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261B1 -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261B1
KR100641261B1 KR1020020017369A KR20020017369A KR100641261B1 KR 100641261 B1 KR100641261 B1 KR 100641261B1 KR 1020020017369 A KR1020020017369 A KR 1020020017369A KR 20020017369 A KR20020017369 A KR 20020017369A KR 100641261 B1 KR100641261 B1 KR 10064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sealing member
emitting element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251A (ko
Inventor
야마다쯔또무
니시까와류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Abstract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고, 긴 수명의 EL 디바이스 등을 제공한다.
EL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은 기판(10)에 제1 전극(12)이 형성되고, 제1 전극(12) 상에 발광 소자층(16)이 형성되고, 다시 발광 소자층(16) 상에 제2 전극(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밀봉 부재(40)는 제2 전극(14)측으로부터,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 상방을 덮도록 피복되고,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0)와의 간극(30)에는 기둥형, 구형 또는 시트 형상의 충격 완충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충격 완충 부재(20)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때는 EL 디바이스의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발광 소자층, 발광 소자 형성 기판, 충격 완충 부재, 밀봉 부재

Description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ELECTRO LUMINESCENCE DEVICE HAVING IMPACT BUFFER FUNCTION AND SEALING MEMBER HAVING IMPACT BUFFER FUNCTION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전계 발광 소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나타내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나타내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제조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나타내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 : 제1 전극
14 : 제2 전극
16 : 발광 소자층
18 : 발광 소자 형성 기판
20 : 충격 완충 부재
30 : 간극
40 : 밀봉 부재
100 : 전계 발광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계 발광 디바이스, 특히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밀봉 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계 발광 소자(예를 들면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이하 「EL 소자」라 함)는 단일 소자를 말하며, 한편 전계 발광 디바이스(예를 들면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바이스: 이하 「EL 디바이스」라 함)는 상기 EL 소자를 포함하고, 하나의 기판 상에 하나 이상의 EL 소자가 형성되어 있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또한, EL 소자는 발광층에 제공되는 물질이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대별되고, 전자를 무기 EL 소자, 후자를 유기 EL 소자라고 한다.
도 6에는 종래의 EL 디바이스의 구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EL 디바이스(200)에서,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10)의 발 광 영역에는 복수의 제1 전극(12)이 형성되고, 이 제1 전극(12) 상에는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층(16)이 형성되며, 또한 발광 소자층(16) 상에는 단일의 제2 전극(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은 상기 기판(10)과, 제1 전극(12)과, 발광 소자층(16)과, 제2 전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2)은, 예를 들면 투명 도전성 재료의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 전극(양극)이고, 제2 전극은 금속 전극(음극)이다.
또한, 밀봉 용기형 밀봉 부재(42)가 제2 전극(14)측으로부터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 상방을 덮도록 피복하고,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2) 사이에 간극(30)을 갖도록 하여, 밀봉 부재(42)의 단부가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에 수지 등에 의해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간극(30)에는 발광 소자의 흡습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감압 상태에서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나 실리콘 오일 등이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EL 디바이스(200)의 발광 소자층(16)에는 제1 전극(12)으로부터 정공이 제2 전극(14)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된다. 이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 소자층(16) 내를 이동하여 충돌, 재결합을 일으킴으로써 소멸하고, 또한 재결합하여 발생한 에너지에 의해 발광성 분자가 여기 상태로 되어 발광이 생긴다.
도 6에 도시한 종래의 EL 소자 및 EL 디바이스(200)는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2) 사이에 간극(30)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기계적인 진동이나 충격을 받은 경우, 밀봉 부재(42)가 제2 전극(14)을 향하여 변형되어, 밀봉 부재(42)가 제2 전극(14)에 닿아 제2 전극(14)이나, 그 하층의 발광 소자층(16)에 손상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최종 제품에 맞게 조정할 때에 예를 들면 5 기압으로 가압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도 밀봉 부재(42)가 우그러져, 역시 유기 EL 소자에 손상을 끼칠 가능성이 있었다. 유기 EL 소자는 손상을 받으면, 다크 스폿 등을 발생하거나 열화가 빨라져, 표시 품질의 저하나 장치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안정된 발광 특성을 유지하고,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샌드위치하여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한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 상기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의 소자 형성면측을 덮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 밀봉 부재와의 간극에 배치되는 충격 완충 부재를 갖는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이다.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 밀봉 부재와의 간극에, 충격 완충 부재를 배치함으로 써,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밀봉 부재에 가해졌다고 해도, 상기 충격 완충 부재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발광 소자 형성 기판측에 손상을 끼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이 있고 수명이 긴 EL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의 대향면측에는 상기 충격 완충 부재가 돌출하여 설치 또는 고정되어 있는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이다.
상기 충격 완충 부재가 연질인 경우에는,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의 상방 전면에 충격 완충 부재를 형성해도 되지만, 경질인 경우에는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의 발광 영역을 피하여, 비발광 영역에 충격 완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질의 충격 완충 부재에서는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을 분산할 수 있지만, 완전하게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없기 때문에, 발광 영역 상에는 배치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특히 경질의 충격 완충 부재는 발광 영역에서 떨어져 있는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사전에 밀봉 부재의 소자 형성 기판과의 대향면측에 고정하거나 또는 대향면측에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샌드위치하여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한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의 소자 형성면측을 덮는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의 대향면측에는 충격 완충 부재가 돌출하여 설치 또는 고정되어 있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 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이다.
예를 들면, 발광 소자 형성 기판 상에 충격 완충 부재가 이면에 사전에 고정되어 있는 밀봉 부재를 피복하여 고정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에 강하고, 안정적이며 수명이 긴 EL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혹은 밀봉 부재에 유리 기판 등을 이용하고, 이 밀봉 부재에 레지스트 재료 등에 의해 소자 형성 기판측을 향하여 기둥형으로 돌출시켜 충격 완충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종래의 EL 소자 및 EL 디바이스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EL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10) 상에 투명 도전성 재료의 ITO 전극(양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12)이 복수개 형성되며, 또한 제1 전극(12) 상에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층(16)이 형성되고, 또한 발광 소자층(16) 상에 단일의,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전극(음극)의 제2 전극(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발광 영역은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4)이 발광 소자층(16)을 샌드위치하여 대향하는 영역이며, 도 1에서 제1 전극(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비발광 영역이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전극(12)으로부터 인출된 인출 단자와, 제2 전극(14)으로부터 인출된 인출 단자가 외부 전원에 접속되며, 제1 전극(12)으로부터 제2 전극(14)으로 전류를 흘림으로써 발광 분자가 여기되어 발광이 생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EL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면 SUS와 같은 스틸 또는 유리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40)가 제2 전극(14)측으로부터 상술한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을 덮도록 피복한다. 그 때에, 제2 전극(14)와 밀봉 부재(40)와의 사이의 간극(30)에는 하나 이상의 기둥형의 충격 완충 부재(20)가 삽입 배치된다. 이에 의해서, 외부로부터의 진동 또는 충격이 밀봉 부재(40)에 가해졌다고 해도, 상술한 충격 완충 부재(20)가 충격 등을 완충하고 또한 스페이서로서의 기능도 갖기 때문에, 밀봉 부재(40)가 변형되어 제2 전극(14)을 손상시킬 우려는 없다.
또한,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0)와의 간극(30)의 거리는 통상 20㎛ 이하이다. 따라서,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0)와의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기둥형의 충격 완충 부재(20)의 높이는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 10㎛이다.
본 실시예의 충격 완충 부재(20)가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 상의 어디에 배치해도 되지만,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의 발광 영역을 피하여 다른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0)의 재질은 절연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충격 완충이 좋은, 예를 들면 고무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0)의 재질은 EL 디바이스(100)에 봉입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통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다공질인 것이 적합하고, 그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 닛토전공주식회사제의 「MICRO-TEX」(등록상표)나 재팬고아텍스사의 「ePTFE」(상품명)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 모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고, 상술 것 모두 물, 먼지의 침입을 저지하지만 공기 등의 기체는 통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0)에, 건조제, 예를 들면 탄산칼슘 등을 포함시켜서, 충격 완충 기능 외에 건조 기능을 부가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EL 디바이스는 수분에 의해 열화하기 때문에, 충격 완충 부재(20)에 건조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 건조제를 EL 디바이스(100) 내에 봉입할 필요가 없어지고, EL 디바이스 제조 공정이 간략화됨과 함께, EL 디바이스의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0)는 그 양단에 양면 테이프를 고착시켜서,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0)에 위치 정렬하여 고정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얼라이먼트 마크 등으로 위치 정렬하여 발광 영역을 벗어나서 고정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40)의 이면의 소정의 위치에, 예를 들면 에칭 등에 의해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서 충격 완충 부재(20)의 일단을 고착시키거나, 또는 바로 충격 완충 부재(20)을 압착시켜서, 충격 완충 부재(20)의 타단을 제2 전극(14)에 당접시키거나, 또는 충격 시에 당접하도록, 간극(30)에 배치시켜도 된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0)는, 예를 들면 밀봉 부재(40)가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레지스트층을 해당 유리 기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 1과 같이, EL 디바이스(100)의 발광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을 에칭 제거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EL 디바이스(100)에 있어서, 풀 컬러화한 경우, R, G, B용 EL 소자에 서 각각 제2 전극(14)까지의 높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에 따라, 충격 완충 부재(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 정렬하고, 밀봉 부재(40)가 변형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EL 소자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 상술한 EL 디바이스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EL 디바이스는 1 디바이스에 단일의 발광 영역을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EL 디바이스에 있어서도 상술한 EL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기둥형의 충격 완충 부재(20)가 발광 영역을 벗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밀봉 용기형 밀봉 부재(42)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충격 완충 부재(20)가 충격 등을 완충하기 때문에, 밀봉 부재(42)가 변형되어 제2 전극에 닿아 소자에 손상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에는, 본 실시예 EL 디바이스(10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실시예 1에 나타낸 EL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기둥형의 충격 완충 부재(20)(도 1)를 이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의 충격 완충 부재(22)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밀봉 부재(40)나 제2 전극(14)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면서, 충격 완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충격 완충 부재(22)의 직경은, 간극(30)의 높이가, 통상 20㎛ 이하이므로, 적어도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 10㎛이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2)가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 상의 어디든 배치해도 상관없지만,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능하면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의 발광 영역을 피하여 다른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구형의 충격 완충 부재(22)는, 밀봉 부재(40)를 제2 전극(14)과의 사이에 다수 산포되어 있어, 외력을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영역 상에 위치해 있어도 그렇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2)의 재질 및 재료는, 상술한 실시예 1의 충격 완충 부재(20)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2)에, 건조제, 예를 들면 탄산 칼슘 등을 포함시켜서, 충격 완충 기능 외에 건조 기능을 부가해도 상관없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2)는 그 양단에 양면 테이프를 고착하여, 제2 전극(14)과 밀봉 부재(40)에 위치 정렬하여 고정해도 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40)의 이면(44)의 소정의 위치에, 예를 들면 에칭 등에 의해 구멍(46)을 뚫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46)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에 의해서 충격 완충 부재(22)의 일부를 고착시키거나, 또는 바로 충격 완충 부재(22)를 압착시켜서, 밀봉 부재(40)에 충격 완충 부재(22)를 고정하고, 충격 완충 부재가 부가된 밀봉 부재를 형성하고, 이 충격 완충 부재가 부가된 밀봉 부재의 이면(44)의 단부(48)에,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가 맞추어진 레지스트 기둥(70)을 형성하여, 발광 소자 형성 기판(18) 상에 피복하여, 레지스트 기둥(70)의 끝단을 발광 소자 형성 기판에 수지 등에 의해 접착 고정시켜도 된다. 또, 이러한 경우, 충격 완충 부재(22)의 타단부는 제2 전극(14)에 당접시켜도 되며, 또는 충격 시에 당접하도록 배치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EL 디바이스(102)에 있어서, 풀 컬러화한 경우, R, G, B용 EL 소자에서 각각 제2 전극(14)까지의 높이가 다른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높이에 따라, 충격 완충 부재(22)의 입경을 조절하여 위치 정렬하고, 밀봉 부재(40)가 변형되지 않도록 삽입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EL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EL 소자에 있어서도, 구형의 충격 완충 부재를 간극(30)에 삽입 배치하여, 충격 완충 등을 도모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충격 완충 부재를 고정하여 EL 디바이스를 밀봉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 및 후술하는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에는 본 실시예의 EL 디바이스(104)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 실시예 1에 나타낸 EL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기둥형의 충격 완충 부재(20)(도 1)를 이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매의 충격 완충 부재(24)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EL 디바이스(104) 중 어디든 충격이 가해져도, 균일하게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충격 완충 부재(24)의 두께는 간극(30)의 높이가, 통상 20㎛ 이 하이므로, 적어도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 10㎛이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4)는 발광 영역 상에도 배치되기 때문에 연질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4)의 재질 및 재료는, 연질인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예 1의 충격 완충 부재(20)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24)에 건조제, 예를 들면 탄산 칼슘 등을 포함시키고, 충격 완충 기능 외에 건조 기능을 부가해도 된다. 또한, 건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완충 부재(24) 상면에, 사전에 건조제(60)를 재치하기 위한 빈 영역을 만들도록 양면 테이프(52)를 붙이고, 한편 빈 영역에 건조제(60)를 재치하고, 이 건조제 및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충격 완충 부재(24)를 밀봉 부재(40)의 이면에 점착시켜도 된다. 또, 충격 완충 부재(24)의 하면은 제2 전극(14)에 당접시켜도 되며, 또는 충격 시에 당접하도록 배치시켜도 된다.
또한, EL 디바이스(104)에 있어서, 풀 컬러화한 경우, R, G, B용 소자에서 각각 제2 전극(14)까지의 높이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에 따라 충격 완충 부재(24)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바꾸어서, 밀봉 부재(40)가 변형되지 않도록 삽입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EL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EL 소자에 있어서도, 적어도 1매의 충격 완충 부재를 간극에 삽입 배치하여 충격 완충 등을 도모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는, 예를 들면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액티브 매트릭스형 EL 디바이스는 각 화소에, 예를 들 면 제1 전극에 소스가 접속되고, 드레인이 EL 소자 구동 전원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스위칭용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 접속된 EL 소자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이 데이터 신호선에, 게이트가 게이트 신호선에 접속된 스위칭용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디바이스에 있어서도 상기 마찬가지의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계 발광 디바이스는 형광 표시관(VFD), LED 등에 채용해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 밀봉 부재와의 간극에 충격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에 외부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충격 완충 부재가 충격 등을 완충하기 때문에 밀봉 부재가 변형되어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한, 충격 완충 부재를 밀봉 부재에 사전에 고정 또는 밀봉 부재로부터 돌출 형성해 둠으로써, EL 디바이스 또는 EL 소자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균등하게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되고 수명이 긴 EL 디바이스 또는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샌드위치하여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한 발광 소자 형성 기판과,
    상기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의 소자 형성면측을 덮는 밀봉 부재와,
    상기 제2 전극과 밀봉 부재와의 간극에 배치되는 충격 완충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제2 전극의 대향면측에는, 상기 충격 완충 부재가 돌출하여 설치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3.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발광층을 샌드위치하여 형성된 제2 전극을 구비한 발광 소자 형성 기판의 소자 형성면측을 덮는 밀봉 부재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제2 전극의 대향면측에는, 충격 완충 부재가 돌출하여 설치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
KR1020020017369A 2001-03-30 2002-03-29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 KR100641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8904A JP4511072B2 (ja) 2001-03-30 2001-03-30 衝撃緩衝機能付電界発光デバイス及び電界発光デバイス用の衝撃緩衝機能付封止部材
JPJP-P-2001-00098904 2001-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251A KR20020077251A (ko) 2002-10-11
KR100641261B1 true KR100641261B1 (ko) 2006-11-03

Family

ID=1895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369A KR100641261B1 (ko) 2001-03-30 2002-03-29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246509A3 (ko)
JP (1) JP4511072B2 (ko)
KR (1) KR100641261B1 (ko)
CN (1) CN100438711C (ko)
TW (1) TW535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422B1 (ko) * 2002-04-30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구조가 개선된 메탈 캡 및 이를 구비한 유기 전자 발광표시 모듈
US7792489B2 (en) 2003-12-26 2010-09-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CN100356611C (zh) * 2004-07-01 2007-12-1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缓冲层的有机电激光发光二极管面板模组
JP2006351462A (ja) * 2005-06-20 2006-12-28 Toyota Industries Corp El素子
KR101285533B1 (ko) 2005-09-13 2013-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내부 열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소자
KR100826011B1 (ko) * 2006-10-24 2008-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KR100889682B1 (ko) 2008-01-30 2009-03-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62733B1 (ko) 2008-04-14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110007654A (ko) * 2009-07-17 2011-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3150B1 (ko) 2010-05-28 2017-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586077B1 (en) 2010-06-22 2016-12-14 Koninklijke Philips N.V.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separating foil
DE102012203637B4 (de) 2012-03-08 2020-06-04 Osram Oled Gmbh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WO2013168660A1 (ja) * 2012-05-09 2013-11-14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el発光装置
KR20140031003A (ko) * 2012-09-04 2014-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733645B (zh) * 2013-12-24 2018-08-0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oled器件的封装方法及一种oled器件
JP2017162547A (ja) * 2014-07-30 2017-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27434B1 (ko) * 2014-11-12 2021-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8711592B (zh) * 2018-05-23 2019-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器件及其制作方法
CN109065739B (zh) * 2018-07-27 2020-08-1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oled器件封装结构、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10518144B (zh) * 2019-08-20 2021-10-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封装盖板、其制作方法、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454A (ja) * 1994-01-18 1995-08-11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096B2 (ja) * 1991-10-01 199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EP0884930B1 (en) * 1996-02-26 2010-09-29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54285A (ja) * 1997-07-31 1999-02-26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0173766A (ja) * 1998-09-30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1051608A (ja) * 1999-08-06 2001-02-23 Minolta Co Ltd 表示装置
JP2001291580A (ja) * 2000-04-07 2001-10-19 Toray Ind Inc 有機電界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454A (ja) * 1994-01-18 1995-08-11 Idemitsu Kosan Co Ltd 有機el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99042A (ja) 2002-10-11
EP1246509A3 (en) 2004-05-06
KR20020077251A (ko) 2002-10-11
CN1382007A (zh) 2002-11-27
CN100438711C (zh) 2008-11-26
JP4511072B2 (ja) 2010-07-28
TW535456B (en) 2003-06-01
EP1246509A2 (en)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261B1 (ko)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전계 발광 디바이스 및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충격 완충 기능이 부가된 밀봉 부재
US7106001B2 (en) Dual-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128909B1 (en) Sealant pattern for flat display panel
US20080203909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2011024274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US6664563B2 (en)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shock buffer function and sealing member with shock buffer function for the same
KR100934155B1 (ko) 양면발광 유기전계 발광표시 장치
KR10112846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456150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90244B1 (ko)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 어셈블리 및 이의 어셈블리 방법
KR101595455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22689B1 (ko) 전계발광소자
JP4130753B2 (ja) 衝撃緩和構造を有する有機電子発光表示装置
KR10062918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KR10114993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3549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063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02441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봉지용 캡
KR100501705B1 (ko) 외력 차단 실드를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3744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738226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050077923A (ko)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KR20050112949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7054A (ko) 내부에 지지부가 형성된 캡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50031276A (ko)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09

Effective date: 200608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