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300B1 -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 Google Patents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300B1
KR100631300B1 KR1020040033757A KR20040033757A KR100631300B1 KR 100631300 B1 KR100631300 B1 KR 100631300B1 KR 1020040033757 A KR1020040033757 A KR 1020040033757A KR 20040033757 A KR20040033757 A KR 20040033757A KR 100631300 B1 KR100631300 B1 KR 10063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flower
ornamental
cel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729A (ko
Inventor
문보흠
조창휘
김순재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4003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3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를 여러 식재셀로 구성된 단일화분에 식재하여 포장 출하함으로써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화훼작물을 심는 식재구가 형성된 다수의 모듈로 구성된 식재셀로 구성되어 단일의 관상용 화분으로 구성된 것이며, 또한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에 대응되고 식재셀의 외부면이 삽입되는 다수의 모듈로 구성된 받침셀로 구성되고, 받침셀을 안으로 감싸면서 받침셀을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관상용 화분을 받쳐주는 단일의 화분받침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포장과 이송이 간편하며 화훼류에 대한 데코레이션이 자연스럽게되고, 고사된 화훼작물만 교체함으로서 화분 전체를 분갈이가 불필요하고, 관상용 화분과 화분받침을 한 조로 사용하거나 관상용 화분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식재셀에 플러그트레이의 화훼를 별도의 가공없이 이식하여 출하함으로서 이식에 따른 인건비 및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화훼, 종이, 화분, 장식, 관상, 받침, 플러그트레이, 포장, 이송

Description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A Parer Decoration Flowerpot Convenient for Packing and Transferring}
도 1는 화훼가 장식된 종래기술의 관상용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플러그트레이에 화훼가 재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플러그트레이에 재배되어 출하를 위한 단품형태의 화훼 사시도
도 4는 화훼가 장식된 본 발명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화분받침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1-2: 종이화분 10, 10-1, 10-2: 관상용 화분
11: 식재구 12: 식재셀
13: 화분플랜지 20, 20-1, 20-2: 화분받침
21: 받침구 22: 받침셀
23: 받침플랜지 24: 받침대
본 발명은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주로 선인장과 다육식물)를 여러 식재셀로 구성된 화분에 식재하여 포장 출하가 가능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화훼(102)가 장식된 종래기술의 관상용 화분(100)의 사시도인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장식용 화분(101)은 사각 또는 타원형 등의 형태로서 토분, 자기, 나무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으며, 도 2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 화훼작물(104)이 재배된 상태의 사시도에서와 같이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의 상토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작물(주로 선인장과 다육식물)(104)을 뽑아 뿌리를 다듬어 이 장식용 화분(101)에 상토를 충진한 후 형태별로 심어 출하하고 있다.
한편, 상기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 재배된 화훼작물(104) 중 특히 선인장과 다육식물은 도 3과 같이 단품형태로 출하하기도 한다.
상기의 토분이나 자기로된 장식용 화분은 환경오염원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으나 유통 및 취급 중에 깨지기가 쉬우며 깨진 화분 조각은 폐기물로써 그 처리를 잘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나무로된 장식용 화분은 벌목된 나무를 일정간격으로 잘라내어 한쪽 측면에 구멍을 내어 식재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면에는 배수공을 형성한 것으로서, 벌목된 나무의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외피만을 사용함으로써 나무 자원에 대한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합성수지로된 장식용 화분은 가격적인 면에서 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화분 자체의 통기성이 나빠서 식물 및 관상수 등의 육성을 위한 화분으로는 적절치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토분이나 자기재의 분으로 갈아심는 경우 화분자체가 썩지 않아 환경오염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 재배된 화훼작물 중 특히 선인장과 다육식물은 단품형태로 출하되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적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장식용 화분은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의 상토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를 형태별로 심어 출하하기 위한 식재노력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규격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 장식용 화분에 식재된 선인장 중에서 하나의 선인장이 고사할 경우에는 고사된 상태로 재배 관리하여야 함으로써 관상적 가치가 많이 떨어지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화분 전체를 분갈이를 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주로 선인장과 다육식물)를 여러 식재셀로 구성된 단일화분에 식재하여 포장 출하함으로써 포장과 이송이 간편하고 화훼류에 대한 장식이 자연스럽게되어 부가가치의 창출과 인건비 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훼류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화훼작물을 개별적으로 심을 수 있는 식재구가 형성된 원형의 다수 식재셀로 구성되며, 상기 식재셀은 상부가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단일의 관상용 화분으로 구성되어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에 대응되고 식재셀의 외부면이 삽입되는 받침구가 형성된 원형의 받침셀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셀의 상부와 연결되어 받침셀을 안으로 감싸면서 받침셀을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식재셀은 상부가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관상용 화분을 받쳐주는 단일의 화분받침으로 구성되어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 및 상기 화분받침의 받침셀의 수량이 3개, 5개, 6개, 7개, 8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 및 상기 화분받침의 받침셀은 대, 중, 소의 크기로 적절하게 혼합되어 구성되어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사시도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화훼류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종이로 만든 장식용 종이화분(1, 1-1, 1-2)에 관한 것으로서 관상용 화분(10, 10-1, 10-2)과 그 화분을 받쳐주는 화분받침(20, 20-1, 20-2)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상용 화분(10, 10-1, 10-2)과 상기 화분받침(20, 20-1, 20-2)은 별도로 제작되며, 관상용 화분(10, 10-1, 10-2)과 화분받침(20, 20-1, 20-2)이 한 조로 구성되거나 관상용 화분(10, 10-1, 10-2)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설치 장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10)은 종이로 제작되며, 화훼작물(104)을 개별적으로 심을 수 있는 복수개의 식재셀(12)을 구비하고, 각 식재셀(12)은 상단에서 개방된 식재구(11)에서 바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식재셀(12)은 도 2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서 재배된 화훼작물(104)을 분리하여 그대로 심을 수 있도록 상기 클러그트레이(103)의 식재셀(105)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된다.
상기 관상용 화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식재셀(12)들은 상단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관상용 화분(10)으로 되고 식재셀(12)의 아래 바닥면은 밀폐되고 바닥면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 과도한 관수시 물이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식재셀(12)에서 상부가 상호 연결 되지 않는 부분은 끝단을 감아들인 컬링가공을 하거나 끝단을 꾸부려 플랜지 가공을 한 화분플랜지(13)가 구성되어 있다. 이는 관상용 화분(10)의 재질이 종이되어 있어 식재셀(12)의 두께에 비해 강도를 보강하고 장식하여 멋을 내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10)은 식재셀(12)의 상부만 상호 연결되고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각각 별개의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상기 관상용 화분(10, 10-1, 10-2)은 식재셀 수량이 3개, 5개, 6개, 7개, 8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나 상기의 수량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식재셀의 배치 모양은 화훼가 이식된 상태의 데코레이션의 미적감각에 의한 오각형, 육각형 또는 별모양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관상용 화분(10, 10-1, 10-2)의 식재셀(12)은 대, 중, 소의 크기로 적절하게 혼합되어 구성되거나 단일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식재셀(12)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기존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의 식재셀(105)의 크기와 동일하다.
관상용 화분(10, 10-1, 10-2)의 식재셀(12)과 플러그트레이(103)의 식재셀(105)의 크기를 같게 하는 이유는 화훼를 플러그트레이(103)에서 뽑은 상태 즉 별도의 가공 또는 작업이 없이 재배된 상태로 관상용 화분(10, 10-1, 10-2))의 식재셀(12)에 이식하여 출하함으로서 뿌리를 다듬는 과정을 생략되어 이식에 따른 인건비 및 시간의 절감으로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란 도 2의 플러그트레이(103)에 화훼가 재배된 상태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균일한 화훼류를 대량 생산하고 육묘 및 가식에 들어가는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만든 것으로서 화훼작물의 종자를 개별적으로 파종하거나 화훼작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구가 형성된 원형의 경사진 원주형상의 식재셀(105)이 구성된 합성수지 제품이다.
상기 플러그트레이(103)는 식재셀(105)이 32공, 50공, 72공, 105공, 128공, 162공, 200공 또는 288공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재셀(105)은 종횡으로 일정간격으로 상호 연결되어 일체형으로된 장방형의 제품이다.
원예작물의 파종은 상자파종이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 파종 모두 가능하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 파종인 경우에는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의 식재셀(105)에 상토를 채우되, 비료성분이 첨가되어 있는 상토는 물을 조금씩 주면서 적당한 습기를 유지해 주어야 하며 비료성분이 섞이지 않은 것은 별도로 양액을 조성하여 물 대신 양액으로 상토의 습기를 맞춘 후 종자를 파종할 곳에 가볍게 작은 구멍을 내고 여기에 종자를 파종한 후 약 3∼4mm 정도 복토하므로써 파종작업을 한다.
파종이 완료된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를 화훼의 종류에 따른 육묘방식 예를들면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의 아래에 플라스틱필름을 깔거나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의 상부에 반사필름 등을 덮어 상토로부터 수분 증발이나 햇볕에 의한 배지온도 상승을 방지 등으로 관리하여 파종된 종자에 서 적정수의 본엽이 출현하게 되면 이식하거나 출하하게 된다.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작물(주로 선인장과 다육식물)(104)은 이식 및 출하의 적정시기가 되면 식재셀(105)에서 화훼를 뽑아 뽑은 그대로를 본 발명의 상기 관상용 화분(10)의 식재셀에 이식을 한다.
화훼를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서 뽑은 상태 즉 재배된 상태로 관상용 화분(10)의 식재셀(12)에 이식하여 출하함으로서 뿌리를 다듬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식재에 따른 노력이 절감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규격생산이 되는 것이다.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 재배된 화훼작물(104)(선인장과 다육식물)을 단품형태로 출하에서 관상용 화분(10)에 이식하여 장식이 된 상태로 출하됨으로서 씨너지효과에 의한 부가가치가 상승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관상용 화분(10)에서 큰 식재셀(12)을 후면에 배치 제작함으로서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103)에 재배된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104)을 관상용 화분(10)에 이식할 때 키큰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104)을 후면 식재셀(12)에 식재함으로서 화훼의 키에 따른 배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중앙에 키 큰 기둥 종류의 화훼를 심고 둘레로 낮은 종류를 배치하여 사방에서 아름답게 감상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관상용 화분(10, 10-1, 10-2)은 3개, 5개, 6개, 7개 또는 8개의 식재셀을 데코레이션에 적합하도록 자연스럽게 배치함으로서 여기에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을 이식하면 자연적으로 화훼작물이 테코레이션이 된다.
또한, 관상용 화분(10, 10-1, 10-2)은 3개, 5개, 6개, 7개 또는 8개의 대중소 식재셀을 자연스럽고 적절하게 혼합 배치하면 보다더 자연스럽게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이 테코레이션이 된다.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10, 10-1, 10-2)은 식재셀이 독립적으로 되어 있어서 식재셀에 이식한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 중에서 고사된 것이 있거나 관상적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있으면 이것만 교체하면 관상적 가치가 회복되므로 화분 전체를 분갈이를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10, 10-1, 10-2)은 식재셀 상부가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모듈의 단일 관상용 화분(10, 10-1, 10-2)으로 구성되어 식재셀에 이식된 다수의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을 한번에 이송 및 포장이 가능하다.
상기 관상용 화분(10, 10-1, 10-2)은 재질이 종이로 되어 있어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이 식재된 관상용 화분(10, 10-1, 10-2)을 그대로 노지에 심어도 종이가 부패되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화분받침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상기 관상용 화분(10)을 받쳐주는 화분받침(20)이 별도 구성된다. 상기 화분받침(20)은 복수개의 받침셀(22)을 구비하고, 각 받침셀(22)은 상단이 개방되어 받침구(21)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구(21)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여 원추형 공간을 이룬다.
상기 화분받침(2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받침셀(22)들은 상단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고, 받침셀(22)의 아래 바닥면은 밀폐되어 있고, 받침셀(22)의 상부와 연결부의 가장자리에는 받침셀(22)을 안으로 감싸면서 받침셀(22)을 지지하는 상하방향의 받침대(24)로 구성된다. 다시말하면, 화분받침(20)을 수평으로 안치시켜면 받침플랜지가 지면과 접촉하면서 받침구(21)를 상호 연결하는 부위와 받침대(24)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받침셀(22)은 받침대(24)의 내부에 위치하게되어 볼수 없는 구성이다.
상기 받침셀(22)은 상기 관상용 화분(10)의 식재셀(12)에 대응되면서 식재셀(12)의 외부면이 받침구(21)에 삽입되어 받침셀(22)에서 식재셀(12)을 받혀준다.
상기 받침셀(22)이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고 받침대(24)가 받침셀(22)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화분받침(20)은 전체적으로 관상용 화분(10)을 받쳐주는 단일의 화분이다.
상기 받침대(24)의 길이는 받침셀(22)을 지지하면서 지탱하는 역할을 하므로 받침셀(22)의 원주 길이와 같거나 조금 길게한다.
상기 받침대(24)의 하부 가장자리는 끝단을 감아들인 컬링가공을 하거나 끝단을 구부려 플랜지 가공을 한 받침플랜지(23)가 구성되어 있다. 이는 화분의 재질이 종이로 되어 있어 받침대(24)의 두께에 비해 강도를 보강하고 장식하여 멋을 내기 위함이다.
상기 화분받침(20)은 재질이 종이로 되어 있어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이 식재된 관상용 화분(10)을 받친 상태로 관상용 화분(10)과 같이 일반화분이나 땅에 심어도 종이가 분해되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화분받침(20)의 받침셀(22)은 대, 중, 소의 크기로 적절하게 혼합되어 구성되거나 단일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받침셀(22)의 크기는 관상용 화분(10)의 식재셀(12)이 삽입되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화분받침(20)은 장식용 화분의 식재셀(12)의 크기, 개수 및 형태에 알맞는 것을 한 조로 하여 사용한다.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사시도를 살펴보면, 관상용 화분(10-1, 10-2)과 화분받침(20-1, 20-2)을 한조로 사용한 일실시예이다.
상기 화분받침(20, 20-1, 20-2)의 받침셀은 3개, 5개, 6개, 7개, 8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관상용 화분(10, 10-1, 10-2)의 식재셀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관상용 화분(10, 10-1, 10-2) 및 상기 화분받침(20, 20-1, 20-2)의 재질은 종이(펄프)로 되어 있으나, 피트모스, 갈대 등의 분해성 식물부재료를 혼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은 화분받침과 관상용 화분을 한조로 사용할 경우에는 화분받침의 저면이 관상용 화분의 저면보다 넓기 때문에 화분전체가 안정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셀이 감추어져서 미적감각이 돋보여져서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의 데코레이션에 대한 시너지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은 화분받침과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이 식재된 장식용 화분을 한조로 사용하여 종이상자에 넣어 출하할 경우에는 단품형태의 출하를 극복할 뿐만아니라 한번에 크기 및 종류가 다양한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의 이송과 포장이 가능하고 자연적으로 화훼작물이 테코레이션이되 기 때문에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의 관상용 화분과 화분받침은 종이로 제작됨으로서 그 단가가 저렴하고 특히 재활용 종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식재셀이 형성된 장식용 화분과 식재셀을 포용하는 받침셀이 형성된 화분받침으로 구성되어,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다양한 화훼(주로 선인장과 다육식물)를 식재셀에 식재하여 포장 출하함으로써 포장과 이송이 간편하고 화훼류에 대한 장식이 자연스럽게되는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용 화분과 화분받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화훼(주로 선인장과 다육식물)를 식재함으로써 단품형태의 출하를 극복하고 포장과 이송이 간편하며 화훼류에 대한 데코레이션이 자연스럽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상용 화분과 화분받침을 한 조로 사용하거나 관상용 화분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에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뽑은 화훼를 별도의 가공 작업이 없이 이식하여 출하함으로서 이식에 따른 인건비 및 시간이 절감과 규격생산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상용 화분은 식재셀이 독립적으로 되어 있어서 이식된 화훼작물(선인장과 다육식물) 중에서 고사된 것만 교체함으로서 화분 전체를 분갈이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식용 화분과 화분받침은 종이로 제작됨으로서 그 단가가 저렴하고, 자원 낭비를 감소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화훼류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원예작물 재배용 플러그트레이에서 재배된 화훼작물을 개별적으로 심을 수 있는 식재구가 형성된 원형의 다수 식재셀로 구성되며, 상기 식재셀은 상부가 상호 연결된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단일의 관상용 화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용 화분의 복수개의 식재셀을 각각 끼워서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받침셀을 구비한 화분받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받침셀들은 수직방향으로 유지되게 하단이 받침대로 지지되고 상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받침셀은 상기 관상용 화분의 각 식재셀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상단에 개방된 받침구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구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여 원추형 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3.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 및 상기 화분받침의 받침셀의 수량이 3개, 5개, 6개, 7개, 8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4. 상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용 화분의 식재셀 및 상기 화분받침의 받침셀은 대, 중, 소의 크기로 적절하게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KR1020040033757A 2004-05-13 2004-05-13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KR10063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57A KR100631300B1 (ko) 2004-05-13 2004-05-13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57A KR100631300B1 (ko) 2004-05-13 2004-05-13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729A KR20050108729A (ko) 2005-11-17
KR100631300B1 true KR100631300B1 (ko) 2006-10-04

Family

ID=37284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757A KR100631300B1 (ko) 2004-05-13 2004-05-13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3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93U (ko) 2015-12-04 2017-06-14 남지우 화분
KR102017335B1 (ko) 2018-10-01 2019-10-08 엄기성 알루미늄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2238201B1 (ko) 2020-05-14 2021-04-09 김유신 실리콘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25B1 (ko) * 2014-09-04 2015-07-22 김성길 종이화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129A (ja) 2002-10-04 2004-04-22 Chie Sakakita 組合わせ植栽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129A (ja) 2002-10-04 2004-04-22 Chie Sakakita 組合わせ植栽鉢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93U (ko) 2015-12-04 2017-06-14 남지우 화분
KR102017335B1 (ko) 2018-10-01 2019-10-08 엄기성 알루미늄 화분 및 그 제조방법
KR102238201B1 (ko) 2020-05-14 2021-04-09 김유신 실리콘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729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1214A (en) Biodegradable seed pod germination system
KR20150087164A (ko) 투명 화분을 이용한 풍란 기르는 방법
US20110296751A1 (en) Self contained system for growing perennial flowers in a rock-like or other ornamental planter
CZ20004130A3 (en) Container assembly for cultivation of plants
CN103026888A (zh) 植物栽培方法、栽培模块及商业用途
KR100631300B1 (ko) 포장과 이송이 간편한 화훼류 장식용 종이화분
JP3145434U (ja) 鉢植え樹木セットおよび鉢植え樹木
JP4249797B1 (ja) コチョウラン又はフウランの栽培方法およびコチョウランとフウラン
US4138802A (en) Method of growing plants in the roots of a live osmunda fern
KR101360222B1 (ko) 수경재배용 연결포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방법
US6401386B1 (en) Efficient process for bulb and flower production
JPH02273122A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4121306A (ja) 素焼き鉢の吸水機能を利用して栽培・管理に自然吸水。
KR20140048503A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CN2432777Y (zh) 多层式水耕栽培盆
US20140059929A1 (en) Self contained planter for growing seeds
JP3351787B1 (ja) 多肉植物の栽培法
Stuewe Panel discussion: Trends in container types
KR200402372Y1 (ko) 캔 화분
CN104322269A (zh) 野生嘉兰百合鲜切花驯化栽培方法
JP2004267182A (ja) 自水養液滴下着生支柱
JPH0220224A (ja) 袋詰め栽培床及び植物の植え付け方法並びに植え換え方法
KR100326149B1 (ko) 버섯재배방법
CN112075285B (zh) 培育植物全盆满根的转根栽培方法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