상기 비수 유화물과 수용액을 혼합해서 유화하는 공정.
23항.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2)의 공정은 저급 알코올 또는 다가 알코올 중의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용액을 조제하는 공정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24항. 제22항에 있어서,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1∼40중량%의 비 율로 비수 유화물을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또한, 상기 조제 방법에는 하기의 태양이 포함된다:
(1) 전해질로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2) 전해질로서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3) 전해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4)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5)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6) 알카노일 유산으로서,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7) 알카노일 유산으로서,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8)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로서, 탄소수 5∼40의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9)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로서, 탄소수 10∼30의 알킬기를 갖 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0) 유분으로서 탄화수소계 액상유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1)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전해질이 적어도 0.1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2)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전해질이 0.5∼7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3)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전해질이 1∼6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4)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이 0.01∼1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0.01∼0.8중량%, 유분이 0.3∼20중량% 및 다가 알코올이 0.05∼15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5)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0.1∼5.5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이 0.1∼0.5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0.3∼0.6중량%, 유분이 0.5∼15중량% 및 다가 알코올이 3∼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6) 유화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 ∼ 60:40이 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 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7)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이, 중량비로 90:10 ∼ 70:30이 되도록 조제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18) O/W형 유화 조성물이 피부 화장료, 피부외용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25항 내지 27항에 든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이다.
25항.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 및 필요에 따라 다가 알코올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질, 수분 및 유분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26항. 제25항에 있어서, 유분을 0.3∼2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및 필요에 따라서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27항.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유분 및 필요에 따라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비수 유화물과, 전해질, 수분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혼합해서 유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또한, 상기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에는 하기의 태양이 포함된다:
(1) O/W형 유화 조성물이, 전해질로서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2) O/W형 유화 조성물이, 전해질로서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3) O/W형 유화 조성물은, 전해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4) O/W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 중에 전해질을 적어도 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5) O/W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 중에 전해질을 0.5∼7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6) O/W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 중에 전해질을 1∼6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7) O/W형 유화 조성물은, 유분으로서 탄화수소계 액상유를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8) O/W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 중에 유분을 0.3∼2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9) O/W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 중에 유분을 0.5∼15중량 %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0)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 이상의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1) 폴리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 글리세린의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2) 알카노일 유산으로서, 탄소수 8 이상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3) 알카노일 유산으로서,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을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4)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로서, 탄소수 5∼40의 알킬쇄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5)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로서, 탄소수 10∼30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6) 유분을 0.5∼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1∼5.5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1∼0.5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3∼0.6중량% 및 필요에 따라 다가 알코올을 3∼10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7) O/W형 유화 조성물 중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 ∼ 60:40이 되도록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8) O/W형 유화 조성물 중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이 중량비로 90:10 ∼ 70:30이 되도록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19) O/W형 유화 조성물이 피부 화장료, 피부외용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
(1)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전해질, 수분,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및 유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적용되어서 생리적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외용제, 특히 화장품이나 외용의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 중에 배합될 수 있는 것을 크게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또는 친수성인 것이다. 이러한 전해질로서, 구체적으로는 아데 닌,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아데노신 환상 인산 등의 아데닐산 유도체 및 이들의 염, 구아닌, 구아노신 1인산, 구아노신 2인산, 구아노신 3인산 등의 구아닐산 유도체 및 이들의 염, 크산틴, 크산틴산, 이노신산(inosinic acid) 및 이들의 염 등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우라실, 시토신, 티민 및 그의 유도체 등의 피리미딘계 핵산 관련 물질; 데옥시리보 핵산 및 그의 염, 리보 핵산 및 그의 염, 뉴클레오시드 및 뉴클레오티드 등의 핵산 관련 물질;;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나이아신,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바이오틴, 엽산, 리포산, 이노시톨 및 아스코르브산 등의 수용성 비타민 또는 그의 유도체;; 세린, 글리신,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리진, 아르기닌, 트레오닌, 시스테인, 글루탐산 및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등의 아미노산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종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아르기닌, 리진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로서, 바람직한 것은 핵산 관련 물질, 특히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이다. 그 중에서도 아데노신 인산 등의 아데닐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피부에 도포되는 것에 의해 각질층(horny cell layer) 중의 유리 아미노산 량을 증대시켜 보습 효과를 발휘하고, 그와 함께 피부의 턴 오버(turn over)를 유도하여 피부의 건조나 노화를 방지하며, 또한 거친 피부를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해질이다.
아데노신 인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1인산 1나트륨, 아데노신 1인산 2나트륨,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2인산 1나트륨, 아데노신 2인산 2나트륨, 아데노신 3인산, 아데노신 3인산 1나트륨, 아데노신 3인산 2나트륨, 아데노신 3인산 3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아데노신 1인산 1나트륨, 아데노신 1인산 2나트륨)이다.
유화 조성물 중에 배합되는 전해질의 비율은, 그 전해질 각각에 따라 원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양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당 적어도 0.1중량%, 바람직하게는 0.5∼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중량%의 범위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수분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지만, 수분으로서 증류수, 이온 교환수, 멸균수 외에도 전해질을 함유하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질을 함유하는 물로서는 예를 들면, 해수, 온천수, 미네랄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해수란, 표층수, 중층수, 심층수, 초심층수를 구분하지 않는다.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에 있어서 이러한 수분의 배합 비율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50∼90중량%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60∼80중량%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특히 특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가 6 이상, 특히 6∼10인 폴리글리세린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과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직쇄상 지방산 또는 분지상 지방산 중 어느 지방산이어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카프린산, 라우르산, 이소트리데칸산, 미리스틴산(myristic acid), 팔미트산,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산(linoleic acid), 베헨산(behenic acid) 또는 리시놀레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모노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헥사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헥사글리세릴, 디올레인산 헥사글리세릴, 디미리스틴산 헥사글리세릴, 디팔미트산 헥사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 헥사글리세릴, 디베헤닐산 헥사글리세릴, 트리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헥사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 헥사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 헥사글리세릴, 트리베헤닐산 헥사글리세릴, 테트라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릴, 테트라미리스틴산 헥사글리세릴, 테트라팔미트산 헥사글리세릴, 테트라스테아린산 헥사글리세릴, 테트라베헤닐산 헥사글리세릴, 펜타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릴, 펜타미리스틴산 헥사글리세릴, 펜타팔미트산 헥사글리세릴, 펜타스테아린산 헥사글리세릴, 펜타베헤닐산 헥사글리세릴, 모노카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라우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팔미트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모노리놀레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디카프린산 데카글리세릴, 디라우르산 데카글리세릴, 디미리스틴산 데카글리 세릴, 디팔미트산 데카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트리라우르산 데카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릴, 트리팔미트산 데카글리세릴, 트리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트리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트리베헤닐산 데카글리세릴, 펜타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펜타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펜타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헵타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데카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레인산 데카글리세릴, 데카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HLB가 10 이상, 특히 10∼15의 범위에 있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당 0.05∼6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카노일 유산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가 8 이상, 바람직하게는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유산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옥타노일 유산, 카프로일 유산, 2-에틸헥사노일 유산, 라우로일 유산, 미리스토일 유산, 팔미토일 유산, 스테아로일 유산,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올레오일 유산, 12-히드록시스테아로일 유산, 리놀레일 유산 및 베헤노일 유산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스테아로일 유산 및 이소스테아로일 유산이다. 상기 알카노일 유산은 염의 태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염으로서는 나트 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나트륨염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및 이소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이다.
이들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은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당 0.01∼1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은,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조제 과정에서 조제되는 비수 유화물의 유화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배합 비율은, 양자를 조합했을 경우의 HLB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3이 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이 중합비로서 95:5 ∼ 60:40, 바람직하게는 90:10 ∼ 70:30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로서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5∼40인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쇄의 탄소수가 10∼30인 것이다. 이것들은 시판하는 것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Carbopol(상표명) 1342(BF goodrich사 제), Pemulen(상표명) TR-1(BF goodrich사 제), Pemulen TR-2(BF goodrich사 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는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당 0.01∼0.8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6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0.6중량%의 비율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분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땅콩 기름, 참깨 기름, 콩 기름, 홍화(safflower)유, 아보카도(avocado)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채종(rapeseed)유, 면실유, 피마자유, 동백 기름, 야자유, 올리브유, 양귀비유, 카카오유 및 호호바(jojoba)유 등의 식물유 및 우지, 돼지 기름 및 양모유 등의 동물 유지 등의 유지류; 바셀린,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squalane), 및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의 탄화수소계 액상유;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팔미트산 세틸, 이소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이소세틸, 미리스틴산 n-부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리놀레산 이소프로필, 리시놀레산 프로필, 리시놀레산 이소프로필, 리시놀레산 이소부틸, 리시놀레산 헵틸, 세바신산 디에틸(diethyl sebacate) 및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표백 밀랍(white beeswax), 고래 왁스 및 목랍(Japan wax) 등의 왁스류;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batyl alcohol) 및 키밀 알코올(chimyl alcohol) 등의 고급 지방족 알코올; 왁스류;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및 팔미트산 등의 고급 지방산; 탄소수 12∼18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모노, 디,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 폴리실 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겐 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실리콘,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옥타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 메틸 시클로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및 가교형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가교형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나 폴리옥시프로필렌 등으로 변성된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바셀린,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의 탄화수소계 액상유다.
이들 유분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분이 고형인 경우에는 보조 용해제를 사용하여 액상으로 조제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분은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당 0.3∼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의 비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그 조제 방법을 특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와 같이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먼저, 전술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에 유분,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더 첨가하여 가온 교반하고, 균일하게 용해한 후, 냉각해서 비수 유화물을 조제한다.
2) 이어서, 수득한 비수 유화물에 별개로 조제한 전해질, 수분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수계 조성물, aqueous composition)을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유화해서 O/W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한다.
상기 1)의 비수 유화물의 조제 공정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을 적합하게 배합하여, 이것에 의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나 알카노일 유산 등의 유화력의 발현이 한층 향상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예를 들면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등),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프럭토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글리세린이다. 또한, 이들 다가 알코올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가 알코올이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에 0.05∼15중량%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도록 배합한다.
또한 2)의 유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수 유화물과 혼합하는 수용액(수계 조성물)에 전해질, 수분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에 더하여 저급 알코올을 배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전해질의 피부를 통한 흡수를 더욱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탄소수 1∼6의 알코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의 탄소수 1∼4을 갖는 알코올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저급 알코올을 1종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에탄올이다. 이 경우, 저급 알코올은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0.5∼15중량%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도록 배합한다.
상기 수용액(수계 조성물)에 다가 알코올을 더 배합해도 좋고, 이것에 의해 최종 유화 조성물의 보습 성능이나 관능 특성(sensory characteristics)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가 알코올은 전술한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지만, 비수 유화물의 조제에 다가 알코올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다가 알코올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과 상용성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수 유화물과 수용액(수계 조성물)의 유화 방법으로서는, 호모 믹서(homomixer) 등을 사용하여 상압하 또는 고압하에서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수득한 에멀션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사용하여 더욱 미세화 할 수도 있다.
비수 유화물과 수용액(수계 조성물)의 배합 비율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당 비수 유화물의 비율이 통상 1∼40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가 되도록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안정한 O/W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각종의 계면활성제, 색소(염료, 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증점제, 산화 방지제, 봉쇄제(sequestering agent), pH조정제, 방취제 등의 각종 첨가물 외에,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식물 엑기스, 피부 수렴제, 항염증제, 미백제, 항산화제 및 세포 부활제 등의 공지의 각종 성분, 특히 화장료나 외용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 등 피부에 적용되는 외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공지의 성분을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그 점도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피부에 적용되는 화장료나 외용 의약품 또는 외용 의약부외품의 경우에는, 통상 20℃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00cps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20000cps의 범위가 되도록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사용 용도 및 목적으로 하는 효과에 따라 전해질을 원하는 양, 특히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1∼6중량% 만큼 함유하여도, 온도 변화를 받기 쉬운 조건 하에서 장기간 보존하는 것에 의해 유발되는 유분의 분리가 현저히 억제되어 있고, 유화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붙지 않고 피부 사용감이 우수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특히 피부(두피를 포함함)에 적용되는 화장료나 피부(두피를 포함함) 외용의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 등의 외용제로서 유용하다. 특히 전해질로서 아데노신 1인산(AMP)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할 경우, 상기 AMP 또는 그의 염의 작용에 기초하여 보습 효과, 건조 및 노화의 방지, 거친 피부의 개선에 우수한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의약품, 의약부외품)로서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을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의 외용제로서 조제할 경우, 그 형태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유액, 현탁액 및 크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로서 구체적으로는, 연화(emollient) 유액, 밀크 로션, 영양(nourishing) 유액, 클렌징 유액 등의 유액; 연화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크림, 메이크업 크림 등의 크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들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피부 환부의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1회 당 적당량 또는 1일 당 적당 회수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2) 전해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본 발명은 또한 전해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전술한 전해질, 수분 및 유분에 더하여, 전술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하여, O/W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조성물에 더욱 높은 유화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성분에 더하여 다가 알코올을 더 배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해질을 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7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최종 O/W형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바람직하게는 0.1∼5.5중량%의 비율;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바람직하게는 0.1∼0.5중량%의 비율;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0.3∼0.6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6중량%의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최종 O/W형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유분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3∼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이다. 또한 수분은, 상기 유분과 그 밖의 각종 성분 이외의 잔부를 차지하는 성분이며,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50∼90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의 비율이다.
또한, 유화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은, 양자를 합쳤을 경우 HLB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3이 되는 비율, 구체적으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중량비가 95:5 ∼ 60:40, 바람직하게는 90:10 ∼ 70:30이 되는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 알코올을 배합하는 경우, 그 비율로서 0.05∼15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안정 방법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배합 성분이 상기의 비율이 되도록 O/W형 유화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조제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1) 먼저,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에 유분, 바람직하게는 다가 알코올을 더 첨가하여 가온 교반하고, 균일하게 용해한 후, 냉각해서 비수 유화물을 조제한다.
2) 이어서, 수득한 비수 유화물에, 별개로 조제한 전해질, 수분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수계 조성물)을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유화해서 O/W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한다.
이와 같이 O/W형 유화 조성물을 조제함으로써, O/W형 유화 조성물에 유화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고, 온도 변화를 받기 쉬운 조건 하에서 장기간 보존하는 것에 의해 유발되는 유분의 분리가 현저히 억제되어 있고, 유화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분명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염, 유분 및 다가 알코올을 혼합하고, 가온하면서 용해한 후 냉각함으로써 균일한 비수 유화물을 조제했다. 이 비수 유화물에, 별개로 전해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다가 알코올 및 저급 알코올을 정제수(순수)에 용해하여 조제해 둔 수계 조성물(수용액)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실시예 1∼8)을 제조했다. 최종 조성물의 각 성분의 조성을 표1에 나타낸다.
조제한 8종류의 유화 조성물(실시예 1∼8)을 각각 2개의 투명 유리병에 나누어 담고, 한쪽은 60℃로 2주간 방치하고, 또한 다른 한쪽은 -5℃에서 40℃까지 범위의 온도로 사이클 시험(1사이클: 24시간)을 15회 반복한 후, 각각에 대해서 실험 종료 후의 유화 조성물의 외관 성상(분리, 오일 플로팅, 겔 형성의 유무)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의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판정 기준>
○: 분리, 오일 플로팅 및 겔 형성 중 어느 것도 관찰되지 않음.
×: 분리, 오일 플로팅 또는 겔 형성 중 어느 것이 관찰됨.
또한, 비교를 위해 상기 실시예 1∼8과 같은 방법으로, 표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카노일 유산염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비교예 1)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비교예 2)을 조제하여, 상기와 같은 보존 안정화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3의 유화 조성물에 대해 보존 안정화 시험을 행한 결과를 각각 표1 및 표2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3018012043-pct00001
Figure 112003018012043-pct00002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실시예4의 조성물과 같이 비교적 다량의 전해질을 함유하는 경우에도, 장기간 동안 온도 변화를 받기 쉬운 조건 하에서 보존하여도, 수상과 유상의 분리, 오일 플로팅 및 겔 형성 등 어느 것도 발생하지 않고, 안정된 유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비교예 2)은 장기간의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고, 또한 알카노일 유산을 함유하지 않는 유화 조성물(비교예 1)은 온도 변화에 의해 겔을 형성하고, 안정한 유화 상태를 유지하지 못했다.
처방예 1∼7 유액
상기 실시예에 따라, 실시예 1, 3∼8의 처방(표 1)으로 이루어지는 O/W형 유화 조성물을 유액(처방예 1∼7)으로서 조제한다.
처방예 8 로션(화장수)
DL-피롤리돈카르복시산 나트륨액 1.0 중량%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0.16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0.02
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0.02
α-올레핀 올리고머 0.5
정제 글리세린 2.0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0.5
에탄올 3.0
pH 조정제 적량
방부제 적량
순수 잔여량
합계 100.00중량%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스테아로일 유산 나트륨, α-올레핀 올리고머, 정제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혼합하고, 가온하면서 용해한 후 냉각함으로써 균일한 비수 유화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비수 유화물에, 별도로 조제한 DL-피롤리돈카르복시산 나트륨액,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및 에탄올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함으로써 로션(화장수)을 조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화가 일반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장기적인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질을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에 대해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의 생리 기능을 갖는 전해질의 작용을 효율적으로 발휘시켜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전해질 함유 O/W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전해질을 안정한 상태로 다량으로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제(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등으로서 유용하다. 특히 아데노신 1인산(AMP)이나 그의 염 등의 핵산 관련 물질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은, 상기 물질이 갖는 보습 작용이나 피부의 턴 오버 촉진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하고, 잔주름을 방지하여 피부에 탄력성을 주는 등, 피부의 노화 방지나 아름다운 피부를 만드는데 효과적인 화장료 나 피부외용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적인 유화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배합하는 전해질,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다가 알코올, 수분 및 유분 등의 각 성분의 종류나 배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유분의 정도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피부 사용감이 우수한 O/W형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O/W형 유화 조성물은, 특히 외용제, 예를 들면 피부화장료(두피 화장료를 포함함), 피부외용(두피를 포함함)의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6)

  1.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탄소수 5∼40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분, 및 탄화수소계 액상 유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및 프럭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가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이, 아데노신 1인산 또는 그의 염인
    O/W형 유화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가, 탄소수 10∼30의 알킬기를 갖는 것인
    O/W형 유화 조성물.
  12. 삭제
  13.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적어도 0.1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4.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0.5∼7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5.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을 1∼6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6.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유분을 0.3∼20중량%, 및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17.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이, 중량비로 95:5∼60:40인
    O/W형 유화 조성물.
  18. 제2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의 비율이, 중량비로 90:10∼70:30인
    O/W형 유화 조성물.
  19. 제2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을 더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
  20. 제2항에 있어서,
    피부 화장료 또는 피부 외용용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인
    O/W형 유화 조성물.
  21. 1)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 염, 탄화수소계 액상 유분, 및 필요에 따라서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및 프럭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비수(非水)조성물을 조제하는 단계;
    2)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수분 및 탄소수 5∼40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용액을 조제하는 단계; 및,
    3) 상기 비수 조성물과 수용액을 혼합해서 유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2)의 단계는, 저급 알코올 또는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및 프럭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가 알코올 중 어느 1종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용액을 조제하는 단계인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최종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1∼40중량%가 되는 비율로 비수 조성물을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조제 방법.
  24.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탄소수 5∼40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 및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및 프럭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가 알코올을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수분 및 탄화수소계 액상 유분을 함유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유분을 0.3∼2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100중량% 중, 폴리글 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0.05∼6중량%,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 염을 0.01∼1중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0.01∼0.8중량%, 및 필요에 따라서 다가 알코올을 0.05∼15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배합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26. 탄소수 12∼36의 지방산과 중합도 6~1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탄소수 8~18의 알카노일기를 갖는 알카노일 유산 또는 그의 염, 탄화수소계 액상 유분, 및 필요에 따라서 글리세린,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펜타디올, 소르비톨, 말티톨 및 프럭토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비수 조성물과, 아데노신-3',5'-환상 인산, 아데노신 1인산, 아데노신 2인산, 아데노신 3인산, 및 이들의 염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1종의 퓨린계 핵산 관련 물질, 수분 및 탄소수 5∼40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알킬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혼합해서 유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O/W형 유화 조성물의 유화 안정 방법.
KR1020037006877A 2000-11-22 2001-11-22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 KR100655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5997 2000-11-22
JPJP-P-2000-00355997 2000-11-22
PCT/JP2001/010230 WO2002041853A1 (fr) 2000-11-22 2001-11-22 Composition emulsifiante d'huile dans l'eau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264A KR20030059264A (ko) 2003-07-07
KR100655834B1 true KR100655834B1 (ko) 2006-12-08

Family

ID=1882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877A KR100655834B1 (ko) 2000-11-22 2001-11-22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946436B2 (ko)
EP (1) EP1342462B1 (ko)
KR (1) KR100655834B1 (ko)
CN (1) CN100341486C (ko)
AT (1) ATE359060T1 (ko)
AU (2) AU2407902A (ko)
BR (1) BR0115582A (ko)
CA (1) CA2429486C (ko)
DE (1) DE60127861T2 (ko)
DK (1) DK1342462T3 (ko)
ES (1) ES2282325T3 (ko)
HK (1) HK1060513A1 (ko)
PT (1) PT1342462E (ko)
TW (1) TWI285552B (ko)
WO (1) WO2002041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0218B2 (ja) * 2001-09-14 2013-02-06 有限会社コヒーレントテクノロジー 表面洗浄・表面処理に適した帯電アノード水の製造用電解槽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使用方法
CA2468856C (en) * 2001-12-05 2011-07-26 Osao Sumit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egative and positive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orp) water
AU2003234818B8 (en) * 2002-05-20 2009-03-26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hloasma amelioration composition and dullness amelioration composition
CA2485941C (en) * 2002-05-31 2011-02-01 Accentus Plc Production of 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high intensity ultrasound
JP4129574B2 (ja) * 2002-08-06 2008-08-06 大塚製薬株式会社 老化防止剤
WO2005000039A1 (ja) * 2003-06-26 2005-01-0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ポリグリセリン脂肪酸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乳化または可溶化組成物
JP4145238B2 (ja) * 2003-12-04 2008-09-03 太陽化学株式会社 ポリグリセリン中鎖脂肪酸エステル含有組成物
US20050139808A1 (en) * 2003-12-30 2005-06-30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9168318B2 (en) 2003-12-30 2015-10-27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50196462A1 (en) * 2003-12-30 2005-09-08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Topical formulation containing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and method for using same
FR2869534B1 (fr) * 2004-04-30 2008-08-29 Oreal Composition detergente comprenant un tensioactif non ionique et un polymere anionique et utilisation pour proteger la couleur
CN1317060C (zh) * 2004-06-29 2007-05-23 武汉理工大学 高级脂肪酸乳化物的制备方法
JP4925579B2 (ja) * 2004-12-28 2012-04-25 大塚製薬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からなる固形組成物
WO2006102681A2 (en) * 2005-03-23 2006-09-28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Method of treating skin ulcers using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US9498548B2 (en) 2005-05-02 2016-11-22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Method of using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in dental applications
WO2007071448A2 (en) 2005-12-23 2007-06-28 Partnership & Corp. Technology Transfer Synthetic peptides for use as inhibitors of neurotransmitter secretion and as inducers of muscle relaxation
AU2007205861B2 (en) * 2006-01-20 2013-05-09 Oculus Innovative Sciences, Inc.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sinusitis with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US20070183995A1 (en) * 2006-02-09 2007-08-09 Conopco, Inc., D/B/A Unilever Compounds useful as agonists of A2A adenosine receptors, cosmetic compositions with A2A agonists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AU2009203355B2 (en) * 2008-01-11 2013-06-20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N102046184B (zh) * 2008-06-03 2013-05-08 大塚制药株式会社 乳脂状o/w型乳化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1023503B1 (ko) * 2008-06-09 2011-03-21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외용 조성물
BRPI1011886B1 (pt) 2009-06-15 2022-05-03 Invekra, S.A.P.I De C.V Solução antimicrobiana de baixo ph
US20120180695A1 (en) * 2009-09-29 2012-07-19 Akiko Itabashi O/w type emulsion ink composition for ballpoint pens
FR2955490B1 (fr) * 2010-01-25 2012-06-15 Sicaf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sous forme de gel, pour application topique
DE102011005232A1 (de) * 2011-03-08 2012-09-13 AristoCon GmbH & Co. KG Adenosin und seine Derivate zur Verwendung in der Schmerztherapie
BR112014025468B1 (pt) * 2012-05-15 2020-04-07 Kao Corp composição cosmética para cabelo
US20130309363A1 (en) * 2012-05-16 2013-11-21 Robert Davidson Oral Colloidal Electrolyte Solution and Related Methods
CN103113997B (zh) * 2013-03-11 2014-10-29 河南正通化工有限公司 一种食品级洗洁精及其制备方法
JP6293459B2 (ja) * 2013-11-15 2018-03-14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CN107106435A (zh) * 2014-12-24 2017-08-29 莱雅公司 化妆品冲洗式皮肤护理组合物和使用其的化妆方法
WO2020217503A1 (ja)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高粘度乳化組成物
WO2020217499A1 (ja)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低粘度乳化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913A (en) * 1978-09-25 1986-08-19 Lever Brothers Company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EG19610A (en) * 1990-10-12 1995-07-27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FR2668366B1 (fr) * 1990-10-30 1993-01-29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d'une composition ayant une activite antierythemale et composition correspondante.
JPH0899860A (ja) * 1994-09-30 1996-04-16 Kose Corp 皮膚外用剤
DE19545107A1 (de) * 1995-12-04 1997-06-05 Beiersdorf Ag Verwendung eines wirksamen Gehaltes an Adenosi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JPH09295915A (ja) 1996-04-26 1997-11-18 Kikkoman Corp 皮膚化粧料
JP3142245B2 (ja) * 1996-06-28 2001-03-07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US5911981A (en) * 1997-10-24 1999-06-15 R.I.T.A. Corporation Surfactant blends for generating a stable wet foam
JPH11269049A (ja) * 1998-03-23 1999-10-05 Yakult Honsha Co Ltd O/wエマルション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H11276881A (ja) * 1998-03-27 1999-10-12 Nippon Surfactant Kogyo Kk 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からなる化粧料
AU6333499A (en) * 1998-10-14 2000-05-01 Cognis Deutschland Gmbh Use of nanoscale sterols and sterol esters
JP2000256188A (ja) 1999-03-10 2000-09-19 Nikko Chemical Co Ltd 乳化組成物
JP2001199872A (ja) * 1999-11-10 2001-07-24 Nikko Chemical Co Ltd セラミド配合化粧品添加物および化粧品
JP2002056188A (ja) * 2000-08-10 2002-02-20 Olympus Optical Co Ltd 生命保険の処理システム及び生命保険の処理方法
US6716419B2 (en) * 2001-06-05 2004-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seudoplastic, film forming cosmetic compositions
US6783766B2 (en) * 2002-03-06 2004-08-3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eparing a cosmetic for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1342462E (pt) 2007-06-29
BR0115582A (pt) 2004-01-06
AU2407902A (en) 2002-06-03
DE60127861T2 (de) 2007-12-20
ES2282325T3 (es) 2007-10-16
EP1342462B1 (en) 2007-04-11
DE60127861D1 (de) 2007-05-24
TWI285552B (en) 2007-08-21
KR20030059264A (ko) 2003-07-07
CN100341486C (zh) 2007-10-10
EP1342462A1 (en) 2003-09-10
US20040029761A1 (en) 2004-02-12
EP1342462A4 (en) 2004-09-22
US6946436B2 (en) 2005-09-20
AU2002224079B2 (en) 2006-11-16
CA2429486C (en) 2011-01-04
DK1342462T3 (da) 2007-08-06
ATE359060T1 (de) 2007-05-15
WO2002041853A1 (fr) 2002-05-30
CA2429486A1 (en) 2002-05-30
HK1060513A1 (en) 2004-08-13
CN1476318A (zh)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834B1 (ko)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조제 방법
KR101154693B1 (ko) 크림상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ES2726452T3 (es) Cosmético para la piel en emulsión de tipo aceite en agua
JP4425127B2 (ja) 肝斑改善用組成物及びくすみ改善用組成物
JP620943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3994257B2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4164683B2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CN108697603B (zh) 乳化化妆料
JP2019202960A (ja) 油性化粧料
CN115989015A (zh) 油包水乳剂形式的进化性质地的化妆品组合物
JP2021011459A (ja) 乳化化粧料組成物
JP2022150080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