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902B1 -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902B1
KR100642902B1 KR1020040113668A KR20040113668A KR100642902B1 KR 100642902 B1 KR100642902 B1 KR 100642902B1 KR 1020040113668 A KR1020040113668 A KR 1020040113668A KR 20040113668 A KR20040113668 A KR 20040113668A KR 100642902 B1 KR100642902 B1 KR 10064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glass substrate
bar
cutting devic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5107A (ko
Inventor
이창하
김택천
김성철
전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9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라이빙된 유리기판이 정렬된 위치에 놓여지는 절단테이블(200)과, 절단테이블(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20)과, 지지프레임(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X, Y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230)와, 이동플레이트(230)의 각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위치 정렬된 유리기판의 각 절단면에 대하여 차례로 절단 및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절단수단(2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절단테이블에서는 절단에 필요한 얼라인 위치가 스크라이빙된 위치와 항상 동일하며, 절단수단으로 하여 절단시 유리기판이 깨지는 등의 품질 불량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기판의 절단장치{BREAKING SYSTEM OF GLASS}
도 1은 종래 유리기판의 절단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테이블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절단테이블 210 : 얼라인수단
211 : 서보실린더 212 : 진공패드
214 : 스토퍼 215 : 감지센서
216 : 에어플로팅 220 : 지지프레임
230 : 이동플레이트 240 : 절단수단
243 : 누름바 242, 245 : 실린더
244 : 절단바 246 : 흡착판
248 : LM가이드
본 발명은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기판의 대형화에 적합하도록 얼라인 및 절단의 방식을 개선한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t)등 평판디스플레이(Flat display)의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는 유리기판은 유리 용해로(Glass melting furnace)에서 용해된 유리물을 용해성형기에 공급하여 제조되어 일차 규격에 맞도록 절단되고, 표면에 보호용 필름을 코팅하여 가공라인으로 운반된다.
유리기판의 가공라인에서는 전면과 이면에 필름이 코팅된 제품을 한 매씩 취출하여 제품의 크기별로, 스크라이빙(Scribing)하게 되며, 이러한 스크라이빙의 실시 후, 브레이크 공정에서 유리기판에 형성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유리기판을 절단한다.
도 1은 종래 유리기판의 절단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우선, 스크라이빙장치(1)에 있어서 테이블(2)상에 유리기판(3)을 재치한다. 그리고 유리기판(3)에 대하여 선단이 둔각인 커터휠(4)을 소정의 압력으로 유리기판(3)상에 가압하고, 소정의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커터휠(4)을 전동시킴으로써 유리기판(3)의 표면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한다.
다음에, 유리기판(3)을 이면으로 반전시키고, 브레이크장치(5)의 테이블(6)상에 쿠션이 되는 고무판(7) 및 스테인레스판(8)을 사이에 두고 유리기판(3)을 셋 팅한다. 막대 모양의 브레이크바(9)를 유리기판(3)의 하면에 있는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대향하는 위치에 유리기판(3)을 배치한다. 그리고 브레이브바(9)를 실린더(10)의 구동에 의하여 유리기판(3)은 탄성체인 고무판(7)상으로 약간 V자 모양으로 휘어지게 되어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휨모멘트가 가해져서 스크라이빙 라인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의 크랙(crack)을 신장시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절단한다.
그런데, 이처럼 종래의 스크라이빙장치에서는 한 면씩 스크라이빙 및 절단 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시간이 길어지고, 장치의 설치면적도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라이빙 한 후에 유리기판을 반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리기판을 다시 정렬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 유리기판에 대해서도 절단에 필요한 얼라인 위치가 스크라이빙된 위치와 항상 동일하며, 절단과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가공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기판의 절단장치로서, 스크라이빙된 완료된 유리기판이 얼라인수단을 통하여 기준 정렬 위치에 놓여지는 절단테이블과, 절단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X, Y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의 각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위치 정렬된 유리기판의 각 절단면에 대하여 차례로 절단 및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며, 절단수단은, 이동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절단면을 기준으로 유리기판의 내측 상면을 누르게 되는 누름바와, 누름바와 마주하여 설치되며, 유리기판의 절단면을 절단하는 절단바와, 절단바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절단 바의 하강으로 직각 방향으로 꺾인 유리기판의 절단면을 흡착하는 흡착판과, 흡착판에 부착된 유리기판의 절단면을 떼어내기 위하여 절단바를 전, 후진시킬 수 있는 LM가이드를 포함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테이블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은, 유리기판(3)에 스크라이빙이 형성시키는 스크라이빙테이블(100)과, 다음 공정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300)와, 컨베이어(300)와 스크라이빙테이블(100)의 사이에 본 발명인 절단테이블(200)이 설치된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절단테이블(200)은, 절단테이블(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20)과, 지지프레임(22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230)와, 이동플레이트(2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절단수단(2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스크라이빙된 유리기판(3)이 정렬된 위치에 놓여지는 절단테이블(200)은, 높이를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측에 근접하여 얼라인수단(210)이 설치된다.
얼라인수단(210)은 절단테이블(200)로 위치 이동된 유리기판(3)을 기준 위치로 정렬시키는 것으로서, 서보실린더(211)로 구동되며, 일단에 진공패드(212)가 부착되어 유리기판(3)을 흡착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절단테이블(200)의 네모서리 중 어느 두 개의 모서리부에 유리기판(3)의 정렬 기준이 되는 스토퍼(214)가 다수개 설치되며, 이 스토퍼(214)에는 감지센서(215)가 부착되어 위치되는 유리기판(3)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절단테이블(200)에는 에어 플로팅(216) 시스템이 적용되어 유리기판(3)이 이송 및 진공 흡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테이블(200)을 가로지르는 "
Figure 112004061924213-pat00001
" 형상으로 지지프레임(220)이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20)의 하부로 X, Y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230)가 설치된다.
이동플레이트(230)도 사각의 형태를 가지며, 그 사각의 각 네 모서리부에 절단수단(240)이 각각 설치되어 위치 정렬된 유리기판(3)의 각 절단면을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절단 및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절단수단(240)은 도 5에서와 같이, 절단면을 기준으로 그 내측의 유리기판(3)의 상면을 누르게 되는 누름바(243)가 설치되며, 누름바(243)와 마주하여 유리기판(3)의 절단면을 절단하는 절단바(244)가 설치된다.
누름바(243)와 절단바(244)는 각각 실린더(242)(245)로 하여 승하강 이동되며, 누름바(243)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바(244)의 중단 내부에 흡착판(246)이 관통 설치되어 절단바(244)의 하강으로 직각 방향 꺾인 유리기판(3)의 절단면을 흡착하게 된다.
또, 이렇게 흡착판(246)에 부착된 유리기판(3)의 절단면을 떼어내기 위하여 절단바(244)를 전, 후진시킬 수 있는 LM가이드(24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절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크라이빙테이블(100)에서 스크라이빙이 완료된 유리기판(3)이 절단테이블(200)로 공급된다.
공급된 유리기판(3)은 요구되는 제작 크기에 맞게 얼라인수단(210)으로 하여 기준 위치로 이동된다.
이동은, 진공패드(212)에 흡착된 유리기판(3)을 서보실린더(211)로 하여 승강시키거나 수평 이동시키면서 스토퍼(214)가 위치되어 있는 기준면으로 이동시킨다.
스토퍼(214)에 설치된 감지센서(215)는 유리기판(3)의 위치가 감지되면, 바른 위치에 정렬된 것으로 판단하고, 에어 플로팅(216) 시스템이 적용되어 유리기판(3)의 하면을 진공 흡착하게 된다.
이어서 지지프레임(220)의 이동플레이트(230)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전방측에 위치된 절단수단(240)이 먼저 내려와 절단 및 트림이 이루어지며, 다음 어느 측방측에 위치된 절단수단(240)이 내려와 절단 및 트림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시 후방과 다시 측방으로 절단수단(240)이 차례로 내려와 절단 및 트림이 실시된다.
절단 및 트림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실린더(242)로 하여 누름바(243)가 내려오면, 누름바(243)는 절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남아있는 유리기판(3)의 상면을 상부에서 흔들리지 않게 누르게 된다.
그리고 절단면을 기준으로 누름바(243)와 마주하여 위치하는 절단바(244)가 실린더(245)의 구동으로 내려와 절단면을 내려치게 된다. 따라서 절단바(244)에 의하여 절단면은 하방의 90°로 꺽이게 되며, 이를 흡착판(246)이 전진하여 흡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LM가이드(248)를 따라 절단바(244)가 후퇴되어 흡착판(246)에 흡착된 절단면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떨어져서 흡착판(246)에 흡착된 절단면은 하부에 위치된 별도의 박스(250)에 버려지게 된다.
절단의 동작이 완료된 유리기판(3)은 컨베이어(300)로 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은 절단 공정이 절단테이블(200)에서 반복 실행된다.
이처럼 절단테이블(200)에 얼라인수단(210)이 설치되어 이송된 유리기판(3)의 스크라이빙된 위치와 항상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절단수단(240)으로 하여 절단과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져 유리기판(3)의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기판의 절단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리기판의 절단장치는, 대형 유리기판에 대해서도 절단에 필요한 얼라인 위치가 스크라이빙된 위치와 항상 동일하며, 절단과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가공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유리기판의 절단장치로서,
    스크라이빙된 완료된 상기 유리기판이 얼라인수단을 통하여 기준 정렬 위치에 놓여지는 절단테이블과,
    상기 절단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X, Y축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각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위치 정렬된 상기 유리기판의 각 절단면에 대하여 차례로 절단 및 트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리기판의 내측 상면을 누르게 되는 누름바와,
    상기 누름바와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유리기판의 절단면을 절단하는 절단바와,
    상기 절단바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절단 바의 하강으로 직각 방향으로 꺾인 상기 유리기판의 절단면을 흡착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에 부착된 상기 유리기판의 절단면을 떼어내기 위하여 상기 절단바를 전, 후진시킬 수 있는 LM가이드,
    를 포함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수단은,
    승강 및 수평 구동되는 서보실린더와,
    상기 서보실린더의 일단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유리기판의 흡착을 위한 진공패드로,
    구성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테이블에는 에어 플로팅 시스템이 적용되어 상기 유리기판이 이송 및 진공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테이블에는 네모서리 중 어느 두 개의 모서리에 스토퍼가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유리기판이 정렬 기준이 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유리기판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바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KR1020040113668A 2004-12-28 2004-12-28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KR10064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68A KR100642902B1 (ko) 2004-12-28 2004-12-28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668A KR100642902B1 (ko) 2004-12-28 2004-12-28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107A KR20060075107A (ko) 2006-07-04
KR100642902B1 true KR100642902B1 (ko) 2006-11-08

Family

ID=3716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668A KR100642902B1 (ko) 2004-12-28 2004-12-28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10B1 (ko) 2008-05-06 2011-01-25 세메스 주식회사 스크라이빙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64B1 (ko) * 2010-11-25 2013-03-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면유리 절단장치
CN102363561A (zh) * 2011-06-20 2012-02-29 安徽省银锐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玻璃切割机导杆机构的限位装置
KR101394903B1 (ko) * 2012-06-12 2014-05-15 로체 시스템즈(주) 비금속 기판 절단용 이니셜 크래커
KR101694199B1 (ko) * 2015-12-11 2017-01-0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판 자동 절단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2328A (ja) * 1991-11-07 1993-05-28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38534A (ja) 1997-06-03 1998-12-22 Toshiba Corp スクライブ装置、ブレーク装置、ガラス切断装置およびスクライブ方法
KR0184524B1 (ko) * 1991-08-19 1999-04-15 시게루 반도오 유리판의 가공기계
KR20010049518A (ko) * 1999-06-18 2001-06-15 반도 시게루 글래스판의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524B1 (ko) * 1991-08-19 1999-04-15 시게루 반도오 유리판의 가공기계
JPH05132328A (ja) * 1991-11-07 1993-05-28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38534A (ja) 1997-06-03 1998-12-22 Toshiba Corp スクライブ装置、ブレーク装置、ガラス切断装置およびスクライブ方法
KR20010049518A (ko) * 1999-06-18 2001-06-15 반도 시게루 글래스판의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10B1 (ko) 2008-05-06 2011-01-25 세메스 주식회사 스크라이빙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판 절단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107A (ko)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879B2 (en) Display device having pair of glass substrates and method for cutting it
JP5022602B2 (ja) カッターホイ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分断方法
JP4965632B2 (ja) 基板分断システム、基板製造装置、基板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基板分断方法
CN101068666B (zh) 脆性材料基板的划线方法和划线装置以及脆性材料基板的切断***
US7845529B2 (en)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method for conveying substrate and mechanism for conveying substrate
WO2004096721A1 (ja) 脆性基板分断システムおよび脆性基板分断方法
CA235414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transporting flat glass workpieces
JP6364789B2 (ja) スクライブ装置
KR20020050116A (ko) 취성기판의 절단방법 및 그 장치
TW201335083A (zh) 玻璃板加工裝置及其加工方法
CN104276751A (zh) 贴合基板的加工装置
KR20040033245A (ko) 취성재료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그 장치 및 가공장치
KR20190126050A (ko) 판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유리의 스냅핑 장치
KR100642902B1 (ko) 유리기판의 절단장치
JP5156085B2 (ja) 貼り合せ基板の分断方法
TWI649279B (zh) 脆性材料基板之刻劃裝置
JP5409749B2 (ja) ガラス加工装置
WO2009107794A1 (ja) 平面表示パネル用マザー基板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CN105988236A (zh) 用于切割结合基板的***
KR20190023556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장치 및 그 분단 방법
KR20170059377A (ko) 기판절단장치
KR100678294B1 (ko) 유리기판의 필름 스크라이빙 장치
TW201927501A (zh) 黏合基板的劃線方法以及劃線裝置
JP3195960U (ja) パネルの折割装置
JP2022056989A (ja) 基板分断方法及び基板分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