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10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107B1
KR100642107B1 KR1020040044675A KR20040044675A KR100642107B1 KR 100642107 B1 KR100642107 B1 KR 100642107B1 KR 1020040044675 A KR1020040044675 A KR 1020040044675A KR 20040044675 A KR20040044675 A KR 20040044675A KR 100642107 B1 KR100642107 B1 KR 100642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
input button
button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9552A (en
Inventor
윤재조
Original Assignee
윤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조 filed Critical 윤재조
Priority to KR102004004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107B1/en
Publication of KR2005011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과 한글 자판 배열이 개시된다. 7개의 자음 입력버튼에 자음들을 분할하여 할당하고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2개의 모음 입력버튼에 천지인 모음을 할당하고 상기 모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 또는 누름 길이에 따라 상기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한 후,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문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한다. 이로써, 2개의 모음 입력버튼을 통해 천지인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다. A Hangul input device, a method thereof, and a Hangul keyboard layout are disclosed. The consonants are divided into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and the consonants are divided 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input button, and one of the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input buttons is assigned. After selecting the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input butt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r the length of the press,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with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to complete the character. In this way, vowels in heaven and earth are input through two vowel input buttons.

Description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Hangul input device and its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한글 자판 배열을 도시한 도면,1A and 1B illustrate a conventional Hangul keyboard layout;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판 배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2a to 2c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angul keyboard lay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내지 도 2c의 각각의 자판 배열에 따른 모음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3A to 3C illustrate a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each keyboard layout of FIGS. 2A to 2C;

도 3d는 특수 입력버튼을 이용한 숫자/한글 및 영문 입력모드의 변환방법을 도시한 도면,3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a number / Korean and English input mode using a special input butt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2개의 키로 이루어진 자판 배열에서 한글 입력시 사용하는 모음 키의 수를 줄이고 한 글 입력을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gul input devic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vowel keys used when inputting Hangul in a keyboard layout consisting of 12 keys and input a Hangul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And to a method thereof.

한글은 일차원적 배열을 갖는 영문과는 달리 초성, 중성, 종성이 이차원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문자)을 형성하므로 그 입력방법이 영문에 비해 다소 복잡하다. Unlike English, which has a one-dimensional arrangement, Hangul is two-dimensionally combined to form a syllable (character), so the input method is more complicated than English.

도 1a는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 중 일명 '천지인'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A illustrates a layout of a keyboard for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known as 'Cheonjiin' among conventional Hangul input / output devices.

도 1a를 참조하면, 천지인 방식은 기본자음(ㄱ,ㄴ,ㄷ,ㅂ,ㅅ,ㅈ,ㅇ)과 천지인 모음(ㅣ,ㆍ,ㅡ)(102,104,106)을 10개의 입력버튼(100)에 각각 배치하고 한 번 누름으로 입력한다. 그 외 자음(ㅋ,ㄲ,ㄹ,ㅌ,ㄸ,ㅍ,ㅃ,ㅎ,ㅆ,ㅊ,ㅉ,ㅁ)은 해당 입력버튼을 반복하여 눌러 입력한다. 또한 모든 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ㅘ,ㅝ,ㅐ,ㅒ,ㅖ,ㅖ,ㅚ,ㅟ,ㅢ)은 천지인 모음의 획 조합 방식으로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1A, the Cheonjiin method includes a basic consonant (a, b, c, ㅂ, ㅅ, ー, ㅇ) and Cheonjiin vowels (ㅣ, ·, ㅡ) (102, 104, 106) disposed on each of the 10 input buttons 100. And press once. Other consonants (ㅋ, ㄲ, ㄹ, ㅌ, ㄸ, ㅃ, ㅃ, ㅎ, ㅆ, ㅉ, ㅉ, ㅁ) are entere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repeatedly. Also, all vowels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ㅘ, ㅝ, ㅐ, ㅒ, ㅖ, ㅖ, ㅚ, ㅟ, ㅢ) are the combinations of the celestial vowel strokes. Enter it.

예를 들어, 'ㄱ'은 {4}입력버튼을 한 번 눌러 입력하고, 'ㅋ'은 {4}입력버튼을 두 번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ㄲ'은 {4}입력버튼을 세 번 눌러 입력한다. 'ㅏ'는 {1,2}입력버튼(102,104)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고, 'ㅓ'는 {2,1}입력버튼(104,102)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ㅕ'는 {2,2,1}입력버튼(104,104,102)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또한, {*}입력버튼은 앞으로 한 칸 이동을 수행하고, {#}입력버튼은 뒤로 한 칸 이동 및 문자조합 완료를 수행한다.For example, 'ㄱ' is entered by pressing the {4} input button once, and 'ㅋ' is entered by pressing the {4} input button twice. And, enter '{' by pressing the {4} input button three times. 'ㅏ' is inputted by pressing the {1,2} input buttons 102 and 104 sequentially, and 'ㅓ' is inputted by pressing the {2,1} input buttons 104 and 102 in sequence. Then, '는' is inputted by pressing {2,2,1} input buttons 104, 104, 102. In addition, the {*} input button moves one space forward, and the {#} input button moves one space backward 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is completed.

도 1b은 종래의 한글 입출력장치 중 일명 '나랏글2000' 한글 입력을 위한 자 판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board arrangement for inputting a Korean character, namely 'Naratgle 2000', among conventional Hangul input / output devices.

도 1b를 참조하면, 나랏글2000(이하,'나랏글'이라 한다)방식은 기본자음(ㄱ,ㅌ,ㄹ,ㅁ,ㅅ,ㅇ)과 기본모음(ㅏ,ㅗ,ㅡ,ㅣ)을 10개의 입력버튼(160)에 각각 배치하고 한 번 누름으로 입력한다. 그 외 자음(ㅋ,ㄲ,ㄷ,ㅌ,ㄸ,ㅂ,ㅍ,ㅃ,ㅈ,ㅊ,ㅆ,ㅉ,ㅎ)은 기본자음과 획추가 버튼(162), 쌍자음 버튼(164)을 조합하여 입력한다. 모음 중 버튼상에 표시된 기본모음(ㅏ,ㅓ,ㅜ,ㅡ,ㅣ)은 해당 버튼의 한 번 누름 또는 반복 누름에 의하여 입력하고, 나머지 모음(ㅑ,ㅕ,ㅛ,ㅠ,ㅘ,ㅝ,ㅐ.ㅒ,ㅔ,ㅖ,ㅚ,ㅟ,ㅢ)은 기본 모음과 획추가 버튼(162)을 조합하여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1B, the naratgle 2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naratgle') method inputs 10 basic consonants (a, ㅌ, ㄹ, ㅁ, ㅅ, ㅇ) and a basic vowel (ㅏ, ㅗ, ㅡ, ㅣ) Place each of the buttons 160 and press once. Other consonants (ㅋ, ㄲ, ㄷ, ㅌ, ㄸ, ㅂ, ㅃ, ㅃ, ,, ㅆ, ㅉ, ㅉ) are the combination of the basic consonant, the stroke addition button (162) and the double consonant button (164). Enter it. The basic vowel (ㅏ, ㅓ, ㅡ, ㅡ, ㅣ) displayed on the button among the vowels is entered by pressing the button once or repeatedly, and the rest of the vowels (ㅑ, ㅕ, ㅛ, ㅘ, ㅘ, ㅘ, ㅝ,)) ㅒ, ㅔ, ㅖ, ㅚ, ㅟ, ㅢ) is inputted by combining the basic vowel and the add stroke button 162.

예를 들어, 'ㅅ'은 {1}입력버튼을 한 번 눌러 입력하고, 'ㅈ'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며, 'ㅊ'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ㅆ'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고, 'ㅉ'은 {1,*,#}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 그리고, 'ㅏ'는 {3}입력버튼을 한 번 눌러 입력하고, 'ㅓ'는 {3}입력버튼을 두 번 눌러 입력하며, 'ㅑ'는 {3,*}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하고, 'ㅕ'는 {3,3,*}입력버튼을 차례로 눌러 입력한다.For example, 'ㅅ' is entered by pressing the {1} input button once, 'ㅈ' is entered by pressing the {1, *} input buttons, and 'ㅊ' is entered using the {1, *, *} input buttons. Press to enter. 'ㅆ' is entered by pressing the {1, #} input buttons in turn, and 'ㅆ' is entered by pressing the {1, *, #} input buttons in sequence. 'ㅏ' enters by pressing the {3} input button once, 'ㅓ' enters by pressing the {3} input button twice, and 'ㅑ' enters by pressing the {3, *} input buttons in sequence. , 'ㅕ' is entered by pressing {3,3, *} input buttons in order.

나랏글 방식은 천지인 방식에 비해 과도하게 같은 키를 반복하여 입력하지 않아 반복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오타 및 평균누름타수를 줄일 수 있으나, 자판 배치의 통일성이 부족하고 자주 사용되는 자음도 '획추가', '쌍자음' 버튼을 통해 조합하여 입력하므로 평균이동횟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Compared with the Cheonjiin method, the naratgle method can reduce the number of typos and average presses caused by repeated presses because the same key is not repeatedly inputted.However, the uniformity of the layout of the keyboard is insufficient and the consonants frequently used are 'addition', The combination of input through the 'double consonant' button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average number of movement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명 '천지인'의 세 개의 모 음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 두 개의 모음 입력버튼에 천지인의 세 모음을 할당하여 모음 입력을 위한 사용 입력버튼의 수를 줄이고 모음 입력 시 잦은 입력버튼 이동에 따른 오타 발생을 줄이는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umber of input buttons used for vowel input by allocating three vowels of Cheonjiin to two vowel input buttons when inputting Korean using three collections of so-called 'Cheonji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typos caused by frequent movement of input buttons during vowel inpu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는, 12개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자판 배열을 가지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7개의 자음 입력버튼에 자음들을 분할하여 할당하고, 상기 자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자음 입력부; 2개의 모음 입력버튼에 천지인 모음을 할당하고 상기 모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 또는 누름 길이에 따라 상기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는 모음 입력부; 3개의 특수 입력버튼에 각각 특수 기능을 할당하고 상기 특수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상기 특수 입력버튼에 할당된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특수 키 입력부; 및 상기 자음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자음 및 상기 모음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모음을 문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 조합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gul input device having a keyboard arrangement consisting of 12 input buttons, allocates consonants to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A consonant input unit configured to select any one of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 A vowel input unit for assigning vowels to two vowel input buttons and selecting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input butt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r the length of the vowel input button presses; A special key input unit for allocating a special function to each of the three special input buttons and selecting a specific function assigned to the special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f the special input button; And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that combines the consonants selected by the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vowels selected by the vowel input unit into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to complete the charact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는, 12개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자판 배열을 통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7개의 자음 입력버튼에 자음들을 분할하여 할당하고, 상기 자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 계; 2개의 모음 입력버튼에 천지인 모음을 할당하고 상기 모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 또는 누름 길이에 따라 상기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문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Hangul input method through the keyboard layout consisting of 12 input buttons, divided and assigned to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Selecting one of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 Allocating vowels that are strewn to two vowel input buttons and selecting vowels assigned to the vowel input butt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r the length of pressing of the vowel input buttons; 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with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to complete the character.

이로써, 2개의 모음 입력버튼을 통해 천지인 모음의 입력이 가능하다. In this way, vowels in heaven and earth are input through two vowel input button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판 배열,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gul keyboard layout, a Hangul in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위한 자판 배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keyboard layout for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a 내지 도 2c의 자판 배열을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 각 모음의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input methods of respective vowels when Korean vowels are input using the keyboard layout of FIGS. 2A to 2C.

도 2a를 참조하면, 4x3 자판배열에서 자음은 7개의 입력버튼에 나누어 할당되고, 모음('ㅡ,ㅣ,ㆍ', 이하, '천지인 모음'이라 함)은 2개의 입력버튼(200,202)에 나누어 할당된다. {2}입력버튼에는 모음 'ㅣ' 및 'ㆍ'을 할당하고, {5}입력버튼에는 모음 'ㅡ' 및 'ㆍ'을 할당한다. 여기서, {숫자}입력버튼의 표기에서 '숫자'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각각의 입력 버튼에 할당된 숫자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A, consonants are divided into seven input buttons in a 4x3 keyboard arrangement, and vowels ('-, ㅣ, ·', hereinafter, 'Cheonjiin') are divided into two input buttons (200, 202). Is assigned. The vowels 'ㅣ' and '·' are assigned to the {2} input button, and the vowels 'ㅡ' and '·' are assigned to the {5} input button. Here, in the description of the {number} input button, 'number' means a number assigned to each input button shown in FIGS. 2A to 2C.

자음은 7개의 입력버튼에 각각 분배되어 할당되는데, 자음의 그룹들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ㅎ,ㅆ', 'ㅇ,ㅁ' 및 'ㅈ,ㅊ,ㅉ'은 각각 {1},{3},{4},{6},{7},{8} 및 {9}입력버튼에 각각 할당된다. {*}입력버튼 및 {#}입력버튼은 특수 기능을 위해 사용되며, {0}입력버튼은 숫자/한글 입력 모드의 선 택을 위해 사용된다. 모음 및 자음의 입력 버튼의 배치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배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버튼으로 {2} 및 {5}입력버튼 대신에 {1} 및 (4}입력버튼이 선택되거나, {1} 및 {2}입력버튼이 선택될 수 있다.Consonants are allocated to each of the seven input buttons, and the groups of consonants' ㄱ, ㅋ, ㄲ ',' ㄴ, ㄹ ',' ㄷ, ㄷ, ㄸ ',' ㅂ, ㄷ, ㅍ ',' ㅅ, ㅎ, ㅆ ',' ㅇ, ㅁ 'and' ㅈ, ㅊ, ㅉ 'are assigned to {1}, {3}, {4}, {6}, {7}, {8} and {9} input buttons respectively. Each is assigned. The {*} input button and the {#} input button are used for special functions, and the {0} input button is used to select the numeric / Hangul input mode. The arrangement of the vowel and consonant input buttons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 shown in FIGS. 2A to 2C, and may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For example, instead of the {2} and {5} input buttons, the {1} and (4} input buttons may be selected as the vowel buttons, or the {1} and {2} input buttons may be selected.

모음이 할당된 {2}입력버튼을 길게 누르면 모음 'l'가 선택되고, {2}입력버튼을 짧게 누르면 모음 'ㆍ'이 선택된다. 또한, {5}입력버튼을 길게 누르면 모음 'ㅡ'가 선택되고, 짧게 누르면 모음 'ㆍ'가 선택된다. 사용자는 모음 'ㆍ'을 선택하기 위해 {2}입력버튼 및 {5}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Pressing and holding the {2} input button to which the vowel is assigned selects the vowel 'l', and pressing the {2} input button shortly selects the vowel '·'. Further, pressing and holding the {5} input button selects the vowel '-', and shortly selects the vowel '·'.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2} input button and the {5} input button to select the vowel '·'.

이하에서, 도 3a를 참조하여 도 2a의 자판 배열에 따른 모음입력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of FIG. 2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모음 'ㅏ'는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이 경우에 모음 'ㆍ'입력을 위해 {2}입력버튼 짧게 누름 대신에 {5}입력버튼 짧게 누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의 경우에서도 모음 'ㆍ'입력을 위해서는 {2}입력버튼 및 {5}입력버튼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The vowel 'ㅏ' is entered by the combination of a long press on the {2} input button + a short press on the {2} input button. In this case, instead of pressing the {2} input button shortly for the vowel '·' input, the {5} input button short press may be selected. In the following cases, either the {2} input button or the {5} input button can be used to input the vowel '·'.

모음 'ㅑ'는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모음 'ㅓ'는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ㅑ' briefly presses the {2}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briefly + the {2} input button briefly, the vowel 'ㅓ' briefly presses the {2}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Are entered by combination.

모음 'ㅕ'는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선택되며, 이 경우에 마지막에 입력되는 모음 'ㅣ'의 경우에는 {2}입력버튼의 짧게/길게 누름에 상관없이 항상 모음 'ㅣ'가 선택된 다. 왜냐하면, 'ㆍ' 세 개로 이루어진 모음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도 이와 같은 특성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The vowel 'ㅕ' is selec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2} input button short press + the {2} input button short press + the {2} input button short / long press. The vowel 'ㅣ' is always selec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2} input button is short or long pressed. For there is no vowel consisting of three '.' The same applies to the same below.

모음 'ㅗ'는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길게 누름, 모음 'ㅛ'는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모음 'ㅛ'의 입력을 위한 마지막 입력버튼은 {5}입력버튼 짧게 및 길게 누름 중 어느 것을 선택해도 무관하며 이는 모음 'ㅕ'에서 살핀바와 같이 모음 'ㆍ'세 개로 이루어진 모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The vowel '{' briefly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briefly, the vowel 'ㅛ' briefly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briefly + the {5} input button short / long It is entered by a combination of presses. The last input button for the input of the vowel 'ㅛ' can be selected either short or long press of the {5} input button, because there is no vowel consisting of three vowels '·' like the salpin bar in the vowel 'ㅕ'. to be.

모음 'ㅜ'는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모음 'ㅠ'는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모음 'ㅡ'는 {5}입력버튼 길게 누름, 모음 'ㅣ'는 {2}입력버튼 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TT'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briefly, the vowel 'ㅠ'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short {5} input button + the short press of the {5} input button Are entered by combination. The vowel 'ㅡ' is inputted by a combination of pressing the {5} input button and the vowel 'ㅣ' by pressing and holding the {2} input button.

모음 'ㅐ'는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모음 'ㅒ'는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길게 누름, 모음 'ㅔ'는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모음 'ㅖ'는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Long press the {2} input button + short {2} input button + Long press the {2} input button + Long press the {2}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Short Press + {2} Input Button Short / Long Press, Vowel 'ㅔ' is {2} Input Button Short Press + {2} Input Button Long Press + {2} Input Button Short Press, Vowel 'ㅖ' Is input by the combination of {2} input button short press + {2} input button short press + {2} input button short / long press + {2} input button short / long press.

모음 'ㅢ'은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모음 'ㅟ'는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모음 'ㅝ'는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모음 'ㅞ'는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길게 누름, 모음 'ㅘ'는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그리고, 모음 'ㅙ'는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길게 누름 + {2}입력버튼 짧게 누름 + {2}입력버튼 짤게/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선택된다.Long press '5' input button + long {2} input button Long press {5} input button + long press {5} input button + long press {5} input button + long press {2} input button, Long press the {5} input button + Short {5} input button + Short press of the {2} input button + Long press of the {2} input button, Long press the {5}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short press + {2} Input button short press + {2} Input button long press + {5} Input button short / long press, vowel 'ㅘ' press {5} input button short + {5} Long press the input button + Long press the {2} input button + Short press the {2} input button, and press the {5} input button short +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Press + {2} Enter Button Short Press + {2} Enter Button Selected by the combination of slicing / long pressing.

도 2b를 참조하면, {2}입력버튼(210)에는 모음 'ㅣ' 및 'ㅡ'가 할당되고 {5}입력버튼(212)에는 모음 'ㆍ'가 할당된다. 모음 'ㅣ'는 {2}입력버튼의 한 번 누름에 의해 선택되고, 모음 'ㅡ'는 {2}입력버튼의 두 번 누름에 의해 선택된다. 그리고, 모음 'ㅢ'는 {2}입력버튼의 세 번 누름에 의해 선택된다. Referring to FIG. 2B, the vowel '|' and '-' are assigned to the {2} input button 210, and the vowel '.' Is assigned to the {5} input button 212. FIG. The vowel '|' is selected by one press of the {2} input button, and the vowel '-' is selected by pressing the {2} input button twice. The vowel 'ㅢ' is selected by pressing the {2} input button three times.

이하에서, 도 3b를 참조하여 도 2b의 자판 배열에 따른 모음 입력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of FIG. 2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B.

모음 'ㅏ'는 {2}입력버튼 + {5}입력버튼, 모음 'ㅑ'는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모음 'ㅓ'는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ㅕ'는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ㅏ' presses the {2}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the vowel 'ㅑ' presses the {2} input button once +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once pressed, vowel 'ㅕ' is inputted by the combination of {5}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one press.

모음 'ㅗ'는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모음 'ㅛ'는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모음 'ㅜ'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5}입력버튼, 모음 'ㅠ'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5}입력버튼 + [5}입력버튼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twice. The vowel 'ㅛ'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twice. Is input by the combination of {2}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vowel 'ㅠ' is pressed by the combination of {2}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모음 'ㅡ'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모음 'ㅣ'는 {2}입력버튼 한 번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ㅡ' is entered by a combination of pressing the {2} input button twice, and the vowel 'ㅣ' is entered by a combination of the {2} input button press once.

모음 'ㅐ'는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모음 'ㅒ'는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ㅔ'는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ㅖ'는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ㅢ'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즉, {2}입력버튼의 세 번 연속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 presses the {2} input button once + the {5}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The bar '모음' presses the {2} input button once +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once, vowel 'ㅔ' is the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one time + the {2} input button is pressed once, the vowel 'ㅖ' is the {5}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once press + {2} input button press once, vowel 'ㅢ' presses {2} input button twice + {2} input button presses once (i.e. {2} three consecutive presses of the input button).

모음 'ㅚ'는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ㅟ'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ㅝ'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ㅞ'는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5}입력버튼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모음 'ㅘ'는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5}입력버튼, 모음 'ㅙ'는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두 번 누름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 + {5}입력버튼 + {2}입력버튼 한 번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The vowel 'ㅚ' presses the {5}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twice + the {2} input button once, the vowel 'ㅟ' presses the {2} input button twice + the {5} input button + { 2} Press the input button once, the vowel 'ㅝ' presses the {2} input button twice +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 the {2} input button once, the vowel 'ㅞ' presses the {2} } Press Enter Button twice + {5} Input Button +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One Press + {2} Input Button One Press, Vowel 'ㅘ' is {5} Input Button + {2 } Press Enter Button twice + {2} Enter Button once + {5} Input Button, Vowel 'ㅙ' is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Double Press + {2} Input Button One Press + {5} input button + {2} input button Input by a single press combination.

도 2c를 참조하면, 모음 'ㅣ'는 {2}입력버튼(220)에 할당되고, 모음 'ㅡ' 및 'ㆍ'는 {5}입력버튼(222)에 할당된다. 도 2c의 자판 배열은 {2}입력버튼에 모음 'ㆍ'이 할당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자판 배열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2C, the vowel '|' is assigned to the {2} input button 220, and the vowel '-' and '·' are assigned to the {5} input button 222. The keyboard layout of FIG. 2C is the same as the keyboard layout of FIG. 2A except that the vowel '·' is not assigned to the {2} input button.

따라서, 도 2c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은 도 2a의 한글 모음 입력방법처럼 입 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ㅡ' 및 'ㆍ'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선택된다.Accordingly, in the Korean vowel input method of FIG. 2C, one of the vowels of '-' and '·'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f the input button as in the Korean vowel input method of FIG. 2A.

도 3c는 도 2c의 자판 배열에 따른 한글 모음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vowe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keyboard layout of FIG. 2C.

도 3c를 참조하면, 모음 'ㆍ' 및 'ㅡ'는 {5}입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각각 선택되어지며, 모음 'ㅛ'는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짧게 누름 + {5}입력버튼 길게 누름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모음을 입력한다. Referring to FIG. 3C, the vowels '·' and '-' are resp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f the {5} input button, and the vowel 'ㅛ' is briefly pressed by the {5} input button + the {5} input button shortly. + {5} Input Buttons are entered by a combination of long presses. Each vowel is entered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3C.

천지인 모음을 두 키에 배열하는 방법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배열 방법 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각각의 경우에 입력 버튼의 누름 길이 또는 입력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2개의 천지인 모음이 할당된 입력버튼에서 각각의 천지인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rrangement method shown in FIGS. 2A to 2C,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in the method of arranging the celestial vowels on two keys, and in each case, two celestial vowels are alloca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f the input button or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input button. Each vowel vowel can be selected from the input buttons.

도 3d는 숫자/한글, 한글/영문 및 숫자/한글/영문 입력모드 변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3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verting a number / Korean, Korean / English, and a number / Korean / English input mode.

도 3d를 참조하면, 숫자/한글 입력 모드 변환의 경우에는, {0}입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각각 숫자 입력 모드 및 한글 입력모드가 선택된다. 즉, {0}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시 숫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0}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시 한글 입력모드로 변환한다. Referring to FIG. 3D, in the case of numeric / Korean input mode conversion, the numeric input mode and the Korean input mode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f the {0} input button, respectively. That is, when a short press of the {0} input button is converted to a numeric input mode, and when a long press of the {0} input button is converted to a Korean input mode.

한글/영문 입력 모드 변환의 경우에는, {0}입력버튼의 누름 횟수 즉 한 번 누를 경우 한글이 선택되고 두 번 누를 경우 영문이 선택된다. In the case of Korean / English input mode conversion,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0} input button, that is, when it is pressed once, Korean is selected and when it is pressed twice, English is selected.

숫자/한글/영문 입력 모드 변환의 경우에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 의 길게 누름으로 영문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영문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으로 다시 한글 입력모드로 변환한다. In case of numeric / Korean / English input mode conversion, short press of {0} input button in Korean input mode to convert to numeric input mode, and long press of {0} input button in numeric input mode to English input mode. In the English input mode, press the {0} input button to switch back to the Korean input mode.

또는, 숫자/한글/영문 입력 모드 변환의 경우에, 한글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으로 숫자 입력모드로 변환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영문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영문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짧게 누름으로 다시 숫자 입력모드로 변환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한글 입력모드로 변환한다.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numeric / Korean / English input mode conversion, a short press of the {0} input button in the Korean input mode converts to a numeric input mode, and an English input mode by a long press of the {0} input button in the numeric input mode. In the English input mode, press the {0} input button to switch back to the numeric input mode, and in the number input mode, press and hold the {0} input button to switch to the Korean input mode.

또는 숫자/한글/영문 입력 모드 변환의 경우에, 한글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두 번 누름으로 영문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영문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짧게 한 번 누름으로 숫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숫자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길게 누름으로 영문 입력 모드로 변환하고, 영문 입력 모드에서 {0}입력버튼의 짧게 한 번 누름으로 한글 입력 모드로 변환한다.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numeric / Korean / English input mode conversion, press the {0} input button twice in the Korean input mode to switch to the English input mode, and press the {0} input button briefly in the English input mode to enter the number. Switch to input mode, convert to English input mode by long press of {0} input button in numeric input mode, and convert to Korean input mode by short press of {0} input button in English input mo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한글 입력 장치는 자음 입력부(400), 모음 입력부(410), 특수키 입력부(420), 문자 조합부(430) 및 문자 출력부(44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Hangul input device includes a consonant input unit 400, a vowel input unit 410, a special key input unit 420,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430, and a character output unit 440.

자음 입력부(400)는 12개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 한글 자판 배열에서 자음들을 7개의 입력버튼에 각각 할당하고 입력버튼 누름 횟수에 따라 자음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1}입력버튼에 자음 'ㄱ,ㅋ,ㄲ' 이 할당된 경우에, 자음 입력부(400)는 {1}입력버튼의 한 번 누름을 감지하면 자음 'ㄱ'을 선택하고, 두 번 누름을 감지하면 'ㅋ'을 선택하고, 세 번 누름을 감지하면 'ㄲ'을 선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자음 입력부(400)는 각각의 자음 입력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고 누름 횟수에 해당하는 자음을 선택한다.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allocates consonants to seven input buttons in a Hangul keyboard layout consisting of 12 input buttons, and selects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es of the input button. For example, when consonants 'ㄱ, ㅋ, ㄲ' are assigned to the {1} input button,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selects a consonant 'ㄱ' when detecting a single press of the {1} input button. If it detects two presses, it selects 'ㅋ', and if it detects three presses, it selects 'ㄲ'. In this manner,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detects pressing of each consonant input button and select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모음 입력부(410)는 종래의 천지인 모음 입력 장치와 달리 2개의 모음 입력 버튼(도 2a의 200,202, 도 2b의 210,212, 도 2c의 220,222)으로 구성되면, 모음 입력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면 누름 횟수 및 누름 길이에 따라 해당하는 천지인 모음을 선택한다. 모음의 자판배열이 도 2a 및 도 2c인 경우에, 모음 입력부(410)는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각각의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한다. 그리고, 모음의 자판배열이 도 2b인 경우에, 모음 입력부(410)는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각각의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모음을 선택한다. Unlike the conventional vowel input device, the vowel input unit 410 is composed of two vowel input buttons (200, 202 of FIG. 2A, 210,212 of FIG. 2B, and 220,222 of FIG. 2C). Select the corresponding celestial vowel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ess. 2A and 2C, the vowel input unit 410 selects a vowel assigned to each vowel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push length of the input button. When the keyboard arrangement of the vowel is shown in FIG. 2B, the vowel input unit 410 selects the vowel assigned to each vowel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input button.

구체적으로, 모음 입력부(410)는 제1 모음 입력버튼(412), 제2 모음 입력버튼(419) 및 모음 선택부(416)로 구성된다. 제1 모음 입력버튼(412) 및 제2 모음 입력버튼(419)에는 천지인 모음이 각각 할당된다. 예를 들어, 제1 모음 입력버튼(412)에는 모음 'ㆍ' 및 'ㅣ'가 할당되고, 제2 모음 입력버튼(419)에는 모음 'ㆍ' 및 'ㅡ'가 할당되며(도 2a), 모음 선택부(416)는 제1 모음 입력버튼(412) 및 제2 모음 입력버튼(419)의 누름 길이에 따라 각각 할당된 모음을 선택한다. 이 외에 제1 모음 입력버튼(412) 및 제2 모음 입력버튼(419)에는 도 2b 및 도 2c의 자판배열처럼 모음이 할당될 수 있다.In detail, the vowel input unit 410 includes a first vowel input button 412, a second vowel input button 419, and a vowel selector 416. The first and second vowel input buttons 412 and 419 are assigned vowels that are in heaven and earth. For example, vowels '·' and 'ㅣ' are assigned to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412, and vowels '·' and '-' are assigned to the second vowel input button 419 (FIG. 2A), The vowel selection unit 416 selects the vowels alloca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s of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412 and the second vowel input button 419. In addition,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412 and the second vowel input button 419 may be assigned a vowel like the keyboard arrangement of FIGS. 2b and 2c.

특히, 제1 모음 입력버튼(412) 및 제2 모음 입력버튼(419)의 자판 배열이 도 2a의 자판 배열과 동일하고 모음 'ㆍ'이 연속 두 번 입력된 후 모음 입력버튼이 다시 눌러지는 경우, 모음 선택부(416)는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상관없이 'ㅣ' 또는 'ㅡ'모음을 선택한다. 이는 'ㆍ' 세 개로 이루어진 모음은 없기 때문이다. In particular, when the keyboard arrangement of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412 and the second vowel input button 419 is the same as that of FIG. 2A, and the vowel input button is pressed again after the vowel '·' is input twice in succession, , Vowel selector 416 selects the '|' or '-' collection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input button. For there is no vowel consisting of three '.'

모음 입력부(410)의 제1 모음 입력버튼(412) 및 제2 모음 입력버튼(419)에 할당되는 천지인 모음 배열 및 모음 입력 방법에 관하여는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한다. For a vowel arrangement and a vowel input method which are assigned to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412 and the second vowel input button 419 of the vowel input unit 410, see FIGS. 2A to 2C and 3A to 3C. .

특수 키 입력부(420)는 소정의 특수 기능이 할당된 입력 버튼의 누름을 감지하면 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음의 입력버튼은 2개이므로 종래보다 하나의 입력 버튼의 여유가 생긴다. 따라서, {0}입력버튼에 숫자/한글 입력 모드 변환의 특수 기능 키를 더 제공한다. The special key input unit 420 detects the pressing of an input button to which a predetermined special function is assigned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are two input buttons of a vowel, there is a margin of one input button than in the related art. Therefore, the {0} input butt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ecial function key for numeric / Korean input mode conversion.

{0}입력버튼은 숫자/한글 입력 모드 변환 외에 한글/영문 입력 모드 변환 또는 숫자/한글/영문 입력 모드 변환을 위한 특수 입력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입력 모드 변환의 일 실시예는 도 3d을 참조한다.The {0} input button may be used as a special input button for converting a Korean / English input mode or a numeric / Korean / English input mode in addition to converting a number / Korean input mode. One embodiment of each input mode conversion refers to FIG. 3D.

종래에는 숫자 입력시 각각의 버튼을 길게 누름을 통해 입력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한 숫자/한글 입력 모드의 변환에 따라 숫자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음의 입력버튼 감소에 따라 여유가 생긴 하나의 입력버튼은 숫자/한글 입력모드 선택과 다른 특수 기능을 위해 사용되어질 수 있다. Conventionally, each button is input by pressing and holding each button,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input may be facilitated according to an easy conversion of the number / Korean input mode. In addition, one input button, which has been spar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input button of the vowel, can be used for numeric / Hangul input mode selection and other special functions.

문자 조합부(430)는 자음 입력부(400) 및 모음 입력부(410)에 의해 선택된 자음 및 모음들을 초성+중성+종성으로 조합하여 문자를 만든다. 그리고, 문자 출력부(440)는 문자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The character combination unit 430 combines the consonants and vowels selected by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and the vowel input unit 410 into primary + neutral + finality to form characters. The text output unit 440 displays the text through the display devi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n embodiment of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자음 입력부(400)는 자음이 할당된 7개의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고, 누름에 해당하는 자음을 선택한다(S500). 모음 입력부(410)는 천지인 모음이 할당된 2개의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 또는 누름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모음을 선택한다(S510). 만약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있다면(S520), 자음 입력부(400)는 자음 입력버튼의 누름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자음을 선택한다(S530). 4 and 5,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detects pressing of seven input buttons to which consonants are assigned, and selects consonants corresponding to pressing (S500). The vowel input unit 410 selects a corresponding vowel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r the number of pressing of two input buttons to which vowels assigned to heaven and earth are assigned (S510). If there is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S520),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detects the press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consonant (S530).

문자 조합부(430)는 자음 입력부(400) 및 모음 입력부(410)에 의해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생성한다(S540). 그리고, 문자 출력부(440)는 LCD, TFT, LED 등의 화면 표시장치를 통해 생성한 문자를 출력한다(S550).The character combination unit 430 generates a character by combin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selected by the consonant input unit 400 and the vowel input unit 410 (S540). In addition, the character output unit 440 outputs the character generated through the screen display device such as LCD, TFT, LED (S55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천지인 모음을 2개의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폰 등 개인 휴대 단말기의 한정된 입력버튼에서 모음 입력버튼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여유의 입력버튼이 생기며 이를 다른 특수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모음 입력버튼을 이용하므로 모음 입력시 잦은 이동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타의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estial vowel can be input through two input buttons. Therefore, as the number of vowel input buttons is reduced in the limited input butto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pare input button is generated, which can be used for other special functions. In addition, since two vowel input buttons are used, the vowel input does not need to be moved frequently, thereby reducing the incidence of typos.

Claims (10)

12개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자판 배열을 가지는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Korean input device having a keyboard layout consisting of 12 input buttons, 7개의 자음 입력버튼에 자음들을 분할하여 할당하고, 상기 자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자음 입력부;A consonant input unit for dividing and assigning consonants to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and selecting one of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input butt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s; 모음 'ㅣ', 'ㅡ'이 할당된 제1 모음 입력버튼;A first vowel input button to which vowels 'ㅣ' and 'ㅡ' are assigned; 모음 'ㆍ'이 할당된 제2 모음 입력버튼; A second vowel input button to which the vowel '·' is assigned; 상기 제1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각각의 모음을 상기 제1 모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선택하고, 상기 제1 모음 입력버튼이 연속 3회 입력되면 모음 'ㅢ'를 선택하는 모음 선택부; 및A vowel selection unit that selects each vowel assigned to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is pressed, and selects a vowel when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is input three times in succession; And 상기 자음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자음 및 상기 모음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모음을 문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문자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nd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that combines the consonants selected by the consonant input unit and the vowels selected by the vowel input unit into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to complete the charac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3개의 특수 입력버튼에 각각 특수 기능을 할당하고, 상기 특수 입력버튼의 누름 길이에 따라 숫자 입력모드, 한글 입력모드 및 영문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특수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A special key input unit for allocating a special function to each of the three special input buttons, and selecting one of a number input mode, a Korean input mode, and an English input mode according to the pressing length of the special input button; Hangul inpu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배열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keyboard layout, 자음 'ㄱ,ㅋ,ㄲ', 'ㄴ,ㄹ', 'ㄷ,ㅌ,ㄸ', 'ㅂ,ㅍ,ㅃ', 'ㅅ,ㅎ,ㅆ', 'ㅇ,ㅁ', 'ㅈ,ㅊ,ㅉ'이 각각 할당된 7개의 자음 입력버튼들;Consonants' ㄱ, ㅋ, ㄲ ',' ㄴ, ㄹ ',' ㄷ, ㅌ, ㄸ ',' ㅂ, ㄷ, ㅃ ',' ㅅ, ㅎ, ㅆ ',' ㅇ, ㅁ ',' ㅈ, ㅊ,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to which '' is assigned; 모음 'ㅡ', 'ㅣ', 'ㆍ' 이 중복 할당된 2개의 모음 입력버튼들; 및Two vowel input buttons in which the vowel '-', 'ㅣ', and '·' are duplicated; And 숫자/한글/영문 선택 키를 포함하는 3개의 특수 입력버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Hangul input device comprising a; three special input buttons including a numeric / Korean / English selection key. 12개의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자판 배열을 통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through the keyboard layout consisting of 12 input buttons, 7개의 자음 입력버튼에 자음들을 분할하여 할당하고, 상기 자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음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Dividing and assigning consonants to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and selecting one of consonants assigned to the consonant input butt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essing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s; 모음 'ㅣ', 'ㅡ'을 제1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하고, 모음 'ㆍ'을 제2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모음 입력버튼에 할당된 각각의 모음을 상기 제1 모음 입력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선택하고, 상기 제1 모음 입력버튼이 연속 3회 입력되면 모음 'ㅢ'를 선택하는 단계; 및Assign vowels ',' and '-' to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assign vowel '·' to the second vowel input button, and assign each vowel assigned to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to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Selecting a vowel 'k' when the first vowel input button is input three times in succession; And 상기 선택된 자음 및 모음을 문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조합하여 문자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And combining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with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to complete the charac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44675A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KR1006421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75A KR100642107B1 (en)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675A KR100642107B1 (en)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552A KR20050119552A (en) 2005-12-21
KR100642107B1 true KR100642107B1 (en) 2006-11-10

Family

ID=3729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675A KR100642107B1 (en) 2004-06-16 2004-06-16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10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727B1 (en) * 2009-12-02 2011-12-23 김국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39B1 (en) * 2013-06-20 2015-01-29 서대인 Key input apparatus for inputting words based on touch screen
KR102199974B1 (en) * 2019-09-26 2021-01-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403Y1 (en) 2002-11-22 2003-03-26 김민호 Hand phone inputted with two vowel button
KR200354202Y1 (en) 2004-04-02 2004-06-23 김민호 Two button Hangul Consonant input type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403Y1 (en) 2002-11-22 2003-03-26 김민호 Hand phone inputted with two vowel button
KR200354202Y1 (en) 2004-04-02 2004-06-23 김민호 Two button Hangul Consonant input type for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727B1 (en) * 2009-12-02 2011-12-23 김국 Korean Alphabets Arrangement of Unified Keypad with Selectable Input Modes for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552A (en)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087B1 (en) Button extension type letter input system for touch screen
KR1006024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28115A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mobile phone
CN103946772A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using a touch screen having an intonation selection function
KR1006421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KR100641448B1 (en) Method for consnant and vowel input of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20010104193A (en)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KR100373332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94149B1 (en) Device of Inputting Charact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44105A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of cellular phone
KR0159191B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code produce
KR100628076B1 (en) A Keypad in Mobile phone
KR100616225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371869B1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KR100436426B1 (en) A Keyboard Device Of Making Multiletter And Input Method Thereof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712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 using transformation keys
KR20050097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gul input/output
JP3109642U (en)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KR10045719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KR100686655B1 (en) Keypad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the same
KR1006354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fficient korean vowel character input
KR100422379B1 (en) Hangul input device for info-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707852B1 (en) Keyboar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0412571B1 (en)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to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