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931B1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931B1
KR100630931B1 KR1020040109396A KR20040109396A KR100630931B1 KR 100630931 B1 KR100630931 B1 KR 100630931B1 KR 1020040109396 A KR1020040109396 A KR 1020040109396A KR 20040109396 A KR20040109396 A KR 20040109396A KR 100630931 B1 KR100630931 B1 KR 10063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nit
remaining amou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0786A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931B1/en
Publication of KR2006007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89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ink level as input for printer mode selection or for prediction of remaining printing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부와;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 중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소모재의 잔량이 가장 많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품질을 보증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나 용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rinting system.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a network;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consumables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d from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unit; When prin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uni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received print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unit to the data storage unit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stored to an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largest amount.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an be guaranteed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and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consumables and pap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팅 시스템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2의 프린팅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고,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inting system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able stored in a data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NP1,NP2,NPN : 화상형성장치 D1,D2,DN : 디바이스NP1, NP2, NPN: Image Forming Device D1, D2, DN: Device

11 : 제1 제어부 12 : 제1 인쇄부11: first control unit 12: first printing unit

13 : 제1 네트워크부 14 : 제1 잔량 검출부13: first network unit 14: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15 : 제1 조작패널 21 : 제2 제어부15: first operation panel 21: second control unit

22 : 제2 인쇄부 23 : 제2 네트워크부22: second printing portion 23: second network portion

24 : 제2 잔량 검출부 25 : 제2 조작패널24: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25: second operation panel

26 : 기능설정부 27 : 데이터 저장부26: function setting unit 27: data storage unit

30 : 네트워크 41 : 디바이스 네트워크부30 network 41 device network section

42 : 프린터 드라이버 43 : 사용자 입력부42: printer driver 43: user input uni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품질을 보증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나 용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rinting system, and which guarantees the quality of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and prevents unnecessary consumption of consumables and pap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forming apparatus and a printing system.

일반적으로 프린터(Printer)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용지에 그 결과물을 출력하는 사무용 기기로서, 컴퓨터에서 작성되거나 편집된 문서 또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데이터로 전송받아 이를 기 설정된 인쇄조건에 적합한 인쇄 언어로 변환하고, 잉크나 토너 등의 염료 등을 사용하여 용지에 출력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is an office device connected to a computer and outputs the result on pap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receives document or image data created or edited by the computer as print data and is suitable for the preset printing conditions. It is a device that converts into a printing language and outputs it on paper using dyes such as ink or toner.

이러한, 프린터는 근래에 네트워크(Network)로 연결하여 여러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무실과 같은 작업 환경 하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여러 사람의 컴퓨터가 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These printers have recently been used as a method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by connecting to a network (Network) and shared by several users. Also, in a work environment such as an office, several computers are connected to a network, and several computers use them together.

여기서,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여러 대의 프린터 중 어느 하나를 메인 프린터로 설정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나 응용 프로그램의 프린터 설정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린터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메인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다.Here, the user sets and uses any one of a plurality of printer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s a main printer. Therefore,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a printer through the graphic user interface for printer setting of the printer driver or the application program, the printer is printed through the preconfigured main printer.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프린팅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해둔 메인 프 린터의 토너가 거의 사용되어 버린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컴퓨터를 통해 인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프린터를 통해 인쇄된 용지의 인쇄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메인 프린터의 토너의 잔량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컴퓨터에서 다른 프린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printing system, when the toner of the main printer set by the user is almost used up, the user who does not recognize this performs a print job through a computer. Then, by checking that the print quality of the paper printed through the main printer is inferior, the printer recognizes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of the main printer is insufficient, and selects another printer from the computer and outputs it.

이는 프린터의 토너, 정착기 등과 같은 소모재의 불필요한 소모를 초래하고, 불필요한 용지의 소모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This causes unnecessary consumption of consumables such as toner, fuser, etc. of the printer, and causes consumption of unnecessary paper.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품질을 보증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나 용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rinting system which can guarantee the quality of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and can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of consumable materials or pap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부와;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 중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소모재의 잔량이 가장 많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network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a network;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consumables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d from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unit; When prin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uni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received print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unit to the data storage unit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It can be achiev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stored most.

여기서,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whether to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print data through the network unit.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수행에 대한 소정의 인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print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unit, the controller may transmit predetermined print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to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unit.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소모재와, 제1 네트워크부와, 제1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화상형성장치와; 제2 소모재와,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부와,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제2 소모재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 중 상기 제1 소모재의 잔량이 가장 많은 제1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s at least one having a first consumables, a first network portion,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s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irst network portion; A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A second consumable material, a data storage part, a second network part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part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when the prin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and determining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cond consumable materi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At least on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econd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print data to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largest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among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es through the network unit; When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s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s a print job based on the received print data. Can be achieved.

여기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2 네트워크부 를 통해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경우 소정의 인쇄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Here,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eived print data to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predetermined print information together; The first control unit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to a device that transmits the print data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the prin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형성장치(NP1,NP2,...NPN)와, 화상형성장치(NP1,NP2,...NPN)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하는 컴퓨터 등의 디바이스(D1,D2,...DM)를 포함한다.Pri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rough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apparatus (NP1, NP2, ... NPN), image forming apparatus (NP1, NP2, ... NPN) and a network Devices (D1, D2, ... DM), such as computers that are connected and in data communication.

디바이스(D1,D2,...DM)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NP1,NP2,...NPN)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하고, 디바이스(D1,D2,...DM)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화상형성장치(NP1,NP2,...NPN)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The devices D1, D2, ... DM transmit the print data to any on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NP1, NP2, ... NPN via a network, and from the devices D1, D2, ... DM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NP1, NP2, ... NPN which have received print data via the network perform a print job based on the received print data.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NP1,NP2,...NP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화상형성장치(NP1,NP2,...NPN)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디바이스(D1,D2,...DM)로부터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자신의 소모재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화상형성장치(NP1,NP2,...NPN) 중 소모재의 잔량이 가장 적은 화상형성장치(NP1,NP2,...NPN)에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At least on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NP1, NP2, ... NP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consumables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es NP1, NP2, ... NPN connected through a network, When print data is received from the devices D1, D2, ... DM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of the self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in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NP1, NP2, ... NPN The received print data is transmitted to this lea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NP2, ... NPN.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다른 화상형성장치(NP1,NP2,...NPN)에 대한 소모재 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NP1,NP2,...NPN)를 제2 화상형성장치(NP2)라 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자신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NP2)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NP1,NP2,...NPN)를 제1 화상형성장치(NP1)라 임의로 정의하여 설명한다.1 and 2, the prin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NP1, NP2, ... NPN hav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with respect to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es NP1, NP2, ... NPN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nd providing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with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thereof, and receiving the print data from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to perform a print job. NPN) is arbitrarily defined and described as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제1 화상형성장치(NP1)는 제1 인쇄부(12), 제1 잔량 검출부(14), 제1 네트워크부(13) 및 제1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may include a first printing unit 12, a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14, a first network unit 13, and a first control unit 11.

제1 인쇄부(12)는 제1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용지에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NP1)가 레이저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 인쇄부(12)는 토너, 감광기, 전사기, 현상기 및 정착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NP1)가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제1 인쇄부(12)는 이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인쇄부(12)의 구성은 기 공지된 구성에 해당하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printing unit 12 performs a print job on the paper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1. For example, when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aser printing method, the first printing unit 12 may include a toner, a photosensitive device, a transfer machine, a developing machine, a fixing machine,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inkjet printing method, the first printing unit 12 includes a corresponding component.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inting unit 12 corresponds to a known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잔량 검출부(14)는 제1 인쇄부(12)의 구동시 제1 소모재의 잔량을 검출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NP1)가 레이저 프린팅 방식의 토너를 포함하는 경우 토너의 무게 등을 통해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잔량 검출부(14)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도트(Dot) 수에 기초하여 인쇄시 사용되는 토너의 량을 예측하여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The first residual amount detection unit 14 detects the residual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when the first printing unit 12 is driven. For example, when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aser printing type ton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toner may be detected through the weight of the toner. In addition, the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14 may detec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toner by predicting the amount of toner used for printing based on the number of dots included in the print data.

또한, 제1 잔량 검출부(14)는 제1 소모재가 감광기, 전자기, 현상기 및 정착 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인쇄 매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해당 소모재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제1 소모재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is any one of a photosensitive device, an electromagnetic device, a developing device, and a fixing device, the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14 us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rints or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onsumable material, Can be det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제1 소모재 및 후술할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제2 소모재가 토너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nd the second consumable material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네트워크부(13)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NP1)는 네트워크부를 통해 제2 화상형성장치(NP2)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되고, 디바이스(D1,D2,...DM)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network unit 13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transmits data to or receives data from the network. As a result,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may b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via the network unit, and may b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s D1, D2, ... DM.

여기서, 제1 네트워크부(13)는 제1 화상형성장치(NP1)를 네트워크를 통해 디바이스(D1,D2,...DM)나 제2 화상형성장치(NP2)와 연결하여 인쇄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퉁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른바, '네트워크 카드' 혹은 그에 상응하는 장치로서, 그 명칭을 불문하고 제1 화상형성장치(NP1)와 디바이스(D1,D2,...DM) 및/또는 제2 화상형성장치(NP2) 간을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Here, the first network unit 13 connects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with the devices D1, D2, ... DM or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through a network to include data including print data. A so-called 'network card' or a corresponding device, which allows for a great deal of time, regardless of its name,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nd the devices D1, D2, ... DM and / or the second image. An apparatus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orming apparatuses NP2 is included.

제1 제어부(11)는 제1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 인쇄부(12)가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1)는 용지에 화상이 인쇄되도록 제1 인쇄부(12)를 제어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1 processes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13 and converts the print data into a format printable by the first printing unit 12. Then, the first control unit 11 controls the first printing unit 12 so that an image is printed on the paper to perform a print job.

그리고, 제1 제어부(11)는 잔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1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1)는 소정의 시간 주기마다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1 인쇄부(12)를 통해 인쇄 작업의 수행이 완료될 때마다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 보를 전송하거나,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요청에 따라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전송할 수 있다.Then, the first control unit 11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detected by the remaining amount detecting unit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13. Here, the first control unit 1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every predetermined time period, o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every time the printing job is completed through the first printing unit 12. Alternatively,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여기서, 제1 화상형성장치(NP1)는 도시되지 않은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1)는 제1 잔량 검출부(14)를 통해 검출된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not shown), and the first control unit 11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detected by the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14. Can be stored in

또한, 제1 화상형성장치(NP1)는 다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된 제1 조작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조작패널(15)을 통해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다양한 기능, 예컨대, 온/오프, 용지배지 등과 같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작패널(15)에는 제1 제어부(11)로부터 인가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다양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may include a first manipulation panel 1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nipulation buttons. Here, the user may set various functions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through the first manipulation panel 15,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on / off, paper shee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operation panel 15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various operation states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 화상형성장치(NP2)는 제2 인쇄부(22), 제2 잔량 검출부(24), 제2 네트워크부(23), 데이터 저장부(27) 및 제2 제어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제2 인쇄부(22), 제2 잔량 검출부(24) 및 제2 네트워크부(23)는 전술한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제1 인쇄부(12), 제1 잔량 검출부(14) 및 제1 네트워크부(13)의 기능에 대응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Meanwhile,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cond printing unit 22, the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24, the second network unit 23, the data storage unit 27, and the second control unit ( 21). Here, the second printing unit 22, the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24, and the second network unit 23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re the first printing unit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described above. (12) Since the functions of the first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14 and the first network unit 13 can be supporte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데이터 저장부(27)에는 제2 네트워크부(23)를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The data storage unit 27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store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of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23.

도 3은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된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가 각 제1 화상형성장치(NP1)에 대한 테이블(T) 형태로 저장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llustrates, as an example, that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 is stored in the form of a table T for each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Drawing.

제2 제어부(21)는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제1 제어부(11)와 마찬가지로, 제2 네트워크부(23)를 통해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2 인쇄부(22)가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2 제어부(21)는 용지에 화상이 인쇄되도록 제2 인쇄부(22)를 제어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Like the first control unit 11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the second control unit 21 processes th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23 to print the second printing unit 22. Convert to a possible format. Then, the second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second printing unit 22 to print the image on the paper to perform a print job.

그리고, 제2 제어부(21)는 제1 화상형성장치(NP1)로부터 제2 네트워크부(23)를 통해 수신되는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한다. 또한, 제2 제어부(21)는 제2 잔량 검출부(24)로부터 제2 인쇄부(22)의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제2 제어부(21)는 제2 잔량 검출부(24)로부터 제공되는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7)에, 도 3에 도시된 테이블(T)에 함께 저장할 수 있고,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1 stores in the data storage unit 27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received from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23. 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21 receive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of the second printing unit 22 from the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24. Here, the second control unit 21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provided from the second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24 in the data storage unit 27 and the table T shown in FIG. Can be stored.

한편, 제2 제어부(21)는 디바이스(D1,D2,...DM)로부터 제2 네트워크부(23)를 통해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된 제2 인쇄부(22)의 토너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보다 적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기준 잔량이 8%로 설정된 경우, 제2 제어부(21)는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된 제2 인쇄부(22)의 토너의 잔량이 기준 잔량인 8%보다 적은지 여부를 판단한다.Meanwhile, when print data is received from the devices D1, D2,... DM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23, the second control unit 21 stores the second print unit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toner of 22)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is set to 8%, the second control unit 21 determines whether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of the second printing unit 22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 is less than 8% which is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그리고, 제2 제어부(21)는 현재 제2 인쇄부(22)의 토너의 잔량이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 저장부(27)에 저장된 제1 화상형성장치 (NP1)의 토너의 잔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잔량이 가장 많은 제1 화상형성장치(NP1)를 검색한다.When the second control unit 21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in the second printing unit 22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second control unit 21 determines that the toner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7 is low.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having the largest remaining amount is searched based on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그리고, 제2 제어부(21)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검색된 제1 화상형성장치(NP1)로 제2 네트워크부(23)를 통해 재 전송한다.The second controller 21 retransmits the received print data to the searched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23.

이 때, 제2 제어부(21)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검색된 제1 화상형성장치(NP1)로 재 전송하는 경우 소정의 인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정보는 검색된 제1 화상형성장치(NP1)에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의해 재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D1,D2,...DM)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econd control unit 21 retransmits the received print data to the searched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the second control unit 21 may transmit predetermined print information together. Here, the pri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int data received by the retrieved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has been retransmitted by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nd the print data transmitted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bout the devices D1, D2, ... DM may be included.

여기서,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제1 제어부(11)는 제1 네트워크부(13)를 통해 인쇄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가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의해 재 전송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화상형성장치(NP1)가 전술한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 기능을 갖고 있더라도, 제2 화상형성장치(NP2)로부터 인쇄 데이터의 수신과 함께 수신되는 인쇄 정보에 따라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또 한번 재 전송하지 않고 바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first control unit 11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is configured to print the currently received print data based on the print information received together with the print data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13.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transmission by (NP2). Therefore, even i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rint data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described above, the print im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ccording to the print information received together, the print job can be directly performed without retransmitting the received print data again.

또한, 인쇄 정보가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D1,D2,...DM)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화상형성장치(NP1)의 제1 제어부(11)는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부(13)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 (D1,D2,...DM)에 자신에 의해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는 제1 화상형성장치(NP1)에 의해 인쇄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알게 되어, 인쇄된 용지를 찾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i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evices D1, D2, ... DM that have transmitted print data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11) may inform the corresponding devices (D1, D2, ... DM) that the print job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13 based 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who has transmitted the print data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knows that the print job has been performed by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thereby reducing the trouble of searching for the printed pap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 화상형성장치(NP2)는 제2 네트워크부(23)를 통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재 전송하는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 설정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능 설정부(26)는 전술한 제2 조작패널(26)에 마련된 조작 버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setting unit 26 for setting whether to perform a function of retransmitting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23. Can b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perform the re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rint data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Here, the function setting unit 26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operation panel 26.

또한, 기능 설정부(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D1,D2,...DM)에 인스톨되어 제2 화상형성장치(NP2)와 통신하는 프린터 드라이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디바이스(D1,D2,...DM)에 마련된 키보드나 마우스의 조작을 통해 전술한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프린터 드라이버(42)는 사용자 입력부(4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디바이스 네트워크부(41)를 통해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제2 제어부(21)에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 기능의 수행 여부가 설정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프린터 드라이버(42)를 통해 인쇄 단위로 제2 화상형성장치(NP2)의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so, as shown in FIG. 2, the function setting unit 26 may include a printer driver 42 installed in the devices D1, D2,... DM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Can be. Here, the user may select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re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rint data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by operating a keyboard or a mouse provided in the devices D1, D2, ... DM. At this time, the printer driver 42 transmits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user input unit 43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through the device network unit 41. Accordingly, it is set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re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rint data to the second control unit 21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Here, of course,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o perform the retransmission function of the print data of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on a printing basis through the printer driver 4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화상형성장치(NP1)가 자신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 한 정보를 제2 화상형성장치(NP2)에 제공하고, 제2 화상형성장치(NP2)가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이외에도, 제1 화상형성장치(NP1) 및 제2 화상형성장치(NP2)가 자신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과 인쇄 데이터의 재 전송하는 기능을 모두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 화상형성장치(NP1)와 제2 화상형성장치(NP2) 중 어느 것을 디바이스(D1,D2,...DM)에 대한 메인 화상형성장치(NP1,NP2,...NPN)로 설정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provides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with information about the remaining amount of its consumables, and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supplies the print data again.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and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may have both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ir consumables through a network and a function of retransmitting print data. to be.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 either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NP1 or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NP2 from the main image forming apparatus NP1, NP2, ... for the devices D1, D2, ... DM.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when it is set to NPN).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의 품질을 보증하고,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나 용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프린팅 시스템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ssuring the quality of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es, and prevent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consumables or pape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printing system is provided.

Claims (5)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부와;A network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a network;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consumables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received from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unit;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소모재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 중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소모재의 잔량이 가장 많은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When prin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unit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received print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unit to the data storage unit of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sumables stored to an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largest amou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a func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wheth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print data through the network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상기 기능의 수행에 대한 소정의 인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다른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And whe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ceived print data through the network unit, transmits predetermined print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to the other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unit. 제1 소모재와,With the first consumables, 제1 네트워크부와,The first network section, 제1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화상형성장치와;At least on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irst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제2 소모재와,With the second consumables, 데이터 저장부와,A data storage unit,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부와,A second network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network;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소모재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제2 소모재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 잔량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 중 상기 제1 소모재의 잔량이 가장 많은 제1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고;Stor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in the data storage unit, wherein the print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cond consumables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residual amount. At least one second image having a second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the received print data to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greatest amount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sumable material among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es through the network unit when determined to be small; A forming apparatus;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제2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And when the print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s a print job based on the received print dat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2 네트워크부를 통해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경우 소정의 인쇄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The second control unit transmits predetermined print information together when transmitting the received print data to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the second network unit;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 디바이스에 상기 제1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시스템.The first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first image forming apparatus to a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rint data to the second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the prin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first network unit. Printing system.
KR1020040109396A 2004-12-21 2004-12-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KR100630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396A KR100630931B1 (en) 2004-12-21 2004-12-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396A KR100630931B1 (en) 2004-12-21 2004-12-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786A KR20060070786A (en) 2006-06-26
KR100630931B1 true KR100630931B1 (en) 2006-10-02

Family

ID=3716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396A KR100630931B1 (en) 2004-12-21 2004-12-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93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786A (en)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45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230730B2 (en) Selective printing after consumable exhaustion
JP4329822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01260492A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US74091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82130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printing error from being generated
US20140002861A1 (en) Network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printing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8724126B2 (en) Printing apparatus, program, and printer driver
US8472036B2 (en) Controlling program and controlling method
JP38752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212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4387285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control method, printing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inting control program
US7755789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to conserve developer
JPH10217583A (en) Print controlling method, its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US20050237562A1 (en)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to determine printing operation depending on residual developer
KR10063093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JP200904284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147593B2 (en) printer
JP2008117128A (en) Information processor, printer, terminal device, print control system, print system, and program
US20100183321A1 (en) Print terminal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
KR100548133B1 (e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duplex printing function
CN108881658B (en) Data transfer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JP47007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8062134A (en) Guide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04272596A (en) Printout equipment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