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130B1 - 권취릴과 그것을 가지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권취릴과 그것을 가지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130B1
KR100650130B1 KR1020007011884A KR20007011884A KR100650130B1 KR 100650130 B1 KR100650130 B1 KR 100650130B1 KR 1020007011884 A KR1020007011884 A KR 1020007011884A KR 20007011884 A KR20007011884 A KR 20007011884A KR 100650130 B1 KR100650130 B1 KR 100650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veneer sheet
conveyor
ree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3026A (ko
Inventor
오시오요우이치
오다이라야스유키
미즈노아키히로
나카가와신이치
코하라야스유키
나리타미츠마사
카와모리히데키
야마다레이지
무라카미마사노리
스기야마카즈미
오카다토모하루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타이헤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867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02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640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63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814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370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6154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32513B2/ja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타이헤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타이헤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4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e Of Wood Veneers (AREA)

Abstract

베니어시트의 두께의 85 배이상, 또한, 300 mm 이상으로 하는 베니어 권취릴을 구성하여 건조 후의 베니어가 릴에 감겨 질때에 섬유의 평행한 방향으로의 갈라짐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도록,베니어시트권취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권취릴과, 이 권취릴의 하면에 위치하여 구동을 전달하는 변속가능한 드라이브로울러와, 상기 베니어시트권취위치의 상류에 설치된 베니어드라이어를 구비하여 되고, 베니어드라이어로서 건조된 베니어시트를 상기 권취릴에 권취한다.
베니어, 시트, 권취릴, 권취방법, 권취해제, 합판, 테이프급송장치

Description

권취릴과 그것을 가지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Winding reel, veneer wi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ywood}
본 발명은 베니어선반에 의하여 절삭된 습윤 상태의 베니어시트(Sheet:단판(單板)) 폭은 이 습윤상태의 베니어시트를 베니어드라이어에 의하여 건조한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이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베니어시트권취장치와, 권취롤로 된 베니어시트간에 테이프를 공급하는 베니어시트권취롤로의 테이프급송장치와 권취릴에 권취된 베니어시트의 권취롤을 다음공정으로 자동적으로 권취해제(권취를 풀어내는:unwinding)하는 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베니어선반에 의하여 절삭된 습윤 상태의 베니어시트, 혹은 이 습윤 상태의 베니어시트를 베니어드라이어에 의하여 건조한,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그 섬유방향에 대하여 찢어짐 갈라짐 등의 발생을 억지하면서 원활하게 권취릴에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원 발명자의 실험에 의한 소견으로서는 건조전의 베니어시트, 즉 원목으로부터 절삭직후의 베니어시트의 권취에 사용되고 있는 권취릴(직경165mm)을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의 권취에 그대로 사용하면, 그 적은 직경에 적응되지 못하여 그 시트두께에 비하여 작은 곡률일 수록 섬유와 평행한 부분의 갈라짐이 발생하기 쉽고, 권취릴자체에 권취함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많다.
특히, 건조 후에 발생한 찢어짐, 갈라짐 등이 베니어시트에 존재하면 해당부분으로부터 파단하게 된다.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한 소견으로서는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릴의 직경을 300 mm 이상으로 하고 또한, 권취되어 지는 베니어시트의 두께에 대응하는 곡률로서 되는 직경을 권취릴의 직경(D) / 권취된 베니어시트두께(T) 의 산식을 얻게 된다. 이에 의하면 권취릴의 직경을 베니어시트두께의 85 배 이상 또한, 300 mm 이상으로 함에 의하여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양호하게 권취하는 것인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취릴의 구성에 의하면 권취릴 자체의 중량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권취릴의 반송시, 베니어시트의 권취시, 릴링데크의 권취롤 적재영역의 보관 시 등에 있어서 동력부담의 경감화가 도모된다. 또한, 권취릴의 권취면에 권취된 베니어시트에는 직경 방향으로 통기 연통부를 개재하여 권취릴의 내부에 형성되 는 공극과 연통하고 있고 또한, 릴축에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지지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공극을 축심방향에 있어서 연통시겨 베니어시트의 권취 면과 권취릴 내부의 공극과 권취릴 외의 대기를 연통상태로 하기 때문에 통기성이 도모되게 된다. 그리고, 건조후의 베니어시트에 내재하는 열기, 습기 등을 다수의 개구부로부터 대기로 방산시켜, 권취된 베니어시트를 저류하고 있는 동안에 평형함수율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권취릴에 있어서 베니어시트의 권취폭에 상당하는 길이 간극내의 각 플랜지가 베니어시트의 권취지지부로서 사용되고 권취릴에 권취되어 권취롤화된다.
이 때에, 각 플랜지 간극내의 공기는 각 플랜지에 형성된 각 개구부를 개재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의 개구부로부터 대기로 방산된다. 그리고, 건조후의 베니어시트에 내재하는 열기, 습기 등은 각 플랜지 간극내로 부터 각 개구부를 경유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의 개구부로부터 대기로 방산되며 역으로 대기로부터 신선한 공기는 각 플랜지의 개구부로부터 권취릴의 내부로 유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2 중으로 중첩하여 상기의 권취릴에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감아 붙임하여 권취하여 완성된 권취롤로서 하고 있다. 이것은 합판의 표판과 이판의 완성조합에 대처한 것으로서 섬유방향을 동 방향으로 한 베니어시트를 2 중첩으로 한 것이다. 이 2 중첩으로 하는 베니어시트는 판 종을 다르게 한 것, 바람직하게는 표판과 이판을 각 다른 판 종으로 한 것으로 한다. 또한, 표판과 이판은 등급 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서 표판용의 동일의 판종을 2 중 첩한 것으로서, 또는 역으로 이판용의 동일의 것으로 2 중첩한 것으르로 한 것도 있다.
또한,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2 중첩 1 매를 1 조로서 교호로, 상기의 권취릴에 실부재를 가이드로서 감아 붙여 권취롤로서 하고 있다. 이것은 5 층합판의 제작에 대처한 것으로서 섬유방향을 동 방향으로 한 3 매의 베니어시트 가운데 2 매를 중첩하고 1 매를 단일로서 한 것을 1 조로 한 것이다. 이들 3 매의 베니어시트는 판 종을 서로 다르게 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표판과 이판과, 중심판이 각각 다른 판 종으로서, 표판과 이판을 2 중첩한 상태, 또한, 중심재를 1 매로 하고 이것을 교호로 감아 붙이고 있다. 또한, 표판과 이판은 등급 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표판용의 동일의 판 종을 2 중첩한 것으로서 하거나, 역으로 이판용의 동일의 판종을 2 중첩한 것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베니어시트 권취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의 권취릴과, 이 권취릴의 하면에 위치하여 구동을 전달하는 변속가능한 드리이브로울러와, 상기 베니어시트 권취 위치의 상류에 위치한 베니어드라이어와, 이 베니어드라이어의 종단과 상기 베니어시트의 권취위치의 드라이브로울러의 사이에 설치된 접속컨베이어와, 상기 권취릴의 길이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실부재급송기구를 구비하여 되고, 베니어드라이어로서 건조된 연속상의 베니어시트를 권취릴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열의 실부재를 가이드하여 감아 붙임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베니어시트 권취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기의 권취릴과, 이 권취릴의 하면에 위치하여 구동을 전달하는 변속가능한 드라이브로울러와, 상기 베니어시트 권취위치의 드라이브로울러의 사이에 설치된 실부재급송기구를 구비하여 되고, 베니어드라이어로서 건조된 비 연속상의 베니어시트를 권취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열의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감아 붙이는 것에 의한 구성도 가능하다.
권취릴 안내부재는 예를 들면, 기단부와 중간부, 선단부의 적어도 3 점에서 위치하는 풀리에 각각 감아 걸려진 복수열의 무단밴드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각 무단밴드는 그 기단부의 풀리에 있어서, 베니어시트를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의 선단부와 연계되어 있다. 또한, 추종수단에 의하여 권취릴 방향으로 선단부의 풀리가 선회되는 경우, 권취릴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에 유사하게 눌려 붙여진 상태로 된다.
각 무단밴드는 기단부의 풀리와, 선단부의 풀리 사이에 무단상태로 가로 걸려진 밴드형상의 것으로서, 동일한 직경의 풀리 사이에 걸려진 것이 아니고 기단부의 풀리를 선단부의 풀리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각 풀리의 반경 차이 분 만큼 무단밴드가 권취릴의 외주하부에 눌려 붙여진 경우에 여유가 있게 되고, 권취릴의 외주하부에 무단밴드를 광폭의 평면형상 접촉면으로 눌려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면상으로 눌려 붙여짐에 의하여 무단밴드와 권취릴의 하부와의 면상의 접촉면적이 증대함에 의하여 많은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단부의 풀리와 선단부의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아암은 중간 영역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상방으로 굴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의 진행에 따른 권취롤의 직경 증가에 따라서 각 무단밴드의 상부궤도의 하단과 지지아암의 상단이 간섭하여 서로 접하거나, 무단밴드가 회동정지하는 등의 문제점을 회피하고 권취릴로의 베니어시트의 권취를 확실하게 하고 있다.
또한, 권취안내부재가 권취릴의 외주에 일부에 그 곡률에 따라서 눌려진 상태로 되는 경우, 그 회전력을 허용하면서 이 권취안내부재를 구성하는 무단밴드를 어떤 장력으로 긴장상태로 누르거나, 또는 장력이 인가된 회전풀리를 구비하여 권취안내부재를 일정한 장력으로 긴장상태로서 유지할 수있다. 그리고, 권취안내부재는 베니어시트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권취릴의 곡률을 따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정된 권취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풀리를 그 회전을 허용하면서, 권취안내부재를 구성하는 복수열로서 구성되는 무단밴드의 각각에 대하여 어떤 압력으로 눌려서 혹은 당겨지는 것과 같이 개별로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 무단밴드에 별개로 독립한 긴장수단을 설치하면 예를 들면, 권취릴의 자중에 의한 쳐짐이 발생하고 있거나, 베니어시트에 두께의 상이함이 있더라도 각 열의 권취안내부재를 동일한 긴장상태로 유지하고, 권취릴의 축심방향으로 어떠한 위치에서도 베니어시트에도 거의 동일한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 은 건조후의 연속상태의 베니어시트의 권취를 도시하는 모식적은 측면도.
도 2 는 권취릴로의 실부재의 감아 붙임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설명도.
도 3 은 건조후의 비 연속상의 베니어시트의 권취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4 는 건조후의 비 연속상의 베니어시트의 권취상태를 도시하는 확대설명도.
도 5 는 간극협소화수단의 블럭선도.
도 6 은 건조후의 비 연속상의 베니어시트를 간극을 협소화하여 권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설명도.
도 7 은 간극협소화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 8 은 권취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 는 권취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 은 도 8 에 도시하는 권취릴의 축방향과 평행한 단면도.
도 11 은 도 10 의 A-A 선 화살표부 단면도.
도 12 는 도 9 에 도시하는 권취릴의 축방향과 평행한 단면도.
도 13 은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일단 권취하여 권취롤화한 것을 권취해제하면서 완성된 권취롤로 하는 실시 예의 측면도.
도 14 는 도 13 의 평면도.
도 15 는 간극협소화수단을 설명하는 블럭선도.
도 16 은 간극협소화 후의 완성된 권취롤의 모식적 설명도.
도 17 은 간극협소화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8 은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일단 권취한 2 개의 권취롤을 권취해제하면서 완성 권취롤로 하는 실시 예의 측면도.
도 19 는 다른 완성 권취롤의 모식적 설명도,
도 20 은 간극협소화 후의 다른 완성 권취롤의 모시적 설명도.
도 21 은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일단 권취한 3 개의 권취롤을 권취해제하면서 완성 권취롤로 하는 실시 예의 측면도,
도 22 는 다른 완성 권취롤용의 간극협소화수단을 설명하는 블럭선도
도 23 은 다른 완성 권취롤의 간극협소화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블럭선도.
도 24 는 건조후의 베니어시트의 야적파일로부터 급송된 베니어시트를 완성 권취롤로 하는 실시 예의 평면도.
도 25 는 도 24 의 B-B 선단면도.
도 26 은 도 24 일부 절결 측면도.
도 27 은 베니어시트 권취장치의 일실시 예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평면도.
도 28 은 도 27 의 일부 절결정면도.
도 29 는 베니어시트 권취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0 은 도 29 의 작동상태의 설명도.
도 31은 베니어시트 권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설명도.
도 32 는 도 29 의 다른 실시 예의 도시하는 측면도.
도 33 은 간극협소화수단의 블럭선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베니어시트 권취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에 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는 건조후의 연속상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실시 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 베니어드라이어(2)는 반송로를 반송 방향의 전,후부 풀리에 권취걸림 된 띠형상의 금속그물밴드(3)로서 하고, 이 금속그물밴드(3)를 상하에 일정간극을 두어 설치하고 ,이들 금속그물밴드(3)를 상호 역방향으로 회동시킴에 의하여 금속그물밴드(3) 사이에서 연속 형상의 베니어시트(1)를 반송하는 방식이다. 연속 형상의 베니어시트(1)는 반송로 상에 있어서, 베니어드라이어(2)의 상부 통풍로로부터 순환열풍에 의하여 건조되어 그 출구측에서 금속그물밴드(3)의 종단과 인접하는 접속컨베이어(4)로 넘겨져 이송된다.
이 접속컨베이어(4)의 하류 위치에는 연속 형상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베니어시트권취위치(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접속컨베이어(4)의 반송면과 거의 동일하고, 적어도 베니어시트(1)의 반송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드라이브로울러(6)가 축지지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로울러(6)는 변속가능하지만 상태에 따라서는 상기 접속컨베이어(4)와 거의 동일 속도로 제어되어 회전가능하다. 이 드라이브로울러(6)의 상방에는 큰 직경으로 하는 권취릴(7) 양단의 축수 부분이 릴축수(8)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 권취릴(7)은 그 하면이 상기 드라이브로울러(6) 상면과 접속되어 있음에 따라서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마찰력으로 하여 종동하게 되어 도 1 중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연속형상의 베니어시트(1)는 베니어드라이어(2)로서 건조된 후, 접속컨베이어(4) 상에서 반송되며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 이르게 된다. 연속 형상의 베니어시트(1)가 드라이브로울러(6)와 권취릴(7) 사이에 이르게 되면 접속컨베이어(4)와 거의 동일속도로서 회동하고 있는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마찰력으로서 종동 시키고, 권취릴(7)을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연속 형상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것으로 되어 접속컨베이어(4)로부터 반송되는 연속 형상의 베니어시트(1)는 순차적으로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지게 된다. 단, 베니어시트(1)는 연속이기 때문에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마찰력에 의하여 그 대로 다른 장치없이도 권취릴(7)에 권취가 가능하지만 건조후에 발생한 잘린눈, 갈라진 눈 등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가 파열하기 쉽기 때문에 권취 도중의 권취롤(9)의 중앙부가 이완되는 경우에는 권취릴(7)의 그 길이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의 실부재공급기구(10)를 설치하는 것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연속형상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경우, 우선 권취릴(7)에 실부재공급기구(10)의 각 실권취릴(11)로부터 공급되어 나온 실부재(12)의 선단을 그 길이방향에 걸쳐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소 감아 붙여 연속형상의 베니어시트(1)의 복수개소를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감아 붙여 권취릴(7)에 권취하는 것으로서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 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권취릴(7)에 엉켜붙이는 형태를 하고 있다. 즉 권취릴(7)에는 그 길이방향에 걸쳐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소에 실부재(12)를 감아 엉키게 하는 샌드페이퍼, 돌출부재 등의 고마찰영역을 설치한다. 또한, 권취릴(7)의 하류측에는 권취릴(7)의 외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방으로부터 하방의 위치까지 복수개의 실부재공급 용의 노즐을 예를 들면, 원호상의 가이드레일(도시하지 않음) 혹은 진퇴가 자유로운 승강자재의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변위가 자유롭게 한다. 한편 상기 드라이브로울러(6)에는 그 축심 방향에 걸쳐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소에 상기 노즐의 선단을 격납하는 그루우브(6M)가 형성되어 있다. 우선 실권취릴(11)로부터 급송된 실부재(12)의 선단을 상방에 위치하는 노즐(12N)을 개재하여 실권취릴(7)의 고마찰영역으로 불어넣어 엉켜 붙게 하고, 그 후 노즐(12N)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드라이브로울러(6)의 그루우브(6M)에 이르게 한다. 이 경우 노즐(12N)은 드라이브로울러(6)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있고 실부재(12)는 선단의 감아 엉켜진 부분과 노즐(12N) 간에 긴장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베니어시트(1)가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 마찰력에 의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는 경우에 그 선단부분으로부터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복수개소에서 권취된다.
이 때에, 권취릴(7)을 축지지하고 있는 릴축수(8)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접속컨베이어(4)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권취릴(7)에서 떨어져 있는 상류측의 컨베이어로울러(시작단위치)와, 권취릴(7)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류측의 컨베이어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하류측의 컨베이어로울러의 부근에는 드라이브로울러(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컨베이어(4)는 상류측의 시작단부를 구성하는 컨베이어로울러를 지점으로 하여, 권취릴 측의 접속컨베이어(4)의 컨베이어로울러와, 드라이브로울러(6)가 하방으로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권취릴(7)에 베니어시트(1)가 감기어붙어서, 권취릴(7)의 증가하는 권취직경의 반경분에 대해서는, 접속컨베이어(4)는 선회동작이 되기 때문에, 권취릴(7) 측의 컨베이어로울러와 상기 드라이브로울러(6)는 접속컨베이어(4)와 함께 자동적으로 선회하강할 수 있다.
한편, 이것과는 다른 변형례로서, 권취릴(7)을 축지지하고 있는 릴축수(8)의 위치가 자유롭게 상하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브로울러(6)를 축지지하고 있는 위치와, 상기 접속컨베이어(4)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권취릴(7)에 베니어시트(1)가 감기게 되면, 권취릴(7)의 권취직경이 증가하지만, 상기 자유롭게 상하동작하는 권취릴(7)의 릴축수(8)의 위치를, 증가하는 권취직경의 반경분만큼, 상승시키므로 상기 베니어시트를 확실하게 권취릴(7)에 감아 붙일 수 있다. 단, 드라이브로울러(6)는 권취릴(7)에 마찰력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체 혹은 밸런스웨이트 등으로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서 권취릴(7)에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권취릴(7)에는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를 감아 붙이는 것으로서 하고 있지만, 종래로부터 원목으로부터의 절삭 직후의 베니어시트의 권취에 사용하고 있는 직경 165 mm 의 권취릴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즉, 그 직경 165 mm 의 권취릴에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면, 그 작는 직경에 적응하지 못하여 섬유와 평행하는 부분으로부터 갈라짐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권취릴 자체에 권취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많았다. 특히 건조 후에 발생한 갈라진 눈, 잘려진 눈 등이 베니어시트(1)에 존재하면 해당 부분으로부터 파열하게 된다. 본 발명자 등이 실험 등에 의하여 알게 된 것은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권취릴(7)의 직경을 300 mm 이상으로 하고, 한편 권취된 베니어시트(1)의 두께에 대응하는 곡률로서 되는 직경을 권취릴(7)의 (직경(D))/(권취되어지는 베니어시트(1)의 두께(T))의 산식으로 얻고, 이에 의하면 권취릴(7)의 직경을 베니어시트(1)의 두께의 85 배이상, 또한, 300 mm 이상으로 함에 의하여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를 양호하게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예를 들면, 베니어시트(1)의 두께가 2 mm 이라면 상기 식에 의하여 권취릴(7)의 직경(D)은 170 mm 로 설정되지만 이 수치가 300 mm 미만이기 때문에 권취릴(7)의 직경은 300 mm 이상으로 한다. 단,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는 권취릴(7)의 직경을 450 mm 로 하고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도 3 에는 동일한 치수, 혹은 랜덤한 치수(동일한 치수로 절단되어 지지아니한 비 연속상의 것)의 베니어시트(1)를 건조 후에 권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베니어드라이어(2)의 각 단의 반송로는 그 길이방향에 걸쳐 베니어시트(1)를 판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좁혀 회전하면서 반송하는 상,하 일조의 급송로울러(13)를 복수 조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베니어시트(1)는 그 섬유방향과 평행으로 하고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매(도시례는 3매) 동시에 반송된다. 반송로 상에서, 베니어드라이어(2)의 상부 통풍로로부터의 순환열풍에 의하여 건조되고 그 출구측에 있어서 그 반송방향을 거의 직각으로 변경하는 방향변환컨베이어(14)로 이전시켜 반송한다.
이 방향변환컨베이어(14)의 하류 측 위치에는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베니어시트권취위치(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는 상기 기재와 동일한 드라이브로울러(6), 직경을 대경으로 한 권취릴(7), 권취릴(7)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된 실부재공급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베니어시트(1)는 베니어시트(1)로서 건조된 이후에 반송경로로부터 방향변환컨베이어(14)로 반송방향을 직각으로 변환된 상태로 이전되어 반송된다. 그리고, 베니어시트(1)은 이 후에 섬유방향을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상태로 반송되어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 이르게 된다.
베니어시트(1)를 권취할 때에, 우선 권취릴(7)에 실부재공급기구(10)의 각 실권취릴(11)로부터 공급되어 나온 실부재(12)의 선단을 상기 기재와 같이, 노즐(12N)을 개재하여 그 길이 방향에 걸쳐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소 권취 된다. 다음에, 베니어시트(1)가 드라이브로울러(6)와 권취릴(7)의 사이에 이르게 되면 방향변환컨베이어(14)와 거의 동일속도로서 회동하고 있는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마찰력에 의하여 종동시켜, 권취릴(7)이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베니어시트(1)의 복수 개소를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하게 된다. 방향변환컨베이어(14)로부터 반송된 베니어시트(1)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지게 되지만 권취효율을 고려하여 권취에 있어서 베니어시트(1)의 전,후 간극을 좁히는 경우가 있다.
이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을 도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방향변환컨베이어(14)상에 설치된 접촉식 혹은 투과형, 반사형 등의 비접촉식의 검출기(15)가 베니어시트(1)의 전,후 부분을 검출한 후에,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로울러(6)의 제어계인 드라이버컨트롤러(16)로 발신한다. 이 드라이버컨트롤러(16)에는 검출기(15)로부터 드라이브로울러(6)까지의 거리(K)를 설정한 거리설정기(17)가 접속되어 상기 검출지령에 기초하여 드라이브로울러(6)의 회동을 정지한다. 방향변환컨베이어(14)에는 펄스제너레이터(19)가 설치되어 있어 베니어시트(1)가 방향변환컨베이어(14)상을 거리(K) 만큼 반송되어, 이것을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게 되어 있다. 드라이브로울러(6)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는 그 판의 길이분 만큼 드라이브로울러(6)가 구동됨에 의하여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진다. 이 판의 길이는 베니어시트(1)가 방향변환컨베이어(14)상에서 반송된 시점에서 검출기(15)가 그 전단과 종단을 검출하고 이것을 펄스량으로서 드라이버컨트롤러(16)내에서 저장된다. 단, 이 판 길이는 거의 동일한 길이형상으로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동일길이를 미리 드라이버컨트롤러(16)내에 판길이로서 기억시켜도 좋다.
다음의 베니어시트(1)는 그 전단이 검출기(15)에 검출되어지면 상기 기재와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드라이브로울러(6) 상에 이르게 되고,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1)의 후단과의 간극이 좁혀진 상태로서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된다. 상기 작업을 반복함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6)는 간헐적으로 회동하여 베니어시트(1)는 권취릴(7)에 전,후 간극을 밀접하게 한 상태로서 효율적으로 권취되는 것이다.
도 5 에 도시한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은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 있어서, 드라이브로울러(6)를 간헐적으로 회동시켜 권취릴(7)에 권취하므로 컨베이어의 반송속도와 간헐적인 권취속도(저속)가 거의 대응하고 있으면 권취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지만 권취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의 전 단계의 반송로 상에 있어서, 전,후 간극협소화를 행하는 것으로서 한다. 다음에 전기한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도5와 동일부재에 대하여 동일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우선 전,후 간극협소화를 행하는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의 시작단을 방향변환컨베이어(14)의 종단부에서 상호 들여진 형상으로 설치하고 양 컨베이어(14,18)를 각각 단독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방향변환컨베이어(14) 상에 설치된 검출기(15)가 베니어시트(1)의 전단부분을 검출하면 이 검출지령을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의 제어부인 드라이버컨트롤러(16)로 발신한다. 이 드라이버컨트롤러(16)에는 검출기(15)로부터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의 임의위치까지의 거리(K)를 설정한 거리설정기(17)가 접속되어 상기 검출지령에 기초하여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의 구동을 정지한다. 방향변환컨베이어(14)에는 펄스제너레이터(19)가 설치되어 있고, 베니어시트(1)가 방향변환컨베이어(14)상에서 거리(K)만큼 반송되어 이것을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는 것으로서 된다.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 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는 그 판 길이분 만큼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에서 반송,구동된다. 이 판길이는 베니어시트(1)가 방향변환컨베이어(14)에서 반송된 시점에서, 검출기(15)가 그 전단과 종단을 검출하고 이것을 펄스량으로서 드라이버컨트롤러(16)내에서 저장되는 것으로서 된다. 단, 이 판길이는 거의 동일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동일길이를 미리 드라이버컨트롤러(16)내에 판길이로서 기억시켜도 좋다. 이 간헐적인 구동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는 간극협소화컨베이어(18) 상에서 전,후 간극을 좁히게 되고 이것을 별도 컨베이어로 이동,급송시켜 권취속도에 합치하는 속도로서 권취릴(7)에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각 실시 예에서와 같이,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를 대 직경의 권취릴(7)에 권취한 권취롤(9)은 권취덱크의 권취롤 저장영역에서 일정시간 보관되어 권취롤(9) 단위로 평형 함수율로 된다.
단, 상기 권취릴(7)은 축수부(G)를 회전중심으로 한 원통형으로서 통상, 용접구조에 의하여 밀폐한 상태로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권취릴(7)은 원목으로부터 절삭 직후의 베니어시트(1)의 권취에 종래로 부터 사용되어 온 권취릴(직경 165 mm )에 비하여 그 직경을 대경( 300 mm이상, 본 실시 예에서는 450 mm) 로 하고 있기 때문에 권취릴(7) 자체의 중량이 증대하여 권취릴(7)의 운송 시, 베니어시트(1)의 권취 시, 권취덱크의 권취 저장영역으로 보관 시 등, 이 증대된 중량에 의하여 동력부담 혹은 권취덱크 등의 구조물을 기계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8 내지 도 9 에는 본 발명의 권취릴(7)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 8 에 도시한 대 직경의 권취릴(7)의 외표면 부분에는 슬리트형상의 개구부(7K)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도 9 에 도시한 대직경의 권취릴(7)은 릴축(7G)에 그 축방향에 걸쳐 동일한 직경으로 한 대직경의 플랜지(7T)를 임의 간격으로 두고 복수개 설치한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각 플랜지(7T)의 표면부분에는 개구부(7K)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에는 도 8 에 도시한 권취릴(7)의 축심 방향과 평행으로 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릴축(7G)의 축심 방향에는 일정간극을 두고 원반형상의 보강판(7H)이 릴축(7G)에 용접 등에 의하여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들 보강판(7H)의 외주에는 이 보강판(7H)의 두께의 수배 이상의 폭을 가지는 평판(7I)을 감아 붙여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고착하여 플랜지(7T)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플랜지(7T)의 외경은 동일한 직경으로서 그들 외주에는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릴(7)의 몸통부로 되는 몸통판(7D)이 그 곡률에 따라서 권취되어져 용접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7T)에는 도 1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개구부(7K)가 복수개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몸통판(7D)에도 도 8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7K)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권취릴(7)의 내부와 대기가 연통상태로 되어 플랜지(7T), 몸통판(7D)에 형성된 각 개구부(7K)로부터 권취릴(7) 내부로의 대기가 유입되고, 역으로 권취릴(7) 내부의 공기를 플랜지(7T), 몸통판(7D)의 각 개구부(7K)로부터 대기로의 유출이 가능하게 된다. 단, 개구부(7K)는 본 실시 예에서는 슬리트 형상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상, 타원 형상, 다각형상 등의 개구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 형상은 임의로 할 수 있다.
도 12 는 도 9 에 도시한 권취릴(7)의 축심방향과 평행하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권취릴(7)은 릴축(7G)에 그 축심 방향으로 일정간극을 두고 용접 등에 의하여 플랜지(7T)가 각각 장착되어지고, 이들 플랜지(7T)에도 개구부(7K)를 복수개소 형성하며, 각 플랜지(7T)의 외주부를 권취릴의 동축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1)의 섬유방향은 권취폭(1W) 방향과 평행이며, 베니어시트(1)는 그 섬유방향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플랜지(7T)의 외주부분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의 권취지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권취릴(7)에 있어서는 베니어시트(1)의 권취폭(1W)에 상당하는 길이 간극 내의 각 플랜지(7T)가 베니어시트(1)의 권취지지부로서 사용되고 권취릴(7)에 권취되어 권취롤(9)로 된다. 이 경우, 각 플랜지(7T) 간극 내의 공기는 각 플랜지(7T)에 형성된 각 개구부(7K)를 개재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플랜지(7T)의 개구부(7K)에 의하여 대기로 방산되어 진다. 따라서, 이들의 권취릴(7)에 의하면 중량의 감소가 도모되고 상기 기재의 동력부담, 보강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대 직경의 권취릴(7)에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1)에는 권취릴(7)에 다수 형성된 개구부(7K)를 경유하여 그 권취릴(7) 내부가 대기와 연통상태로 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도모되어진다. 즉, 도 8 , 도 10 ,도 11 에 도시되는 권취릴(7)에 의하면,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에 내재하는 열기, 습기 등은 몸통판(7D)에 다수 형성된 개구부(7K)로부터 권취릴(7)의 내부로 유입하여도 플랜지(7T)의 각 개구부(7K)를 통과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플랜지(7T) 혹은, 베니어시트(1)가 권취되어 있지 않은 몸통판(7D)의 각 개구부(7K)로부터 대기로 방산된다. 또한, 대기로부터의 신선한 공기는 양측의 플랜지(7T)의 각 개구부(7K) 혹은 베니어시트(1)가 권취되어 있지 아니한 몸통판(7D)의 각 개구부(7K)로부터 권취릴(7)의 내부로 유입하여 각 플랜지(7T)의 각 개구부(7K)를 통하여 몸통판(7D)의 각 개구부(7K)를 개재여 권취되어져 있는 베니어시트(1)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에 내재하는 열기, 습기 등은 권취릴(7)의 내부에 체재함이 없이 항상 대기의 신선한 공기와 치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 ,도 12 에 도시된 권취릴(7)에 의하면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에 내재하는 열기, 습기 등은 각 플랜지(7T) 간극 내로부터 각 개구부(7K)를 경유하여 양측에 위치하는 플랜지(7T)의 개구부(7K)로부터 대기로부터 방산되며, 역으로 대기로부터 신선한 공기는 각 플랜지(7T)의 개구부(7K)로부터 권취릴(7)의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 권취롤(9)로 된 베니어시트(1)는 권취덱크의 권취롤 저장영역에서 어느 정도 보관되어 있는 사이에 평형함수율화가 촉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실시 예에서는, 플랜지(7T)는 원반형상의 보강판(7H)의 외주에 그 보강판(7H)의 두께의 수 배 이상의 폭을 가지는 평판(71)을 권취하여 용접 등에 의하여 고착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그 외주에 평판(71)을 개재하지 않은 상태, 즉 원반형상의 판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일단 권취한 권취롤화한 후의 것을 권취해제하면서 작업하는 것을 도 13 , 도 1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가 권취되어진 권취롤(9)은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 있어서, 권취릴(7)의 양단의 축수부분이 릴축수(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권취롤(9)의 하방에는 지지축(21)이 축수되어 있고 이 축수부(21)의 축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대직경의 기단부풀리(22)를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각 기단부풀리(22)의 지지축(21) 상의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아암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한 쌍의 지지아암의 선단 간극 내에 소직경의 선단부풀리(23)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각 대직경의 기단부풀리(22)와 각 소직경의 선단부풀리(23) 간에 구동가이드밴드(24)가 각각 걸쳐 걸고, 상기 기단부풀리(22)의 회전중심이 되는 지지축(21)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부풀리(23)는 권취롤(9) 방향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풀리(23)를 권취롤 방향으로 선회시킴에 의하여 각 구동가이드밴드(24)를 권취롤(9)의 외주하부에 밀어붙이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단부풀리(22)와 상기 선단부풀리(23) 사이에 걸쳐진 구동가이드밴드(24)를 도 1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구동가이드밴드(24)는 강하게 권취롤(9)의 외주에 밀어붙여지고 있기 때문에, 밀어붙여진 권취롤(9)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권취롤(9)은 이 마찰력에 의하여 구동안내가이드(24)에 종동하여 도 13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권취롤(9)에 감긴 베니어시트(1)는 권취해제 된다.
그리고, 권취해제된 베니어시트(1)는 구동가이드밴드(24) 상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구동안내가이드(24)에 의해 기단부풀리(22)로 반송되고, 상기 기단부풀리(22)의 전방에는, 기단부풀리(22)에 따라서 리턴안내부재(2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베니어시트(1)는 리턴안내부재(25)에 이르러, 기단부풀리(22)와 리턴안내부재(25)의 사이를 반송방향이 반전하도록 유도되고, 상기 권취롤에서 되감긴 베니어시트는, 상기 권취롤(9)의 외주에서 구동가이드밴드(24)를 거쳐서 리턴안내부재(25)에 의하여, 반송방향이 'Z'자 형상으로 리턴되어 반송컨베이어(26) 상에 이른다.
베니어시트(1)는 그 섬유방향을 반송방향과 교차한 상태로 반송컨베이어(26) 상을 반송되어져 반송컨베이어(26)와 평행하게 설치된 위치제어수단(27)에 의하여 반송로 상에 위치규제되게 된다. 이 위치제어수단(27)은 반송컨베이어(26)의 반송 방향의 일 측에 반송컨베이어(26)와 평행으로 수직형상의 제1제어벨트(28)를 설치하고, 다른 측에는 반송로 상의 베니어시트(1)의 측부를 압압하는 프레스체를 구비한 것으로서 한다.
이 프레스체는 베니어시트(1)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측부를 눌러 제1제어벨트(28)측으로 밀어 붙이는 위치제어를 하는 것이다. 프레스수단으로서는 유체동력에 의하여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퇴하거나, 도시 예와 같이, 반송컨베이어(26)의 반송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수직형상의 제2제어밸트(29)의 간극 내에 편심링(30)을 축수하여 편심링(3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편심링(30)의 회전에 의하여 제2제어밸트(29)의 트랙 면은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베니어시트(1)는 그 반송방향의 일 측을 제2제어밸트(29) 트랙 면으로 밀어 접속됨으로서 반송방향과 동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제어벨트(28)에 의하여 위치 제어된다.
반송컨베이어(26)의 종단에는 이 종단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임의각도 요동하는 교체컨베이어(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교체컨베이어(31)의 선단부는 베니어시트(1)의 반송경로를 직진으로 하는 하위컨베이어(32)의 시작단과 연결하던가, 혹은 베니어시트(1)의 반송경로를 상방으로 하는 상위컨베이어(33)의 시작단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반송컨베이어(26) 상을 따라 반송되어진 베니어시트(1)는 교체컨베이어(31)의 작동에 의하여 하위컨베이어(32)와 상위컨베이어(33)에 교호로 반입된다. 반입된 각 베니어시트(1)는 하위컨베이어(32)와 상위컨베이어(33) 상에서 그 전단부의 위치가 정합(정리되어짐)되어지는 것으로서 된다.
하위컨베이어(32)의 하류 위치에는 결합컨베이어(34)가 접속되어져 있고 하위컨베이어(32) 상의 베니어시트(1)가 직진상태 그대로 이동 급송된다. 한편, 상위컨베이어(33)의 종단 위치에는 상기 결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으로 상위컨베이어(33)상의 베니어시트(1)를 안내하는 안내컨베이어(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컨베이어(35)는 반송방향을 향하여 하향 구배를 가지고 있고, 그 선단부는 중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으로 접근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중합컨베이어(34) 상서, 하위컨베이어(32)로부터 직진, 반송된 베니어시트(1)와, 상위컨베이어(33)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 베니어시트(1)가 전단부를 정합한 상태로서 2 매 중첩되어 중합된다
중합컨베이어(34)의 하류위치에는 2 매 중첩의 베니어시트(1)가 권취되는 베니어시트권취위치(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는 상면 높이가 상기 중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과 거의 동일하고 적어도 베니어시트(1)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드라이브로울러(6)가 축수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로울러(6)는 변속가능하지만 통상에 있어서는 상기 중합컨베이어(34)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제어되어 회전가능하다.이 드라이브로울러(6)의 상방에는 직경을 대경으로 한 권취릴(7)의 양단의 축수부분이 릴축수(8)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권취릴(7)은 그 하면이 상기 드라이브로울러(6)의 상면과 접함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마찰력으로서 종동하고 도 13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권취릴(7)의 하류 측에는 권취릴(7)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의 실부재급송기구(10)를 설치하고 있다.
2 중으로 한 베니어시트(1)는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되고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 이르게 된다. 이 때에 권취릴(7)에는 상기 실부재급송기구(10)의 실권취릴(11)로부터 급송된 실부재(12)의 선단이 그 길이방향에 걸쳐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소 감아 붙여져 있다. 2 중의 베니어시트(1)가 드라이브로울러(6)와 권취릴(7) 사이에 이르게 되면 중합컨베이어(34)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고 있는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종동하여 권취릴(7)이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복수 개소의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2 중첩의 베니어시트(1)를 권취한다. 중합컨베이어(34)로부터 반송된 2 중첩의 베니어시트(1)는 순차적으로 권취릴(7)에 권취된다.
권취릴(7)로의 권취 시에 권취효율을 고려하여 권취된 베니어시트(1)의 전,후 간극을 협소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을 도 1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중합컨베이어(34)에는 펄스제너레이터(3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중합컨베이어(34) 상방에는 접촉식, 혹은 투과형, 반사형 등의 비접촉식의 검출기(37)가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브컨트롤러(38)는 상기 검출기(37)위치로부터 드라이브로울러(6)까지의 거리(K)를 설정한 거리설정기(39)가 접속되어 펄스제너레이터(36)로부터의 펄스량을 읽어들임에 의하여 거리(K) 분의 펄스량으로서 저장한다.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전단부분을 상기 검출기(37)가 검출하는 경우,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로울러(6)의 제어계인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한다.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는 복수의 기억소자가 내장 되어 그 기억소자의 하나에는 상기 검출지령이 기억되어 있어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중합컨베이어(34)상을 거리(K) 만큼 반송되어 이것을 해당 기억소자가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는 경우, 드라이브로울러(6)를 기동시킴과 동시에 해당 기억소자를 리셋하고 있다. 드라이브로울러(6) 상에 이른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은 그 판 길이분 만큼 드라이브로울러(6)가 구동되어짐에 의하여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진다. 이 판 길이는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된 시점에 검출기(37)가 그 전단과 후단을 검출하여 이것을 펄스량으로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 저장하고 있게 된다, 단 이 판길이는 거의 동일한 길이로서 절단된 것이기 때문에 이 정규화된 동일길이를 미리 드라이브컨트롤러(38)내에 판길이(40)로서 기억시켜도 좋다.
이 판길이(40)에 상당하는 펄스량이 카운트업하면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부터 드라이브로울러(6)로의 구동정지지령이 발신되고, 드라이브로울러(6)은 다시 정지한다. 그리고, 차위의 2 중첩으로 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이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따라서 반송되어 그 전단이 검출기(37)에 검출되는 경우, 전기 기재와 동일한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 만일 전위의 2 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아직 중합컨베이어(34)를 반송로 혹은 권취릴(7)로의 권취 도상에 있다면, 전위의 기억소자가 리셋되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기억소자에 의하여 펄스제어된다. 이렇게 하여 차위의 2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드라이브로울러(6) 상에 이르면 전회에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후단과의 간 극을 협소화한 상태에서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된다. 상기 작업을 반복함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6)는 간헐적으로 구동되고 2 중첩의 베니어시트(1)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릴(7)에 전,후 간극을 밀접화한 상태로서 효율적으로 권취하게 된다.
다음의 베니어시트(1)는 그 전단이 검출기(37)에 검출되면, 전기 기재와 동일한 공정을 거쳐 드라이브로울러(6) 상에 이르게 되고 도 16 에 도시한바와 같이, 전회에 권취된 베니어시트(1)의 후단과의 간극을 협소화한 상태로서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진다. 상기 작업을 반복함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6)은 간헐적으로 회동하게 되고 베니어시트(1)는 권취릴(7)의 전,후 간극을 밀접화 한 상태로서 효율적으로 권취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은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 있어서, 드라이브로울러(6)을 간헐적으로 회동시켜 권취릴(7)에 권취하는 것으로서 컨베이어반송속도와 간헐적인 권취속도(저속)가 거의 동일하면 권취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지만, 권취속도의 고속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장이 생긴다. 이 경우,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의 전 단계의 반송로 상에서 전,후 간극협소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의 다른 실시양태를 도 1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도 15 와 동일부품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우선, 전,후 간극협소화를 행하는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시작단을 중합컨베이어(34)의 종단부와 상호 들어가 겹친 상태로 설치하고 양 컨베이어(34,43)을 각각 단독으로 구동가능하게 설정한다. 이 상태 하에서, 중합컨 베이어(34) 상에 설치된 검출기(37)가 베니어시트(1)의 전단부분을 검출한 경우, 이 검출지령을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제어장치인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한다. 이 드라이브컨트롤러(38)에는 검출기(37)로부터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임의위치까지의 거리(K)를 설정한 거리설정기(39)가 접속되며 상기 검출지령에 기초하여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구동을 정지한다. 중합컨베이어(34)에는 펄스제너레이터(36)가 설치되어 있어 베니어시트(1)가 중합컨베이어(34) 상을 거리(K) 만큼 반송되며 이것을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게 된다. 간극조절컨베이어(43) 상에 도달한 베니어시트(1)는 그 판 길이분 만큼 간극조절컨베이어(43)가 구동된다. 이 판길이는 베니어시트(1)가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되는 시점에 검출기(37)가 그 전단과 종단을 검출하고 이것을 펄스량으로서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 저장하게 된다. 단, 이 판 길이는 거의 동일한 정형적인 길이로서 절단 된 것이기 때문에 그 정형길이를 미리 드라이브컨트롤러(38)에 판길이로서 기억시켜도 무방하다. 이러한 간헐적인 구동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는 간극조절컨베이어(43) 상에서 전,후간극이 밀접하게 되고 이것을 별도의 컨베이어로 넘겨 이송시켜 권취속도에 합치하는 속도로 권취릴(7)에 권취하는 것이다.
이 때에 권취릴(7)을 축지지하고 있는 릴축수(8)의 위치가 고정적이라면, 중합컨베이어(34)의 시작단 위치를 지점으로 하고 중합컨베이어(34)와 드라이브로울러(6)을 하방으로 선회 자유롭게 하여 증가하는 권취직경의 반경분 만큼 드라이브로울러(6)를 중합컨베이어(34)와 함께 자동적으로 선회하강시킨다. 또한, 역으로 드라이브로울러(6)를 축수하고 있는 위치가 고정적이라면 권취릴(7)을 축수하고 있 는 릴축수(6)의 위치를 증가하는 권취 직경의 반경 분 만큼 상승시키게 된다. 단, 드라이브로울러(6)는 권취릴(7)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동체, 혹은 밸런스웨이트 등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서 권취릴(7)에 접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서 2중첩의 베니어시트(1)로서 권취되며 3 층적층합판을 구성하도록 표판과 이판을 조합하여 권취롤(41)은 릴링덱크의 적층 권취롤의 저장영역으로 이송된다. 이 적층조립된 권취롤 저장영역은 상하방향으로 다단계로 설치된 빔으로 구성되며, 이 권취롤 저장영역에서는 일정한 시간간격(하루밤낮)으로 복수개 저류되어 표판과 이판 간의 평형함수율화가 도모되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하나의 권취롤(9)로부터 동일한 길이 형상으로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1매씩 권취해제하고 이것을 2 중첩으로 하여 조립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표판과 이판을 등급 적으로는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서 표판용과 동일한 판종을 2 중첩으로 하거나 역으로 이판용과 동일한 판종을 중첩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만일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가 연속상태라면 상기 반송컨베이어(26) 상을 반송할 때에 동일한 크기로서 절단하게 된다.
또한, 도 18 에는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판종이 서로 상이한 2 개의 권취롤(9)(표판용과 이판용)로부터 동일한 정척(동일한 길이) 형상의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한 장씩 권취해제하고 이것을 2 중첩으로 하여 조합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와 동일한 반송컨베이어(26), 이 반송컨베이어(26)와 평행하게 설치된 위치제어수단(27)을 표판용과 이판용 각각 상하 2 단으 로 되도록 하여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의 종단에는 중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으로 베니어시트(1)를 안내하는 안내컨베이어(35)를 설치하면 충분하다. 단, 설명의 편의상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를 표판용,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를 이판용으로 한다.
이 경우,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2 개의 권취롤(9)(표판용과 이판용)로부터 동일한 정척 형상의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표판과 이판)을 1매씩 권취해제하고 상단과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으로 넘겨 이송시킨다.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은 상단과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에서 위치제어수단(27)에 의하여 각각 위치가 제어된다. 이 후에, 중합컨베이어(34)에서는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직진반송된 베니어시트(1)(표판)과,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 베니어시트(1)(이판)가 전단부를 정합된 상태로서 2 중첩으로 중첩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기재한 간극협소화 수단에 의하여 전,후 간극을 밀접하게 하면서 2 중첩으로 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를 권취하여 완성 권취롤(41)로서 조합 권취롤 저장영역에서 저류되는 경우, 상이한 판종(표판용과 이판용)의 평균함수율화가 도모되는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를 2 중첩으로 하고 이것을 전,후 간극을 밀접하게 한 상태로서 권취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3 층합판을 구성하는 표판과 이판을 조합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 5 중합판을 구성하는 표판, 중심판, 이판의 각 판을 조합한 권취롤을 실시 예로서 설명한다.
이것은 도 19 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2 중첩으로 한 1 매를 1조로 하여 교호로, 대 직경의 권취릴(7)에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하여 나가면서 다층으로 권취한 것으로서 5층합판조합에 대처하는 것이다. 즉, 섬유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한 3 매의 베니어시트(1) 가운데 2 매를 중첩하고 1 매를 단일로 한 것을 1 조로 하고 이것을 권취방향에 교호로 연속시킨 것이다.
상기 조합을 실시하기 위하여 표판용과 이판용, 중심판용의 각 판종을 전부 동일하게 하는 경우, 이판과 중심판의 판종을 동일하게 하고 표판을 전용의 판종으로 하는 경우, 표판용과 이판용, 중심판 용의 각 판종을 전혀 상이하게 한 경우의 3 가지의 방식이 있다. 이들 가운데 전기한 2 개에 대해서는 상기 기재한 도면에 기초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우선 표판용과 이판용, 중심판용의 각 판종을 완전히 동일하게 한 경우를 도 13, 도 14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하나의 권취롤(9)로부터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의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1매씩 권취해제하여 반송컨베이어(26) 상에 넘겨 이송시킨다. 베니어시트(1)는 반송컨베이어(26) 상에서 위치제어수단(27)에 의하여 위치제어된다. 그 후, 교체컨베이어(31)를 하위컨베이어(32)와 연결시키고, 하위컨베이어(32) 상에 2 매의 베니어시트(1)를 직진 반송시킨다. 2 매의 베니어시트(1)를 직진 반송시킨 후, 교체컨베이어(31)를 상위컨베이어(33)와 연결시켜 1 매의 베니어시트(1)를 상위컨베이어(33) 상에 교체 반송한다. 그리고, 교체컨베이어(31)는 하위컨베이어(32)로 2 매의 베니어시트(1)를 직진 반송시키는 것에 대하여 상위컨베이어(33)로 1 매의 베니어시트(1)를 교체 반송시킨다. 중합컨베이어(34) 상에서는 하위컨베이어(32) 상을 직진 반송시킨 베니어시트(1)에 상위컨베이어(33)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 베니어시트(1)가 전단부를 정합한 상태로서 2 중첩으로 중합되게 된다. 다음에 전기한 간극협소화 수단에 의하여 2 중첩으로 되는 베니어시트(1)를 권취릴(7)에 권취한다. 권취 이후에 중합컨베이어(34) 상에는 이 2 중첩으로 된 베니어시트(1)에 연속하여 하위컨베이어(32)로부터 2 매 째의 베니어시트(1)가 직진 반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서 중합컨베이어(34) 상에는 2 중첩 1 매의 베니어시트(1)가 교호로 반송되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릴(7)에 전,후 간극을 밀접하게 한 상태로서 효과적으로 권취되는 것이다.
다음에 이판과 중심판의 판종을 동일하게 하고 표판을 전용의 판종을 하는 경우를 도 18 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는 2 개의 권취롤(9) 가운데 설명의 편의상, 상단의 권취롤(9)을 이판용과 중심판용으로, 또한, 하단의 권취롤(9)을 표판 전용으로 하고 있다. 권취롤(9)로부터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의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1)를 1매씩 권취해제하고 상단과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으로 넘겨 이송시킨다. 각 베니어시트(1)는 상단과 하단의 바 상에서 위치제어수단(27)에 의하여 각각 위치제어된다. 그 이후에 중합컨베이어(34) 상에서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직진 반송된 베니어시트(1)(표판)와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 베니어시트(1)(이경우에는 중심판)가 전단부를 정합한 상태로서 2중첩으로 되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에서 언급한 간극협소화수단에 의하여 2중첩으로 된 베니어시트(1)를 권취릴(7)로 권취한다. 권취 이 후에 중합컨베이어(34) 상에는 이 2 중첩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에 연속하여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베니어시트(1)(이경우에는 중심판)가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다. 즉,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을 반송되는 베니어시트(1)는 교호로 이판과 중심판으로 되고, 이판이라면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을 반송되어 오는 베니어시트(1)(표판)과 2중첩으로 되고 중심판이라면 1 매 그대로 전기 기재한 간극협소화수단에 의하여 전,후 간극을 밀접하게 하면서 권취되어 조합 권취롤(41)로서 조합 권취롤 저장영역에서 저류되는 것이다. 단, 이 경우에는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상단의 권취해제속도(표판과 중심판이 교호로 교체된다.)의 거의 배의 속도로서 제어되고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에서 반송되어 오는 베니어시트(1)(표판)과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되어 오는 베니어시트(1)(표판과 중심판이 교호로 교체된다.)의 반송비율을 1 : 2 로 하고 있다.
도 21 에는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판종이 서로 다른 3 개의 권취롤(9)(표판용,이판용,중심판용)로부터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의 베니어시트(1)를 1매씩 권취해제하고, 이것을 2중첩(표판과 이판)하고 1 매를 단일(중심판)으로 하여 조합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재와 동일한 반송컨베이어(26), 이 반송컨베이어(26)와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위치제어수단(27)을 표판용과 이판용, 중심판용으로 상중하 3단으로 한 것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각 단의 반송컨베이어(26) 가운데, 설명의 편의상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를 중심판용으로, 중단의 반송컨베이어(26)를 이판용으로, 하위컨베이어(32)를 표판용으로 하는 경우,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와 접속하고 있는 중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으로 중단의 반송컨베이어(26)의 종단으로부터 베니어시트(1)(이판)을 안내하는 안내컨베이어(3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합컨베이어(34)와 베니어시트권취위치(5) 사이에는 중계컨베이어(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계컨베이어(42)의 시작단과 상기 중합컨베이어(34)의 종단은 상호 들어가 결쳐진 상태로 설치되고 각각 단독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중계컨베이어(42)의 반송면 상으로,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의 종단으로부터 베니어시트(1)(중심판)를 안내하는 안내컨베이어(35)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베니어시트권취해제위치(20)에서, 3 개의 권취롤(9)(표판용과 이판용, 중심판용)로부터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의 건조후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 중심판)을 1 매씩 권취해제하고 상단과 중단,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으로 넘겨 이송시킨다.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 중심판)은 상단과 중단,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 상에서 위치제어수단(27)에 의하여 각각 위치제어된다. 그 이후에 중합컨베이어(34) 상에서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직진 반송된 베니어시트(1)(표판)과 중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 베니어시트(1)(이판)가 전단부를 정합한 상태로서 2중첩으로 중합되게 된다.
다음에 이 실시 예에서의 전,후간극협소화수단을 도 22 를 기초하여 설명한 다. 중합컨베이어(34)에는 펄스제너레이터(3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중합컨베이어(34)의 상방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제1검출기(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합컨베이어(34)의 종단에는 중계컨베이어(42)가 그 시작단이 들여진 채로 접속되어 있다. 이 중계컨베이어(42)에는 펄스제너레이터(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계컨베이어(42)의 상방에는 전기 기재와 동일한 제2검출기(46)가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브컨트롤러(38)에는 거리설정기(39)가 접속되고 이 거리설정기(39)에는 상기 제1검출기(44)로부터 드라이브로울러(6)까지의 거리(L1)와 전기한 제2검출기(46)로부터 드라이브로울러(6)까지의 거리(L2)가 설정되어 각 펄스제너레이터(36,45)로부터 펄스량을 읽어 들임에 의하여 거리(L1), 거리(L2)의 펄스량으로서 저장된다.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된 2 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전단부분을 전기한 제1검출기(44)가 검출한 경우,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로울러(6)의 제어장치인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한다.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는 복수개의 내장되어 이 기억소자의 하나에 상기 검출지령이 기록되어지고,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단의 권취해재제어기(47)(중심판용)으로 권취해제 금지신호를 발신하며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의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반입을 방지한다. 2 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중합컨베이어(34) 및 중계컨베이어(42) 상을 거리(L1) 만큼 반송되고, 이것을 해당 기억소자가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는 경우, 드라이브로울러(6)로 기동신호를 발신하여 기동을 개재시킨다. 또한, 상단의 권취해제제어기(47)로 권취해제 개시신호를 발신하여 상단의 권취해제 작업을 개시시키고,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계컨베이어(42) 상으로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반입을 재개시킨다. 각 지령신호를 발신한 이후에 해당 기억소자를 리셋시킨다. 드라이브로울러(6) 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는 그 판 길이분 만큼 드라이브로울러(6)가 구동되어 짐에 의하여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진다. 이 판 길이는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된 시점에 제1검출기(44)가 그 전단과 후단을 검출하고 이것을 펄스량으로 하여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에 대기하고 있는 베니어시트(1)(중심판)는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중계컨베이어(42) 상에 반입된다. 중계컨베이어(42)의 회동에 동반하여 반송되는 경로 상에 제2검출기(46)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전단 부분을 검출하는 경우, 이 검출지령신호를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한다. 상기 검출지령은 드라이브컨트롤러(38)내의 기억소자의 하나에 기록되며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중,하단의 권취해제제어기(48)로 권취해제 금지지령신호를 발신한다. 이 지령신호에 기초하여 중,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합컨베이어(34) 상으로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반입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베니어시트(1)(중심판)가 중계컨베이어(42) 상을 거리(L2) 반송되어 이것을 해당 기억소자가 펄스량을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는 경우, 드라이브로울러(6)로의 기동지령을 발신하여 기동을 재개시킨다. 또한, 중,하단의 권취해제제어기(48)로 권취해제 개시지령을 발신하여 중, 하단의 권취해제작업을 재개시켜 중,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합컨베이어(34) 상으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반입을 재개시킨다.
각 지령신호의 발신이후에 해당 기억소자를 리셋시킨다. 드라이브로울러(6) 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중심판)는 그 판 길이분 만큼 드라이브로울러(6)가 구동되어짐에 의하여 전회에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후단과의 간극을 좁힌 상태에서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시킨다. 이 판길이는 베니어시트(1)(중심판)가 중계컨베이어(42) 상을 반송된 시점에 제2검출기(46)가 그 전단과 후단을 검출하고 이것을 펄스량으로서 드라이브컨트롤러(38)내에 저장하게 된다. 단, 이 판길이(40)는 거의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의 길이를 미리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 판길이(40)로서 기억시켜도 좋다.
상기 작업을 반복함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6)는 간헐적으로 구동하고 2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 1매의 베니어시트(1)(중심판)을 1 조로 하고 권취릴(7)에 전,후간극을 밀접하게 한 상태로서 효율적으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권취되어진 조합 권취롤(41)은 조합 권취롤 저장영역까지 반송되어 저류되는 경우, 상이한 판종(표판용과 이판용)의 평형함수율화를 도모하게 된다. 단, 상기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거리를 펄스량으로서 환산한 펄스제어로서 설명하였지만 거리를 시간으로 분할한 지연회로를 구성하여 펄스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상기 실시 예에서는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의 기억소자의 펄스제어에 의하여 상단의 권취해제제어기(47)(중심판용), 혹은 중,하단의 권취해제제어기(48)(표판과 이판용)로의 권취해제 금지지령, 권취해제개시지령을 발신하고 있지만 이것을 이하와 같이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후단이 중계컨베이어(42)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2검출기(46)에 의하여 검출되는 경우,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컨트롤러(38)에 의하여 중단,하단의 권취해제제어기(48)로 권취해제지령으로서 발신한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중단, 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합컨베이어(34) 상으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반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것과 동기하여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컨트롤러(38)에 의하여 상단의 권취해제제어기(47)로 권취해제 개시지령으로서 발신한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계컨베이어(42) 상으로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반입을 재개하게 된다.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에 대기하고 있던 베니어시트(1)(중심판)는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중계컨베이어(42)상에 반입된다. 중계컨베이어(42)의 회동에 동반하여 반송되는 경로 상의 제2검출기(46)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전단부분을 검출한 경우,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하고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컨트롤러(38)에 접속되어 있는 중,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합컨베이어(34)로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반입을 방지한다.
도 22 에 도시한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은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서의 드라이브로울러(6)의 간헐적인 구동에 의한 것이지만, 이것을 전술한 바와 같이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의 전 단계의 반송 경로 상에서 전,후 간극협소화를 행하는 전술한 전,후 간극협소화수단의 다른 실시태양을 도 2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도22 와 동일부품에 대하여서는 동일번호를 부하고 있다.
우선, 전,후 간극협소화를 행하는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시작단을 중계컨베이어(42)의 종단부와 상호 들여져 겹쳐진 상태로서 설치하고 양 컨베이어(43,42)를 각각 단독으로 구동가능하게 설정한다. 이 상태 하에서,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되는 2 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전단부분을 전술의 제1검출기(44)가 검출하는 경우, 이 검출지령을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제어계인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한다.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에는 복수개의 기억소자가 내장되며 이 기단부풀리(22)의 하나에 상기 검출지령이 기록되며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단의 권취해제제어기(중심판용)로 권취해제 금지지령을 발신하고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의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반입을 방지한다. 2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가 중합컨베이어(34) 및 중계컨베이어(42) 상을 거리(L1) 반송되어 이것을 해당 기억소자가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는 경우,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기동지령을 발신하여 기동을 재개시킨다. 또한, 상단의 권취해제제어기(47)로 권취해제 개시지령을 발신하여 상단의 권취해제작업을 재개시키고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계컨베이어(42) 상으로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반입을 재개시킨다. 각 지령을 발신한 후에 해당 기억소자를 리셋시킨다. 간극조절컨베이어(43) 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는 그 판길이 분만큼 간극조절컨베이어(43)가 구동되어짐에 의하여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된다.
한편, 상단의 반송컨베이어(26)에 대기하고 있던 베니어시트(1)(중심판)는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중계컨베이어(42) 상으로 반입된다. 중계컨베이어(42)의 회동에 동반하여 반송되는 경로 상에, 제2검출기(46)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중심판)의 전단부분을 검출하는 경우, 이 검출지령을 드라이브컨트롤러(38)로 발신한다. 상기 검출지령은 드라이브컨트롤러(38) 내의 기억소자의 하나에 기록되고 간극조절컨베이어(43)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하단의 권취해제제어기(48)로 권취해제 금지지령으로서 발신한다. 이 지령에 기초하여 중,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합컨베이어(34) 상으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반입을 방지하게 된다.
베니어시트(1)(중심판)가 중계컨베이어(42) 상을 거리(L2) 만큼 반송되어 이것을 해당 기억소자가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애 의하여 검출하는 경우, 간극조절컨베이어(43)로의 기동지령을 발신하여 기동을 재개시킨다. 또한, 중,하단의 권취해제제어기(48)로 권취해제 개시지령을 발신하여 중,하단의 권취해제 작업을 재개시키고 중,하단의 반송컨베이어(26)로부터 중합컨베이어(34) 상으로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의 반입을 재개시킨다. 각 지령을 발신한 이후에 해당 기억소자를 리셋시킨다. 간극조절컨베이어(43) 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중심판)은 그 판길이 분만큼 간극조절컨베이어(43)가 구동된다. 그리고, 간극조절컨베이어(43) 상에는 2중첩의 베니어시트(1)(표판과 이판)과 1 매의 베니어시트(1)(중심판)이 교호로 되는 것과 같이 간을 협소화한 상태로서 대기되고 그 후 베니어시트권취위치(5)까지 반송되며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진다.
도 24 내지 26 에는 건조 후의 판종이 상이한 표판, 이판의 각 적재체(49)는 리프터(50) 상에 올려지고 그 상면 높이는 항상 임의의 높이로서 제어되고 있다. 이 리프터(50)에 의하여 핀치로울러(51)를 개재하여 상하류에 걸쳐서 한 쌍의 컨베이어가 인접하여 설치된다. 이 한 쌍의 컨베이어는 표판용과 이판용으로 상하 2 단으로 설치되고 서로 전,후하여 반송되는 표판(1A)과 이판(1B)의 전,후 간극협소화수단(52)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전,후간극협소화수단(52)은 표판(1A), 혹은 이판(1B)의 폭의 거의 2 배의 간극을 두면서 스파이크(53)가 장착된 벨트 혹은 체인에 의하여 구성되는 상류컨베이어(54)와,이 상류컨베이어(54)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표판(1A), 이판(1B) 의 폭과 거의 동일한 간극을 두고 스파이크(53)가 장착된 벨트 혹은 체인으로 구성되는 하류컨베이어(55)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컨베이어(54)의 종단부와 하위컨베이어(32)의 시작단부는 상호 들여져 겹쳐진 상태로서 중합되어 있고 또한, 상류컨베이어(54)의 속도는 하위컨베이어(32)의 속도에 대하여 거의 2 배로서 제어되고 있다.
이 상류컨베이어(54)의 반송방향의 일측(전기 리프터(50)의 반대측)의 임의 개소에는 표판(1A), 이판(1B)의 반송방향의 일 측을 규제하는 위치제어수단(27)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상류컨베이어(54)와 평행으로 수직형상의 규제벨트(56)를 설치하고 상류컨베이어(54)의 반송방향과 동 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한 것이다. 상류컨베이어(54)의 벨트 혹은 체인 간극 내에는 상류컨베이어(54)의 반송면에 대하여 돌출 및 함몰이 자유로운 로우럴컨베이어(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컨베이어(57)는 상류컨베이어(54)의 반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표판(1A), 이판(1B)은 리프터(50) 상의 적재체(49)의 최상부의 것으로부터 1매씩 각각 핀치로울러(51)로 급송되어 로울러컨베이어(57) 상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로울러컨베이어(57)는 상류컨베이어(54)의 반송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제어되며 규제벨트(56)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다. 때문에, 로울러컨베이어(57) 상에 급송된 표판(1A), 이판(1B)은 규제벨트(56)까지 전진하여 접속하게 되면 규제벨트(56)의 회동에 동반하여 반송방향의 일단부가 규제되면서 롤컨베이어(57) 상을 로울러 축방향으로 약간 미끄러진다. 다음에, 로울러컨베이어(57) 를 상류컨베이어(54)의 반송면으로부터 후퇴(함몰입)하게 되면 표판(1A), 이판(1B)은 상류컨베이어(54)에 넘겨져 이송되고 스파이크(53)부분에 후단이 지지되면서 하류컨베이어(55)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류컨베이어(54)의 스파이크(53)에 의하여 반송되고 있는 표판(1A), 이판(1B)은 하류컨베이어(55)의 시작단에 이르면 하류컨베이어(55)의 속도가 상류컨베이어(54)의 속도의 거의 반으로 제어되어 있기 때문에 표판(1A), 이판(1B)의 전단부는 하류컨베이어(55)의 스파이크(53) 부분으로 서서히 쫓아가게 된다. 하류컨베이어(55)의 스파이크(53) 부분에 표판(1A), 이판(1B)의 전단부가 접속하기 직전에 상류컨베이어(54)는 종단의 리턴 위치에 이르게 되기 때문에 표판(1A), 이판(1B)은 상류컨베이어(54)의 스파이크(53)로부터 하류컨베이어(55)의 스파이크(53)에 의하여 그 후단을 지지받게 된다. 이 때에, 표판(1A),이판(1B)은 그 전,후단이 하류컨베이어(55)의 스파이크(53) 간극 내에 위치하고 다음에 반송되는 표판(1A), 이판(1B)의 전,후 간극과 밀접하게 간극협소화가 이루어진다. 하단의 하류컨베이어(55)의 하류위치에는 중합컨베이어(34)가 종단부 와 시작단부가 상호 들여져 겹쳐진 상태로 접속되어 있고 하단의 하류컨베이어(55) 상의 이판(1B)이 직진상태 그대로 넘겨져 이송된다. 한편, 상단의 하류컨베이어(55)의 종단위치에는 전술한 중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으로 상단의 하류컨베이어(55) 상의 표판(1A)을 안내하는 안내컨베이어(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컨베이어(35)는 반송방향으로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가지고 있고 그 선단부는 중합컨베이어(34)의 반송면으로 접근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중합컨베이어(34) 상에서 하단의 하류컨베이어(55)로부터 직진,반송된 이판(1B)과 상단의 하류컨베이어(55)로부터 안내컨베이어(35)를 경유하여 반송된 표판(1A)이 전단부를 정합한 상태로 2 중첩으로 중합되는 것이다.
2 중첩으로 한 표판(1A)과 이판(1B)은 중합컨베이어(34) 상을 반송되어 전술한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드라이브로울러(6)는 중합컨베이어(34)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회동하고 있고, 이 드라이브로울러(6)의 구동을 종동하여 권취릴(7)이 역방향으로 회동하며 복수개소의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2 중첩의 표판(1A)과 이판(1B)을 권취한다. 이 경우, 서로 전,후로 하는 2 중첩의 표판(1A)과 이판(1B)은 기히 전,후 간극을 협소화하고 있어 효율적인 권취가 가능하다.
단, 상기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상하류컨베어이(54,55)에 의한 간극협소화수단(52)과 위치제어수단(27)을 표판(1A)과 이판(1B)마다에 반송방향의 상하에 임의 간극을 두고 각각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을 반송방향의 좌우에 임의간극을 두고 각각 인접하여 설치하거나, 중합컨베이어(34)를 그 사이에 개재시켜 반송방향과 반 반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각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예의 상하류컨베이어(54,55)에 의한 간극협소화수단(52)을 전술한 베니어시트권취위치(5)에서의 드라이브로울러(6)의 간헐적 회동제어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역으로 상기 실시 예의 드라이브로울러(6)의 간헐적 회동제어에 의한 간극협소화수단을 상하류컨베이어(54,55)에 의하여 전,후 간극협소화수단(52)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베니어시트권취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 27 내지 3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반송컨베이어(60)는 시작단부풀리(61)와 선단부풀리(62) 사이에 벨트(63)를 복수열 걸어 걸쳐서 모우터(도시하지 아니함)의 구동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구성되고 프레임(6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컨베이어(60)의 종단부 근방에는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외방에 한 쌍의 릴지주(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릴지주(65)에는 권취릴(7)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릴축수(8)와, 이 권취릴(7)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경우, 이 권취릴(7)을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릴누름부재(66)가 각각 반대향하는 방향으로 내방에 설치되어 베니어시트권취위치(5)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릴지주(65)의 상방의 측부에는 현가용의 유체실린더(67)가 각각 역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피스톤로드(68)의 선단은 전기한 프레임(64)의 지지부(69)에 감겨 걸려진 체인, 벨트 등의 지지부재(70)의 일단을 접속하고 그 타단을 릴지주(65)의 지지구(71)에 장착하고 있다.
권취릴(7)의 하방위치로부터 베니어시트(1)가 반입되는 측의 반대측에 걸쳐 서 반송컨베이어(60)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베니어시트(1)을 권취릴(7)에 권취시키는 권취안내부재(72)가 그 외주 위치에 상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권취안내부재(72)는 권취릴(7)의 축심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열의 벨트를 무단 형상으로 감아 걸어진 무단밴드(73)에 의하여 구성되고 도 29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릴(7)의 하면에 연속하여 베니어시트(1)의 반입 측의 반대측의 외주측면에 걸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안내부재(72)는 기단부와 중간부, 상방부, 선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풀리에 각각 감아 걸려지는 복수열의 무단밴드(73)에 의하여 구성된다. 즉, 기단부의 풀리(74)는 전술의 반송컨베이어(60)의 선단부풀리(62)의 축(75)에, 그 축심 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장착되어진 선단부풀리(62)의 간극 내에 각각 배치되고 장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하는 프레임(64)의 선단의 근방 부분에 축수되는 중간축(76)의 축심 방향에는 상기의 기단부의 풀리(74)의 위상과 합치하도록 중간부의 풀리(77)가 각각 배치되어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64)의 선단에 반송방향에 직교하여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체(78)의 상부 사이에는 상부축(7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상부축(79)의 축심 방향에는 상기 기단부, 중간부의 각 풀리(74,76)의 위상과 합치하도록 상방부의 풀리(80)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의 풀리(81)는 한 쌍의 지지아암(82)의 선단 간극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한 쌍의 지지아암(82)의 후단은 복수쌍 마다에 연결빔(83)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64)의 선단부 근방의 하부로부터 돌출하는 브라켓(84)에 힌지축지지되고 종동용의 유체실린더(85)의 피스톤로드(86)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한 쌍의 지지아암(82)은 그 중간 부근에 지지부(87)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87)에 장착된 베어링면을 상기 중간축(76)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각 무단밴드(73)는 기단부의 풀리(74), 중간부의 풀리(77), 상방부의 풀리(80), 선단부의 풀리(81) 순으로 각각 감겨 걸려진 무단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76)의 일단에 설치되는 모우터(88)의 회전을 받아 반송컨베이어(60)와 권취안내부재(72)를 거의 동일한 속도로서 회동제어하고 있다. 또한, 종동용의 유체실린더(85)에 의하여 권취릴(7)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지지아암(82)이 베어링 면을 개재하여 중간축(76)에 위치된 지지부(87)를 지점으로 하여 선회되면 각 한 쌍의 지지아암(82)의 선단에 위치하는 선단부의 풀리(81)가 권취릴(7)의 외주연에 접하고 권취안내부재(72)는 권취릴(7)의 외주연에 일부에, 그 곡률에 따라서 면상으로 눌려 붙이는 상태로 된다. 권취릴(7)의 축심방향에는 권취릴(7)에 베니어시트(1)를 권취하는 가이드로서 감아 붙여지는 실부재(12)를 급송하기 위한 실부재급송기구(10)가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권취안내부재(72) 각 열의 간극 내에는 실부재급송기구(10)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아암(82)의 거의 중간영역에는 실부재(12)의 노즐(12N)을 장착하고 있다. 한편, 이 실부재(12)를 권취릴(7)에 엉겨 붙게 하기 위하여, 권취릴(7)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소에 실부재(12)를 엉켜 붙게 하는 샌드페이퍼를 장착하거나 예를 들면, 룰렛가공된 돌출부 등의 고마찰영역을 설치한 다.
또한, 권취안내부재(72)에는 권취안내부재(72)의 회전을 허용하면서이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무단밴드(73)에 어떤 압력으로 눌러 붙이거나 인장시키는 회전풀리(89)를 구비하여 권취안내부재(72)를 일정한 장력으로 긴장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즉, 도 29 , 30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64) 상에 축수된 축(90)의 축심 방향으로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무단밴드(73)의 열수에 대응한 L 형상의 레버(91)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 레버(91)의 돌출한 중간위치에 회전풀리(89)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또한, 레버(91)의 타단을 프레임(64)의 선단 근방의 하부로부터 돌출한 브라켓(84)에 힌지축지지시킨 긴장 용의 유체실린더(92)의 피스톤로드(93)에 연결된다. 도 29 , 30 에 도시하는 회전풀리(89)는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무단밴드(73)를 소정의 압력으로 눌려붙임에 의하여, 도 31 에 도시하는 회전풀리(89)는 무단밴드(73)를 소정의 압력으로 인장함에 의하여 권취안내부재(72)를 긴장상태로 하고 있다.
회전풀리(89)를 양단에 위치하는 레버(91)의 중간위치에서 삽입통과하는 축(도시하지 아니함)에 그 축심 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레버(91)의 타단을 긴장용의 유체실린더(92)의 피스톤로드(93)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권취안내부재(72)에 대하여 각 회전(89)가 일체로 작용하여 긴장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권취안내부재(72)를 권취릴(7)의 곡률에 따른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 예와 같이,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개개의 무단밴드(73) 에 대하여 개별로 소정의 어떠한 압력을 부여하는 긴장용의 유체실린더(92)를 설치함에 의하여, 예를 들면, 권취릴(7)의 자중처짐이 발생하거나 베니어시트(1)의 두께의 상이성이 있거나 하여도 각 열의 권취안내부재(72)를 동일한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권취릴(7)의 축심방향의 어느 부위에 있어 베니어시트(1)에도 거의 동일한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니어시트(1)의 권취에 있어서, 우선 현가용의 유체실린더(67)의 전방부포트에 유체를 공급하고 프레임(64)을 베니어시트(1)의 반입측에 위치하는 반송컨베이어(60)의 시작단부풀리(61)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선단부분을 상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64)의 선단은 반송컨베이어(60), 권취안내부재(72)와 함께 선회하고 권취안내부재(72)가 릴축수(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권취릴(7)의 하면에 접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종동용의 유체실린더(85), 긴장용의 유체실린더(92)를 작동시켜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무단밴드(73)를 권취릴(7)의 하면에 연속하여 베니어시트(1)의 반입 측의 반대 측의 외주측면에 각각 면상으로 밀착시켜 긴장상태로 유지한다. 이런 상태하에서 실권취릴(11)로부터 급송되어 나온 실부재(12)의 선단을 노즐(12N)을 개재하여 권취릴(7)의 고마찰영역으로 불어 엉켜 붙게 한다. 다음에 권취안내부재(72)를 적어도 1 회전, 바람직하게는 수 회전시킴에 의하여 실부재(12)가 엉켜 붙은 권취릴(7)과 실부재(12) 간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그 이후에 전 단계 공정으로부터 반송된 베니어시트(1)를 반송컨베이어(60)를 개재하여 권취릴(7)의 하면외주와 반송컨베이어(60)를 거의 동일속도로서 제어되고 있는 권취안내부재(72)와의 사이에 이르게 된다.
베니어시트(1)는 베니어래스(선반)(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하여 절삭된 습윤 상태에 있어서도, 혹은 베니어드라이어(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하여 건조한 건조 상태에서도 좋고 또한, 베니어시트(1)는 그의 섬유와 평행으로 일정 길이 절단된 컷시트 형상으로도, 또한, 연속 상으로도 좋다. 권취안내부재(72)는 권취릴(7)의 외주의 일부에 면상으로 밀착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니어시트(1)는 권취안내부재(72)의 구동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권취릴(7)의 곡률에 따른 면상 상태로 감겨 들어가게 된다. 이 베니어시트(1)의 권취 시에, 실부재(12)는 권취릴(7)과 노즐(12N) 사이에 긴장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베니어시트(1)가 권취안내부재(72)의 구동을 마찰력에 의하여 권취릴(7)에 권취될 때, 그 선단부분으로부터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복수개소 권취되어 지게 된다.
특히, 컷시트 형상의 베니어시트(1)에 있어서는, 복수열의 권취안내부재(72)가 거리설정기(39)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에 따라서 면상으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권취릴(7)에 감아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권취되어야 하는 베니어시트(1)는 건조 후로서 습윤상태의 베니어시트(1)에 비하여 그 섬유의 강성이 강하게 되어 있어도 권취안내부재(72)에 의하여 권취릴(7)의 외주면에 면상으로 연하여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실부재(12)는 베니어시트(1)가 권취안내부재(72)에 의하여 권취릴(7) 면으로 밀착 상태로 눌러 붙이고 있을 때에,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각 무단밴드(73)의 열 간에 있어 베니어시트(1)의 상면에 가이드로서 권취되어 진다. 이 때문에 권취릴(7)의 베니어시트(1)을 권취한 후에 권취안내부재(72)와의 밀착상태가 해소되어도 복수열의 실부재(12)가 베니어시트(1)를 그 상부로부터 복수열로 가이드하여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베니어시트(1)의 권취 자세가 흐트려지는 일이 없다.
이하에 컷시트 형상의 베니어시트(1)를 그 권취효율을 고려하여 전,후 간극의 간극을 협소화하면서 권취릴(7)로 권취하는 일 실시 예의 형태를 도 3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반송컨베이어(60) 상에 설치된 접촉식, 혹은 투과형, 반사형 등의 비접촉식의 검출기(94)가 베니어시트(1)의 전단부분을 검출한 때에 이 검출지령을 권취안내부재(72)의 제어계인 드라이브컨트롤러(95)로 발신한다. 이 드라이브컨트롤러(95)에는 검출기(94)로부터 권취안내부재(72)까지의 거리(K)를 설정한 거리설정기(96)가 접속되고, 전기 검출지령에 기초하여 권취안내부재(72)의 회동을 정지한다. 반송컨베이어(60)에는 펄스제너레이터(97)가 설치되어 있고 베니어시트(1)가 반송컨베이어(60)상을 거리(K) 만큼 반송되어 이것을 펄스량의 카운트업함에 의하여 검출하게 된다. 권취안내부재(72) 상에 다다른 베니어시트(1)는 그 판길이 분 만큼 권취안내부재(72)가 구동됨에 의하여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되어 진다. 이 판길이는 베니어시트(1)가 반송컨베이어(60) 상을 반송된 시점에 검출기(94)가 그 전단과 후단을 검출하고 이것을 펄스량으로 하여 드라이브컨트롤러(95) 내에 저장하게 된다. 단, 이 판길이는 거의 동일한 길이의 정척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정척 길이를 미리 드라이브컨트롤러(95) 내에 판길이로서 저장하여 두어도 좋다. 다음의 베니어시트(1)는 그 전단이 검출기(94)에 검출되면 전기한 기재와 동일한 공정을 경유하여 권취안내부재(72) 상에 이르게 되고, 전회의 권취되어진 베니어시트(1)의 후단과의 간극을 협소화한 상태에서 실부재(12)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7)에 권취된다.
상기 작업을 반복함에 의하여 권취안내부재(72)는 간헐적으로 회동하고, 베니어시트(1)은 권취릴(7)에 전,후 간극을 밀접하게 한 상태로 효율적으로 권취된다. 또한, 권취된 베니어시트(1)가 연속상태에 있어서도 갈라진 눈, 잘린 눈 등에 의하여 베니어시트(1)가 파열하기 쉽게 되거나(건조후의 베니어시트(1)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권취 도상의 권취롤의 중앙부가 이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복수열의 실부재(12)를 베니어시트(1)의 권취 시의 가이드로서 급송하여 넣음에 의하여 안정된 권취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베니어시트(1)의 권취 도상에 권취안내부재(72)를 구성하는 개개의 무단밴드(73)는 개별적으로 배치된 회전풀리(89)에 의하여 거의 동일한 압력이 부여된 긴장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권취릴(7)의 자중처짐이 발생하거나, 베니어시트(1)의 두께의 상이가 있거나 하여도 각 열의 권취안내부재(72)를 동일한 긴장상태로 유지하고 권취릴(7)의 축심방향의 어느 부위에 있어 베니어시트(1)에도 거의 동일한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니어시트(1)가 권취릴(7)에 권취되고, 그 권취롤(9)의 직경이 증대됨에 따라서 프레임(64)의 선단부분은 반송컨베이어(60)의 시작단부풀리(61)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권취롤(9) 직경의 증가분 만큼 하방향으로 선회되게 된다. 즉, 거리설정 기(39)을 축수하고 있는 릴축수(8) 위치가 고정적이기 때문에 권취롤(9)은 그 직경의 증가분 만큼 현가용 유체실린더(67)의 유체압을 극복하여 권취안내부재(72)를 개재하여 프레임(64)을 눌러 내리게 된다. 또한, 권취롤(9)의 직경의 증가에 동반하여 권취안내부재(72)의 선단부의 풀리(81) 위치도 종동용의 유체실린더(85)의 유체압을 극복하여 서서히 일어나게 된다.(도 29 ,도 30 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의 이동). 또한, 이 권취롤(9)의 직경 증가에 동반하여 권취안내부재(72)를 개별로 눌러 붙여서 긴장되어 있는 회전풀리(89)의 위치도 긴장용의 유체실린더(92)의 유체압을 극복하여 각각 개별로 변위하게 된다. 이들은 도 29 에 도시하는 베니어시트(1)의 권취개시 위치와 도 30 에 도시하는 권취진행 위치와의 비교에서부터도 명백하여 진다.
또한, 권취안내부재(72)는 상기의 형태 이외에, 도 3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베니어시트(1) 권취위치의 하방위치를 기단으로 하여 선단을 자유단으로 하고 이 양단부에 위치하는 풀리에 각각 감겨 걸려진 복수열의 무단밴드(73)에 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베니어시트(1) 권취위치의 하방위치에 있어서, 반송컨베이어(60)의 선단부풀리(62)의 축(75)의 전방에 기단부(9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기단축(98)의 축심방향의 선단부풀리(62)와 위상이 합치하는 위치에 연계풀리(도시하지 아니함)를 장착하고, 연계컨베이어(107)를 감아 걸어두고 있다, 한편, 이 기단축(98)에 그 축심방향으로 임의의 간극을 두고 기단부풀리(99)를 복수개 장착하고 있다. 각 기단부풀리(99)의 기단축(98) 상의 양측에는 중간영역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아암(100)이 각각 회전가 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아암(100)의 선단 간극 내에 소직경의 선단부풀리(101)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기단부풀리(99)와 소직경의 선단부풀리(101) 사이에 벨트 등의 무단밴드(73)를 걸어 걸침과 함께 각 지지아암(100)의 임의 위치를 연결빔(102)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하고 이 연결빔(102)의 양단을 프레임(64)에 힌지축지지한 종동용의 유체실린더(85)의 피스톤로드(86)에 연결하고 있다.
각 무단밴드(73)는 기단부풀리(99)와 선단부풀리(101) 간에 무단 형상으로 걸쳐 걸은 벨트 형상의 것이지만, 동등한 직경의 풀리 사이에 걸어 걸친 것이 아니고 기단부풀리(99)를 선단부풀리에 비하여 대직경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각 풀리의 반경차 분만큼 무단밴드(73)를 권취릴(7)의 외주하부에 눌러 붙이는 경우에 여유가 생기고, 권취릴(7)의 외주하부에 무단밴드(73)를 소정 폭의 면상으로 눌려 붙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면상으로 눌러 붙임에 의하여 무단밴드(73)와 권취릴(7)의 하부와의 면상의 접촉면적이 증대하여 보다 많은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권취릴(7)로 베니어시트(1)을 안정적으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단부풀리(99)와 선단부풀리(101)를 지지하는 지지아암(100)은 중간영역으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상방으로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의 진행에 따라서 권취롤(9)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서 각 무단밴드(73)의 상부궤적의 하단과 지지아암(100)의 상단이 간섭하여 접속하거나, 무단밴드(73)가 회동정지하는 등의 불합리함을 피하고 권취릴(7)로의 베니어시트(1)의 권취를 확실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프레임(64)은 현가용의 유체실린더(67)에 의하여 선회 자유롭게 하고 있지만, 이것을 밸런스웨이트 등에 의하여 선회동하는 부재를 일정한 압력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권취릴(7)의 위치를 승강 자재로 하고, 역으로 권취안내부재(7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위치를 고정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릴축수(8)를 상승시키는 기구로서는 도 3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권취릴(7)을 지지하고 있는 양단의 릴축수(8)를 급송축(104)에 연결하고, 이 급송축(104)에 접속된 모우터(105)에 의하여 급송축을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권취롤(9)을 검지하는 밴드 형상의 라인센서(106)를 릴지주(65)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권취된 베니어시트(1)의 두께를 검출하고 권취릴(7)이 1 회전할 때마다 이 검출한 두께 분 만큼 급송축(104)을 모우터(105)에 의하여 급송하여 양단의 릴축수(8)를 상승시키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베니어시트의 두께의 85 배이상, 또한, 300 mm 이상 으로 하는 베니어 권취릴을 구성하여 건조 후의 베니어가 릴에 감겨 질때에 섬유의 평행한 방향으로의 갈라짐이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Claims (56)

  1.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릴의 권취면에 권취 시에 발생하는, 섬유와 평행한 부분으로부터의 갈라짐을 저감하는 곡률로서 되도록 그 직경을 권취되어 지는 베니어시트의 두께의 85 배이상, 또한, 30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릴.
  2.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면이 릴 내부에 형성된 공극과 직경 방향으로 연통하는 통기 연통부를 구비하고, 릴축의 축심 방향으로 복수 개 장착된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지지부에는 상기 공극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은 릴축에 그 축심 방향에 걸쳐서 동일한 직경으로 된 플랜지를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장착하고, 각 플랜지의 외주부를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권취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은 릴축에 그 축심 방향에 걸쳐서 동일한 직경으로 된 플랜지를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장착함과 함께, 베니어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면으로 되는 몸통판이 그 곡률에 따라서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릴.
  5.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2중첩하여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감아 붙여 권취하여 완성 권취롤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후의 베니어시트를 2중첩한 1 매를 1 조로 교호로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김아 붙여서 권취하여 완성 권취롤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릴.
  7.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상기 베니어시트권취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릴의 하면에 위치하여 구동을 전달하는 변속가능한 드라이브로울러와, 상기 베니어시트권취위치의 상류에 설치된 베니어드라이어를 구비하여 되고, 베니어드라이어로서 건조된 베니어시트를 상기 권취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8.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베니어드라이어의 종단과 접속하고,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된 접속컨베이어와, 이 접속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드라이브로울러까지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기와, 이 드라이브로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컨트롤러와, 드라이브로울러의 상면에 접하여 종동회전하고,
    상기 베니어시트는 접속컨베이어 상으로 반송되고, 상기 검출기에 의하여, 상기 베니어시트를 검출할 때, 드라이브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한 거리의 펄스량이 카운트업되는 때에 드라이브로울러를 구동시켜 베니어시트을 권취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9.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베니어드라이어의 종단과 접속하고,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된 방향변환컨베이어와, 이 방향변환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드라이브로울러까지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기와, 이 드라이브로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컨트롤러와, 드라이브로울러의 상면에 접하여 종동회전하고,
    상기 권취릴의 길이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된 실부재급송기구를 구비하고, 방향변환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베니어시트의 전단을 검출할 때에 드라이브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베니어시트의 후단을 검출할 때까지의 펄스량에 기초하여 판길이를 구하여 드라이브컨트롤러 내에 일단 기억하고, 베니어시트의 반송에 따라서 설정한 거리의 펄스량이 카운트업되는 때에 드라이브로울러를 판길이분 만큼 구동시키고, 베니어시트를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0.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상기 베니어드라이어의 종단과 접속하고,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된 접속컨베이어와, 이 접속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간극협소화컨베이어까지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기와, 이 간극협소화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컨트롤러와, 간극협소화컨베이어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때에 드라이브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간극협소화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설정한 거리의 펄스량이 카운트업되는 때에 간극협소화컨베이어를 구동시켜 반송방향에 인접하는 베니어시트의 간극을 협소화하고, 그 후 권취릴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1.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상기 베니어드라이어의 종단과 접속하고,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된 방향변환컨베이어와, 이 방향전변환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간극협소화컨베이어까지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기와, 이 간극협소화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컨트롤러와, 간극협소화컨베이어의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권취릴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된 실부재급송기구를 구비하고, 방향변환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베니어시트의 전단을 검출할 때에 드라이브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간극협소화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베니어시트의 후단을 검출할 때까지의 펄스량에 기초하여 판길이를 구하여 드라이브컨트롤러 내에 일단 기억하고, 베니어시트의 반송에 따라서 설정한 거리의 펄스량이 카운트업되는 때에 간극협소화컨베이어를 판길이분 만큼 구동시켜 반송방향에 인접하는 베니어시트의 간극을 협소화하고, 그 후에 베니어시트를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2.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2 중첩으로 완성 또는 2매 중첩의 베니어시트와 1매의 베니어시트를 상기 권취릴의 둘레 방향으로 전후로 권취하고, 2매와 1매를 1조로하여 교호로 구성하는 중합컨베이어와, 이 중합컨베이어의 하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릴의 하면에 위치하여 구동을 전달하는 변속가능한 드라이브로울러와, 상기 권취릴의 길이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 수개 설치된 실부재급송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3. 제 1 항 내지 4 항 기재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은,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된 컨베이어와, 이 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건조 후의 2 중첩의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또는 2매 중첩인 베니어시트와 1매인 베니어시트를 순차적이고 교호로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드라이브로울러까지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기와, 이 드라이브로울러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컨트롤러와, 드라이브로울러의 상면에 접하여 종동회전하고,
    상기 권취릴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실부재급송기구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때에 드라이브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드라이브로울러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한 거리의 펄스량이 카운트업되는 때에 드라이브로울러를 구동시켜 베니어시트를 실부재를 가이드로 하여 권취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4. 베니어시트권취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권취릴과,
    권취릴과 대향하는 위치에 그 축심 방향을 따라서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 열 배열된 권취안내부재와,
    상기 권취안내부재에 베니어시트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을 부여하는 회전전달수단과,
    상기 권취안내부재를 상기 권취릴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을 따라서 가동하는 추종수단과,
    상기 권취릴의 하방 위치에서 상기 권취안내부재와 연계하여 권취릴과 권취안내부재 사이로 베니어시트를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와,
    반송된 베니어시트를 권취릴에 권취시키기 위하여 상기 권취안내부재에 장력을 부여하는 긴장수단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5. 펄스제너레이터가 설치된 접속컨베이어와, 이 접속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건조 후의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 위치로부터 하류에 위치하는 권취안내부재까지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설정기와, 이 권취안내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컨트롤러와, 권취안내부재의 상면에 접속하여 종동회전하는 권취릴을 구비하고,
    접속컨베이어 상을 반송되는 베니어시트를 검출하는 때에 드라이브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권취안내부재의 구동을 정지하고, 설정한 거리의 펄스량이 카운트업되는 때에 권취안내부재를 구동시켜 베니어시트를 권취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릴의 축심 방향에는 상기 권취릴에 베니어시트을 권취하는 가이드로서 감아 붙여지는 실부재를 급송하기 위한 실부재급송기구가 임의 간극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7. 제 14 항 또는 1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안내부재는 기단부와 중앙부,선단부의 적어도 3 점에 감아 걸려진 무단밴드에 의하여 구성되고, 기단부에서 상기 반송컨베이어의 선단부와 연계되어 있고, 상기 추종수단에 의하여 권취릴 방향으로 선단부가 선회될 때에, 상기 권취릴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을 따라서 눌려 붙인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8. 제 14 항 또는 1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안내부재는 상기 베니어시트권취위치의 하방위치를 기단으로 하고 선단부를 자유단으로 한 무단밴드에 의하여 구성되고, 기단부에서 상기 반송컨베이어의 선단부와 연계되어 있고, 상기 추종수단에 의하여 권취릴 방향으로 상기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선단이 회전되는 때에, 상기 권취릴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을 따라서 눌려 붙여진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권취안내부재가 상기 권취릴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을 따라서 눌려 붙여진 상태로 되는 때에, 그 회전력을 허용하면서 이 권취안내부재를 구성하는 무단밴드에 소정 압력 하에서 눌려 붙인/ 또는 인장되는 회전풀리이고, 권취안내부재를 일정한 장력으로서 긴장상태를 유지하여 권취릴에 권취된 권취롤의 직경의 증가에 동반하여 그 눌려 붙이는 위치가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20. 제 14 항 또는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권취안내부재가 상기 권취릴의 외주의 일부에 그 곡률을 따라서 눌려 붙여진 상태로 되는 때에, 그 회전력을 허용하면서 이 권취안내부재를 구성하는 복수 열로 되는 무단밴드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 압력하에서 눌려 붙인/ 또는 인장되는 개별로 설치된 회전풀리이고, 권취안내부재를 일정한 장력으로서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권취릴에 권취된 권취롤의 직경의 증가에 동반하여 그 눌려 붙이는 위치가 각각 개별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청구항 제 1항, 2항, 14항, 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니어시트를 권취한 권취롤로서, 베니어시트권취롤로부터 베니어시트를 권취해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에 의하여 베니어시트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의 제조방법.
  55. 삭제
  56. 삭제
KR1020007011884A 1999-02-25 2000-01-07 권취릴과 그것을 가지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 KR100650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48675 1999-02-25
JP??????11-04867 1999-02-25
JP04867599A JP3810230B2 (ja) 1999-02-25 1999-02-25 ベニヤ単板巻玉の巻戻し装置
JPJP-P-1999-00048677 1999-02-25
JP14688499 1999-05-26
JPJP-P-1999-00146885 1999-05-26
JPJP-P-1999-00146884 1999-05-26
JP??????11-14688 1999-05-26
JPJP-P-1999-00206401 1999-07-21
JP20640099A JP3756356B2 (ja) 1999-05-26 1999-07-21 巻取りリール、それを用いたベニヤ単板の巻取り装置
JP??????11-20640 1999-07-21
JPJP-P-1999-00206400 1999-07-21
JPJP-P-1999-00308146 1999-10-29
JP??????11-30814 1999-10-29
JP30814699A JP4037019B2 (ja) 1999-10-29 1999-10-29 ベニヤ単板の巻取り装置
JPJP-P-1999-00361545 1999-12-20
JP36154499A JP4132513B2 (ja) 1999-12-20 1999-12-20 ベニヤ単板折り返し装置、及びベニヤ単板巻玉の巻戻し装置
JPJP-P-1999-00361544 1999-12-20
JP??????11-36154 1999-12-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135A Division KR100686615B1 (ko) 1999-02-25 2000-01-07 베니어시트권취롤의 권취해제장치
KR1020067015134A Division KR100686613B1 (ko) 1999-02-25 2000-01-07 베니어시트권취롤로의 테이프급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026A KR20010043026A (ko) 2001-05-25
KR100650130B1 true KR100650130B1 (ko) 2006-11-24

Family

ID=6923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884A KR100650130B1 (ko) 1999-02-25 2000-01-07 권취릴과 그것을 가지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6192B (zh) * 2018-11-01 2023-08-15 佛山市南海九洲普惠风机有限公司 一种风筒自动生产线
CN116920722B (zh) * 2023-09-18 2024-01-09 河南佑民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摇摆颗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026A (ko)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2041B1 (en) Winding reel, veneer winding device, device for delivering tape to veneer roll, veneer roll unwi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lywood
US55448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eling a traveling web into a wound web roll
JP2525637B2 (ja) 平らな形成物を連続的に巻き取って巻取物とし、または巻取物からこれを連続的に繰出す装置
RU2605344C2 (ru) Разматыватель для рулона и способ размотки
JPH11503708A (ja) 前進速度を制限することによって半製品を蓄積するための貯蔵ユニット
US6533212B1 (en) Web-splicing apparatus
JPS60157437A (ja) 印刷物等の製品供給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6047917A (en) Reel-up
KR100650130B1 (ko) 권취릴과 그것을 가지는 베니어시트의 권취장치와 합판의 제조방법
JP2612165B2 (ja) ずれ重なり状態で送られてくる新聞、雑誌等の印刷物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22165B1 (ko)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US20050056719A1 (en) Splicing vehicle
JP3756356B2 (ja) 巻取りリール、それを用いたベニヤ単板の巻取り装置
JP2001121515A (ja) ベニヤ単板の巻取り方法及び装置
JP4073706B2 (ja) ベニヤ単板の仕組み重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073707B2 (ja) 単板積層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682628B2 (ja) 処理セクションに印刷物を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3737079B2 (ja) 合板の製造方法
JP3423642B2 (ja) 仕組み巻玉と仕組み巻玉の乾燥巻取り方法、および仕組み単板の巻取り装置
JP3423643B2 (ja) 仕組み巻玉と仕組み巻玉の乾燥巻取り方法、および仕組み単板の巻取り装置
US20030089814A1 (en) Re-reeling machine for plastic film and the like
CA2510837C (en) Take-up reel, veneer reeling apparatus, tape feeding unit for veneer roll, and veneer roll unwinding apparatus and a production method for laminated wood
JPS627445Y2 (ko)
WO1988007493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orage winding and unwinding flat articles, particularly printed matters, onto and from an accumulation cylinder
JP2008230133A (ja) 巻取りリールの搬送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