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850B1 -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850B1
KR100653850B1 KR1020050074145A KR20050074145A KR100653850B1 KR 100653850 B1 KR100653850 B1 KR 100653850B1 KR 1020050074145 A KR1020050074145 A KR 1020050074145A KR 20050074145 A KR20050074145 A KR 20050074145A KR 100653850 B1 KR100653850 B1 KR 10065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plate
bone
alveolar bone
ar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7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약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임플란트 고정체를 임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치조골 부위가 심하게 손상되어 질적, 양적으로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도록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이 회복되기 위한 일정기간 동안 임시로 지지하기 위한 티타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취약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는 판형상이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일렬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가 긴 양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아암부의 단부에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 또는 악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된 커버스크류와 상기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 아암부, 바디부, 스크류, 치조골

Description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 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AUGMENTATION PLATE FOR STABILIZING DENTAL IMPLANT FIXTURES AND BONE GEN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에 있어서, 바디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의 개수가 다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a 내지 도 9i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종래기술에 의한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부 12 아암부
14 관통구멍 16 연결편
본 발명은 취약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임플란트 고정체를 임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치조골 부위가 심하게 손상되어 질적, 양적으로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도록 골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동시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이 회복되기 위한 일정기간 동안 임시로 지지하기 위한 티타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골 재생의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에 양호한 골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골량의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임플란트 지지체와 재생된 골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거되기 위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외과적으로 설치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에 골결합이 이루어지면, 임플란트 고정체에 상부 보철물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에 얼마나 양호한 골결합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달려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의 양호한 골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임플란트 고정체가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는 동안 임플란트 고정체의 동요가 없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플란트 고정체를 질적, 양적으로 충 실한 골내에 식립하여야 한다.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고정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골의 양이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골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부족한 환자들이 많으므로 치조골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골증강시술들이 시도되고 있다. 골증강시술 중 하나의 시술법으로 골편을 치조골부에 부가하여 골의 양을 늘리고 골질을 향상시켜서 임플란트 고정체를 지지할 골을 복원하는 시술이 있다.
한편, 발명의 명칭이 “치과용 임플란트와 그 식립방법”이고, 1991년 10월 1일자로 공고된 미국특허 제5052930호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치조골에 복수의 스크류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가 공개되어 있다(이하, 로데 임플란트(Lodde Implant)라고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로데 임플란트는 중앙의 허브에 포스트(80)가 상방으로 형성되고, 허브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가지(82)가 형성되며, 상기 가지(82)의 단부에는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로데 임플란트는 스크류(86)로 가지(82)를 치조골에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치조골이 심각하게 손상된 환자에게는 시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임플란트 자체의 크기가 크며 구조가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우며, 설치 후 환자가 이물감을 크게 느끼고, 구강 내로 원하지 않는 노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구강점막을 봉합 후에 음식물 섭취시 임플란트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가지(82)가 움직이면서 구강점막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취약한 치조골을 갖는 환자에게 로데 임플란트와 같이 치조골에 고정되기 위한 가지를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임플란트를 견고하게 시술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종래의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골재생시술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에 따라서 골재생시술을 행할 수 없을 정도로 취약한 치조골을 갖는 환자가 있어서,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심하게 손상되어 취약한 치조골에 대하여 골증강시술과 임플란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을 대신하여 임시로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는 골증강 시술과 임플란트 시술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임시 지지플레이트를 증대 플레이트(AUGMENTATION PLATE)라고 정의한다. 상기 증대 플레이트는 심각하게 흡수가 일어난 치조골에 대하여 골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골 증대 및 임플란트-골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상기에 설명된 로데 임플란트와는 발명의 목적이 서로 다르다. 로데 발명은 구강 내에 영구히 고정되는 임플란트 자체에 관한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은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치조골을 갖는 환자에게 골증강(재생)시술과 전통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를 임시로 지지하면서 골재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골증강에 의하여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에는 제거되도록 되어 있어서, 마찰에 의한 염증이나, 원 하지 않는 구강내 노출, 이물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지플레이트는 치조골 뿐만 아니라 악골에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취약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는 판형상이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일렬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가 긴 양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아암부의 단부에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 또는 악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된 커버스크류와 상기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티타늄(Titanium)재질이며, 마이크로 스크류에 의해서 악골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고 커버스크류에 의해 임플란트 고정체와 서로 결합되므로 임플란트 고정체가 동요하지 않게 되어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에 양호한 골결합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식립할 수 있으므로 치조골흡수에 저항적이며, 임플란트의 유지 및 치태의 관리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를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골표면상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치조골의 심각하게 손상되어 치조골이 취약한 환자에게도 임플란트 시술을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치조골에 골재생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골이식과 임플란트 시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수술횟수와 전체 임플란트 시술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 한, 임플란트 고정체가 골결합이 완료되면 구강으로부터 제거가 가능하므로 구강 내부의 점막에서 발생되는 염증을 미연에 방지하며 미관도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부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은 길이가 긴 장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공형상의 관통구멍은 원하는 위치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 간의 거리를 임으로 조정할 수 있고, 임플란트 사이의 전후관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부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오프셋 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의 관통구멍은 소구치부위 사이와 대구치부위 사이의 자연치의 구치배열에 부합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의 관통구멍이 오프셋 된 간격은 성인의 해부학적 구강구조를 고려하여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암부는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가 타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길이가 긴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협측으로 연장되고, 길이가 짧은 타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구개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해부학적 구조에 부합하여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 중 중간에서 연장된 아암부가 양측에서 연장된 아암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일측면의 중간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상악골의 관골돌기에 플레이트를 마이크로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손상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일정기간 동안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판형상이고,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아암부의 단부에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 또는 악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된 커버스크류와 상기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플레이트는 치조골이 심각하게 결손된 환자의 경우에도 플레이트를 골표면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대하여 바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손상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일정기간 동안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길이가 긴 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12)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판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4개의 관통구멍(14)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4개의 관통구멍(14) 중 2개의 관통구멍(14)은 오프셋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14)의 단면은 원형이며, 관통구멍(14) 사이에는 연결편(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14)은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관통구멍(14)이 결손 치아상에 위치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4개의 관통구멍(14)중 2개의 관통구멍 (14)은 소구치부위에 2개의 관통구멍(14)은 대구치부위에 해당한다.
아암부(12)는 바디부(10)의 관통구멍(14) 사이의 연결편(16)의 측면에서 연장된다. 상기 아암부(12)는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짧은 3개의 아암부(1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3개의 아암부(18b)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1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9a)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짧은 아암부(18b)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에 있어서, 바디부(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12)의 개수가 다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바디부(10)는 6개의 관통구멍(14)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14)의 단면은 원형이며, 관통구멍(14) 사이에는 연결편(16)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2)는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짧은 5개의 아암부(1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5개의 아암부(18b)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1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9a)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가 짧은 아암부(18b)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1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플레이트는 바디부(20)와, 상기 바디부(20)의 길이가 긴 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22)를 포함한다.
바디부(20)는 판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4개의 관통구멍(24a, 24b)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24a, 24b)의 단면은 원형이며, 관통구멍(24a, 24b) 사이에 연결편(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24a, 24b)은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관통구멍(24a, 24b)이 결손 치아상에 위치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4개의 관통구멍(24a, 24b) 중 2개의 관통구멍(24a)는 소구치부위에 나머지 2개의 관통구멍(24b)은 대구치부위에 해당하고, 소구치부위에 해당하는 관통구멍(24a)과 대구치부위에 해당하는 관통구멍(24b)는 1㎜ 내지 2㎜ 오프셋되도록 형성하여 해부학적 구조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아암부(22)는 관통구멍(24a, 24b) 사이의 연결편(26)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아암부(22)는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짧은 3개의 아암부(2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3개의 아암부(28b, 28c)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짧은 아암부(2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2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28b, 28c)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29b, 29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28b, 28c) 중 중간에서 연장하는 아암부(28c)는 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9c)을 통과하는 마이크로 스크류가 상악골의 관골돌기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서 연장하는 아암부(28b)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플레이트는 바디부(30)와, 상기 바디부(30)의 길이가 긴 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32)를 포함한다.
바디부(30)는 판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2개의 관통구멍(34a, 34b)이 형성된 다. 상기 관통구멍(34a, 34b)은 장공으로, 관통구멍(34a, 34b) 사이에는 연결편(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34a, 34b)은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관통구멍(34a, 34b)이 결손 치아상에 위치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구멍(34a, 34b)은 소구치부위와 대구치부위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오프셋되어 형성된다. 관통구멍(34a, 34b)의 오프셋 간격은 성인의 치아구조를 해부학적으로 고려할 때 1㎜내지 2㎜이다.
아암부(32)는 관통구멍(34a, 34b)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36)과 관통구멍(34a, 34b) 각각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아암부(32)는 플레이트를 악골에 설치할 때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길이가 짧은 아암부(3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3개의 아암부(38b, 38c)로 구성된다. 상기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짧은 아암부(3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3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협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길이가 긴 아암부(38b, 38c)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39b, 39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길이가 긴 아암부(39b, 39c) 중 연결편(36)에서 연장하는 중앙의 아암부(39c)는 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39c)을 통과하는 마이크로 스크류에 의해 상악골의 관골돌기 부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양측에서 연장되는 아암부(39b)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플레이트는 바디부(40)와, 상기 바디부(40)의 길이가 긴 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42)를 포함한다.
바디부(40)는 판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2개의 관통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4)은 장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44)은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관통구멍(44)이 결손 치아상에 위치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아암부(42)는 관통구멍(44)의 측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하며, 관통구멍(44) 사이에는 연결편(46)이 형성된다. 상기 아암부(42)는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길이가 짧은 아암부(4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길이가 긴 아암부(48b)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짧은 아암부(4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4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가 긴 아아암부(48b)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4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플레이트는 바디부(50)와, 상기 바디부(50)의 길이가 긴 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52)를 포함한다.
바디부(50)는 판형상이며,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54a, 5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54a, 54b)은 중간에 배치되는 장공형상의 관통구멍(54a)과 양측에 위치하는 원형의 관통구멍(54b)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54a, 54b)은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관통구멍(54a, 54b)이 결손 치아상에 위치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아암부(52)는 관통구멍(54a, 54b) 사이에 형성된 연결편(56)과 관통구멍(54b)의 측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아암부(52)는 플레이트를 설치할 때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5개의 길이가 짧은 아암부(5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3개의 길이가 긴 아암부(58b)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짧은 아암부(5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5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58b)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5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디부(60)와, 상기 바디부(60)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62)를 구비한다.
바디부(60)는 판형상이며 중앙에 관통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64)은 원형이다. 아암부(62)는 바디부(60)의 측면에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레이트의 설치시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짧은 아암부(6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아암부(68b)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짧은 아암부(6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6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68b)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6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디부(70)와, 상기 바디부(70)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72)를 구비한다.
바디부(70)는 판형상이며 중앙에 원형의 관통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의 양측면에는 돌출편(76)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72)는 바디부(70) 양측면의 돌출편(76) 단부에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플레이트의 설치시 구개측으로 연장하는 짧은 아암부(78a)와 협측으로 연장하는 길이가 긴 아암부(78b)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가 짧은 아암부(78a)는 단부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7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가 긴 아암부(78b)는 단부와 중간에 마이크로 스크류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79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내지 도 9i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a는 심각한 치조골 결손이 일어난 치조제부위의 점각을 절개한 도면으로서, 치조골이 손상된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상기 도 9a와 같이 치조골이 손상된 상태에서도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문제부위에 대하여 구강점막을 절개하고, 골 증대 및 임플란트 설치가 필요한 부위에 대하여 골을 노출시킨다. 골이 노출되면 플레이트를 결손 치조제부위 상에 위치시키고,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플레이트 아암부(18b)의 작은 구멍에 마이크로 스크류(s)를 삽입한 후 치조골에 체결하여 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임플란트 고정체(f)를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바디부의 관통구멍(14)을 통과하면서 악골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커버스크류(c)가 도 9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의 바디부의 관통구멍(14)을 통과하면서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f)와 체결되도록 한다. 이 때, 커버스크류(c)의 헤드부는 플레이트 바디부(10)의 면에 밀착되어 커버스크류(c)에 의해 임플란트 고정체(f)와 플레이트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절개된 구강점막을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하는 데, 구강점막을 봉합하기 전에 결손부위 주변으로 치조골이 부족하거나 손실되었을 경우 도 9e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골편(p)을 치조골 결손부위에 이식하여 치조골을 복원하는 골 증강수술을 한다.
다음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플란트 고정체(f)와 치조골 사이에 골결합이 이루어지면, 구강점막을 다시 절개하고 도 9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플란트 고정체(f)에 체결된 커버스크류(c)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커버스크류(c)를 제거하면 플레이트와 임플란트 고정체(f)는 단순히 접촉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플레이트 아암부에 체결된 마이크로 스크류를 제거한 후, 플레이트를 구강의 밖으로 뻬낸다. 도 9h는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플레이트는 제거되고 임플란트 고정체(f)를 볼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i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프란트 고정체(f)에 보철물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악골에 고정되고 커버스크류에 의해 임플란트 고정체와 체결되므로 임플란트 고정체가 동 요하지 않게 되어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 사이에 양호한 골결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는 임플란트 고정체와 치조골의 골결합이 완성되면 바디부의 관통구멍에 체결된 커버스크류와 아암부의 관통구멍에 체결된 마이크로 스크류를 풀어서 제거한 후 플레이트를 구강의 외부로 빼내고 보철물을 설치하므로 임플란트 시술 후 구강점막의 내부에 염증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플레이트는 치조골의 심각하게 손상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고정체를 치조골에 대하여 초기고정을 얻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고정체가 식립과 동시에 골 증강시술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치조골이 손상된 환자의 임플란트 전체의 치료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심각하게 흡수가 일어난 치조골에 대하여 골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골 증대 및 임플란트-골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골증강에 의하여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에는 제거되도록 되어 있어서, 마찰에 의한 염증이나, 원하지 않는 구강내 노출, 이물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지플레이트는 치조골 뿐만 아니라 악골에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바디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설치함으로써 바른 위치에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며, 동시에 긴 장공형상의 플레이트를 이용하면 임플란트 고정체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임플란트 서로간의 전후관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바디부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므로 플레이트의 설치시 바디부의 관통구멍의 위치가 소구치부와 대구치부의 형상에 부합하므로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암부는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타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보다 길이가 길어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협측으로 연장되고, 길이가 짧은 타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구개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해부학적 구조에 부합하여 더욱 견고하게 플레이트를 악골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플레이트는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중 중간의 아암부에서 연장된 아암부가 양측에 아암부에서 연장된 아암부보다 길이가 길어 일측면의 중간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상악골의 관골돌기 부위에 플레이트를 마이크로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취약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로서,
    판형상이고, 복수의 관통구멍이 일렬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가 긴 양측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아암부의 단부에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 또는 악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된 커버스크류와 상기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은 길이가 긴 장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오프셋 되어 배치된 상기 바디부의 관통구멍은 오프셋 된 간격이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타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에서 연장된 아암부 중 가운데에서 연장된 아암부는 상악골 관골돌기에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양측에서 연장된 아암부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7. 취약한 치조골에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로서,
    판형상이고,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서 각각 연장된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아암부의 단부에는 마이크로 스크류를 이용하여 치조골 또는 악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된 커버스크류와 상기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고정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임플란트 고정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플레이트.
KR1020050074145A 2005-08-12 2005-08-12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KR10065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45A KR100653850B1 (ko) 2005-08-12 2005-08-12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45A KR100653850B1 (ko) 2005-08-12 2005-08-12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850B1 true KR100653850B1 (ko) 2006-12-05

Family

ID=3773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45A KR100653850B1 (ko) 2005-08-12 2005-08-12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559B1 (ko) * 2013-06-05 2015-07-31 김진홍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930A (en) 1989-11-22 1991-10-01 Lodde Jean Pierr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5769637A (en) 1996-05-22 1998-06-23 Sofamor Danek Properties, Inc. Dental implant and alveolar process augmentation structu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5853291A (en) 1997-10-10 1998-12-29 Devincenzo; John Subperiosteal bone anchor
KR20030031580A (ko) * 2001-10-15 2003-04-23 김수관 치아고정구
JP2004313488A (ja) 2003-04-16 2004-11-11 Hirotoshi Maed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060002492A (ko) * 2004-07-02 2006-01-09 박상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930A (en) 1989-11-22 1991-10-01 Lodde Jean Pierr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US5769637A (en) 1996-05-22 1998-06-23 Sofamor Danek Properties, Inc. Dental implant and alveolar process augmentation structu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5853291A (en) 1997-10-10 1998-12-29 Devincenzo; John Subperiosteal bone anchor
KR20030031580A (ko) * 2001-10-15 2003-04-23 김수관 치아고정구
JP2004313488A (ja) 2003-04-16 2004-11-11 Hirotoshi Maed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060002492A (ko) * 2004-07-02 2006-01-09 박상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559B1 (ko) * 2013-06-05 2015-07-31 김진홍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0758B2 (ja) 骨上歯科インプラント
US20080081315A1 (en) Dr. Seoung Ho Lee&#39;s augmentation plates for stabilizing dental implant fixtures
KR100337832B1 (ko)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DK2699194T3 (en) Healing STIFT SYSTEM KNOGLEKONTURERING
US5906489A (en) Temporary dental implant
EP0133194A2 (en) Oral implant for oversized dental support openings
US200801080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s
KR20110035480A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203825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2011104222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54055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KR101292839B1 (ko) 나사 구멍이 경사진 임플란트
KR100653850B1 (ko) 취약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임플란트고정체의 고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US8323022B2 (en) Instant dental bridge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KR20090107508A (ko) 인공 치경 및 이뿌리
KR20220021668A (ko) 골형성단백질 전달제
WO2017174403A1 (en) Dental implant plate
KR1015734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US20230372067A1 (en) Dental implant for preserving bone and improving osseointegration
KR100935299B1 (ko) 즉시 고정이 가능한 환자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ITRM20120015A1 (it) Barrette di materiale biocompatibile atte ad impedire il riassorbimento dei picchi ossei interdentali in seguito a procedure odontoiatriche e o a malattie parodontali
RU2284791C1 (ru) Челюстной имплантат
JP2007252836A (ja) 歯科コンポーネント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