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431B1 -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431B1
KR100634431B1 KR1020040066461A KR20040066461A KR100634431B1 KR 100634431 B1 KR100634431 B1 KR 100634431B1 KR 1020040066461 A KR1020040066461 A KR 1020040066461A KR 20040066461 A KR20040066461 A KR 20040066461A KR 100634431 B1 KR100634431 B1 KR 10063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data
recording
broadcast dat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8116A (en
Inventor
나원주
최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채티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채티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채티비
Priority to KR102004006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431B1/en
Publication of KR2006001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43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05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 설정된 예약 시간 동안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용 키워드 음성의 존재 여부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DB 서버에 저장한 후, DB 서버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여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한 후 해당 엔드-유저에게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and a method thereof, and includes data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keyword voice for monitoring for broadcast data recorded during a preset reservation time is stored in a DB server in the form of a text file. Then, the broadcast data is searched and extracted based on the text 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server,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and then provided to the end-user.

Description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본 발명은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monitoring.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 설정된 예약 시간 동안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엔드-유저가 선택한 방송 데이터를 검색하여 추출한 후,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엔드-유저가 요청한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제공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fter searching for and extracting broadcast data selected by the end-user based on text information about broadcast data recorded for a preset reservation time, the extracted broadcast data is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 requested by the end-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 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기본적인 문자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는 등 전자우편, 파일전송, WWW(World Wide Web)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ternet is an open network that can be connected and used freely by applying a common protocol called TCP / IP to other computers that anyone wants to access anywhere in the world. Various services such as e-mail, file transfer, and the World Wide Web (WWW) can be used, for example, for delivery.

이와 같은 인터넷은 국내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되면서 기존 산업의 전 부분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인 도구로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최근에 있어서는 각 방송사로부터 송출되는 미디어 정보를 실시간 예약 녹화하고, 녹화된 미디어 정보를 VCD 파일, DVD 파일 및 웹파일 그리고 모바일 포맷 등의 다양한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use of the Internet is rapidly increasing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is rapidly increasing as a strategic tool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all parts of the existing industry. New business opportunities for reservation recording, editing of recorded media information into various files such as VCD files, DVD files and web files, and mobile formats are continuously created, and the area is expanding.

종래, 방송사로부터 송출되는 미디어 정보를 예약 녹화하는 시스템은, 각 방송사별로 할당된 TV 모니터 장치에 연결된 VCR을 통하여 방송사별로 송출되는 미디어 정보, 예를 들면 오락 프로그램, 시사 프로그램, 뉴스 등의 미디어 정보를 녹화테잎(VHS)에 저장시킨다.Conventionally, a system for pre-recording media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broadcaster includes media information transmitted for each broadcaster, for example, media information such as an entertainment program, a preview program, and news, through a VCR connected to a TV monitor device assigned to each broadcaster. It is stored in the recording tape (VHS).

이후, 각 방송사의 미디어 정보가 저장된 녹화테입을 재생 및 녹화 VCR을 사용하여 자막 등을 삽입하는 편집작업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VHS 녹화 테잎을 다수게 제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Subsequently, a plurality of final VHS recording tapes were manufactured and provided to a user by performing a editing process of playing a recording tape storing media information of each broadcasting company and inserting a subtitle using a recording VC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디어 정보를 녹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방송사별로 송출되는 미디어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모니터링 요원이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운용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ystem for recording media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 large number of monitoring personnel are required to monitor the media information transmitted by each broadcasting compan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ng cost due to the increase in labor costs increases. .

또한, 종래의 미디어 정보 녹화 시스템은 VHS 녹화 테입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녹화하기 때문에 모니터링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미디어 정보에 대한 녹화/편집의 신속성 및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edia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records the media information using the VHS recording ta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other operations cannot be performed while monitoring, thereby reduc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recording / editing the media information.

또한, 종래의 미디어 정보 녹화 시스템은 VHS 녹화 테입을 이용하여 미디어 정보를 녹화하기 때문에 한정된 다양한 파일 형태의 미디어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dia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limited variety of media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file because it records the media information using the VHS recording tap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약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 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여 엔드-유저가 요청한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data information of reserved-recorded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text file, search for and extract the corresponding broadcast data based on the stored text file information, and then end-us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and a method for editing and providing the file in a requested form.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드-유저가 선택한 방송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CD 또는 DVD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시킨 후, 이를 해당 엔드-유저에게 제공하는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the broadcast data selected by the end-user in a predetermined file form and storing the same o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or DVD, and then providing the same to the end-user.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키기 위한 신호 증폭 수단; 상기 신호 증폭 수단에 의하여 증폭된 방송 신호를 방송 채널별로 할당하여 분배하는 신호 분배 수단; 상기 신호 분배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각 방송 채널별로 듀얼 형태로 구성된 녹화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소정의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녹화하여 저장하고,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해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의 존재 여부 등이 기록된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여 외부로 업로드 하는 데이터 녹화 수단; 및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 파일을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한 후 편집된 형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파일을 생성 일자 순으로 저장하며, 엔드-유저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파일을 통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여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엔드-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편집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using the voic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ignal amplification means for amplifying a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size; Signal distribution means for allocating and distributing the broadcast signal amplified by 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for each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s recorded and stored as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media file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by using a recording terminal configured in dual format for each broadcast channel, and recorded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Data recording means for forming a text fi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ice keyword for the monitor is recorded and uploading it to the outside; And editing the broadcast data file inputted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classifying and storing the edited data file by the edited format, and storing the text file inputted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n the order of creation date.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input from the user,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searched and extracted through the text file, and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 to the end-user terminal. And data editing means for transmit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방법은, 신호 증폭 수단에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방송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키는 단계; 신호 분배 수단에서 상기 신호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를 방송 채널별로 할당된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 분배하는 단계; 데이터 녹화 수단에서 상기 신호 분배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각 방송 채널별로 듀얼 형태로 구성된 녹화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소정의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녹화하여 저장하고,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해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의 존재 여부 등이 기록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텍스트 파일을 외부로 업로드 하는 단계; 및 데이터 편집 수단에서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 파일을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한 후 편집된 파일 형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파일을 생성 일자 순으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엔드-유저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텍스트 파일을 통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엔드-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oadcast data recording method using the voic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 broadcast signal incident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size; Distributing, by signal distribution means, the broadcast signal amplified by 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to data recording means allocated to each broadcasting channel; The data recording means records and stores the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as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media file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by using a recording terminal configured in dual format for each broadcast channel. Generating and storing a text fi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ice keyword for a monitor is recorded with respect to the broadcast data, and uploading the text file to the outside; And editing the broadcast data file inputted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nto a predetermined file type in the data editing means, classifying and storing the edited file type by the edited file type, and sequentially storing the text file input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n the order of creation date.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input from the end-user terminal,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searched and extracted through a text file and then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 And transmitting to the end-user terminal.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예약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roadcast data reservation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시스템(1000)은, 녹화용 단말기에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모니터용 키워드 음성에 의하여 엔드 유저가 선택한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엔드-유저가 선택한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네트워크 통신망(2000)을 통하여 엔드-유저 단말기(3000)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증폭 수단(100), 신호 분배 수단(200), 데이터 녹화 수단(300) 및 데이터 편집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broadcast data system 1000 using voic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nd extracts broadcast data selected by an end user by monitoring keyword voices included in broadcast data recorded on a recording terminal, and extracts extracted broadcast data. Is edited in the form of a file selected by the end-user and provided to the end-user terminal 3000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00. As shown in FIG. 1, 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100 and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200 are provided. ),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and the data editing means 400 are configured.

신호 증폭 수단(100)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신호 분배 수단(200)을 통하여 방송 신호 분배시에 발생하는 신호 감쇄를 방지함으로써 화질 열화 또는 음성과 영상의 비동기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증폭기(RF AMP)이다.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100 amplifi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thereby prevents signal attenuation generated during distribution of a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200, thereby deteriorating image quality or sound.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synchronous image, etc. More specifically, it is a high frequency amplifier (RF AMP).

신호 분배 수단(200)은 신호 증폭 수단(100)에 의하여 소정 크기로 증폭된 방송 신호를 미디어 채널별로 할당된 녹화용 단말기로 분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배기(distributor)이다.The signal distributing means 200 serves to decompose the broadcast signal amplified by the signal amplifying means 100 into a recording terminal allocated to each media channel. More specifically, the signal distributing means 200 is a distributor.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방송 신호를 소정의 미디어 파일(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하여 녹화하고,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텍스트 파일 정보를 형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용 단말기(310), 절환 스위치(320) 및 모니터용 단말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data recording means 300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media file (avi)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and records the data, and forms predetermined text file information o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to the outside. As shown, as shown in Figure 2, it comprises a recording terminal 310, the switching switch 320 and the monitor terminal 330.

여기서, 녹화용 단말기(310)는 미디어 방송 채널별로 각각 설정되어 있고,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텍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 수신부(311), 음성 인식 모듈(312), 스케쥴러 모듈(313), 데이터 통신 모듈(314), 데이터베이스 (315) 및 제어부(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recording terminal 310 is set for each media broadcasting channel, and serves to generate predetermined text information o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and transmit the generated text information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2,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311,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312, the scheduler module 313, 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314, the database 315, and the controller 316 are configured.

이때, 녹화용 단말기(310)는 외부 환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시스템의 다운으로 인하여 방송 데이터의 녹화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각 방송 채널별로 듀얼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recording terminal 310 is configured in a dual format for each broadcast channel in case the recording of broadcast data cannot be performed continuously due to the down of the system generated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이하, 녹화용 단말기(3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recording terminal 310 will be described.

방송 신호 수신부(311)는 신호 분배 수단(200)으로 각각 분배되어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음성/영상의 미디어 파일(avi)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TV 수신카드이다.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3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which are divided and input to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200, and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into a media file (avi) form of audio / video. Specifically, it is a TV reception card.

음성 인식 모듈(312)은 녹화용 단말기(310)에 데몬으로 실행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기 설정된 예약 시간 동안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에 소정의 모니터용 키워드 음성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The voice recognition module 312 is installed to run as a daemon in the recording terminal 310, and monitors the presence of a predetermined monitor keyword voice in the broadcast data recorded for a preset reservation time.

또한, 상기 음성 인식 모듈(312)은 기 설정된 예약 시간 동안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텍스트 정보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제작한 후, 상기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기 설정된 업데이트 시간에 연동하여 스케쥴러 모듈(313)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312 produces predetermined text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data recorded during the preset reservation time in the form of a text file, and then links the text file o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to the preset update time. To the scheduler module 313.

이때, 상기 텍스트 파일에는 녹화된 방송 데이터(AVI)에 대한 파일명, 모니터링 키워드 음성에 대한 색인어, 상기 색인어가 포함된 음성이 추출된 시간, 녹화 일자, 방송 채널 및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녹화용 단말기의 디렉토리등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text file includes a file name for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VI), an index word for a monitoring keyword voice, a time at which the voice including the index word is extracted, a recording date, a broadcast channel and a broadcast data. Contains text information such as directories.

스케쥴러 모듈(313)은 녹화용 단말기(310)에 데몬으로 실행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듈(312)에 의하여 형성된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기 설정된 특정의 업로드 시간에 연동하여 DB 서버로 업로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cheduler module 313 is installed to run as a daemon in the recording terminal 310, and sets a specific upload time for a text file including text information of the recorded broadcast data form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312. Upload to DB server by interworking with.

데이터베이스(314)는 방송 신호 수신부(311)에 의하여 음성/영상의 미디어 파일 (avi)형태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와, 상기 음성 인식 모듈(312)에 의하여 생성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저장한다.The database 314 stores broadcast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311 into a media file (avi) of audio / video and a text file of broadcast data generat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312.

데이터 통신 모듈(315)은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녹화용 단말기(310)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데이터 편집 수단(4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기가비트의 이더넷 허브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을 데이터 편집 수단(4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ata communication module 315 serves to deliver th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recording terminal 310 and the text file of the broadcast data to the data editing means 400 by using the TCP / IP protocol, but is capable of large capacity transmission. It serves to deliver broadcast data and text files to the data editing means 400 through a Gigabit Ethernet hub.

제어부(316)는 절환 스위치(320)를 통하여 모니터링 단말기(33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녹화용 단말기(3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316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recording terminal 310 in association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330 through the switching switch 320.

절환 스위치(320)는 방송 데이터를 예약 녹화하는 녹화용 단말기(310)와 상기 녹화용 단말기(310)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용 단말기(330) 상호간의 컨트롤 접점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The changeover switch 320 performs switching of control contacts between the recording terminal 310 for pre-recording broadcast data and the monitoring terminal 330 for monitoring the recording terminal 310.

따라서, 방송 데이터를 예약 녹화하는 녹화용 단말기(310)를 다수개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녹화용 단말기(310)를 소정 개수로 그룹화 한 후 상기 절환 스위치(320)를 통하여 하나의 모니터용 단말기(330)에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recording terminals 310 for pre-recording broadcast data are installed, the recording terminals 310 are group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and then one monitor terminal is provided through the changeover switch 320. 330 can be connected to control.

모니터용 단말기(330)는 상기 절환 스위치(320)를 통하여 소정 개수로 그룹화 된 녹화용 단말기(310)와 상호 통신연결 되어 있고, 모니터 요원에 의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녹화용 단말기(310)에 대한 방송 데이터의 예약 녹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onitor terminal 330 is connected to the recording terminal 310 grouped by a predetermined number through the changeover switch 320, and the recording terminal (330) based o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putted by the monitor agent. It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reservation recording process of the broadcast data for 310.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의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엔드-유저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부(410), 데이터 편집부(420), DB 서버(430), 웹 서버(440) 및 중앙 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 editing means 400 searches for and extracts broadcast data including a specific monitor voice keyword by using text information of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nd then edits the extracted broadcast data in a predetermined file form to the end-user. As shown in FIG. 4, the data communication unit 410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unit 410, a data editing unit 420, a DB server 430, a web server 440, and a central control unit 450. .

데이터 통신부(410)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하여 데이터 녹화 수단(300)과 통신 접속한 후,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300)으로부터 대용량 전송이 가능한 기가비트 허브를 통하여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avi)를 입력받는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410 communicates with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through the TCP / IP protocol, and then transmits the broadcast data avi in the form of a media file through a gigabit hub capable of large capacity transmission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Receive input.

이때, 데이터 통신부(410)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하여 데이터 녹화 수단 (300)으로부터 기 설정된 예약 시간 동안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텍스트 파일을 또한 입력받는다.At this time, the data communication unit 410 also receives a text file that records text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ata recorded for a preset reservation time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through the TCP / IP protocol.

여기서, 텍스트 파일에는 녹화된 방송 데이터(avi)에 대한 파일명, 모니터용 키워드 음성에 대한 색인어, 상기 색인어가 포함된 음성이 추출된 시간, 녹화 일자, 방송 채널 및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녹화용 단말기의 디렉토리 등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Here, the text file includes a file name for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vi), an index word for a monitor keyword voice, a time at which the voice including the index word is extracted, a recording date, a broadcast channel, and a broadcast channel. Contains text information such as directories.

이후, 상기 데이터 통신부(410)는 중앙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부(420)로 전달하는 동시에, 기 설정된 예약 시간동안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DB 서버(430)로 전달한다.Subsequently, the data communication unit 410 transfers the broadcast data to the data editing unit 420 in association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450, and simultaneously stores a text file for the broadcast data recorded for a preset reservation time. Forward to 430.

데이터 편집부(420)는 데이터 통신부(410)를 통하여 전달되는 미디어 파일 (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된 방송 데이터를 VCD 파일 형태의 MPEG 1, DVD 파일 형태의 MPEG2, 웹상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한 WMV파일, RM파일 및 QUICK TIME 파일,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포맷 등의 다양한 파일 형태로 편집한다.The data editing unit 420 receives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avi)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n converts the input broadcast data into MPEG-1 in the form of a VCD file, MPEG2 in the form of a DVD file, and the web. Edit to various file types such as WMV file that can be streamed, RM file and QUICK TIME file, and mobile format that can be used for mobile service.

이후, 데이터 편집부(420)는 중앙 제어부(45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다양한 종류의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를 DB 서버(430)에 저장시킨다.Subsequently, the data editing unit 420 stores the broadcast data edited in various file types in the DB server 430 in association with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450.

이때, 데이터 편집부(420)는 다양한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여 DB 서버(430)에 저장시키되, 상기 텍스트 파일에는 편집된 방송 데이터(avi)의 파일명, 편집 형태(포맷), 넘버링, 타이틀, 텍스트, 출처, 작성자 및 편집 일자 등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data editing unit 420 generates a predetermined text file for the broadcast data edited in various file formats and stores the predetermined text file in the DB server 430. The text file includes the file name of the edited broadcast data avi and the edit form. It contains textual information such as (format), numbering, title, text, source, author, and date edited.

또한, 데이터 편집부(420)는 다양한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를 넘버링이 할당된 CD 또는 DVD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시킨 후, 넘버링이 할당된 저장매체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여 DB 서버(430)에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data editing unit 420 stores the broadcast data edited in various file formats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or DVD to which numbering is assigned, and then generates a text file for the storage medium to which numbering is assigned. ).

여기서, 데이터 변환부(420)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파일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웹서버(440)로 방송 데이터의 파일을 전송하는 과정 없이도 웹페이지를 통한 웹 서비스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ata converter 4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and thus a file sharing of the stored broadcast data is possible, thereby transmitting a file of the broadcast data to the web server 440 described later. Web services are possible through web pages without the need.

DB 서버(430)는 데이터 통신부(410)를 통하여 전달되는 기 설정된 예약 시간동안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입력받은 후, 이를 생성 일자 순으로 순차적으로 저장한다.The DB server 430 receives a text file for broadcast data recorded during a preset reservation time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410, and stores the text file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creation date.

또한, 상기 DB 서버(430)는 데이터 편집부(420)에 의하여 소정의 파일 형태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 예를 들면 VCD 파일 형태의 MPEG 1, DVD 파일 형태의 MPEG2, 웹상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한 WMV파일, RM파일 및 QUICK TIME 파일,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포맷 등의 방송 데이터를 파일 형태별로 분류하여 각각 저장한다.In addition, the DB server 430 is broadcast data converted by the data editing unit 420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for example, MPEG-1 in the form of a VCD file, MPEG2 in the form of a DVD file, WMV file that can be streamed on the web, Broadcast data such as RM file, QUICK TIME file, and mobile format that can be used for mobile service ar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file type.

이때, 상기 DB 서버(430)는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데이터 편집부(420)로부터 입력받은 후, 이를 생성 일자순으로 순차적으로 저장한다.In this case, the DB server 430 receives a text file for the broadcast data edited in a predetermined file form from the data editing unit 420, and sequentially stores the text file in the order of creation date.

또한, 상기 DB 서버(430)는 데이터 편집부(420)에 의해 다양한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CD 또는 DVD 등의 기록매체에 대한 넘버링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DB server 430 stores a text file including numbering information for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or a DVD storing the broadcast data edited by the data editing unit 420 in various file formats.

웹서버(440)는 데이터 편집 수단(400)을 구성하는 DB 서버(430)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할 수 있는 관리자 웹페이지를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400)의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시킨다.The web server 440 may display an administrator web page for registering, modifying, deleting, and inquiring information about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DB server 430 constituting the data editing means 400. Display on the display.

또한, 웹서버(440)는 회원 가입한 엔드-유저 단말기(300)로 사용자 웹페이지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사용자 웹페이지를 통하여 엔드-유저가 입력한 방송 데이터 정보를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4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web server 440 downloads the user web page to the end-user terminal 300 as a member, and transmits the broadcasting data information input by the end-user to the data editing means 400 through the user web page. It serves to convey.

중앙 제어부(450)는 데이터 편집부(420)에 의하여 다양한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와, 상기 편집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DB 서버(430)에 저장시킨다.The central control unit 450 stores the broadcast data edited in various file formats by the data editing unit 420 and the text file for the edited broadcast data in the DB server 430.

또한, 중앙 제어부(450)는 웹 서버(440)와 상호 연동하는 소정의 웹 구동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DB 서버(430)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관리자 웹사이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unit 450 displays on the display apparatus an administrator website capable of managing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DB server 430 through a predetermined web driving program that interoperates with the web server 440. do.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웹사이트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중앙 제어부(450)는 상기 관리자 웹사이트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에 연동하여 DB 서버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등록, 수정, 삭제 및 조회 등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broadcast data is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website, the central control unit 450 registers the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DB server in association with the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website. , Modify, delete and search.

이때, 관리자 웹사이트를 통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검색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부(450)는 소정의 검색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DB 서버(440)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여 특정의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녹화용 단말기의 디렉토리 경로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한다.In this case, when a search signal for broadcast data including a monitor voice keyword is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website, the central controller 450 inquires a text file stored in the DB server 440 by running a predetermined search program. To highlight and display the directory path of the recording terminal in which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specific voice keyword is stored.

중앙 제어부(450)는, 엔드-유저 단말기(3000)로부터 웹 서버(440)를 경유하여 특정의 키워드 음성이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요청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DB 서버(440)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가 녹화된 녹화용 단말기(310)를 검색한다.The central control unit 450, when a request signal for broadcast data including a specific keyword voice is input from the end-user terminal 3000 via the web server 440, the text file stored in the DB server 440. Search for the recording terminal 310 in which the broadcast data is recorded.

이후, 검색된 녹화용 단말기(310)로부터 해당 방송 데이터가 데이터 편집부(420)로 추출되는 경우, 중앙 제어부(450)는 데이터 편집부(42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엔드-유저가 선택한 파일 형태로 방송 데이터를 편집 한 후, 이를 웹서버(440)를 통하여 해당 엔드-유저 단말기(30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n, when the broadcast data is extracted from the searched recording terminal 310 to the data editing unit 420, the central control unit 450 performs control of the data editing unit 420 to broadcast in the form of a file selected by the end-user. After editing the data, the web server 440 transmits the data to the corresponding end-user terminal 3000.

중앙 제어부(450)는, 엔드-유저 단말기(3000)로부터 웹 서버(440)를 경유하여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CD 또는 DVD 등의 저장매체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DB 서버(430)에 저장된 저장매체의 넘버링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여 해당 저장매체를 검색한다.The central controller 450 is stored in the DB server 430 when a selection signal f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or a DVD in which broadcast data is stored is input from the end-user terminal 3000 via the web server 440. Search the text file containing the numbering information of the storage medium to search the storage medium.

이후, 중앙 제어부(450)는 엔드-유저에게 발송될 저장매체에 설정된 넘버링 정보를 해당 유저-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이에 의하여 엔드-유저는 발송될 저장매체와 다운로드 된 넘버링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방송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에 대한 진위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reafter, the central control unit 450 downloads the numbering information set on the storage medium to be sent to the end-user to the corresponding user-terminal, whereby the end-user compares the downloaded storage medium and the downloaded numbering information to the broadcast data. The authenticity of the recorded storage medium is determined.

삭제delet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broadcast data recording method using voice moni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대한 증폭을 수행한다(S100).First, in order to make a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mplification is performed on the broadcast signal (S100).

즉, 소정의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입사되는 경우, 신호 증폭 수단(100)은 입사되는 방송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시킴으로써, 신호 분배 수단(200)을 통하여 방송 채널별로 할당된 녹화용 단말기(310)로 분배시에 발생하는 신호 감쇄를 방지한다.That is, when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predetermined broadcast station enters through an antenna, 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100 amplifies the incident broadcast signal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us is allocated to each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200. Signal attenuation generated during distribution to the recording terminal 310 is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증폭 수단(100)에 의하여 방송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한 후, 신호 분배 수단(200)은 소정 크기로 증폭된 방송 신호를 방송 채널별로 할당된 데이터 녹화 수단(300)의 녹화용 단말기(310)로 각각 분배한다(S200).After amplifying the broadcast signal 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signal amplifying means 100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200 records the broadcast signal amplified to the predetermined size by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allocated to each broadcasting channel. Each distribution to the terminal 310 (S200).

여기서, 방송 신호를 녹화용 단말기(310)로 각각 분배하는 신호 분배 수단 (200)은 구체적으로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이다.Here, the signal distributing means 200 for distribu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recording terminal 310, respectively, is specifically a distributor.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분배 수단(200)을 통하여 방송 채널별로 각각 분배된 방송 신호가 각각 분배되는 경우,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기 설정된 예약 녹화 시간에 연동하여 방송 데이터에 대한 예약 녹화를 수행한다(S300).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oadcast signals respectively distributed for each broadcast channel are distributed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200,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performs the reserved recording of the broadcast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preset reserved recording time. (S300).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호 분배 수단(200)을 통하여 방송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310),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방송 신호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 수행하여 음성/영상 파일(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를 형성한다(S320).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when a broadcas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unit 200 (S310), the data recording unit 300 performs a data format for the broadcast signal to perform an audio / video file ( AVI) broadcast data is formed (S320).

이후,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기 설정된 예약 녹화 시간에 연동하여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되(S330), 상기 방송 데이터에 기 설정된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Thereafter,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records broadcast data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ed recording time (S330), and determines whether a preset monitor audio keyword exists in the broadcast data (S340).

상기 단계(S340)의 판단 결과 미디어 파일(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에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소정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형성한다(S35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40, when the monitor audio keyword does not exist in the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avi,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determines that the monitor audio keyword does not exist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 text file including text information is formed (S350).

이후,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텍스트 정보를 기 설정된 특정의 업로드 시간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데이터 편집 수단(400)의 DB 서보(430)로 업로드한다(S360).Thereafter,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automatically uploads predetermined text information o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to the DB servo 430 of the data editing means 400 in association with a predetermined specific upload time (S360). .

여기서, 상기 텍스트 파일에는 녹화된 방송 데이터(avi)에 대한 파일명, 모니터링 키워드 음성에 대한 색인어, 상기 색인어가 포함된 음성이 추출된 시간, 녹화 일자, 방송 채널 및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녹화용 단말기의 디렉토리 등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Here, the text file includes a file name for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vi), an index word for a monitoring keyword voice, a time at which the voice including the index word is extracted, a recording date, a broadcast channel, and a broadcast data. Contains text information such as directories.

그러나, 상기 단계(S340)의 판단 결과 미디어 파일(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에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한다는 소정의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한다(S370).However, if the audio keyword for the monitor is present in the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avi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40,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determines that the audio keyword for the monitor exists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A text file including text information is generated (S370).

이후,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300)은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기 설정된 특정의 업로드 시간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DB 서버(430)로 업로드 한다(S380).Thereafter,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automatically uploads the text file for the recorded broadcast data to the DB server 430 in association with a specific upload time (S380).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녹화 수단(300)으로부터 업로드 되는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DB 서버에 저장한 후,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DB 서버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 정보에 의해 검색된 방송 데이터를 엔드-유저에게 제공한다(S400).After storing the text file of the broadcast data uploaded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300 in the DB server as described above, the data editing means 400 sends the broadcast data retrieved by the text f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server to the end-user. Provided (S40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웹 서버(440)를 통하여 엔드-유저 웹사이트로부터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410),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DB 서버(430)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고(S420), 이에 의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녹화용 단말기(310)의 디렉토리를 검색한다(S430).In more detail, when a selection signal for broadcast data is input from the end-user website through the web server 440 (S410), the data editing means 400 may be a text file stored in the DB server 430. Search (S420), thereby searching for a directory of the recording terminal 310 in which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audio keyword is stored (S430).

이때,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검색된 디렉토리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되, 해당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최상위 디렉토리부터 최하위 디렉토리까지 디렉토리 경로별로 하이라이트 처리해준다.In this case, the data editing means 400 displays the searched directory through the display apparatus, and highlights the directory from the highest directory to the lowest directory in which the broadcast data is stored.

이후, 검색된 디렉토리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녹화용 단말기(310)로부터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추출한 후(S440),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녹화용 단말기(310)로부터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해당 엔드-유저가 선택한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한다(S450).Subsequently, after extracting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from the corresponding recording terminal 310 based on the retrieved directory information (S440), the data editing means 400 extracts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from the recording terminal 310. Edit 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selected by the end-user (S450).

여기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에 의하여 편집되어 형성되는 파일 형태로는 VCD 파일 형태의 MPEG 1, DVD 파일 형태의 MPEG2, 웹상에서 스트리밍이 가능한 WMV파일, RM파일 및 QUICK TIME 파일, 및 모바일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포맷 등의 다양한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가 가능하다.Here, the file types edited and formed by the data editing means include MPEG-1 in the form of a VCD file, MPEG2 in the form of a DVD file, WMV file that can be streamed on the web, RM file and QUICK TIME file, and mobile service that can be used. Broadcast data in various file formats such as formats i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엔드-유저가 선택한 파일 형태에 따라 편집된 방송 데이터를 생성한 후,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편집된 방송 데이터를 엔드-유저 단말기(3000)로 다운로드한다(S460).After generating the edited broadcast data according to the file type selected by the end-user as described above, the data editing means 400 downloads the edited broadcast data to the end-user terminal 3000 (S460).

또한, 웹 서버(440)를 통하여 엔드-유저 웹사이트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기록된 CD 또는 DVD 등의 저장매체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S470), 데이터 편집 수단(400)은 DB 서버(430)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여 해당 저장매체에 설정된 넘버링 정보를 검색한다(S480).In addition, when a selection signal f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or a DVD in which broadcast data is recorded is input from the end-user website through the web server 440 (S470), the data editing means 400 may be a DB server 430. Inquiry to the text file stored in the) to retrieve the numbering information set in the storage medium (S480).

이후, 검색된 저장매체를 제휴관계가 설정된 운송사를 통하여 엔드-유저에게 배송하는 동시에, 데이터 편집 수단은 배송되는 기록매체에 대한 넘버링 정보를 해당 유저 단말기로 다운로드 한다(S490).Subsequently, the retrieved storage medium is delivered to the end-user through the carrier with which the partnership is established, and the data editing means downloads the numbering information on the delivered recording medium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S49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예약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로그파일을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 파일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방송 데이터를 검색하여 엔드 유저가 요청한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제공함으로써, 방송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는 동시에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방송 데이터에 대한 녹화/편집의 신속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g file for reserved-recorded broadcast data is stored in a text file format, and the corresponding broadcast data is searched based on the stored text file information. By providing and editing the file in the form reques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monitor broadcast data and perform other tasks, thereby provid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recording / editing broadcast data.

또한, 본 발명은 엔드-유저가 요청한 파일 형식으로 예약 녹화된 방송 데이터를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또한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end-user can variously edit the pre-recorded broadcast data in the file format requested by the end-user.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수의 모니터 요원에 의하여 방송 데이터를 모두 모니터링할 수 있고, 따라서 인건비 감소로 인한 운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또한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nitor all of the broadcast data by a small number of monitors, thus reducing operating costs due to reduced labor costs.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키워드 음성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using a keyword voice for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녹화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data recording means constituting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녹화 수단을 구성하는 녹화용 단말기의 구성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terminal constituting a data recor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편집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data editing means constituting a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용 키워드 음성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의 편집 및 녹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and recording broadcast data using a keyword voice for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 설정된 예약 시간별로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DB 서버로 업로드 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ploading a text file of broadcast data recorded for each preset reservation time to a DB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파일에 의하여 검색된 방송 데이터를 소정 형식으로 편집하여 해당 엔드-유저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diting broadcast data searched by a text file in a predetermined format and providing the same to end-user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신호증폭수단 200 : 신호분배수단100: signal amplification means 200: signal distribution means

300 : 데이터 녹화 수단 311 : 방송 신호 수신부300: data recording means 311: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312 : 음성 인식 모듈 313 : 스케쥴러 모듈312: Speech Recognition Module 313: Scheduler Module

314 : 데이터베이스 315 : 데이터 통신모듈314: Database 315: Data Communication Module

316 : 제어부 320 : 절환 스위치316: control unit 320: switching switch

330 : 모니터용 단말기 400 : 데이터 편집 수단330: monitor terminal 400: data editing means

410 : 데이터 통신부 420 : 데이터 편집부410: data communication unit 420: data editing unit

430 : DB 서버 440 : 웹 서버430 DB server 440 Web server

450 : 중앙 제어부 1000 : 방송 데이터 녹화 시스템450: central control unit 1000: broadcast data recording system

2000: 네트워크 통신망 3000 : 엔드-유저 단말기 2000: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3000: end-user terminal

Claims (1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키기 위한 신호 증폭 수단;Signal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신호 증폭 수단에 의하여 증폭된 방송 신호를 방송 채널별로 할당하여 분배하는 신호 분배 수단;Signal distribution means for allocating and distributing the broadcast signal amplified by 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for each broadcast channel; 상기 신호 분배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각 방송 채널별로 듀얼 형태로 구성된 녹화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소정의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녹화하여 저장하고,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해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의 존재 여부 등이 기록된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여 외부로 업로드 하는 데이터 녹화 수단; 및The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s recorded and stored as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media file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by using a recording terminal configured in dual format for each broadcast channel, and recorded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Data recording means for forming a text fi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ice keyword for the monitor is recorded and uploading it to the outside; And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 파일을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한 후 편집된 형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파일을 생성 일자 순으로 저장하며, 엔드-유저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텍스트 파일을 통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여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엔드-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편집 수단The broadcast data file input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s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and then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edited form, and the text file input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s stored in the order of creation date, and is stored from the end-user terminal.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input,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searched and extracted through the text file,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and transmitted to the end-user terminal. Data editing means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은,The data recording means of claim 1, 방송 채널별로 각각 설정되어 기 설정된 녹화 시간별로 방송 데이터를 녹화하고,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녹화용 단말기;A recording terminal which is set for each broadcasting channel to record broadcast data for each preset recording time,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text file of the recorded broadcast data to the outside; 소정 개수로 그룹화된 녹화용 단말기와, 상기 녹화용 단말기의 방송 데이터에 대한 예약 녹화 과정을 제어하는 모니터용 단말기 상호간의 컨트롤 접점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절환 스위치; 및A switching switch for switching control contacts between a recording terminal grouped in a predetermined number and a monitor terminal for controlling a reservation recording process for broadcast data of the recording terminal; And 상기 절환 스위치를 통하여 소정 개수로 그룹화 된 녹화용 단말기 각각에 통신 연결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녹화용 단말기의 방송 데이터에 대한 예약 녹화 과정을 제어하는 모니터용 단말기A monitor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recording terminals grouped by a predetermined number through the switch, and controlling the reservation recording process for the broadcast data of the recording terminal based on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 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용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ording terminal, 외부 환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시스템의 다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방송 채널별로 듀얼 형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 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ual format for each broadcast channel to prevent the system from occurring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용 단말기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ording terminal, 상기 신호 분배 수단으로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미디어 파일(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방송 신호 수신부;A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for converting a broadcast signal input to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nto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avi); 상기 녹화용 단말기에 데몬으로 실행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송 데이터에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의 존재 여부를 모니터하되, 상기 방송 모니터에 대해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 등의 존재 여부 등이 기록된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 모듈;The recording terminal is installed to run as a daemon, and monito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nitor voice keyword in the broadcast data, and forms a text fi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nitor voice keyword is recorded for the broadcast monitor.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o the outside; 상기 녹화용 단말기에 데몬으로 실행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 의하여 형성되는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기 설정된 업로드 시간에 연동하여 DB서버로 업로드 하는 스케쥴러 모듈;A scheduler module installed in the recording terminal to run as a daemon and uploading a text file of the recorded broadcast data form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to a DB server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upload time; 상기 방송 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형성된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와,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for storing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form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and a text file of broadcast data generated by the speech recognition module; 상기 녹화용 단말기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을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데이터 편집 수단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통신 모듈; 및A dat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text file stored in the recording terminal to the data editing means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녹화용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recording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onitoring terminal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 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editing means,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과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부;A dat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ata recording means via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고, 편집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형성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편집부;A data editing unit which edits the broadcast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recording unit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 forms a text file for the edited broadcast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상기 데이터 통신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녹화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과, 상기 데이터 편집부에 의하여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된 방송 데이터의 텍스트 파일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DB 서버;A DB server for classifying and storing a text file of recorded broadcast data input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and a text file of broadcast data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by the data editing unit; 상기 DB 서버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관리자 웹 페이지와, 엔드-유저 단말기로 다운로드 되는 엔드-유저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엔드-유저 웹페이지를 통하여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방송 데이터를 엔드-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웹서버; 및Providing an administrator web page for editing text information about broadcast data stored in the DB server, and an end-user web page downloaded to an end-user terminal, and providing broadcast data input through the end-user web page. A web server for transmitting the broadcast data to the end-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And 상기 관리자 웹 페이지를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데이터 편집 수단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 제어부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ata editing means in conjunction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manager web pag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 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데이터 편집부는 저장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파일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NAS(Network Attached Storage)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The data editing unit is a broadcast recording system using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form of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to enable file sharing for the stored broadcast dat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중앙 제어부는 DB 서버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여 선택된 방송 데이터가 저장된 녹화용 단말기의 디렉토리 경로를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시스템.And the central control unit displays a text file stored in a DB server and highlights and displays a directory path of a recording terminal in which selected broadcast data is stored. 신호 증폭 수단에서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방송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시키는 단계;Amplifying a broadcast signal incident from the outside by a signal amplifying means to a predetermined size; 신호 분배 수단에서 상기 신호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를 방송 채널별로 할당된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 분배하는 단계;Distributing, by signal distribution means, the broadcast signal amplified by the signal amplification means to data recording means allocated to each broadcasting channel; 데이터 녹화 수단에서 상기 신호 분배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각 방송 채널별로 듀얼 형태로 구성된 녹화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소정의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녹화하여 저장하고,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해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의 존재 여부 등이 기록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텍스트 파일을 외부로 업로드 하는 단계; 및The data recording means records and stores the broadcast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as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media file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by using a recording terminal configured in dual format for each broadcast channel. Generating and storing a text file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oice keyword for a monitor is recorded with respect to the broadcast data, and uploading the text file to the outside; And 데이터 편집 수단에서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데이터 파일을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한 후 편집된 파일 형태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녹화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파일을 생성 일자 순으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엔드-유저 단말기로부터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텍스트 파일을 통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한 후 소정의 파일 형태로 편집하여 엔드-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In the data editing means, the broadcast data file input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s edi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typ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edited file type, and the text file input from the data recording means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order of creation date.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input from the end-user terminal, the broadcast data including the monitor voice keyword is searched and extracted through a text file, and then edited in a predetermined file form.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방법.Broadcast recording method using a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 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uploading the text file comprises: 상기 신호 분배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미디어 파일(avi) 형태의 방송 데이터로 포맷하는 단계;Formatting the broadcast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distribution means into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avi); 상기 미디어 파일 형태의 방송 데이터를 기 설정된 예약 시간에 연동하여 녹화하는 단계;Recording the broadcast data in the form of a media file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reservation time; 상기 예약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에 기 설정된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preset monitor audio keyword exists in the reserved and recorded broadcast data;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녹화되는 방송 데이터에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text file including tex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nitor voice keyword does not exist in the recorded broadcast data if the monitor voice keyword does not exist; 상기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기 설정된 업로드 시간에 연동하여 DB 서버로 업로드 하는 단계;Uploading the generated text file to a DB server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upload time;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방송 데이터에 특정의 모니터용 음성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text file including tex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pecific monitor voice data exists in the broadcast data when the voice keyword for the monitor exist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tep; And 상기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기 설정된 업로드 시간에 연동하여 DB 서버로 업로드 하는 단계Uploading the generated text file to a DB server in association with a preset upload tim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녹화 방법.Broadcast recording method using a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ransmitting to the end-user terminal comprises: 웹서버를 통하여 녹화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broadcast data recorded through a web server; DB 서버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여 상기 선택 신호에 연동하는 방송 데이터가 녹화되어 있는 녹화용 단말기를 검색하는 단계;Searching a text file stored in a DB server and searching for a recording terminal in which broadcast data linked to the selection signal is recorded; 상기 검색된 녹화용 단말기에 대한 디렉토리를 검색하여 모니터용 음성 키워드가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Extracting broadcast data including a monitor voice keyword by searching a directory of the searched recording terminal; 녹화용 단말기로부터 추출된 방송 데이터를 엔드 유저가 요청한 소정의 파일 형식으로 편집하는 단계; 및Editing the broadcast data extracted from the recording terminal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requested by the end user; And 상기 편집된 방송 데이터를 엔드-유저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Downloading the edited broadcast data to an end-user terminal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방법.Broadcast data recording method using a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웹서버를 통하여 방송 데이터가 녹화된 저장매체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a storage medium recording broadcast data through a web server; 상기 입력된 선택 신호에 연동하여 DB 서버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조회하는 단계;Querying a text file stored in a DB server in association with the input selection signal; 상기 텍스트 정보에 의하여 해당 저장매체에 설정된 넘버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Retrieving numbering information set in a corresponding storage medium by the text information; And 선택된 저장매체를 엔드-유저에게 발송하는 동시에 해당 저장매체에 설정된 넘버링 정보를 해당 엔드-유저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Sending the selected storage medium to the end-user and simultaneously downloading the numbering information set in the storage medium to the end-user terminal.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모니터링을 이용한 방송 데이터 녹화 방법.Broadcast data recording method using a voice monitorin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KR1020040066461A 2004-08-23 2004-08-23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KR100634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461A KR100634431B1 (en) 2004-08-23 2004-08-23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461A KR100634431B1 (en) 2004-08-23 2004-08-23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116A KR20060018116A (en) 2006-02-28
KR100634431B1 true KR100634431B1 (en) 2006-10-16

Family

ID=3712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461A KR100634431B1 (en) 2004-08-23 2004-08-23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43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709A (en) * 1997-09-26 1999-04-15 전주범 Tuning device of two tuner-type television
EP0952737A2 (en) * 1998-04-21 1999-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selecting portions of information streams for a television system
KR20000034583A (en)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referred field in tvcr
EP1100265A1 (en) * 1999-04-26 2001-05-1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med video recording of television broadcast program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KR20030061652A (en) * 2002-01-15 2003-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served recoding method for personal video recor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709A (en) * 1997-09-26 1999-04-15 전주범 Tuning device of two tuner-type television
EP0952737A2 (en) * 1998-04-21 1999-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selecting portions of information streams for a television system
KR20000034583A (en)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rding preferred field in tvcr
EP1100265A1 (en) * 1999-04-26 2001-05-1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med video recording of television broadcast program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KR20030061652A (en) * 2002-01-15 2003-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served recoding method for personal video record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34583
102003006165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116A (en)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3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media streams using metadata
US7894310B2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JP5230948B2 (en) Distributed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20198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ying the access of metadata
US7627560B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in the apparatus,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CN101340464B (en) Method and system for unified network resource management
US20070219953A1 (en) Searching Content Directories
US20050027740A1 (en)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8660990B2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provid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program and content providing program
CN100474818C (en) Information recording control apparatus and file recording control method
KR100518667B1 (en) Multichannel digital data sen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organizing device and method, and multichannel digital data managing device and method
US7984051B2 (en) Recording medium and playback device
US20100198915A1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KR100634431B1 (en) System for Recording a broadcasting data using a voice monitoring data and method thereof
JP7028687B2 (en) Broadcast system
US20040163121A1 (en) Digital broadcasting storage device and method using mark-up language
US20060247809A1 (en) Data display control device
US7995427B2 (en) Medium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device
JP2004152327A (en) Device and method to record and reproduce music
JP4450096B2 (en)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apparatus
EP12715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ying the access of metadata
JP2000341409A (en) Radio system
JPH08214269A (en) Communication karaoke device
KR2002002979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with multimedia using network
KR20150084736A (en) Appliance device for a production asset management system of broadcasting purp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