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266B1 -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266B1
KR100653266B1 KR1020040098002A KR20040098002A KR100653266B1 KR 100653266 B1 KR100653266 B1 KR 100653266B1 KR 1020040098002 A KR1020040098002 A KR 1020040098002A KR 20040098002 A KR20040098002 A KR 20040098002A KR 100653266 B1 KR100653266 B1 KR 10065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user interface
network device
communication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0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8948A (en
Inventor
최윤호
서만석
김윤숙
이준열
임상범
배유병
김한철
전태수
구근모
안태희
박준성
조춘재
문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266B1/en
Publication of KR2006005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meta-data, objects or commands for format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u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정보 및 동작정보를 저장한 하나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나 프로토콜에 독립되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storing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is generated, and a home that can control various types of devices connected to a home network independent of a gateway or a protocol by using the same. Disclosed are a control device of a network device and a method of generating a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별도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저장한 다음,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을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동작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통합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a separat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to control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nd then provides a user interface based o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to provide a user with a device. By selecting the operation, and converting the corresponding devic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to pass to th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the control of the home network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지 않고 각 디바이스의 동작을 통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user interface for each home network device and providing the sa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user can integrally control various types of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

홈네트워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XMLHome Network, User Interface, XML

Description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home networ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를 구비한 홈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me network having a control device for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장치를 로컬 서버에 적용한 홈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tructure in which a home network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ocal serv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정보 및 동작정보를 저장한 하나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device description XML)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나 프로토콜에 독 립되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generate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device description XML) storing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and is independent of a gateway or a protocol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home network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types of devices connected to a home network.

홈네트워크에는 컴퓨터/프린터/팩스와 같은 정보 가전디바이스, TV/오디오/비디오/DVD와 같은 AV 가전디바이스, 조명/도어락/에어콘/세탁기와 같은 제어 가전디바이스 등 서로 다른 분야의 가전디바이스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전디바이스는 전화선, 전력선(PLC),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IEEE 1394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The home network is intricately connected to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computers / printers / faxes, AV appliances such as TVs / audio / videos / DVDs and control appliances such as lighting / door locks / air conditioning / washing machines. It is. The home applian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elephone line, power line (PLC), Ethernet, Bluetooth, IEEE 1394, and the like.

도 1은 종래의 홈네트워크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home network.

도 1을 참조하면, 전화선(12)에는 전화(12a), 노트북컴퓨터(12b), 팩스(12c), 및 컴퓨터(12d)가 연결되어 서브망을 구성할 수 있다. 무선 또는 블루투스망(13)에는 노트북컴퓨터(13a) 및 PDA(13b)가 연결될 수 있다. USB망(14)에는 컴퓨터(14a), 프린터(14b) 및 스캐너(14c)가 연결될 수 있다. IEEE 1394(15)는 AV 디바이스들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 TV(15a), 캠코더(15b) 및 오디오(15c)가 연결될 수 있다. 전력선(160)에는 커피메이커(16a), 전기밥솥(16b), 냉장고(16c) 및 세탁기(16d)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망(12,13,14,15,16)은 브리지와 같은 접속장치(17)로 상호 연결되어 홈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게이트웨이(11)는 이들 서브망에 존재하는 각각의 디바이스들과 외부망을 연결하는 통로로 기능한다.Referring to FIG. 1, a telephone line 12 may be connected to a telephone 12a, a notebook computer 12b, a fax 12c, and a computer 12d to form a sub network. The notebook computer 13a and the PDA 13b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or Bluetooth network 13. The computer 14a, the printer 14b, and the scanner 14c may be connected to the USB network 14. The IEEE 1394 15 i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V devices, to which a TV 15a, a camcorder 15b, and an audio 15c may be connected. The coffee maker 16a, the rice cooker 16b, the refrigerator 16c, and the washing machine 16d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60. These sub-networks 12, 13, 14, 15, and 16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on device 17 such as a bridge to form a home network. The gateway 11 functions as a path connecting each device existing in these sub-networks with an external network.

이와 같이, 종래의 홈네트워크(10)는 전화선, 전력선 등과 같은 기존에 존재하던 망과, 블루투스망, IEEE 1394 망과 같은 신규망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의 각 디바이스들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동작하 므로, 상기 홈네트워크(10)에 연결된 각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어야 했다. 또한, 같은 서브망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사이에서도 제조사별로 서로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특정 디바이스에 맞게 일일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가전디바이스를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제품별로 각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10 is a mixture of existing networks such as telephone lines and power lines, and new networks such as Bluetooth networks and IEEE 1394 networks. Since each device of the home network operates on different hardware and software platforms, a separate user interface has to be constructed to control each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10.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designing and developing a user interface for a specific device in order to control a home network device because the protocols are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even among devices existing in the same subnetwork. That is, conventionally, a user interface for integrating and controlling all home appliances connected to a home network is not provid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user interface must be developed for each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기기의 제품정보 및 동작 정보를 저장한 하나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파일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generates a device description XML file that stores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device, and uses the device description XML file to generate a home networ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home network device that can control various types of devices connected to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의 모델링 방법에 대하여 통일성과 확장성을 가진 표준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디바이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계시키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rd with uniformity and extensibility for a modeling method of various types of devices used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and generates a control device and a user interface of a home network device that associates a device with a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의 제어장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에 관한 사항을 담고있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ontrol devic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containing matters relating to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And a serve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구비된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에 관한 내용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홈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rver may include an interfac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user interface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of a device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An interface unit displaying a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interface generator and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 data processor which receives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o a home gateway.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통신부; 상기 제 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연결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어댑터; 및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에서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를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전달하는 제 2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me gateway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A protocol adapte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to a protocol that can be recognized by a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protocol-converted by the protocol adap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device.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me network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protocol-converted control signal by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an operation unit which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the protocol-converte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구비된 제품정보는 디바이스의 모델 번호, 모델명, 제조사, 제조사 URL, 제품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del number, a model name, a manufacturer, a manufacturer URL, and a product classification of the device.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구비된 동작정보는 동작이름, 동작설명, 동작형태, 옵션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operation name, an operation description, an operation type, and an option list.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분석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generat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nd storing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Analyzing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to form a user interface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동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genera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selected by a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는 상기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신호로 프로토콜 변환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genera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recognizable by the home network devi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protocol signal to the home network device.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란 홈네트워크 사용자들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사용자간에 제공되는 모든 도구 및 수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나, 화면에 나타나 있는 그림과 메뉴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전달하는 방법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또는 비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Firs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UI) refers to an environment that allows home network users to control a home network device, and includes all tools and means provided between the home network system and the user. It means.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as a text user interface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or a video user interface, which is a method of transferring to a computer using a picture and a menu displayed on a screen.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별도의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저장한 다음,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동작을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동작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통합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in a separat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to control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nd then provides a user interface based o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to provide a user with a device.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operation, and converts the devic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operation to the device to provide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100)를 구비한 홈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me network having a control device 100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체 홈네트워크는 제어장치(100)와, 홈게이트웨이(200) 및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entire home network includes a control device 100, a home gateway 200, and a home network device 300.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100)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110)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를 제공하는 서버(130)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100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120 storing a device descriptio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110 and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stored in the database 120. It includes a server 130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for controlling the home network device by using.

상기 서버(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디바이스의 동 작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홈게이트웨이(200)에 전달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200)는 제어신호를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는 홈게이트웨이(200)에 하나의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가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홈게이트웨이(200)에는 다수 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rver 130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home gateway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home gateway 200 is a protocol capable of recognizing the control signal by the device. Converted to and delivered to the home network device (300). Meanwhile, although FIG. 2 illustrates that one home network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200, a plurality of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200.

상기 서버(130)는 인터페이스 생성부(131)와, 인터페이스부(132)와, 데이터 처리부(133) 및 통신부(134)를 포함한다.The server 130 includes an interface generator 131, an interface 132, a data processor 133, and a communicator 134.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1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를 분석하여,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에 관한 내용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The interface generation unit 131 analyzes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stored in the database 120 and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Create a user interfa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는 피제어대상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의 기능을 정의해 놓은 문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행할 수 있는 동작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는 XML을 이용하여 작성된다.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s a document that defines the functions of the home network device 300 to be controlled.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home network device.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s created using XML.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00)는 크게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111)와,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한 내용(113)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00 is composed of product information 111 of a device and content 113 of an operation of the device.

상기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111)에는 디바이스의 모델 번호(111a), 모델명 (111b), 제조사(111c), 제조사 URL(111d), 제품분류(111e) 등에 관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111 of the devic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model number 111a, a model name 111b, a manufacturer 111c, a manufacturer URL 111d, a product classification 111e, and the like of the device.

또한,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한 내용(113)에는 디바이스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기술하는 부분으로, 각 동작에 따라 동작이름(113a,113e), 동작설명(113b, 113f), 동작형태(113c,113g), 옵션목록(113d, 113h) 등이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content 113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describes the details of the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device, the operation name (113a, 113e), operation description (113b, 113f), Operation modes 113c and 113g, option lists 113d and 113h, and the like.

상기 동작이름에는 동작을 나타내는 명칭이, 동작설명에는 상기 동작이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지, 동작형태에는 각 동작이 디바이스의 상태표시에 관한 것인지, 제어에 관한 것인지, 상태표시 및 제어 모두에 관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In the operation name, the name indicating the operation is described. In the operation description, the operation performs the operation. The operation type indicates whether each operation relates to the status display of the device, the control, the status display, and the control. Information for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screen and the like.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전등을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등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에 저장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품 정보(111)에는 상기 전등의 모델 번호, 모델명, 제조사, 제조사 URL, 제품분류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고, 상기 동작이름(113a)에는 파워(power), 동작설명(113b)에는 전원, 동작형태(113c)에는 전등의 제어를 위한 것이라는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옵션 목록(113d)으로는 선택 가능한 동작, 즉 전등의 온/오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에 저장된 전등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전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light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n order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ligh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e product information 111 includes the model number and model name of the light. , Manufacturer, manufacturer URL,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etc. are stored, the power (name) in the operation name (113a), the power in the operation description (113b), the information that is for the control of the light in the operation form (113c) and Information about how to configure the user interface is stored. In addition, the option list 113d stores information on selectable operations, that is, on / off of a light. The information about the lights stor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한편, 상기 동작의 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에 따라 다수 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00)의 구성은 도 3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oper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depending on the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home network device.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00 is not limited to FIG. 3,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32)는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입력하는 제어 명령은 실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단지 사용자가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에 관한 표시를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신호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선택에 의한 제어명령은 후술되는 데이터 처리부(133)와 홈게이트웨이의 프로토콜 어댑터(220)에 의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Referring back to FIG. 2, the interface unit 132 displays a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interface generator 131 and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Here,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2 is not recognizable by the actual home network device 300, but only an indication regarding an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user at the home network device 300. It is just a signal generated by selecting. Therefore, the control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is converted into a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ome network device 300 by the data processor 133 and the protocol adapter 220 of the home gatewa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데이터 처리부(13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3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분석하고, 적당한 메소드를 호출하여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명령이 제어에 관한 것일 때는 이를 제어 명령으로 가공하여 통신부(134)를 통해 홈게이트웨이(200)로 전달하고, 상태 표시에 관한 것일 때는 상태표시 명령으로 가공하여 제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적절한 로직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적절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3)는 웹서버나 어플리케이션 형태가 될 수 있다.The data processor 133 receives and analyzes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2 and calls a suitable metho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device control. For example, when a user's command is related to control, it is processed as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4, and when it is about a status display, it is processed as a status display command and transmitted to a product. Play a role. That is, when a user in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device through a user interface, appropriate logic is performed to generate and output an appropriate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The data processor 133 may be in the form of a web server or an application.

상기 통신부(134)는 상기 서버(130)와 상기 홈게이트웨이(2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133)에서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상기 홈게이트웨이(200)로 송신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34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130 and the home gateway 20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133 to the home gateway 200.

상기 홈게이트웨이(200)는 제 1 통신부(210), 프로토콜 어댑터(220), 제 2 통신부(230)를 포함한다.The home gateway 20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 protocol adapter 22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상기 제 1 통신부(210)는 상기 서버(130)의 통신부(134)와 통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통신부(134)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is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34 of the server 130,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34.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220)는 상기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의 프로토콜에 따라 적절하게 변환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신호로 프로토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protocol adapter 220 appropriately converts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home network device 300, and converts the protocol into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ome network device. To print.

상기 제 2 통신부(230)는 홈게이트웨이(200)와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220)에서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를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is a part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gateway 200 and the home network device 300, and transfers the control signal converted from the protocol adapter 220 to the home network device 300. It plays a role.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20)와, 상기 통신부(320)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The home network device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20 for communicating with the home gateway, and an operation unit 310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20.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도 4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제어장치를 로컬 서버(400)에 적용한 홈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시스템은,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를 홈게이트웨이와 웹서비스를 통해 전력선 통신으로 연결된 홈네트워 크 디바이스에 SOAP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구성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tructure in which the home network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ocal server 400. The system of FIG. 4 generates a user interface for a home network device using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and controls the device by transmitting a SOAP message to a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by power line communication through a home gateway and a web service. It is a constitution.

도 4를 참조하면, 로컬 서버(400)의 내부에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410)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420), 및 서버(43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 a database 420 in which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410 is stored and a server 430 are included in the local server 400.

상기 서버(430)는 크게 인터페이스부(432), 데이터처리부(433), 통신부(434)로 구성된다.The server 430 generally includes an interface unit 432, a data processor 433, and a communication unit 434.

상기 인터페이스부(432)는 사용자와의 접속 형태, 예를 들어 PC, TV, 모바일 기기 중 어떠한 기기를 통해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채널 매니저(channel manager)와, 상기 접속형태에 따라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UI)을 포함하고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131)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듈(UI)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131)의 기능을 담당한다.The interface unit 432 provides a channel manager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nection type with a user, for example, a PC, a TV, or a mobile device is connected, and an appropriat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ype. It contains a module (UI). Although the interface generator 131 is not shown in FIG. 4, the module UI is responsible for the interface generator 131.

상기 데이터처리부(433)는 리퀘스트 핸들러 및 홈서비스 매니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3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명령은 상기 리퀘스트 핸들러를 거쳐 홈서비스 매니저 내부의 디바이스 컨트롤 매니저 또는 모드 컨트롤 매니저에 의하여 처리되어,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The data processor 433 includes a request handler and a home service manager. The user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interface unit 432 is processed by the device control manager or the mode control manager in the home service manager via the request handler to generate a signal for device control.

상기 통신부(434)는 웹서비스 매니저, 소켓 통신부, HTTP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처리부(433)에서 생성된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명령을 홈게이트웨이(500) 또는 홈서버(6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34 includes a web service manager, a socket communication unit, and an HTTP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a command for controlling a device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433 to the home gateway 500 or the home server 600. Perform.

상기 웹서비스 매니저는 웹서비스모듈, BPEL(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엔진, 웹서비스 프록시(proxy)를 포함한다.The web service manager includes a web service module, a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BPEL) engine, and a web service proxy.

상기 웹서비스모듈은 사용자가 웹서비스를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한 경우 해당 웹서비스를 호출하는 역할을 하고, BPEL 엔진은 복수개의 디바이스 제어를 위해 생성한 스크립트를 분석하여 해당 웹서비스를 호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웹서비스 프록시는 게이트웨이의 윗 단계에서 동작하여 웹서비스를 호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웹서비스 매니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게이트웨이 등에서 제공되는 웹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중개자 역할을 하게된다.The web service module serves to call a corresponding web service when a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for requesting a web service, and the BPEL engine analyzes scripts generate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vices and calls the corresponding web service. Do it. In addition, the web service proxy operates at an upper level of the gateway to call a web service. That is, the web service manager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calling a web service provided by a gateway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상기 통신부(434)에서 전송되는 웹서비스 요청 등의 제어 신호는 그 종류에 따라 홈게이트웨이(500)나 홈서버(600)로 전달되고, 전력선 통신(PLC) 등을 통해 연결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700)에 전달되어,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 signal such as a web servic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434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500 or the home server 600 according to its type, and i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device 7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The home network device 700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에 홈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모든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미리 기록하여 두고,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제어 가능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 동작을 표시해줌으로써,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 등은 홈게이트웨이(200)의 프로토콜 어댑터(220)에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적절하게 변환되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 제어신호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ll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are recorded in advance, and the home network controllable to a user based o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s performed. By displaying the device and its operation,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is appropriately converted into a protoco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home network device 300 in the protocol adapter 220 of the home gateway 200 and transferred to the home network device 300 as a control signal. As a result, the home network device 30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종래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별로 제공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달리, 모든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정보 및 동작정보에 관한 사항 을 미리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에 기록하여 두고,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를 기초로 모든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동작은 실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됨으로써, 통합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unlike the user interface provided for each home network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ll home network devices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n advance, and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integrating and controlling all home network devices based on 110, and the oper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is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actual home network device. And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 through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단계 800).Referring to FIG. 5, first,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a device connected to a home network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20 (step 800).

다음, 인터페이스 생성부(13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110)를 분석하여,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32)에서는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해준다(단계 810).Next, the interface generation unit 131 analyzes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110 stored in the database 120 to form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and the interface unit 132 In operation 810, the user indicates this to the user.

사용자는 상기 단계 810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가 수행가능한 동작에 관한 정보를 얻게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동작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GUI 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obtains information on a device currently connected to a home network and information on an operation that the device can perform through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step 810, and selects an appropriate operation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as a GUI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operation.

사용자가 선택한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33)에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133)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단계 820).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elected by the user is input to the data processor 133, and the data processor 133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step 820).

상기 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신호는 제 1통신부(210)를 통해 홈게이트웨이(200)에 입력되고,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220)에서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된다(단계 830). 상기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300)에 전달되고,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840)는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단계 840)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step is input to the home gateway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nd is converted into a protoco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device in the protocol adapter 220 (step 830). The protocol-convert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ome network device 300, and the home network device 840 is controlled by the received control signal (step 840).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에 의하면, 종래 프로토콜에 관한 세부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저장하고 각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던 것에 비하여, 홈네트워크의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evices of a home network are compared with stor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a conventional protocol in a user interface and individually generating a user interface of each product. It provides a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control the integ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디스크립션 XML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생성시켜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generating one description XML fil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ome network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that can be used to create various interfaces.

즉, 종래에는 컴퓨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모바일 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각 생성해 주었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지 않고 각 디바이스의 동작을 통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a user interface for a computer or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is generated,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s integrated through a user interface without generating a separate user interface for each home network device. By providing a user, the user can integrally control various types of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uitive and convenient interfac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던 프로토콜 정보를 게이트웨이에 캡슐화하는 구조로 인해,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tructure of encapsulating protoco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the gateway, it is possible to enhance security.

Claims (9)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에 있어서,In the control device of a home network device,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 정보에 관한 사항을 담고있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that stores a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And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구비된 디바이스의 제품 정보 및 동작에 관한 내용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디바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홈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An interfac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user interface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and operation of a device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An interface unit displaying a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interface generator and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A data processor which receives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evice; And a server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or to a home gatewa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홈게이트웨이는,The home gateway, 상기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통신부;A first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 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를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연결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인식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어댑터; 및A protocol adapter converting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nto a protocol that can be recognized by a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And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에서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를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전달하는 제 2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protocol-converted by the protocol adap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ome network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는,The home network device, 상기 제 2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a protocol-converted control signal; And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프로토콜 변환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And an oper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otocol-converted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구비된 제품정보는 디바이스의 모델 번호, 모델명, 제조사, 제조사 URL, 제품분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model number, model name, manufacturer, manufacturer URL, product classification of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XML 문서에 구비된 동작정보는 동작이름, 동작설명, 동작형태, 옵션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장치.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XML docu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name, an operation description, an operation type, and an option li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98002A 2004-11-26 2004-11-26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KR100653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002A KR100653266B1 (en) 2004-11-26 2004-11-26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002A KR100653266B1 (en) 2004-11-26 2004-11-26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48A KR20060058948A (en) 2006-06-01
KR100653266B1 true KR100653266B1 (en) 2006-12-01

Family

ID=3715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002A KR100653266B1 (en) 2004-11-26 2004-11-26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2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24B1 (en) * 2004-12-21 2007-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Home Gateway in Delivering Digital Home Services
KR100673687B1 (en) * 2005-03-0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US8205013B2 (en) * 2005-05-02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the control of middleware control points
KR100691424B1 (en) * 2005-11-30 2007-03-09 주식회사 케이티 Home gateway system using various line communication appratus
KR100772412B1 (en) * 2006-07-1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home control network
KR100903999B1 (en) * 2007-11-30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domain profile using database in a core framework for SDR mobile terminals
JP5202603B2 (en) 2009-12-18 2013-06-05 韓國電子通信研究院 Robot service loading method and service loading apparatus therefor in intelligent service robot environment
KR20130086121A (en) 2010-05-11 201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a master device in a coexistence system
KR101639995B1 (en) * 2015-01-19 2016-07-1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e Framework by Using Socializ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330A (en) * 1998-05-07 2001-05-25 윤종용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ly accessible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network
KR20030062735A (en) * 2002-01-18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in Home Network System
KR20040073864A (en) * 2003-02-15 2004-08-21 (주)인터랙티비 Application downloading method which can download application packs and install automatically, make menu dynamically and integrated home server system using it
KR20040082561A (en) * 2003-03-19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3330A (en) * 1998-05-07 2001-05-25 윤종용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ly accessible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network
KR20030062735A (en) * 2002-01-18 200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in Home Network System
KR20040073864A (en) * 2003-02-15 2004-08-21 (주)인터랙티비 Application downloading method which can download application packs and install automatically, make menu dynamically and integrated home server system using it
KR20040082561A (en) * 2003-03-19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825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948A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7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in home network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JP50166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outing, and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devices
KR100759330B1 (en) Method for the data exchange between network devices
US20080288618A1 (en) Networked Device Control Architecture
KR100437849B1 (en) Network connection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using this
US20050235077A1 (en) Control system, control program product,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WO2012000233A1 (en) User customization method and system
WO2003065161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figure, provision and control a set-top terminal
KR100653266B1 (en) Control apparatus for home network device and producing method for user interface
CN114339332B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ross-network screen projection method
CN105629908A (en)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12911380B (en) Display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with Bluetooth device
WO2022105409A1 (en) Fault diagnosis method, terminal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448814B2 (en) Bridge system for auxiliary display devices
JP2004535625A (en)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equipment connected via bus system
JP2005323093A (en) Remote operation control program utilizing web server
KR200600862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network devices
CN113784186B (en) Terminal device, serv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1818368B (en) Method for managing display device authority, mobile terminal and server
CN111787115A (en) Server, display device and file transmission method
KR101273589B1 (en) System and method based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JPH08166912A (en) Remote management device
JP2005321926A (en) Home network system
KR20010071963A (en) Virtual av network building device, virtual av network building method,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program concerning virtual av network building method is recorded
JP4158512B2 (en) Display device, operated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