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006B1 -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006B1
KR100639006B1 KR1020060008461A KR20060008461A KR100639006B1 KR 100639006 B1 KR100639006 B1 KR 100639006B1 KR 1020060008461 A KR1020060008461 A KR 1020060008461A KR 20060008461 A KR20060008461 A KR 20060008461A KR 100639006 B1 KR100639006 B1 KR 10063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line
pixel region
frit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006B1/ko
Priority to JP2006159971A priority patent/JP4555258B2/ja
Priority to US11/540,382 priority patent/US770994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006B1/ko
Priority to TW095144931A priority patent/TWI339995B/zh
Priority to CNB2006101565692A priority patent/CN100488327C/zh
Priority to EP07250337.8A priority patent/EP18141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및 수분 등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화소가 형성되는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 이외의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 1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을 포함한 일 영역에서 상기 제 1기판과 대향되게 합착되는 제 2기판과; 상기 비화소 영역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을 합착하는 프릿과;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프릿과 일부 중첩되며, 이종 금속이 포함된 적어도 3층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라인은 상기 프릿과 중첩되는 교차부 영역에서 측면으로부터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제 1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제 1기판과 대향되게 합착되는 제 2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의 합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릿과 일부 중첩되는 전극 라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전극 라인의 에칭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릿과 전극 라인의 교차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돌출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소 104b : 주사선
104c,106d : 패드 106c : 데이터선
200,300 : 기판 210 : 화소 영역
220 : 비화소 영역 320 : 프릿
400 : 전극 라인 401a,401b,401c : 금속막
402 : 반원홀 404 : 돌출부
405a : 몸체부 405b : 끝단부
405c : 회전부 410 : 주사 구동부
420 : 데이터 구동부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소 및 수분 등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화소 영역과 비화소 영역을 제공하는 제 1기판과, 밀봉(encapsulation)을 위해 제 1기판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에폭시와 같은 실런트(sealant)에 의해 제 1기판에 합착되는 제 2기판으로 구성된다.
제 1기판의 화소 영역에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유기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산소에 취약하며, 캐소드전극이 금속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중의 수분에 의해 산화되어 전기적 특성 및 발광 특성이 쉽게 열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금속 재질의 캔(can)이나 컵(cup) 형태로 제작된 용기나, 유기, 플라스틱 등의 제 2기판에 흡습제를 파우더 형태로 탑재시키거나 필름 형태로 접착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흡습제를 파우더 형태로 탑재시키는 방법은 공정이 복잡해지고 재료 및 공정 단가가 상승되며,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되고 전면 발광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습제를 필름 형태로 접착하는 방법은 수분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낮아 양산에는 적용이 어렵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릿(frit)으로 측벽을 형성하여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밀봉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국제특허출원 PCT/KR2002/000994호(2002. 5. 24)에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으로 측벽이 형성된 인캡슐레이션 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출원 10/414,794호(2003. 4. 16)에는 제 1 및 제 2 유리판을 프릿으로 접착시켜 밀봉한 유리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1-0084380호(2001.9.6)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프릿 프레임 밀봉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2-0051153호(2002.6.28)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프릿층으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봉착시키는 패키징 방법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 및 수분 등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화소가 형성되는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 이외의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 1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을 포함한 일 영역에서 상기 제 1기판과 대향되게 합착되는 제 2기판과; 상기 비화소 영역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을 합착하는 프릿과;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프릿과 일부 중첩되는적어도 하나의 전극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라인은 상기 프릿과 중첩되는 교차부 영역에서 측면으로부터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극 라인은 이종 금속이 포함된 적어도 3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라인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라인으로부터 신장되는 몸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부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끝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끝단부의 양측 끝단에서 신장되어 상기 몸체부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회전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화소가 형성되는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 이외의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 1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을 포함한 일 영역에서 상기 제 1기판과 대향되게 합착되는 제 2기판과; 상기 비화소 영역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을 합착하는 실런트와;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프릿과 일부 중첩되며, 이종 금속이 포함된 적어도 3층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라인은 상기 프릿과 중첩되는 교차부 영역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b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기판(200)은 화소 영역(210)과, 화소 영역(210)을 둘러싸는 비화소 영역(220)으로 이루어진다. 화소 영역(210)에는 주사선들(104b) 및 데이터선들(106c)이 형성되고, 주사선들(104b) 및 데이터선(106c)들과 접속되도록 화소(100)들이 형성된다. 비화소 영역(220)에는 주사선들(104b)과 접속되는 주사 구동부(410) 및 데이터선들(106c)과 접속되는 데이터 구동부(420)가 형성된다. 그리고, 비화소 영역(220)에는 화소(100)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라인(도시되지 않음) 및 외부 구동회로(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는 패드들(104c, 106d)이 형성된다.
화소들(100) 각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포함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으로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전극,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실제로, 화소들(100)은 주사선(104b)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선택되어 데이터선(106c)으로부터 데이터신호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410)는 제 1패드(104c)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주사선들(104b)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주사선들(104b)과 접속된 화소들(100)들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데이터 구동부(420)는 제 2패드들(106d)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 는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공급받은 데이터 구동부(420)는 데이터선들(106c)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데이터선들(106c)로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주사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100)로 공급된다.
패드들(104c, 106d)는 외부의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 1패드(104c)는 주사 구동부(410)와 접속되어 주사 구동부(410)로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주사 구동부(410)가 구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2패드들(106d)은 데이터 구동부(4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구동부(420)로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구동부(420)가 구동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제 1기판과 합착되는 제 2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 2기판(봉지기판 : 300)은 제 1기판(200)과 합착되어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 2기판(300)에는 제 1기판(200)과의 합착을 위하여 프릿(320)이 구비된다.
프릿(320)의 생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유리 재료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다가 온도를 급격히 떨어뜨리면 유리 분말 형태의 프릿이 생성된다. 분말 형태의 프릿에 산화물 분말을 포함하고, 여기에 유기물을 첨가하면 젤 상태의 페이스트가 생성된다. 이 페이스트를 제 2기판(300)의 가장자리에 도포한 후 소정의 온도로 소성하면 유기물은 공기 중으로 소멸 되고, 젤 상태의 페이스트는 경화되어 고체 상태의 프릿(320)으로 제 2기판(300)에 부착된다. 여기 서, 프릿(320)을 소성하는 온도는 대략 300℃ 내지 500℃ 범위로 한다. 그리고, 프릿(320)은 제 2기판(300)과 제 1기판(200)이 안정적으로 합착될 수 있도록 14 ~ 15㎛ 정도의 높이 및 0.6 ~ 0.7㎜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제 1기판(200) 및 제 2기판(300)의 합착시에 프릿(320)은 화소 영역(210)을 밀봉시켜 산소 및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 2기판(300)과 제 1기판(200)의 합착시에 프릿(320)의 비화소 영역(220)에 위치된다. 그리고, 프릿(320)은 외부로부터 레이저나 적외선 등이 조사될 때 용융되면서 제 1기판(200)과 제 2기판(300)을 합착시킨다.
도 3은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이 합착된 모습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릿(320)은 비화소 영역(220)에 위치되어 제 1기판(200) 및 제 2기판(300)을 합착한다. 실제로, 프릿(320)이 비화소 영역(220)에 배치된 후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프릿(320)이 제 1기판(200)에 용융 접착되고, 이에 따라 제 1기판(200) 및 제 2기판(300)이 합착된다. 이와 같이 프릿(320)에 의하여 제 1기판(200) 및 제 2기판(300)이 합착되면 산소 및 수분 등이 화소 영역(21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기판(200) 및 제 2기판(300)이 합착될 때 프릿(320)은 적어도 하나의 전극 라인들과 중첩되게 된다. 예를 들어, 프릿(320)은 주사선(104b), 데이터선(106c) 및 전원 공급라인 등의 전극 라인들과 중첩된다. 여기서, 전극 라인들은 화소(100)에 포함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될 때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전극 라인들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때 게이트 메탈, 소스/드레인 메탈 및 애노드 메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선(104b)는 게이트 메탈로 형성되고, 데이터선(106c) 및 전원 공급라인은 소스/드레인 메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라인들은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때 반도체층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프릿(32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릿(320)은 제 2기판(300)이 주사 구동부(410)와 중첩되도록 주사 구동부(410)의 외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전극 라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라인(400)은 이종 금속물질을 포함한 3층 형태로 제작된다. 다시 말하여, 전극 라인(400)은 제 1금속막(401a), 제 2금속막(401b) 및 제 3금속막(401c)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금속막(401a) 및 제 3금속막(401c)은 동일 물질로 형성되고, 제 2금속막(401b)은 제 1금속막(401a) 및 제 3금속막(401c)과 다른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금속막(401a) 및 제 3금속막(401c)은 티탄(Ti) 또는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되고, 제 2금속막(401b)는 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극 라인(400)이 3층 형태로 제작되면 전도성 등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인접 층과의 화학적 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 전극 라인(400)은 적어도 한번 이상의 에칭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칭공정에서 서로 다른 금속으로 형성된 제 1금속막(401a) 및 제 2금속막(401b)은 서로 다른 속도로 에칭된다. 실제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는 제 2금속막(401b)이 더 많이 에칭됨으로써 전극 라인(400)의 측면에 반원 형태의 홀(402)이 생성된다. 특히, 반원 형태의 홀(402)은 세정공정 등을 거치면서 더욱 크게 형성된다. 한편, 반원 홀(402)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된 층에 의하여 관통 홀 형태로 나타난다.
전극 라인(400)에 반원 형태의 홀(402)이 생성되면 외부로부터의 산소 및 수분 등이 반원 홀(402)을 경유하여 화소 영역(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영역(210)과 비화소 영역(220)에 포함되는 구동부들(410, 4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 라인(400)의 반원 홀(402)에 의하여 산소 및 수분 등이 화소 영역(210)으로 침투될 수 있다. 한편, 전극 라인(400)에 형성되는 반원 홀(402)는 공정 과정 중에 일부 함몰되기도 한다. 하지만, 반원 홀(402)이 함몰될 확률이 높지 않아 신뢰성을 확보하기 곤란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릿과 전극 라인의 교차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릿(320)과 전극 라인(400)의 교차부 영역에서 전극 라인(4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04)가 형성된다. 실제로, 돌출부(404)는 전극 라인(400)의 양측면에서 다수 신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프릿(320)과 전극 라인(400)의 교차부 영역에서 전극 라인(400)의 측면부에 돌출부(404)가 형성되면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 등이 화소 영역(21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극 라인(400)은 측면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과정 중에서 반원 홀(402)이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404)가 형성된 전극 라인(400)의 측면부 길이가 길어져 수분 등의 침투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전극 라인(400)의 측면에 돌출부(404)가 형성되면 공정 과정 중에 반원 홀(402)이 함몰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다시 말하여, 전극 라인(400)의 측면이 일자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다양한 각도로 구부러지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반원 홀(402)의 함몰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돌둘부(404)는 전극 라인(400)의 측면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돌출부(404)는 도 7a와 같이 전극 라인(400)의 측면에서 신장되는 몸체부(405a)와, 몸체부(405a)의 끝단에서 몸체부(405a)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끝단부(40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05a)로만 구성되는 돌출부(404)보다 전극 라인(400)의 측면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7b와 같이 끝단부(405b)의 양측 끝단에서 신장되어 몸체부(405a)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회전부(40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 돌출부(404)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극 라인(400)의 돌출부(404) 구조는 프릿(302)이 사용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프릿(302) 대신 에폭시와 같은 실런트가 사용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도 돌출부(404)를 포함한 전극 라인(400)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프릿과 전극 라인의 교차부 영역에서 전극 라인의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전극 라인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는 전극 라인의 측면길이를 증가시켜 수분 등이 화소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부는 전극 라인의 측면의 반원 홀의 함몰 가능성을 증대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화소가 형성되는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 이외의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 1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을 포함한 일 영역에서 상기 제 1기판과 대향되게 합착되는 제 2기판과;
    상기 비화소 영역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을 합착하는 프릿과;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프릿과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라인은 상기 프릿과 중첩되는 교차부 영역에서 측면으로부터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라인은 이종 금속이 포함된 적어도 3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라인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극 라인으로부터 신장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부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끝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끝단부의 양측 끝단에서 신장되어 상기 몸체부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라인은 티탄(Ti)/알루미늄(Al)/티탄(Ti)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라인은 몰리브덴(Mo)/알루미늄(Al)/몰리브덴(Mo)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라인은 주사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공급 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레이저 또는 적외선이 조사될 때 용융되어 상기 제 1기판과 제 2기판을 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라인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될 때 형성되며, 게이트메탈, 소스/드레인메탈, 애노드메탈 및 반도체층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13. 화소가 형성되는 화소 영역 및 상기 화소 영역 이외의 비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제 1기판과;
    상기 화소 영역을 포함한 일 영역에서 상기 제 1기판과 대향되게 합착되는 제 2기판과;
    상기 비화소 영역과 상기 제 2기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기판 및 제 2기판을 합착하는 실런트와;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프릿과 일부 중첩되며, 이종 금속이 포함된 적어도 3층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라인은 상기 프릿과 중첩되는 교차부 영역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060008461A 2006-01-26 2006-01-26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639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61A KR100639006B1 (ko) 2006-01-26 2006-01-26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2006159971A JP4555258B2 (ja) 2006-01-26 2006-06-08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11/540,382 US7709948B2 (en) 2006-01-26 2006-09-2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TW095144931A TWI339995B (en) 2006-01-26 2006-12-04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NB2006101565692A CN100488327C (zh) 2006-01-26 2006-12-28 有机发光显示装置
EP07250337.8A EP1814183B1 (en) 2006-01-26 2007-01-26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461A KR100639006B1 (ko) 2006-01-26 2006-01-26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006B1 true KR100639006B1 (ko) 2006-10-27

Family

ID=3762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461A KR100639006B1 (ko) 2006-01-26 2006-01-26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39006B1 (ko)
CN (1) CN10048832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276A (ko) * 2014-08-01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918A (ko) 2009-07-21 2011-01-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13641B1 (ko) * 2013-08-20 201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4157792A (zh) * 2014-08-08 2014-11-1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Oled封装结构及封装方法
CN106960914B (zh) 2017-03-22 2018-10-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587002B1 (ko) 2017-11-15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276A (ko) * 2014-08-01 2016-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31171B1 (ko) * 2014-08-01 2021-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302721B2 (en) 2014-08-01 2022-04-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electrode l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8327C (zh) 2009-05-13
CN101009956A (zh)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638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JP4555258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4633674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164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EP181418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73280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2211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213588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782559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74532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78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3281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70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45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US20070170857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7164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3900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703445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75412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587097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67164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제작 방법
KR100796128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223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8542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84765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