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021B1 -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 Google Patents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021B1
KR100644021B1 KR1020050014418A KR20050014418A KR100644021B1 KR 100644021 B1 KR100644021 B1 KR 100644021B1 KR 1020050014418 A KR1020050014418 A KR 1020050014418A KR 20050014418 A KR20050014418 A KR 20050014418A KR 100644021 B1 KR100644021 B1 KR 10064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rum
conductive
microcontroller
v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36920A (en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이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기 filed Critical 이문기
Priority to US11/569,959 priority Critical patent/US7446254B2/en
Priority to PCT/KR2005/000492 priority patent/WO2005081644A2/en
Publication of KR2005003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9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0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membrane, e.g. a drum; Pick-up means for vibrating surfaces, e.g. housing of an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6Volum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85Stick input, e.g. drumsticks with position or contact sens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251Spint percussion, i.e. mimicking percussion instruments;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with percussion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percussion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55Spint xylophone, i.e. mimicking any multi-toned percussion instrument with a multiplicity of tuned resonating bodies, regardless of their material or shape, e.g. xylophone, vibraphone, lithophone, metallophone, marimba, balafon, ranat, gamban, anklo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11MIDI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315Sound category-dependent sound synthesis processes [Gensound] for musical use; Sound category-specific synthesis-controlling parameters or control means therefor
    • G10H2250/435Gensound percussion, i.e. generating or synthesising the sound of a percussion instrument; Control of specific aspects of percussion sounds, e.g. harmonics, under the influence of hitting force, hitting position, settings or striking instruments such as mallet, drumstick, brush, hand

Abstract

전자 드럼 연주 장치에 있어서 도전성 북채로 도전성 패드를 두드리면 북채와 패드 사이에 전기 신호가 흐르게 된다. 전자 드럼 연주 장치의 본체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그 전기 신호를 검출해서 어느 패드에 북채가 접촉했는지를 알아내서 음발생부를 통해 그 패드에 할당된 음색의 드럼 소리를 발생시킨다. 북채는 진동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진동센서의 신호를 해석해서 북채가 패드를 두드린 타격 세기 정보를 알아내서 음량을 조절하여 두드린 패드에 할당된 음색의 소리를 음발생부를 통하여 발생시킨다. 상기의 북채로 두드린 패드정보와 두드린 세기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나 PC로 전송될 수도 있고 이처럼 통신부가 포함되는 경우 음발생부는 생략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In an electronic drum player, tapping a conductive pad with a conductive drumstick causes an electric signal to flow between the drum drum and the pad. 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rum playing apparatus detects the electric signal, finds out which pad touches the drumstick, and generates a drum sound of the tone assigned to the pad through the sound generator. The drumstick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sensor, in which case the microcontroller interprets the signal from the vibration sensor to find out the impact strength information of the drumstick hitting the pad and adjusts the volume to generate the sound of the tone assigned to the pad. Generate through wealth. The pad information hit by the drumstick and the intensity information hit by the drumstick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PC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f the communication unit is included, the sound generator may be omitted.

전자 드럼, 퍼커션, 도전성 패드, 도전성 북채, 가속도센서, 진동센서, 압전 센서, 전자 악기, 전도성 패드, 전도성 북채, 터치 스위치, 전자 피아노, 전자 실로폰 Electronic drum, percussion, conductive pad, conductive drumstick, acceleration sensor, vibration sensor, piezoelectric sens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onductive pad, conductive drumstick, touch switch, electronic piano, electronic xylophone

Description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Drum instrument by touch switch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도1은 본 발명의 외관 구성도.1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실시예1-1의 회로도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Example 1-1.

도3은 실시예1-2의 회로도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Example 1-2.

도4는 실시예2-1의 회로도Figure 4 is a circuit diagram of Example 2-1

도5는 실시예2-2의 회로도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Example 2-2.

도6은 실시예3-1의 회로도6 is a circuit diagram of Example 3-1.

도7은 실시예3-2의 회로도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Example 3-2.

도8은 8개의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포트에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타이밍도8 is a timing diagram of an electrical signal output to an output port of a microcontroller equipped with eight conductive pads.

도9는 도8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두드린 패드를 검출하는 방법의 순서도9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detecting a pad hit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FIG.

도10은 실린더와 스프링으로 구성된 진동센서10 is a vibration sensor consisting of a cylinder and a spring

도11은 축과 스프링으로 구성된 진동센서 11 is a vibration sensor composed of a shaft and a spring

도12는 인코더를 이용해서 패드 수를 증가시킨 실시예의 구성도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number of pads is increased by using an encoder.

도13은 디코더를 이용해서 패드 수를 증가시킨 실시예의 구성도Fig.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number of pads is increased by using a decoder.

<도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figure>

M : 본체부 P : 패드부 M: main body P: pad

T : 북채부 H : 도전성 단자 T: drum holder H: conductive terminal

SD : 음발생부 CM : 통신부 SD: Sound generator CM: Communication unit

MI : 마이크로콘트롤러 PD : 도전성 패드 MI: Microcontroller PD: Conductive Pad

LS : 좌측 북채 RS : 우측 북채 LS: Left drumstick RS: Right drumstick

F,S : 도전성 스프링 단자 SP1,SP2 : 도전성 스프링 CY : 도전성 실린더 FI : 스프링의 고정단 MO : 스프링의 자유단 AX : 도전성 축 F, S: Conductive spring terminal SP1, SP2: Conductive spring CY: Conductive cylinder FI: Spring fixed end MO: Free end of spring AX: Conductive shaft

t1 : 북채가 패드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시각 t2 : 북채가 패드로부터 떨어지는 시각 t1: time when drumstick starts to contact pad t2: time when drumstick falls from pad

tf : 도10,11의 단자 F의 전압 상승이 일어나는 시각 tf: time when voltage rise of terminal F in Figs.

ts : 도10,11의 단자 S의 전압 상승이 일어나는 시각ts: time when voltage rise of terminal S in Figs.

En : 인코더 De : 디코더En: Encoder De: Decoder

본 발명은 전자 드럼 연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 신호가 주어진 도전성 패드와 전극이 부착된 북채 사이의 접촉에 의한 스위칭 작용을 이용하여 북채로 두드린 패드를 알아내고 북채에 부착된 진동 센서의 신호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검 출하여 드럼 연주를 하는 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rum player, which uses a switching action between a conductive pad given an electric signal and a drumstick attached to an electrode to find a pad tapped with a drumstick, and a drumstick as a signal of a vibration sensor attached to the drumstick. This is a device for playing drums by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pads.

종래의 드럼 연주장치는 압전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진동 센서가 부착된 드럼 패드를 두드려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드럼 연주장치는 각 패드 마다 센서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패드를 제작하는 비용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패드를 접거나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이미 만들어진 패드를 사용자가 변형 또는 재구성 할 수 없게 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면 전기를 통하는 얇은 금속판이나 금속 그릇과 같은 일상 용품에 의한 패드 재구성은 물론 두루마리처럼 말거나 접을 수 있는 필름에 도전성 물질을 코팅해서 패드를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패드를 변형할 수 있고 종래의 패드부의 금형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저렴하고 휴대, 설치, 보관이 편리해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드럼 연주를 할 수 있다. Conventional drum player is to generate a sound by tapping the drum pad with a piezoelectric sensor, acceleration sensor or vibration sensor. Such a conventional drum player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pad because it must be attached to each pad, and the pad can not be folded or rolled up like storage. In addition, pads that have already been made cannot be modified or reconfigured by the user. However, us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may be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 rollable or foldable film as well as a pad reconstruction by a daily necessity such as an electrically thin metal plate or a metal bowl, so that the user may modify the pad. The mold production cost of the conventional pad portion can be reduced. Therefore, it is inexpensive and easy to carry, install and store, so you can play drums anytime and anywher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드럼 연주장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여, 정해진 패드형태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금속 그릇과 같은 물건으로 자유롭게 패드를 직접 구성하거나, 접거나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비닐 필름 위에 도전성 코팅 물질로 패드를 구성할 수 있는 드럼 연주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드럼 연주 장치의 연주 신호를 PC에서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통신 프로그램에 전송할 경우 입력된 북채의 타격 패드 정보와 타격 강도를 게임의 입력 신호로 사용하거나 인터넷으로 원격지에 연주 신호 를 실시간 전송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drum player as described above, and can freely configure the pads directly into an object such as a metal bowl used by the user, or fold or roll like a roll, away from a predetermined pad shap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m player capable of constructing a pad with a conductive coating material on a vinyl film. In addition, when the performance signal of the drum player is transmitted to a game program or Internet communication program running on a PC, the input drum pad information and impact strength of the drum drum can be used as an input signal of the game, or the performanc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 remote place over the Internet in real time. have.

본 발명의 드럼 연주 장치는 도1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부(M), 도전성 패드부(P), 북채부(T)로 구성된다. 본체부는 음발생부와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음발생부는 디지털피아노에서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와 동일한 원리로 드럼 소리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통신부는 usb인터페이스와 같이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 도1에서, 본체에 부착된 다수의(도1에는 8개로 나타냈다.) 도전성 패드(PD)를 북채(T)로 두드려 연주를 하게 되어있다. 도전성 패드는 전기를 통하는 금속판 또는 도전성 고무패드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그릇 등을 이용해 구성된다. 도1에 나타낸 북채의 머리부분에는 패드에 가해진 전기 신호를 본체부(M)의 마이크로콘트롤러(MI)에 전달 할 수 있는 도전성 단자(H)가 부착되어 있어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리면 패드(PD)와 북채(H)가 접촉하는 순간에 북채의 머리에 부착된 단자(H)를 통해 패드(PD)에 가해진 전기 신호가 마이크로콘트롤러(MI)에 전달되어 어느 패드를 북채로 두드렸는지를 알아내게 되어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동작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The drum p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M, a conductive pad portion P, and a drum holder portion T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und generator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sound generator generates drum sounds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apparatus used to generate sound on a digital piano.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b interface. In Fig. 1, a plurality of conductive pads PD (attached as shown in Fig. 1) attached to the main body are played by tapping with drum drum T. The conductive pad is configured by u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plate or a conductive rubber pad or a stainless steel bowl. The head portion of the drumstick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terminal H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pad to the microcontroller MI of the body portion M. The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pad PD through the terminal H attached to the head of the drum is transferred to the microcontroller MI at the moment when the drum is contacted, and it is to find out which pad is hit by the drum. . Hereinafter, the oper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mbodiments of the drum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lassified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연주 장치의 실시예는 전기 전기 북채(H)에서 패드(PD)로 흐르는 실시예와 반대로 패드(PD)에서 북채(H)로 흐르는 실시예로 분류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drum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embodiments flowing from the pad PD to the drumstick H as opposed to embodiments flowing from the electric drum drum H to the pad PD.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연주 장치의 실시예는 두드린 북채가 좌측 북채(LS)인지 아니면 우측 북채(RS)인지를 구별 하는 실시예와 구별 하지 않는 실시예로 분류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drum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an embodiment which does not distinguish whether the drum drum beats are the left drum LS or the right drum.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연주 장치의 실시예는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감지 하는 실시예와 감지 하지않는 실시예로 분류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drum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an embodiment of detecting the strength of hitting the pad with a drumstick and an embodiment of not sensing.

그리고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감지하는 경우 하나의 북채에서 스프링을 2개 사용하는 실시예와 1개 시용하는 실시예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구성하는 실시예와 인코더나 디코더 회로를 추가하여 패드 수를 증가시킨 실시예로 분류 될 수도 있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when sensing the strength of tapping the pad with the drumstick can be classified into an embodiment using two springs and one application in one drumstic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an embodiment configured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pads and an embodiment in which the number of pads is increased by adding an encoder or decoder circuit.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전기 신호가 흐르는 방향 검출 항목 Detection direction of electric signal 북채->패드Drumstick-> Pad 패드->북채Pad-> Drumstick 두드린 패드만 검출Detect only hit pads 실시예 1-1 청구항2 도2Example 1-1 Claim 2 FIG. 2 실시예 1-2 청구항3 도3Example 1-2 Claim 3 FIG. 3 두드린 패드와 북채 종류(좌 우측 북채) 검출Tap pad and drumstick type (left right drumstick) detection 실시예 2-1 청구항4 도4Example 2-1 Claim 4 FIG. 4 실시예 2-2 청구항5 도5Example 2-2 Claim 5 FIG. 5 두드린 패드와 북채 종류 그리고 북채의 두드린 세기 검출Detecting tapping pad and drumstick type and tapping strength of drumstick 실시예 3-1 청구항6 도6Example 3-1 Claim 6 FIG. 6 실시예 3-2 청구항6 도7Example 3-2 Claim 6 Fig. 7 스프링1개로 북채의 두드린 세기 검출Detect tapping strength of drumstick with one spring 실시예 4 청구항9Example 4 Claim 9 패드 수를 증가시킨 구성Increased pad count 실시예 5-1 청구항10 도12Example 5-1 Claim 10 Fig. 12 실시예 5-2 청구항11 도13Example 5-2 Claim 11 Fig. 13

실시예1-1Example 1-1

본 실시예에서는 도2에 표시된 것과 같이 전기 신호(0볼트 전압 신호)가 북채(H)에서 패드(PD)로 흐르고 그 신호를 마이크로콘트롤러(MI)가 입력포트를 통해 검출해서 북채가 두드린 패드를 알아내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전기 신호가 북채에서 패드로 흐른다는 뜻은 북채의 0볼트 전압신호가 패드를 거쳐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입력 포트에 전달된다는 뜻이다. 이하 내용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는 도2~13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MI)로 향하는 화살표로 표시되었고 출력포트는 마이크로콘트롤러(MI)로부터 나오는 화살표로 표시되었다. 도2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는 8개의 입력 포트를 끊임 없이 검사하게 되어있다.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 포트에는 도전성 패드(PD)가 전선으로 부착되어있다. 도전성 패드에는 풀업(pull up)저항을 통해 전원 전압 Vcc가 가해진다. 이러한 패드를 접지된 북채로 두드리면 그 순간에 두드린 도전성 패드의 전압은 Vcc에서 0볼트로 변하게 되고 그 변화를 마이크로콘트롤러가 입력포트의 전압을 읽음으로써 검출해서 그 패드에 할당된 음색의 드럼 소리를 음발생부(SD)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통신부(CM)를 통해 외부 장치로 두드린 패드 번호를 출력하게 된다. 통신부(CM)는 USB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외부 장치는 PC나 PDA, 스마트폰 또는 MP3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 PC와 같은 외부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패드 번호를 수신하여 사운드카드로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게임의 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n electrical signal (0 volt voltage signal) flows from the drum holder H to the pad PD, and the microcontroller MI detects the signal through the input port. Explain how to find out. Here, the electrical signal flows from the drum to the pad, which means that the zero-volt voltage signal from the drum is passed through the pa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s indicated by the arrow pointing to the microcontroller MI in FIGS. 2 to 13 and the output port is indicated by the arrow from the microcontroller MI. In FIG. 2, the microcontroller is constantly checking eight input ports. A conductive pad (PD) is attache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by a wire. The conductive pads are supplied with a power supply voltage Vcc via a pull up resistor. When you tap these pads with a grounded drumstick, the voltage of the conductive pads that you tap at that moment will change from Vcc to 0 volts, and the change will be detected by the microcontroller by reading the voltage at the input port and the drum sound of the tone assigned to that pad will sound. The pad number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SD or knock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M is output. The communication unit CM may be a USB interface,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PC, a PDA, a smartphone, or an MP3 player. A program or device driver running on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can receive the pad number to generate sound on the sound card or use it as an input signal for a game.

실시예1-2Example 1-2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1-1에서 전기 신호의 흐름이 반대인 경우를 설명한다. 도3에 표시된 것과 같이 8개의 도전성 패드(PD)는 마이크로콘트롤러(MI)의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도전성 패드는 풀다운(pull down)저항을 통해 접지되어있다. 그리고 북채의 끝부분의 도전성 단자(H)는 접지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MI)의 입력포트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도8에 나타낸 타이밍도와 같이 8개의 출력포트를 돌아가며 반복해서 한 순간에 1개의 출력포트에만 전원전압 Vcc (예를 들면 5볼트, 본 발명에서 5볼트는 0보다 큰 신호 전압의 예로 선택한 것이다. 실제로는 3볼트 등의 값도 가능하다.이하 설명에서 전원 전압,Vcc 그리고 5볼트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포트는 0볼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각 포트에 신호 전압을 돌아가며 출력을 하면서 그에 병행하여 입력 포트를 검사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low of the electric signal is reversed in the above embodiment 1-1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3, the eight conductive pads PD are connected to the out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MI, respectively. Each conductive pad is grounded through a pull down resistor. The conductive terminal H at the end of the drum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MI in a grounded state. The microcontroller rotates eight output ports as shown in the timing diagram shown in FIG. In fact, it is possible to have a value of 3 volts and so on. In this way, the signal voltage is output to each port while the input port is inspected in parallel.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1)5볼트를 출력할 출력 포트번호 i를 0으로 초기화한다.(1) Initialize output port number i to output 5 volts to 0.

(2)i번째 출력 포트에 5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포트에 0볼트를 출력한다.(2) Output 5 volts to the i'th output port and 0 volts to the remaining output ports.

(3)입력포트의 전압을 검사한다(입력 포트 값을 읽는다.)(3) Check the voltage at the input port (read the input port value).

(4)입력 포트에 전압 상승의 변화가 검출되었다면 그 순간 북채로 i번째 패드를 두드렸다는 뜻이므로 i번째 음색의 드럼 소리를 음발생부를 통하여 발생시키거나 통신부를 통하여 번호 i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4) If a change in voltage is detected at the input port, it means that the i-th pad is tapped with a drumstick at that moment, generating a drum sound of the i-th tone through the sound generator or transmitting the number i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5)i를 1만큼 증가시킨다.(5) Increase i by 1.

(6)i가 8이라면 i를 0으로 초기화 시킨다.(6) If i is 8, initialize i to 0.

(7)(2)번부터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Repeat the above process from (7) (2).

위의 (1)~(7)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내면 도9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above (1) to (7) is shown in a flowchart as shown in FIG.

실시예2-1Example 2-1

도4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1-1에서 검출한 두드린 패드외에 두드린 북채도 검출하는 방법(즉 두드린 북채가 우측 북채인지 아니면 좌측 북채인지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북채를 검출하는 방법은 좌(LS) 우(RS)측 북채를 각각 마이크로콘트롤러(MI)의 서로 다른 출력 포트에 연결하여 번갈아가며 한 순간에 두 북채 중 한 북채에만 0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북채에는 5볼트를 출력하면서 8개의 입력 포트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내용에서 좌우측 북채에 각각 0,1이라는 북채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4, a method of detecting a tapping drum in addition to the padding pad detected in Example 1-1 (that is, a method of detecting whether the tapping drum is a right drum or a left drum) is described. The detection method of the drumstick is alternately connected to the left (LS) and the right (RS) drumsticks to different out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MI), and outputs 0 volts to only one drumstick of the two drumsticks at a moment. The eight input ports are tested with five volts outpu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 and right drumsticks are assigned a drumstick number of 0 and 1, respectively.

(1)좌측 북채(LS)에 0볼트, 우측 북채(RS)에 5볼트를 출력한다.(1) Output 0 volts to the left drum (LS) and 5 volts to the right drum (RS).

(2)8개의 입력 포트를 검사한다.(2) Examine the eight input ports.

(3)입력 포트 중 i번째 입력포트에서 5볼트에서 0볼트로 전압 하강이 검출되었다면 좌측 북채(LS)로 i번째 패드(PD)를 두드렸다는 뜻이므로 i번째 음색의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패드 번호 i와 두드린 북채 번호(좌측 북채번호 =0)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3) If voltage drop is detected from 5 volts to 5 volts at the i-th input port of the input port, it means that the i-th tone is generated by tapping the i-th pad (PD) with the left drum (LS). Send i and knocked drumstick number (left drumstick number = 0) to external device.

(4)우측 북채에 0볼트, 좌측 북채에 5볼트를 출력한다.(4) Output 0 volts to the right drum and 5 volts to the left drum.

(5)8개의 입력 포트를 검사한다.(5) Examine the eight input ports.

(6)입력 포트 중 i번째 입력 포트에서 5볼트에서 0볼트로 전압 하강이 검출되었다 면 우측 북채로 i번째 패드를 두드렸다는 뜻이므로 i번째 음색의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패드 번호 i와 두드린 북채 번호(우측 북채번호 =1)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6) If a voltage drop is detected from 5 volts to 0 volts at the i th input port, it means that the i th pad is hit with the right drumstick. (Right drum stick number = 1) is sent to the external device.

(7)(1)번부터 위의 작동 순서를 반복한다.(7) Repeat the above operation sequence from (1).

실시예2-2Example 2-2

도5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1-2에서 검출한 두드린 패드외에 두드린 북채도 검출하는 방법(즉 두드린 북채가 우측 북채인지 아니면 좌측 북채인지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북채를 검출하는 방법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된 좌(LS) 우(RS)측 북채를 각각 마이크로콘트롤러(MI)의 서로 다른 입력 포트에 연결하여 두 입력 포트 값을 검사하는 것이다. 두 입력 포트 중 전압 상승이 검출된 포트쪽에 연결된 북채가 두드린 북채이다. 즉 검사하는 입력 포트가 2개라는 점 외의 작동 방법은 실시예1-2와 동일하다.In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5, a method of detecting a tapping drum in addition to the padding pad detected in Example 1-2 will be described (that is,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the tapping drum is a right drum or a left drum). The detection method of the drumstick is to check the values of the two input ports by connecting the grounded left (LS) right (RS) drum drum to the different in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MI) through a pull-down resistor. The drumstick tapped on the side of the two input ports where the voltage rise is detected. That is, the operation method except the two input ports to be examined is the same as in Example 1-2.

실시예3-1Example 3-1

도6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2-1의 장치에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타격 강도)도 검출하는 기능을 추가한 장치를 설명한다. 검출된 두드린 세기는 발생시킬 음의 음량(볼륨)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즉 강하게 두드릴수록 큰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를 위해서는 타격 강도에 따라 음발생부로 하여금 음량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음량조절부가 상기 본체부에 포함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타격 강도에 비례하여 음량을 크게 조절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6, an apparatus in which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intensity (hit strength) of hitting the pad with a drumstick is also described in the apparatus of Example 2-1. The detected tap strength is used to adjust the volume (volume) of the sound to be generated. In other words, the harder you tap, the louder the sound. For the present embodiment, a volume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sound generating unit to change the volume according to the striking intensity is included in the main body. In most cases, you will adjust the volume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blow intensity.

기존의 디지털 피아노나 마스터키보드에서 건반을 누른 세기를 검출하는 방법 중 하나는 하나의 건반에 두개의 스위치를 부착하되 건반을 누르기 시작할 때 on 되는 스위치와 건반을 깊숙이 눌렀을 때 on되는 두 스위치의 on 되는 시간차를 측정 해서 그 시간차가 짧을수록 세게 건반을 누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검출한 건반을 누른 세기가 클수록 큰 음량으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어있다. One way to detect the strength of a key press on a conventional digital piano or master keyboard is to attach two switches to a single key, which is on when the key starts to be pressed, and on when the key is pressed deep. The time difference is measured, and the shorter the time difference is, the harder the key is judged. As the intensity of the key pressed in this way increases, the sound is generated at a high volume.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비슷하게 도10과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북채(T)에 직경이 서로 다른 도전성 스프링(SP1, SP2)으로 된 두개의 스위치를 부착하여 북채(T)로 패드(PD)를 두드리면 스프링이 휘어져 도전성 실린더(CY)나 축(AX)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고 그 상태변화의 순간을 마이크로콘트롤러(MI)가 검출하여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계산하게 되어 있다. Similarl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and 11, two pads of conductive springs SP1 and SP2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attached to the drum blade T, and the pad PD is knocked on the drum blade T. When the spring is bent to contact the conductive cylinder CY or the shaft AX, the switch is turned on, and the microcontroller MI detects the moment of the change of the state, and calculates the strength of tapping the pad with the drumstick.

도 10의 스프링 스위치의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전압 Vcc에 연결된 도전성 실린더(CY) 내부에 직경이 서로 다른 두개의 스프링(SP1, SP2)이 도전성 실린더(CY) 축 위에 배치되어있다. 실린더는 북채(T)에 고정되어있다. 두개의 스프링의 실린더 밖의 부분(FI)은 북채에 고정되어있고 실린더 내부의 부분(MO)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두 스프링(SP1, SP2)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되어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과 실린더가 부착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리면 직경이 큰 스프링(SP2)이 먼저 실린더(CY)에 접촉하여 단자 F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볼트로 상승한다. 그리고 잠시 후 직경이 작은 스프링(SP1)이 실린더(CY)에 접촉하여 단자 S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자 F와 S를 마이크로콘트롤러(MI)의 두 입력포트에 각각 연결하여 그 포트를 검사하면 두 스프링이 실린더에 접 촉한 순간을 검출할 수 있고 그 시간차를 측정해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알아낼 수 있다. 즉 F에서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한 후 S에서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하는데 걸린 시간이 짧을수록 강하게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것이다. 이러한 단자 F와 S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우 북채(LS, RS) 각각에 설치되고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총 4개의 입력포트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북채의 두드린 세기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F와 S단자에 의한 북채의 두드린 세기를 검출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은 실시예2-1과 동일하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pring switch of Figure 10 is as follows. In the conductive cylinder CY connected to the voltage Vcc, two springs SP1 and SP2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disposed on the conductive cylinder CY axis. The cylinder is fixed to the drum (T). The outer part of the cylinder (FI) of the two springs is fixed to the drum holder and the part (MO) inside the cylinder is free to move. Both springs (SP1, SP2) are grounded through pull-down resistors. When the pad is hit by a drum with a spring and a cylinder attached to the spring, a large spring SP2 first contacts the cylinder CY, and the voltage of the terminal F rises from 0 volts to Vcc volts. After a while, the spring SP1 having a small diameter contacts the cylinder CY so that the voltage of the terminal S increases from 0 volts to Vcc. If the terminals F and S are connected to the two in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MI) respectively and the ports are inspected, the two springs can be detected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cylinder, and the time difference is measured. I can figure it out. That is, the shorter the time it took for the voltage to rise from zero volts to Vcc at F and then at V to zero Vcc at S, the more strongly the pads hit the drum. These terminals F and S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drums LS and RS as shown in FIG. 6 and connected to four in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respectively, to detect the tapping strength of the left and right drums. Functions other than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knock strength of the drumstick by the F and S terminals are the same as in Example 2-1.

도11에 나타낸 스프링 스위치도 도10의 스프링 스위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차이점은 도10에 나타낸 도전성 실린더(CY) 대신 도전성 축(AX)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즉 서로 다른 직경의 두 스프링(SP1, SP2)이 도전성 축(AX) 위에 배치된다. 축(AX)은 북채(T)에 고정된다. 두 스프링의 일단(FI)은 각각 북채(T)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단(MO)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이러한 스프링과 축이 부착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리면 직경이 작은 스프링(SP1)이 먼저 축(AX)에 접촉하여 도11에 나타낸 단자 F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한다. 그리고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직경이 큰 스프링(SP2)이 휘어져 축(AX)에 접촉하여 단자 S의 전압이 0볼트에서 Vcc로 상승한다. 이러한 F와 S단자를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에 연결하여 전압상승의 순간을 검출하면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알아낸 북채의 두드린 세기는 음발생부를 통해 발생시키는 음의 음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거나 외부장치로 전송된다.The spring switch shown in FIG. 11 also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spring switch of FIG. The difference is that the conductive shaft AX is used instead of the conductive cylinder CY shown in FIG. That is, two springs SP1 and SP2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disposed on the conductive shaft AX. The axis AX is fixed to the drum holder T. One end FI of the two springs is fixed to the drum holder T,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MO is free to move. When the pad is hit by a drum with a spring and a shaft attached thereto, the spring SP1 having a small diameter contacts the shaft AX first, and the voltage of the terminal F shown in FIG. 11 rises from 0 volts to Vcc. After some time, the spring SP2 having a large diameter is bent to contact the shaft AX to increase the voltage of the terminal S from 0 volt to Vcc. When the F and S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to detect the moment of voltage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ad hitting the pad can be determined. The tapping intensity of the drum found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ound generator or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실시예3-2Example 3-2

도7에 나타낸 본 실시예는 실시예2-2의 장치에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도 검출하는 기능을 추가한 장치를 설명한다.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검출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3-1의 내용과 동일하다. 즉 실시예 2-2의 장치에 스프링 스위치 장치를 상기 실시예3-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추가하면 된다.This embodiment shown in Fig. 7 describes an apparatus in which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intensity of tapping the pad with a drumstick is also added to the apparatus of Example 2-2. The method of detecting the intensity of hitting the pad with a drumstick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3-1. That is, the spring switch device may be added to the device of Example 2-2 as described in Example 3-1.

실시예4Example 4

상기 실시예 3-1과 실시예 3-2에서는 하나의 북채에 두개의 스프링을 부착하여 북채가 패드(PD)를 두드린 세기를 측정하게 구성하였으나 스프링 하나를 생략하여 좀더 간단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 3-1과 실시예 3-2의 두개의 스프링(SP1, 또는 SP2) 중 하나를 생략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경우 패드를 두드린 순간을 마이크로콘트롤러가 감지한다. 그리고 잠시 후 스프링이 휘어져 북채의 실린더(CY)나 축(AX)에 접촉하는 것을 마이크로콘트롤러가 감지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북채가 패드에 접촉한 순간과 스프링이 북채의 실린더(CY)나 축(AX)에 접촉하는 순간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함으로써 북채가 패드를 두드린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In Example 3-1 and Example 3-2, two springs are attached to one drumstick to configure the drumstick to measure the strength of tapping the pad PD. However, one spring may be omitte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That is, when the pad is knocked with a drumstick omitting one of the two springs SP1 or SP2 of the embodiment 3-1 and the embodiment 3-2, the microcontroller senses the moment when the pad is hit. After a while, the microcontroller detects that the spring bends and contacts the cylinder (CY) or shaft (AX) of the drum. The microcontroller can detect the strength with which the drumstick hits the pad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moment when the drumstick contacts the pad and the spring contacts the cylinder (CY) or axis (AX) of the drumstick.

실시예5-1Example 5-1

상기 실시예에서는 패드가 8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했으나 도12에 표시된 것과 같이 패드를 8개 이상으로 증가시기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예 1-1. 2-1.그리고 3-1의 경우에 패드 수를 증가시키려면 각 실시예의 회로에 인 코더를 다음과 같이 추가하면 된다. 즉 ,인코더의 입력포트에 풀업저항이 연결된 패드를 부착하고 인코더의 출력 단자에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 포트를 연결하면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 수는 8개를 유지하면서 패드는 2의 8제곱-1 즉,255개 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코더는 입력 단자 중 한 단자만 0볼트이고 나머지 입력 포트는 모두 Vcc인 경우 0볼트인 입력 단자의 번호에 해당하는 2진수 값을 출력하는 조합 회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인코더 칩으로는 74HC148 이 있다.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입력포트를 조사해서 입력 값이 변화된 경우 입력된 2진수 값에 해당되는 두드린 패드 번호를 알아낼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eight pads are configure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pads to eight or more as shown in FIG. That is, Example 1-1. 2-1. In the case of 3-1, to increase the number of pads, an encoder may be added to the circuit of each embodiment as follows. In other words, if a pad with a pull-up resistor is attached to the input port of the encoder and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ncoder, the pad of the microcontroller is 8 while the number of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s kept to 8, You can increase it to 255. Here, the encoder refers to a combination circuit that outputs a binary valu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nput terminals that are 0 volts when only one terminal of the input terminals is 0 volt and all other input ports are Vcc. Such an encoder chip is 74HC148. The microcontroller can examine the input port to determine the pad number that corresponds to the binary value entered when the input value is changed.

실시예5-2Example 5-2

마찬가지로 실시예 1-2,2-2, 그리고 3-2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포트에는 도13과 같이 디코더의 입력 단자를 연결하고 디코더의 출력 단자에는 풀다운 저항이 연결된 패드를 연결하면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포트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패드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코더란 입력 단자에 주어진 2진수 신호에 해당하는 번호의 출력단자만 Vcc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 포트에는 0볼트를 출력하는 조합회로를 말한다. 이와 같은 디코더 칩의 예를 들면 74 HC42 가 있다. Similarly, if the input ports of the decoder are connected to the out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s of Examples 1-2, 2-2, and 3-2, and the pad connected to the pull-down resistor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ecoder, the output of the microcontroller is shown in FIG. You can increase the number of pads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ports. Here, the decoder is a combination circuit that outputs Vcc only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binary signal given to the input terminal and outputs 0 volts to the remaining output ports. An example of such a decoder chip is 74 HC42.

이와 같이 인코더 또는 디코더 회로를 추가하여 패드 수를 증가시켜서 8개 정도의 패드는 드럼 형태로 만들고 나머지 다수의 패드는 피아노의 건반 형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피아노 건반 형태의 패드를 북채로 두드리면 피아노 소리를 발생키고 드럼 형태의 패드를 두드리면 드럼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number of pads can be increased by adding an encoder or decoder circuit so that eight pads can be made into a drum shape, and the other pads can be made into a keyboard form of a pian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piano sound by tapping the pad of the piano keyboard form drum drum, and to generate a drum sound by tapping the pad pad of the drum type.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서 0볼트와 Vcc를 서로 바꾸고 풀업 저항을 풀 다운 저항으로 바꾼 구성도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고 모두 본 발명의 구성 범위 안에 포함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in which 0 volts and Vcc are interchanged and pull-up resistors are changed to pull-down resistors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and thus all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기타 적용례Other applications

본체에 외부 장치나 PC와의 통신부(예를 들면 직렬포트 인터페이스, usb 포트 인터페이스 또는 MIDI 포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검출된 북채의 타격세기와 타격된 패드영역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신호는 전자 악기간 신호의 표준 포맷인 MIDI 포맷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전용 포맷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에서는 수신된 신호로 악기 소리를 발생시키거나 게임 등의 입력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장치가 PC인 경우 PC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신호를 해석해서 PC의 사운드카드로 소리를 발생시키면 되므로 이 경우에는 본체부의 음발생부는 생략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 serial port interface, a USB port interface, or a MIDI port interface) with an external device or a PC, to externally transmit the detected impact strength of the drumstick and the impacted pad area.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signal may be a MIDI format, which is a standard format of signals betwe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or may be a dedicated for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may generate an instrument sound as a received signal or use it as an input signal for a game.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device is a PC, the sound generated by the main unit may be omitted in this case since the program executed in the PC interprets the signal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a sound to the sound card of the PC.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술적 사상의 구체적 구현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 국한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효력이 미치는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해석방법에 의해 합리적으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only specific implementations of the technical ide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determining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sonably determined by the method of interpretation of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드럼 연주장치에 필요했던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무거운 여러 개의 연주용 드럼 패드 없이 얇 은 필름 위에 도전성 고무로 패드를 코팅하여 형성하고 북채로 두드려서 드럼 연주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설치, 보관이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손쉽게 드럼 연주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드럼 연주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패드부는 진동 센서를 부착한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패드와는 달리 금형 제작이 필요 없이 도전성 그릇과 같은 일상용품으로도 사용자가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스테인레스 금속 그릇을 패드로 사용할 경우 그릇을 두드려서 다양한 음색의 소리(드럼 소리 이외의 동물소리, 피아노 소리 등등)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신기함과 놀라움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에 보다 더 몰입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um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ouch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is formed by coating a pad with a conductive rubber on a thin film without a lot of heavy and heavy drum drum pads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drum playing apparatus, and tapping the drum with drumsticks. Since it can be played, it is easy to carry, install and store, so anyone can play drums anytime and anywhere.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pad having a complex internal structure attached to the vibration sensor, the pad portion for implementing the drum p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reconfigured by the user to everyday products such as conductive bowls without the need for mold production Can be dramatically lowered. When using a stainless steel metal bowl as a pad, the sound of various tones (animal sounds other than drum sounds, piano sounds, etc.) can be generated by tapping the bowl, thus providing a novelty and surprise to the user, which makes the drum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suitable. It can be immersive.

Claims (11)

전자 드럼 연주 장치에 있어서, In the electronic drum player,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된 다수의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A pad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ds arranged at a distance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일단에 도전성 단자가 부착되어 상기 패드부의 패드를 두드리면 도전성 단자가 도전성 패드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북채부One or more drumsticks having a conductive terminal attached to one end and hitting the pad of the pad unit, wherein the conductive terminal contacts the conductive pad. 상기 패드부의 도전성 패드와 북채부의 도전성 단자 사이의 접촉 여부를 검출하여 북채로 두드린 패드를 인식하며 해당 패드에 할당되어 있는 음색의 드럼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거나 외부 장치로 해당 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각 패드에 할당되어 있는 해당 음향을 발생하는 음발생부 또는 마이크로콘트롤러가 인식한 패드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Detects the contact between the pad of the pad portion and the conductive terminal of the drum body to recognize the pad knocked with drum pad and to generate the drum sound of the tone assigned to the pad, or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pad to the external device. A main body including a microcontroller, and a main body including a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sound assigned to each pad o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pad recognized by the microcontroller to an external device. Drum play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북채부의 도전성 단자는 접지되고 The conductive terminal of the drum body is grounded 패드부의 각 도전성 패드에는 각각 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Each conductive pad of the pa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different in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portion in a state where a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hrough a pull-up resistor, respectively. 북채가 패드에 접촉되면 북채의 단자의 접지 전압에 의해 도전성 패드의 전압이 0 볼트로 하강하게 되므로 마이크로콘트롤러가 이 전압 강하가 일어난 도전성 패드를 감지함으로써, 북채가 두드린 패드가 어느 것인지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When the drumstick is in contact with the pad, the voltage of the conductive pad is reduced to 0 volts by the ground voltage of the terminal of the drum, so the microcontroller senses which pad the drum is tapped by sensing the conductive pad on which the voltage drop has occurred. Drum playing device by touch switch.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북채부의 도전성 단자가 접지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하나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It is connected to on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part while the conductive terminal of the drum body part is grounded. 패드부의 각 도전성 패드는 각각 풀다운 저항을 거쳐 접지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Each conductive pad of the pad par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different out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in a grounded state through a pull-down resistor, respectively.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각각의 출력포트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한 순간에 하나의 출력포트에만 5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포트에는 0볼트를 출력하면서 그에 병행하여 입력포트를 검사해서 입력포트의 전압이 상승하는 순간을 감지하여 5볼트를 출력한 출력포트에 대응하는 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 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outputs 5 volts to only one output port at a moment for each output port and 0 volts to the remaining output ports, and checks the input port in parallel to increase the voltage of the input port. A drum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ouch switch,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a moment and detecting a pad corresponding to an output port outputting 5 volt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각 북채부의 도전성 단자는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The conductive terminals of each drum housing are connected to different out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패드부의 각 도전성 패드에는 각각 풀업 저항을 통해 전원전압이 가해지는 상태에 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연결되며 Each conductive pad of the pad part is connected to different in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while the power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pull-up resistor.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상기 출력포트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한 순간에 한 출력포트에만 0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포트에는 5볼트를 출력하고, 그에 병행하여 입력포트를 검사하여, 입력포트에 연결된 도전성 패드의 전압이 전원전압에서 0볼트로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여 그 전압 강하가 일어난 입력포트에 대응하는 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unit outputs 0 volts to only one output port at a time and outputs 5 volts to the remaining output ports in sequence with respect to the output port. And a pad corresponding to an input port in which the voltage drop has occurred, by detecting that the voltage falls to 0 volts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각 북채부의 도전성 단자는 각각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The conductive terminals of each drum housing are connected to different input ports of 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grounded through pull-down resistors. 패드부의 각 도전성 패드는 각각 풀다운 저항을 거쳐 접지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며, Each conductive pad of the pad part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while being grounded through a pull-down resistor.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상기 각각의 출력포트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한 순간에 하나의 출력포트에만 5볼트를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포트에는 0볼트를 출력하면서, 그에 병행하여 입력포트를 검사해서 입력포트의 전압이 상승하는 순간에 5볼트를 출력한 출력포트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outputs 5 volts to only one output port at a time and outputs 0 volts to the other output ports at the same time for each of the output ports in parallel. The drum 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ouc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the output port that outputs 5 volts at the moment of rising to recognize the corresponding pad.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북채부는 북채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The drum chaebu comprises a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vibration of the drum chae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해석해서 북채로 패드를 두드린 타격 강도를 감지하여 그 값을 외부장치에 전송하거나 상기 음발생부에서 발생시킬 드럼소리의 음량을 타격 강도에 따라 조절하도록 하는 음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interprets the signal from the vibration sensor to detect the hitting strength of the pad with a drumstick, and transmits the value to an external device or adjusts the volume of the drum sound to be generated by the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the hitting strength. Drum playing apparatus by a touc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The vibration sensor of claim 6, 북채 내부에 부착된 도전성 실린더와, 도전성 실린더의 내부의 동일한 축 위에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전성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It consists of a conductive cylind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rum and two conductive coil springs of different diameters installed at a distance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on the same axis inside the conductive cylinder, 스프링의 실린더 밖의 부분은 북채에 고정되고 실린더 내부의 부분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실린더에는 일정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각 스프링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연결되며 The outside of the cylinder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drum and the inside of the cylinder is free to move, the conductive cylinder is applied a constant power supply voltage, each spring is connected to each other of the microcontroller of the body part in the ground state through the pull-down resistor Connected to another input port 본체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북채가 패드를 두드려 각 스프링이 실린더에 접촉하는 순간에 스프링이 연결된 입력포트의 전압이 상승하는 시간차를 측정함으로써 북채부의 타격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is a drum by a touch switch, which detects the impact strength of the drum body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in which the voltage of the input port connected with the spring rises at the moment when the drum body strikes the pad and each spring contacts the cylinder. Playing equip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The vibration sensor of claim 6, 북채 내부에 부착된 도전성 축과, 도전성 축의 내부의 동일한 축 위에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전성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It consists of a conductive shaft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rum and two conductive coil springs of different diameters are installed at a distance so as not to contact each other on the same shaft inside the conductive shaft, 스프링의 일 단은 북채에 고정되고 반대단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축에는 일정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각 스프링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서로 다른 입력포트에 연결되어, One end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drum and the other end is free to move. The conductive shaft is supplied with a constant power supply voltage, and each spring is grounded through a pull-down resistor. Connected to,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북채가 패드를 두드려 각 스프링이 도전성 축에 접촉하는 순간에 스프링이 연결된 입력포트의 전압이 상승하는 시간차를 북채부의 타격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part is a drum playing device with a touch switch, which detects the striking force of the drum blade portion by the time difference when the drum pole strikes the pad and each spring contacts the conductive shaft and the voltage of the input port connected to the spring increases.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The vibration sensor of claim 6, 북채 내부에 부착된 도전성 축과,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상기 도전성 축과 접촉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개의 도전성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It consists of a conductive shaft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rum and one conductive spring which is installed at a distance so as not to contact the conductive shaft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스프링일단은 북채에 고정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스프링의 나머지 일단이 자유롭게 움직여 상기 도전성 축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축에는 일정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스프링은 풀다운 저항을 통해 접지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며One end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drum holder so that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freely moved to contact the conductive shaft, and a constant power supply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shaft, and the spring is grounded through the pull-down resistor. Connected to the controller's input port 본체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북채가 패드를 두드린 순간과 스프링이 상기 도전성 축에 접촉하는 순간의 시간차를 측정함으로써 북채부의 타격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icrocontroller of the main body is a drum-playing device with a touc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impact strength of the drum body portion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moment the drum body hits the pad and the moment the spring contacts the conductive shaft.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다수의 입력단자에 주어진 전기 신호가 어느 한 입력단자만 0볼트이고 나머지 입력단자는 전원 전압인 경우 0볼트가 입력된 입력단자에 해당되는 2진수값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 회로를 포함하여 인코더의 다수의 입력 단자에는 각각 하나의 패드가 연결되고 인코더의 다수의 출력 단자에는 각각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가 연결되고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입력된 2진수값으로부터 두드린 패드를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wherein the main body unit has a binary value corresponding to an input terminal in which 0 volts is input when an electrical signal given to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is 0 volts of only one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input terminal is a power voltage. Including an encoder circuit that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one pa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of the encoder, and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encoder, and the microcontroller taps from the input binary value. Drum-playing apparatus by touch switch characterized by finding out the pad. 3항 또는 5항에 있어서, 본체부는 다수의 입력 단자에 입력된 2진수값에 해당되는 출력단자에만 전원전압을 출력하고 나머지 출력단자에는 0볼트를 출력하는 디코더 회로를 포함하여 디코더의 다수의 출력단자에는 각각 하나의 패드가 연결되고 디코더의 다수의 입력 단자에는 각각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출력포트가 연결되고 마이크로콘트롤러는 2진수값의 전기신호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0부터 최대값까지 출력하기를 무한히 반복하고 그와 병행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의 입력포트를 검사하여 두드린 패드를 알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에 의한 드럼 연주장 치The plurality of outputs of the decoder of claim 3 or 5,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decoder circuit that outputs a power supply voltage only to an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a binary value input to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outputs 0 volts to the remaining output terminals. One pad is connected to each terminal, and the out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ultiple input terminals of the decoder, and the microcontroller infinitely repeats the output from 0 to the maximum value by sequentially increasing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binary value. At the same time, the drum playing device by the touch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port of the microcontroller is checked to find out the pad that was hit.
KR1020050014418A 2004-03-02 2005-02-22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KR100644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69,959 US7446254B2 (en) 2004-03-02 2005-02-24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PCT/KR2005/000492 WO2005081644A2 (en) 2004-03-02 2005-02-24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11 2004-03-02
KR20040013911 2004-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920A KR20050036920A (en) 2005-04-20
KR100644021B1 true KR100644021B1 (en) 2006-11-10

Family

ID=3723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418A KR100644021B1 (en) 2004-03-02 2005-02-22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0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30A (en) 2017-12-27 2019-07-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electronic drum s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5882A (en) * 2018-08-14 2018-10-16 音王电声股份有限公司 Small cymbals is stepped in a kind of emulation of novel electr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30A (en) 2017-12-27 2019-07-0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 electronic drum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920A (en)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6387E (en) Percussion in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systems
US7446254B2 (en)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WO2008121393A1 (en) Capacitance sensing for percussion instruments and method therefor
US201202108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stringed instrument
US20120036982A1 (en) Digital and Analog Output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US10360890B2 (en) Handheld electronic musical percussion instrument
US8324488B2 (en) Pedal apparatus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11986639A (en) Electronic percussion melody musical instrument
JP2007256979A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KR100644021B1 (en) Percussion instrument using touch switch
CN115298510A (en) Displacement sensor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08665882A (en) Small cymbals is stepped in a kind of emulation of novel electron
KR20220094054A (en) (Touch Switch Drum Record Playing Instrument)
CN107871491A (e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and pronunciation control method
WO2022218259A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215265547U (en) Electronic percussion melody musical instrument
CN214752914U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4587877A (en) Key board system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01114445A (en) System for controlling music of keyboard kind musical instrument
CN209183262U (en) A kind of built-in piano key action detection device
KR100607296B1 (en) Percussion instrument using color sensor
JP6338313B2 (en) Stringed instrument detection system
JP7353136B2 (en) controller
CN216527988U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performance signal and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CN220155171U (en) Key for electronic percussion mus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