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361B1 -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361B1
KR100642361B1 KR1020040107185A KR20040107185A KR100642361B1 KR 100642361 B1 KR100642361 B1 KR 100642361B1 KR 1020040107185 A KR1020040107185 A KR 1020040107185A KR 20040107185 A KR20040107185 A KR 20040107185A KR 100642361 B1 KR100642361 B1 KR 10064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gonal resource
communication
orthogonal
resource bloc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482A (ko
Inventor
성단근
서영익
정방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4010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361B1/ko
Priority to PCT/KR2005/004217 priority patent/WO2006065036A1/en
Priority to US11/721,337 priority patent/US7835420B2/en
Publication of KR2006006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04L5/026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using cod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매체를 통하여 동기 되어 있는 복수의 통신 채널이 공존하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기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어진 직교 자원들을 기본 단위 직교 자원블록으로 분할하고 송수신측간의 통신규약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분할된 기본 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도약 선택하며 해당 채널은 상기의 도약패턴으로 채널을 구별하도록 하는 제1통신국과 복수의 제2통신국으로 구성된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국에서 제2통신국으로의 통신 채널을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에 의하여 통계적 다중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식 및 상기의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방식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통신국내에 기존의 시스템에 매 주어진 시간 단위동안 각 통신채널이 사용할 기본 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선택하는 도약 패턴 생성기, 직교 자원블록간의 충돌여부를 감시하고, 충돌한 채널 중에서 전송할 하나의 채널과 전송을 일시 중지시킬 나머지 채널들을 선택하는 충돌검출 및 제어기, 전송이 일시 중지된 메시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블록 등을 추가하여 구성된 장치이다.
시간분할다중접속, 주파수분할다중접속, 부호분할다중접속, 직교자원블록, 도약패턴, 다중화, 직교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계적 다중화, 데이터 활성도

Description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Orthogonal Resource Block Hopping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도 1a는 종래 기술인 시간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자원인 총 시간구간을 단위시간블록으로 분할하여 제2통신국에게 채널을 할당하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인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자원인 총 주파수구간을 단위 주파수블록으로 분할하여 제2통신국에게 채널을 할당하는 개념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인 부호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자원인 직교부호군을 단위 직교부호블록으로 분할하여 제2통신국에게 채널을 할당하는 개념도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인 시간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2b는 종래 기술인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2c는 종래 기술인 부호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종래 기술인 시간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데이터의 활성도를 고려하였을 경우에 각 제2통신국의 채널 사용률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b는 종래 기술인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데이터의 활성도를 고 려하였을 경우에 각 제2통신국의 채널 사용률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c는 종래 기술인 부호분할 다중화방식에 있어서 데이터의 활성도를 고려하였을 경우에 각 제2통신국의 채널 사용률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여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설정하고 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에 따라 전체 자원을 분할하는 개념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여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설정하고 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에 따라 전체 자원을 분할하는 개념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구간을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으로 설정하고 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에 따라 전체 자원을 분할하는 개념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구간을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으로 설정하고 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에 따라 전체 자원을 분할하는 개념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직교 부호를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으로 설정하고 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에 따라 전체 자원을 분할하는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시간구간만을 자원으로 하였을 경우, 각 제2통신국이 기본단위 시간블록 사이의 도약에 의해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서 주파수구간만을 자원으로 하였을 경우, 각 제2통신국이 기본단위 주파수블록 사이의 도약에 의해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서 부호만을 자원으로 하였을 경우, 각 제2통신국이 기본단위 부호블록 사이의 도약에 의해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 4a에서 제시된 부호, 주파수구간, 시간구간을 자원으로 하였을 경우, 각 제2통신국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 사이의 도약에 의해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e는 본 발명에 따라서 도 4a에서 제시된 부호, 주파수구간, 시간구간을 자원으로 하였을 경우, 하나의 제2통신국이 다수 개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제1통신국에 추가하여야할 기능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약 패턴 생성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약패턴 충돌 검사기 및 제어기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흐름도(flow diagram)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라서 메시지의 목적지를 알려주기 위해 메시지에 목적지 정보를 삽입하는 개념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서 메시지의 목적지를 알려주기 위해 기본단위 자원블록을 메시지를 전송하는 부분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부분에 목적지 정보를 삽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래기술에 도 6을 추가함으로 구현된 직교 자원(시간)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시스템의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래기술에 도 6을 추가함으로 구현된 직교 자원(주파수)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시스템의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래기술에 도 6을 추가함으로 구현된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시스템의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구현된 직교 자원(주파수, 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시스템의 송,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활성도가 높은 트래픽과 낮은 트래픽이 공존하는 경우에 직교 자원 분할 다중화방식과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각각의 제2통신국에 채널을 할당하는 개념도이다.
도 11b는 하나의 제2통신국이 직교 자원 분할 다중화방식에 의한 채널과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방식에 의한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는 개념도이다.
도 11c는 직교 자원 분할 다중화방식에 속하는 직교 자원군과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방식에 속하는 직교 자원군이 동적으로 할당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1 : 부호화기 202 : 인터리버
203 : 심벌매핑기 204 : 심벌 디매핑기
205 : 디인터리버 206 : 복호화기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통신국과 다수의 제2통신국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다수의 제2통신국은 유한개의 통신 채널이 공존할 수 있는 단일 매체를 통하여 통신하는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존의 방식들이 유한개의 정해진 통신 채널의 수에 따라서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제2통신국의 수가 정해지는 것에 비해 유한개의 정해진 통신 채널의 수보다 많은 제2통신국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화 방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제1통신국과 동기 되어 있는 복수의 제2통신국들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제1통신국은 각 제2통신국으로의 채널을 직교 자원블록 도약 패턴으로 식별하고 각 제2통신국에 해당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패턴은 채널의 충돌을 줄일 수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결정하고, 특정 시간구간에서 서로 다른 채널의 직교 자원블록이 일치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충돌에 관련된 채널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전송하고 나머지 채널은 전송을 일시 지연시키는 다중화 방식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다중화 방식은 크게 직교 시간 분할 다중화(OTDM, Orthogon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직교 부호 분할 다중화(OCDM, Orthogonal Cod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직교 시간 분할 다중화 방식(OTDM)은 도 1a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시간구간, T0(100)~T7(107), 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8,109)을 구성하고 채널은 프레임 내의 시간구간에 의해서 구별되며, 각 제2통신국(MS0~MS7)에게 프레임 당 하나의 시간구간을 할당하여 다수의 제2통신국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채널의 수 는 프레임 내에 있는 시간구간의 수에 의해서 결정되어 지고,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제2통신국의 수 또한 프레임 내에 있는 시간구간의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도 1b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주파수구간, F0(110)~F7(117), 으로 분할하고, 채널을 이 주파수구간에 의해서 구별하는 방식으로, 제2통신국(MS0~MS7)에게 분할된 주파수구간중 하나를 할당하여 동시에 다수의 제2통신국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채널의 수는 주파수구간의 수에 의해서 결정되어 지고,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제2통신국의 수 또한 주파수구간의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직교 부호 분할 다중화 방식(OCDM)은 주파수 스펙트럼의 확산을 이용한 것으로 도 1c에서처럼 직교 부호, C0(120)~ C7(127),에 의하여 채널을 구분하며, 제2통신국(MS0~MS7)에게 하나의 직교 부호를 할당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제2통신국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채널의 수는 직교 부호의 수에 의해서 결정되어 지고,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제2통신국의 수 또한 직교 부호의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2는 기존의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의 간략한 블록 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는 직교 시간 분할 다중화 방식(Orthogon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OTDM)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로 제2통신국으로 전송되고자 하는 메시지(Me0~Me7)는 먼저 부호화기(Encoder, 201)와 인터리버(Interleaver, 202)를 거치고 물리계층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배열에 따라 심벌들을 매핑하는 심벌매핑기(Symbol Mapper, 203)를 거쳐서 신호배열의 심벌(Se0~Se7)로 변환된다. 신호배열은 QAM, QPSK, BPSK 또는 다른 신호배열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변환된 심벌(Se0~Se7)들은 각각의 제2통신국에 할당된 시간구역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버스트구성기(Burst Formatter, 210)을 거쳐서 더하여 진다. 이때 버스트구성기는 제어신호를 통하여 자신이 사용할 시간구역의 위치(TS0~TS7)를 인지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신호는 서로 더하여 진 뒤에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는 DAC(211)와 반송 주파수대역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RF부(212)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처리부(Analog Control Part, 213)를 거쳐 안테나를 통해 제2통신국들로 전송되어 진다. 제2통신국은 다중화되어 전송받은 신호로부터 자신에게로 전송된 신호만을 추출해 내어야 한다. 제2통신국에서는 제1통신국에서 온 신호를 반송 주파수대역에서 기저대역으로 천이하는 RF(214)부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ADC(215)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처리부(Analog Control Part, 216)를 거쳐 나온 신호에서 버스트 동기 처리부(burst synchronization, 217)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구역에 있는 신호(Se0: 도 1a의 예제에서는 Me0를 전송받을 제2통신국에 대해서만 보여주고 있다. Me1~Me7의 메시지를 받는 제2통신국도 동일한 수신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만을 추출한다. 추출된 신호는 심벌 디매핑기(Symbol Demapper, 204),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205), 복호화기(Decoder, 206)를 거쳐서 전송된 메시지(Me0)를 복구하게 된다.
도 2b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OFDM)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로 제2통신국으로 전송되고자 하는 메시지(Me0~Me7)는 직교 시간 분할 다중화 방식(OTDM)과 마찬가지로 부호화기(Encoder, 201), 인터리버(Interleaver, 202), 심벌 매핑기(Symbol Mapper, 203)를 거쳐서 신호배열의 심벌(Se0~Se7)로 변환된다. 변환된 심벌(Se0~Se7)들은 각각의 제2통신국에 할당된 주파수구간으로 천이하기 위하여 제어신호(F0~F7)에 따라 심벌들을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나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222)의 각 주파수구간에 할당된 탭으로 연결시켜는 선택 장치(Frequency Selector, 221)를 거치고, IDFT나 IFFT에서 나온 병렬신호는 직렬신호로 변환(Parallel-to-Serial Converter, 223)된 뒤,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첨부하고(224) 아날로그 제어부(Analog Control Part, 213)를 거쳐서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제2통신국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보호구간을 제거한 뒤(225) 직렬신호를 병렬신호로 바꾸고(226), DFT 또는 FFT(227)를 수행하여 각 주파수구간에 있는 심벌 중 제1통신국에서 할당받은 신호(F0)에 따라서 자신에게 할당된 주파수구간에 있는 심벌(Se0)만을 심벌 디매핑기(Symbol Demapper, 204),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205), 복호화기(Decoder, 206)를 통과시켜 전송된 메시지(Me0)를 복구하게 된다.
도 2c는 직교 부호 분할 다중화 방식(OCDM)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로 제2통신국으로 전송되고자 하는 메시지(Me0~Me7)는 다른 다중화 방식과 마찬가지로 부호화기(Encoder, 201), 인터리버(Interleaver, 202), 심벌 매핑기(Symbol Mapper, 203)를 거쳐서 신호배열의 심벌(Se0~Se7)로 변환된다. 변환된 심벌(Se0~Se7)들은 각각의 제2통신국에 할당된 직교 부호에 의해서 확산되어(Spreader, 220) 아날로그 제어부(Analog Control Part, 213)를 거쳐서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제2통신국은 아날로그 제어부(Analog Contrl Part, 216)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로 부터 레이크 수신기(Rake Receiver, 221)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심벌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자신에게 할당된 직교 부호를 이용하게 된다. 레이크 수신기의 자세한 동작은 이미 기 공지된 사항이다. 레이크 수신기를 통하여 수신된 심벌은 심벌 디매핑기(Symbol Demapper, 204),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205), 복호화기(Decoder, 206)를 통과시켜 전송된 메시지(Me0)로 복구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기존의 다중화방식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OTDM은 시간구간, OFDM은 주파수구간, OCDM은 직교 부호를 각자가 가지고 있는 자원이라 할 수 있다.)을 제2통신국에 분배함으로써 다수의 제2통신국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자원이 N개로 한정되어 있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제2통신국의 수 또한 N개로 한정되어진다. 도 2의 예제에서는 N이 8이 된다. 그리고 기존의 다중화 방식을 사용한 시스템에서는 한번 호(call)가 연결되면 그 호가 끝날 때까지 할당된 자원을 제2통신국이 계속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N+1번째의 제2통신국으로 호의 연결을 요구하더라도 그 호를 연결시켜줄 수 없다. 그러나 하나의 호 지속시간 동안 전송할 메시지가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인터넷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호인 경우에는 데이터 트래픽의 버스티한 특성 때문에 전송할 메시지가 있을 확률이 작아지게 된다. 즉, 도 3a, 3b, 3c 에서 보듯이 비록 제2통신국이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는 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구역이 생기게 된다. 직교자원의 낭비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직교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기존의 다중화 방식에서는 빠른 자원 할당 및 반납이 수반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빈번한 자원 할당 및 반납을 위한 제어신호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한정된 자원이 실제적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 되기보다 상당 부분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제어정보에 할당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고정적으로 직교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직교 자원과 채널이 1대1의 관계를 가지던 것을 전송 데이터의 활성도를 고려하여 활성도가 낮은 트래픽들은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방식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다중화 함으로써 채널과 한정된 자원인 직교자원의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불필요한 채널 할당 및 반납과정에 소요되는 제어신호들을 제거함으로써 직교자원의 수로 한정되는 사용자 수를 늘일 필요가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교성을 유지하는 동기화된 채널들의 활성도(activity)가 낮은 경우에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라는 통계적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한정된 직교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송수신기가 각자에게 부여된 도약패턴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제어신호전송 등에 의한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직교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방식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송 데이터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호(call)에 대하여 한정된 자원인 직교 자원을 종래와 같이 고정적으로 할당함으로써 채널은 곧 직교 자원이라는 기존의 시스템과 같은 등식을 탈피하여 채널을 직교 자원블록 도약패턴으로 구분함으로써 통계적 다중화를 수행하고, 임의의 도약패턴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패턴의 충돌로 인한 잘못된 수신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턴의 충돌이 생긴 경우 충돌이 생긴 여러 채널 중 하 나의 채널만 전송하고, 나머지 채널을 다른 시간구간에 전송하도록 지연시키는 방식 및 장치가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약 패턴에 의하여 선택되는 직교 자원군을 종래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직교 자원군과 분리 운영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과 공존할 수 있는 방식 및 장치가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다중화방식에서 생기는 직교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직교 자원을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BORB, Basic Orthogonal Resource Block)으로 나누고 채널을 매 일정시간마다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 간을 도약하는 패턴으로 구별하며 제2통신국별로는 전송되는 메시지의 양에 따라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채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직교 자원은 메시지를 제1통신국에서 제2통신국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메시지가 복호화기 등을 통하여 변환된 심벌을 실어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기존의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서는 주파수구간이 자원이 될 수 있다.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이란 한 개 또는 다수개의 심벌을 전송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주파수만을 자원으로 이용한다면 사용 가능한 모든 주파수구간을 여러 개의 주파수구간으로 분할했을 때 한 개의 주파수구간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이 된다. 이때 분할할 주파수구간의 크 기와 어떤 주기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간의 도약패턴을 바꾸느냐에 따라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이 전송할 수 있는 심벌의 수가 결정된다.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은 앞의 예에서 언급한 주파수구간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중화방식에서 언급한 시간구간, 직교 부호 등 다른 어떤 직교성을 가진 자원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한 예로 도 4a와 4b는 시간구간, 주파수구간, 직교 부호의 세 개 직교자원을 조합하여 만든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과 사용 가능한 모든 직교 자원이 여러 개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으로 분할됨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도 4a와 4b는 사용 가능한 모든 직교 자원의 크기가 같더라도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의 크기를 바꿈으로서 도약패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의 수를 바꿀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4b는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411)의 크기는 도 4a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401)의 반으로 줄어들면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의 수는 두 배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의 크기를 줄이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심벌의 수가 줄어들지만 도약패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의 수가 늘어남으로써 채널간의 충돌을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좀 더 간단한 예로서 기존의 시간 분할 다중화 방식에서처럼 시간구간만을 자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시간구간(T0~T7,)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이 될 수 있으며,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서처럼 주파수구간만을 자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4d에서와 같이 주파수구간(F0~F7)이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이 될 수 있으며, 직교 부호 분할 다중화 방식에서처럼 직교 부호만을 자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4e에서와 같이 직교 부호(C0~C7)가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방식에 의해서 각 제2통신국(MS0~MS7)이 사용하게 되는 자원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시간구간만을 직교 자원으로 사용할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각 제2통신국이 사용하는 시간구간은 도 3a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매 프레임구간마다 바뀌게 된다.
도 5b는 주파수구간만을 직교 자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각 제2통신국이 사용하는 주파수구간은 도 3b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매 시간구간(TS)마다 바뀌게 된다.
도 5c는 직교 부호만을 직교 자원으로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각 제2통신국이 사용하는 직교 부호는 도 3c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매 시간구간(TS)마다 바뀌게 된다.
도 5d는 도 4a에서 제시된 기본단위의 직교 자원블록을 사용하여 도약패턴을 적용했을 경우의 각 제2통신국이 사용하는 직교 자원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5d에서는 하나의 제2통신국이 매 시간구간마다 하나의 기본단위 직교자원블록을 할당하였으나, 도 5e에서와 같이 특정 제2통신국(MS9)으로 가는 메시지의 양이 많다면 하나의 시간구간에서도 두 개 또는 다수 개의 기본단위 직교자원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각 제2통신국은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만 도약패턴에 의해서 선택된 직교 자원을 매 시간구간마다 사용하게 된다.
제2통신국이 사용할 직교 자원블록을 매 시간구간마다 랜덤하게 선정한다면 어느 시간구간에는 몇 개의 제2통신국이 동일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사용하도 록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같은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사용하도록 선정된 모든 제2통신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면 전송매체에서 충돌이 생겨 메시지가 목적지 제2통신국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하여 선정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간의 충돌이 생겼을 경우에는 충돌이 일어난 제2통신국 중에서 하나의 제2통신국에만 메시지를 전송하고 나머지 제2통신국은 다음 시간구간에 전송할 수 있도록 메시지의 전송을 지연시킨다.
도 6은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를 실현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송신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각 제2통신국에 대한 도약패턴을 생성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패턴 생성기(601), 무작위적인 도약패턴 발생으로 인하여 생기는 직교 자원블록간의 충돌을 검출하고 충돌한 제2통신국중 하나를 선택하는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602), 그리고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임시적으로 보관하는 메모리블록(603)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는 제2통신국이 10개만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실제로는 다양한 수의 제2통신국이 존재할 수 있다. 메모리블록은 각 제2통신국별로 구분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각 제2통신국으로 전송할 메시지(Me0~Me9)가 있는 지를 알려주는 신호(AV0~AV9)를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에 알려주고,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로부터 메시지 출력을 요구받으면 메시지(Ms0~Ms9)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도약패턴 생성기는 매 시간구간마다 각 제2통신국이 사용할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의 번호(HPa~HPj)를 생성하여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에 알려준다.
직교 자원블록 도약 패턴 생성기의 구현 예가 도 7에 주어져 있다. 일반적인 PN시퀀스 생성기를 이용하여 도약 패턴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하나의 PN시퀀스 생성기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제2통신국에 대한 직교 자원블록 도약 패턴을 발생시키거나 하나의 제2통신국당 한 개의 PN시퀀스 생성기가 있을 수 있으나 이때 PN 시퀀스 생성기의 초기값을 제2통신국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값에 따라 설정하거나 제1통신국(BS)이 각 제2통신국마다 다른 값을 가지도록 설정하여 제2통신국마다 서로 다른 도약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는 도약패턴 생성기와 메모리블록으로부터 받은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 번호(HPa~HPj)와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지를 알려주는 신호(AV0~AV9)를 이용하여 직교 자원블록의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메시지를 전송할 제2통신국과 메시지를 지연시킬 제2통신국을 선택하여, 메모리블록에 메시지 출력을 요구하는 신호(REQ0~REQ9)와 각 메시지가 사용할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알려주는 제어신호(HP0~HP9)들을 생성한다.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의 구현 알고리즘에 대한 예가 도 8에 주어져 있다. 도 8은 10개의 제2통신국이 8개의 직교자원블록을 이용할 경우를 상정하여 구현한 예이다. 그러므로 제2통신국의 수와 직교 자원블록의 수가 바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구현 알고리즘은 초기화과정(801)으로 시작한다. 이 초기화과정동안 기본단위 자원블록이 전송될 시간구간과 처음으로 조사할 제2통신국 번호 등이 설정된다. 다음에 매 시간구간마다 도약패턴이 변경되므로 이 알고리즘에서는 매 시간구간마다 충돌이 있는 지를 조사하여야 한다. 그래서 802에서는 일정한 시간이 지났는지를 확인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다시 계수기를 초기 값으로 설정하고, 내부 변수들을 설정한다 .(803) 도약패턴 생성기와 메모리블록으로부터 받은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 번호(HPa~HPj)와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지를 알려주는 신호(AV0~AV9)를 내부 변수(AV[9:0],HP[9:0])로 받아들이고, 메모리블록으로 메시지의 출력을 요구하는 신호(REQ[9:0])와 기본단위 자원블록이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변수(R[7:0])는 0으로 만들고 시작할 제2통신국의 번호 또한 내부 변수(i)에 설정한다. 이때 몇 개의 제2통신국을 위한 도약패턴을 검사했는지를 나타내는 변수(j)도 0으로 만들어 준다. 804에서는 먼저 현재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으로 갈 메시지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 메시지가 없다면 내부변수 HP[i]를 8로 만든다.(805) 이때 HP[i]를 8로 만드는 것은 i로 나타내어지는 제2통신국은 이번 시간구간동안에는 자원을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하는데 0~7이 아닌 임의의 다른 값을 써도 무방하다. 그리고 난 뒤 j값을 1증가시킨 뒤 j값이 10인지를 확인한다.(806) j값이 10보다 작다면 모든 제2통신국에 대한 도약패턴을 검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i를 다음 제2통신국의 번호로 설정(807)하고 다시 804에서 현재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으로 갈 메시지가 있는 지를 확인한다. 만약 메시지가 있다면 현재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이 사용할 기본단위 자원블록의 번호가 이미 다른 제2통신국에 의해서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한다.(808) 만약 사용되었다면 다음 시간구간에서는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부터 충돌에 대한 조사가 시작될 수 있도록 내부변수(finish_MS)를 i값으로 바꾼(810) 뒤 805로 가게 한다. 만약 사용되지 않았다면 현재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본단위 자원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809로 가서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이 사용하고자 하는 기본단위 자원블록의 사용여부 를 나타내는 변수(R[HP[i]])를 1로 만들어 이 기본단위 자원블록이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고 또한 현재 i에 설정되어 있는 제2통신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부변수 REQ[i]를 1로 설정한다. 그 뒤에 다시 806으로 가서 j값이 10인지를 조사한다. j값이 10이면 모든 제2통신국에 대한 도약패턴을 조사한 것을 의미하므로 811로 가서 REQ9~REQ0, HP9~HP0를 내부변수 REQ[9:0]와 HP[9:0]로 바꾸어 줌으로써 메모리블록에 메시지가 전송될 제2통신국과 각 제2통신국이 사용할 기본단위 자원블록의 번호를 출력한다. 그러고 나서 802로 가서 다음 시간구간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 8의 구현 예에서는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충돌한 제2통신국 중에서 메시지를 전송할 제2통신국을 선정하도록 하였고 또한 충돌로 인하여 지연된 제2통신국에 우선순위를 주는 선정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어떠한 선정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제1통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통신국의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현재 시간구간에 받아야 하는 기본단위 자원블록으로 전송되어 온 메시지라도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자신에게 오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제2통신국으로 보내지는 메시지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래서 제1통신국에서는 메시지의 목적지를 알려주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보내주어야 한다. 제어신호를 보내주는 방식 중 하나는 도 9a에서처럼 전송할 메시지에 수신할 제2통신국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 신호들을 삽입하여 보내주는 것이다. 삽입하는 위치는 제2통신국과의 규약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방식은 도 9b와 같이 기본단위 자원블록 내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Message Part)과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Control Part)으로 나눈 뒤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에 목적지 제2통신국에 대한 정보를 실어주는 것이다.
또 다른 방식은 도 9b와 같이 제어신호를 메시지와 같이 다중화해서 보낼 수도 있지만 전 제어신호를 하나의 구별된 채널을 이용하여 제2통신국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 신호들을 실어서 보내는 것이다. 이 경우에 각 제2통신국은 제1통신국과 자신에게 보내지는 REQ신호가 들어있는 위치를 정해서 그 위치에 REQ신호가 있으면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방법이다.
도 10은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를 구현한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a는 시간구간만을 자원으로 한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시스템으로 기존의 시간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제1통신국에는 도 6에서 설명한 기능(1001)들을 추가하고 제2통신국에는 도약패턴 생성기(1002)만을 추가함으로써 직교 자원(시간)블록 도약 다중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드웨어 추가 이외에 도 2a에서 각 제2통신국으로 전송할 메시지가 사용할 시간구간을 나타내는 신호(T0~T7) 대신에 도 10a에서는 도약패턴에 의해 생성된 신호(HP0~HP9)를 사용하게 되고, 전송될 메시지(Me0~Me7)도 일단 메모리블록에 저장되었다가 충돌 검출기 및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부호화기로 입력(Ms0~Ms9)되는 것이 바뀌게 된다.
도 10b는 주파수구간만을 자원으로 한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시스템으로 시간구간만을 자원으로 한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시스템과 동일한 하드웨어 추가 및 신호의 변경(F0~F7 ->HP0~HP9)을 함으로써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으로부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0c는 직교 부호만을 자원으로 한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시스템으로, 도 10a와 도 10b와 마찬가지로 시간구간이나 주파수구간 대신에 직교 부호로 자원이 변경되었다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하드웨어 추가 및 신호의 변경을 통한 부호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간단한 변경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0d는 주파수와 직교 부호 두 개의 자원을 이용하였을 경우의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시스템을 보여 주고 있는데 송신단에서 보면 도 6에서 생성된 도약 패턴은 각 메시지가 사용할 직교 부호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주파수구간까지도 동시에 결정하여 알려준다. 예를 들면 0번 채널의 도약패턴 출력(HP0)의 경우 앞부분(HP0의 Bit0~3)은 직교부호를 위하여 사용되고 뒷부분은(HP0의 Bit4~7) 주파수구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예제에서는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직교 자원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의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으나 직교 자원 종류의 수에 상관없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방식은 각 제2통신국이 활성도가 낮은 트래픽을 받을 경우에 많은 이득을 주는 방식이라고 볼 수가 있다. 그러나 모든 제2통신국이 늘 활성도가 낮은 트래픽만을 수신한다고 볼 수 없다. 경우에 따라서 활성도가 높은 트래픽이 존재할 수가 있다. 활성도가 높은 트래픽의 경우에는 직교 자원 분할 다중화방식이 더 좋을 수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전체 직교 자원을 직교 자원 분할 다중화 방식이 사용할 직교 자원군(Orthogonal Resource Division Group; ORDG)과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방식이 사용할 직교 자원군(Orthogonal Resource Block Hopping Group; ORBHG)으로 나누어서 두 방식이 공존하게 만들 수 있다. 즉 도 11a처럼 활성도가 높은 트래픽을 수신하고자 하는 제2통신국(MS7~MS9)들에는 각각에게 ORDG(R5~R7)중 하나의 기본단위 직교자원블록을 늘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함으로써 채널을 배정하고, 활성도가 낮은 트래픽을 수신하고자 하는 제2통신국(MS0~MS6)들에는 ORBHG(R0~R4)간의 도약패턴에 의한 채널을 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도 6의 도약 패턴 생성기(601)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ORDG를 배정받은 제2통신국을 위한 도약 패턴 생성기는 항상 배정받을 기본단위 직교자원블록 번호를 출력시키면 되고, 도약패턴에 의한 채널을 배정받은 제2통신국들은 도 7과 같은 도약패턴 생성기를 이용하여 도약패턴을 만들어 출력(HPa~HPj)시키면 된다. 또한 특정 제2통신국은 활성도가 낮은 트래픽과 높은 트래픽을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도 11b처럼 특정 제2통신국(MS9)에 ORDG를 이용한 채널(1100)과 ORBHG를 이용한 채널(1110)을 동시에 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ORDG에 속하는 자원과 ORBHG에 속하는 자원은 도 11c에서 보는 것처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즉 현재 시스템에 존재하는 각 트래픽의 양에 따라 ORDG에 속하는 자원의 양과 ORBHG에 속하는 자원의 양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무선에 의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중화 방식은 무선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8개의 제2통신국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서만 보여주고 있지만 제2통신국의 숫자는 임의의 값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교성을 유지하는 동기화된 채널들의 활성도가 낮은 경우에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라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증가되는 복잡도가 적다. 특히 수신기에서는 직교자원블록 도약패턴 생성기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하드웨어 증가가 없다. 또한 제1통신국에서 제2통신국으로의 활성도가 낮은 트래픽에 대하여 과도한 채널할당 및 반납 등의 과정 없이 송수신기가 각자에게 부여된 도약패턴에 따라 메시지를 송, 수신함으로써 제어신호전송 등에 의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적으로 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에 비하여 무작위로 도약패턴을 선택하는 경우 거의 무한개에 가까운 채널을 식별할 수 있어, 기존의 방식보다 더 많은 제2통신국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이상의 효과는 기존의 다차원 직교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및 장치(등록번호 10-0370746)로도 얻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효과 이외에 도약패턴의 충돌 시에 충돌한 채널 중 전송할 하나의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의 데이터를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충돌회피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다차원 직교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및 장치에서 충돌에 의한 성능 저하에 따른 요구 Eb/N0의 증가 문제를 해결하여 전체 시스템 용량의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다차원 직교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및 장치가 매 데이터 심벌마다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데 반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데이터 심벌로 이루어진 블록마다 도약 패턴을 생성하기 때문에 복잡성을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하나의 제1통신국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통신국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정의하는 단계와,
    모든 직교 자원들을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모든 직교 자원 내에서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 단위로 도약을 하는 도약패턴에 따라서 통신 채널을 구분하여 제2통신국을 다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통신국이 수신해야 되는 메시지의 양에 따라서 매 시간구간(Time Slot; TS)마다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통신 채널을 하나의 제2통신국에 배정함으로써 메시지 전송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직교 자원이 시간구간(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시간)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일정한 크기의 시간구간(TS)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시간)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직교 자원이 주파수(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주파수)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일정한 크기의 주파수구간을 일정 시간(TS)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주파수)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직교 자원이 직교 부호(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직교 부호를 일정 시간(TS)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직교 자원은 직교성이 유지되며 채널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다수 개의 심벌을 전송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자원을 일정 시간(TS)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의 직교 자원이 여러 가지 직교 자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일정 크기의 여러 자원의 조합을 일정 시간(TS)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2통신국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2통신국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2통신국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2통신국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2통신국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2통신국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기본단위 직교 자원블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부호)블록 도약 다중화 통신방식.
  19. 하나의 제1통신국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통신국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직교 자원블록 도약 패턴 발생기와,
    상기의 도약 패턴간의 충돌을 검출하고, 충돌한 채널 중 전송할 채널을 선택하는 충돌 검출 및 제어기와,
    일시 지연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제1통신국의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송신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도약 패턴간의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충돌한 채널 중 전송된 채널이 어느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통신 신호 체계를 더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송신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각 제2통신국에게 매 시간구간(TS)마다 메시지의 유, 무를 알려주기 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과 구별되는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통신 신호 체계를 더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송신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전송할 메시지에 수신할 제2통신국을 구별할 수 있는 특정 신호들을 삽입하는 통신 신호 체계를 더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송신장치.
  23. 하나의 제1통신국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통신국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직교 자원블록 도약 패턴 발생기를 포함하는 상기 제2통신국의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수신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도약 패턴간의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 충돌한 채널 중 전송된 채널이 어느 것인지를 알려주기 위한 통신 신호 체계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수신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매 시간구간(TS)마다 메시지의 유, 무를 알려주기 위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과 구별되는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통신 신호 체계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목적지를 검출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수신장치.
  26. 청구항 24에 있어서,
    전송할 메시지에 들어 있는 특정 신호들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목적지를 검출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직교 자원블록 도약 통신 수신장치.
  27. 직교 자원을 사용하는 하나의 제1통신국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제2통신국을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직교 자원을 자원 분할 다중화를 위한 1차 직교 자원군과,
    직교 자원블록 도약 다중화를 위한 2차 직교 자원군의 두 영역으로 분할하여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 분할/도약 통신방식.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1차 직교 자원군에 포함될 직교 자원과 상기 2차 직교 자원군에 포함될 직교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 분할/도약 통신방식.
  29. 청구항 27에 있어서,
    동일한 제2통신국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라도 메시지의 특성에 따라서 1차 직교 자원군 또는 2차 직교 자원군을 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 자원 분할/도약 통신방식.
KR1020040107185A 2004-12-16 2004-12-16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 KR100642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185A KR100642361B1 (ko) 2004-12-16 2004-12-16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
PCT/KR2005/004217 WO2006065036A1 (en) 2004-12-16 2005-12-09 Orthogonal resource block hopping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US11/721,337 US7835420B2 (en) 2004-12-16 2005-12-09 Orthogonal resource block hopping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185A KR100642361B1 (ko) 2004-12-16 2004-12-16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482A KR20060068482A (ko) 2006-06-21
KR100642361B1 true KR100642361B1 (ko) 2006-11-08

Family

ID=3658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185A KR100642361B1 (ko) 2004-12-16 2004-12-16 직교자원블록 도약다중화 방식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35420B2 (ko)
KR (1) KR100642361B1 (ko)
WO (1) WO2006065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32308B (zh) * 2006-08-22 201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的数据传输方法、节点及***
WO2008051018A1 (en) * 2006-10-25 2008-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dma control segment hopp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9123540A2 (en) * 2008-03-31 2009-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imeslot hopping for transmitting call data
CN106455116A (zh) * 2016-06-13 2017-02-22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道探测参考信号跳频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4142B1 (fi) * 1996-10-25 1999-11-15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resurssien käytön ohjausmenetelmä
JPH10261980A (ja) * 1997-03-18 1998-09-29 Fujitsu Ltd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用基地局装置,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
DE60037499T2 (de) * 2000-04-04 2008-12-04 Sony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Priorisierung von Nutzern, die auf einen gemeinsamen Kommunikationskanal auf eine zufällige Weise zugreifen
KR100370746B1 (ko) * 2000-05-30 2003-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차원 직교 자원 도약 다중화 통신 방식 및 장치
JP3694479B2 (ja) * 2001-12-07 2005-09-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送受信装置、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35420B2 (en) 2010-11-16
US20090245396A1 (en) 2009-10-01
WO2006065036A1 (en) 2006-06-22
KR20060068482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8821C2 (ru) Управление радиопомехами для мягкой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о скачкообразной перестройкой частоты
CA2262359C (en) Access retry method for shared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s links
US8149780B2 (en) Multiplexing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50522B1 (ko) 광대역 tdd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의 물리층 랜덤액세스를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JP5178883B2 (ja) 超広帯域無線接続網における多元接続デジタル通信方法
KR200100416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구성
CN107734710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CN102316518A (zh) 一种改进的rts/cts通信控制方法
JPWO2020144896A1 (ja) 移動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KR101320398B1 (ko) 셀 간 이종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장치
KR100871267B1 (ko) 직교주파수 분할다중접속시스템의 초기 레인징을 위한레인징 인터벌과 레인징 부채널 할당 방법
EP3606251B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7835420B2 (en) Orthogonal resource block hopping multiplexing method and apparatus
EP1978663B1 (en)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with distributed type or localized type transmission
KR20100099838A (ko) 인지 무선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공존 비콘 프로토콜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CN107197532A (zh) 接入处理方法及装置
CN106341901A (zh) 一种rts/cts通信控制方法
Veyseh et al. Adaptive diversity based spectrum allocation in single-radio wireless ad hoc networks
Veyseh et al. Cross-layer channel allocation protocol for OFDMA ad hoc networks
KR20090099321A (ko)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장치 식별자 방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JP5122264B2 (ja) 通信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および端末装置
Garcia-Luna-Aceves Cross-Layer Channel Allocation Protocol for OFDMA Ad Hoc Networks
Osipov et al. Multiple Access Methods
Garcia-Luna-Aceves Adaptive Diversity Based Spectrum Allocation in Single-Radio Wireless Ad Hoc Networks
KR20060114751A (ko) 다중반송파를 이용한 다중접속방식의 무선 이동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