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629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629B1
KR100653629B1 KR1020060005247A KR20060005247A KR100653629B1 KR 100653629 B1 KR100653629 B1 KR 100653629B1 KR 1020060005247 A KR1020060005247 A KR 1020060005247A KR 20060005247 A KR20060005247 A KR 20060005247A KR 100653629 B1 KR100653629 B1 KR 10065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oncrete structure
concrete
bas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환
박종섭
정우태
유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0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긴장력을 가하여 보강할 목적으로 긴장재를 설치하여 긴장함에 있어서, 구조물 단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종래의 긴장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긴장재를 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긴장재(102)를 긴장시키는 긴장장치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2, 212)와, 상기 베이스(12, 212)의 하부에서 상기 긴장재(102)의 단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부재(20, 220)와, 상기 베이스(12, 212)의 상부에 상기 긴장재(102)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2, 212)에 형성된 개구부(16)를 통해 상기 클램핑 부재(20, 22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이동부재(22, 222)와, 상기 긴장재(102)가 긴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22, 222)가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30, 230)와, 상기 이동부재(30, 230)가 이동되는 경우에,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50, 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면 위에서 보강용 긴장재(102)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긴장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102)를 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가 제공된다.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구조, 긴장재, 긴장장치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 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Jack Apparatus for Near Surface Mounted Reinforcements}
도 1a 내지 1d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예로서 콘크리트 빔을 보강하는 보강구조를 시공하는 각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장장치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략하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0...긴장장치 12, 212...베이스
20, 220...클램핑 부재 22, 222...이동부재
30, 230...가압부재 40, 240...축부재
50...위치고정부재 60, 260...마감판
62, 262...지지판 100...콘크리트 빔
102...긴장재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할 목적으로 긴장재를 설치하고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경우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면 위에서 보강용 긴장재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긴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를 긴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종래의 긴장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긴장재를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된 긴장재도 표면에서 인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해오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 외면에 돌출 설치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강선을 긴장시킴으로써 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보강구조를 새로이 개발하였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자가 새로이 개발한 보강구조를 시행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우선,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예로서 콘크리트 빔 (100)에서 보강이 필요한 부분의 외면에 소정 깊이로 오목홈(101)을 형성한다. 오목홈(101)을 형성한 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101)에 긴장재(102)를 삽입하고, 콘크리트 빔(100)의 단부에 설치된 긴장장치(103)를 이용하여 긴장재(102)를 긴장시킨다. 긴장재(102)를 긴장시킨 후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홈(101)에 충진재(104)를 충진하여 긴장재(102)가 충진재(104) 속에 완전히 매립되도록 한다. 충진재(104)가 소정 강도 이상으로 양생되면 긴장장치(103)로부터 긴장재(102)를 해체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 긴장재(102)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강을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새로운 보강구조를 시행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구조물 단부에 긴장장치를 설치할 수 없어서 위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를 적용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교량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주형 간의 간격이 극히 협소하므로, 콘크리트 주형 사이에는 긴장장치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새로운 보강구조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새로운 보강구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보강구조의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가 아닌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면에서, 긴장재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긴장재를 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의 콘크리트 주형과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상기한 본 발명자의 새로운 보강구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긴장재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측에 위치한 경우에도 긴장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서 용이하게 인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긴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긴장장치로서, 오목홈의 단부 위쪽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긴장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부재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상기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클램핑 부재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긴장재가 긴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되는 경우에,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면 위에서 보강용 긴장재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긴장재의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상부에는 상기 긴장재와 수직하게 마감판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부에는 상기 마감판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그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마감판과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부를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이동부재 및 클램핑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감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부재의 단부에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마감판의 외측에 상기 가압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판을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판과 지지판 사이의 상기 축부재에는 이동너트가 체결되어, 이동부재 및 클램핑 부재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긴장장치(10)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예인 콘크리트 빔(10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긴장장치(10)의 안쪽을 도시하기 위하여 한쪽 측벽(66)이 일부 절단되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보강구조, 즉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빔(100)의 보강 대상면(110)에 소정 깊 이로 오목홈(101)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101)에는 긴장력을 가하기 위한 긴장재(102)를 배치하는 보강구조에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장치(10)의 구조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긴장장치(10)가 적용되는 보강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긴장장치(10)는 콘크리트 빔(100)에 형성된 오목홈(101)의 단부 위쪽에서 보강 대상면(110)에 고정되는 베이스(12)를 포함한다. 베이스(12)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되는데, 고정앵커(14)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보강 대상면(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베이스(12)의 중앙부에는 개구부(16)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동부재(22)와 클램핑 부재(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4)가 개구부(16)를 관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베이스(12)의 상부에는 이동부재(22)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이동부재(22)는 콘크리트 빔(100)의 오목홈(101)에 삽입된 긴장재(102)와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2)의 일측부에는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축부재(40)가 설치된다.
축부재(40)는 베이스(12)의 상부에 긴장재(102)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마감판(60)을 관통하도록 위치한다. 축부재(4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축부재(40)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너트로 이루어진 위치고정부재(50)가 체결되어 이동부재(22)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마감판(60)의 관통홀(61)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축부재(40)는 마감판(60)의 관통홀(61)을 관통하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 재(22)는 축부재(40)에 의해 정확하게 직선을 따라 긴장재(102)와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부재(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102)의 단부와 견고하게 연결되는 클램핑 부재(20)와 연결된다. 클램핑 부재(20)는 베이스(12)의 하부에서, 콘크리트 빔(100)에 형성된 오목홈(101)의 단부에 위치하며, 오목홈(101)에 삽입된 긴장재(102)의 단부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클램핑 부재(20)는 베이스(12)의 개구부(16)를 관통하는 연결부재(24)에 의해 이동부재(22)와 연결되어 이동부재(22)와 서로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부재(2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클램핑 부재(20)도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긴장재(102)를 긴장시키게 된다.
한편, 가압부재(30)는 이동부재(22)가 베이스(12)의 상부에서 이동하도록 가압하게 된다. 도 2를 다시 살펴보면, 가압부재(30)는 베이스(12)의 상부에서 마감판(60)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지지판(62)에 고정되며, 이동부재(22)의 타측부를 가압하여 이동부재(2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30)의 구동에 의해, 이동부재(22)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이동부재(22)와 연동하는 클램핑 부재(20)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램핑 부재(20)에 연결된 긴장재(102)를 긴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0)로는 예를 들어, 통상의 유압 잭(jack)이 채용될 수 있는데, 이미 당업계에서 다수가 공지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40)의 표면에는 나사 산(42)이 형성되고, 너트로 이루어진 위치고정부재(50)가 축부재(40)의 단부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너트(50)는 축부재(40)를 따라 체결되어 마감판(60)의 외면에 접촉하게 된다.
유압 잭(30)의 신장에 의해 이동부재(2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부재(22)에 설치된 축부재(40)는 마감판(60)의 관통홀(61)을 관통하여 더욱 돌출하게 되며, 축부재(40)에 체결된 너트(50)는 마감판(60)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클램핑 부재(20) 및 이동부재(22)에는 긴장재(102)에 의해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너트(50)를 축부재(40)를 따라 마감판(60)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너트(50)를 위치시키면, 유압 잭(30)을 제거하더라도 너트(50)로 인하여 축부재(40) 및 이동부재(22)가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긴장재(102)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긴장장치(1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제안한 새로운 보강구조를 시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콘크리트 빔(100)의 보강 대상면(110)에 형성된 오목홈(101)에 긴장재(102)를 삽입하고, 긴장재(102)의 단부에 클램핑 부재(20)를 견고하게 연결시킨다. 클램핑 부재(20)를 긴장재(102)에 연결한 다음, 베이스(12)를 고정앵커(14)에 의해 보강 대상면(110)의 상부에 고정한다. 이 경우, 클램핑 부재(20)가 베이스(12)에 형성된 개구부(16)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20)를 정확히 고정한다.
베이스(12)를 고정한 다음, 작업자는 클램핑 부재(20)와 이동부재(22)를 서 로 연결하고, 이동부재(22)와 지지판(62) 사이에 유압 잭(30)을 설치한다. 이어서, 이동부재(2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마감판(60)을 관통하는 축부재(40)의 단부에 너트(50)를 체결한다. 작업자는 너트(50)가 마감판(60)의 외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너트(50)를 체결한 다음, 작업자는 유압 잭(30)을 신장시켜 이동부재(22)를 가압하여, 이동부재(22) 및 클램핑 부재(20)를 이동시킴으로써, 긴장재(102)를 원하는 정도로 긴장시킨다. 긴장재(102)를 긴장시킨 다음, 이동부재(22)에 설치된 축부재(40)의 이동에 의해 마감판(60)에서 떨어진 너트(50)를 마감판(60)에 접촉할 때까지 축부재(4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너트(50)를 위치시키면, 유압 잭(30)을 제거하더라도 너트(50)로 인하여 축부재(40) 및 이동부재(22)가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긴장재(102)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너트(50)에 의해 이동부재(22)를 고정한 다음, 작업자는 유압 잭(30)을 제거하고, 클램핑 부재(20)가 위치하는 단부를 제외한 콘크리트 빔(100)의 오목홈(101)을 충진재로 충진하여, 소정강도로 양생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긴장장치(10)를 제거하고, 오목홈(101)의 단부를 충진재로 마감하여 콘크리트 빔(100)의 보강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긴장장치는 그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데 도 4에는 본 발명의 긴장장치를 변형한 변형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긴장장치(200)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빔을 생략하였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판(262)이 마감판(260)을 관통하여 돌출된 축부재(240)의 단부에 설치되고, 축부재(240)의 말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70)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유압 잭(230)은 마감판(260)의 외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지지판(262)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마감판(260)과 지지판(262) 사이의 축부재(240)에는 이동너트(250)가 체결된다. 이동너트(250)는 마감판(26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축부재(240)에 체결된다. 전술한 구성 이외의 기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유압 잭(230)이 신장하여 지지판(262)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지지판(262)은 고정너트(270)에 의해 축부재(2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판(262)과 함께 축부재(240), 이동부재(222) 및 클램핑 부재(240)가 함께 이동을 하여 긴장재(102)를 긴장시키게 된다. 또한, 유압 잭(230)의 구동에 의해 축부재(240)가 마감판(260)을 관통하여 더 돌출된 경우, 이동너트(250)를 마감판(25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다시 이동시켜서 축부재(240) 및 이동부재(222)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경우, 가압부재(230)를 제거하더라도, 고정너트(250)에 의해 축부재(240)가 고정되므로, 긴장재(102)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빔(도 2 참조, 100)의 오목홈(도 2 참조, 101) 내에 삽입된 긴장재(102)의 단부에 클램핑 부재(220)를 견고하게 연결한 후, 긴장재(102)의 단부에 연결된 클램핑 부재(220)를 이동부재(222)와 연결시킨다. 이어서, 이동부재(222)의 일측부에 설치된 축부재(240)에 이동너트(250)를 체결하여 마감판(26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이동시키고, 지지판(262)을 축부재(240)의 단부에 설치하고 고정너트(270)에 의해 고정한다. 후속하여, 마감판(260)과 지지판(262) 사이에 유압 잭(230)을 설치한다. 유압을 가하여 유압 잭(230)을 신장시키면, 그에 따라 지지판(262)이 마감판(260)의 외측방향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지지판(262)은 고정너트(270)에 의해 축부재(2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판(262)과 함께 축부재(240)도 함께 이동을 하게 된다. 축부재(24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부재(222) 및 클램핑 부재(220)도 함께 이동을 하게 되어 긴장재(102)를 긴장시키게 된다.
긴장재(102)가 소정 정도로 긴장되면, 축부재(240)의 이동에 의해 마감판(260)에서 떨어진 이동너트(250)를 마감판(26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다시 축부재(24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유압 잭(230)을 제거하더라도 이동너트(250)로 인하여 축부재(240) 및 이동부재(222)가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긴장재(102)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자가 제안한 보강구조에 따라 클램핑 부재(220)가 위치하는 단부를 제외한 콘크리트 빔(100)의 오목홈(101)을 충진재를 충진하여, 소정강도로 양생한다. 이어서, 긴장장치(200)를 제거하고, 오목홈(101)의 단부를 충진재로 마감하여 콘크리트 빔(100)의 보강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긴장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대상면의 외측에서 긴장재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긴장재를 긴장할 수 있게 된다. 즉, 교량의 경우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부 공간이 협소하여 긴장재를 단부에서 긴장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긴장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용이하게 긴장재를 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긴장재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측에 위치한 경우에도 긴장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서 용이하게 인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가 새로이 제안한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강구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과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긴장재(102)를 긴장시키는 긴장장치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대상면(110)에 고정되는 베이스(12, 212)와,
    상기 베이스(12, 212)의 하부에서 상기 긴장재(102)의 단부에 연결되는 클램핑 부재(20, 220)와,
    상기 베이스(12, 212)의 상부에 상기 긴장재(102)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2, 212)에 형성된 개구부(16)를 통해 상기 클램핑 부재(20, 220)와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이동부재(22, 222)와,
    상기 긴장재(102)가 긴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22, 222)가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30, 230)와,
    상기 이동부재(30, 230)가 이동되는 경우에,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50, 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보강 대상면 위에서 상기 긴장재(102)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긴장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긴장재(102)를 긴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 212) 상부에서 상기 긴장재(102)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마감 판(60, 260)과,
    상기 마감판(60, 260)을 관통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2, 222)의 일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그 외주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재(40, 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마감판(60)과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12)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판(62)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22)의 타측부를 가압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50)는 상기 마감판(6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부재(40)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260)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축부재(240)의 단부에 설치되어, 고정너트(270)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판(2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230)는 상기 마감판(260)의 외측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262)을 가압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250)는 상기 마감판(260)과 지지판(262) 사이의 상기 축 부재(240)에 체결되는 이동너트(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긴장재의 긴장장치.
KR1020060005247A 2006-01-18 2006-01-18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KR10065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47A KR100653629B1 (ko) 2006-01-18 2006-01-18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47A KR100653629B1 (ko) 2006-01-18 2006-01-18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629B1 true KR100653629B1 (ko) 2006-12-05

Family

ID=3773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47A KR100653629B1 (ko) 2006-01-18 2006-01-18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62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082B1 (ko) 2010-03-08 201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1B1 (ko) 2010-03-08 201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1613B1 (ko) * 2010-03-08 2010-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1005347B1 (ko) 2008-11-13 2010-12-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KR101019176B1 (ko) * 2007-12-31 2011-03-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CN106149575A (zh) * 2016-08-22 2016-11-23 东南大学 预应力钢丝绳张拉***及方法
KR20170029848A (ko) 2015-09-08 2017-03-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CN108843037A (zh) * 2018-06-07 2018-11-20 桂林理工大学 一种预应力纤维布加固梁张拉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894547A (zh) * 2019-04-03 2019-06-18 贵州长通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张拉结构
CN114575619A (zh) * 2022-04-13 2022-06-03 安徽恩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框架梁预应力加固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471938B1 (ko) * 2021-12-22 2022-11-29 주식회사 도건 구조물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긴장재의 재긴장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포스트 텐셔닝 보강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42A (en) * 1987-06-26 1989-01-11 Shimizu Construction Co Ltd Prestressed concrete member using lattice like reinforcing bar and its production
JPH0913580A (ja) * 1995-06-27 1997-01-14 Sumitomo Electric Ind Ltd Pc鋼材の定着方法及び緊張用ジャッキ
JPH1179700A (ja) 1997-09-11 1999-03-23 P S Co Ltd 緊張ジャッキ
KR20040100805A (ko) * 2003-05-22 2004-12-0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 장치
KR20050091956A (ko) * 2004-03-13 2005-09-16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임시반력철물을 이용한 케이블장력 도입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42A (en) * 1987-06-26 1989-01-11 Shimizu Construction Co Ltd Prestressed concrete member using lattice like reinforcing bar and its production
JPH0913580A (ja) * 1995-06-27 1997-01-14 Sumitomo Electric Ind Ltd Pc鋼材の定着方法及び緊張用ジャッキ
JPH1179700A (ja) 1997-09-11 1999-03-23 P S Co Ltd 緊張ジャッキ
KR20040100805A (ko) * 2003-05-22 2004-12-0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조 장치
KR20050091956A (ko) * 2004-03-13 2005-09-16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임시반력철물을 이용한 케이블장력 도입장치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76B1 (ko) * 2007-12-31 2011-03-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1005347B1 (ko) 2008-11-13 2010-12-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KR100970082B1 (ko) 2010-03-08 201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1B1 (ko) 2010-03-08 201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1613B1 (ko) * 2010-03-08 2010-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20170029848A (ko) 2015-09-08 2017-03-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CN106149575A (zh) * 2016-08-22 2016-11-23 东南大学 预应力钢丝绳张拉***及方法
CN108843037A (zh) * 2018-06-07 2018-11-20 桂林理工大学 一种预应力纤维布加固梁张拉锚固装置及其施工方法
CN108843037B (zh) * 2018-06-07 2020-10-09 桂林理工大学 一种预应力纤维布加固梁张拉锚固装置的施工方法
CN109894547A (zh) * 2019-04-03 2019-06-18 贵州长通集团有限公司 一种预应力张拉结构
KR102471938B1 (ko) * 2021-12-22 2022-11-29 주식회사 도건 구조물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긴장재의 재긴장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포스트 텐셔닝 보강 공법
CN114575619A (zh) * 2022-04-13 2022-06-03 安徽恩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框架梁预应力加固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575619B (zh) * 2022-04-13 2023-08-29 安徽恩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框架梁预应力加固装置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6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배치된 긴장재를 표면에서인장할 수 있는 긴장장치
KR100653632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긴장 및 매립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1005347B1 (ko) 구조물 보강용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긴장방법
JP7430155B2 (ja) プレキャスト構造部材と経時硬化材の連結構造の構築方法
KR100858397B1 (ko) 거더의 상연이 블록 아웃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에사용되는 정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JP2008535707A (ja) 分節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ガーダのセグ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9301A (ja) 間詰めコンクリートを介在させ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一体化方法
KR20030064362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303702A (ja) 双方向のプレストレッシングシステム及び折曲部形成装置
KR20090126957A (ko) 교량 상부 구조물 유닛의 프리 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상부 구조물 유닛의 휨 변형 부가 방법
JP6425605B2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へのプレストレスの導入方法
JP200710033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KR101683080B1 (ko) 추가파일 시공방법
KR101889924B1 (ko) 강거더 보강장치
JP4127933B2 (ja) 閉断面箱桁の現場打ち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法
KR20170029848A (ko) 표면매립 frp 긴장재용 압착형 슬리브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도 향상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JP4148317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連結構造
KR101889923B1 (ko) 콘크리트 거더 보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 보강 방법
KR100777565B1 (ko) 콘크리트를 부분 타설한 tsc 보의 강선보강공법(이하 부분타설 tsc 보)
JP7186670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修方法
KR101518034B1 (ko) 자기구속 기능을 가지는 콘크리트 기둥 형성 및 이의 시공방법
JP6914028B2 (ja) 型枠固定装置、型枠、型枠固定方法および目地の施工方法
KR100462925B1 (ko) 외부 강선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 공법 및 그에 적용되는강재정착물
JP2935656B2 (ja) 継ぎボルト受入空間形成用具
JP2005002558A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