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729B1 - Li ion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Li ion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729B1
KR100635729B1 KR1020050056419A KR20050056419A KR100635729B1 KR 100635729 B1 KR100635729 B1 KR 100635729B1 KR 1020050056419 A KR1020050056419 A KR 1020050056419A KR 20050056419 A KR20050056419 A KR 20050056419A KR 100635729 B1 KR100635729 B1 KR 10063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ase
ion secondary
lithium ion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기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7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is maximized in the inner space of a case by optimizing the thickness of a case and is improved in battery capacity.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rises a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which comprises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110) which is provided with a short side part(110b) and a long side part(110a) and has a box shape whose upper part is open; and a cap assembly which is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case to seal it and has a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electrode assembly. The long side part(110a) of the case has a thickness of 0.16 mm or less.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 전지{Li Ion Secondary Battery}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Li Ion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as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리튬 이온 이차 전지 11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00;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110;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a; 장측면 110b; 단측면110a; Long side 110b; One-sided

200; 전극 조립체 210; 제 1 전극판200; Electrode assembly 210; First electrode plate

215; 제 1 전극 탭 220; 제 2 전극판215; First electrode tab 220; Second electrode plate

225; 제 2 전극 탭 230; 세퍼레이터225; Second electrode tab 230; Separator

240; 절연 테이프 300; 캡 조립체240; Insulating tape 300; Cap assembly

310; 캡 플레이트 311; 단자 통공310; Cap plate 311; Terminal through hole

312; 전해액 주입공 315; 보올312;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5; Bowl

320; 단자 전극 330; 가스켓320; Terminal electrode 330; gasket

340; 절연 플레이트 350; 단자 플레이트340; Insulation plate 350; Terminal plate

360; 절연 케이스 362; 전해액 주입구360; Insulated case 362; Electrolyte inle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두께를 최적화함으로써,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최대화하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지 용량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by optimizing the thickness of a cas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axim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improving the battery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t relates to an ion secondary battery.

최근에는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콤팩트하고 경량화된 전기/전자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내장된 전지 팩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를 일정기간동안 구동시키기 위해 일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고 있다. Recently, compact and lightweight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s, notebook computers, camcorders, etc.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nd produced. These portable electric / electronic devices have a battery pack that can be operated in a place where no separate power source is provided. The built-in battery pack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therein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level of voltage for driving the portable electric / electronic device for a period of time.

상기 전지 팩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이차전지에는 대표적으로, 니켈-카드뮴(Ni-Cd) 전지와 니켈-수소(Ni-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ion) 전지 등의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In view of economical aspects, the battery pack employs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Representative secondary batteries includ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uch as nickel-cadmium (Ni-Cd) batteries, nickel-hydrogen (Ni-MH) batteries, lithium (Li) batteries, and lithium ion (Li-ion) batteries.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particula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operating voltage of 3.6 V,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a nickel-cadmium battery or a nickel-hydrogen battery, which is widely used as a power source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is rapidly increasing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to be.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 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Su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carbon materials a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In general, a battery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Moreover, althoug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ypical shapes include cylindrical shape, square shape, and pouch type.

통상적으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전극판 및 상기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Li-ion)의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일반적으로 알류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와,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 내측에 주입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해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Typically,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position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coated wit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to prevent a short and to prevent lithium ions (Li-io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containing an electrode assembly wound around a separator capable of only movement of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generally injected into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It consists of an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like to enable.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상기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양극 탭이 연결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음극 탭이 연결된 음극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적층한 후, 이를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한다.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coat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ab,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parator is laminated, and then wound to prepare an electrode assembly.

그런 다음, 상기 전극 조립체를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에 수용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 후,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완성한다. T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o prevent the electrode assembly from being separated, the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then sealed to complete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상기한 바와 같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용량에 의하여 전지 용량이 결정된다. I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capacity is determined by the capacity of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는 알루미늄으로 이 루어지며, 0.2㎜ 이상의 두께로 이루어져있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지 용량을 향상시키고, 경량화하는 현재의 추세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In general, however,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made of aluminum, and has a thickness of 0.2 mm or more, which is an obstacle to the current trend of improving and reducing the battery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두께를 최적화함으로써,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최대화하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지 용량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thickness of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o maxim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batter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 objective is to provide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hich improved the capac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와; 단측면 및 장측면을 구비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측면의 두께가 0.16㎜ 이하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봉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ound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the second electrode plate,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having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the upper side of which is opened in the form of a box, wherein the long side has a thickness of 0.16 mm or l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 assembly coupled to the case and sea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와; 단측면 및 장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이루며 횡단면에서 장변 및 단변 길이의 비율은 1.3 내지 4.0인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봉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 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un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A cas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a ratio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length in the cross section is 1.3 to 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ap assembly is coupled to the case and sealed and the terminal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장측면의 두께 대 단측면의 두께의 비율은 1.05 내지 1.6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스의 단측면의 두께는 0.097㎜ 내지 0.152㎜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long side surface to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case is preferably 1.05 to 1.65, and the thickness of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case is preferably 0.097 mm to 0.152 mm.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장측변 대 단측변 길이의 비율은 1.3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long side to short side length inside the case is 1.3 to 4.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100)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와, 상기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젤리-롤형의 전극 조립체(200)와, 상기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ary battery case 110, a jelly-roll electrode assembly 200 accommodated in the secondary battery case 110,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The cap assembly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case 110.

상기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는 대략 상부가 개구된 박스(box) 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condary battery case 110 may be formed of a box-shaped metal material having an upper portion of the rechargeable battery case 110, and may serve as a terminal itself.

상기 전극 조립체(200)는 일반적으로 양극 탭으로 사용되는 제 1 전극 탭(215) 및 음극 탭으로 사용되는 제 2 전극 탭(225)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제 1 전극 탭(215)이 부착된 제 1 전극판(210)과, 상기 제 1 전극 탭(215) 및 제 2 전극 탭(225) 중 다른 하나, 예를 들면 제 2 전극 탭(225)이 부착된 제 2 전극판(220)과, 상기 제 1 전극판(210) 및 제 2 전극판(220)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230)가 권취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전극 탭(215) 및 제 2 전극 탭(225)이 상기 전극 조립체(200)로부터 인출되는 경계부에는 상기 제 1 전극판(210) 및 제 2 전극판(220) 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240)로 각각 절연되어 있다. The electrode assembly 200 may be attached to any one of the first electrode tab 215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225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tab,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tab 215.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0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plate 210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electrode tab 215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225,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tab 225, are attached. And, the separator 23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0 is formed in a wound form, it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ary battery case 110. In ord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210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0 at the boundary portion at which the first electrode tab 215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225 are drawn out from the electrode assembly 200. Each is insulated by an insulating tape 240.

상기 캡 조립체(300)에는 상기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개구부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구비하는 평판형 캡 플레이트(31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는 단자 통공(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플레이트(310)의 일측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공(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해액 주입공(312)은 보올(315)과 결합되어 밀폐된다. The cap assembly 300 is provided with a flat cap plate 310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econdary battery case 110. A terminal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ap plate 310,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2 for injecting an electrolyt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plate 310,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2 is formed. ) Is combined with the bowl 315 and sealed.

상기 단자 통공(311)에는 전극 단자(320), 예를 들면, 음극 단자가 삽입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극 단자(3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캡 플레이트(31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튜브 형상의 가스켓(3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310)의 아랫면에는 절연 플레이트(3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340) 아랫면에는 단자 플레이트(350)가 설치되어 있다. An electrode terminal 320, for example,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through hole 311.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320 is provided with a tube-shaped gasket 330 for electrical insulation with the cap plate 310. An insulation plate 34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310. The terminal plate 35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340.

상기 전극 단자(320)는 상기 가스켓(330)이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단자 통공(311)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전극 단자(320)의 저면부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340)를 개재한 상태에서 단자 플레이트(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electrode terminal 320 is insert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311 while the gasket 33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ottom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350 in a state of interposing the insulating plate 340.

상기 캡 플레이트(310)의 아랫면에는 상기 제 1 전극판(210)으로부터 인출된 제 1 전극 탭(215)이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단자(3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2 전극판(220)으로부터 인출된 제 2 전극 탭(225)이 용접된다. The first electrode tab 215 drawn from the first electrode plate 210 is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electrode terminal 320 is welded from the second electrode plate 220. The drawn second electrode tab 225 is welded.

한편, 상기 전극 조립체(200)의 상면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200)와 캡 조립체(3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전극 조립체(20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절연 케이스(3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360)는 상기 캡 플레이트(310)의 전해액 주입구(3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해액 주입구(362)를 구비하여,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연 케이스(36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써,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electrically insulates the electrode assembly 200 and the cap assembly 300, and at the same time an insulating case 360 that can cover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installed. The insulating case 360 may include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36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312 of the cap plate 310 to inject the electrolyte solution. The insulating case 360 is an insulating polymer resin, preferably made of polypropylene,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2는 도 1의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as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는 상기 전극 조립체(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대략 박스(box)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 및 이들의 등가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는 일반적으로 장측변(A) 대 단측변(B) 길이의 비율이 1.3 내지 4.0이다. Referring to FIG. 2, the case 110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x shap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200. In additio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is generally made of aluminum (Al), aluminum alloy (Al alloy) and their equivalents,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generally has a ratio of the long side (A) to the short side (B) in a length of 1.3 to 4.0.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는 0.16㎜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 전체의 체적은 유지하면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내부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16 mm or less. This is to increase the internal volum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while maintaining the volume of the entir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장측면(110a)의 두께(C) 대 단측면(110b)의 두께(D)의 비율(C/D)은 1.05 내지 1.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장측면(110a)의 두께(C)가 0.16㎜라고 가정하면,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단측면(110b)의 두께(D)는 0.097㎜ 내지 0.15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가 상기 전극 조립체(200)의 크기에 의존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200)의 크기는 주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의 장측변의 길이(A`)에 의존하므로, 상기 단측면(110b)의 두께(D)를 상기 장측면(110a)의 두께(C)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장측변의 길이(A`)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The ratio C / D of the thickness C of the long side surface 110a to the thickness D of the short side surface 110b of the case 110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preferably 1.05 to 1.65. That is, assuming that the thickness C of the long side surface 110a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is 0.16 mm, the thickness D of the short side surface 110b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is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097 mm-0.152 mm. This is because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100 depends on the siz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the size of the electrode assembly 200 is mainly the length of the long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A '), so that the thickness D of the short side 110b is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C of the long side 110a to increase the length A' of the long side of the inner space. to be.

또한,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 내부 공간의 장측변(A`) 대 단측변(B`) 길이의 비율은 1.3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long side A 'to the short side B'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10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preferably 1.3 to 4.0.

상기한 바와 같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는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전체 체적을 유지하며,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의 두께를 0.16㎜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내부 체적이 증가하여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의 전지 용량이 향상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100 maintains the total volum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and maintains the thickness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se 110 at 0.16 mm or less, thereby increasing the internal volume. Increasingly, the battery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100 is improv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두께를 최적화함으로써, 상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최대화하며,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전지 용량을 향상시킨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thickness of the case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thereby maxim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for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improving the battery capacity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an be provid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 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8)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와; A wound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단측면 및 장측면을 구비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측면의 두께가 0.16㎜ 이하인 케이스와; A case having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the upper side of which is opened in the form of a box, wherein the long side has a thickness of 0.16 mm or less;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봉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And a cap assembly coupled with the case to seal the cap and having a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장측면의 두께 대 단측면의 두께의 비율은 1.05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long side surface to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case is 1.05 to 1.65,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케이스의 단측면의 두께는 0.097㎜ 내지 0.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thickness of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case is 0.097mm to 0.152mm,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장측변 대 단측변 길이의 비율은 1.3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ratio of the long side to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1.3 to 4.0, characterized in that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와; A wound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plate, a second electrode plate,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late; 단측면 및 장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장측변 및 단측변 길이의 비율은 1.3 내지 4.0인 케이스와; A cas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hort side and a long side, wherein a ratio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s 1.3 to 4.0;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어 이를 밀봉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And a cap assembly coupled with the case to seal the cap and having a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케이스의 두께는 0.1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thickness of the case is 0.16 mm or les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케이스의 장측면의 두께 대 단측면의 두께의 비율은 1.05 내지 1.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long side surface to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case is 1.05 to 1.65,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케이스의 단측면의 두께는 0.097㎜ 내지 0.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The thickness of the short side surface of the case is 0.097mm to 0.152mm,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0050056419A 2005-06-28 2005-06-28 Li ion secondary battery KR100635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19A KR100635729B1 (en) 2005-06-28 2005-06-28 Li ion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19A KR100635729B1 (en) 2005-06-28 2005-06-28 Li ion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729B1 true KR100635729B1 (en) 2006-10-17

Family

ID=3762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419A KR100635729B1 (en) 2005-06-28 2005-06-28 Li ion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7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80A1 (en) * 2017-09-07 2019-03-14 삼성에스디아이(주) Secondary batt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80A1 (en) * 2017-09-07 2019-03-14 삼성에스디아이(주) Secondary battery
KR20190027672A (en) * 2017-09-07 2019-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102425799B1 (en) * 2017-09-07 2022-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381B1 (en) Li Ion Secondary Battery
KR100686841B1 (en) Li Secondary Battery
KR100686812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14367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96821B1 (en) Li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01551B1 (en) Ele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100646520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060153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01552B1 (en) Li Ion Secondary Battery
KR100635729B1 (en) Li ion secondary battery
KR100731464B1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KR100601536B1 (en) Li Ion Secondary Battery
KR100670431B1 (en) Li Secondary Battery
KR100635731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01544B1 (en) Cap Assembly and Li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100670430B1 (en) Li Secondary Battery
KR100670516B1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KR101057514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79409B1 (en) Secondary battery
KR100601543B1 (en) Li Secondary Battery
KR100686833B1 (en) Secondary Battery
KR20060028183A (en) Cap assembly and li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KR100670432B1 (en) Li Secondary Battery
KR20070006093A (en) Li secondary battery
KR100686840B1 (en) Li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