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810B1 -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810B1
KR100635810B1 KR1020030067418A KR20030067418A KR100635810B1 KR 100635810 B1 KR100635810 B1 KR 100635810B1 KR 1020030067418 A KR1020030067418 A KR 1020030067418A KR 20030067418 A KR20030067418 A KR 20030067418A KR 100635810 B1 KR100635810 B1 KR 10063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ble
weight
firewall
fire door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197A (ko
Inventor
이상훈
최준한
윤병익
Original Assignee
최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한 filed Critical 최준한
Priority to KR1020030067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810B1/ko
Priority to JP2006532073A priority patent/JP2007507579A/ja
Priority to PCT/KR2004/002447 priority patent/WO2005030671A1/en
Priority to US10/950,550 priority patent/US7211318B2/en
Publication of KR2005003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3/00Fibre or filament compositions
    • C03C13/06Mineral fibres, e.g. slag wool, mineral wool, rock woo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 C04B26/122Phenol-formaldehyde condensation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 C04B26/125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ion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8Polyesters;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6Void-containing component contains also a solid fiber or solid part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ial W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기섬유 30∼80중량%,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5∼50중량%, 화염방지제 5∼50중량%, 페놀수지 1∼15중량% 및, 퍼라이트 중공체, 플라이애쉬 중공체, 세라믹 중공체, 시라스 발룬, 실리카 발룬, 맥반석 발룬, 미네랄 발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불연성 중공체 필러 1∼20중량%를 포함하는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중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화염방지제 및 경화용 난연수지를 혼합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를 분산/투입하여 분쇄/혼합한 후, 에어를 이용한 혼합기로 불연성 중공체를 최종 혼합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을 고압열프레스를 사용하여 판재 또는 각재로 압축 성형시키고, 상기 판재 및/또는 각재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골격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불연성 심재를 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의 1∼70중량%는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구성 조성물 모두가 다른 화염에 의한 접촉시에도 화염 및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축용 마감 및 내장 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불연성, 방화문, 방화벽, 플라이애쉬, 판재, 각재, 심재

Description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Incombustibility composition for a fire door or fire wall, incombustibility fire door/wall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fire door/wall}
본 발명은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마감 및 내장재료로 사용시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 방화문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건축용 자재는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로 만들어진 철재 도어(Steel Door)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은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만큼 화염과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는 있으나, 차열성능이 부족하고, 가공이 어려우며, 다양한 종류의 마감 이 불가능하여 외관의 형태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재료의 다양한 조성 변화를 통해 여러 종류의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가 갖추어야 할 필요·충분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사용에 제한을 받는 등 단편적인 특성만을 가진 자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연성이 있는 자재를 철재문 위에 부착하려고 시도는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작업성이 쉽지 않고, 한편, 난연성이 있는 자재의 개발은 대부분 난연 성능이 전혀 없는 MDF 합판에 난연성을 지닌 도료 또는 박판을 도포하거나 붙이는 방식을 통해 난연성을 확보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 또한 완전한 방화기능을 갖추기에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반면, 해외의 경우 오래전부터 석고가 주성분인 각재와 미네랄 보드를 이용한 목재방화문이 사용되어져 왔으나, 이들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제품의 두께가 두꺼운 관계로 인하여 중량이 무거우며, 외부모양 또한 두껍고 다양하지 못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판재의 경우, MDF나 합판은 나무 칩을 유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축·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한 판재로서, 현재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재료는 화염에 의해 쉽게 불이 붙는 등 난연성이 없는 자재이다.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유기 접착제 대신 무기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지만 이렇게 제조한 제품은 층간 박리와 파손으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접착제만 무기질일 뿐 주재료가 가연성 나무 칩으로 구성되어 있어 결국 난연성능(불연·준불 연·난연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상품화가 되지 않았다.
또한, 난연성을 지닌 석고보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석고보드에 난연성 합판을 붙이는 방식의 기술과, 불연재인 철판·알루미늄 판을 붙이는 방식 등의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는 있으나, 석고보드의 주성분인 석고 소재 자체가 중량이 무거우며 마감을 위한 가공이 불가능하여 석고 소재 자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은 국내·외에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있어 난연성을 지닌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서는 현재 석고보드가 대표적인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소재로서 시멘트 목모판을 언급할 수 있는데, 이들 소재는 시멘트에 다양한 소재를 첨가하여 개발한 것이다. 그 특징을 보면 우선 경량성이 있는 종이입자, 퍼라이트, 스티로폼 입자, 질석, 버텀애쉬 등의 소재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이들 소재 중 일부 또는 2가지이상의 소재를 조성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식의 개발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시멘트 판의 특성을 조금씩 변화시킨 차이만 있을 뿐 근본적인 물성 변화를 주지 못하여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서보다는 외장 또는 천정재료로서 일부 활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불연성인 알루미나 분말(Al2O3)을 압축·성형하여 제조한 건축용 불연 마감 및 내장재료가 개발되어 출시는 되었으나, 이 재료는 마감처리가 어려울 뿐 아니라 그 가격이 MDF나 합판에 비해 10배이상으로 높아 특수용도로만 일부 사용될 뿐 화재 안전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야 할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서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현행 건축법과 소방법에는 건축물 내부에 사용되는 마감 및 내장재료는 불연·준불연·난연 재료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화재 확산방지와 인명보호를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방화구획을 하도록 하고, 이를 통과하는 문은 방화문을 설치하도록 하여 화재에 30분 또는 1시간을 견딜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도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 규제에 따른 기준과 성능 시험방법은 마감 및 내장재료의 경우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2271(건축물의 난연성능 시험방법)의 성능기준에 따라 난연 1급(불연재료), 난연 2급(준불연재료), 난연 3급(난연재료)을 만족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특히 방화문의 경우에는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2257에 의한 화재시험을 1시간 동안 실시하는 갑(甲)종과, 30분을 실시하는 을(乙)종으로 구분하여 상기 성능기준에 적합하여야 사용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채택하고 있는 규정으로내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성능기준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화재에 대한 대비로 화염의 확산방지와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건축 마감 및 내장재료는 그 사용 목적에 맞지 않는 것이 많으며, 일부 불연·준불연·난연의 성능기준을 충족하지만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다른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에도 불연·준불연·난연성의 성능을 가진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수한 성능을 가진 제품이 적은 이유를 보면, MDF나 합판은 가공성과 시공성, 경량성 및 가격이 저렴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내장제품이지만, 내수성이 떨어지고, 가연성 소재로 불연·준불연·난연성의 성능을 지니지 못해 화염에 의해 쉽게 연소가 되고, 화재가 확산되기 때문에 현행 법령상 그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석고보드는 비료공장 또는 발전소에서 나오는 폐화학석고, 플라스터 (plaster) 등을 조성하여 제조한 것으로, 가공성과 시공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하며, 불연·준불연·난연의 성능을 지니고 있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불연·준불연·난연의 성능기준을 갖춘 대표적인 건축용 내장 및 마감자재이나, 수분에 매우 약하며, 강도가 낮아 파손이 쉽고, 가공시 많은 분진발생과 폐석고보드의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표면에 종이가 붙어있어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과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시멘트 목모판의 경우에는 강도가 높고, 불연·준불연·난연의 성능이 우수하며, 내수성이 좋다고 할 수 있는 반면에, 가공성과 시공성이 떨어지며, 무겁 고, 충격에 부서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건축물의 외벽이나, 표면재료로 주로 사용될 뿐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서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철재/목재 방화문에서 발생되어졌던 차열성능의 부족, 다양한 마감재의 적용이 불가능한 점 등 기존 자재의 물리적 및 화학적 단점들을 보강 및 개선시키고자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로 폐자재를 이용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이며, 경도, 강도, 내수성 등이 우수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무엇보다 화재로부터 안전한 불연 성능을 갖는 다양한 마감(외관)을 표출할 수 있는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불연성은 물론, 건축자재로서의 필요 및 충분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불연성 조성물을 이용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방화문 또는 방화벽으로 사용시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화염의 확산방지와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등의 차열 및 방화의 기본성능과 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마감처리가 가능하면서 경제적인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은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 1∼80중량%,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1∼80중량%, 화염방지제 1∼80중량%, 경화용 난연수지 1∼30중량% 및 불연성 중공체 필러 1∼4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은 상기 불연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화염방지제 및 경화용 난연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를 분산/투입하여 분쇄/혼합한 후, 에어를 이용한 혼합기로 불연성 중공체를 최종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압열프레스를 사용하여 판재 또는 각재로 압축 성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판재 및/또는 각재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골격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불연성 심재를 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판재 및/또는 각재용 불연성 조성물은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 1∼80중량%,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b) 1∼80중량%, 화염방지제(c) 1∼80중량%, 경화용 난연수지(d) 1∼30중량% 및 불연성 중공체 필러(e) 1∼40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불연성의 경량화제(f) 및/또는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경화촉진고착제, 계면활성제 및/또는 착색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판재 또는 각재로 사용되는 불연성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상기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의 사용량은 1∼80중량%가 바람직하며, 무기섬유 30∼8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섬유로는 섬유질 상태로 파쇄한 종이 분쇄물, 목재분쇄물, 폐섬유, 쌀겨, 식물성 화이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며, 상기 무기섬유로는 암면, 글라스울, 현무암면, 세라믹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일부 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한 성형품이 MDF나 합판의 목재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칼(커트 칼)로도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제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벽체부착 시공시 스크류 등과의 결합력 또한 상기 분쇄물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것이다.
상기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의 사용량이 1중량%미만인 경우에는 난연성능은 향상될 수 있으나, 경도가 높아 가공성이나 스크류 등과의 결합력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조성비율이 80중량%를 초과하면 강도가 떨어져 난연성 성형품의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의 강도와 매끄러운 표면을 유지하기 위해서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b)를 사용하였으며, 그 조성비율에 따라 밀도와 표면 및 압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플라이애쉬(fly ash)"는 화력발전소에서 열원으로 사용되는 석탄이 타고 남은 잔재중 대체적으로 중량이 가벼운 잔재를 의미하고, "버텀애쉬(bottom ash)"는 플라이애쉬보다는 무거워서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잔재를 의미한다.
이들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b)는 시멘트보다는 가벼운 비중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난연성 성형품을 이루고 있는 조성물 중에는 성분 (b)가 비중이 높은 조성물에 해당되므로 그 조성비율이 높을 경우에는 경량화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강도를 증진시키고, 견고한 난연성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는 1∼80중량% 를 사용하나, 바람직하게는 5∼50중량% 를 사용한다.
상기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b)의 조성비율이 1중량%미만일 경우에는 적절한 경도, 표면효과 및 매끄러운 성형품을 만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조성비율이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중이 높고, 약한 충격에도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판재나 각재의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는 재료에 따라서 가연성 소재인 경우도 있으므로 화염발생시 연소 및 연기를 최소화하여 불연·준불연 성능을 확보하는 화염방지제(c), 예를 들어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기타 탄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화염의 온도가 500℃가 넘는 경우 상기 성분 (c)가 분해되어 탄산가스(CO2)가 판재 내부에서 발생하여 화염이 소화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성분 (c)를 통해 상기 4가지 성분만으로도 성능기준에 있어 준불연급이던 것을 불연급으로, 난연급이던 것을 준불연급 이상의 성능이 되도록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화염방지제(c)의 사용량은 1∼80중량%가 바람직하며, 1중량%미만이면 화염방지제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강도저하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아울러, 상기 화염방지제(c)의 사용량은 5∼5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성분만으로는 불연성은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으나, 불연성 못지 않게 중요한 건축자재로서의 충분한 압축/인장 강도의 부족, 양생시 변형, 다양한 마감재의 부착이 불가능하다는 점 등의 치명적인 단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건축자재로서의 치명적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경화용 난연수지(d), 예를 들어, 페놀수지, 난연 폴리에스테르수지 또는 멜라민수지를 사용하여 건축자재로서의 성능과 불연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화용 난연수지(d)의 사용량은 1∼30중량%가 바람직하며, 1중량%미만이면 조성물의 경화가 불가능하며, 반면 30중량%를 초과하면 더 이상 난연수지로서의 경화의 역활이 향상되지는 않으면서 제조단가만 올라가는 결과를 얻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경화용 난연수지(d)로는 페놀수지 1∼15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경량화 및 흡음성능의 향상을 위해 특별히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단열 및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연성의 중공체 필러(e)를 사용하며, 그 조성비율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내화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불연성 중공체 필러(e)는 예를 들어, 퍼라이트 중공체, 플라이애쉬 중공체, 세라믹 중공체, 시라스 발룬(Shirasu balloon), 실리카 발룬, 맥반석 발룬, 미네랄 발룬 등의 무기질 중공체 또는 이들의 하나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연성 중공체 필러(e)의 조성비율은 1∼40중량%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비중을 가진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나, 조성물의 비율이 1중량%미만인 경우에는 비중, 흡음 및 단열/내화 성능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본래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으며, 그 조성비율이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면이 거칠고, 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불연성 중공체 필러(e)의 조성비율은 1∼20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연성 성형품의 경량화를 위해 불연성 경량화제(f)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조성비율에 따라 다양한 비중을 가진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불연성의 경량화제(f)는 예를 들어 미립자 퍼라이트, 미립자 질석, 규조토, 지오라이트 또는 이들의 하나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립자 퍼라이트 또는 미립자 질석은 폐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연성의 경량화제(f)의 사용량은 1∼50중량%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비중을 가진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나, 조성물의 비율이 1중량%미만일 경우에는 비중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본래의 경량화제로서의 역할을 못하며, 그 조성비율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면이 거칠고, 강도가 저하되고, 조성물이 원료분리가 일어나 고른 분포의 혼합물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부가 선택사항으로, 상기의 조성물로 제조한 성형품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양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축과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타 첨가제로, 상기의 조성물을 빠른 시간 내에 고착하여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1∼10중량%의 경화촉진 고착제(g), 예를 들어 마그네시아, 석고 플라스터,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혼합물,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하나이상의 혼합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성형품의 단열특성과 경량화 향상 및 내수 및 발수성을 높이기 위한 계면활성제(h), 예를 들어 표면장력이 큰 알킬벤젠술폰산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에 대한 저항과 물의 흡수율을 낮추어 물 속에서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하고, 특히 불연성 성형품의 내부에 수많은 다공성의 공기층을 만들어 단열과 경량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조성비율에 따라 다소 강도의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조성비율은 0.1∼0.3중량%로 하였다.
상기 성분의 조성물로 제조한 불연성 성형품의 특성상 성분 (a) 및 성분 (b)가 흑회색으로 전체 색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진한 회색으로는 다양한 색상을 표출해야 하는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의 특성상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보완하기 위해 화염에 강하고, 은폐력이 우수한 1∼10중량%의 백색 무기 착색제(i),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TiO2)을 추가로 사용하여 바탕색을 엷은 회백색으로 만들어 성형품에 도장 및 무늬목 코팅 등의 표면 처리를 번거롭지 않게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색상을 표출하기 위해 적색 또는 황색 무기 착색제(j)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난연성 성형품의 바탕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별도의 표면착색이 없이도, 본래의 색상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압축성형 공법을 적용하여 불연성 판재 및 각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불연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화염방지제 및 경화용 난연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를 분산/투입하여 분쇄/혼합한 후, 에어를 이용한 혼합기로 불연성 중공체를 최종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압열프레스를 사용하여 판재 또는 각재로 압축 성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판재 및/또는 각재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골격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불연성 심재를 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불연성 판재 및 각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압축·성형공법은 1차 혼합과정과 2차 압축과정을 순서대로 거쳐야 하는데, 1차 혼합과정은 우선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b), 화염방지제(c) 및 경화용 난연수지 (d), 선택적으로 불연성 경량화제(f) 등의 파우더 형태의 물질을 계량시스템을 거쳐 믹서로 혼합하고, 이후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를 분산/투입한다.
예를 들어, 슈퍼(헨셀)믹서와 같이 날카로운 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혼합시키고 고르게 분쇄/혼합하는 원리의 믹서기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불연성 중공체 필러(e)를 혼합하되, 이때 적당히 분쇄된 성분 (a)가 다시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를 이용하여 단시간내에 혼합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후 2차 압축공정을 위하여 저장탱크에 보관하여 대기시킨다.
한편, 1차 혼합공정을 거쳐 완성되는 혼합물은 최종적으로 완성되어지는 성형품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비중이 달라져야 하는 바, 그 요구되어지는 비중에 맞춰 적당량의 혼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목재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각재와 같이 그 요구되어지는 성형품의 비중이 1.0∼1.2g/cu·㎝일 경우에는 비중과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성분 (b)의 중량비가 높아지지만, 보통의 건축내장용 판재의 경우 비중은 0.7∼0.9g/cu·㎝가 가장 적당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 그 요구되어지는 비중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성분 (b)의 중량비를 낮추고, 대신 성분 (a)의 중량비를 높이는 식으로 조절/혼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요구되어지는 비중에 맞춰 혼합되어진 조성물을 예정된 두께와 규격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고압열프레스(500∼3,000ton)를 사용하게 되며, 온도는 60 ∼200℃, 시간은 1∼60분 고압열프레스 내에서 압축/성형하여 불연성 판재 성형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고주파 가열기능을 추가한 고압열프레스를 사용하게 되면 성분 (d)의 경화반응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 그에 따라 프레스내에서의 성형시간을 상당부분 단축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성형되어지는 판재의 압축 및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프레스내에 혼합된 조성물을 투여하면서 그 상/하부 또는 내부에 글라스 화이버로 구성된 보강용 메쉬를 깔고 압축/성형하게 되면 보다 높은 압축 및 인장 강도를 가진 판재 성형품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불연성이 우수한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각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건축내장용 판재의 압축·성형공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완성된 불연성 각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건축내장용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불연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성형품은 제작공법에 따라 다양한 제품적 특성이 있는데 우선 압축·성형공법에 의한 성형품은 면이 고르고, 양생 과정에 변형과 수축이 없고, 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압축 성형단계에서 각재의 압축 및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스틸, 아크릴 또는 나무를 각재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각재내에 보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판재 및/또는 각재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골격을 구성한 다음, 그 내부에 불연성 심재를 내장시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을 제조한다.
상기 심재는 경량기포콘크리트,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미네랄보드, 경량기포글라스보드, 벌크(Bulk)나 블랭킷(Blanket) 또는 매트 (Mat) 형태의 암면, 현무암면, 글라스울 또는 세라믹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재는 상기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 1∼80중량%, 상기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1∼80중량%, 상기 화염방지제 1∼80중량% 및 난연성 경화제 1∼60중량%를 포함하는 불연성 조성물을 혼합시킨 다음, 롤러프레스 또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의해 성형시켜 제조된 불연성 심재일 수 있다. 이러한 심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중에 있다.
또한, 방화문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프레임은 상기 불연성 판재나 각재로 제작하여 완성되어지는 것이 기본이나, 기존의 스틸 프레임이나 스테인레스 프레임을 활용하여 그 역할을 대신하여도 방화기능 등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한 면 이상에 불연성 철판, 미네랄보드, 암면보드, 실리카보드, 석고보드, 마그네슘보드 또는 알루미나보드를 더욱 부착시킬 수 있고, 상기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한 면 이상에 MDF, 합판, 천연 무늬목, 인테리어 필름(Interior Film), 알루미늄판 또는 미장지를 더욱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성형품은 우수한 불연성 또는 난연성 및 물리적 특성 을 보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① 목재 방화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연성 각재 및/또는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방화문은 완벽한 내화·방화기능은 물론, 가공의 용이성, 다양한 마감처리 등 스틸 방화문이 갖지 못하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의 내부 목재문을 상기 목재 방화문으로 설치하면 내부화재시 이를 경계로 하여 세대내에서 조차 화염확산과 유독가스로부터 인명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차원의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② 방화벽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불연성 제품으로 구성되어지는 방화벽의 경우 제작단가 및 하중의 감소는 물론, 기존의 방화벽 두께(평균 100m/m) 또한 상당한 부분에서 감소가 이루어져, 원가절감과 내부 유효사용 면적의 증가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측정한 각종 물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불연·준불연·난연성능 특성 :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2271(건축물의 난연성능 시험방법)에 의한 난연 1급(불연재료), 난연 2급(준불연재료), 난연 3급(난 연재료)에 의한 측정
2) 비중 및 밀도 :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L5316(석고판재류의 물리적 특성 시험방법)에 의한 비중 및 밀도 측정
3) 내화염성 :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3507(석고보드제품)에 의한 내화염성 측정
4) 침수안정성 :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3507(석고보드제품)에 의한 침수안정성 측정
상기 압축 성형공법에 의해 제조한 성형품인 하기 실시예들과,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품의 비교예들을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성능기준, 즉 불연·준불연·난연성의 성능기준에 관한 측정은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2271에 의해 난연 1급인 불연과, 난연 2급인 준불연, 난연 3급인 난연 등급으로 구분하여, 조성물의 배합비율 및 성형품의 종류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조성물의 배합비율에 따른 단위면적당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품의 화재 안전성은 내화염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는 침수안정성을 요구하므로 이에 대한 성능도 시험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4
먼저,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양으로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b), 화염방지제(c) 및 경화용 난연수지(d)를 계량시스템을 거쳐 믹서로 혼합하고, 이후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a)를 분산/투입하여 슈퍼(헨셀)믹서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분쇄하며 혼합한 후, 불연성 중공체 필러(e)를 혼합하되, 이때 적당히 분쇄된 성분 (a)가 다시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를 이용하여 10분간 혼합한 후, 이후 2차 압축공정을 위하여 저장탱크에 보관하여 대기시켰다.
이후, 상기 조성물을 약 150℃의 온도에서 약 30분간 고압열프레스(약 1,000 ton) 내에서 35m/m의 두께와 900×2,100의 크기로 압축/성형하여 불연성 판재 성형품을 제조하고, 상기와 같은 측정방법으로 성형품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측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압축·성형 공법으로 제조한 불연성 성형품의 물성 측정결과
구분 조성(중량%) 성형품 물성
성분 (a) 암면 성분 (b) 플라이 애쉬 성분 (c) 탄산칼슘 성분 (d) 페놀 수지 성분(e) 플라이애쉬 중공체 형상물 형태 난연 성능 밀도/비중 침수 안정성 내화염성
실시예 1 70 10 5 10 5 판재 난연 1급 0.754 안정 불연성
실시예 2 60 15 10 10 5 판재 난연 1급 0.882 안정 불연성
실시예 3 50 15 15 10 10 각재 난연 1급 1.052 안정 불연성
실시예 4 40 20 20 10 10 각재 난연 1급 1.174 안정 불연성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압축·성형공법으로 제조한 판재 와,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같이 압축·성형공법으로 제조한 각재는 압축·성형공법에 의한 조성물의 배합비율 중 암면의 사용비(중량비)가 높을수록 비중이 낮아짐을 각각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실시예 모두 난연성능과 내화염성의 등급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 비교예 5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 마감 및 내장용 자재의 제품 5종류, MDF/합판, 일반석고보드, 방화석고보드, 슬레이트판, 시멘트목모판을 시중으로부터 구입하여 상기의 측정방법에 따라 물성을 평가하고, 그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 마감 및 내장용 제품에 대한 물성 측정결과
구분 조성 성분 성형품 물성
성분 (a) 성분 (b) 성분 (c) 제품명 난연성능 밀도/비중 침수안정성 내화염성
비교예 1 목재칩 접착제 발수재 MDF/합판 없음 0.7∼0.8 불안정 연소
비교예 2 폐석고 - 종이판지 일반석고보드 난연2급 0.8∼1.0 파손 비연소성
비교예 3 폐석고 유리 섬유 종이판지 방화석고보드 난연1급 1.0∼1.1 파손 불연성
비교예 4 시멘트 석면 석분 슬레이트판 난연1급 1.2∼1.4 안정 불연성
비교예 5 시멘트 폐종이 석고 시멘트목모판 난연1급 1.0∼1.2 안정 불연성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의 표 2의 비교예 1(MDF, 합판)의 경우에는 난연성능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일반석고보드) 및 비교예 3(방화석고보드)은 난연성능이 각각 난연 2급 및 난연 1급으로 나타난 바, 화재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4(슬레이트판) 및 비교예 5(시멘트 목모판)의 경우는 가장 화재안전에 문제가 없는 불연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 2의 결과와 같이, 불연성은 비교예 4 및 비교예 5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단위면적당 무게의 경우는 1.0∼1.4로 무거워 경량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수분에 대한 침수안정성에 대해서는 석고보드가 가장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MDF나 합판은 근본적으로 화재안전에 문제가 있어 건축법 및 소방법 상 사용할 수 없는 재료라고 할 수 있으며, 석고보드는 건축물의 용도와 장소에 따른 사용제한이 있으며, 슬레이트판 및 시멘트 목모판의 경우 단위면적당 무게가 MDF 및 석고보드에 비해 매우 무거워 시공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압축·성형공법으로 제조한 판재의 단위면적당 무게는 0.7∼0.9의 범위로, 표 2의 비교예 1의 MDF와 비슷한 무게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난연성능과 내화염성은 비교예 3의 방화석고보드와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수분에 대한 침수안정성은 모두 물 속에서 그 형상을 유지하는 등 수분에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1의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같이 압축·성형공법으로 제조한 각재의 경우에는 표 2의 비교예 4에 해당하는 슬레이트판과, 비교예 5에 해당하는 시멘트 목모판의 난연성능과 같은 난연1급이었으며, 내화염성도 불연성으로 나타났으며, 표 2의 비교예 4에 해당하는 슬레이트판과, 비교예 5에 해당하는 시멘트 목모판의 단위면적당 무게가 1.0∼1.4의 범위인 것과 같이, 표 1의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경우 단위면적당 무게가 1.0∼1.2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1
상기 표 1의 실시예 1에 따른 판재와, 실시예 3에 따른 각재를 이용하여 방화문의 골격과 프레임을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심재로서 세라믹울을 내장시키고 일측면은 합판으로 마감처리하여 35m/m의 두께와 900×2,100의 크기로 제작된 불연성 방화문을 국가공인 시험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한국 산업표준규격 KS F2257에 의한 화재시험, 즉 1시간 동안 실시하는 갑종방화문 시험을 실시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방화시험 규정에 적합한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판재·각재·심재로 제조한 불연성 방화문의 물성 시험결과
구분 조성(중량%) 성형품 물성
성분 (a) 암면 성분 (b) 플라이 애쉬 성분 (c) 탄산 칼슘 성분 (d) 페놀 수지 성분 (e) 플라이애쉬 중공체 세라믹울 형상물형태 난연성능 내화염성 침수 안정성 화재시험 (1시간)
판재 70 10 5 10 5 난연1급 불연성 안정 적합
- 도어
각재 50 15 15 10 10 - 난연1급 불연성 안정
심재 - - - - - 100 난연1급 불연성 불안정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불연/준불연/난연성 판재, 각재 및 심재의 제조에 제공되어지는 불연성 조성물의 1∼70중량%는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구성 조성물 모두 화재가 발생하여 접촉시 화염 및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건축용 마감 및 내장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가공성(톱가공, 스크류 체결, 대패가공, 무늬목 및 필름지 접착, 도장 등)이 용이하고, 제품강도 및 내수성이 우수하며, 변형이 없으며, 불연성이 있으면서도 목재나 보드와 같은 용도로 사용이 가능케 됨으로써, 다양한 건축용 내/외장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발생의 경우 화재의 확산방지는 물론,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우리의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한 생활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무기섬유 30∼80중량%,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5∼50중량%,
    화염방지제 5∼50중량%,
    페놀수지 1∼15중량% 및,
    퍼라이트 중공체, 플라이애쉬 중공체, 세라믹 중공체, 시라스 발룬, 실리카 발룬, 맥반석 발룬, 미네랄 발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불연성 중공체 필러 1∼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섬유가 암면, 글라스울, 현무암면, 세라믹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방지제가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기타 탄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불연성 경량화제 1∼50중량%, 또는, 경화촉진고착제, 계면활성제 및 무기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이상 선택된 기타 첨가제 1∼10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경량화제가 미립자 퍼라이트, 미립자 질석, 규조토, 지오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고착제가 마그네시아, 석고플라스터,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혼합물,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조성물.
  9. 제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불연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화염방지제 및 경화용 난연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무기섬유를 분산/투입하여 분쇄/혼합한 후, 에어를 이용한 혼합기로 불연성 중공체를 최종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압열프레스를 사용하여 판재 또는 각재로 압축 성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판재 또는 각재로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골격을 구성하고, 그 내부에 불연성 심재를 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성형단계에서 판재의 압축 및 인장 강도의 증가를 위하여 글라스 화이버로 구성된 메쉬를 상기 판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보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성형단계에서 각재의 압축 및 인장 강도의 증가를 위하여 알루미늄, 스틸, 아크릴 또는 나무를 각재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각재내에 보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화염방지제 및 경화용 난연수지의 혼합시 불연성 경량화제, 경화촉진 고착제 또는 무기 착색제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심재가 경량기포콘크리트,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경량기포미네랄보드, 경량기포글라스보드, 벌크(Bulk), 블랭킷(Blanket) 또는 매트(Mat) 형태의 암면, 현무암면, 글라스울 또는 세라믹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심재가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 1∼80중량%, 플라이애쉬 또는 버텀애쉬 1∼80중량%, 화염방지제 1∼80중량% 및 난연성 경화제 1∼60중량%를 포함하는 불연성 조성물을 혼합시킨 다음, 롤러프레스 또는 오토클레이브에 의해 성형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제조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골격과 그 내부에 불연성 심재가 내장된 방화문 또는 방화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한 면 이상에 불연성 철판, 미네랄보드, 암면보드, 실리카보드, 석고보드, 마그네슘보드 또는 알루미나보드를 더욱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또는 방화벽의 한 면 이상에 MDF, 합판, 천연 무늬목, 인테리어 필름(Interior Film), 알루미늄판 또는 미장지를 더욱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KR1020030067418A 2003-09-29 2003-09-29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18A KR100635810B1 (ko) 2003-09-29 2003-09-29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532073A JP2007507579A (ja) 2003-09-29 2004-09-23 不燃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建築用不燃性成形品及びこれの製造方法
PCT/KR2004/002447 WO2005030671A1 (en) 2003-09-29 2004-09-23 Incombustible composition, incombustible construction product using incombusti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incombustible construction product
US10/950,550 US7211318B2 (en) 2003-09-29 2004-09-28 Incombustible composition for fire door/wall, fire door/wall using incombustibl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fire door/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18A KR100635810B1 (ko) 2003-09-29 2003-09-29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197A KR20050031197A (ko) 2005-04-06
KR100635810B1 true KR100635810B1 (ko) 2006-10-18

Family

ID=3437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418A KR100635810B1 (ko) 2003-09-29 2003-09-29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11318B2 (ko)
KR (1) KR1006358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26B1 (ko) 2008-07-21 2010-12-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내화·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고강도 내화·내진패널의 제조방법
KR20200001280A (ko) * 2018-06-27 2020-01-06 (주)뉴다안 건축용 기능성 친환경 텍스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44864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친환경성을 갖춘 준불연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438A (ko) * 2004-02-05 2005-08-10 최준한 방화문(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방화문(벽) 및 이의 제조방법
US7255907B2 (en) * 2005-01-31 2007-08-14 Michael E. Feigin Magnesium oxide-based construction board
US20080314296A1 (en) * 2005-01-31 2008-12-25 Jet Products, Llc Manufactured construction board with improved chemistry
WO2006094512A2 (en) * 2005-03-11 2006-09-14 Stenca Trading A/S Improving resistance against open fire and firing
NZ569158A (en) * 2005-11-15 2010-04-30 Michael Albert Anderson Building panels and cementitious mixtures for building panels comprising vermiculite
KR100772124B1 (ko) * 2007-01-26 2007-10-31 주식회사 대겸 불연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 불연재의 제조방법
KR100837807B1 (ko) * 2007-01-31 2008-06-13 최준한 섬유질유기물을 이용한 산업용 불연성 조성물, 불연성성형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90025850A1 (en) * 2007-07-03 2009-01-29 Feigin Michael E Construction board for carbon capture and recycle
US20090011279A1 (en) * 2007-07-03 2009-01-08 Jet Products, Llc Manufactured construction board with texture
US20090011670A1 (en) * 2007-07-03 2009-01-08 Jet Products, Llc Manufactured construction board with reinforcing mesh
ES2317815B1 (es) * 2008-12-24 2009-10-20 Aljora Acumat, S.L Material aislante en base a lanas minerales recicladas y zeolita.
US8691340B2 (en) 2008-12-31 2014-04-08 Apinee, Inc. Preservation of woo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KR101160658B1 (ko) * 2009-12-28 2012-06-28 석동원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AU2010246330A1 (en) * 2010-11-01 2012-05-17 Finish Systems International, Llc Stone-wood composite base engineered flooring
US9878464B1 (en) 2011-06-30 2018-01-30 Apinee, Inc. Preservation of cellulosic materials,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CN103306386A (zh) * 2012-03-13 2013-09-18 张文军 一种防火保温板材的制备方法
KR101398423B1 (ko) * 2013-04-08 2014-05-27 주식회사네이처시스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US20150240163A1 (en) * 2014-02-25 2015-08-27 Mach Iv, Llc Fire core compositions and methods
PT2944621T (pt) * 2014-05-15 2017-07-05 Omya Int Ag Produto placa de fibra que compreende um material contendo carbonato de cálcio
CN104775725B (zh) * 2015-04-30 2017-03-01 陈俊龙 猎醛木门
CN106746583A (zh) * 2016-12-01 2017-05-31 华北理工大学 一种矿渣棉生产中高炉熔渣流动性的改善方法
US10246934B2 (en) 2016-12-23 2019-04-02 Plastpro 2000, Inc. Door comprising vermiculite-containing co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8793937A (zh) * 2017-04-27 2018-11-13 青海大学 一种新型磷石膏建筑防火保温气块及制备方法
KR102129815B1 (ko) * 2017-12-29 2020-07-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방화문용 단열재 조성물 및 방화문용 단열재의 제조 방법
CN109057659A (zh) * 2018-07-11 2018-12-21 叶成 不锈钢泡沫防火门工艺
CN110341216A (zh) * 2019-05-27 2019-10-18 陈凯 一种防火密度板的制作方法
WO2021016258A1 (en) * 2019-07-22 2021-01-28 Dale Ryan Ceramic coating with ambient temperature cure
US10597932B1 (en) 2019-08-14 2020-03-24 John Cipri Swinging type fire door
CN111690174B (zh) * 2020-07-10 2021-12-24 福建固泰有机硅材料有限公司 一种含有改性白炭黑的胶辊用硅橡胶及其制备方法
CN113416052A (zh) * 2021-07-30 2021-09-21 四川兴事发门窗有限责任公司 门框用复合无机防火芯料
CN115030395B (zh) * 2022-07-05 2023-12-01 金松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和抗震等级高的模块化建筑板墙
KR102557316B1 (ko) * 2022-09-21 2023-07-24 주식회사 아라산전 태양광 에너지에 의한 불연 배전반 원격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1356A (ja) * 1982-03-03 1983-09-08 水澤化学工業株式会社 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
US4572862A (en) * 1984-04-25 1986-02-25 Delphic Research Laboratories, Inc. Fire barrier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magnesium oxychlorides and high alumina calcium aluminate cements or magnesium oxysulphat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26B1 (ko) 2008-07-21 2010-12-14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내화·내진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고강도 내화·내진패널의 제조방법
KR20200001280A (ko) * 2018-06-27 2020-01-06 (주)뉴다안 건축용 기능성 친환경 텍스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095786B1 (ko) * 2018-06-27 2020-04-01 (주)뉴다안 건축용 기능성 친환경 텍스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44864A (ko)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친환경성을 갖춘 준불연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11318B2 (en) 2007-05-01
KR20050031197A (ko) 2005-04-06
US20050066622A1 (en)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810B1 (ko) 방화문 또는 방화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방화문 또는 방화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5832B1 (ko)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성형품 및이의 제조방법
KR20050031196A (ko)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성형품 및이의 제조방법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CN107117930A (zh) 一种耐高温高强度防火门芯板材及其制备方法
CN107986720A (zh) 一种保温防火环保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6554893B2 (en) Fire door core
KR100473347B1 (ko) 경량골재를 이용한 내화성 판재조성물
WO2017201566A1 (en) Aerated alkali activated material
CN101775882A (zh) 一种环保、耐燃的装饰材料及其制备工艺
JP2007507579A (ja) 不燃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建築用不燃性成形品及びこれの製造方法
KR101218944B1 (ko) 스티로폼알갱이가 혼합된 난연성 건축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난연성 건축판재
KR20060053658A (ko) 불연성 방화 구조체
KR20050079438A (ko) 방화문(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방화문(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5719B1 (ko) 이중바닥재의 판재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이중바닥재용 판재의 제조방법 및 불연성 이중바닥재용 판재
KR100760690B1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CN111825414A (zh) 一种耐高温绿色多层防火板及制造方法
CN108585615A (zh) 一种抗压轻质防火板材及其制备方法
KR20050081807A (ko) 방화문(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방화문(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4427B1 (ko) 불연성 경량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경량 패널
KR20050081803A (ko)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용 불연성 성형품 및이의 제조방법
KR20050081806A (ko) 이중바닥재의 판재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이중바닥재용 판재의 제조방법 및 불연성 이중바닥재용 판재
KR20050081805A (ko) 방화문(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방화문(벽)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37807B1 (ko) 섬유질유기물을 이용한 산업용 불연성 조성물, 불연성성형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16581Y1 (ko) 난연성 바닥판넬 및 벽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